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6050A - 액정상 치아 미백제 - Google Patents

액정상 치아 미백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6050A
KR20050046050A KR1020030080028A KR20030080028A KR20050046050A KR 20050046050 A KR20050046050 A KR 20050046050A KR 1020030080028 A KR1020030080028 A KR 1020030080028A KR 20030080028 A KR20030080028 A KR 20030080028A KR 20050046050 A KR20050046050 A KR 20050046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oxide
tooth whitening
whitening agent
tooth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2709B1 (ko
Inventor
김종호
김종윤
송준엽
윤세영
장석윤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80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709B1/ko
Publication of KR20050046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7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82Copolymers of 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상 치아 미백제에 관한 것으로, 치아에 도포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얻도록 된 조성물로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폴리머, 과산화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액정상 치아 미백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선택적으로 글리세롤 트리올레이트를 첨가하여 기본 약제로 하고, 형상 또는 부착력 조절의 목적으로 고분자 화합물을 더하여 제조되어, 도포 전에는 유동성을 가져 바르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도포된 후에는 타액 등의 수분에 의해 고형화하여 부착, 고정되며, 치아에 도포된 후 치아 미백용 성분인 과산화수소, 과탄산나트륨 등의 과산화물이 서방성으로 방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상 치아 미백제{LIQUID-CRYSTAL TOOTH WHITENER}
본 발명은 액정상 치아 미백제에 관한 것으로, 치아에 도포할 때는 액상으로 바르기 쉽고, 구강 타액 등의 수분이 유입되면 제제의 점도가 증가하여 치아에 부착 및 고정될 수 있으며, 치아에 부착된 동안에는 미백 효능을 가진 물질이 치아 표면으로 서서히 방출되어 치아 미백 효과를 발휘하는 제형에 관련된다.
인체에서 구강의 3대 기능으로는 저작 기능과 발음 기능, 심미 기능을 들 수 있다. 구강 건강은 이러한 3대 기능이 적절히 발휘되어 육체적 건강 뿐 아니라, 사회 활동과 정신 작용에 장애가 되지 않는 구강 조직의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구강 건강은 주로 치아우식증과 치주조직병 같은 구강상병에 의하여 파괴되기도 하지만, 특정 구강상병에 의하지 않아도 구강 기능이 손상될 수 있는데, 착색 등으로 인한 미용 기능의 상실이 그 대표적인 경우라 할 수 있다. 즉, 약물 복용이나 커피 등의 음료, 식이 및 화장품과 같이 구강상병이 아닌 기타 착색 요인에 의하여 치아가 착색되면 치아의 미용 기능이 상실되어 사회활동과 정신작용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미용 기능 상실로 인한 정신 장애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용 효과가 있는 물질을 치약이나 도포제, 부착제 등에 배합하는 등의 다양한 국내외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이와 관련된 연구의 결과로서, 종래에는 미백 성분이 함유된 젤과 치아와의 충분한 반응 시간을 확보하고자 치아 형태를 본떠서 만든 고무 댐(dam) 또는 트레이(tray)를 사용하여 치아 미백을 시술해 왔다. 그러나 전문가 시술용 치아 미백 프로그램에서든 가정용 또는 OTC용 프로그램에서든, 고무 댐 또는 트레이를 반복 취급, 세척, 충전, 설치 및 착용하는 것에 의하여 구강 연조직이 손상되거나 젤이 위장 내로 소실되는 등의 피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제형이 소개되거나 특허로도 출원되어 공개되어 있으며, 국내특허출원 제1999-7011451호 및 제2001-7011679호는 그 대표적인 것이다. 여기에서는 고무 댐 또는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에틸렌 스트립 위에 과산화물이 함유된 젤을 도포한 제제를 제시하고 있는데, 치아에 오랜 시간 동안 과산화물을 접촉시킬 수 있고 치아 미백 스트립을 착용할 때 격렬하지 않는 사회활동도 가능하다는 장점을 제시한다.
이들 제제는 스트립 위에 과산화물이 함유된 젤층을 치아에 부착하여 사용감을 개선시켰으나, 치간, 즉 치아와 치아 사이에 미백 성분이 효율적으로 도달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미백 효능이 떨어질 뿐 아니라, 치아에 부착은 가능하지만 타액이 유입되면 혀 또는 입술의 운동으로 스트립이 쉽게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들 제제에서는 스트립 형태가 고정되어 변형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특정 치아에 선택적으로 미백 효과를 얻고자 할 때 효율이 떨어지거나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이상과 같은 단점을 개선하고자 한 것으로 액상의 치아 미백제가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액상 제형으로 판매되는 제품은 치아에 도포한 후 타액에 의해서 쉽게 희석, 소실되는 경향이 있어 그 효능 발휘가 미미하다.
