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5101A - 알칼리 토류 설페이트 나노입자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알칼리 토류 설페이트 나노입자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5101A
KR20050085101A KR1020057009204A KR20057009204A KR20050085101A KR 20050085101 A KR20050085101 A KR 20050085101A KR 1020057009204 A KR1020057009204 A KR 1020057009204A KR 20057009204 A KR20057009204 A KR 20057009204A KR 20050085101 A KR20050085101 A KR 20050085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particles
sulfate
barium
sulphate
synth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4359B1 (ko
Inventor
페르난도 이바라
크리스티안 마이어
스테판 하우볼드
토르스텐 하이델베르그
Original Assignee
나노솔루션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솔루션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나노솔루션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85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5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2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4X-ray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404X-ray contrast preparations containing barium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4X-ray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409Physical forms of mixtures of two different X-ray contrast-enhancing agents, containing at least one X-ray contrast-enhancing agent which is not a halogenated organic compound
    • A61K49/0414Particles, beads, capsules or spheres
    • A61K49/0423Nanoparticles, nanobeads, nanospheres, nanocapsules, i.e. having a size or diameter smaller than 1 micro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46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46Sulfates
    • C01F11/462Sulfates of Sr or B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5/00Compounds of magnesium
    • C01F5/40Magnesium sulf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01P2002/52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8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 C01P2002/84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by UV- or VIS- dat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22Rheological behaviour as dispersion, e.g. viscosity, sedimentation sta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73Nanoparticle, i.e. structure having three dimensions of 100 nm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73Nanoparticle, i.e. structure having three dimensions of 100 nm or less
    • Y10S977/775Nanosized powder or flake, e.g. nanosized cataly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Catalys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입자의 합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Z 설페이트(Z =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바륨(Ba) 또는 이들 2종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성 나노입자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액체 상 합성 혼합물내에서 Z 이온 재료와 설페이트 이온 재료로부터 결정성장에 의한 나노입자 합성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경이 작으며, 물 또는 그외 용매에서 일정하게 분산되는 황산바륨 나노입자를 간단하게 생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글리세린, 글리콜 에틸렌 및 그외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아콜 또는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와 같은 배위 용매를 합성 혼합물로 사용한다. 바람직한 예로서, 바륨은 염화물로 사용되고 설페이트 재료는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로겐 설페이트로 사용된다. 그외 금속성 도핑물질은 나노입자 네트워크에 궁극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합성시 염화물 형태로 또한 사용된다.

Description

알칼리 토류 설페이트 나노입자의 생산방법 {METHOD FOR PRODUCING ALKALINE EARTH SULPHATE NANOPARTICLES}
본 발명은 나노입자의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액체 상 합성 혼합물내에서 Z 이온 재료(source)과 황산 이온 재료으로부터 결정성장에 의해 나노입자를 합성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Z 설페이트(Z =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바륨(Ba) 또는 이들 2종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격자형의 나노입자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Z 설페이트(ZSO4) 입자를 생산하는 기존 방법은, 수계 용액에서의 침전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결과물의 초기 입자 크기는 약 100 ㎚에서 ㎜의 범위에 이른다. 생산방법에 의해, 이런 입자들은 집적되며, 목적한 각 기질에 균등하게 분산되지 않는다.
ZSO4는 도핑 물질(dopant)에 대한 공지의 주격자(host lattice)로, 형광체 산업에서 이용된다. 또한 플라스틱 산업에서 중요한 충진 물질이다. 당일 생산된 입자 집적물은 매우 커서 이들은 플라스틱의 광학 특성, 예를 들면 투명도가 변형되며, 귀찮은 과정없는 방식에(trouble free mean)의해서는 폴리머 기질에 통합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은, 나노입자의 표면을 각각의 기질에 적응시킨, 균등하게 분배되는 나노입자를 사용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특히 BaSO4는 X-레이 분석에서 대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독일 특허 제100 05 685호는 평균 입자 직경 d50이 100 내지 10,000 ㎚인 황산바륨 나노입자를 생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입자는 수계 용액에서 생산되며, 바람직하기로는 황산나트륨(Na2SO4) 또는 황산(H2SO4)가 함유된 용액상에서 생산된다.
