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2744A - 모발 삽입구 - Google Patents

모발 삽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2744A
KR20050092744A KR1020057012907A KR20057012907A KR20050092744A KR 20050092744 A KR20050092744 A KR 20050092744A KR 1020057012907 A KR1020057012907 A KR 1020057012907A KR 20057012907 A KR20057012907 A KR 20057012907A KR 20050092744 A KR20050092744 A KR 20050092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insertion port
opening
bund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히코 도조
히데오 고바야시
히사시 미스미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6511A external-priority patent/JP40466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6512A external-priority patent/JP40466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6510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62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3095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8553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06627A external-priority patent/JP4342323B2/ja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2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7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1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single-piece type, e.g. stiff rods or tubes with or without cord, band, or the like as hair-fastening means
    • A45D2/20Elastic curl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 A45D2002/025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lengthwise expandable, collapsible or adjustable, e.g. telescopic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는, 일단의 개구부 (T1) 에서부터 타단의 개구부 (T2) 를 향하여 모발 다발 (H) 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게 시트에 의해 구성된 편평형상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 (T) 의 내부에, 모발 다발 (H) 을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키는 모발 삽입구 (1) 로서, 모발 다발이 걸음부에 걸린 상태로, 상기 일단의 개구부 (TA) 에서부터 상기 타단의 개구부 (T2) 를 향하여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에 원활하게 삽입 통과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모발 삽입구 {HAIR INSERTING TOOL}
본 발명은, 일단의 개구부에서부터 타단의 개구부를 향하여 모발 다발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게 시트에 의해 구성된 편평형상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의 내부에, 모발 다발을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키는 모발 삽입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의 개구부에서부터 타단의 개구부를 향하여 모발 다발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게 시트에 의해 구성된 편평형상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와, 그 모발 유지구의 내부에 모발 다발을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키는 모발 삽입구로 이루어지는 모발 처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모발 삽입구를 사용한 퍼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92036호에는,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권취구 (hair rolling tube) (모발 유지구) 내부에 모발을 삽입하는 모발 취입구 (hair drawer) (모발 삽입구) 가 기재되어 있다. 이 모발 취입구는, 막대형상체의 단부에 모발을 포위 가능한 고리부 또는 갈고리형상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고리부 또는 갈고리형상부의 내측 전체면 또는 일부가 모발을 빗을 수 있는 빗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공보에는, 상기 갈고리형상부의 형태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93133호에는,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의 내부에 모발을 삽입하는 모발 삽입구가 기재되어 있다. 이 모발 삽입구는, 가늘고 긴 형상의 파지부와 그 파지부의 선단에 부착된 루프형상의 훅부가 하나의 선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모발 삽입구에 의하면, 그 고리부 또는 훅부에 모발을 삽입 통과시켜서 건 다음, 그 상태로 그 모발 삽입구를 모발 유지구 내에 삽입함으로써, 모발을 모발 유지구 내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92036호에 기재된 모발 취입구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93133호에 기재된 모발 삽입구에 있어서는, 모발을 고리부 또는 훅부에 걸어 그 모발 삽입구를 모발 유지구에 삽입할 때의 삽입성에 관해 특단의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모발 삽입구를 모발 유지구에 원활하게 삽입하기가 어렵고, 특히 모발의 굴곡부가 모발 유지구의 개구부에 삽입될 때에 있어서 모발 삽입구의 삽입성이 떨어졌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92036호에 기재된 모발 취입구에서는, 모발이 모발 권취구 내에 삽입 통과되고 있는 도중에 모발이 고리부의 걸림 위치로부터 탈락되기 쉬워, 모발의 모발 권취구 내로의 삽입ㆍ삽입 통과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모발 다발을 다른 손으로 옮겨 쥐기 때문에 모발 다발이 흐트러져, 모발 권취구의 조작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없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92036호에 기재된 모발 취입구에서는, 모발이 모발 권취구 내에 삽입 통과되고 있는 도중에, 모발을 모발 권취구 내에 집어 넣을 때에 생기는 반력에 의해 그 모발 취입구에 모발 권취구로의 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의 힘이 가해져, 모발 취입구를 모발 권취구에 원활하게 삽입 통과 또는 삽입하기 어렵다. 또한, 모발 다발을 모발 권취구 내에 집어 넣는 경우, 모발 다발과 모발 취입구의 걸음부 (고리부 또는 갈고리형상부) 를 각각의 손으로 누르기 때문에 모발 권취구가 모발 취입구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져, 모발 권취구의 조작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없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92036호 기재의 모발 취입구에 의하면, 모발 다발을 굴곡시킬 수 없기 때문에 모발 다발을 모발 권취구의 내부에 원활하게 삽입시킬 수 없고, 모발 권취구의 입구부가 어지럽게 흐트러진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93133호에는, 일단의 개구부에서부터 타단의 개구부를 향하여 모발 다발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게 시트에 의해 구성된 편평형상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와, 그 모발 유지구의 내부에 모발 다발을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키는 모발 삽입구로 이루어지는 모발 처리 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93133호에는, 모발 유지구의 일 형태로서, 소정 형상으로 감아 올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미리 세팅되어 있는 모발 유지구가 기재되고, 모발 삽입구의 일 형태로서 가늘고 긴 형상의 파지부와 그 파지부의 선단에 부착된 루프형상의 훅부가 철사로 형성된 모발 삽입구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모발 처리 기구에 의하면, 모발 삽입구의 훅부에 모발 다발을 걸어서 그 상태의 모발 삽입구를 모발 유지구에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키고, 그 후 모발 삽입구로부터 모발 다발을 떼어냄으로써, 모발 유지구에 모발 다발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모발 처리 기구에 있어서는, 모발 삽입구가 철사로 형성되고 강성이 낮기 때문에, 모발 다발을 걸어 모발 삽입구를 모발 유지구에 삽입하기 전에 모발 유지구를 감아 올린 상태로부터 잡아 펴고, 이 편 상태를 유지하면서 모발 유지구에 모발 삽입구를 삽입할 필요가 있고, 또한 모발 삽입구의 강성이 낮고 모발 삽입구의 모발 유지구에 대한 삽입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모발 삽입구의 모발 유지구로의 삽입 조작이 번잡하여, 모발 삽입구를 모발 유지구에 원활하게 삽입하기 어렵다. 또 모발 삽입구의 강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모발 유지구의 교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유지구 내부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모발의 삽입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평형상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의 내부에 모발 다발을 원활하게 또는 용이하게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킬 수 있는 모발 삽입구 및 그것을 사용한 퍼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 삽입구의 모발 유지구에 대한 삽입 조작이 간편하여, 모발 삽입구를 모발 유지구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는 모발 처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의 (a)∼(c) 는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정면도, (b) 는 좌측면도, (c) 는 (b) 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에 관하여, 슬라이딩 부재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 의 (a) 대응도]이다.
도 3 의 (a)∼(c) 는 제 1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각각 모발 삽입구에 대하여 모발 다발을 거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 의 (a)∼(c) 는 제 1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각각 모발 삽입구를 모발 유지구에 삽입 통과시키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정면도, (b) 는 배면도이다.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상반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7 의 (a) 및 (b) 는 제 2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상반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 의 (a) 상반부 대응도] 로, (a) 는 슬라이딩 부재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 는 훅부에 모발 다발을 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정면도, (b) 는 좌측면도이다.
도 9 의 (a) 및 (b) 는 제 3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각각 모발 삽입구에 대하여 모발 다발을 거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를 모발 유지구에 삽입함으로써 공간 형성 부재에 의해 모발 유지구에 통형상 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모발 유지구 및 공간 형성 부재를 단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 (a) 는 빗살 부재가 훅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 는 빗살 부재가 본체의 타단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의 (a)∼(d) 는 제 4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 사용양태의 전반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각각 모발 다발을 훅부에 대해 고정시키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 의 (a)∼(c) 는 제 4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 사용양태의 후반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각각 모발 삽입구를 모발 유지구에 대해 삽입 통과시키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 의 (a)∼(c) 는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의 제 5 실시형태에서의 일단부 근방을 나타내는 정면도로, (a) 는 모발 다발을 훅부에 걸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 및 (c) 는 각각 모발 다발이 훅부에 대해 삽입되고 걸리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의 (a)∼(c) 는 제 5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부를 변경한 실시형태에서의 일단부 근방을 나타내는 정면도로, (a) 는 모발 다발을 훅부에 걸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 및 (c) 는 각각 모발 다발이 훅부에 대해 삽입되고 걸리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의 (a)∼(d) 는 제 5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부를 변경한 실시형태에서의 일단부 근방을 나타내는 정면도로, (a) 및 (c) 는 모발 다발을 훅부에 걸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 및 (d) 는 모발 다발이 훅부에 대해 삽입되고 걸리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의 (a) 및 (b) 는 제 4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일부를 변경한 실시형태에서의 일단부 근방을 나타내는 정면도로, (a) 는 훅부의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 는 훅부의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의 (a) 및 (b) 는 제 4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부를 변경한 실시형태에서의 일단부 근방을 나타내는 정면도로, (a) 는 훅부의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 는 훅부의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의 (a) 및 (b) 는 제 4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부를 변경한 실시형태에서의 일단부 근방을 나타내는 정면도로, (a) 는 훅부의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 는 훅부의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 (a) 는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 는 걸음부에 모발 다발을 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의 (a)∼(c) 는 제 6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각각 모발 삽입구가 모발 유지구에 대해 삽입 통과되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2 는 제 6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판형상 부재의 복귀 저지부가 모발 유지구의 타단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에 걸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3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의 제 7 실시형태의 걸음부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 는 걸음부에 모발 다발을 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의 제 8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 (a) 는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 는 걸음부에 모발 다발을 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의 (a) 및 (b) 는 제 7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부를 변경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 (a) 는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 는 걸음부에 모발 다발을 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은 제 7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실시형태의 일부를 변경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7 은 제 7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실시형태의 일부를 변경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8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의 제 9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 (a) 는 훅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 는 훅부가 슬라이딩 부재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의 (a) 및 (b) 는 제 9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 사용양태의 전반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각각 모발 다발이 훅부에 고정되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0 의 (a)∼(c) 는 제 9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 사용양태의 후반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각각 모발 삽입구가 모발 유지구에 대해 삽입 통과되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1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의 제 10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 (a) 는 훅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 는 훅부가 슬라이딩 부재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 의 (a) 및 (b) 는 제 10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각각 모발 다발이 훅부에 고정되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3 의 (a)∼(c) 는 제 10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실시형태의 일부를 변경한 실시형태의 훅부 근방을 나타내는 정면도로, 각각 모발 다발이 훅부에 고정되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4 의 (a)∼(c) 는 본 발명의 모발 처리 기구에 있어서의 모발 유지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a) 는 신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 및 (c) 는 감아 올린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 는 본 발명의 모발 처리 기구에 있어서의 「대략 직선형상」의 규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 의 (a) 및 (b) 는 도 34 에 나타내는 모발 유지구 및 도 1 에 나타내는 모발 삽입구로 이루어지는 모발 처리 기구의 일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각각 모발 삽입구가 모발 유지구에 대해 삽입 통과되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 의 (a), (b) 및 (c) 는 각각 도 36 의 (b) 에 나타내는 삽입 통과 순서의 계속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형태에서의 「훅부」는 「걸음부」의 일 형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를, 그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 는,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의 개구부 (T1) 에서부터 타단의 개구부 (T2) 를 향하여 모발 다발 (H) 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도록 시트에 의해 구성된 편평형상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 (T) 내부에, 모발 다발 (H) 을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키는 모발 삽입구 (1) 이다. 그리고, 모발 다발 (H) 을 걸 수 있는 걸음부 (6) 를 일단부에 갖는 길이가 긴 형상의 본체 (판형상 부재 (2)) 와,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에 통형상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걸음부 (6) 에 모발 다발 (H) 을 건 상태의 상기 모발 삽입구 (1) 를 상기 통형상 공간에 상기 일단의 개구부 (T1) 에서부터 상기 타단의 개구부 (T2) 를 향하여 원활하게 삽입 통과시키는 공간 형성 부재 (슬라이딩 부재 (3)) 로 이루어지고, 강성이 상기 모발 유지구 (T) 의 강성보다도 크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 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서술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 는, 도 1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다발 (H) 을 걸 수 있는 걸음부 (6) 를 일단부에 갖는 길이가 긴 형상의 본체로서 판형상 부재 (2) 를 구비한다. 그 판형상 부재 (2) 는, 모발 삽입구 (1) 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부터 타단부 (도면 하방) 에 걸쳐 있다. 판형상 부재 (2) 에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홀 (28) 이 복수개 길이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홀 (28) 은, 모발 삽입구의 경량화, 강성의 적정화 (저감), 재료비의 저감, 외관 향상 등을 위해 형성되어 있다.
