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612A - 휴대용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612A
KR20050079612A KR1020040036698A KR20040036698A KR20050079612A KR 20050079612 A KR20050079612 A KR 20050079612A KR 1020040036698 A KR1020040036698 A KR 1020040036698A KR 20040036698 A KR20040036698 A KR 20040036698A KR 20050079612 A KR20050079612 A KR 20050079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inged
connecting rod
hing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3389B1 (ko
Inventor
노주석
Original Assignee
노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주석 filed Critical 노주석
Priority to KR1020040036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389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3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안정된 구조를 갖는 지지대결합체 구조를 제공하여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성이 우수한 휴대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01)에 의해 개폐가능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탄성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0)과; 상기 회전축(110)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에 지지봉(121)이 설치되는 스크린(120)과; 상기 지지봉(121)의 중앙에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케이스(100)의 바닥 중앙에 고정된 축고정플레이트(104)에 힌지결합되는 지지대결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결합체는 2개의 마름모꼴이 연결된 형상을 갖는 지지대결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스크린 장치{PORTABLE SCREEN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특히 안정된 구조를 갖는 지지대결합체 구조를 제공하여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성이 우수한 휴대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프로젝션 TV를 포함한 프로젝터 또는 영사기로부터 확대, 투영되는 영상은 스크린 상에 반사에 의해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나타난다. 이러한 스크린은 천, 종이, 합성수지 등의 표면에 빛의 반사효율이 우수한 도료를 도포한 것이 많으나, 우량, 영사스크린의 구비조건으로는 투영된 영상을 선명하게 반사시켜야 하고, 색의 재현이 충실하며, 반사율이 높아 광범위한 영역에서 고르고 밝게 보여야 하며, 적당한 지향성(指向性)이 있어야 하는 것 등이 요구된다. 종래의 경우, 스크린들은 주로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되며, 이들 고정식 스크린들은 필요에 따라 천정 또는 벽면 등에 수납된 상태에서 인출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식 스크린은 휴대를 할 수 없기 때문에 필요한 공간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절첩이 가능한 휴대용 스크린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 대표적인 형태의 하나로는 단순히 영사막인 스크린을 벽에 걸어서 사용하거나 또는 삼발이 형태의 받침대를 구성시키고, 이 받침대에 스크린을 걸쳐놓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들이 초기에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사용이 불편하고, 사용 후, 보관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장소를 옮겨야 할 경우, 스크린을 벽 등에 걸기 위하여 못을 박거나, 삼발이 형태의 받침대에 걸치는 경우에서는 받침대가 무거워야 안정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스크린을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등 사용 및 보관 등이 크게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스크린이 별도 보관되는 경우, 취급상의 부주의로 스크린이 구겨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종래에는 케이싱에 팬터그래프 형태의 승강수단을 구비시키고 이를 스프링이나 가스리프터 등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크린을 승강시키는 휴대용 장치가 제안되었으며,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팬터그래프 타입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 장치는 케이싱(300)을 구비하는 바, 이때의 케이싱(300)의 상부로는 팬터그래프(pantograph) 형태로 복수개의 아암(310, 311, 312)들이 "x"자형으로 배치되어 절첩 가능하게 힌지(h)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되어지며, 이들 아암(310, 311, 312)의 최상단 측에 스크린(400)의 상단이 감겨진 스크린봉(330)이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스크린(400)의 하단은 케이싱(300)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케이싱(300)의 상부면에는 한 쌍의 판스프링(320)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300)에 근접하게 배치된 아암(310)을 탄성 지지하는 구조이며, 상기 상, 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아암(310, 311) 사이에는 가스리프터(350)의 양단이 힌지(h) 결합되어 신장력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는 스크린봉(330)을 케이싱(300)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가스리프터(350)의 신장력에 의해 팬터그래프 형태로 마련된 복수개의 아암(310, 311, 312)들이 각 힌지(h)점에서 회동하여 결과적으로 스크린봉(330)이 승강을 이루어 도면에서와 같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종래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는 