KR20050110628A - 면역글로불린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면역글로불린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0628A
KR20050110628A KR1020057014654A KR20057014654A KR20050110628A KR 20050110628 A KR20050110628 A KR 20050110628A KR 1020057014654 A KR1020057014654 A KR 1020057014654A KR 20057014654 A KR20057014654 A KR 20057014654A KR 20050110628 A KR20050110628 A KR 20050110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orbate
present
formulation
pharmaceutical formulation
anti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제이. 버크
션 이. 버클리
셔우드 러스 리허맨
바바라 호시 오코너
제임스 캘라웨이
Original Assignee
엘란 파마슈티칼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869424&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11062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란 파마슈티칼스, 인크. filed Critical 엘란 파마슈티칼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50110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62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39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ntegrin super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91Stabilisation, frag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항체,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소르베이트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완충제를 포함하는 안정성 수성 약제학적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용량을 유지하고 변이 체중의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고농도의 항체를 포함하는 제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면역글로불린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Immunoglobulin Formula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단백질 또는 나탈리주마브(natalizumab)와 같은 항체의 안정성 농축 제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항체는 자체의 활성을 유지하고, 소용량을 투여할 수 있으며, 필요로하는 변이 체중의 객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항체 및 단백질 제제들이 본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화학 및 생물학적으로 안정한 항체 제제와 같은 단백질 제제의 제조는 많은 도전을 내포하고 있다. 안정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증가된 농도의 항체와 같은 단백질을 포함하면서 소용량을 유지하는(즉 소용량 주사를 가능하게 하는) 제제를 제조하는 것이 또한 문제이다. 이와 같은 제제를 제조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면, 용량이 고정된 농축량의 안정한 단백질은 변이 체중의 환자들에게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이 체중을 갖는 환자들에게 유체를 투여하는 것은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응집 및 침전 경향이 높은 단백질 또는 항체 자체의 특성에 의해 이와 같은 제제의 개발이 지체되고 있다.
발명의 요약
그러므로, 이미 문헌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단백질 및/또는 항체를 제제화하는 방법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자체의 활성을 보유한 고농도의 항체 또는 단백질을 포함한 안정성 제제에 대한 필요성도 존재한다. 또한, 고정된 용량을 유지하는 농축 단백질의 안정성 제제도 요구된다. 본 출원인은 항체 제제, 특히 추천 온도에서 저장할 때 침전되지 않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고농도의 항체를 포함한 제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 안정성 조성물을 본 명세서에 기술하고 있다. 고농축 안정성 항체 제제는 변이 체중의 객체들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의사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면역글로불린(또는 기타 단백질), 인산염 완충제,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및 염화나트륨을 포함한 안정성 수성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폴리소르베이트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이고, 약 0.001% 내지 약 2.0%(w/v)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0.02%의 폴리소르베이트가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약 0.1 mg/mL 내지 약 200 mg/mL의 면역글로불린 또는 기타 단백질이 제제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제의 pH를 약 pH 3.0 내지 pH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pH 6.0±0.5이 되도록 제제를 완충한다. 제제는 등장성(isotonic)이 바람직하다. 제제는 추가로 히스티딘을 포함할 수 있다. 히스티딘은 L-히스티딘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제의 면역글로불린은 나탈리주마브 또는 다른 인간화 항체 또는 단일클론 항체와 같은 항-알파-4 인테그린 항체이다. 이와 같은 항체는 표준양 또는 약 15 mg/mL 이상의 농축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약 20 mg/mL 내지 약 150 mg/mL의 나탈리주마브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15 mg/mL 이상의 농도로 제제에 존재할 경우, 이와 같은 제제는, 예를 들면, 약 125 mL의 고정 용량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앞서 기술한 제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치료량의 면역글로불린으로 증상에 대한 변이 체중을 갖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증상은 제제를 투여함으로써 치료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는 상기 증상이 알파-4 인테그린에 의해 매개되는 증상이며, 이와 같은 증상에서 면역글로불린은 알파-4 인테그린을 인식하고 이에 결합하는 것으로, 나탈리주마브와 같은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인산나트륨, 폴리소르베이트, 단백질 및 NaCl을 포함하고, pH 6.0±0.5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5℃ 내지 8℃에서 장기 저장시 안정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인산나트륨, 염화나트륨, 폴리소르베이트 및 단백질을 혼합하고, 혼합물의 pH를 인산을 사용하여 약 pH 6.0±0.5으로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제를 함유하는 안정성 단백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단백질은 본 발명의 제제중에서 동결건조(lyophilized)될 수 있다. 폴리소르베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약 0.02% (w/v)로 존재하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이고, 단백질은 바람직하게는 나탈리주마브이다. 제제는 추가로 히스티딘(histidine)을 포함할 수 있다.
단백질은 5 mM 히스티딘, 20 mg/mL 수크로즈(sucrose) 및 0.02%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한 pH 6인 용액중에서 동결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백질은 20 mg/mL 농도의 나탈리주마브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앞서 기술한 안정성 제제를 수용하는 용기를 포함하는 제조 장치(article)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환자에게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앞서 기술한 제제와 증상에 효과적인 화합물 또는 치료법을 치료학적으로 유효하게 병용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증상에 대한 변이 체중의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증상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어떠한 안정성 제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약제는 상기 증상 치료에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약제는 증상 치료용 이차 화합물 또는 치료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1. 정의
"단백질(protein)"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면역글로불린, 효소, 수용체 및 이의 단편들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비록 제제에 대한 토론이 주로 항체나 면역글로불린과 관련하여 제공된다 할지라도, 다른 단백질들도 개시된 제제에서 호환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항체, scFv, Fab, Fc, F(ab')2와 같은 항체 단편 및 유전적으로 조작된 항체의 다른 부분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면역글로불린은 이의 중사슬의 불변(constant)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다른 클래스로 분류될 수 있다. 5개의 주요 클래스의 면역글로불린이 있다: IgA, IgD, IgE, IgG 및 IgM. 이들 중 몇몇은 서브클래스(아이소타입, isotypes)로 더욱 분류될 수 있다, 예: IgG1, IgG2, IgG3 및 IgG4; IgA1 및 IgA2. 면역글로불린의 다른 클래스에 상응하는 중사슬 불변 도메인은 알파(α), 델타(δ), 엡실론(ε), 감마(γ) 및 뮤(μ)로 각각 불린다. 각각 다른 클래스의 면역글로불린의 서브유닛 구조 및 3차 구조 배열(configuration)은 잘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면역글로불린은 알파-4-인테그린을 인식하여 결합한다.
"항체(antibody)"는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는데, 특히, 원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한,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ies)[항진(agonist) 항체 및 길항(antagonist) 항체를 포함], 다중 에피토프 특이성(polyepitopic specificity)를 갖는 항체 조성물 및 항체 단편(예: Fab, F(ab')2, scFv 및 Fv)를 포함한다. "항체"는 다클론(polyclonal) 항체, 단클론 항체, 인간화(humanized) 항체, 인간 항체, 프리메티즈드?(primatized?) 항체 및 유전 공학을 통해 제조된 다른 항체들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클론 항체"는 실질적으로 동종의 항체의 집단으로부터 얻은 항체를 말한다. 즉, 상기 집단에 포함된 개개의 항체는 소량으로 존재할 수 있는 자연적 유발 가능성이 있는 변이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단클론 항체는 매우 특이적이어서 하나의 항원 부위(antigenic site)에만 작용한다. 나아가, 대체적으로 다른 결정부위들(determinants)(에피토프, epitopes)에 대해 작용하는 다른 항체를 포함하는 종래 항체(다클론 항체) 집단과는 대조적으로, 각 단클론 항체는 항원 상에서 하나의 결정부위에 작용한다. 이들의 특이성에 더하여, 단클론 항체는 포유동물 세포 발현 시스템 또는 형질전환 기술에 의해 합성되고, 다른 면역글로불린에 의해 오염되지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단클론 항체는, 베부디 등(Behboodi et al., 2002, Transgenic cloned goats and the production of therapeutic proteins. In Principles of Cloning. Elsevier Science(USA)); 및 메드 등(Meade et al., 1999, Expression of recombinant proteins in the milk of transgenic animals in Gene expression system: using nature for the art of expression. J. M. Fernandez. and J.P. Hoeffer ed., Academic Press)에 의해 개시된 대로, 염소(goat)에서 발현될 수 있다. 변경자(modifier) "단클론(monoclonal)"은 실질적으로 동질의 항체 집단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항체의 특성을 나타내고, 어떤 특정 방법으로 항체의 제조를 요구하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단클론 항체는 쉐퍼드 등에 의해 개시된 방법(Shepared et al., Monoclonal Antibodies; A Practical Approa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0)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단클론 항체"는, 원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한, "키메릭(chimeric)" 항체(면역글로불린)를 포함하는데, 상기 키메릭 항체는 중사슬 및/또는 경사슬의 일부가 특정 종으로부터 유래한 항체 또는 특정 항체 클래스나 서브클래스에 속하는 항체에서 상응하는 서열(corresponding sequences)과 동일(identical)하거나 동종(homologous)인 반면, 사슬(들)의 나머지는 다른 종 유래의 항체 또는 다른 항체 클래스나 서브클래스에 속하는 항체에서 상응하는 서열과 동일하거나 동종이다. 상기 생물학적 활성은 예컨대 알파-4-인테그린에 결합하는 활성이다. "단클론 항체"는 예컨대 클락슨 등(Clackson et al., 1991 Nature 352:624-628) 및 막스 등(Marks et al., 1991 J. Mol . Biol., 222:581-597)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하여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인간화" 형태의 비인간(예: 쥐과 동물(murine), 토끼(rabbit), 소과 동물(bovine), 말(equine), 돼지(porcine) 등) 항체는 키메릭 면역글로불린, 이들의 면역글로불린 사슬 또는 단편(Fv, Fab, Fab', F(ab')2 또는 항체의 다른 항원-결합 부서열(subsequence)과 같은)이며, 이들은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 유래한 최소의 서열을 포함한다. 대부분 인간화 항체는, 수여자의 CDR(complementary determining region)의 잔기(residue)가 원하는 특이성, 친화력 및 용량을 갖는 마우스, 래트 또는 토끼와 같은 비인간 종(공여자 항체)의 CDR의 잔기로 대체된 인간 면역글로불린(수여자 항체)이다. 어떤 경우에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Fv 골격 잔기는 상응하는 비인간 잔기로 대체된다. 나아가, 인간화 항체는 수여자 항체에서나 유입된(imported) CDR 또는 골격 서열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modification)은 더욱 정제되고, 항체 성능을 최적화되도록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인간화 항체는 적어도 하나, 통상적으로는 2개의 가변 도메인의 전체 또는 실질적인 전체를 포함하는데, CDR 영역의 전체 또는 실질적인 전체는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의 영역들에 동종이고, FR 영역의 전체 또는 실질적인 전체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보존(consensus) 서열의 영역들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인간화 항체는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Fc), 일반적으로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불변 영역의 적어도 한 부분을 포함할 것이다.