판형상 부재 (2) 의 일단부에는 프레임형상의 걸음부 (6) 가 형성되어 있다. 걸음부 (6) 의 내주면 중 판형상 부재 (2) 의 폭방향의 한 변에, 복수개의 빗살 (61) 이 판형상 부재 (2) 의 타단부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걸음부 (6) 에 건 모발 다발 (H) 을 폭방향으로 펼치는 구조를 구성하고 있어, 특히 강성이 작은 (부드러운) 모발 유지구에 대한 삽입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효하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 에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간 형성 부재로서 슬라이딩 부재 (3)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슬라이딩 부재 (3) 는, 걸음부 (6) 보다도 두께 및 폭이 크게 되어 있고, 걸음부 (6) 근방에, 모발 삽입구 (1) 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 (3) 의 하부에는, 도 1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통과 구멍부 (35) 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부 (6) 가 삽입 통과 구멍부 (35) 를 삽입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부재 (3)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그 내부에 걸음부 (6) 의 빗살 (61) 근방을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 (3) 에 있어서의 판형상 부재 (본체: 2) 의 타단부 (삽입측) 측 단부 근방은, 도 1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모서리부가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때문에, 그 두께가 그 타단부에서부터 판형상 부재 (2) 의 일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판형상 부재 (2) 와 걸음부 (6) 의 경계 근방에 있어서의 일방의 측가장자리부에는, 모발 삽입구 (1) 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하부 스토퍼부 (27A) 가 형성되어 있다. 걸음부 (6) 의 상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모발 삽입구 (1) 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상부 스토퍼부 (27B)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부재 (3) 는, 도 1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 스토퍼 (27A) 에 부딪칠 때까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스토퍼 (27B) 에 부딪칠 때까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 에 있어서는,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 (3) 가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도 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다발 (H) 을 걸음부 (6) 의 빗살 (61) 에 걸고, 도 3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 (3) 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모발 다발 (H) 을 걸음부 (6) 에 건 상태로, 그 걸음부 (6) 와 슬라이딩 부재 (3) 에 의해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에 있어서의 본체 및 공간 형성 부재는, 합성 수지 재료의 절삭 또는 성형 가공, 금속 재료의 절삭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합성 수지 재료의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모발 삽입구 (1) 의 선단부는 도 1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둥글게 하고 둥그스름하게 하는 것이, 모발 유지구에 대한 삽입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에 있어서는 그 강성이 모발 유지구의 강성보다 크게 되어 있고, 모발 삽입구의 강성은, 바람직하게는 모발 유지구의 강성의 20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발 유지구의 강성의 100배 이상이다. 모발 삽입구의 강성은, 적어도 모발 유지구에 삽입하는 모발 삽입구의 선단부에서 상기한 강성을 가지고 있으면 되고, 삽입구 전체가 반드시 상기한 강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모발 삽입구의 강성」 및 「모발 삽입구의 테이버 강성 (Taber stiffness)」(후술) 및 「모발 유지구의 강성」은, JIS P8125 에 규정되는 「강성 시험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테이버 강성에 의해 평가된다.
모발 삽입구의 강성 또는 모발 삽입구의 테이버 강성은, 모발 삽입구의 강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부재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의 슬라이딩 부재 (3), 후술하는 도 8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의 슬라이딩 부재) 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것을 제거한 상태의 모발 삽입구에 대해, 그와 같은 부재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는 모발 삽입구 전체에 대해서 상기 강성 시험 방법에 의해 테이버 강성을 측정하고, 평가된다. 또한, 모발 유지구의 강성은, 통형상체를 편평형상으로 한 상태로 모발 유지구 전체에 대해서 상기 강성 시험 방법에 의해 테이버 강성을 측정하고, 평가된다.
다음으로, 도 1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 사용양태에 관해서,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 (3) 를 하방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도 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다발 (H) 을 걸음부 (6) 의 빗살 (61) 에 건다. 이어서, 도 3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 (3) 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해서, 모발 다발 (H) 을 걸음부 (6) 에 건 상태로, 그 걸음부 (6) 와 슬라이딩 부재 (3) 에 의해 고정한다. 그리고, 모발 다발 (H) 이 고정된 상태의 모발 삽입구 (1) 를, 도 4 의 (a)∼(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부재 (2) 의 타단부에서부터 모발 유지구 (T) 의 일단의 개구부 (T1) 로 삽입하고, 타단의 개구부 (T2) 로부터 빼낸다. 한편, 미리 모발 유지구 속에 모발 삽입구를 삽입해 두고, 그 후 모발을 모발 삽입구에 세팅하고 모발 삽입구를 모발 유지구로부터 빼냄으로써 모발을 모발 유지구로 인도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모발 삽입구 (1) 를 모발 유지구 (T) 의 일단의 개구부 (T1) 로부터 타단의 개구부 (T2) 로 삽입 통과시키면, 도 4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다발 (H) 의 선단이 모발 유지구 (T) 의 타단의 개구부 (T2) 로부터 조금 밀려 나온 상태가 된다. 이런 다음, 모발 유지구 (T) 를 감거나 하여, 모발 다발에 원하는 모양으로 컬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반드시 모발 다발 (H) 의 선단을 모발 유지구 (T) 의 타단의 개구부 (T2) 로부터 밀려 나오게 할 필요는 없다. 또, 모발 다발에는, 명확하게 다발로 되어 있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개수의 모발이 모아져 있는 것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 에 의하면, 통형상체 (T) 의 내부에 통형상 공간을 형성하고, 걸음부 (6) 에 모발 다발 (H) 을 건 상태의 모발 삽입구 (1) 를 상기 통형상 공간에 일단의 개구부 (T1) 로부터 타단의 개구부 (T2) 를 향하여 원활하게 삽입 통과시키는 공간 형성 부재로서, 걸음부 (6) 보다도 두께 및 폭이 큰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고, 강성을 모발 유지구 (T) 의 강성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모발 다발 (H) 이 모발 유지구 (T) 의 내부에 삽입, 통과되기 전에, 걸음부 (6) 및 여기에 걸린 모발 다발 (H) 을 포위할 수 있는 슬라이딩 부재 (3) 가 모발 유지구 (T) 내부에 통형상 공간을 형성하면서 모발 유지구 (T) 내부에 삽입, 통과되기 때문에, 모발 다발 (H) 과 모발 유지구 (T) 사이에 삽입 통과 저항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모발 다발 (H) 을 모발 유지구 (T) 에 원활하게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특히, 슬라이딩 부재 (3) 가 모발 삽입구 (1) 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 형성 부재인 슬라이딩 부재 (3) 를 모발 다발 (H) 의 굴곡 부분의 근접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삽입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또한, 걸음부 (6) 에 걸린 모발 다발 (H) 을 걸음부 (6) 와 슬라이딩 부재 (3) 에 의해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모발 다발 (H) 을 모발 유지구 (T) 내에 넣고 있는 도중에 걸음부 (6) 로부터 모발 다발 (H) 이 탈락되기 어렵다. 게다가, 모발 다발 (H) 이 걸음부 (6) 의 빗살 (61) 에 걸리고, 또한 모발 다발 (H) 의 굴곡부분이 슬라이딩 부재 (3) 의 내부에 의해 포위되기 때문에, 모발 다발 (H) 에 대한 높은 유지력이 얻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실시형태에 관해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와 마찬가지로, 모발 다발을 원활하게 모발 유지구의 내부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 는,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본체 (2) 의 일단부에 갈고리형상의 훅부 (21) 를 갖고 있고, 본체 (2) 의 타단부 (24) 근방은 4 분의 일 원호형상의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어, 모발 유지구 (T) 에 대한 삽입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본체 (2) 에는 홀 (28)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홀 (28) 은, 도 1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홀 (28) 과 동일한 목적을 갖는 것이다.