팬터그래프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개의 아암(310, 311, 312)들을 가스리프터(350)의 신장력을 이용하여 펼침으로써 스크린(400)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는 단순히 가스리프터(350)의 가스압력이 낮아지는 경우, 스크린(400)을 원활하게 펼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크린(400)을 완전히 펼치지 않고 임의의 위치에서 제한적인 크기로 펼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안정된 구조를 갖는 지지대결합체 구조를 제공하여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성이 우수한 휴대용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 장치는, 커버에 의해 개폐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탄성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에 지지봉이 설치되는 스크린과; 상기 지지봉의 중앙에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케이스의 바닥 중앙에 고정된 축고정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는 지지대결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결합체는 좌하장지지대, 우하단지지대, 좌하단지지대 및 후하단지지대의 각 단부들 중 일측단부들이 상기 축고정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하장지지대의 타측단부에 좌중간지지대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하장지지대의 타측단부에 우중간지지대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중간지지대의 타측단부에 우상단지지대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중간지지대의 타측단부에 좌상단지지대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좌하단지지대의 타측단부에 우향연결봉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향연결봉의 타측단부는 상기 우중간지지대의 중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하단지지대의 타측단부에 좌향연결봉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향연결봉의 타측단부는 상기 좌중간지지대의 중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하단지지대와 우향연결봉의 연결점과 상기 우하장지지대의 타측단부 사이가 제1스프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우하단지지대와 좌향연결봉의 연결점과 상기 좌하장지지대의 타측단부 사이가 제2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우향연결봉의 상기 우중간지지대에의 힌지결합 위치와 상기 좌향연결봉의 상기 좌중간지지대에의 힌지결합 위치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우향연결봉의 상기 우중간지지대에의 힌지결합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중간지지대와 상기 좌중간지지대가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과 상기 우하장지지대의 단부의 중간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대결합체의 상단에 상단걸이구가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단걸이구에 상기 지지봉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결합체의 상단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상단걸이구는 그 내부에 제1마찰체와 제2마찰체가 서로 마주보게 하여 기준축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마찰체의 배면에 밀착하는 조정레버의 단부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는 압축스프링이 상기 기준축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고, 상기 조정레버가 레버힌지축에 의해 상기 상단걸이구 본체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봉을 고정시키는 봉고정체가 상기 상단걸이구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01)에 의해 개폐가능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탄성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0)과; 상기 회전축(110)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에 지지봉(121)이 설치되는 스크린(120)과; 상기 지지봉(121)의 중앙에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케이스(100)의 바닥 중앙에 고정된 축고정플레이트(104)에 힌지결합되는 지지대결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결합체는 좌하장지지대(130), 우하단지지대(140), 좌하단지지대(150) 및 후하단지지대의 각 단부들 중 일측단부들이 상기 축고정플레이트(104)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하장지지대(130)의 타측단부에 좌중간지지대(210)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하장지지대(160)의 타측단부에 우중간지지대(220)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중간지지대(210)의 타측단부에 우상단지지대(240)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중간지지대(220)의 타측단부에 좌상단지지대(230)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좌하단지지대(150)의 타측단부에 우향연결봉(170)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향연결봉(170)의 타측단부는 상기 우중간지지대(220)의 중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하단지지대(140)의 타측단부에 좌향연결봉(180)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향연결봉(180)의 타측단부는 상기 좌중간지지대(210)의 중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하단지지대(150)와 우향연결봉(170)의 연결점과 상기 우하장지지대(160)의 타측단부 사이가 제1스프링(200)으로 연결되고, 상기 우하단지지대(140)와 좌향연결봉(180)의 연결점과 상기 좌하장지지대(130)의 타측단부 사이가 