또한, "선형(linear) 항체"라는 표현은 일반적인 용어인 "항체"에 포함된다. 상기 선형 항체는 한쌍의 직렬 Fd 단편(segment)(VH-CH1-VH-CH1)인데, 이것은 한쌍의 항원 결합 영역을 형성한다. 선형 항체는 이중특이적(bispecific)이거나 단일특이적(monospecific)일 수 있다.
"변형(variant) 항체"(이 또한 일반적인 용어인 "항체"에 포함된다)는 모체 항체 서열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의 부가, 결실 및/또는 치환에 의해 "모체"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과 아미노산 서열이 다른 분자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형은 모체 항체의 하나 이상의 과변이(hypervaraible) 영역(들)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변이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 예컨대, 모체 항체의 하나 이상의 과변이 영역에서 약 1-10개, 바람직하게는 약 2-5개의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 상기 변이는 모체 항체 중사슬 또는 경사슬의 가변 도메인 서열과 적어도 7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의 아미노산 동일성(identity)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열에 관한 동일성 또는 상동성(homology)은 필요하다면, 최대 백분 서열 동일성을 얻기 위한 서열의 정렬 및 갭(gap)의 도입 후에 모체 항체 잔기와 일치하는 후보 서열에서 아미노산 잔기의 백분율(percentage)로 정의된다. N-말단, C-말단 또는 내부 신장(internal extensions), 결실 또는 항체 서열로의 삽입 중 그 어느 것도 서열 동일성 또는 상동성에 영향을 미치게 제작되지는 않는다.
그런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변이형의 Fab 형태를 모체 항체의 Fab 형태와 비교하거나 변이형의 전장(full length) 형태를 모체 항체의 전장 형태와 비교할 수 있다. 이는 여기에 기재된 생물학적 활성 어세이에서 항체의 모양(format)은 그것의 활성에 강한 영향을 준다고 밝혀졌기 때문이다. 특히 관심을 끄는 변이형 항체는 모체 항체와 비교할 때 적어도 약 10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0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0배 강화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모체 " 항체는 변이형의 제조에 사용되는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모체 항체는 인간 골격 영역을 가지고, 인간 항체 불변 영역(들)을 가진다. 예컨대, 모체 항체는 인간화 항체 또는 인간 항체일 수 있다.
"분리된 항체(isolated antibody)"는 동정 및 그것의 자연적 환경의 성분으로부터 분리 및/또는 회수된 것이다. 그것의 자연적 환경의 오염균 성분은 항체의 진단 또는 치료 용도를 방해하는 물질이며, 효소, 호르몬, 다른 단백질성(proteinaceous) 또는 비단백질성 용질(solute)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항체는 (1) 로우리(Lowry) 방법에 의해 측정될 때 항체 중량에 대하여 95% 이상이 되도록, (2) 스피닝 컵(spinning cup) 서열분석기의 사용에 의해 N-말단 또는 내부 아미노산 서열의 적어도 15 잔기를 얻기 위해 충분할 정도로, 또는 (3) 코마시 블루, 또는 바람직하게는 실버 염색을 이용한 환원성 또는 비환원성 조건 하에서 SDS-PAGE에 의한 균질화(homogeneity)되도록 정제된다. 분리된 항체는 재조합 세포 내 인 시투(in situ) 항체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항체의 자연적 환경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상, 분리된 항체는 적어도 하나의 정제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항체 단편(fragments)"는 손상되지 않은(intact) 항체의 부분, 일반적으로 손상되지 않은 항체의 항원 결합 또는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항체 단편의 예는 Fab, Fab', F(ab')2 및 Fv 단편들; 디아바디(diabodies); 선형 항체; 단일-사슬 항체 분자; 및 항체 단편으로부터 형성된 다중특성(multispecific) 항체를 포함한다. "단일-사슬 Fv" 또는 "sFv" 항체 단편은 항체의 VH 및 VL 도메인을 포함하는데, 이들 도메인은 단일 폴리펩티드 사슬에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Fv 폴리펩티드는 항원 결합을 위해 sFv가 원하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는, VH 및 VH 도메인 사이의 폴리펩티드 링커를 더욱 포함한다.
"디아바디(diabody)"는 2개의 항원-결합 부위를 가지고 있는 작은 항체 단편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단편은 동일한 폴리펩티드 사슬(VH-VL)에서 경사슬 가변 도메인(VL)에 연결된 중사슬 가변 도메인(VH)를 포함한다. 동일한 사슬 상에 있는 2개의 도메인 사이를 결합(pair)하기에는 너무나 짧은 링커를 이용함으로써, 도메인은 다른 사슬의 상보적인 도메인과의 결합하여 2개의 항원-결합 부위를 생성하도록 강화된다. 항체의 투여 경로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할 수 있고, 이는 잘 알려져 있다. 상기 투여 경로는, 예컨대, 정맥내(intravenous), 복강내(intraperitoneal), 뇌내(intracerebral), 근육내(intramuscular), 안구내(intraocular), 동맥내(intraarterial) 또는 병변내(intralesional) 경로나 서방형(sustained release) 시스템에 의한 주사(injection) 또는 주입(infusion)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항체는 주입에 의해 지속적으로 투여되거나 전량(bolus)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치료 항체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멸균된 접근 포트를 가지고 있는 컨테이너(container), 예컨대, 정맥 용액 백(bag) 또는 피하 주사 바늘에 의해 뚫릴 수 있는 마개가 있는 바이알(vial)에 담겨 진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pharmaceutically acceptable)" 첨가제들(예: 부형제, 첨가물)은 사용되는 활성 성분의 효과적인 양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체 포유동물에 무리 없이 투여될 수 있는 것들이다. "안정한(stable)" 제제는 포함된 단백질이 보관시 물리적 안정성 및/또는 화학적 안정성 및/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그대로 보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안정한"이란 응집 및/또는 탈아미노화를 포함하는 불안정성의 징후를 조금 또는 전혀 나타내지 않는 제제를 의미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제제는 5-8℃에서 보관했을 때 적어도 2년간 안정하다.
단백질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분석 기술들이 당업계에 통용되어 있으며, 예컨대, Peptide and Protein Drug Delivery, 247-301(Vincent Lee ed., New York, N.Y., 1991)과 Jones, 1993 Adv . Drug Delivery Rev. 10:29-90에 기재되어 있다. 안정성은 제공된 실시예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택된 온도에서 선택된 기간 동안 측정될 수 있다. 안정한 제제의 보관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개월, 더욱 바람직하게는 12개월, 더욱 바람직하게는 12-18개월, 더욱 바람직하게는 2년 이상일 수 있다.
항체 또는 이의 단편과 같은 단백질은, 만일 색상 및/또는 투명도를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또는 UV 광선 스캐터링(scattering)이나 크기 배제(size exclusion) 크로마토그래피로 조사시에 응집, 침전, 탈아미노화 및/또는 변성의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면, 약제학적 제제에서 "그의 물리적 안정성을 보유한다".
단백질은, 만일 주어진 시간에서 화학적 안정성이 상기 단백질이 그의 생물학적 활성을 여전히 보유하는 것으로 사료되는 것이면, 약제학적 제제에서 "그의 화학적 안정성을 보유한다". 화학적 안정성은 단백질의 화학적으로 변경된 형태를 검출하고 정량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화학적 변경은 크기 변형(예: 클리핑(clipping))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예컨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DS-PAGE 및/또는 고분해증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 질량분석기(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화학적 변형은 전하 변형(예: 탈아미노화에 의해 일어나는 전하 변형)을 포함하며, 이것은 예컨대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만일 주어진 시간에서 상기 항체의 생물학적 활성이 약제학적 제제가 제조 시 나타난 생물학적 활성의 약 10%(어세이의 오차 내) 내에 있는 경우에 약제학적 제형에서 "그의 생물학적 안정성을 보유한" 항체이고, 이는 예컨대 항원 결합 어세이로 측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등장성의(isotonic)"이란 제제가 인간 혈액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삼투압(osmotic pressure)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등장성 제제는 일반적으로 약 250-350 mOsm의 삼투압을 가진다. 등장성(isotonicity)은 예컨대 증기압 또는 얼음 냉동형의 삼투압 측정기(ice-freezing type osmometer)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완충용액(buffer)"이란 산-염기 결합 성분(acid-base conjugate components)에 작용으로 pH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완충된 용액을 말한다. 본 발명의 완충용액은 약 3.0 내지 약 7.5 범위의 pH; 바람직하게는 약 pH 4.0 내지 약 pH 7.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pH 5.0 내지 약 pH 6.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0±0.5의 pH를 가진다. 또한 상기 범위에서 어느 포인트의 pH도 가능하다.
약리학적 의미로, 본 발명의 내용에서 항체의 "치료학적 유효량"이란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항체의 양을 말한다. "장애(disorder)"는 항체 또는 단백질의 치료에 의해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모든 증상(condition)을 말한다. 이것은 포유동물을 문제의 장애에 걸리기 쉽게 하는 병리학적 상태를 포함하는 만성 및 급성 장애 또는 질환(disease)을 포함한다.
"치료(treatment)"란 치료학적 치료 및 예방(prophylactic or preventative) 적인 조치를 모두 포함한다. 치료가 필요한 개체는 예방되어야 하는 장애가 있는 개체뿐 아니라 장애를 이미 가지고 있는 개체도 포함한다.
"방부제(preservative)"는 박테리아 작용을 본질적으로 감소시켜 예컨대 다용도 제제의 제조를 촉진하는 제제가 포함될 수 있는 화합물이다. 가능한 방부제의 예는 염화 옥타데실디메틸벤질 암모늄(octadecyldimethylbenzyl ammonium chloride), 염화 헥사메토늄(hexamethonium chloride), 염화 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긴-사슬 화합물의 알킬 그룹이 있는 염화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의 혼합물) 및 염화 벤제토늄(benzethonium chloride)를 포함한다. 또 다른 종류의 방부제는 페놀, 부틸 및 벤질 알코올과 같은 방향족 알코올, 메틸 또는 프로필 파라벤(paraben), 카테콜(catechol), 레소르시놀(resorcinol), 시클로헥사놀, 3-펜타놀 및 m-크레솔(cresol)과 같은 알킬 파라벤을 포함한다.
"환자" 또는 "개체"는 모든 포유동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치료 목적을 위한 "포유동물(mammal)"은 포유동물로서 분류될 수 있는 모든 동물을 말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인간, 개, 말, 고양이, 젖소 등과 같은, 가축 동물(domestic and farm animals) 및 동물원, 스포츠 또는 애완 동물을 포함한다.
"안테그렌?(Antegren?)"이란 AN100226(항체 코드 번호) 또는 나탈리주마브(natalizumab)(USAN 명)으로 알려진 항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나탈리주마브는 재조합, 인간화 항-알파-4-인테그린 항체이다. 포유동물에서 치료되어지는 질환 또는 증상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나탈리주마브가 투여될 때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한(stable)"이란 응집 및/또는 탈아미노화를 포함하는 불안정성(instability)의 징후를 약간 또는 전혀 보이지 않는 제제를 의미한다. 게다가 "안정한"은 지시한 온도에서 보관시 2년 또는 그 이상동안 어떠한 불안정한 징후도 나타내지 않는 제제를 말한다.