이러한 방법의 단점은,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추가적인 단계, 즉 밀링 공정(젖은 밀링 공정)를 실시하지 않을 경우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은 입자를 생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합성된 입자는, 이들의 합성 혼합물에서 석출된 후 물에 즉각적으로 쉽게 분산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물에서의 분산성을 갖기 위해, 독일 특허 제100 05 685호는 추가적인 단계로서 입자의 표면에 유기 첨가제를 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추가적인 단계에 대한 3가지 대안들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A) 분리된 황산바륨 필터 케이크를 우선적으로 가공하여 페이스트로 형성하고 이후 첨가제를 혼합하거나, 또는
B) 상기 필터 케이크를 물에 현탁하고, 현탁액을 첨가제와 혼합하거나, 또는
C) 상기 필터 케이크를 건조한 다음 첨가제와 혼합하며, 이는 바람직하기로는, 첨가제가 출발 물질로서 고체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용액으로 제조한 상태에서의 스프레이 밀링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생산 방법은 첨가제를 가하는 후속적인 단계가 요구되는 어려운 방법이며, 만족할만한 수율을 얻지 못하며,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후속적인 밀링 공정이 는 요구된다.
도 1은 이가 알칼리 토류 설페이트 주격자에서의 망간 방사를 나타낸 것이다(MSO4: Eu, M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공정으로 평균 입자 직경이 매우 작으며 물에 균등하게 분산될 수 있는 황산바륨 나노입자를 생산하는 것이다.
발명의 이점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독립적인 청구항의 대상 물질은 황산바륨 나노입자뿐만 아니라 그외 알칼리 토류 설페이트 나노입자들, 즉 황산마그네슘, 황산칼슘 및 황산스트론튬 나노입자, 또는 이들 2종의 혼합 나노입자이다.
본 발명은, 액상 합성 혼합물에서 Z 이온 재료 및 설페이트 이온 재료로부터 결정성장에 의해 나노입자가 합성됨에 있어서, 입자성장에서 조절 성분으로 작용하는 배위 성질을 갖는 비-수계 용매를 포함하는 합성 혼합물내에서 특징화된, 알칼리 토류 설페이트, 예를들면 "Z 설페이트"(Z =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또는 바륨(Ba) - 또는 모든 혼합 비율로 혼합된 이들의 2종 혼합물)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격자형 나노입자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합성으로부터 제조된 입자는 0.5 내지 50 ㎚의 크기, 바람직하기로는 2 내지 30 ㎚의 크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20 ㎚의 크기를 나타내며, 50%, 바람직하기로는 20%,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15 %의 입도 분포를 갖는다.
설정된 반응 온도, 반응시간 또는 결과물 농도에 따라, 차별적 크기를 갖는 입자를 방법에 특이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입도 분포는 대개 성장 조절에 사용되는 분자 및 사용되는 용매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배위 용매의 주된 기능은 배위 용매가 없이 진행되는 합성에 비하여 결정 성장을 늦추는 것이므로, 실험에 관여하는 한, 전술한 조절 성장에 대한 방법-특이적 매개변수와 더불어 조절 매개변수로서 시간 인자를 혼합 용매에서 나노입자의 일시 정지 시간(dwelling time) 형태로, 도입할 수 있다.