제2스프링(190)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서는 보다 안정적이며, 가스리프터 등을 사용치 않고도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도록 스크린(1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로서 2개의 마름모꼴이 연결된 형상을 갖는 지지대결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커버(101)에 의해 개폐가능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탄성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0)과; 상기 회전축(110)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에 지지봉(121)이 설치되는 스크린(120)들은 종래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의 그것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케이스(100)의 안정적인 직립을 위한 지지다리(10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커버(101)에는 휴대를 간편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10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다 안정적이고 사용이 간편한 스크린(120)의 지지를 위한 지지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결합체의 구조를 사용한 점에 특징이 있으며, 상기 지지대결합체는 좌하장지지대(130), 우하단지지대(140), 좌하단지지대(150) 및 후하단지지대의 각 단부들 중 일측단부들이 상기 축고정플레이트(104)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하장지지대(130)의 타측단부에 좌중간지지대(210)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하장지지대(160)의 타측단부에 우중간지지대(220)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중간지지대(210)의 타측단부에 우상단지지대(240)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중간지지대(220)의 타측단부에 좌상단지지대(230)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좌하단지지대(150)의 타측단부에 우향연결봉(170)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향연결봉(170)의 타측단부는 상기 우중간지지대(220)의 중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하단지지대(140)의 타측단부에 좌향연결봉(180)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향연결봉(180)의 타측단부는 상기 좌중간지지대(210)의 중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하단지지대(150)와 우향연결봉(170)의 연결점과 상기 우하장지지대(160)의 타측단부 사이가 제1스프링(200)으로 연결되고, 상기 우하단지지대(140)와 좌향연결봉(180)의 연결점과 상기 좌하장지지대(130)의 타측단부 사이가 제2스프링(190)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좌하장지지대(130), 우하단지지대(140), 좌하단지지대(150) 및 후하단지지대의 각 단부들 중 일측단부들의 상기 축고정플레이트(104)에의 힌지결합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좌하장지지대(130), 우하단지지대(140), 좌하단지지대(150) 및 우하장지지대(160)의 순으로 그 각 단부들이 상기 축고정플레이트(104)의 제1핀홀(105)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좌하장지지대(130), 우하단지지대(140), 좌하단지지대(150) 및 우하장지지대(160)의 각 단부들에는 핀홀들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축고정플레이트(104)에 형성된 제1핀홀(105)을 통해 제1고정핀(106)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좌하장지지대(130), 우하단지지대(140), 좌하단지지대(150) 및 우하장지지대(160)들이 상기 축고정플레이트(104)에 힌지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지지대결합체의 하단은 모두 상기한 축고정플레이트(104)의 제1핀홀(105) 한 점에 집중되어 위치되므로 스크린(120)의 상하로의 가변시 가하는 힘이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안정적인 펼침 및 접음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좌하장지지대(130)의 타측단부의 상기 좌중간지지대(210)의 일측단부에의 힌지결합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하장지지대(130)의 단부에 형성된 좌하장힌지돌부(131)에 제2핀홀(132)을 형성시키고, 상기 좌중간지지대(210)의 단부에 형성된 좌중간힌지돌부(212)에 제3핀홀(213)을 형성시키고, 상기 좌중간힌지돌부(212)를 상기 좌하장힌지돌부(131) 내에 삽입시킨 후, 상기 제2핀홀(132)과 상기 제3핀홀(213)을 모두 관통하도록 하여 제2고정핀(133)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핀(133)에는 또한 상기 제2스프링(190)의 걸이구(191)가 연결되어 상기 제2스프링(19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우하장지지대(160)의 타측단부의 상기 우중간지지대(220)의 일측단부에의 힌지결합 역시 스프링의 결합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바의 도 4에서의 힌지결합과 동일하게 구성됨은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좌중간지지대(210)의 타측단부에의 상기 우상단지지대(240)의 일측단부의 힌지결합 및 상기 우중간지지대(220)의 타측단부에의 상기 좌상단지지대(230)의 일측단부의 힌지결합들 역시 스프링의 결합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바의 도 4에서의 힌지결합과 동일하게 구성됨은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하단지지대(150)의 타측단부에의 상기 우향연결봉(170)의 일측단부의 힌지결합 및 상기 우하단지지대(140)의 타측단부에의 상기 좌향연결봉(180)의 일측단부의 힌지결합 역시 스프링의 결합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바의 도 4에서의 힌지결합과 동일하게 구성됨은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좌향연결봉(180)의 타측단부의 상기 좌중간지지대(210)의 중단에의 힌지결합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중간지지대(210)의 중단에 일체로 고정된 중간힌지형성체(211)에 형성된 중간힌지돌부(214)에 제4핀홀(215)을 형성시키고, 상기 좌항연결봉의 단부에 제5핀홀(181)을 형성시키고, 상기 좌향연결봉(180)의 단부를 상기 중간힌지형성체(211)의 중간힌지돌부(214) 내에 삽입하여 상기 제4핀홀(215)과 제5핀홀(181)들을 일치시킨 후, 이들 제4핀홀(215)과 제5핀홀(181)을 모두 관통하도록 하여 제3고정핀(216)을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우향연결봉(170)의 타측단부의 상기 우중간지지대(220)의 중단에의 힌지결합 역시 상기한 바의 도 5에 나타낸 힌지결합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결합체가 임의의 높이에서 항상 그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좌하단지지대(150)와 우향연결봉(170)의 연결점과 상기 우하장지지대(160)의 타측단부 사이가 제1스프링(200)으로 연결되고, 상기 우하단지지대(140)와 좌향연결봉(180)의 연결점과 상기 좌하장지지대(130)의 타측단부 사이가 제2스프링(190)으로 연결된다. 