이 밖에, 미국특허 제6,589,512호에서는 유기실록산(organosiloxane) 레진을 이용한 반고형 제형으로 제조한 치아 미백제를 개시하고 있다. 이 제형은 타액에 의해서 희석, 소실되지 않으면서도 유동성을 갖고 있어 치아 사이의 미백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장기간 부착할 수 있어 미백 성분을 서방형으로 방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기실록산 레진을 치아에 응용하고자 할 때는 유동성을 조절하기 위해 휘발성이 강한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레진을 분산시켜야 하는데, 유기용매가 휘발하면 바르기가 곤란해져 제형을 적용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유기용매를 과하게 사용하여 도포할 때에는 자극적인 향취가 유발되고, 도포한 후 건조될 때까지 치아를 노출시켜야 한다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치아 미백 제형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아에 도포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이룰 수 있는 적절한 물성을 갖는 치아 미백 제형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즉, 종래의 스트립 형태 및 유기실록산 레진 제제에서의 단점을 보완한 제형으로, 구강 내의 원하는 부위에 약제를 쉽게 도포할 수 있으며, 도포되는 약제가 치아에 부착 및 고정되어, 장시간 동안 방출되도록 한 제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을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치아에 도포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얻도록 된 조성물로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폴리머, 과산화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상 치아 미백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제는, 치아 미백 효능 물질을 치아 표면에 전달하기 위해 약제를 치아에 도포할 때 쉽게 바를 수 있고, 치아에 도포된 후에는 쉽게 고정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치아 미백 시스템을 완성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기본 약제로 사용하였다.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경우,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온도와 수분의 함량에 따라 액정을 형성하며 그 환경에 따라 형태 및 물성을 달리 한다. 즉, 계면활성제 등의 상변화를 보면 라멜라(lamellar) 상 또는 역상 미셀 (micell) 상, 역상 육각형(hexagonal) 상에서는 유동성이 있어서 치아의 표면 등에 도포하거나 적용하기 쉬운 형태를 가지나, 온도의 변화나 수분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구조가 입방체(cubic) 상으로 변화하면서 고형화되어 유동성이 없어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액정의 물성 변화를 제형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에서는 약제가 치아에 부착된 동안 미백 효능을 가진 물질이 치아 표면에 서서히 방출되는데, 타액 등에 의해 흡수가 된 후 점도가 상승하여 미백성분이 치아와 접촉하는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제에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기본 약제로 하여, 구강 내 조건에 의해 액정의 상 중에서 입방체(cubic) 상으로의 변화를 유도하여 치아에 고정되고 부착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구강에서의 체온과 구강 타액 등의 수분 유입에 의해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기본 약제가 고형화되고 점도가 증가되어 치아에 도포된 약제가 부착 및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즉, 치아에 도포할 때는 유동성이 적절하여 치아에 도포하기 편하도록 하고, 치아에 도포된 후에는 타액의 유입에 의해서 점도가 빨리 상승하여 치아에 고정이 되어 부착이 잘 되도록 한 것으로, 구강 조건에서 쉽게 희석되거나 소실되지 않는다. 또한, 선택적으로 글리세롤 트리올레이트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상 치아 미백제에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는 제제 내에 약 5 내지 95%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제형의 형태를 갖추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의 양으로 첨가된다.