간략하게,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및 그외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알콜 또는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와 같은 배위 용매가 본 발명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바륨은 바람직하기로는 염화물로 제공되며, 설페이트 재료는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로겐 설페이트로 제공된다. 또한 합성동안 나노입자의 격자에 선택적으로 통합될 수 있는 금속성 도핑 물질은, 바람직하기로는 염화물로 이용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는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평균 입자 2 내지 50 ㎚를 갖게끔 생산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후처리 공정없이 바람직한 방식으로 물에 균등하게 분산될 수 있다. 젖은 밀링 방식에 의해 합성되는 동안 매우 큰 집적물(㎛ 직경)이 형성되는 입자의 크기를 (최대 100 ㎚)로 감소시키는데 상당한 노력을 소요되므로, 본 발명은 도입부에 인용한 종래방법에 비하여 월등한 이점을 갖는다. 더욱이, 후처리 공정을 필요에 따라 실시하는 경우 그외 다수의 용매에 매우 잘 분산된다. 그 예로는 톨루엔과 클로로포름이 있다.
본 발명의 각각의 대상 물질의 유용한 확장 및 개선은 종속항에서 확인될 수 있다.
상기 합성 혼합물은 또한 비-배위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입자 크기는 전체 용매에서 이의 비율에 의존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하기한 바는 근본적으로 진실이다: 배위 용매를 거의 사용하지 않을수록 입자는 커진다.
합성 혼합물의 대부분의 용매가 배위 특성을 갖는다면, 대부분의 경우에서 50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갖는 입자가 생산될 수 있다.
아래 출발 물질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며, 매우 적절하다.:
Z 재료로써, ZCl2 * 2H2O, ZBr2 *2H2O, ZI2 * 2H2O 또는 Z(OH)2,
설페이트 재료로서,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비스(트리메틸실일) 설페이트, R1R2R3R4NHSO4 타입의 암모늄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암모늄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암모늄 설페이트, 알칼리 설페이트, 알칼리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아만타딘 설페이트, 에틸렌디암모늄 설페이트 및 하이드라지늄 설페이트,
및 도핑 물질의 재료로는, 금속 질산염, 금속 브롬화물, 또는 금속 요오드화이고, 바람직하기로는 금속 염화물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이용가능한 도핑 물질은 아래 1종의 이온이다:
Eu(II), Sn(II), Mn(II), Sb(II), Pb(II), Zn(II), Ti(II), V(II), Cu(II), Cd(II), Ce(III), Sm(III), Pr(III), Nd(III), Gd(III), Tb(III), Dy(III), Ho(III), Er(III), Tm(III), Yb(III), Lu(III), Eu(III), Bi(III), Ag(I), Cu(I), 또는 이들의 조합물,
바람직하기로는 조합 XY이며, 상기
X는 Eu(II), Sn(II), Mn(II), Sb(II), Pb(II), Zn(II), Ti(II), V(II), Cu(II), Cd(II)이고,
Y는 Ce(III), Sm(III), Pr(III), Nd(III), Gd(III), Tb(III), Dy(III), Ho(III), Er(III), Tm(III), Yb(III), Lu(III), Eu(III), Bi(III), Ag(I), Cu(I)이다.
목적한 크기에 도달한 합성 나노입자의 후처리는, 이후 용도에 따라 나노입자의 표면을 특이적으로 변성하기 위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적합하게 만들 수 있다. 상기 입자는 따라서 표면을 후속적인 화학적 변형 방식으로 가공하여, 목적한 기질에 균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나노입자 표면에서의 변형 분자의 예로서,
포스페이트, 바람직하기로는 트리세틸헥실 포스페이트 또는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아민, 바람직하기로는 도데실아민, 포스포네이트, 포스핀, 바람직하기로는 트리옥틸포스핀, 포스핀 옥사이드, 바람직하기로는 트리옥틸포스핀 옥사이드, 카르복시 산, 알콜, 바람직하기로는 다가 알콜, 유기 에스테르, 실란, 실록산, 식 RSO2R을 갖는 유기 설폰계 화합물, (R-(C=O)-R)의 유기 케톤계 화합물, (RCN)의 유기 니트릴계 화합물, (R2-SO2)의 유기 설폭사이드계 화합물, (R-(C=O)-NR'R 또는 R-(SO)-ONR'R)의 유기 아미드계 화합물, 또는 전술한 물질의 불소화성 변형, 바람직하기로는 불소화 알콜 및 가능성 있는 관련 물질들을,
실리콘 오일, 테플론, 플라스틱, 락커(lacquer), 페이트 등과 같이 대응되는 기질에서 변형 분자의 것과 유사한 것으로 선택된 기질내에서 표면-변형된 나노입자를 균질하고 미세하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변형 분자로서 특이적으로 선택 및 이용할 수 있다.