훅부 (21) 는,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 (21B), 연장 돌출부 (21C) 및 선단부 (21D) 로 이루어진다. 기부 (21B) 는, 모발 삽입구 (1) 의 본체 (2) 상부의 폭방향 단부에 연결되고, 모발 삽입구 (1) 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부 (21B) 의 상단에는, 연장 돌출부 (21C) 가 모발 삽입구 (1) 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연장 돌출부 (21C) 의 자유단부에는, 선단부 (21D) 가 본체 (2) 의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 돌출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연장 돌출부 (21C) 에는 복수개의 빗살 구멍부 (21E) 가 형성되어 있고, 빗살 구멍부 (21E) 에는, 그 본체 (2) 측에서부터 슬라이딩 부재 (3) 의 빗살 (31) (후술) 을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기부 (21B) 의 안쪽 측가장자리부에는, 기부 (21B) 보다 두께가 얇은 판형상의 슬라이딩 기부 (23) 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2) 와 훅부 (21) 의 경계 근방은,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2) 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박육부 (thin portion; 22A) 보다 두껍게 되어 있어 후육부 (thick portion; 22C) 를 형성하고 있다. 박육부 (22A) 와 후육부 (22C)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2) 의 타단부에서부터 일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두꺼워지고 있는 경사부 (22B) 에 의해 연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경사부 (22B) 는 본체 (2) 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간 형성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후육부 (22C) 에서의 모발 삽입구 (1) 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모발 삽입구 (1) 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오목부 (25) 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오목부 (25) 와 상기 슬라이딩 기부 (23) 는, 같은 두께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오목부 (25) 는, 도 5 의 (b) 및 도 7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2) 의 후육부 (22C) 의 표리면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표리면 각각에 형성된 슬라이딩 오목부 (25) 의 양 바닥부를 관통하도록 오목부 관통 구멍 (26) [도 5 의 (b) 참조] 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2) 의 일단부측에는, 슬라이딩 부재 (3) 가 모발 삽입구 (1) 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 (3) 는 일단부에 빗살 (31) 을 갖는 빗살 부재이고, 빗살 (31) 은 그 선단이 훅부 (21) 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 (3) 의 타단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볼록부 (32) 는, 본체 (2) 의 슬라이딩 오목부 (25) 에 끼워 맞춰지는 단면형상을 갖고 있다. 슬라이딩 볼록부 (32) 는, 양 슬라이딩 오목부 (25) 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오목부 관통 구멍 (26) 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딩 볼록부 (32) 의 대부분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2) 에 있어서의 후육부 (22C) 보다 두껍게 되어 있고, 슬라이딩 볼록부 (32) 의 상부 (훅부 (21) 측) 인 최후육부 (33) 는 더욱 두껍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부재 (3) 가 상기 경사부 (22B) 와는 별도의 제 2 공간 형성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훅부 (21) 의 기부 (21B) 는 본체 (2) 의 후육부 (22C) 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고, 연장 돌출부 (21C) 는 기부 (21B) 보다 얇게 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 (3) 는, 도 5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볼록부 (32) 의 하단부 (34) [도 7 의 (a) 참조] 가 슬라이딩 오목부 (25) 의 하단부 (25A) 에 부딪칠 때까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도 7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 (3) 의 빗살 (31) 이 훅부 (21) 의 빗살 구멍부 (21E) 에 삽입될 때까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에 있어서는, 도 5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 (3) 가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모발 다발 (H) 을 훅부 (21) 에 걸고, 도 7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 (3) 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모발 다발 (H) 을 훅부 (21) 에 건 상태로, 훅부 (21) 와 슬라이딩 부재 (3) 의 빗살 (31) 에 의해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 에 의하면, 도 1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 모발 유지구에 모발 다발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 에 있어서는, 본체 (2) 의 타단부에서부터 일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두꺼워지고 있는 경사부 (22B) 및 슬라이딩 부재 (3) 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세하게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부재 (2) 의 타단부 (도면 우측) 에서부터 일단부 (도면 좌측) 를 향하여 본체 (2) 의 박육부 (22A), 경사부 (22B), 후육부 (22C), 슬라이딩 부재 (3) 의 슬라이딩 볼록부 (32), 최후육부 (33) 의 순으로 서서히 두께가 두꺼워져 공간 형성 부재를 형성하고 있고, 슬라이딩 볼록부 (32) 및 최후육부 (33) 가 훅부 (21) 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공간 형성 부재가,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의 슬라이딩 부재 (3) 에 의한 공간 형성 부재와 동일한 가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 는, 도 8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로서 가늘고 긴 판형상이고 타단부 근방이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 판형상 부재 (2) 를 구비한다. 판형상 부재 (2) 는, 경질의 합성 수지 시트나 금속판 등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질의 합성 수지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판형상 부재 (2) 의 일단부에는 걸음부 (7) 가 형성되어 있다. 걸음부 (7) 는, 도 8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부재 (2) 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물결모양으로 형성된 슬릿이고, 그 사이에 모발 다발 (H) 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걸음부 (7) 의 단부측에는, 이것과 연속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홀부 (4)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부 (4) 에 있어서의 판형상 부재 (2) 의 폭방향의 한 변이, 걸음부 (7) (홀부 (4)) 에 걸린 모발 다발 (H) 을 폭방향으로 펼치는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걸음부 (7) 근방에는, 도 8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 (3) 가 모발 삽입구 (1) 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 (3) 는, 걸음부 (7) 보다도 두께 및 폭이 크게 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 (3) 의 하부에는 삽입 통과 구멍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어, 걸음부 (7) 가 그 삽입 통과 구멍부를 삽입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부재 (3) 는, 도 9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그 내부에 걸음부 (7) 의 홀부 (4) 근방을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 (3) 에 있어서의 판형상 부재 (2) 의 타단부측 단부 근방은, 도 8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판형상 부재 (2) 의 타단부에서부터 일단부를 향하여 판형상 부재 (2) 의 표리면측으로 각각 경사져 있고, 이 때문에 그 두께가 그 타단부에서부터 그 일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증가되고 있다. 또한, 도 8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판형상 부재 (2) 의 타단부에서부터 일단부를 향하여 판형상 부재 (2) 의 양 측면측으로 각각 경사져 있고, 이 때문에 그 폭이 그 타단부에서부터 그일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증가되고 있다.
판형상 부재 (2) 와 걸음부 (7) 의 경계 근방에서의 표면에는, 판형상 부재 (2) 의 일단부를 향하여 말려 올라가는 것처럼 연장 돌출되는 하부 스토퍼부 (27A) 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스토퍼부 (27A) 는, 판형상 부재 (2) 의 일단부 근방을 コ 형상으로 절단하고, コ 형상으로 절단한 부분을 그 일단부측으로 말아 올려 형성되어 있다. 걸음부 (7) 의 상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모발 삽입구 (1) 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상부 스토퍼부 (27B)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부재 (3) 는, 그 하단부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 스토퍼 (27A) 에 부딪칠 때까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도 9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스토퍼 (27B) 에 부딪칠 때까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 에서는, 도 8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 (3) 가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도 9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음부 (7) 를 조금 열어 걸음부 (7) 사이에 모발 다발 (H) 을 끼우고, 도 9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 (3) 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모발 다발 (H) 을 걸음부 (7) 의 홀부 (4) 에 건 상태로 그 걸음부 (7) 와 슬라이딩 부재 (3) 에 의해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판형상 부재 (2) 의 타단부 근방에는, 도 8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저지부 (5) 가 형성되어 있다. 복귀 저지부 (5) 는, 판형상 부재 (2) 의 타단부 근방의 일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판형상 부재 (2) 의 타단부가 모발 유지구 (T) 의 타단의 개구부 (T2) 로부터 빠져 나온 후에 판형상 부재 (2) 가 그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면, 모발 유지구 (T) 의 타단의 개구부 (T2) 의 가장자리부에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복귀 저지부 (5) 는, 판형상 부재 (2) 의 타단부 근방을 コ 형상으로 절단하고, コ 형상으로 절단한 부분을 그 타단부에 말아 올려 형성되어 있다. 이 복귀 저지부 (5) 는, 모발 유지구 (T) 의 타단 개구부 (T2) 의 가장자리부에 걸려져, 모발 삽입구 (1) 로부터 모발 유지구 (T) 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 에 의하면, 도 1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 모발 유지구에 모발 다발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은 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에 있어서의 본체는, 길이가 긴 형상이고, 모발 다발을 걸 수 있는 걸음부를 일단부에 갖는 것이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본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에 있어서의 공간 형성 부재 (S)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유지구 (T) 의 통형상체의 내부에 통형상 공간을 형성시키고, 걸음부 (R) 에 모발 다발 (H) 을 건 상태의 모발 삽입구 (1) 를 상기 통형상 공간에 일단의 개구부 (T1) 로부터 타단의 개구부를 향하여 원활하게 삽입 통과시키는 것이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공간 형성 부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 형성 부재 (S) 를 모발 다발 (H) 의 굴곡 부분의 근접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으면, 모발 다발 (H) 의 굴곡 부분 근방에 상기 통형상 공간이 형성되어 모발 다발 (H) 의 삽입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공간 형성 부재 (S) 가 걸음부 (R) 및 여기에 걸린 모발 다발 (H) 을 포위할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으면, 모발 다발 (H) 과 모발 유지구 (T) 의 삽입 통과 저항이 줄어들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슬라이딩 부재에 있어서는, 걸음부보다도 두께만 또는 폭만 큰 것이어도 되고, 슬라이딩 부재에 있어서의 본체의 타단부측 단부 근방의 두께 및/또는 폭이 그 타단부에서부터 본체의 일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증가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부에서는, 그 폭이 본체의 타단부에서부터 일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증가되고 있는 것이어도 되고, 두께 및 폭 양쪽이 증가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에 있어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 및 도 8 에 나타내는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본체와 공간 형성 부재가 별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본체와 공간 형성 부재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복수의 공간 형성 부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모발 삽입구의 본체의 타단부를 둥그스름하게 하면, 그 삽입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모발 유지구에 있어서의 통형상체의 감아 올림 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소용돌이 스프링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어코디언 주름 형상, 지그재그 형상, 나선 형상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할 수 있다. 통형상체는, 그 형성 방법에 관해서 특별히 제한은 없고, 시트를 봉합, 융착 또는 접착하여 형성한 것일 수도 있고, 압출 성형 등에 의해 당초부터 편평한 통형상으로 형성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1 ∼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01) 는, 도 11 ∼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의 개구부 (T1) 로부터 타단의 개구부 (T2) 를 향하여 모발 다발 (H) 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게 시트에 의해 구성된 편평형상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 (T) 의 내부에, 모발 다발 (H) 을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키는 모발 삽입구이고, 모발 다발 (H) 을 걸 수 있는 훅부 (121) 를 일단부에 갖는 대략 막대형상의 본체 (102) 와, 그 훅부 (121) 의 개구부 (121A) 를 폐쇄하는 클로징 부재 (103) 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로징 부재 (103) 가 공간 형성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 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서술한다. 상기 본체 (102) 는, 도 11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편평한 막대형상으로, 일단부에 갈고리형상의 훅부 (121) 를 갖고, 또 타단부 (124) 의 근방은,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 (T) 에 삽입하기 쉽도록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체 (102) 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오목형상인 슬라이딩 오목부 (125)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모발 다발 (H) 이 걸려 있는 상기 본체 (102) 를 상기 모발 유지구 (T) 의 내부에 삽입한 후에 그 본체 (102) 가 그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저지하는 복귀 저지부 (122) 가, 상기 본체 (102) 의 폭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복귀 저지부 (122) 는, 본체 (102) 에서의 타단부 (124) 와 슬라이딩 오목부 (125) 사이의 영역에, 본체 (102) 의 전체 둘레에 걸쳐 훅부 (121) 를 향하여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2) 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오목부 (125) 의 훅부 (121) 근처 영역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에, 모발 삽입구 (1) 를 파지할 때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부 (123) 가 훅부 (121) 를 향하여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로징 부재 (103) 는, 도 11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부에 빗살 (131) 을 갖는 빗살 부재이고, 그 빗살 부재 (103) 는, 상기 본체 (2) 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고, 그 상기 빗살 (131) 은, 그 선단이 상기 훅부 (121) 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모발 다발 (H) 을 상기 훅부 (121) 에 건 상태로 그 훅부 (121) 와 상기 빗살 (131) 에 의해 고정하게 되어 있다. 상기 빗살 부재 (103) 의 타단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볼록부 (132) 는, 본체 (102) 의 상기 슬라이딩 오목부 (125) 에 끼워지는 단면형상을 갖고 있다. 그 빗살 부재 (103) 는, 상기 본체 (102) 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빗살 부재 (103) 는, 탄성 부재 (도시 생략) 에 의해 상기 훅부 (121) 를 향하여 항상 탄성지지되어 있다. 그 탄성 부재는, 본체 (102) 에서의 빗살 부재 (103) 에 의해 덮어지는 부분에 형성된 공극부 (도시 생략) 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으로, 그 코일 스프링에 의해 본체 (102) 와 빗살 부재 (103) 가 연결되어 있고, 빗살 부재 (103) 에 훅부 (121) 를 향한 탄성지지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빗살 부재 (103) 는, 본체 (102) 의 타단부 (124) 방향으로는, 빗살 부재 (103) 의 슬라이딩 볼록부 (132) 가 본체 (102) 의 슬라이딩 오목부 (125) 의 단부에 맞닿을 때까지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훅부 (121) 방향으로는, 빗살 (131) 의 선단이 훅부 (121) 로부터 외측에 위치할 때까지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체 (102) 및 빗살 부재 (103) 는, 합성 수지 재료의 절삭 또는 성형 가공, 금속 재료의 절삭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합성 수지 재료의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4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 사용양태에 관해서, 도 12 및 도 13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2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빗살 부재 (103) 가 훅부 (121) 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의 모발 삽입구 (1) 에 있어서, 도 12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빗살 부재 (103) 를 본체 (102) 의 타단부 (124) 를 향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지지력에 반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빗살 부재 (103) 는, 슬라이딩 볼록부 (132) 가 본체 (102) 의 슬라이딩 오목부 (125) 의 단부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할 수 있고, 그러면, 그때까지 빗살 부재 (103) 에 의해 감춰져 있던 훅부 (121) 가 노출된다. 한편, 빗살 부재 (103) 는 훅부 (121) 를 향하여 탄성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훅부 (121) 를 노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빗살 부재 (103) 의 상테를 유지시켜 두어야 한다.