개괄적인 설명
하기의 설명과 실시예에서는 안정적인 항체 제제에 대한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안정적인 제제는 항체를 고농도로 포함하고 있으나 고정된 용량을 유지한다. 이러한 제제에서 상기 항체는 안정적이며 용매 중에서 침전되거나 응집되지 않는다. 또한, 항체 이외의 단백질이 제제에서 고농도로 관찰된다.
항체는 개체(예를 들어, 사람)에 일반적으로 약 0.01 mg/mL 내지 약 200 mg/mL의 농도로 투여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항체는 약 0.1 mg/mL 내지 약 150 mg/mL의 농도 범위로 투여된다. 한편, 환자에게 보다 더 높은 농도, 예를 들면 약 15 내지 200 m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mg/mL 내지 150 m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50 mg/mL,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mg/mL 및 그 사이에 존재하는 정수값으로 투여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상기 항체 제제는 상기 단백질을 이용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전량(bolus) 투여 또는 일정한 시간 이상 연속적인 주입에 의한 정맥 투여, 근육 내, 복강 내, 뇌척수 내, 피하, 관절 내, 활액 내, 경막 내, 구강, 국부적 또는 흡입 경로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항체 제제는 정맥 투여에 의해 포유동물에 투여된다.
상기 단백질의 적합한 투여량은 예를 들어, 치료받는 증상, 증상의 중증도 및 진행 정도, 단백질이 예방의 목적으로 투여되는지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투여되는지의 여부, 이전의 치료, 환자의 임상 병력 및 단백질에 대한 반응, 사용된 단백질의 형태 및 담당 의사의 재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은 환자에 1회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진단 후에 언제나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은 단독 투여되거나 문제가 되는 증상의 치료에 유용한 다른 약물 또는 치료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두 종류(또는 그 이상)의 약제가 병용 투여된다는 말은 상기 약제가 동시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상기 두 종류의 약제가 동시에 투여되거나 독립적으로 투여되는 경우를 말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종류의 치료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의료 시술에 따라 증상에 대해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다른 종류의 화합물들과 함께 병용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제는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및 크론씨병의 치료를 위한 다른 종류의 치료제 또는 물리적 치료와 함께 병용 투여될 수 있다.
2.1 항체 제제의 제조방법
본 공정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으로서 변경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목적으로 하는 항체 또는 단백질을 제조할 수 있는 세포를 포함하는 워킹 셀 뱅크(working cell bank)로부터 앰플을 수득한다. 접종원을 준비한다. 필요한 경우 추가로 배지를 첨가하여 세포를 배양 또는 발효한다. 원심분리 및/또는 여과에 의해 세포를 회수/정화한다. 이는 예를 들어 세포를 원형 여과기(spiral wound filtration)로 10배 농축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2㎛ 중간체 여과에 의해 여과하고 단백질 A 세파로스 패스트 플로우(protein A Sepharose Fast Flow?)(즉,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역으로 용리함으로써 정제한다. 그 다음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체를 pH 3.6-3.7로 처리한다. 상기 혼합물을 바이러스 여과(viral filtration)하고 농축/투석한다. 그 다음 상기 조성물을 DEAE 세파로스 패스트 플로우(DEAE Sepharose Fast Flow?)(음이온 교환)로 정제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여러번 수행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상기 조성물을 추가로 농축한 다음 인산염/NaCl를 러닝 완충액으로 사용하여 세파크릴 S300HR?(즉,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으로 정제한다.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체를 원하는 경우 고농도 제제(예를 들어, 20 mg/mL 또는 그 이상)로 제조하기 위해 추가로 농축할 수 있다.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체를 추가로 완충한 다음 0.02%(w/v)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첨가하여 농도를 조절한다. 상기 조성물을 0.2㎛ 필터로 최종적으로 여과한 다음 100 mL 내지 10 L 폴리프로필렌 시약병에 분배할 수 있다. 이렇게 수득한 항체 또는 면역글로불린을 QC 테스트한 다음 QA로 출하한다.
상기 공정은 하기 나탈리주마브를 예시한 도식화된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200L 원료(5.0 mg/mL) 2000L 원료(5.0, 20 mg/mL)
워킹 세포 뱅크로부터의 앰플↓접종원 제조↓발효↓여과에 의한 회수/정화:원형 여과기로 10배 농축↓0.2㎛ 중간체 여과↓단백질 A 세파로스 패스트 플로우?(친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정방향 용리)↓pH 3.7-3.8 처리↓ --↓농축/투석↓DEAE 세파로스 패스트 플로우?(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단일 사이클)에 의한 정제↓농축↓세파크릴 S300HR?(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러닝 완충액:히스티딘/NaCl)↓--↓완충 및 농도 조절인산염/NaCl, 0.02%(w/v)폴리소르베이트 80↓0.2㎛ 최종 여과 및 분배(100mL-1L 폴리프로필렌 시약병)↓정제된 AN100226 벌크의 QC 테스트 및 QA 방출 워킹 세포 뱅크로부터의 앰플↓접종원 제조↓발효(추가 배지 공급)↓원심분리 및 여과에 의한 회수/정화:원형 여과기로 10배 농축↓0.2㎛ 중간체 여과↓단백질 A 세파로스 패스트 플로우?(친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역방향 용리)↓pH 3.6-3.7 처리↓바이러스 여과↓농축/투석↓DEAE 세파로스 패스트 플로우?(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다중 사이클)에 의한 정제↓농축↓세파크릴 S300HR?(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에의한 정제(러닝 완충액:인산염/NaCl)↓(20 mg/mL로 추가 농축)↓완충 및 농도 조절(0.02%(w/v) 폴리소르베이트 80 첨가)↓0.2㎛ 최종 여과 및 분배(100mL-10L 폴리프로필렌 시약병)↓정제된 AN100226 벌크의 QC 테스트 및 QA 방출
2.2 항체 제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있어서, 면역글로불린을 약 1.7, 5.0, 10.0, 15.0, 20.0, 25.0, 30.0, 40.0 또는 50.0 mg/mL의 농도로 10mM 소디움 포스페이트, 140mM NaCl(pH 6.0±0.5) 및 0.02% 폴리소르베이트 80에 용해하여 제제화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pH는 인산을 사용하여 6.0±0.5로 조절한다.
하기에 각기 다른 제제의 한 예를 나타내었다.
정량적인 조성물:인산염 완충액 제제
성분 기능 제제 단위 (mL 당) 1.7 mg/mL 제제 단위 (mL 당) 5.0 mg/mL 제제 단위 (mL 당) 20 mg/mL
활성 성분:
항-α4 인테그린 인간화 단클론 항체 활성 1.7 mg 5.0 mg 20 mg
다른 성분:
소디움 포스페이트, USP 완충 및 등장 1.4 mg 1.4 mg 1.4 mg
소디움 클로라이드, USP 완충 및 등장 8.2 mg 8.2 mg 8.2 mg
인산, NF pH를 6.0±0.5로 조절 QS QS QS
폴리소르베이트 80, NF 단백질 응집 억제 0.2 mg 0.2 mg 0.2 mg
주사용 물, USP 희석 1 mL로 QS 1 mL로 QS 1 mL로 QS
상기 제제는 모두 바람직하게 무균 바이알에 보관한다. 상기 바이알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밀봉제(seal)을 가지고 있는 헬보트 파르마(Helvoet Pharma) V9145/FM 157/1 그레이 부틸 고무 마개가 장착된 타입 I EP 중화 유리 바이알(예를 들어, 5.0 또는 20 mL 바이알)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종류의 적합한 무균 바이알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제는 다음과 같이 병입될 수 있다.
병입
필요한 경우 인산염/소디움 클로라이드/폴리소르베이트 80 완충액의 혼합↓바이알, 마개 및 조작 기구의 살균↓필요에 따라 인산염/소디움 클로라이드/폴리소르베이트 80 완충액으로 항체를 1.7 또는 50 mg/mL로 희석↓살균 여과↓무균적 충진 및 바이알의 스토퍼링(stopping)캡핑↓출하 실험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기술한 절차에 의해 실시예에서 수득한 나탈리주마브는 다음과 같이 병입할 수 있다. 나탈리주마브 200 L 및 2000 L 약제 제품을 바이알 세척, 멸균 및 파이로젠 제거 터널이 장착된 완전 자동화 필링 라인에서 충진할 수 있다. 마개, 밀봉제 및 충진 장치를 세척하고 사용하기 전에 살균한다. 상기 과정은 2000 L 발효에 의해 생산된 용량에 맞는 대규모 작업을 위해 고려된다.
필요한 경우, 제제 완충액, 약 10mM 인산염, 약 140 mM NaCl, pH 6.0±0.5, 약 0.02%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클래스 10,000 슈트에서 혼합할 수 있으며 이를 약제 제품 벌크를 최종 농도로 희석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농도를 특정하기 위한 공정에 있어서, pH 및 밀도는 여과하기 전에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제화된 나탈리주마브 또는 다른 종류의 면역 글로불린을 0.2㎛ 밀리팩 필터를 통과시켜 내부에 살균된 중공부가 있는 스테인레스 스틸 서지 탱크(stainless steel surge tank)로 멸균 여과할 수 있다. 나탈리주마브의 충진, 스토퍼링(stoppering) 및 캡핑은 완전히 자동화되었다. 공정 중 무균 상태의 벌크 시료를 수집하였다; 충진 작업을 통해 충진 무게 및 헤드스페이스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충진된 약제 제품을 약 2-8℃로 냉장 보관하였다.
충진은 완전히 확인된 클래스 100 살균 중공부 내에서 이루어졌다. 상기 충진 라인을 5.0 mL 및 20 mL 부피에 대해 기대하는 허용량 내의 충진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 확인하였다. 종합적인 환경 모니터링은 충진 작업 동안에 수행하였으며 상기 기준을 연속적으로 따르는지를 입증하기 위하여 이를 재검토하였다. 배지 충진은 살균 충진 작용을 지원하기 위해 분기마다 수행하였다. 선택적으로, 생산된 200 L 약제 기질 원료는 다음의 실시예에 따라 병입될 수 있다. 바이알, 충진 바늘, 여과 어셈블리 및 배관을 제조하고 사용하기 전에 살균한다. 마개는 부품 제조업자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마개는 충진하기 전에 멸균한다.
나탈리주마브 약제 제품 또는 다른 종류의 단백질을 성분의 1회분 제조(batch preparation) 자동화된 충진, 즉각적인 스토퍼링 및 캡핑 작업이 이루어지는 반자동식 충진 라인에 충전한다. 상기 작업은 작은 배치(small batch) 규모의 작업에 적합하다.