나노입자는 균질하게 분산되고, 정맥, 동맥 또는 그외 혈관을 차단하지 않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는바, 본원의 나노입자는 본 발명에서 수립한 입자의 작은 크기로 인하여 정맥내로 가해질 수 있다. 황산바륨 나노입자가 상자성체 요소나 또는 방사능 요소와 함께 도핑처리되는 경우, 이들은 생체내 진단학에서 보편적인 운반체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한 출발 물질은 하기 공급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SIGMA ALDRICH Chemic GmbH, Deisenhofen, Germany,
MERCK, Darmstadet, Germany and
STREM, Karlsruhe, Germany.
실시예들
1.
BaCl2 55 g을 바닥이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글리세린 300 ml로 용해하였다. 글리세린에 용해된 이미다졸 30 g을 바륨이 함유된 용액에 첨가하고, 적당한 열을 24시간 가하여 건조하였다. 동시에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73 g을 글리세린에 용해시키고, 하룻밤동안 건조시켰다. 두가지 용액 모두를 70 ℃에서 혼합한 다음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글리세린을 기준으로 0.5 배의 물을 첨가한 후, 합성된 황산바륨 입자를 이소프로판올로 세척하고, 에탄올로 침전시킨 다음 건조하였다. 평균 입자 크기 19 ㎚이고, 균질 입도 분포 약 22 %를 갖는 황산바륨 나노입자 약 60 g을 수득하였다.
2.
BaCl2 소량 1 g과 MnCl2 0.15 g을 에틸렌 글리콜에 용해하고, 50 ℃에서 하룻밤동안 건조하였다. EnCl3 0.07 g, 이미다졸 0.54 g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1.32 g을 제 2 용기내에서 용해한 후, 하룻밤동안 상온에서 건조하였다. 두가지 용액들을 상온에서 혼합하고 180 ℃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원심분리한 후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평균 입자 크기 10 ㎚이고, 균질 입도 분포 약 15 %를 갖는 BaSO4:MN, Eu 나노입자 약 1 g을 수득하였다. 유용한 방법으로, 이온으로서 Eu(II)를 격자에 통합하기 위하여, EuCl3를 출발 물질로 이용하였다. 이는 EuCl2를 출발 물질로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매우 값싸며, 간단하며 합성 성공율이 높다. 상기 방법은 또한 다량에 대해서도 상기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3.
BaCl2 0.92 g과 이미다졸 0.54 g을 물 및 메탄올이 1:1로 혼합된 혼합물이 있는 바닥이 둥근 플라스크내에서 용해하였다. 이후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25 ml을 첨가한 후, 상온 및 진공하에서 증류하여 물 및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DMSO에 용해된 Eu(II)Cl2 0.044 g과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1.32 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이후 170 ℃에서 0.5 시간 교반하였다. 평균 입자 크기 10 ㎚이고, 균질 입도 분포 약 20 %를 갖는 BaSO4:Eu++ 나노입자 약 1 g을 수득하였다.
상기 방법은 또한 다량에 대해서도 상기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4. 후처리 :
상기 1에서 생산된 황산바륨은, 변형 분자로서 도데실아민과 충분한 함량으로 -황산바륨에 대한 변형 분자의 중량 비율이 적어도 1:1 % 비율로 - 혼합하고, 바람직하기로는 혐기상태에서 도데실아민의 끓는점까지, 바람직하기로는 100 내지 300 ℃로 열을 가한 다음 0.1 내지 2 시간동안 일정하게 교반하였다. 그 결과 상기 나노입자는 톨루엔에 용해성을 갖는다.