다음으로, 도 12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유지구 (T) 에 삽입하고자 하는 모발 다발 (H) 을 훅부 (121) 에 건다. 그리고, 빗살 부재 (103) 를 유지시키던 것을 해제하면, 도 12 의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빗살 부재 (103) 가 탄성지지력에 의해 훅부 (121) 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훅부 (102) 에 걸려 있는 모발 다발 (H) 을 본체 (102) 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빗살 부재 (103) 에 의해 양측에서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발 다발 (H) 이 고정된 상태의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 를, 도 13 의 (a)∼(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2) 의 타단부 (124) 로부터 모발 유지구 (T) 의 일단의 개구부 (T1) 에 삽입하고, 타단의 개구부 (T2) 로부터 빼낸다. 여기서, 모발 삽입구 (101) 의 훅부 (121) 를 모발 유지구 (T) 의 타단의 개구부 (T2) 로부터 빼내기 직전에, 빗살 부재 (103) 를 본체 (102) 의 타단부 (124) 측으로 조금 슬라이딩 이동시켜, 모발 다발 (H) 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모발 삽입구 (1) 를 모발 유지구 (T) 를 일단의 개구부 (T1) 에서부터 타단의 개구부 (T2) 로 삽입 통과시키면, 도 13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다발 (H) 의 선단이 모발 유지구 (T) 의 타단의 개구부 (T2) 로부터 조금 밀려 나온 상태가 된다. 이런 다음, 모발 유지구 (T) 를 감거나 하여, 모발 다발에 원하는 모양으로 컬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01) 에 의하면, 전술한 순서로 모발 다발 (H) 을 용이하게 모발 유지구 (T) 의 내부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그 때, 훅부 (121) 에 걸린 모발 다발 (H) 이 훅부 (121) 와 빗살 (131) 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모발 다발 (H) 을 모발 유지구 (T) 내에 집어 넣고 있는 도중에 훅부 (121) 로부터 모발 다발 (H) 이 탈락되기 어렵다. 또한, 모발 다발 (H) 을 모발 유지구 (T) 내에 넣을 때에 생기는 반력에 의해 본체 (102) 에 모발 유지구 (T) 에 대한 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본체 (102) 에 형성된 복귀 저지부 (122) 가 모발 유지구 (T) 의 내주면에 걸려, 모발 삽입구 (101) 를 모발 유지구 (T) 로부터 원활하게 빼내기 쉽다. 또, 모발 다발을 고리형의 훅부에 거는 경우에는, 모발 다발을 고리형의 훅부에 삽입 통과시킨 후에 모발 다발을 다시 걸 필요가 있어, 모발 다발이 흐트러지고, 모발 유지구의 조작이 번잡해지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모발 다발 (H) 을 갈고리형상의 훅부 (121) 에 걸기 때문에 모발 다발 (H) 을 다시 걸 필요가 없어, 모발 다발이 흐트러지지 않고, 모발 유지구의 조작이 용이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의 제 5 실시형태 및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4 ∼ 도 1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모발 삽입구도, 상기 모발 유지구 (T) 의 내부에 모발 다발을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01) 는, 도 14 의 (a)∼(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다발 (H) 을 걸 수 있는 갈고리형상의 훅부 (141) 을 일단부에 갖는 대략 막대형상의 본체 (104) 와, 그 훅부 (141) 의 개구부 (141A) 를 폐쇄하는 래치부 (latch; 105) 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01) 에 관해서, 도 14 의 (a)∼(c) 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서술한다. 래치부 (105) 는, 훅부 (141) 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훅부 (141) 의 선단과 훅부 (141) 의 기부 (142) 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훅부 (141) 의 기부 (142) 에 형성된 회전운동축 (151) 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훅부 (141) 의 기부 (142) 에는, 선재를 감아서 형성된 스프링 부재 (152) 가, 그 일단부가 래치부 (105) 에 걸리고, 그 중간부가 회전운동축 (151) 에 감기며, 그 타단부가 훅부 (141) 의 기부 (142) 에 걸려 있다. 이 때문에, 래치부 (105) 는, 훅부 (141) 의 개구부 (141A) 의 외측 [도 14 의 (c) 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 을 향하여 항상 탄성지지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래치부 (105) 는, 외력에 의해 상기 훅부 (141) 의 개구부 (141A) 가 개방되고 또 그 외력이 해제되면 그 반발 탄성력에 의해 그 훅부 (141) 의 개구부 (141A) 가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발 삽입구 (101) 의 타단부 (모발 유지구의 개구부에 삽입하는 측) 로부터 중간부의 구성은, 둥근 막대형상, 각형 막대형상 등 여러 가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훅부 (141) 및 래치부 (105) 를 갖는 모발 삽입구 (101) 에 있어서는, 훅부 (141) 의 개구부 (141A) 는, 미사용시에 있어서는 도 1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쇄되어 있지만, 도 14 의 (b) 및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부 (105) 를 내측으로 가압함 (외력을 가함) 으로써 훅부 (141) 의 개구부 (141A) 가 개방되고, 모발 다발 (H) 을 훅부 (141) 에 삽입 통과시켜 걸 수 있다. 또한, 모발 다발 (H) 을 훅부 (141) 에 삽입 통과시켜 걸면, 래치부 (105) 에 대한 외력이 해제되고, 래치부 (105) 는 스프링 부재 (152) 에 의한 반발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 (훅부 (141) 의 선단에 맞닿는 위치) 로 되돌아가, 훅부 (141) 의 개구부 (141A) 가 폐쇄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01) 에 의하면, 모발 다발 (H) 을 훅부 (141) 에 삽입시켜 건 후, 모발 다발 (H) 을 옮겨 쥐는 일없이 모발 유지구 (T) 를 조작할 수 있어, 모발 다발 (H) 이 흐트러지지 않고, 모발 유지구 (T) 의 조작이 용이하다.
훅부 및 클로징 부재의 구성이 상이한 별도 실시형태를 도 15 의 (a)∼(c) 에 나타낸다. 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01) 에 있어서는, 도 1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부 (161) 와 클로징 부재 (107) 는 일체화되어 있어, 훅부 (161) 및 클로징 부재 (107) 전체적으로 1 바퀴 (360도) 이상 감아, 클로징 부재 (107) 가 훅부 (161) 의 기부 (162) 에 탄성적으로 맞닿아 있다. 즉, 훅부 (161) 및 클로징 부재 (107) 전체적으로 코일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훅부 (161) 및 클로징 부재 (107) 를 갖는 모발 삽입구에 의하면, 도 1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다발 (H) 을 훅부 (161) 의 기부 (162) 와 클로징 부재 (107) 사이를 눌러서 펼치면서 미끄러져 들어감으로써, 도 15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부 (161) 의 개구부 (161A) 에 삽입 통과시키고 걸 수 있다. 모발 다발 (H) 을 훅부 (161) 에 삽입 통과시키고 걸면, 클로징 부재 (107) 에 대한 외력이 해제되고, 클로징 부재 (107) 가 그 탄성반발력에 의해 훅부 (161) 의 기부 (162) 측으로 되돌아가, 이 때문에 훅부 (161) 의 개구부 (161A) 가 폐쇄된다. 도 15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01) 에 의하면, 도 14 에 나타내는 제 5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01) 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훅부 및 클로징 부재의 구성이 상이한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 16 의 (a)∼(d) 에 나타낸다. 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01) 에 있어서는, 도 1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빗살형상의 훅부 (181) 와, 그 훅부 (181) 의 선단부가 맞닿는 클로징 부재 (109) 를 구비하고 있다. 훅부 (181) 와 클로징 부재 (109) 는, 이들의 기부 (도시 생략) 에 있어서 지지점 (도시 생략) 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고, 스프링 부재 (도시 생략) 에 의해 양자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지지되어 있다. 또한, 클로징 부재 (109) 는, 그 기부를 누르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도 16 의 (a) 에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열리게 되어 있다.
훅부 (181) 에는, 모발 삽입구 (101) 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빗살 (181B) 이,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5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클로징 부재 (109) 에는, 빗살 (181B) 의 선단과 대향하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 (109A) 가 형성되어 있고, 그 홈부 (109A) 에 빗살 (181B) 의 선단부가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훅부 (181) 의 개구부 (181A) 는, 클로징 부재 (109) 에 의해 폐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훅부 (181) 및 클로징 부재 (109) 를 갖는 모발 삽입구 (101) 에 의하면, 도 16 의 (a), (b), (d) 에 나타내는 순서로 모발 다발 (H) 을 훅부 (181) 에 삽입 통과시켜 걸 수 있다. 먼저, 도 1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로징 부재 (109) 의 기부를 눌러 (외력을 가하여), 클로징 부재 (109) 를 도 16 의 (a) 에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연다. 그 결과, 훅부 (181) 의 빗살 (181B) 의 선단과 클로징 부재 (109) 의 홈부 (109A) 가 이간되어, 훅부 (181) 의 개구부 (181A) 가 개방된다. 그 상태로, 도 16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다발 (H) 을, 빗살 (181B) 의 선단과 홈부 (109A) 사이를 통과시켜, 빗살 (181B) 에 건다. 그 후, 클로징 부재 (109) 에 대한 외력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한 반발 탄성력에 의해 클로징 부재 (109) 가 도 16 의 (b) 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훅부 (181) 의 빗살 (181B) 의 선단과 클로징 부재 (109) 의 홈부 (109A) 가 도 16 의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닿는다. 그 결과, 훅부 (181) 의 개구부 (181) 가 폐쇄된다.
또, 도 16 의 (a)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01) 는, 도 16 의 (c), (d) 에 의해 나타내는 순서로, 모발 다발 (H) 을 훅부 (181) 에 삽입 통과시키고 걸 수도 있다. 먼저, 모발 다발 (도시생략) 을, 도 16 의 (c) 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클로징 부재 (109) 를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훅부 (181) 의 빗살 (181B) 의 선단과 클로징 부재 (109) 의 홈부 (109A) 를 이간시켜 훅부 (181) 에 삽입 통과시킨다. 그 후, 클로징 부재 (109) 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 훅부 (181) 의 개구부 (181) 가 폐쇄된다.
이러한 순서에 의해서도, 도 16 의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다발 (H) 을 훅부 (181) 에 삽입 통과시켜 걸 수 있다. 한편, 도 16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모발 다발 (H) 을 5개의 빗살 (181B) 중 임의의 어느 하나에 걸어도 되고, 모발 다발 (H) 을 조금 풀어, 각각 복수의 빗살 (181B) 에 걸어도 된다.
본체의 훅부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갈고리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선단이 훅부의 다른 부분에 맞닿은 형태여도 되고, 완전한 고리형이어도 된다.