여기에서, 액정상 치아 미백제의 물성, 특히 치아 도포 전후의 점도 변화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함량의 물 또는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가 필요하다. 즉, 기본 약제 내에서 물 또는 알코올 등의 함량을 조절하면 점도가 상승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치아 미백제에 있어서 불소 성분이나 인산염 등을 제제 내에 적용시키고자 할 때는 수분 함량을 조절해야 용이하게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치아 미백제에서 물 또는 알코올의 사용량은 약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의 범위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상 치아 미백제에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기본 약제의 물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고분자 화합물, 즉 폴리머를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 부착력이 우수한 폴리머를 첨가하거나, 온도의 변화에 다른 거동을 보이는 폴리머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제형의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소량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여도 제형의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중요하다. 또한, 유동성의 변화나 고형화에 필요한 수분 함량이 고분자 화합물 첨가량에 따라 달라지므로 여기에 사용하는 폴리머가 중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액정상 치아 미백제에서 고분자 화합물은 0.1 내지 30%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고, 제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의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액정상 치아 미백제에 사용할 수 있는 폴리머는 다음과 같다: 비이온성 폴리머 계열로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록사머(poloxamer),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vinyl 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ethyl cellulose), 폴리옥스(polyox) 등, 음이온성 폴리머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카르복시프로필 셀룰로오스(carboxypropyl cellulose)와 이의 염으로 된 폴리머, 잔탄 검(xanthan gum), 카라게난 검(carrageenan gum), 알지네이트 검(alginate gum) 등, 기타 폴리머류로 카라얀 검(karayan gum), 아라비아 검(arabic gum)과 이의 염 유도체, 및 젤라틴(gelatin), 합성 폴리머로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카보폴(carbopol),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 (PVM/MA copolymer: Gantrez AN 119, AN 139, S-97)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상 치아 미백제에서 치아 미백 성분으로는 과산화수소, 과산화물 염으로서 과탄산염, 과붕산염, 그리고 과산화요소, 과인산피로인산나트륨, 그리고 폴리머류로 폴리비닐피롤리돈-과산화수소 복합체, 그리고 무기 금속 과산화물염으로서 고체로서는 과산화칼슘(CaO2), 과산화바륨(BaO2), 과산화마그네슘 (MgO2), 과산화나트륨(Na2O2), 과산화칼륨(Ka2O2)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미백제 성분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우월한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상 치아 미백제에서는 치아 미백 성분을 조성물의 0.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75 내지 30%의 농도로 첨가할 수 있다. 위 과산화물이 고체 또는 분말일 경우 수분에 미리 용해 또는 분산시켜 조제하면 더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상 치아 미백제는 과산화물 안정성에 유리하면서, 구강용품, 특히 치아 미백제에 적합하도록 pH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pH 조절 기능이 있는 안정화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안정화제는 보존시 pH 변화를 억제하고 구강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는 pH 조절 기능이 있는 물질로, 과산화물과 상용성이 뛰어난 금속-콤플렉스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과산화물 상용성이 좋은 안정화제는 축합인산염(polyphosphate)으로 피로인산나트륨 (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산성 피로인산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 SAPP), 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SHMP), 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STP), 피로인산나트륨칼륨(sodium potassium tripolyphosphate, SKTP),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TKPP), 울트라메타인산염(acidic sodium meta-polyphosphate), 산성폴리인산나트륨(acidic sodium polyphosphate), 또는 금속-킬레이트제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페이트 및 이의 염, 하이드록시에틸렌디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안정화제의 사용량은 과산화물에 대하여 100:1 내지 1:10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축합인산염은 치석 생성 억제나 치석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미백 효과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도 이들을 함유한 경우 치아 표면이나 치아 사이사이가 깨끗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치아 미백제는 앞서 언급된 성분 외에 향, 표백활성화제 또는 치아우식증 억제제, 잇몸질환 개선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제형의 형상 유지 및 과산화물의 안정성에 변화를 주는 일 없이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향은 대표적으로 페퍼민트, 스페어민트, 멘톨, 시트러스, 허브 등, 표백활성화제는 산화티탄, 전이금속-콤플렉스, TAED(tetraacetyl ethylene diamine) 등, 치아우식증 억제제로는 불화나트륨(NaF), 불화칼슘(CaF2) 등, 잇몸 질환 개선제로는 죽염, 초산토코페롤, 비타민 D,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alantoin chlorohydroxy aluminum), 트리클로산(triclosan), 자일리톨(xylitol), 칼슘글리세롤포스페이트, 아미노카프론산, 트로닉아민, KNO3,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monoflurophosphate), 효소(enzyme) 등이 사용 가능하다.