5.
마그네슘/칼슘의 두 가지 혼합물; Mg, CaSO4:Eu(II), Mn(II)
MgCl2 0.305 g, CaCl2 0.329 g 및 MnCl2 0.158 g을 에틸렌 글리콜 25 ml내에서 금속염이 완전히 용해될때까지 상온에서 교반하였고, 50 ℃에서 진공하에서 하룻밤동안 건조하였다.
동시에, EuCl2 0.0446 g을 에틸렌 글리콜 3 ml에 용해시키고, 이미다졸 0.5446 g을 에틸렌 글리콜 3 ml에 용해시키고,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1.3242 g을 에틸렌 글리콜 10 ml에 용해시킨 다음 상온에서 하룻밤동안 건조하였다. 이미다졸 용액, Eu(II) 용액 및 설페이트 용액을 질소하에서, 상기 금속염에 첨가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혼합물은 이후 180 ℃로 열처리하고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제조된 침전물은 원심분리하고, 메탄올로 세척한 다음 건조하였다. 입자 크기는 10 내지 15 ㎚이고, 10 내지 20 %의 입도 분포를 갖는다.
상기 방법은 또한 다량에 대해서도 상기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가적인 효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마그네슘(Mg)의 첨가는 망간 방사에서 이동을 초래하여, 따라서 색상 발현이 변한다.
망간 형광 밴드의 위치는 격자-형성 알칼리 토류 이온에 의해 결정되며, 따라서 두가지 혼합물에 의해 밴드 이동이 초래될 수 있다. 이는 색 발현에서의 변화를 동반한다. 상기 결과로, 실시예에서와 같이 표 1의 약 16 ㎚의 방사 밴드의 이동이 발생되며, 따라서 약 576 ㎚에서 560 ㎚로 최대 방사가 이동된다.
황산칼슘 나노입자의 생산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바륨을 칼슘으로 화학량적인 적정 비율로 대체함으로써 나타낼 수 있다.
황산스트론튬 나노입자의 생산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바륨을 스트론튬으로 화학량적인 적정 비율로 대체함으로써 나타낼 수 있다.
황산마그네슘 나노입자의 생산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바륨을 마그네슘으로 화학량적인 적정 비율로 대체함으로써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끝
생산된 나노입자들의 용도:
상자기성 및 빛 흡수와 같은 이들의 물리적 성질에 따라 표적화되어 선별된 도핑물질은, 본 발명의 평균 입자 크기 0.5 내지 50 ㎚를 갖는 Z 황산염의 용도를 유기체 특히 식물에서의 엑스-레이 분석, 컴퓨터 토모그래피 분석, 자기 공명 이미지 분석 또는 형광 분석을 위한 생체내 진단 시약으로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로 활용가능하도록 함을 주지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순수 물질로서는 독성이 있는 다수의 도핑 물질이 나노입자의 주격자내에 통합된다면, 도핑 물질의 통합은 인체에 해롭지 않다. 극소 크기의 입자는 좁은 교차 부위를 막힘없이 흘러, 이들 나노입자를 운반하는 액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균 입자 크기 0.5 내지 50 ㎚를 갖는 Z 설페이트 나노입자는, 동위원소 진단에서 방사능 동위원소의 운반체 또는 주격자로서 이용될 수 있다.