상기 최종 벌크 용액을 0.2㎛ 밀리팩 필터로 클래스 100 환경 내에서 살균 유리 수용기 내로 살균 여과한다. 일반적인 교정 및 공정 체크는 ±2% 이내의 충진 허용 잔고를 확보한다. 바이알을 마개로 덮고 즉시 밀봉한다. 충진된 약제 제품은 2-8℃로 냉장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수용기는 한정되지 않는 수의 바이알일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엡솜 글래스(Epsom Glass) 또는 아밀코(AMILCO)에서 제조한 5.0 또는 20 mL 중성 유리 바이알 타입 I(EP)이거나 예를 들어 킴블(Kimble) 또는 위톤(Wheaton)에서 제조한 5.0 mL 또는 20 mL USP 타입 I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바이알 일 수 있다. 상기 바이알들은 적합한 클로저(closure)의 모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이알 클로저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13 mm 헬보트 파르마 V9145/FM 157/1 그레이 부틸 고무 마개 또는 13 mm 및 20 mm 헬보트 파르마 V9145/FM 157/1 그레이 부틸 고무 마개 또는 13 mm 또는 20 mm 웨스트 4432/50 그레이 부틸 고무 마개를 포함한다. 상기 고무-마개로 봉한 시약병은 가장 일반적으로 웨스트에 의해 제조된 것과 같은 알루미늄 밀봉제(seal)를 이용하여 밀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되기는 하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 것으로 이해되며 이는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폴리소르베이트 80의 선별
나탈리주마브 투여의 전형적인 방법은 정맥투여이다. 정맥 투여시에 최종적 제제는 등장액이 되도록 요구된다. 초기에는 pH 6.0인 50 mM L-히스티딘, 150 mM 염화나트륨 용액에서 용해된 5 mg/mL의 AN100226(나탈리주마브) 제제가 선택되었다(제제#1). 제2상 시험에서 임상투여장치로 나탈리주마브를 도입하고 희석하는 동안 상기 항체의 단백질 침전이 관찰되었다. 상기 관찰된 단백질 침전을 용해하기 위하여 폴리소르베이트 80가 상기 제제에 넣어졌다(제제#2).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소르베이트는 과산화물이 적은, 시그마사의 제품번호 P6479, Lot번호 071K7283 폴리소르베이트가 바람직하다.
AN100226 항체의 침전을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증명된 두 가지 요소는 실리콘 오일의 잔여량 및 기체-액체 접촉 면에서의 변성이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실리콘화된 고무마개가 장착된 윤활유가 도포된 표준 폴리프로필렌 주사기를 사용하는 중에 상기 제품에 도입되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의 유입이 적당한 교반과 상온 보관 중에 제제#1에서 식별할 수 있는 항체 침전을 유발하였다. 기체-액체 접촉 면에서의 변성에 의해 유발되는 응집, 탈아미노화 및 침전에 의해 더욱 식별할 수 있는 문제가 많은 임상 사이트로 운반되는 상기 약물에 발생되었다. 단백질 침전의 두 가지 원인은 0.02%(w/v) 농도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의 첨가에 의해 해결된다.
제제#2는 모든 단백질 특성검사에서 히스티딘/염화나트륨 제제(제제#1)와 유사한 안정성을 보여주는 반면 임상준비에서의 취급과 제품운반 동안에 안정성이 증가된다.
또한, 제제에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첨가하는 것은 고함량의 단백질을 갖는 제제를 제조할 때 항체의 응집 또는 침전 문제를 극복하게 한다. 초기의 작업은 50 mg/mL를 포함하는 고농도 단백질의 교반에 의해 유도되는 응집에 초점을 맞추었다. 상기 물질을 볼텍스형 믹서를 사용하여 교반하고, 응집물을 크기배제-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EC-HPLC)으로 검출하였다. 상기 모델은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응집의 효과적인 억제제로 확인한 반면, 자당(sucrose)과 다른 완충용액 구성성분은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 mg/mL의 단백질농도에서 교반-유도 침전을 억제하는 0.02% (w/v) 폴리소르베이트 80의 첨가 효과는 나탈리주마브(Lot No. AN100226-0003)의 바이알에 10% 폴리소르베이트 80 용액을 10㎕ 첨가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바이알은 제제#1의 나탈리주마브의 여러 바이알과 측면으로 함께, 수평면으로 일분당 150회 회전하여 흔들었다. 상온에서 상기 처리를 한 지 3시간 이내에, 제제#1의 바이알은 입자들이 많이 혼탁하게 나타났지만, 0.02% (w/v) 폴리소르베이트 80이 첨가된 바이알은 투명하고 입자들이 없었다.
폴리소르베이트 80의 부재하에서 AN100226으로 완전히 채워진 바이알을 더 연장된 시간 동안 흔들었을 때 유발되는 추가적인 입자형성이 없는 것으로 보아 관찰된 응집은 기체-표면 접촉 면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실리콘의 잔여량에 의해 촉진된 단백질 응집을 억제하는 0.02% (w/v) 폴리소르베이드 80 의 활성 평가가 수행되었다. 나탈리주마브(Lot No. AN100226-0003)의 바이알은 0.02% (w/v)의 폴리소르베이트 80으로 조절하였고, 상용화되어 있는 윤활유가 도포된 60 mL 폴리프로필렌 시린지로 옮겨졌다. 상기 물질은 상온에서 여러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육안 검사로 침전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상기 물질을 0.2 ㎛ 여과지를 통과시켜 5 mL 바이알로 여과하고, 검사하여 며칠이 지난 후에도 대체로 입자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폴리소르베이트 80의 부재하에서 상기와 같이 처리한 바이알(제제#1) 에는 입자가 많이 있었다.
실시예 2
인산염 완충액의 선별
히스티딘 위약(0.02% w/v 폴리소르베이트 80)의 출하시험 동안 새로운 미량의 불순물이 검출되었다. 상기 불순물은 확실히 금속이온과 히스티딘을 포함하는 산화반응에 의한 폴리소르베이트 80의 분해로부터 발생하였다. 활성형 나탈리주마브 약품에서 상기 미량 불순물은 고온(예: 25℃ 및 40℃) 저장 후에만 검출되었다. 따라서 완충액에 있는 히스티딘을 인산염으로 대체하여 위약을 수정하여 제조하기로 결정했다. 위약제품에 이용된 히스티딘 로트는 활성형 나탈리주마브 약품 AN100226-004, AN100226-005에 사용된 것과는 다르다. 폴리소르베이트 80 분해에서 히스티딘의 공급의 영향은 아래의 세부사항에서 논의된다.
위약 검사 동안 미량 불순물이 히스티딘/염화나트륨/0.02% 폴리소르베이트 80 위약(제제#2)에서 검출되었다. 상기 불순물은 저파장 자외선 영역에서 그들의 흡수능에 의해 검출되었다. 5℃, 25℃, 40℃에서 1달 동안 저장된 위약에 대한 200 nm에서 400 nm까지의 흡수능 프로파일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들은 불순물이 온도의 영향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체응집탐지를 위해 사용된 SEC-HPLC 방법은 미량의 불순물의 검출을 위한 감도가 증가되도록 100㎕에 컬럼로드를 5배 증가되게 조절하였다. 그리고 10배 희석한 것보다는 희석하지 않은 시료에 적용했다. 그리고 흡수능은 260 nm에서 측정하여 불순물의 최대 흡수능을 나타내었다. 용리 프로파일에서 항체가 더 일찍 나타나므로,상기의 방법은 위약과 제품에서 미량 불순물의 존재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
제제#1과 제제#2에서 제조된 위약과 나탈리주마브의 최종 약품은 위에서 설명된, SEC-HPLC에 의해 분석되었다. 0.02%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첨가한 제제#1에서 위약의 분석은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기 전에 수행되었다. 이것은 미량 분순물이 없는 상태에서 폴리소르베이트 80, 히스티딘, 염의 자외선 흡수능을 나타낸다. 16분에서 넓은 피크는 폴리소르베이트 80과 관련이 있고 약 26-27분에서의 피크는 히스티딘과 염에 의한 것이다. 5℃에서 두 달 동안 저장된 히스티딘/염화나트륨/0.02% (w/v) 폴리소르베이트80 위약(제제#2)은 늦은 용리 피크에서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상기 불순물의 생성에 폴리소르베이트 80이 관련됨을 보여준다. 추가적으로 16분에서 용리가 사라진 것은 폴리소프베이트 80 이 분해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제#1에서 벌크 약물(bulk drug substance)로 약 5달 동안 5℃에서 보관된 AN100226는 크로마토그래피 바로 전에 0.02% 폴리소르베이트 80를 첨가한 스파이킹 (spiking) 후에 분석하였다. 항체는 상기의 과부하상태를 이용하여 16-18분에 용리되었다. 프로파일의 잔여물은 폴리소르베이트 80의 스파이크를 가지는 위약과 비슷하다. 나탈리주마브 lot #AN100226-0004에 대한 2달 동안의 안정성 시료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5℃ 나타리주마브 시료에 대한 용리 프로파일은 어떠한 추가적인 피크가 없다는 것으로 나타났고, 26-27분에는 히스티딘/염 피크의 유사한 수준을 나타났다. 25℃에서 2달간 보관한 시료에서 미세불순물이 검출되었고 40℃에서 두 달간 보관한 시료에서는 그 양이 증가 되었다. 따라서 5℃에서 보관하여 임상에 공급한 경우에는 상기 불순물이 검출되지 않는다. 상기 미량 불순물의 출현은 나탈리주마브에 비해 위약에서 더 빠르게 나타난다.
위약에서 상기 불순물의 형성을 막기 위하여 위약 제제에서 히스티딘을 무기 완충 성분으로 대체하였다. 임상시험을 위한 위약 제품은 0.02% (w/v) 폴리소르베이트 80이 첨가된 pH 6.0의 멸균 등장인산염 완충용액이다. 히스티딘을 인산염으로 대체하는 경우에는 폴리소르베이트 80 분해율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산염/염화나트륨/0.02% 폴리소르베이트 80 위약 제제 100㎕를 260 nm에서 60℃, 0시와 3일 후에 SEC-HPLC 측정을 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배양의 결과로 SEC-HPLC 프로파일에서 작은 변화가 보였다. 60℃에서 2일이 지난 수에 히스티딘/염화나트륨/0.02% (w/v) 폴리소르베이트 80 제제에 대한 SEC-HPLC의 프로파일은 폴리소르베이트 80의 분해에 관련된 미세 불순물이 현저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는 폴리소르베이트 80 분해가 위약 제제에서 히스티딘을 인산염으로 치환함으로써 현저히 억제되다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3
폴리소르베이트 80과 히스티딘 결합을 한 나탈리주마브 제제
미량 불순물에 의해 생성되는 메커니즘이 폴리소르베이트의 금속 촉매 산화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Donbrow et al.,1978 J.Pharmaceutical Science, 67(12):28). 돈브로우(Donbrow)는 다른 종류의 폴리소르베이트(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 20)에 관하여 저장 동안 생기는 자동산화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빛, 온도 그리고 금속이온 또한 자동산화에 영향을 준다(돈브로우(Donbrow) 등, 1978). 히스티딘과 폴리소르베이트 80 모두 상기 반응이 현저한 비율로 증가하는데 필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아지노모토(Ajinomoto)는 제제에 사용된 단일히스티딘 공급원이다. 그러나 아지노모토로부터 공급된 물품(lots) 사이에서 현저한 반응률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반응을 촉진하는 추가적인 요인은 금속의 존재이다. 이것은 50 mM 히스티딘(Lot No. R016A008)과 2%(w/v) 폴리소르베이트 80이 담긴 바이알에서 60℃에서 5일 동안 반응시켜서 증명되었다. 상기 조건하에서는 상기 히스티딘 제품에서 미량 불순물이 최소량으로 생성된다. 이후 상기 반응은 세 개의 베셀(vessel)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1)첫 번째 베셀은 대조군이다.; (2)두 번째 베셀에 회색 부틸 컨테이너 클로저(마개)를 추가하였다. ; 및 (3)세 번째 베셀에 스테인리스 스틸 바늘을 추가하였다. 상기 반응은 60℃에서 4일 동안 진행되었고 200-400 nm의 자외선 스캔에 의해 분석하였다. 바늘이 존재하는 실험에서 반응은 시간을 더 연장하여 진행하였다.