이들 제1스프링(200)과 제2스프링(190)은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스프링의 인장에 대한 수축력을 제공하여 상기 좌하장지지대(130)와 우하장지지대(160)가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려는 경향을 억제함으로써 즉, 좌하장지지대(130)의 단부가 우하단지지대(140) 방향으로, 그리고 우하장지지대(160)의 단부가 좌하단지지대(150)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함으로써,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결합체가 신장된 상태에서는, 이들 좌하장지지대(130)와 우하장지지대(160)가 더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특히, 상기 제1스프링(200) 및 제2스프링(190)은 본 발명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를 완전히 접었을 때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개방된 부위가 향하는 п자의 형상(도 5에 좌향연결봉(180)으로 도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좌향연결봉(180)과 우향연결봉(170)에 각각 수납되게 되어 스프링의 손상을 방지토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스프링(200)은 우향연결봉(170)에, 그리고 상기 제2스프링(190)은 좌향연결봉(180)에 각각 수납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크린(120)을 임의의 높이까지 연장시킨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120)을 높이 올린 상태에서는 상기 좌하장지지대(130)와 우하장지지대(160) 간의 각도가 좁아지며, 스크린(120)을 낮추면 상기 좌하장지지대(130)와 우하장지지대(160) 간의 각도가 넓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들 좌하장지지대(130)와 우하장지지대(160)는 각각 상기 제1스프링(200) 및 제2스프링(190)과 상기 좌향연결봉(180) 및 우향연결봉(170)의 상호작용에 의해 힘의 평형상태를 이루면서 임의의 위치에서 안정되게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우향연결봉(170)의 상기 우중간지지대(220)에의 힌지결합 위치와 상기 좌향연결봉(180)의 상기 좌중간지지대(210)에의 힌지결합 위치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힌지결합의 위치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스프링(200) 및 제2스프링(190)과 상기 좌향연결봉(180) 및 우향연결봉(170)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좌하장지지대(130)와 우하장지지대(160)들이 서로 힘의 평형상태를 이루면서 임의의 위치에서 안정되게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우향연결봉(170)의 상기 우중간지지대(220)에의 힌지결합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중간지지대(220)와 상기 좌중간지지대(210)가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과 상기 우하장지지대(160)의 단부의 중간에 위치한다. 이 위치에서의 힌지결합에 의해 상기 제1스프링(200) 및 제2스프링(190)과 상기 좌향연결봉(180) 및 우향연결봉(170)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좌하장지지대(130)와 우하장지지대(160)들이 서로 힘의 평형상태가 최적의 상태를 이루면서 임의의 위치에서 안정되게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결합체의 상단에 상단걸이구(250)가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단걸이구(250)에 상기 지지봉(121)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단걸이구(25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스크린(120)이 펼쳐지면서 동시에 상기 지지대결합체도 인장되어 스크린(120)을 일정한 높이에서 위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크린(120)의 일정 높이에서의 높이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토록 하여 상기 지지대결합체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결합체의 상단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상단걸이구(25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상단걸이구(25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제1마찰체(251)와 제2마찰체(252)가 서로 마주보게 하여 기준축(253)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마찰체(252)의 배면에 밀착하는 조정레버(255)의 단부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는 압축스프링(254)이 상기 기준축(253)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고, 상기 조정레버(255)가 레버힌지축(256)에 의해 상기 상단걸이구(250) 본체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봉(121)을 고정시키는 봉고정체(257)가 상기 상단걸이구(250)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마찰체(251)와 제2마찰체(252)는 각각 상기 지지대결합체의 상단을 구성하는 상기 좌상단지지대(230)와 우상단지지대(240)의 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상단걸이구(25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스크린(120)을 