평균 입자 크기 0.5 내지 50 ㎚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Z 설페이트 물질은, 광학적 성질의 손실없이 플라스틱의 기계적 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매우 작은 플라스틱 부분과 매우 얇은 필름의 충진 물질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의 흐름성 또는 그외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페인트 또는 락커에 이용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차 타이어, 필름베이스 또는 마스터 배치 및 컴파운드에 대한 중간 생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많은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50 ㎚에 이르는 Z 설페이트 입자에 대한 간단한 생산에 한정되지 않는다. 종래기술과는 달리 상기 나노입자는 간단하고 생산단가를 감소시키는 단일 단계로 제조되어, 입자 직경 d50>50 또는 d50>100 ㎚의 Z 설페이트 나노입자를 합성할 수 있는 상당한 이점이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상기 나노입자는 합성 혼합물내에 좀더 오래 방치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종속-청구항의 구성은 주어진 배열에 의한 것이 아닌 다른 것들과 필연적으로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다른 것에 독립적으로 제공된다.

Claims (10)

  1. 필수적으로 Z 설페이트(Z =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또는 바륨(Ba))로 이루어지는, 결정 격자 또는 도핑의 경우에는 주격자를 갖는 나노입자로서,
    상기 나노입자는 배위 특성을 갖는 비-수계 용매내에서 조절된 결정성장에 의해 수득될 수 있으며,
    평균 입자 크기 0.2 내지 50 ㎚를 가지며 물에 분산되는 특성을 갖는 나노입자.
  2. 필수적으로 Z 설페이트(Z =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또는 바륨(Ba))로 이루어지는, 결정 격자 또는 도핑의 경우에는 주격자를 갖는 나노입자의 생산방법으로서,
    상기 나노입자는 액체 상 합성 혼합물에서 Z 이온 재료(source) 및 설페이트 이온 재료로부터 결정성장에 의해 합성되고, 입자 성장에 있어서 조절 성분으로 작용하는 배위 특성을 갖는 비-수계 용매를 포함하는 합성 혼합물에서 특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생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알콜 또는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를 배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생산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배위 용매의 조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생산방법.
  5. 제 2항, 3항 또는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핑된 Z 설페이트 나노입자를 합성하기 위하여, 알칼리-작용 성분, 바람직하기로는 아민,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트리옥틸아민 또는 더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이미다졸을, 상기 합성 혼합물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생산방법.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는 망간-도핑된 Z 설페이트 나노입자 및 유러퓸(II)-도핑된 Z 설페이트 나노입자의 생산에 대한 용매로 사용되며, 이미다졸을 염기로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생산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혼합물은 비-배위 용매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생산방법.
  8.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혼합물의 용매 대부분은 배위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생산방법.
  9. 제 2항에 있어서,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비스(트리메틸실일) 설페이트, R1R2R3R4NHSO4 타입의 암모늄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암모늄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암모늄 설페이트, 알칼리 설페이트, 알칼리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아만타딘 설페이트, 에틸렌디암모늄 설페이트 및 하이드라지늄 설페이트 중 1종 이상이 설페이트 이온 재료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생산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아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나노입자 표면에 대한 변형 분자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합성된 나노입자에 열을 가하는 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생산방법:
    포스페이트, 바람직하기로는 트리세틸헥실 포스페이트 또는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아민, 바람직하기로는 도데실아민,
    포스포네이트, 포스핀, 바람직하기로는 트리옥틸포스핀,
    포스핀 옥사이드, 바람직하기로는 트리옥틸포스핀 옥사이드,
    카르복시 산,
    알콜, 바람직하기로는 다가 알콜,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폴리글리콜,
    유기 에스테르, 실란, 실록산, RSO2R을 갖는 유기 설폰계 화합물, (R-(C=O)-R)의 유기 케톤계 화합물, (RCN)의 유기 니트릴계 화합물, (R2-SO2)의 유기 설폭사이드계 화합물, (R-(C=O)-NR'R 또는 R-(SO)-ONR'R)의 유기 아미드계 화합물, 또는 전술한 물질의 불소화성 변형, 바람직하기로는 불소화 알콜.