이상 언급된 성분들을 사용함으로써 사용감을 개선하고 부가 기능이 부여된 새로운 제형의 치아 미백 전달 시스템이 완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로, 치아미백 효능 물질을 치아 표면에 전달하기 위하여 약제를 치아에 도포하였을 때 치아에 부착되고 고정되도록 한다. 즉, 구강 타액 등의 수분이 유입되면서 약제의 점도가 증가되어 치아에 부착 및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치아에 도포하는 과정에서는 유동성이 적절하여 치아에 도포하기 편리하고, 이에 따라 치아 사이, 즉 치간에도 미백성분이 쉽게 전달되며, 치아에 도포된 후에는 타액의 유입에 의해서 점도가 빨리 상승하여 치아에 고정이 되고 부착이 잘 되도록 함으로써, 구강 조건에서 쉽게 희석되거나 소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둘째로, 약제가 치아에 부착된 동안 미백 효능을 가진 물질이 치아 표면으로 서서히 방출되도록 한다. 즉, 타액 등의 수분이 유입되면서 점도가 상승하여 치아에 부착된 후에는 약제 내부의 치아 미백 성분이 치아에 부착한 동안 서서히 방출되며, 이에 의해 미백 성분이 치아와 접촉하는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과산화수소 6%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77%
폴록사머 5%
피로인산나트륨 3%
향료(flavor) 0.5%
정제수 8%
에탄올 0.5%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약 50℃ 근방에서 액화시키면서 나머지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 및 에탄올을 마지막에 넣고 균질화시켜 본 발명에 따른 액정상 치아 미백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과탄산나트륨 20%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67%
글리세롤 트리올레이트 5%
폴리비닐피롤리돈 2%
산성피로인산나트륨 2%
트리클로산 0.1%
불화나트륨 2%
정제수 2%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를 약 50℃ 근방에서 액화시키면서, 산성피로인산나트륨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 및 에탄올을 마지막에 넣고 균질화시켜 본 발명에 따른 액정상 치아 미백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과산화요소 20%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70%
하이드록시프로필 4%
피로인산나트륨 2%
향료 0.5%
산화티탄 0.1%
정제수 3%
에탄올 0.4%
비교예 1
치아부착층 젤: 카보폴 12%, 과산화수소 4.5%, 산성피로인산나트륨 0.48%, 글리세린 80%, 정제수로 100%를 맞춤
지지층: 폴리에틸렌 스트립
위 형태의 스트립형 제제
비교예 2
유기실록산 레진 25%
실리콘 검 4.2%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혼합물 17%
벤톤 클레이 1%
과탄산나트륨 17%
위 처방을 갖는 유기실록산 레진을 이용한 반고형 제제
효과 실험예 1: 점도변화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제제에 대하여 수분 유입 전과 후의 점도 변화를,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Viscometer)를 이용하여 RVT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점 도(cps)
수분 유입 전 5000~11000
수분 유입 후(제제 대비 100% 정제수 첨가) 70000~90000
위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수분의 유입으로 점도가 상승하고 경화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효과 실험예 2: 방출 시험
인산염을 이용하여 완충액을 제조한 후, 미국 약전에 수재된 방출시험법에 따라 방출 시험을 시행하였다. 즉, 500 ㎖ 완충액을 35℃로 유지하고, 패들을 25 rpm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제제에 대하여 각각 방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완충액 중의 과산화수소를 측정하여 각 제제마다 방출률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시간 5분 30분 1시간
실시예 2 30±10% 50±20% 70±20%
비교예 1 80±10% 100% 100%
위 표 2에서 보듯이 실시예의 제제는 비교예의 제제와 비교할 때 방출되는 속도가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효과 실험예 3: 사용 편리성 시험
20~40 대의 건강한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3과 비교예 2의 제제 견본을 배포하고 도포 및 맛 등의 사용 편리성에 관해 채점하도록 하였다(5점 만점으로 평가).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3 (n=30) 비교예 2 (n=30)
사용 편리성 4.1 3.3
위 표 3의 결과에서 보듯이, 두 군간의 사용편리성에 대한 평가를 통계처리 하였을 때 실시예의 제제가 사용감 면에서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p<0.01).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상 치아 미백제는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선택적으로 글리세롤 트리올레이트를 첨가하여 기본 약제로 하고, 형상 또는 부착력 조절의 목적으로 고분자 화합물을 더하여 제조되어, 도포 전에는 유동성을 가져 바르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도포된 후에는 타액 등의 수분에 의해 고형화하여 부착, 고정되며, 치아에 도포된 후 치아 미백용 성분인 과산화수소, 과탄산나트륨 등의 과산화물이 서방성으로 방출될 수 있다.