도 11 에 나타내는 제 4 실시형태와 같은, 본체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구성된 클로징 부재를 구비한 모발 삽입구에 있어서는, 클로징 부재 (103) 는, 도 17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부 (121) 근처의 단부 (133) 가, 본체의 폭방향에 대하여 약 J 자형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도 18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부 (121) 근처의 단부 (133) 가, 본체의 폭방향에 대하여 평행 직선형상으로 되어도 된다. 훅부 (102) 와 클로징 부재 (103) 는, 도 19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사슴벌레 뿔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20 ∼ 도 2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201) 는, 도 20 ∼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의 개구부 (T1) 에서부터 타단의 개구부 (T2) 를 향하여 모발 다발 (H) 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게 시트에 의해 구성된 편평형상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 (T) 내부에, 모발 다발 (H) 을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키는 모발 삽입구로서, 그 일단부에 모발 다발 (H) 을 걸 수 있는 걸음부 (203) 을 구비하고 있고, 모발 다발 (H) 을 걸어서 상기 모발 유지구 (T) 내부에 삽입된 후에, 그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저지하는 복귀 저지부 (205)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201) 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서술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201) 는, 도 20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판형상이고, 타단 근방이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 판형상 부재 (202) 로 이루어진다. 판형상 부재 (202) 는, 경질의 합성 수지 시트나 금속판 등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질의 합성 수지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음부 (203) 는, 도 20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판형상 부재 (202) 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물결모양으로 형성된 슬릿이다. 이 때문에, 상기 걸음부 (203) 는, 모발 다발 (H) 을 사이에 끼워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판형상 부재 (202) 에 있어서의 일단부 근방에는, 걸음부 (203) 의 단부와 연속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홀부 (204)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귀 저지부 (205) 는, 도 20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판형상 부재 (202) (모발 삽입구 (201)) 의 타단부 근방의 일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판형상 부재 (202) 의 타단부가 상기 모발 유지구 (T) 의 타단의 개구부 (T2) 로부터 빠져 나온 후에 그 판형상 부재 (202) 가 그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면, 그 모발 유지구 (T) 의 타단의 개구부 (T2) 의 가장자리부에 걸 수 있게 되어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복귀 저지부 (205) 는, 판형상 부재 (202) 의 타단부 근방을 コ 형상으로 절단하고, コ 형상으로 절단한 부분을 그 타단부에 말아 올려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발 삽입구 (201) 의 최대 외주 길이는, 상기 모발 유지구 (T) 의 횡단면의 내주 길이 이하이면 되고, 강도나 조작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6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 사용양태에 관해서, 도 20 및 도 2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0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결형상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걸음부 (203) 을 조금 열어, 걸음부 (203) 사이에 모발 다발 (H) 을 끼우고, 고정한다.
이와 같이 모발 다발 (H) 이 고정된 상태의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201) 를, 도 21 의 (a)∼(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부재 (202) 의 타단부에서부터 모발 유지구 (T) 의 일단의 개구부 (T1) 에 삽입하고, 타단의 개구부 (T2) 로부터 빼낸다.
이렇게 해서 모발 삽입구 (201) 를 모발 유지구 (T) 의 일단의 개구부 (T1) 로부터 타단의 개구부 (T2) 에 삽입 통과시키면, 도 21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다발 (H) 의 선단이 모발 유지구 (T) 의 타단의 개구부 (T2) 로부터 조금 밀려 나온 상태가 된다. 이런 다음, 모발 유지구 (T) 를 감거나 하여, 모발 다발에 원하는 모양으로 컬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201) 에 의하면, 전술한 순서로 모발 다발 (H) 을 원활하게 모발 유지구 (T) 내부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그 때, 모발 다발 (H) 을 모발 유지구 (T) 내에 넣은 경우에는, 우선 모발 다발 (H) 과 모발 삽입구 (201) 의 걸음부 (203) 를 각각의 손으로 누르기 때문에, 모발 유지구 (T) 가 모발 삽입구 (201) 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201) 에서는,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부재 (202) 의 타단부 근방에 형성된 복귀 저지부 (205) 가 모발 유지구 (T) 의 타단의 개구부 (T2) 의 가장자리부에 걸려, 모발 삽입구 (201) 로부터 모발 유지구 (T) 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모발 삽입구 (201) 와 모발 유지구 (T) 의 일체성이 높고, 특히 한명의 작업자에 의한 조작성이 현격히 향상된다.
또한, 모발 다발 (H) 이 물결형상의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걸음부 (203)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모발 다발 (H) 을 걸음부 (203) 에 세팅한 후, 모발 다발 (H) 을 모발 유지구 (T) 내에 넣고 있는 도중에 걸음부 (203) 로부터 모발 다발 (H) 이 탈락되기 어렵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아 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201) 는, 일단의 개구부 (T1) 가 고강성을 갖는 모발 유지구 (T) 와 조합하여 사용하면, 모발 유지구 (T) 의 탈락 방지 효과가 향상되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들 실시형태에 관해서는, 도 20 에 나타내는 제 6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점에 관해서는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에 있어서도, 제 6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와 마찬가지로 모발 다발을 원활하게 모발 유지구 내부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는, 도 23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음부 (203) 가, 판형상 부재 (202) 의 길이방향으로 병렬하여 연장되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 (2개) 의 슬릿이다. 그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20 에 나타내는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201) 에 있어서는, 도 2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걸음부 (203) 의 일방에서 타방에 걸쳐 모발 다발 (H) 을 삽입 통과시키고, 모발 다발 (H) 을 걸음부 (203) 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발 다발 (H) 이 고정된 상태의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201) 도, 도 20 에 나타내는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한 사용양태에 의해 모발 다발 (H) 을 모발 유지구 (T) 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는, 도 24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부재 (202) 가, 그 일단부에 모발 다발 (H) 을 걸 수 있는 걸음부 (206) 를 구비하고 있고, 모발 다발 (H) 이 걸린 상기 판형상 부재 (202) 를 모발 유지구 (T) 의 내부에 삽입한 후에, 그 판형상 부재 (202) 가 그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저지하는 복귀 저지부 (207) 가 상기 판형상 부재 (202) 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음부 (206) 의 내측에 판형상 부재 (202) 의 타단부를 향하여 세워서 형성한 빗살 (261) 이 형성되어 있고, 복귀 저지부 (207) 는, 판형상 부재 (202) 의 폭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볼록부 (207) 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1) 에 관해서 상세히 서술한다. 판형상 부재 (202) 는, 도 2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유지구의 내면의 폭보다 약간 좁은 폭을 갖는 가늘고 긴 판형상이다. 판형상 부재의 길이방향 중앙부의 양면에는, 판형상 부재 (202) 보다도 두꺼운 후육부 (221) 가 형성되어 있다. 판형상 부재 (202) 의 일단부에는, 프레임형상의 걸음부 (206) 가 형성되어 있고, 걸음부 (206) 의 내주면 중 판형상 부재 (202) 의 폭방향의 한 변에, 복수개의 상기 빗살 (261) 이 형성되어 있다. 판형상 부재 (202) 의 폭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걸음부 (203) 를 향하여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볼록부 (207) 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201) 에 의하면, 도 24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다발 (H) 을 걸음부 (206) 에 삽입 통과시키고, 빗살 (261) 에 의해 걸 수 있으며, 그 상태로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 (도시 생략) 내부에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모발 다발 (H) 을 용이하게 모발 유지구 내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201) 에 의하면, 모발 다발 (H) 을 모발 유지구 내에 넣을 때에 생기는 반력에 의해 판형상 부재 (202) 에 모발 유지구에 대한 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볼록부 (207) 가 모발 유지구의 내주면에 걸려, 되돌아가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에 있어서, 그 모발 삽입구의 최대 외주 길이는, 상기 모발 유지구의 횡단면의 내주 길이의 0.7∼1.0배이면 바람직하다. 모발 삽입구의 최대 외주 길이가 모발 유지구의 횡단면의 내주 길이의 0.7배인 경우, 모발 삽입구에 대하여 모발 유지구를 걷어 올림으로써, 접촉 면적이나 마찰이 증대하여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모발 유지구의 길이가 모발 삽입구의 길이보다도 극단적으로 긴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모발 삽입구의 최대 외주 길이가 모발 유지구의 횡단면의 내주 길이의 1.0배인 경우, 모발 유지구의 최대 신장 치수의 파단되지 않는 길이까지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에 있어서 「모발 삽입구의 최대 외주 길이」란, 실질적으로 모발 유지구가 멈추는 기능을 갖는 지점의 치수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판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단면의 부재, 삼각형 단면의 부재,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판형상 부재 (202) 의 걸음부 (203) 는, 도 25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부재 (202) 의 일단부에서부터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1개의 슬릿으로 이루어지고, 판형상 부재 (202) 의 일단부에는 선재로 이루어지는 탈락 방지 부재 (208) 가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25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형태의 모발 삽입구 (201) 에 의하면,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걸음부 (203) 사이에 모발 다발 (H) 을 삽입 통과시켜 걸어서 고정할 수 있어, 도 23 의 (a) 에 나타내는 제 7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탈락 방지 부재 (208) 는, 모발 유지구 내에 삽입할 때에 걸음부 (203) 로부터 모발 다발 (H) 이 미끄러져 떨어질 때에 그 모발 다발 (H) 을 탈락 방지 부재 (208) 에 의해 걸어, 모발 다발 (H) 이 모발 삽입구 (201) 로부터 완전히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복귀 저지부 (205) 는,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부재 (202) 의 타단부를 굴곡시킴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걸음부 (203) 는,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의 제 9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28 ∼ 도 3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301) 는, 도 28 ∼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의 개구부 (T1) 로부터 타단의 개구부 (T2) 를 향하여 모발 다발 (H) 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게 시트에 의해 구성된 편평형상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 (T) 내부에, 모발 다발 (H) 을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키는 모발 삽입구로서, 모발 다발 (H) 을 걸 수 있는 훅부 (321) 를 일단부에 갖는 대략 막대형상의 본체 (302) 와, 상기 본체 (302) 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구성되고 또 그 훅부 (321) 를 일단부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슬라이딩 부재 (303) 로 이루어지고, 모발 다발 (H) 을, 상기 훅부 (321) 에 건 상태로 상기 훅부 (321) 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303) 에 의해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부재 (3) 가 공간 형성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301) 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서술한다. 상기 본체 (302) 는, 도 28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타단부 (322) 와 상기 훅부 (321) 사이에, 원통형상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 (303) 를 내삽(內揷)할 수 있는 원통형상의 원통부 (323)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 (302) 에서의 상기 원통부 (323) 와 상기 타단부 (322) 사이의 형상은, 그 원통부 (323) 의 근방 (325; 이하, 원기둥부라고 한다) 이 그 원통부 (323) 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기둥형상이고, 그 타단부 (322) 의 근방 (326) 이 그 타단부 (322) 를 향하는 테이퍼형상이다.
훅부 (321) 는, 도 28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갈고리형 형상을 갖고 있다. 원통부 (323) 에 있어서의 훅부 (321) 근방의 둘레면에는 걸어맞춤 구멍부 (323A) 가 형성되어 있고, 그 걸어맞춤 구멍부 (323A) 는, 슬라이딩 부재 (303) 에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 (332) (후술) 에 걸어 맞춰지게 되어 있다. 훅부 (321) 와 원기둥형상을 갖는 상기 원기둥부 (325) 는, 슬라이딩 부재 (303) 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된 연결부 (324)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 (324) 에 있어서의 훅부 (321) 근방에는, 둘레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스토퍼부 (324A)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 (303) 는, 상기 본체를 내삽할 수 있는 통형상 부재이다. 슬라이딩 부재 (303) 의 일단부에는, 도 28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스토퍼부 (334) 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딩 부재 (303) 의 타단부에는, 연결부 (324) 를 삽입 통과할 수 있는 구멍부를 갖는 저면부 (333)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 (303) 의 외주부에는, 둘레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 볼록부 (332) 가 형성되어 있고, 그 걸어맞춤 볼록부 (332) 는, 본체 (302) 의 원통부 (323) 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부 (323A) 에 걸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 (303) 는, 상기 원통부 (323) 에 내삽되고, 탄성 부재 (304) 에 의해 상기 훅부 (321) 를 향하여 항상 탄성지지되어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본체 (302) 의 원통부 (323) 내부에는, 도 28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 (304) 가 연결부 (324) 의 외주를 나선형상으로 감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탄성 부재 (304) 의 일단이 슬라이딩 부재 (303) 의 저면에 맞닿고, (타단이) 본체 (302) 의 원기둥부 (325) 의 단면에 맞닿아 있다.