KR1020057009204A 2002-11-21 2003-11-19 알칼리 토류 설페이트 나노입자의 생산방법 KR101014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54567.7 2002-11-21
DE10254567A DE10254567A1 (de) 2002-11-21 2002-11-21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rdalkalisulfatnanopartikel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101A true KR20050085101A (ko) 2005-08-29
KR101014359B1 KR101014359B1 (ko) 2011-02-15

Family

ID=3230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204A KR101014359B1 (ko) 2002-11-21 2003-11-19 알칼리 토류 설페이트 나노입자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288239B2 (ko)
EP (1) EP1562860B1 (ko)
JP (1) JP4593283B2 (ko)
KR (1) KR101014359B1 (ko)
CN (1) CN100354207C (ko)
AT (1) ATE507188T1 (ko)
AU (1) AU2003287872B2 (ko)
CA (1) CA2505511C (ko)
DE (2) DE10254567A1 (ko)
ES (1) ES2361247T3 (ko)
HK (1) HK1085453A1 (ko)
RU (1) RU2338690C2 (ko)
WO (1) WO20040460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48074A1 (en) * 2002-07-16 2004-02-02 Futaba Corporation Composite nanop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969017B (zh) * 2004-05-04 2012-05-30 纳米技术应用中心(Can)股份有限公司 制备可分散的硫酸盐、优选硫酸钡纳米粒子的方法
JP2006213822A (ja) * 2005-02-03 2006-08-17 Keio Gijuku 微粒蛍光体の製造方法
DE102006027915B4 (de) 2006-06-17 2010-08-26 K+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g(OH)2-Nanopartikeln
DE102007001393A1 (de) * 2007-01-09 2008-07-10 Deutsches Krebsforschungszentrum Stiftung des öffentlichen Rechts Beschichtete Bariumsulfatnanopartikel als Kontrastmittel
US8178069B2 (en) * 2008-04-28 2012-05-15 Ube Material Industries, Ltd. Basic magnesium sulfate granule,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CN102277156B (zh) * 2011-04-29 2013-10-09 北京工商大学 一种电子俘获材料的制备方法
CN102675922B (zh) * 2012-05-23 2013-12-25 贵州红星发展股份有限公司 亚微米级球状硫酸锶、其制备及应用
US8945494B1 (en) * 2013-05-24 2015-02-03 University Of Puerto Rico Synthesis of calcium sulfide (CaS) nanoparticles
CN106698496A (zh) * 2016-12-30 2017-05-24 安徽壹石通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亚微米硫酸钡粉体的制备方法
CN113998726B (zh) * 2021-12-08 2023-07-28 安徽壹石通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中空硫酸钡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3377C2 (de) * 1987-02-05 1994-05-19 Metallgesellschaf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ltrafeinem Bariumsulfat durch Fällung
DE3718277A1 (de) * 1987-05-30 1988-12-15 Metallgesellschaf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riumsulfat mit chemoreaktiver oberflaeche
DE3810423A1 (de) * 1988-03-26 1989-10-12 Metallgesellschaft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DE3825774A1 (de) * 1988-07-29 1990-02-01 Metallgesellschaf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ltrafeinem bariumsulfat
JPH04372712A (ja) * 1991-06-24 1992-1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媒体
JP3162818B2 (ja) 1992-09-08 2001-05-08 花王株式会社 硫酸バリウムの製造方法
JP3067585B2 (ja) * 1994-06-13 2000-07-17 堺化学工業株式会社 板状硫酸バリウム及びその製法
US5698483A (en) * 1995-03-17 1997-12-16 Institute Of Gas Technology Process for preparing nanosized powder
DE19926216A1 (de) * 1999-06-09 2001-02-22 Metallgesellschaf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riumsulfat, Bariumsulfat und Verwendung des Bariumsulfats
DE19934517A1 (de) 1999-07-22 2001-01-25 Max Planck Gesellschaft Polyreaktionen in nichtwässrigen Miniemulsionen
JP2001048533A (ja) * 1999-08-17 2001-02-20 Shikoku Chem Corp 石膏繊維の製造方法