펼침에 있어서 상기 상단걸이구(250)의 조정레버(255)를 상기 봉고정체(257) 쪽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2마찰체(252)가 상기 제1마찰체(251)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좌상단지지대(230)와 우상단지지대(240)가 서로에 대하여 쉽게 가변되도록 하여 지지대결합체의 높이를 임의의 높이로 가변되도록 한 후, 원하는 임의의 위치까지 지지대결합체가 신장된 경우, 상기 조정레버(255)를 놓아줌으로써 상기 기준축(253)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압축스프링(254)이 상기 제2마찰체(252)를 상기 제1마찰체(251) 쪽으로 압박하여 서로 마찰되도록 함으로써 이들 제1마찰체(251)와 제2마찰체(252)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상기 좌상단지지대(230)와 우상단지지대(240)가 더 이상 가변되지 않도록 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안정된 구조를 갖는 지지대결합체 구조를 제공하여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성이 우수한 휴대용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스크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에서 하단의 힌지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에서 지지대들의 단부에서의 힌지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에서 지지대들의 중단에서의 힌지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에서 스크린의 상하가변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로서 지지대결합체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에서 스크린의 상하가변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로서 지지대결합체가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단 브레이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스 101 : 커버 102 : 지지다리
103 : 손잡이 104 : 축고정플레이트 105 : 제1핀홀
106 : 제1고정핀 110 : 회전축 120 : 스크린
121 : 지지봉 130 : 좌하장지지대 131 : 좌하장힌지돌부
132 : 제2핀홀 133 : 제2고정핀 140 : 우하단지지대
150 : 좌하단지지대 160 : 우하장지지대 170 : 우향연결봉
180 : 좌향연결봉 181 : 제5핀홀 190 : 제2스프링
191 : 걸이구 200 : 제1스프링 210 : 좌중간지지대
211 : 중간힌지형성체 212 : 좌중간힌지돌부 213 : 제3핀홀
214 : 중간힌지돌부 215 : 제4핀홀 216 : 제3고정핀
220 : 우중간지지대 230 : 좌상단지지대 240 : 우상단지지대
250 : 상단걸이구 251 : 제1마찰체 252 : 제2마찰체
253 : 기준축 254 : 압축스프링 255 : 조정레버
256 : 레버힌지축 257 : 봉고정체

Claims (5)

  1. 커버에 의해 개폐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탄성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에 지지봉이 설치되는 스크린과; 상기 지지봉의 중앙에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케이스의 바닥 중앙에 고정된 축고정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는 지지대결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결합체는 좌하장지지대, 우하단지지대, 좌하단지지대 및 후하단지지대의 각 단부들 중 일측단부들이 상기 축고정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하장지지대의 타측단부에 좌중간지지대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하장지지대의 타측단부에 우중간지지대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중간지지대의 타측단부에 우상단지지대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중간지지대의 타측단부에 좌상단지지대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좌하단지지대의 타측단부에 우향연결봉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향연결봉의 타측단부는 상기 우중간지지대의 중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하단지지대의 타측단부에 좌향연결봉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향연결봉의 타측단부는 상기 좌중간지지대의 중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하단지지대와 우향연결봉의 연결점과 상기 우하장지지대의 타측단부 사이가 제1스프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우하단지지대와 좌향연결봉의 연결점과 상기 좌하장지지대의 타측단부 사이가 제2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향연결봉의 상기 우중간지지대에의 힌지결합 위치와 상기 좌향연결봉의 상기 좌중간지지대에의 힌지결합 위치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향연결봉의 상기 우중간지지대에의 힌지결합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중간지지대와 상기 좌중간지지대가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과 상기 우하장지지대의 단부의 중간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결합체의 상단에 상단걸이구가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단걸이구에 상기 지지봉이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결합체의 상단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상단걸이구는 그 내부에 제1마찰체와 제2마찰체가 서로 마주보게 하여 기준축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마찰체의 배면에 밀착하는 조정레버의 단부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는 압축스프링이 상기 기준축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고, 상기 조정레버가 레버힌지축에 의해 상기 상단걸이구 본체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봉을 고정시키는 봉고정체가 상기 상단걸이구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장치.