슬라이딩 부재 (303) 는, 타단부 (322) 방향으로는, 도 28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 (303) 의 스토퍼부 (334) 와 본체 (302) 의 원통부 (323) 의 일단 가장자리부 (323B) 가 맞닿을 때까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훅부 (321) 방향으로는, 도 28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 (303) 의 저면부 (333) 의 내면과 본체 (302) 의 연결부 (324) 의 스토퍼부 (324A) 가 맞닿을 때까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301) 는, 모발 다발 (H) 을 훅부 (321) 와 슬라이딩 부재 (303) 의 일단부의 내주면에 의해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체 (302) 및 슬라이딩 부재 (303) 는, 합성 수지 재료의 절삭 또는 성형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 (302) 는, 원통부 (323) 와 그 이외의 부분이 별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302) 의 원기둥부 (325) 및 원통부 (323) 의 외경은,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301) 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에 삽입했을 때에, 적절한 삽입 통과 저항으로 삽입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모발 삽입구 (301) 의 최대 외주 길이는 상기 모발 유지구 (T) 의 횡단면의 내주 길이의 0.7∼1.0배이고, 바람직하게는 0.8∼1.0배이다. 또한, 확실한 복귀 저지 효과를 얻고 싶은 경우에는, 본체 (302) 의 원기둥부 (325) 및 원통부 (323) 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형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제 9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의 일 사용양태에 관해서, 도 29 및 도 3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슬라이딩 부재 (303) 가 훅부 (321) 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의 모발 삽입구 (301) 에 있어서, 도 29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 (303) 를 본체 (302) 의 타단부 (322) 를 향하여 탄성 부재 (304) 의 탄성지지력에 반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슬라이딩 부재 (303) 는, 스토퍼부 (334) 가 본체 (302) 의 원통부 (323) 의 일단 가장자리부 (323B) 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할 수 있고, 그러면 그때까지 슬라이딩 부재 (303) 에 의해 숨겨져 있던 훅부 (321) 가 노출된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 (303) 의 걸어맞춤 볼록부 (332) 와 본체 (302) 의 원통부 (323) 의 걸어맞춤 구멍부 (323A) 가 걸어 맞춰져, 그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모발 유지구 (T) 에 삽입하고자 하는 모발 다발 (H) 을 훅부 (321) 에 건다.
다음으로, 슬라이딩 부재 (303) 의 걸어맞춤 볼록부 (332) 를 내주방향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딩 부재 (303) 와 본체 (302) 의 원통부 (323) 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그러면, 본체 (302) 의 원통부 (323) 의 내부에 형성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 (304) 의 반발력에 의해, 도 29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 (303) 는 훅부 (321)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훅부 (321) 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한다. 슬라이딩 부재 (303) 는, 도 28 의 (b) 및 도 29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부 (333) 와 본체 (302) 의 연결부 (324) 의 스토퍼부 (324A) 가 맞닿을 때까지 이동할 수 있고, 그러면, 훅부 (321) 가 슬라이딩 부재 (303) 의 내부에 수납되어, 훅부 (321) 에 걸려 있는 모발 다발 (H) 을, 본체 (302) 의 훅부 (321) 와 슬라이딩 부재 (303) 의 일단부의 내주면 (331) 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발 다발 (H) 이 고정된 상태의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301) 를, 도 30 의 (a)∼(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302) 의 타단부 (322) 로부터 모발 유지구 (T) 의 일단의 개구부 (T1) 에 삽입하고, 타단의 개구부 (T2) 로부터 빼낸다. 이렇게 해서 모발 삽입구 (301) 를 모발 유지구 (T) 의 일단의 개구부 (T1) 로부터 타단의 개구부 (T2) 에 삽입 통과시키면, 도 30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다발 (H) 의 선단이 모발 유지구 (T) 의 타단의 개구부 (T2) 로부터 조금 밀려 나온 상태가 된다. 이런 다음, 모발 유지구 (T) 를 감거나 하여, 모발 다발에 원하는 모양으로 컬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301) 에 의하면, 슬라이딩 부재 (303) 의 이동에 의해 필연적으로 모발 다발 (H) 을 굴곡시킬 수 있고, 또 훅부 (321) 와 슬라이딩 부재 (303) 의 일단부의 내주면 (331) 에 의해 모발 다발 (H) 이 고정되기 때문에, 모발 다발을 굴곡시킬 수 없는 모발 삽입구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모발 다발 (H) 을 모발 유지구 (T)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모발 유지구 (T) 의 입구부가 흐트러지는 일이 없다. 또한, 모발 다발 (H) 을 모발 유지구 (T) 내에 넣고 있는 도중에 훅부 (321) 로부터 모발 다발 (H) 이 탈락되기 어려워,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게 되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특히, 입구부가 고강성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모발 유지구와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에도, 모발 다발을 모발 유지구 내부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모발 다발 (H) 을 모발 유지구 (T) 내에 집어 넣을 때에 생기는 반력이 생기지 않아, 모발 삽입구 (301) 를 모발 유지구 (T) 로부터 원활하게 빼내기 쉽다. 그리고, 모발 다발을 고리형의 훅부에 거는 경우에는, 모발 다발을 고리형의 훅부에 삽입 통과시킨 후에 모발 다발을 다시 걸 필요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모발 다발 (H) 이 갈고리형상의 훅부 (321) 에 걸려 있기 때문에, 모발 다발 (H) 을 다시 걸 필요가 없다. 또한, 모발 삽입구 (301) 의 횡단면의 외주 길이와 모발 유지구 (T) 의 횡단면의 내주 길이가 소정 비율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발 삽입구 (301) 를 모발 유지구 (T) 내부에 삽입 통과시키면 적절한 삽입 통과 저항이 가해진다. 이 때문에, 모발 삽입구 (301) 를 모발 유지구 (T) 내부에 삽입 통과시킬 때에, 모발 유지구 (T) 가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려워, 취급이 용이하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관해서는, 도 28 에 나타내는 제 9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점에 관해서는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에 있어서도, 제 9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와 마찬가지로 모발 다발을 용이하게 모발 유지구의 내부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는, 도 31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 (302) 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 (303) 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체 (302) 는 판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선단부를 향하여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고,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긴구멍 (327) 이 형성되어 있다. 훅부 (321) 은, 도 31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이 훅부 (321) 의 다른 부분에 맞닿은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 (303) 의 내부에는, 본체 (302) 의 슬라이드 긴구멍 (327) 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핀 (335)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 (303) 는, 타단부 (322) 방향으로는, 도 31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핀 (335) 과 본체 (302) 의 슬라이드 긴구멍 (327) 의 타단부 (322) 측이 맞닿을 때까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훅부 (321) 방향으로는, 도 31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핀 (335) 과 본체 (302) 의 슬라이드 긴구멍 (327) 의 훅부 (321) 측이 맞닿을 때까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301) 에 의하면, 도 32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다발 (H) 을 훅부 (321) 의 선단에서부터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하여, 훅부 (321) 에 걸 수 있다. 그리고, 도 32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태로 슬라이딩 부재 (303) 를 훅부 (32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훅부 (302) 에 걸려 있는 모발 다발 (H) 을, 슬라이딩 부재 (302) 의 훅부 (321) 와 슬라이딩 부재 (303) 의 일단부의 내주면 (331) 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발 다발 (H) 이 고정된 상태의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301) 도, 도 28 에 나타내는 제 9 실시형태와 같은 사용양태에 의해 모발 다발 (H) 을 모발 유지구 (T) 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 (301) 에 있어서는, 훅부 (321) 는, 그 선단이 훅부 (321) 의 다른 부분에 맞닿은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훅부 (321) 가 완전한 갈고리형상인 경우에 비하여, 모발 다발 (H) 의 취급이 한층 더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를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본체의 훅부는, 도 28 에 나타내는 제 9 실시형태와 같은 갈고리형상이나, 도 31 에 나타내는 제 10 실시형태와 같은 선단이 훅부의 다른 부분에 맞닿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완전한 고리형이어도 된다.
또한, 훅부는, 도 33 의 (a)∼(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33 의 (a) 에 나타내는 구성의 훅부 (321) 는, 갈고리형상의 훅부 갈고리체 (321A) 와, 훅부 갈고리체 (321A) 의 선단과 훅부 (321) 의 기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막대형상의 훅부 막대체 (321B) 로 이루어진다. 훅부 막대체 (321B) 는, 훅부 (321) 의 기부에 형성된 회전운동축 (321C) 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훅부 (321) 에는, 선재를 감아 형성된 스프링 부재 (321D) 가, 그 일단부가 훅부 막대체 (321B) 에 걸리고, 그 중간부가 회전운동축 (321C) 에 감기며, 그 타단부가 훅부 (321) 의 기부에 걸려 있다. 이 때문에, 훅부 막대체 (321B) 는, 훅부 (321) 외측 [도 33 의 (c) 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 을 향하여 항상 탄성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훅부 (321) 에 의하면, 미사용시에 있어서는, 도 33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도 33 의 (b) 및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부 막대체 (321B) 를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모발 다발 (H) 을 훅부 (321) 에 걸 수 있다. 또한, 모발 다발 (H) 을 훅부 (321) 에 걸면, 훅부 막대체 (321B) 는, 스프링 부재 (321D) 에 의한 탄성지지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 (훅부 (321) 선단에 맞닿는 위치) 로 되돌아간다. 이 때문에, 모발 다발 (H) 을 훅부 (321) 에 용이하게 걸 수 있음과 함께, 모발 다발 (H) 을 훅부 (321) 에 건 후에는 훅부 (321) 가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모발 다발 (H) 의 취급이 한층 더 용이하다.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부재는, 본체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구성되고 또 훅부를 일단부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것이면, 통형상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2장의 판형상 부재를 그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결합한 단면형상을 갖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육각형, 팔각형 등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모발 처리 기구를, 그 바람직한 1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처리 기구는, 도 36 및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의 개구부 (T1) 로부터 타단의 개구부 (T2) 를 향하여 모발 다발 (H) 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게 시트에 의해 구성된 편평형상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 (T) 와, 그 모발 유지구 (T) 의 내부에 모발 다발 (H) 을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키는 모발 삽입구 (1) 로 이루어지는 모발 처리 기구로서, 상기 모발 유지구 (T) 는, 소정 형상으로 감아 올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미리 세팅되어 있고, 상기 모발 삽입구 (1) 는,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에, 상기 일단의 개구부 (T1) 에서부터 상기 타단의 개구부 (T2) 를 향하여 삽입 통과함으로써 그 내부를 대략 직선형상으로 교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먼저, 본 실시형태의 모발 처리 기구에 있어서의 모발 유지구 (T) 에 관해서 상세히 서술한다. 모발 유지구 (T) 는, 도 3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의 개구부 (T1) 및 타단의 개구부 (T2) 를 갖는 통형상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 통형상체는, 2장의 직사각형상 시트를 그 길이방향을 따른 측가장자리부끼리를 접합시켜 형성되어 있다. 모발 유지구 (T) 의 크기는, 모발의 길이나 모발에 컬을 형성하고 싶은 장소, 삽입하는 모발 다발의 양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모발 유지구 (T) 의 통형상체는, 롤형상으로 감아 올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소정 수단에 의해 세팅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형상체는, 그 길이방향으로 잡아 편 상태 [도 34 의 (a) 참조] 로 하고, 그 상태로부터 해방시키면, 도 34 의 (b) 및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형상으로 감아 올려진 상태로 자발적으로 감아 올려지게 되어 있다.