DE10005685A1 (de) 2000-02-09 2001-08-23 Sachtleben Chemie Gmbh Bariumsulfat,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DE10026791A1 (de) * 2000-05-31 2001-12-06 Solvay Barium Strontium Gmbh Mikronisiertes Bariumsulfat
WO2002020695A1 (de) 2000-09-08 2002-03-14 Nanosolutions Gmbh Dotierte nanopartik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313655D1 (de) 2011-06-09
AU2003287872A1 (en) 2004-06-15
US7288239B2 (en) 2007-10-30
ES2361247T3 (es) 2011-06-15
CN1714046A (zh) 2005-12-28
US20060133987A1 (en) 2006-06-22
EP1562860A2 (de) 2005-08-17
WO2004046035A3 (de) 2005-01-13
CA2505511C (en) 2012-05-08
RU2005119161A (ru) 2006-01-20
EP1562860B1 (de) 2011-04-27
KR101014359B1 (ko) 2011-02-15
JP2006507203A (ja) 2006-03-02
WO2004046035A2 (de) 2004-06-03
RU2338690C2 (ru) 2008-11-20
HK1085453A1 (en) 2006-08-25
JP4593283B2 (ja) 2010-12-08
ATE507188T1 (de) 2011-05-15
CN100354207C (zh) 2007-12-12
DE10254567A1 (de) 2004-06-09
AU2003287872B2 (en) 2010-04-22
CA2505511A1 (en) 200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3697B2 (en) Phosphor and production process for the same
KR101014359B1 (ko) 알칼리 토류 설페이트 나노입자의 생산방법
US8721926B2 (en) Single-source precursor for semiconductor nanocrystals
KR101187663B1 (ko) 인듐포스파이드 양자점 코어 및 인듐포스파이드/황화아연 코어-쉘 양자점 합성 방법
Qi et al. A Novel, Luminescent, Silica‐Sol–Gel Hybrid Based on Surfactant‐Encapsulated Polyoxometalates
DE2061114A1 (de) Zusammengesetzte Metallhydroxyd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20100101105A (ko) 가용성 나노결정의 무-용매 합성
JPH06171914A (ja) 希土類燐酸塩の製造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生成物
DE4447578A1 (de) Ternäre Lithium-Mischoxid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KR20110082452A (ko) 이온성 액체로 캡핑된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13996A (ko) 나노결정, 특히 AgInS2-ZnS 나노결정의 광루미네선스 내부 양자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DE4318530A1 (de) Kolloidale Vanadiumoxid-Dispersio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antistatischer Überzüge
Cang et al. Immobilized CdS quantum dots in spherical polyelectrolyte brushes: Fabrication, characterization and optical properties
US20090015919A1 (en) Nanosized Euse Cryst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950004771B1 (ko) 암모늄 희토류 이중 옥살산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희토류 산화물
CN108622937B (zh) 一种利用无表面活性剂微乳液合成钼酸钡微米和/或纳米材料的方法
WO2020231280A1 (en) Method of preparation of zinc oxide nanoparticles, zinc oxide nanoparticles obtained by this method and their use
RU241786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аночастиц халькогенидов металлов
DE102014108142B4 (de) Mit einer oder mehreren Koordinationsverbindungen der Seltenen Erden belegter Nanodiamant und dessen Verwendung als lumineszierendes Material in Schichten und Formkörper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20170124173A (ko)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산화물 분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화물 분말
SU1752521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марганец-цинковых ферритовых порошков
JP2004250498A (ja) 絶縁体超微粒子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薄膜状成形体
Khitrov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formation mechanisms of inorganic nanomaterials
Zhang Surface Chemistry Of Lead and Lead Free Metal Halide Nanocrystals
KR20090076211A (ko) 유기 용매에 분산된 나노 크기의 카드뮴 및 카드뮴칼코게나이드 입자 콜로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