실시예 4
불순물 평가 - 마우스 단일 투여 한계 테스트
상기 부유물의 잠재적 독성은 마우스 단일 투여 한계 테스트에서 측정되었다. 40℃에서 6주 동안 저장된 히스티딘 위약과 제제#2의 나탈리주마브 시료를 사용하였다. 이는 상기 시료에서 가장 많은 불순물이 나왔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불순물에 의한 독성은 보이지 않았다. 예비자료를 비임상부 신청(non-clinical section of the submission)에 제공하였다. 마우스 단일 투여 한계 테스트에서 사용된 시료의 100uL 주입에 대한 SEC-HPLC 프로파일이 측정되었다. 분석하기 바로 전에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첨가(spike)한 제제#1의 나탈리주마브 시료은 20분 후에 용리된 260 nm 흡수 물질이 거의 없었다. 34분에서의 용리 피크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이 없는 나탈리주마브의 물품(lot)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이것은 폴리소르베이트 80가 분해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반대로 40℃에서 6주간 저장된 제제#2에 있는 위약은 곡선 아래 전체 면적이 12.8 million ㎶·초 이므로 완전히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에서 6주간 저장된 제제#2의 나탈리주마브 시료는 더 적게 분해된다. 40℃에 보관되고 마우스 투여 한계 테스트에서 테스트 된 시료가 분해된 폴리소르베이트 80을 많이 가진다는 것을 상기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불순물 내용 입증
부분적으로 분해된 폴리소르베이트 80이 항체응집을 방해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제제#2를 바늘의 존재하에 3일 동안 60℃로 가열함으로써 폴리소르베이트 80을 모두 불순물 최고 수준으로 전환하였다. 상기 반응에서 모든 폴리소르베이트 80가 모두 분해되었음을 SEC와 역상 PHLC에 의해 확인되었다. 상기 물질을 제제#2중에 포함된 AN100226용액 10 mg/mL 를 이용하여 1대1의 비율로 로 희석한 결과 0.01% 폴리소르베이트 80과 분해된 폴리소르베이트 80 의 최대 50%를 포함하는 용액이 제조되었다. 상기 항체 용액을 수 시간 동안 흔들고 실리콘 주사기에 접촉시켜 항체의 응집을 방해시켰다.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첨가하지 않고 대조군은 동일한 조건에서의 현저한 침전을 보였다.
상기실험으로부터 폴리소르베이트 80의 50% 이상이 분해되지 않는 한 상기 물질은 항체응집을 방지하는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활성 약제 제품에서 폴리소르베이트가 약간 분해되지만, 등전집중법(IEF) 패턴의 모니터링은 상기 제제가 의심을 받을만한 항체는 아님을 확인시켜주었다. IEF프로필은 5℃, 25℃, 40℃ 에서 6주간의 저장조건에 대해 측정하였다. 5℃와 25℃의 시료는 단백질의 전체 전하가 변하지 않았다는 증거 없이 참고기준과 비슷하였다. 40℃의 시료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이 존재하거나 하지 않거나 액체 제제에서 상기 제품의 전형적인 경우보다 더 산성종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소르베이트 80의 분해 정도와 SEC-HPLC의 피크면적 사이의 관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분해된 폴리소르베이트 80을 0에서 50%까지 여섯 가지 농도의 희석 시리즈를 평가하였다. 제제#2를 60℃에서 3일 동안 바늘이 있는 채로 가열하였고 SEC와 역상 HPLC로 100% 분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제제#1에서 정제된 AN100226 벌크로 희석한 다음 0.02% (w/v)폴리소르베이트80를 새롭게 첨가하고 SEC-HPLC로 분석하였다. 상기 SEC 프로파일은 260 nm에서 관찰하였다.
상기 희석 시리즈로부터 얻은 데이터는 분해된 폴리소르베이트 80 비율에 따라 대략 24분 후에 흡수성 프로필에 대하여 적분(㎶·초)된 전체 피크 면적에 의해 도표로 작성되었다. 상기 도표에서 5만 ㎶·초 보다 적은 면적은 폴리소르베이트80 의 약 50%가 분해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는 첨가된 산화된 폴리소르베이트80과 크로마토그램에서 늦게 용리되는 피크에 대한 피크 면적사이의 직접적인 관계이다.
나탈리주마브에서 이러한 미량 불순물에 대한 예비한계는 마우스 단일 투여 한계 테스트, 50% 분해된 폴리소르베이트80의 항체 용해도 테스트, 폴리소르베이트 80 분해 정도의 평가를 기초로 하여 설정되었다. 실험방법은 진행하는 안정성 프로그램에 포함되며 한계는 설정되어있다. 만약 추가적 물품이 히스티딘 완충액으로 제조된다면 상기 한계는 배출 시간에 적용될 것이다.
한계 : 대략 24분 후 피크의 전체 면적은 4 x 106 ㎶·초를 초과하지 않는다.
실시예 6
1.7 mg/mL 나탈리주마브 제제
1.7 mg 나탈리주마브
1.4 mg 인산 나트륨, USP
8.2 mg 염화 나트륨, USP
0.2 mg 폴리소르베이트80, NF
인산, NF를 첨가하여 pH 를 6.0 ±0.5로 조절한다. 1 mL가 되도록 QS한다. 바람직하게는 5- 8℃에서 보관한다.
실시예 7
5.0 mg/mL 나탈리주마브 제제
5.0 mg 나탈리주마브
1.4 mg 인산 나트륨, USP
8.2 mg 염화 나트륨, USP
0.2 mg 폴리소르베이트80, NF
인산, NF를 첨가하여 pH 를 6.0 ±0.5로 조절한다. 1 mL가 되도록 QS한다. 바람직하게는 5- 8℃에서 보관한다.
실시예 8
20 mg/mL 나탈리주마브 제제
20.0 mg 나탈리주마브
1.4 mg 인산 나트륨, USP
8.2 mg 염화 나트륨, USP
0.2 mg 폴리소르베이트80, NF
인산, NF를 첨가하여 pH 를 6.0 ±0.5로 조절한다. 1 mL가 되도록 QS한다. 바람직하게는 5- 8℃에서 보관한다.
실시예 9
50.0 mg/mL 나탈리주마브 제제
50.0 mg 나탈리주마브
1.4 mg 인산 나트륨, USP
8.2 mg 염화 나트륨, USP
0.2 mg 폴리소르베이트80, NF
인산, NF를 첨가하여 pH 를 6.0 ±0.5로 조절한다. 1 mL가 되도록 QS한다. 바람직하게는 5- 8℃에서 보관한다.
실시예 10
5.0 mg/mL 나탈리주마브 제제
5.0 mg 나탈리주마브
140 mg 염화 나트륨
0.02% 폴리소르베이트80 (w/v)
10 mM 인산 나트륨
인산을 첨가하여 pH를 6.0 ±0.5에 조절한다. 선택적으로 약 5- 8℃에서 상기 제제가 보관된다.
실시예 11
10.0 mg/mL 나탈리주마브 제제
10.0 mg 나탈리주마브
1.4 mg 인산 나트륨, USP
8.2 mg 염화 나트륨, USP
0.2 mg 폴리소르베이트80, NF
인산, NF를 첨가하여 pH 를 6.0 ±0.5로 조절한다. 1 mL가 되도록 QS한다. 바람직하게는 5- 8℃에서 보관한다.
실시예 12
10.0 mg/mL 나탈리주마브 제제
10.0 mg 나탈리주마브
1.4 mg 인산 나트륨, USP
8.2 mg 염화 나트륨, USP
0.1 mg 폴리소르베이트80, NF
인산, NF를 첨가하여 pH 를 6.0 ±0.5로 조절한다. 1 mL가 되도록 QS한다. 바람직하게는 5- 8℃에 보관한다.
실시예 13
20.0 mg/mL 나탈리주마브 제제
20.0 mg/mL 나탈리주마브
140 mg 염화 나트륨
0.02% 폴리소르베이트80 (w/v)
10 mM 인산 나트륨
인산을 첨가하여 pH를 6.0 ±0.5에 조절하고 부피는 125 mL가 되게 한다. 선택적으로 약 5- 8℃에서 제제가 보관된다.
실시예 15
동결건조된 나탈리주마브 제제
20 -200 mg/mL의 고농도 항체의 추가적인 액체 제제는 pH 3.0- 7.0 범위의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2-50 mM 농도의 인산염 또는 다른 적합한 완충액 (히스티딘, 구연산염, 아세테이트 또는 숙신산과 같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pH는 6.0 ±0.5이다. 폴리올(솔비톨 및 만니톨과 같은), 이당류(자당 또는 트레할로스와 같은) 및 아미노산(글라이신과 같은)의 첨가는 안정성을 유지하고 등장액을 제공하기 위해 염화나트륨과 함께 다양한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폴리소르베이트와 같은 계면활성제는 0.001-2 % 범위에서 사용되었을 때 안정성을 준다. 액체 제제를 제조를 위하여 나탈리주마브를 약 0.06 % 폴리소르베이트 80과 함께 10 mM 인산나트륨, 140 mM 염화나트륨, pH 6에 용해하여 65 mg/mL로 농축하였다. 상기 용액은 약간의 유백광을 내지만 불순물은 없었다. 시료는 SEC에 의해 고분자량 응집 또는 저분자량 종을 포함하지 않는 모노머를 99%이상 함유하고 있다.