KR1020040036698A 2004-05-24 2004-05-24 휴대용 스크린 장치 KR100543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698A KR100543389B1 (ko) 2004-05-24 2004-05-24 휴대용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698A KR100543389B1 (ko) 2004-05-24 2004-05-24 휴대용 스크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767U Division KR200348134Y1 (ko) 2004-02-05 2004-02-05 휴대용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612A true KR20050079612A (ko) 2005-08-10
KR100543389B1 KR100543389B1 (ko) 2006-01-20

Family

ID=3726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698A KR100543389B1 (ko) 2004-05-24 2004-05-24 휴대용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338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4726A (zh) * 2016-09-29 2016-11-23 绵阳图致信息科技有限公司 投影幕布收纳装置
CN106154727A (zh) * 2016-09-29 2016-11-23 绵阳图致信息科技有限公司 上下限位的投影幕布收纳装置及其使用方法
CN106154725A (zh) * 2016-09-29 2016-11-23 绵阳图致信息科技有限公司 便携式投影幕布支架
CN106168732A (zh) * 2016-09-29 2016-11-30 绵阳图致信息科技有限公司 投影幕布收纳装置及其使用方法
CN106200242A (zh) * 2016-09-29 2016-12-07 绵阳图致信息科技有限公司 上下限位的投影幕布收纳装置
CN106249533A (zh) * 2016-09-29 2016-12-21 绵阳图致信息科技有限公司 使用状态平稳的投影幕布支架
CN106292157A (zh) * 2016-09-29 2017-01-04 绵阳图致信息科技有限公司 使用状态平稳的投影幕布支架及其使用方法
KR20210000043U (ko) * 2019-06-27 2021-01-07 강신범 대형 스크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383B1 (ko) 2005-03-16 2012-08-29 최해용 이중축 구조의 휴대용 스크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4726A (zh) * 2016-09-29 2016-11-23 绵阳图致信息科技有限公司 投影幕布收纳装置
CN106154727A (zh) * 2016-09-29 2016-11-23 绵阳图致信息科技有限公司 上下限位的投影幕布收纳装置及其使用方法
CN106154725A (zh) * 2016-09-29 2016-11-23 绵阳图致信息科技有限公司 便携式投影幕布支架
CN106168732A (zh) * 2016-09-29 2016-11-30 绵阳图致信息科技有限公司 投影幕布收纳装置及其使用方法
CN106200242A (zh) * 2016-09-29 2016-12-07 绵阳图致信息科技有限公司 上下限位的投影幕布收纳装置
CN106249533A (zh) * 2016-09-29 2016-12-21 绵阳图致信息科技有限公司 使用状态平稳的投影幕布支架
CN106292157A (zh) * 2016-09-29 2017-01-04 绵阳图致信息科技有限公司 使用状态平稳的投影幕布支架及其使用方法
CN106154725B (zh) * 2016-09-29 2017-10-31 重庆硕奥科技有限公司 便携式投影幕布支架
CN106200242B (zh) * 2016-09-29 2017-12-01 重庆硕奥科技有限公司 上下限位的投影幕布收纳装置
CN106292157B (zh) * 2016-09-29 2017-12-01 重庆硕奥科技有限公司 使用状态平稳的投影幕布支架及其使用方法
CN106249533B (zh) * 2016-09-29 2018-02-27 洛阳师范学院 使用状态平稳的投影幕布支架
CN106154726B (zh) * 2016-09-29 2018-04-27 湖南城市学院 投影幕布收纳装置
KR20210000043U (ko) * 2019-06-27 2021-01-07 강신범 대형 스크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3389B1 (ko) 200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389B1 (ko) 휴대용 스크린 장치
KR100705063B1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JP5038492B2 (ja) 可搬式スクリーン装置
JPH0869057A (ja) 可搬式スクリーン
CA1316886C (en) Adjustable stand for supporting a lamp housing
KR200348134Y1 (ko) 휴대용 스크린 장치
US7426077B2 (en) Portable screen device
KR980000240A (ko) 접는 우산
JPH03118625A (ja) ディジタイザタブレット
JP5297354B2 (ja) 物干し器
KR101110161B1 (ko)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KR100317721B1 (ko)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KR20020003916A (ko) 휴대용 스크린장치
KR200208685Y1 (ko) 휴대용 스크린장치
KR100757301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100583621B1 (ko) 책상 상판의 틸팅 장치
JP4043302B2 (ja) 物干し器
KR200315843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200350802Y1 (ko) 휴대용 스크린 장치
JP2585915Y2 (ja) 天井収納はしご
KR200336923Y1 (ko) 책상 상판의 틸팅 장치
JP2518322Y2 (ja) 揺動体の釣合装置
KR200382991Y1 (ko) 광고 게시대
KR20000004172U (ko)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KR200298872Y1 (ko) 휴대용 스크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521

Effective date: 2008102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