Claims (12)

  1. 치아에 도포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얻도록 된 조성물로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폴리머, 과산화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상 치아 미백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록사머(poloxamer),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vinyl 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ethyl cellulose), 폴리옥스(polyox),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카르복시프로필 셀룰로오스(carboxypropyl cellulose)와 이의 염으로 된 폴리머, 잔탄 검(xanthan gum), 카라게난 검(carrageenan gum), 알지네이트 검(alginate gum), 카라얀 검(karayan gum), 아라비아 검(arabic gum)과 이의 염 유도체, 젤라틴(gelatin),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카보폴(carbopol),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이 과산화수소, 과탄산염, 과붕산염, 과산화요소, 과인산피로인산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과산화수소 복합체, 과산화칼슘(CaO2), 과산화바륨(BaO2), 과산화마그네슘 (MgO2), 과산화나트륨(Na 2O2), 과산화칼륨(Ka2O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4. 제 1 항에 있어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양이 조성물 전체의 5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5. 제 4 항에 있어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의 양이 조성물 전체의 3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용매가 물 또는 알코올이고, 조성물 전체의 1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용매가 조성물 전체의 2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8.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머의 양이 조성물 전체의 0.1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9. 제 8 항에 있어서, 폴리머의 양이 조성물 전체의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10. 치아에 도포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얻도록 된 조성물로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폴리머, 과산화물, 과산화물 안정화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11. 제 10 항에서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 안정화제가 pH 조절기능이 있는 것으로, 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산성 피로인산나트륨 (sodium acid pyrophosphate, SAPP), 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SHMP), 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STP), 피로인산나트륨칼륨 (sodium potassium tripolyphosphate, SKTP),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TKPP), 울트라메타인산염(acidic sodium meta-polyphosphate), 산성폴리인산나트륨(acidic sodium polyphosphate),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페이트 및 이의 염, 하이드록시에틸렌디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 안정화제를 과산화물에 대하여 100:1 내지 1:10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제.
KR1020030080028A 2003-11-13 2003-11-13 액정상 치아 미백제 KR100782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028A KR100782709B1 (ko) 2003-11-13 2003-11-13 액정상 치아 미백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028A KR100782709B1 (ko) 2003-11-13 2003-11-13 액정상 치아 미백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050A true KR20050046050A (ko) 2005-05-18
KR100782709B1 KR100782709B1 (ko) 2007-12-05

Family

ID=3724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028A KR100782709B1 (ko) 2003-11-13 2003-11-13 액정상 치아 미백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7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8602A1 (en) * 2005-03-18 2006-09-21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Tooth whitener
WO2014017724A1 (ko) * 2012-07-25 2014-01-3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의 변색 및 착색 방지를 위한 치아 미백 유지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6142B2 (en) * 2001-06-23 2005-09-20 Lg Household & Healthcare Ltd. Multi-layer patches for teeth whitening
KR100796385B1 (ko) * 2001-12-29 2008-01-2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건조 박막형 치아미백제
KR100440241B1 (ko) * 2003-04-30 2004-07-14 아이큐어 주식회사 치아 미백용 패취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8602A1 (en) * 2005-03-18 2006-09-21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Tooth whitener
WO2014017724A1 (ko) * 2012-07-25 2014-01-3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의 변색 및 착색 방지를 위한 치아 미백 유지제
KR101423230B1 (ko) * 2012-07-25 2014-07-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의 변색 및 착색 방지를 위한 치아 미백 유지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709B1 (ko)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7029B2 (ja) 歯牙美白剤
US9782338B2 (en) Adhesive dental bleach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vinylpyrrolidone
RU2384326C2 (ru) Композиции гидрогеля с эродируемой подложкой
RU2106136C1 (ru) Пленкообразующая жидкая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пособ внешнего и внутреннего отбеливания зубов,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гингивита и зубного камня
RU2412688C2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ая кислород-выделя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JP2007505135A5 (ko)
JP2007008931A (ja) オーラルケア組成物、用具、および、同組成物および用具の使用法
JP2007515385A (ja) 歯の白色化を維持または向上するための組成物、方法、デバイスおよびキット
JP2008504334A (ja) 歯のホワイトニング組成物
KR100633682B1 (ko) W/o 에멀젼 타입의 치아 미백제
KR100662203B1 (ko)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AU2003290923A1 (en) Controlled-dissolving polymeric device for the oral cavity
KR101154935B1 (ko) 액정상의 치아 미백제
US20100172846A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bleaching teeth
JP4828025B2 (ja) 歯牙知覚過敏症の治療用の含フッ化第一錫組成物
EP2056787B2 (en) Denture care composition
KR100623859B1 (ko)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US20120134936A1 (en) Tooth Whitener
JP5614020B2 (ja) 歯磨組成物
KR100782709B1 (ko) 액정상 치아 미백제
KR100657127B1 (ko)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KR20190048854A (ko) 필름형 치약
KR20160148308A (ko) 과산화물 캡슐
KR20060081532A (ko) 점착성이 강화된 액체형 치아미백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