안정하게 동결건조된 약제가 제공된다. 동결하는 동안 인산염 완충액이 pH 변화를 겪기 때문에 인산염을 다른 완충액으로 대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완충액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3.0 - 7.0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0.5 범위에서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히스티딘, 구연산염, 또는 숙신산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만니톨과 같은)과 당(자당과 같은)의 사용은 동결(cryo-)와 건조(lyo-) 보호에 필요하다. 상기 폴리올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삼투조절과 안정성을 위해 병용될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글라이신)은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10-1000 mM의 수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소르베이트나 폴록사머와 같은 계면활성제는 동결 건조 전과 재구성(reconstitutonn) 후 안정성을 제공하고 재구성 시간을 더 신속하게 위해 0.001%에서 2.0%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최종 정제 단계 후 단백질은 완충 교환을 위한 투석 및 농축을 위한 한외여과를 이용하여 제제화 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은 완충 교환을 위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제제화 될 수 있다. 또한 상기기술을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원하는 단백질 농도는 단백질의 충진과 원하는 것보다 낮은 부형제의 농도 및 작은 부피에서의 재구성에 의하여 수득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0 mg/mL의 용액을 2.5 mL의 충진 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고 1 mL로 재구성하여 100 mg/mL 용액을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 mg/mL 농도의 나탈리주마브는 5 mM 히스티딘, 20 mg/mL 자당 그리고 0.02% 폴리소르베이트80를 포함하는 pH 6의 용액에서 동결건조된다. 용액은 10 mL 보로실리케이트 글래스 바이알에 5 mL 채워졌고 회색 부틸 고무 동결 마개로 막아졌다. 동결건조는 비르티스 겐시스(Virtis Gensis) 모델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였다. 제품은 10시간 동안 -60℃의 선반온도에서 동결된 다음 선반온도를 -40℃로 상승시켰다. 첫 번째 건조는 20 시간 동안 10℃의 선반온도와 100 mTorr의 챔버 압력에서 수행되었다. 두 번째 건조는 10시간 동안 25℃의 선반온도와 100 mTorr의 챔버 압력에서 수행되었다. 바이알은 진공 하에서 마개로 막았다.
바이알은 100 mg/mL의 나탈리주마브를 포함하는 제제에 살균한 WFI 1 mL를 사용하여 재구성되었다. 시료는 동결 건조 후에 즉시 분석하였고 동결건조된 형태로 40도에서 2주간 저장된 후 분석하였다. 두 경우에서 재구성 시간은 즉시 해주었다. 재구성된 용액은 깨끗하고 무색이며 부유물이 없었다. SEC에 의해 99 % 이상의 단량체를 가지는 시료는 높은 분자량 응집을 가지지 않거나 낮은 분자량 종을 포함한다. 40도에서 2주간 저장한 후 시료는 참고문헌과 비교하여 94 % 효능을 보인다.
이 출원에서 언급된 모든 특허와 문헌들은 목적을 위해 그들 전체가 본 발명의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Claims (44)

  1. 면역글로불린, 인산염 완충제, 폴리소르베이트 및 염화나트륨을 포함한 안정성 수성 약제학적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가 폴리소르베이트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80이 약 0.001% 내지 약 2.0% (w/v)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80이 약 0.02% (w/v)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이 약 0.1 mg/mL 내지 약 200 mg/mL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이 약 1.7 mg/mL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이 약 5 mg/mL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이 약 20 mg/mL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가 약 pH 3.0 내지 약 pH 7.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pH가 약 5.5 내지 약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pH가 약 6.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의 용량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면역글로불린이 약 50 mg/mL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이 알파-4 인테그린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이 나탈리주마브(natalizuma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 완충제가 pH 6.0±0.5이고, 상기 폴리소르베이트가 폴리소르베이트 80이고 약 0.02% (w/v)로 존재하고, 상기 면역글로불린이 나탈리주마브이고, 상기 제제가 약 2℃ 내지 약 8℃에서 적어도 6개월 동안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나탈리주마브가 약 20 mg/mL 내지 약 150 mg/mL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가 등장성(isotoni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8. 제1항 내지 제14항 또는 제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이 단일클론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클론항체가 나탈리주마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20. 제18항 및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약 0.1 mg/mL 내지 약 200 mg/mL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약 1 mg/mL 내지 약 150 mg/mL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약 1.7 mg/mL 내지 약 50 mg/mL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약 15 mg/mL 내지 약 50 mg/mL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약 20 mg/mL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가 히스티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가 폴리소르베이트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27. 제1항의 제제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양의 면역글로불린을 사용하여 증상에 대한 변이 체중의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증상이 상기 제제를 투여함으로써 치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이 나탈리주마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방법.
  29. 인산나트륨, 폴리소르베이트, 단백질 및 NaCl을 포함하고, pH 6.0±0.5를 가지며, 5℃ 내지 8℃에서 6개월 이상 저장시 안정성을 유지하는 조성물.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가 폴리소르베이트 80이고, 약 0.001% 내지 약 2.0% (w/v)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이 약 0.01 mg/mL 내지 약 200 mg/mL로 존재하는 면역글로불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가 폴리소르베이트 80이며 약 0.02% (w/v)로 존재하고, 상기 NaCl이 150 mM로 존재하고, 인산염 완충제가 10 mM로 존재하고, 면역글로불린이 나탈리주마브이며 1.7 mg/mL, 5 mg/mL, 20 mg/mL 또는 50 mg/mL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3. 인산나트륨, 염화나트륨, 폴리소르베이트 및 단백질을 혼합하는 단계 및 인산으로 혼합물의 pH를 약 6.0±0.5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 제제를 함유하는 안정성 단백질의 제조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나트륨이 약 10 mM로 존재하고, 염화나트륨이 약 150 mM로 존재하고, 폴리소르베이트가 폴리소르베이트 80이며 약 0.02%(w/v)로 존재하고, 상기 단백질이 나탈리주마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를 포함한 안정성 단백질의 제조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나탈리주마브가 약 20 mg/mL 내지 200 mg/mL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를 포함한 안정성 단백질의 제조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나탈리주마브가 약 150 mg/mL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를 포함한 안정성 단백질의 제조 방법.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이 제1항의 제제중에서 동결건조(lyophiliz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를 함유하는 안정성 단백질의 제조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가 폴리소르베이트 80이며 약 0.02% (w/v)로 존재하고, 상기 단백질이 나탈리주마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를 포함한 안정성 단백질의 제조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가 히스티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를 포함한 안정성 단백질의 제조 방법.
  40.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이 5 mM 히스티딘, 20 mg/mL 수크로즈 및 0.02%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함유하고 pH 6인 용액중에서 동결건조되고, 상기 단백질이 20 mg/mL의 나탈리주마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를 포함한 안정성 단백질의 제조 방법.
  41.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의 안정성 제제를 수용하는 용기를 포함하는 제조 장치.
  42. 환자에게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제와 증상에 효과적인 화합물 또는 치료법을 치료학적으로 유효하게 병용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 증상에 대한 변이 체중을 갖는 환자의 치료 방법.
  43. 변이 체중 증상을 갖는 환자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 제조용의 제1항 내지 제24항중 어느 한 항의 안정성 제제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약제가 증상을 치료하기에 효과적인 용도.
  44. 변이 체중 증상을 갖는 환자의 증상을 치료하기 약제 제조용의 제1항 내지 제24항중 어느 한 항의 안정성 제제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약제가 제1항 내지 제24항중 어느 한 항의 제제와 화합물 또는 치료법의 병용이고, 상기 약제가 상기 증상을 치료하기에 효과적인 용도.
KR1020057014654A 2003-02-10 2004-02-09 면역글로불린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1106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4581803P 2003-02-10 2003-02-10
US60/445,818 2003-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628A true KR20050110628A (ko) 2005-11-23

Family

ID=3286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654A KR20050110628A (ko) 2003-02-10 2004-02-09 면역글로불린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9)

Country Link
US (7) US20050053598A1 (ko)
EP (4) EP1592440A4 (ko)
JP (3) JP4728948B2 (ko)
KR (1) KR20050110628A (ko)
CN (2) CN103040732B (ko)
AR (1) AR043144A1 (ko)
AU (2) AU2004210679A1 (ko)
CA (1) CA2515444C (ko)
CL (1) CL2004000224A1 (ko)
CY (2) CY1120574T1 (ko)
DK (2) DK2236154T3 (ko)
ES (1) ES2819011T3 (ko)
HK (1) HK1182021A1 (ko)
HU (1) HUE051878T2 (ko)
IL (1) IL170008A (ko)
MX (1) MXPA05008409A (ko)
MY (1) MY162623A (ko)
NO (1) NO346070B1 (ko)
PE (1) PE20050190A1 (ko)
PT (2) PT2236154T (ko)
RU (1) RU2358763C2 (ko)
SI (2) SI3417875T1 (ko)
SK (1) SK50672005A3 (ko)
TR (1) TR201808801T4 (ko)
TW (1) TWI367766B (ko)
UA (1) UA82685C2 (ko)
UY (1) UY28184A1 (ko)
WO (1) WO2004071439A2 (ko)
ZA (1) ZA2005061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89941A3 (en) * 2002-02-25 2012-01-18 Elan Pharmaceuticals Inc. Administration of agent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NZ538384A (en) * 2002-09-06 2009-04-30 Alexion Pharma Inc Treatment for asthma using a compound which binds to or otherwise blocks the generation and/or activity of one or more complement components reptors, such as, C5a receptors
US9415102B2 (en) 2002-09-06 2016-08-16 Alexion Pharmaceuticals, Inc. High concentration formulations of anti-C5 antibodies
US20050271660A1 (en) * 2002-09-06 2005-12-08 Alexion Pharmaceuticals, Inc. Nebuliz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for treating pulmonary diseases
KR20050110628A (ko) * 2003-02-10 2005-11-23 엘란 파마슈티칼스, 인크. 면역글로불린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60104968A1 (en) 2003-03-05 2006-05-18 Halozyme, Inc. Soluble glycosaminoglycanase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soluble glycosaminogly ycanases
US8277810B2 (en) 2003-11-04 2012-10-02 Novartis Vaccines & Diagnostics, Inc. Antagonist anti-CD40 antibodies
PT1729810T (pt) * 2004-04-02 2018-11-22 Swedish Orphan Biovitrum Ab Publ Métodos de redução da agregação de il-ira
CA2478458A1 (en) * 2004-08-20 2006-02-20 Michael Panzara Treatment of pediatric multiple sclerosis
JO3000B1 (ar) 2004-10-20 2016-09-05 Genentech Inc مركبات أجسام مضادة .