모발 유지구 (T) 의 통형상체에 미리 컬링을 위해 세팅하기 위해서는, 그 구성 시트로서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간편하다. 그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여 통형상체에 롤형상으로 세팅을 하기 위해서는, 통형상체를 롤형상으로 감아 올리고, 소정 수단에 의해 그 감아 올림 형태를 유지하여, 그 상태하에 통형상체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면 된다.
이 모발 유지구 (T) 에 의하면, 통형상체 내에 모발을 삽입한 후, 잡아 편 상태에 있는 통형상체의 펴진 상태를 해제하면, 통형상체가 자발적으로 감아 올려진다. 따라서, 이 모발 유지구 (T) 에는 감아 올림 조작이 전혀 불필요하다. 또한, 클립 등과 같은 감아 올림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불필요하다는 이점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처리 기구에 있어서의 모발 삽입구 (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모발 삽입구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발 삽입구의 길이방향의 테이버 강성은, 바람직하게는 15mNㆍ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mNㆍm 이상이다.
본 실시형태의 모발 처리 기구에 있어서는, 모발 삽입구 (1) 가 높은 강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모발 삽입구 (1) 를 모발 유지구 (T) 의 통형상체의 내부에 일단의 개구부 (T1) 에서부터 타단의 개구부 (T2) 를 향하여 삽입하면, 통형상체의 내부를 대략 직선형상으로 교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처리 기구에서의 모발 삽입구에 있어서 「(내부를) 대략 직선형상으로」란, 기하학적으로 직선형상인 경우 뿐만 아니라, 모발의 삽입성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만곡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상체 (T) 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통형상체 (T) 의 두께 방향의 중심선 (C) 을 기준선으로 하고, 통형상체 (T) 의 일단의 개구부 (T1) 와 타단의 개구부 (T2) 의 거리 (L) 에 대한, 일단의 개구부 (T1) 와 타단의 개구부 (T2) 를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의 상기 중심선 (C) 의 최대 높이 (M) 의 비 (M/L) 가 0∼0.35 인 경우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34 에 나타내는 모발 유지구 (T) 와 도 1 에 나타내는 모발 삽입구 (1) 로 이루어지는 모발 처리 기구의 일 사용양태에 관해서, 도 3, 도 36 및 도 37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 (3) 를 하방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도 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다발 (H) 을 걸음부 (6) 의 빗살 (61) 에 건다. 이어서, 도 3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 (3) 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해서, 모발 다발 (H) 을 걸음부 (6) 에 건 상태로, 그 걸음부 (6) 와 슬라이딩 부재 (3) 에 의해 고정한다. 그리고, 모발 다발 (H) 이 고정된 상태의 모발 삽입구 (1) 를, 도 36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부재 (2) 의 타단부에서부터 모발 유지구 (T) 의 일단의 개구부 (T1) 에 삽입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모발 삽입구 (1) 는 충분히 큰 강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모발 삽입구 (1) 를 모발 유지구 (T) 의 통형상체의 내부에 삽입해 가면, 감아 올려진 상태의 모발 유지구 (T) 에 대하여 감아 올린 상태를 서서히 대략 직선형상으로 펼 수 있다.
또 모발 삽입구 (1) 를 판형상 부재 (2) 의 타단부가 모발 유지구 (T) 의 타단의 개구부 (T2) 로부터 노출될 때까지 모발 유지구 (T) 내에 삽입하면, 도 37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유지구 (T) 전체가 모발 삽입구 (1) 에 의해 대략 직선형상으로 펴지게 된다. 그리고, 도 37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 삽입구 (1) 를 모발 유지구 (T) 의 타단의 개구부 (T2) 로부터 빼낸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발 처리 기구에 있어서는, 모발의 삽입성 관점에서 미리 모발 유지구 속에 모발 삽입구를 삽입해 두고, 그 후 모발을 모발 삽입구에 세팅하여 모발 삽입구를 모발 유지구로부터 빼냄으로써 모발을 모발 유지구로 인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모발 삽입구 (1) 를 모발 유지구 (T) 의 일단의 개구부 (T1) 에서부터 타단의 개구부 (T2) 에 삽입 통과시키면, 모발 다발 (H) 의 선단이 모발 유지구 (T) 의 타단의 개구부 (T2) 로부터 조금 밀려 나온 상태가 된다. 그 후, 모발 유지구 (T) 는, 거기에 미리 실시된 세팅에 의해, 도 37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발적으로 감겨 올라간다. 그 결과, 모발 다발에 원하는 모양으로 컬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모발 처리 기구에 있어서는, 소정 형상으로 감아 올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세팅되어 있는 모발 유지구 (T) 내부에, 모발 다발 (H) 이 고정된 상태의 모발 삽입구 (1) 를 일단의 개구부 (T1) 에서부터 타단의 개구부 (T2) 를 향하여 그 내부를 대략 직선형상으로 교정하면서 삽입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모발 삽입구 (1) 를 모발 유지구 (T) 에 삽입하는 조작이 간편하여, 모발 삽입구 (1) 를 모발 유지구 (T) 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처리 기구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은 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모발 삽입구에서는 높은 강성으로 함으로써, 「통형상체의 내부에, 일단의 개구부에서부터 타단의 개구부를 향하여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그 내부를 대략 직선형상으로 교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모발 처리 기구에서의 모발 삽입구에 있어서는, 통형상체의 내부를 대략 직선형상으로 교정할 수 있으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모발 처리 기구에서의 모발 삽입구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판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단면의 부재, 삼각형 단면의 부재,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모발 처리 기구에서의 모발 유지구의 통형상체의 감아 올림 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소용돌이 스프링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어코디언 주름 형상, 지그재그 형상, 나선 형상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할 수 있다. 통형상체는, 그 형성 방법에 관해서 특별히 제한은 없고, 시트를 봉합, 융착 또는 접착하여 형성한 것일 수도 있고, 압출 성형 등에 의해 처음부터 편평한 통형상으로 형성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며,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 사이에서, 각 구성 요소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서로 치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의 모발 삽입구를 사용하여 모발 다발에 컬을 부여할 때에는, 퍼머넌트제를 사용하여 퍼머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일 방법으로, 본 발명의 퍼머 처리 방법의 1 실시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의 퍼머 처리 방법은,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모발 삽입구를 사용하여 모발 유지구 내부에 모발 다발을 삽입 통과시킨 후, 그 모발 유지구를 모발 다발과 함께 감아 올리고, 이 상태하에 퍼머넌트제를 그 모발 유지구를 향하여 부여하는 것이다 (도시 생략). 그렇게 함으로써 퍼머넌트제가 통형상체를 통하여 모발 다발에 널리 퍼진다. 소정 시간 후, 통형상체로부터 모발 다발을 빼내고, 머리를 감는 등하여 퍼머 처리를 완료한다. 모발 유지구가 퍼머넌트제에 대하여 비투과성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퍼머넌트제를 모발 유지구의 개구부로부터 그 내부에 공급하면 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퍼머넌트제를 모발 다발에 널리 퍼뜨릴 수 있다.
모발 유지구에 대한 모발 삽입구의 삽입성 평가 시험의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일단의 개구부에서부터 타단의 개구부를 향하여 모발 다발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게 시트에 의해 구성된 편평형상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의 내부에, 모발 다발을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키는 모발 삽입구로서, 모발 다발을 걸 수 있는 걸음부를 일단부에 갖는 길이가 긴 형상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걸음부에 모발 다발을 건 상태로, 상기 일단의 개구부에서부터 상기 타단의 개구부를 향하여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에 원활하게 삽입 통과되도록 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의 개구부에서부터 타단의 개구부를 향하여 모발 다발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게 시트에 의해 구성된 편평형상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와, 그 모발 유지구의 내부에 모발 다발을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키는 모발 삽입구로 이루어지는 모발 처리 기구로서, 상기 모발 유지구는, 소정 형상으로 감아 올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미리 세팅되어 있고, 상기 모발 삽입구는,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에, 상기 일단의 개구부에서부터 상기 타단의 개구부를 향하여 삽입 통과함으로써, 그 내부를 대략 직선형상으로 교정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모발 처리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발 삽입구를 사용하여, 모발 유지구의 내부에 모발 다발을 삽입 통과시킨 후, 그 모발 유지구를 모발 다발과 함께 감아 올리고, 이 상태하에 퍼머넌트제 (permanent waving preparation) 를 그 모발 유지구를 향하여 부여하거나, 또는 퍼머넌트제를 그 모발 유지구의 개구부로부터 그 내부에 공급하는 퍼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모발 유지구로서, 2장의 폴리에틸렌 부직포 (250㎛ 두께) 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테이버 강성이 0.09mNm 인 모발 유지구 (길이 25㎝, 폭 4㎝) 를 사용하였다. 모발 삽입구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시트 (1㎜ 두께) 로 이루어지고, 테이버 강성이 17.2mNm 인 모발 삽입구를 사용하였다.
상기 모발 삽입구를 상기 모발 유지구에 삽입하여 삽입성을 평가하였다. 삽입성의 평가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
○: 원활하게 삽입 가능하다
△: 원활하지는 않지만 삽입 가능하다
×: 삽입이 곤란하다
[비교예 1]
모발 삽입구로서, 폴리에틸렌 필름 (250㎛ 두께) 으로 이루어지고, 테이퍼 강성이 1.5mNㆍm 인 모발 삽입구를 사용하였다. 모발 유지구로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모발 유지구를 사용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삽입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2]
모발 삽입구로서, 나일론사 (φ 1㎜) 로 이루어지고, 테이버 강성이 1.6mNㆍm 인 모발 삽입구를 사용하였다. 한편, 테이버 강성은 환산치이다. 모발 유지구로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모발 유지구를 사용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삽입성을 평가하였다.