US20090202527A1 (en) * 2004-11-19 2009-08-13 Biogen Idec Ma Inc. Treatment for multiple sclerosis
CA2600608A1 (en) * 2005-03-08 2006-09-14 Pharmacia & Upjohn Company Llc Composition comprising human igg2 antibody and chelating agent
WO2006125207A2 (en) 2005-05-19 2006-11-23 Amge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the stability of antibodies
EP2354162A1 (en) * 2005-09-12 2011-08-10 Novimmune SA Anti-CD3 antibody formulations
US9309316B2 (en) 2005-12-20 2016-04-1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Stable subcutaneous protein formulations and uses thereof
KR101210395B1 (ko) 2005-12-29 2012-12-11 얀센 바이오테크 인코포레이티드 인간 항-il-23 항체, 조성물, 방법 및 용도
SI2359834T1 (sl) 2006-03-15 2017-02-28 Alexion Pharmaceuticals, Inc. Zdravljenje pacientov,ki imajo paroksizmalno nočno hemoglobinurijo, z zaviralcem komplementa
TW200806315A (en) * 2006-04-26 2008-02-01 Wyeth Corp Novel formulations which stabilize and inhibit precipitation of immunogenic compositions
US20100129379A1 (en) * 2006-09-25 2010-05-27 John Carpenter Stabilized antibody formulations and uses thereof
MX2009003635A (es) * 2006-10-06 2009-04-22 Amgen Inc Formulaciones de anticuerpos estables.
WO2008051363A2 (en) * 2006-10-20 2008-05-02 Amgen Inc. Stable polypeptide formulations
AU2008204901A1 (en) * 2007-01-09 2008-07-17 Wyeth Anti-IL-13 antibody formulations and uses thereof
ES2378094T3 (es) * 2007-02-12 2012-04-04 Lassaad Boujbel Disolución de sucralosa estéril sin conservantes y su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US20090208492A1 (en) * 2007-06-14 2009-08-20 Elan Pharmaceuticals, Inc. Lyophilized Immunoglobulin Formula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AU2008266051B2 (en) * 2007-06-14 2014-07-31 Biogen Ma Inc. Antibody formulations
WO2009003010A2 (en) * 2007-06-25 2008-12-3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s for evaluating the aggregation of a protein in a suspension including organopolysiloxane and medical articles coated with organopolysiloxane containing a protein solution
WO2009055427A2 (en) * 2007-10-22 2009-04-3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s for evaluating the aggregation of a protein in a suspension including organopolysiloxane and medical articles coated with organopolysiloxane containing a protein solution
US8883146B2 (en) 2007-11-30 2014-11-11 Abbvie Inc. Protein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TWI489994B (zh) 2008-03-17 2015-07-01 Baxter Healthcare Sa 供免疫球蛋白及玻尿酸酶之皮下投藥之用的組合及方法
WO2009124294A2 (en) * 2008-04-05 2009-10-08 Lpath,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binding sphingosine-1-phosphate
AU2009236305B2 (en) 2008-04-15 2014-04-10 Grifols Therapeutics Inc. Two-stage ultrafiltration/diafiltration
WO2010027766A1 (en) 2008-08-27 2010-03-11 Schering Corporation Lyophilized formulatons of engineered anti-il-23p19 antibodies
TWI516501B (zh) * 2008-09-12 2016-01-11 禮納特神經系統科學公司 Pcsk9拮抗劑類
JP2012510468A (ja) * 2008-11-28 2012-05-10 アボット・ラボラトリーズ 安定な抗体組成物およびこれを安定させるための方法
EP2381929B1 (en) * 2008-12-29 2015-07-08 Samyang Biopharmaceuticals Corpo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lyophilized formulation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FR2940617B1 (fr) * 2008-12-30 2012-04-20 Fractionnement Et Des Biotechonologies Lab Franc Composition d'immunoglobulines g
MX2011010971A (es) * 2009-04-17 2012-01-19 Biogen Idec Inc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tratar leucemia mielogena aguda.
KR20120038406A (ko) * 2009-05-04 2012-04-23 애보트 바이오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인간 항?TNF?α 항체의 안정한 고 단백질 농도 제형
PT2477603E (pt) * 2009-09-17 2016-06-16 Baxalta Inc Co-formulação estável de hialuronidase e imunoglobulina e métodos para a sua utilização
US8765432B2 (en) 2009-12-18 2014-07-01 Oligasis, Llc Targeted drug phosphorylcholine polymer conjugates
SI3409289T1 (sl) * 2010-02-26 2020-12-31 Novo Nordisk A/S Stabilni sestavki, ki vsebujejo protitelo
EP3466977B1 (en) 2010-04-16 2022-01-05 Biogen MA Inc. Anti-vla-4 antibodies
BR112012030139A2 (pt) 2010-05-28 2017-06-13 Novo Nordisk As composições estáveis de anticorpos de doses múltiplas compreendendo um anticorpo e um preservante
CN107080838A (zh) 2010-06-04 2017-08-22 惠氏有限责任公司 疫苗制剂
US8822663B2 (en) 2010-08-06 2014-09-02 Moderna Therapeutics, Inc. Engineered nucleic aci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8795658B2 (en) 2010-09-17 2014-08-05 Baxter International Inc. Stabilization of immunoglobulins through aqueous formulation with histidine at weak acidic to neutral pH
PL3590949T3 (pl) 2010-10-01 2022-08-29 Modernatx, Inc. Kwasy rybonukleinowe zawierające n1-metylo-pseudouracyle i ich zastosowania
EP2632492B1 (en) 2010-10-25 2017-10-04 Biogen MA Inc. METHODS FOR DETERMINING DIFFERENCES IN ALPHA-4 INTEGRIN ACTIVITY BY CORRELATING DIFFERENCES IN sVCAM AND/OR sMAdCAM LEVELS
KR101841527B1 (ko) 2010-11-11 2018-03-23 애브비 바이오테크놀로지 리미티드 개선된 고농도 항-TNFα 항체 액체 제형
AR083847A1 (es) 2010-11-15 2013-03-27 Novartis Ag Variantes de fc (fragmento constante) silenciosas de los anticuerpos anti-cd40
AU2012236099A1 (en) 2011-03-31 2013-10-03 Moderna Therapeutics, Inc. Delivery and formulation of engineered nucleic acids
SI2691112T1 (en) 2011-03-31 2018-07-31 Merck Sharp & Dohme Corp. STABILITY FORMULATION PROTITELES FOR HUMAN PROGRAMMED DEPRESSOR RECEPTOR PD-1 AND RELATED HEALTH
PE20140646A1 (es) * 2011-05-26 2014-05-29 Glaxosmithkline Biolog Sa Vacuna de virus de dengue inactivado
MX358137B (es) * 2011-07-01 2018-08-06 Biogen Idec Inc Composiciones del polipéptido de fusión tnfr: fc exentas de arginina y métodos de uso.
US9464124B2 (en) 2011-09-12 2016-10-11 Moderna Therapeutics, Inc. Engineered nucleic aci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12318752B2 (en) 2011-10-03 2017-08-31 Modernatx, Inc. Modified nucleosides, nucleotides, and nucleic acids, and uses thereof
LT2791160T (lt) 2011-12-16 2022-06-10 Modernatx, Inc. Modifikuotos mrnr sudėtys
KR102063028B1 (ko) * 2012-01-23 2020-01-07 리제너론 파아마슈티컬스, 인크. 항-ang2 항체를 함유하는 안정화된 제형
CA3123252C (en) * 2012-03-26 2023-08-22 Sanofi Stable anti-cxcr5 igg4 antibody formulations
US9592289B2 (en) 2012-03-26 2017-03-14 Sanofi Stable IgG4 based binding agent formulations
AU2013243951A1 (en) 2012-04-02 2014-10-30 Moderna Therapeutics, Inc. Modified polynucleotides for the production of secreted proteins
US10501512B2 (en) 2012-04-02 2019-12-10 Modernatx, Inc. Modified polynucleotides
US9283287B2 (en) 2012-04-02 2016-03-15 Moderna Therapeutics, Inc. Modified polynucleotides for the production of nuclear proteins
US9572897B2 (en) 2012-04-02 2017-02-21 Modernatx, Inc. Modified polynucleotides for the production of cytoplasmic and cytoskeletal proteins
US20140004131A1 (en) 2012-05-04 2014-01-02 Novartis Ag Antibody formulation
AR091902A1 (es) 2012-07-25 2015-03-11 Hanmi Pharm Ind Co Ltd Formulacion liquida de un conjugado de insulina de accion prolongada
US8883979B2 (en) 2012-08-31 2014-11-11 Bayer Healthcare Llc Anti-prolactin receptor antibody formulations
EP2727602A1 (en) * 2012-10-31 2014-05-07 Takeda GmbH Method for preparation of a high concentration liquid formulation of an antibody
JP6144355B2 (ja) 2012-11-26 2017-06-07 モデルナティエ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ModernaTX,Inc. 化学修飾mRNA
UA117466C2 (uk) 2012-12-13 2018-08-10 Мерк Шарп Енд Доме Корп. СТАБІЛЬНИЙ СКЛАД У ВИГЛЯДІ РОЗЧИНУ АНТИТІЛА ДО IL-23p19
US8980864B2 (en) 2013-03-15 2015-03-17 Moderna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altering cholesterol levels
ES2819217T3 (es) 2013-09-08 2021-04-15 Kodiak Sciences Inc Conjugados de polímeros iónicos dipolares y factor VIII
US10023626B2 (en) 2013-09-30 2018-07-17 Modernatx, Inc. Polynucleotides encoding immune modulating polypeptides
EA201690675A1 (ru) 2013-10-03 2016-08-31 Модерна Терапьютикс, Инк. Полинуклеотиды, кодирующие рецептор липопротеинов низкой плотности
US10617764B2 (en) 2013-11-21 2020-04-14 Genmab A/S Lyophilized anti-tissue factor antibody-drug conjugates
US9932591B2 (en) 2013-12-18 2018-04-03 University Of Delaware Reduction of lipase activity in product formulations
US9840553B2 (en) 2014-06-28 2017-12-12 Kodiak Sciences Inc. Dual PDGF/VEGF antagonists
WO2016061562A2 (en) 2014-10-17 2016-04-21 Kodiak Sciences Inc. Butyrylcholinesterase zwitterionic polymer conjugates
AR104847A1 (es) 2015-06-17 2017-08-16 Lilly Co Eli Formulación de anticuerpo anti-cgrp
US20210322549A1 (en) * 2015-07-17 2021-10-21 Coherus Biosciences, Inc. Stable Aqueous Formulations of Natalizumab
US10484453B2 (en) * 2015-07-29 2019-11-19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documents using print hardware and automatic context inference
JP7088454B2 (ja) 2015-12-30 2022-06-21 コディアック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抗体および抗体複合体
US20190030180A1 (en) 2016-01-13 2019-01-31 Genmab A/S Formulation for antibody and drug conjugate thereof
WO2017137570A1 (en) 2016-02-10 2017-08-17 Becton Dickinson France Metho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a protein-based formulation
WO2018091729A2 (en) 2016-11-21 2018-05-24 Zaklady Farmaceutyczne Polpharma Sa Aqueous pharmaceutical formulations
EP3618871A4 (en) 2017-05-02 2021-01-06 Merck Sharp & Dohme Corp. ANTI-LAG3 ANTIBODIES ETCO-FORMULATIONS ANTI-LAG3 ANTIBODIES AND ANTI-PD-1 ANTIBODIES
JOP20190260A1 (ar) 2017-05-02 2019-10-31 Merck Sharp & Dohme صيغ ثابتة لأجسام مضادة لمستقبل الموت المبرمج 1 (pd-1) وطرق استخدامها
EP3459527B1 (en) * 2017-09-20 2022-11-23 Tillotts Pharma Ag Method for preparing a solid dosage form comprising antibodies by wet granulation, extrusion and spheronization
KR102573200B1 (ko) 2017-12-06 2023-08-31 머크 샤프 앤드 돔 엘엘씨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EP3720877A1 (en) * 2017-12-08 2020-10-14 Argenx BVBA Use of fcrn antagonists for treatment of generalized myasthenia gravis
WO2019147824A1 (en) 2018-01-26 2019-08-01 Progenity,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 pde4 inhibitor
EP3761953A1 (en) 2018-03-08 2021-01-13 Coherus Biosciences, Inc. Stable aqueous formulations of aflibercept
US11426446B2 (en) 2018-03-08 2022-08-30 Coherus Biosciences, Inc. Stable aqueous formulations of aflibercept
US20210253714A1 (en) * 2018-04-10 2021-08-19 Dr. Reddy's Laboratories Limited Stable antibody formulation
BR112020020707A2 (pt) * 2018-04-10 2021-01-12 Dr. Reddy's Laboratories Limited Formulação farmacêutica estável de um anticorpo alfa4beta7
US20230041197A1 (en) 2018-06-20 2023-02-09 Progenity,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n immunomodulator
US20230033021A1 (en) 2018-06-20 2023-02-02 Progenity,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n integrin inhibitor
WO2019246313A1 (en) 2018-06-20 2019-12-26 Progenity,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 tnf inhibitor
US20230009902A1 (en) 2018-06-20 2023-01-12 Progenity, Inc. Treatment of a disease or condition in a tissue orginating from the endoderm
US20220257600A1 (en) 2018-06-20 2022-08-18 Progenity,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 jak or other kinase inhibitor
WO2019246271A1 (en) 2018-06-20 2019-12-26 Progenity,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n il-12/il-23 inhibitor
CN112566652A (zh) 2018-06-25 2021-03-26 Jcr制药股份有限公司 含有蛋白的水性液体制剂
MA55149A (fr) 2018-11-20 2021-09-29 Janssen Biotech Inc Procédé sûr et efficace de traitement du psoriasis avec un anticorps spécifique anti-il-23
PE20211888A1 (es) 2018-12-19 2021-09-22 Merck Sharp & Dohme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conjugados de polisacarido de streptococcus pneumoniae con proteina y sus metodos de uso
CA3138241A1 (en) 2019-05-23 2020-11-26 Janssen Biotech, Inc. Method of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with a combination therapy of antibodies to il-23 and tnf alpha
JP2022535908A (ja) * 2019-06-07 2022-08-10 アルジェニクス ビーブイ 皮下投与に好適なFcRnインヒビターの医薬製剤
AU2020291508A1 (en) * 2019-06-11 2022-01-06 Macrogenics, Inc.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bi-specific diabodies and use of the same
WO2021050687A1 (en) 2019-09-10 2021-03-18 Coherus Biosciences, Inc. Stable aqueous formulations of aflibercept
CA3157509A1 (en) 2019-10-10 2021-04-15 Kodiak Sciences Inc. Methods of treating an eye disorder
JPWO2021124793A1 (ko) * 2019-12-16 2021-06-24
CA3164420A1 (en) * 2020-01-13 2021-07-22 Jonathan Clapper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dsorption of therapeutic proteins to drug delivery system components
EP4096802A1 (en) * 2020-01-29 2022-12-07 Merck Sharp & Dohme LLC Methods of separating host cell lipases from an anti-lag3 antibody pro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08132C3 (de) * 1974-03-08 1980-10-16 Teijin Ltd., Osaka (Japa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umanimmunglobulin-Derivaten und parenteral applizierbare Lösung hiervon
US4362661A (en) * 1979-08-09 1982-12-07 Teijin Limited Immunoglobulin composition having a high monomer conten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4597966A (en) 1985-01-09 1986-07-01 Ortho Diagnostic Systems, Inc. Histidine stabilized immunoglobulin and method of preparation
US5981485A (en) 1997-07-14 1999-11-09 Genentech, Inc. Human growth hormone aqueous formulation
EP0417191B1 (en) * 1988-05-27 1993-03-10 Centocor, Inc. Formulation for antibody reagents
US5945098A (en) * 1990-02-01 1999-08-31 Baxter International Inc. Stable intravenously-administrable immune globulin preparation
US5840299A (en) 1994-01-25 1998-11-24 Athena Neurosciences, Inc. Humanized antibodies against leukocyte adhesion molecule VLA-4
US7435802B2 (en) 1994-01-25 2008-10-14 Elan Pharaceuticals, Inc. Humanized anti-VLA4 immunoglobulins
ES2435462T3 (es) * 1995-07-27 2013-12-19 Genentech, Inc. Formulación de proteína liofilizada isotónica estable
GB9610992D0 (en) 1996-05-24 1996-07-31 Glaxo Group Ltd Concentrated antibody preparation
EP0852951A1 (de) * 1996-11-19 1998-07-15 Roche Diagnostics GmbH Stabile lyophilisierte pharmazeutische Zubereitungen von mono- oder polyklonalen Antikörpern
AU740284B2 (en) 1997-06-13 2001-11-01 Genentech Inc. Stabilized antibody formulation
DE19912637A1 (de) 1999-03-20 2000-09-21 Aventis Cropscience Gmbh 2,4-Diamino-1,3,5-triazine,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Herbizide und Pflanzenwachstumsregulatoren
US6914128B1 (en) * 1999-03-25 2005-07-05 Abbott Gmbh & Co. Kg Human antibodies that bind human IL-12 and methods for producing
SI2168984T1 (sl) 1999-03-25 2012-12-31 Abbott Gmbh & Co. Kg Človeška protitelesa za vezavo IL-12 in postopki izdelave
DE10013029A1 (de) 2000-03-17 2001-09-20 Roehm Gmbh Mehrschichtige Arzneiform für die Colonfreigabe
US7288390B2 (en) * 2000-08-07 2007-10-30 Centocor, Inc. Anti-dual integrin antibodies, compositions, methods and uses
JP5502254B2 (ja) * 2001-01-31 2014-05-28 エボニック レーム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少なくとも2種類の異なる被覆ペレット形から成る多粒子剤形
DE10133394A1 (de) 2001-07-13 2003-01-30 Merck Patent Gmbh Flüssige Formulierung enthaltend Cetuximab
JP4317010B2 (ja) 2001-07-25 2009-08-19 ピーディーエル バイオファーマ,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IgG抗体の安定な凍結乾燥医薬製剤
DK1475101T3 (da) * 2002-02-14 2011-01-10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Antistof-holdige farmaceutiske opløsninger
EP2289941A3 (en) * 2002-02-25 2012-01-18 Elan Pharmaceuticals Inc. Administration of agent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US20040033228A1 (en) * 2002-08-16 2004-02-19 Hans-Juergen Krause Formulation of human antibodies for treating TNF-alpha associated disorders
KR20050110628A (ko) * 2003-02-10 2005-11-23 엘란 파마슈티칼스, 인크. 면역글로불린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US7807187B2 (en) 2003-05-13 2010-10-05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Endogenous adjuvant molecules and uses thereof
US20050255118A1 (en) 2004-02-06 2005-11-17 Nancy Wehner Methods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tumors and metastatic disease
MY162179A (en) 2004-04-01 2017-05-31 Elan Pharm Inc Steroid sparing agents and methods of using same
AU2008266051B2 (en) 2007-06-14 2014-07-31 Biogen Ma Inc. Antibody formul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51878T2 (hu) 2021-03-29
SI3417875T1 (sl) 2021-01-29
SK50672005A3 (sk) 2006-03-02
NO346070B1 (no) 2022-01-31
US20180194843A1 (en) 2018-07-12
CL2004000224A1 (es) 2005-01-21
JP2014028831A (ja) 2014-02-13
JP2011088913A (ja) 2011-05-06
ES2819011T3 (es) 2021-04-14
AU2010202254A1 (en) 2010-06-24
MY162623A (en) 2017-06-30
IL170008A (en) 2015-05-31
HK1182021A1 (en) 2013-11-22
NO20054164L (no) 2005-09-07
RU2005128280A (ru) 2006-06-10
WO2004071439A2 (en) 2004-08-26
PE20050190A1 (es) 2005-03-21
CY1123667T1 (el) 2022-03-24
RU2358763C2 (ru) 2009-06-20
SI2236154T1 (en) 2018-08-31
PT2236154T (pt) 2018-06-26
EP2236154A1 (en) 2010-10-06
US20050053598A1 (en) 2005-03-10
US20100021461A1 (en) 2010-01-28
US8349321B2 (en) 2013-01-08
CN103040732B (zh) 2015-04-01
CA2515444A1 (en) 2004-08-26
JP4728948B2 (ja) 2011-07-20
US10954303B2 (en) 2021-03-23
US20210292419A1 (en) 2021-09-23
ZA200506159B (en) 2006-10-25
EP1592440A2 (en) 2005-11-09
AU2004210679A1 (en) 2004-08-26
US8900577B2 (en) 2014-12-02
EP3777880A1 (en) 2021-02-17
CN1771053B (zh) 2012-10-03
CN1771053A (zh) 2006-05-10
EP1592440A4 (en) 2007-07-11
AR043144A1 (es) 2005-07-20
CA2515444C (en) 2014-04-01
DK2236154T3 (en) 2018-06-25
EP3417875A1 (en) 2018-12-26
US20120328614A1 (en) 2012-12-27
WO2004071439A3 (en) 2005-07-07
DK3417875T3 (da) 2020-08-31
US8815236B2 (en) 2014-08-26
TWI367766B (en) 2012-07-11
US20130071386A1 (en) 2013-03-21
US20150044206A1 (en) 2015-02-12
PT3417875T (pt) 2020-08-24
EP3417875B1 (en) 2020-06-17
UA82685C2 (uk) 2008-05-12
TR201808801T4 (tr) 2018-07-23
EP2236154B1 (en) 2018-05-30
CY1120574T1 (el) 2019-07-10
UY28184A1 (es) 2004-09-30
AU2010202254B2 (en) 2012-02-23
TW200505478A (en) 2005-02-16
JP2006517233A (ja) 2006-07-20
CN103040732A (zh) 2013-04-17
MXPA05008409A (es)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92419A1 (en) Immunoglobulin formula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ES2676544T3 (es) Formulación de inmunoglobulina y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de la misma
US20090208492A1 (en) Lyophilized Immunoglobulin Formula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KR102594028B1 (ko) 항-pd-1 항체 조성물
TW201513882A (zh) 抗-催乳激素受體抗體調配物
AU2012202845B2 (en) Immunoglobulin formula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100078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26

Effective date: 2013022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26

Effective date: 2013022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201002422;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201002422;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325

Effective date: 20130926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325

Effective date: 20130926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301002651;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