모발 삽입구 모발 삽입구의 강성 (테이버 강성)[mNㆍm] 강성의 배율 (모발 삽입구의 강성/모발 유지구의 강성) 공간 형성 부재 삽입성
실시예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시트 (1㎜ 두께) 17.2 191 있음
비교예1 폴리에틸렌 필름 (250㎛ 두께) 1.5 17 없음 ×
비교예2 나일론사 (φ 1㎜) 1.6 18 없음 ×
[표 1] 에 나타내는 평가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강성의 배율 (모발 삽입구의 강성/모발 유지구의 강성) 이 작은 경우에는 원활한 삽입성이 얻어지지 않고, 강성의 배율이 큰 경우에는 원활한 삽입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모발 삽입구에 의하면, 편평형상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의 내부에 모발 다발을 원활하고 또 용이하게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처리 기구에 의하면, 모발 삽입구를 모발 유지구에 삽입하는 조작이 간편하고, 모발 삽입구를 모발 유지구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또 모발 유지구를 교정함으로써 모발 유지구 내부에 대하여 모발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퍼머 처리 방법에 의하면, 상기 모발 삽입구를 사용하여 모발에 퍼머 처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Claims (32)

  1. 일단의 개구부에서부터 타단의 개구부를 향하여 모발 다발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게 시트에 의해 구성된 편평형상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의 내부에, 모발 다발을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키는 모발 삽입구로서,
    모발 다발을 걸 수 있는 걸음부를 일단부에 갖는 길이가 긴 형상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걸음부에 모발 다발을 건 상태로, 상기 일단의 개구부에서부터 상기 타단의 개구부를 향하여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에 원활하게 삽입 통과되도록 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음부에 모발 다발을 건 상태로, 상기 일단의 개구부에서부터 상기 타단의 개구부를 향하여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에 원활하게 삽입 통과되도록, 공간 형성 부재를 갖추고 있는 모발 삽입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강성이 상기 모발 유지구의 강성보다도 큰 모발 삽입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걸음부보다도 두께 및 폭이 큰 슬라이딩 부재이고, 그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걸음부 근방에, 상기 모발 삽입구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고,
    모발 다발을, 상기 걸음부에 건 상태로, 그 걸음부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경사부이고, 그 경사부는,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서부터 그 본체의 일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두꺼워지고 있는 모발 삽입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음부는, 여기에 건 모발 다발을 폭방향으로 펼치는 구조를 갖고 있는 모발 삽입구.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길이가 긴 형상의 상기 본체는, 상기 걸음부가 훅부인 대략 막대형상의 본체이고, 상기 공간 형성 부재는, 그 훅부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클로징 부재인 모발 삽입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징 부재는, 일단부에 빗살을 갖는 빗살 부재이고, 그 빗살 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고, 그 상기 빗살은, 그 선단이 상기 훅부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모발 다발을, 상기 훅부에 건 상태로 그 훅부와 상기 빗살에 의해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 부재는, 상기 본체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징 부재는, 상기 훅부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와 상기 클로징 부재는, 한 쌍의 사슴벌레 뿔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징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훅부를 향하여 항상 탄성지지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발 다발이 걸려 있는 상기 본체를 상기 모발 유지구 내부에 삽입한 후에, 그 본체가 그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저지하는 복귀 저지부가, 상기 본체의 두께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징 부재는, 외력에 의해 상기 훅부의 개구부가 개방되고 또 그 외력이 해제되면 그 반발 탄성력에 의해 그 훅부의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15. 제 1 항에 있어서, 모발 다발을 걸어 상기 모발 유지구의 내부에 삽입된 후에, 그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저지하는 복귀 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저지부는, 상기 모발 삽입구의 일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모발 삽입구.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삽입구의 최대 외주 길이가, 상기 모발 유지구의 횡단면의 내주 길이의 0.7∼1.0배인 모발 삽입구.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음부는, 모발 다발을 사이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삽입구는, 판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음부는, 그 판형상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물결모양으로 형성된 슬릿이고,
    상기 복귀 저지부는, 상기 판형상 부재의 타단부 근방의 일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판형상 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모발 유지구의 타단의 개구부로부터 빠져 나온 후에 그 판형상 부재가 그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면, 그 모발 유지구의 타단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에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삽입구는, 판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음부는, 그 판형상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병렬하여 연장되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이고,
    상기 복귀 저지부는, 상기 판형상 부재의 타단부 근방의 일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판형상 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모발 유지구의 타단의 개구부로부터 빠져 나온 후에 그 판형상 부재가 그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면, 그 모발 유지구의 타단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에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21.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삽입구는, 판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귀 저지부는, 그 판형상 부재의 폭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모발 삽입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삽입구는, 판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음부의 내측에 그 판형상 부재의 타단부를 향하여 세워서 형성한 빗살이 형성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23.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길이가 긴 형상의 상기 본체는, 상기 걸음부가 훅부인 대략 막대형상의 본체이고, 상기 공간 형성 부재는, 그 본체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구성되고 또한 그 훅부를 일단부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슬라이딩 부재이고,
    모발 다발을, 상기 훅부에 건 상태로 상기 훅부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본체를 내삽할 수 있는 통형상 부재인 모발 삽입구.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삽입구의 최대 외주 길이가, 상기 모발 유지구의 횡단면의 내주 길이의 0.7∼1.0배인 모발 삽입구.
  26.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훅부를 향하여 항상 탄성지지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27. 제 23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타단부와 상기 훅부 사이에, 원통형상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내삽할 수 있는 원통형상의 원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의 형상은, 그 원통부의 근방이 그 원통부의 외경과 동일 외경을 갖는 원기둥형상이고, 그 타단부의 근방이 그 타단부를 향하는 테이퍼형상이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원통부에 내삽되어 있는 모발 삽입구.
  29. 일단의 개구부에서부터 타단의 개구부를 향하여 모발 다발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게 시트에 의해 구성된 편평형상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모발 유지구와, 그 모발 유지구의 내부에 모발 다발을 삽입 또는 삽입 통과시키는 모발 삽입구로 이루어지는 모발 처리 기구로서,
    상기 모발 유지구는, 소정 형상으로 감아 올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미리 세팅되어 있고,
    상기 모발 삽입구는,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에서, 상기 일단의 개구부에서부터 상기 타단의 개구부를 향하여 삽입 통과함으로써, 그 내부를 대략 직선형상으로 교정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모발 처리 기구.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삽입구의 길이방향의 테이버 강성이 15mNㆍm 이상인 모발 처리 기구.
  31. 제 4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성이 상기 모발 유지구의 강성보다도 큰 모발 삽입구.
  32. 제 1 항에 기재된 모발 삽입구를 사용하여, 모발 유지구의 내부에 모발 다발을 삽입 통과시킨 후, 그 모발 유지구를 모발 다발과 함께 감아 올리고, 이 상태하에 퍼머넌트제를 그 모발 유지구를 향하여 부여하거나, 또는 퍼머넌트제를 그 모발 유지구의 개구부로부터 그 내부에 공급하는 퍼머 처리 방법.
KR1020057012907A 2003-01-15 2004-01-15 모발 삽입구 KR200500927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06511A JP4046618B2 (ja) 2003-01-15 2003-01-15 毛髪挿入具
JPJP-P-2003-00006510 2003-01-15
JP2003006512A JP4046619B2 (ja) 2003-01-15 2003-01-15 毛髪挿入具
JPJP-P-2003-00006511 2003-01-15
JPJP-P-2003-00006512 2003-01-15
JP2003006510A JP4526231B2 (ja) 2003-01-15 2003-01-15 毛髪挿入具
JP2003430952 2003-12-25
JPJP-P-2003-00430952 2003-12-25
JP2003430953A JP2005185533A (ja) 2003-12-25 2003-12-25 毛髪処理器具
JPJP-P-2003-00430953 2003-12-25
JPJP-P-2004-00006627 2004-01-14
JP2004006627A JP4342323B2 (ja) 2003-12-25 2004-01-14 毛髪挿入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744A true KR20050092744A (ko) 2005-09-22

Family

ID=3271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907A KR20050092744A (ko) 2003-01-15 2004-01-15 모발 삽입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70586B2 (ko)
EP (1) EP1584258B1 (ko)
KR (1) KR20050092744A (ko)
WO (1) WO20040624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830A (ko) * 2012-04-16 2015-01-07 물티메차스 에스.엘. 모발의 복수의 가닥들을 선택적으로 탈색 또는 염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4638B2 (ja) * 2004-09-03 2010-06-16 花王株式会社 毛髪保持具
US7252093B2 (en) * 2004-09-21 2007-08-07 Mario Rodriguez Hair extension methods and related devices
WO2007032235A1 (ja) * 2005-09-12 2007-03-22 Kao Corporation 毛髪保持具
GB2455716C (en) 2007-12-17 2013-02-20 Tf3 Ltd A hair styling aid
DE102009032154A1 (de) * 2009-07-07 2011-01-13 Geka Gmbh Applikator für Haarfärbemittel
GB201021458D0 (en) 2010-12-17 2011-02-02 Tf3 Ltd Hair styling device
GB201107671D0 (en) * 2011-05-09 2011-06-22 Sf3 Ltd Improved hair styling device
GB201210274D0 (en) 2012-06-11 2012-07-25 Tf3 Ltd Hair styling device
GB201302043D0 (en) 2013-02-05 2013-03-20 Debenedictis Alfredo Hair styling device
GB2519010B (en) 2014-03-07 2015-10-21 Hd3 Ltd Hair styling device
KR101606908B1 (ko) * 2015-09-11 2016-03-28 양희도 웨이브 퍼머장치
US10531717B2 (en) * 2016-09-28 2020-01-14 Hilary O'Hare Pliable assembly and method for restraining and curling hair
CA3153984A1 (en) 2018-06-15 2019-12-19 Japham Group Limited Hair styling device
GB2583924B (en) * 2019-05-13 2023-09-06 Corine Don George Hill Hair press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9721A (en) 1955-06-14 1958-01-14 Otho L Zak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hair dyeing
GB921911A (en) * 1958-11-21 1963-03-27 Sidney Riche Implement for curling hair
US3255765A (en) * 1962-10-16 1966-06-14 Jules H Heims Automatic coiling hair curler
JPS5476843A (en) 1977-11-26 1979-06-19 Kato Setsuo Production of frozen *ohagi*
JPS5515231A (en) 1978-07-19 1980-02-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JPH106609A (ja) 1996-06-26 1998-01-13 Nec Data Terminal Ltd プラテンギャップ自動調整方法およびプラテンギャップ 自動調整装置
JPH10192036A (ja) 1997-01-10 1998-07-28 White House Kk 毛髪巻取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毛髪巻取方法
EP1168940B1 (en) * 1999-03-30 2005-05-11 Alfredo De Benedictis Hair treatment device and method
US6295993B1 (en) * 2001-01-26 2001-10-02 Marc Ouellette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lighting hair
EP1417906A4 (en) * 2001-07-19 2009-08-05 Kao Corp HAIR TREATMENT DEVICE
JP3853264B2 (ja) 2001-07-19 2006-12-06 花王株式会社 毛髪処理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830A (ko) * 2012-04-16 2015-01-07 물티메차스 에스.엘. 모발의 복수의 가닥들을 선택적으로 탈색 또는 염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84258B1 (en) 2012-04-18
US7770586B2 (en) 2010-08-10
EP1584258A1 (en) 2005-10-12
EP1584258A4 (en) 2007-09-19
WO2004062421A1 (ja) 2004-07-29
US20060124148A1 (en)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92744A (ko) 모발 삽입구
US7500487B2 (en) Hair treating implement
US5778904A (en) Hair tie fastener
US8061368B2 (en) Hair holder with elastic friction member
JP4129536B2 (ja) 高適合性カテーテルアンカリングシステム
US7640939B2 (en) Curler for natural section of hair
JP3998529B2 (ja) 毛髪保持具
KR101822640B1 (ko) 주름개선용 실
JP2005324073A (ja) 毛髪処理器具
US6408858B1 (en) Hair curler/roller
TWI436749B (zh) 頭飾品用固定夾及頭飾品
US9080281B2 (en) Fabric pin
GB1601883A (en) Hair-curler
JP2003093133A (ja) 毛髪処理器具
JP4237673B2 (ja) 胃瘻形成管用伸展具
US6782896B1 (en) Hair lacing tool for decorative inserts
CN113194779B (zh) 发夹装置
JP4976211B2 (ja) 清掃用具
JP4707753B2 (ja) 毛髪挿入具
JP3037820U (ja) クリップコーム
JP4030283B2 (ja) 毛髪保持具
CN100493408C (zh) 毛发***工具
JP4707604B2 (ja) 毛髪保持具
JP3024973U (ja) クリップコーム
JP2003210251A (ja) 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