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385B1 - 건조 박막형 치아미백제 - Google Patents

건조 박막형 치아미백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385B1
KR100796385B1 KR1020010088418A KR20010088418A KR100796385B1 KR 100796385 B1 KR100796385 B1 KR 100796385B1 KR 1020010088418 A KR1020010088418 A KR 1020010088418A KR 20010088418 A KR20010088418 A KR 20010088418A KR 100796385 B1 KR100796385 B1 KR 100796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whitening
tooth
whitening agent
thin film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9552A (ko
Inventor
엄기안
오준교
신호철
김정태
김웅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385B1/ko
Publication of KR20030059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박막형 치아미백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 보관 시에는 점착력이 없으며, 치아 부착 시 치아 표면의 침에 의해 수화되어 점착력을 가지는 고분자 내에 치아미백 활성물질을 분산시켜 만든 건조 박막(薄膜)형의 치아미백제로, 상기 건조 박막이 수분에 노출되어야만 점착력을 나타내므로 종래의 겔 상의 치아미백제에 비해 적용 시 손에 묻어서 끈적거리거나, 치아에 적용 시 미끄러짐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건조 박막에 추가적으로 적층이 가능한 보호필름층은 건조 박막에 의해 제공된 치아미백 활성물질이 치아를 미백시키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에 건조 박막이 입안에서 침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보호하고, 침에 의해 일정 시간 후에 용해되므로, 사용 후 제거할 필요가 없어 편리한 치아미백제에 관한 것이다.
치아미백, 박막형,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보호필름층

Description

건조 박막형 치아미백제{Thin-Film type Tooth Whitener}
도 1은 치아미백제와 보호필름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치아미백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미백성분층, 보호필름층 및 점착보조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치아미백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의 시간에 따른 인장강도를 측정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보호필름층 2: 미백성분층
3: 점착보조층
본 발명은 건조 박막형 치아미백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 보관 시에는 점착력이 없으며, 치아 부착 시 치아 표면의 침에 의해 수화되어 점착력을 가지는 고분자 내에 치아미백 활성물질을 분산시켜 만든 건조 박막(薄膜)의 치아미백제로, 상기 건조 박막이 수분에 노출되어야만 점착력을 나타내므로 종래의 겔 상의 치아미백제에 비해 적용 시 손에 묻어서 끈적거리거나, 치아에 적용 시 미끄러짐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건조 박막에 추가적으로 적층이 가능한 보호필름층은 건조 박막에 의해 제공된 치아미백 활성물질이 치아를 미백시키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에 건조 박막이 입안에서 침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보호하고, 침에 의해 일정 시간 후에 용해되므로, 사용 후 제거할 필요가 없어 편리한 치아미백제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내쪽의 상아질층과 치아의 보호벽이 되는 외쪽의 범랑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치아의 범랑질층은 원래 불투명 흰색 또는 약간 황색을 띈 색깔이다. 이 범랑질은 자연적인 공간이나 구멍이 있으며, 여기에 약간의 착색물질이나 변색제가 침투하여 치아를 변색하게 한다.
개인이 매일 접촉하는 많은 물질이 치아를 착색시키거나 치아의 미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음식물, 담배 등은 치아의 범랑층에 축적되어 치아에 얇은 막과 같은 것을 형성한다. 이들 착색변질 물질이 범랑질층을 통과할 수 있으며, 이런 일이 여러 해 동안 발생되어 개인치아의 범랑질을 두드러지게 변색시킬 수 있다. 또한, 어떤 질병이나 환경적 요인이 치아의 변색에 또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러나, 변색된 치아도 건강을 나타낼 수 있고 어떤 건강상의 위험이나 문제를 발생시키지는 않으나, 많은 이유로 인하여 개인은 치아가 투명하거나 흰색이 되기를 열망해 왔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치아미백제 중 불소함유 치약은 음식물 찌꺼기나 니코틴, 커피, 홍차 등이 치아 표면에 흡착하거나 치면 상의 치석이나 연성 침전물 등이 색소 성분에 의해 염색됨으로써 발생된 치아의 얼룩을 화학 작용에 의해 제거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입안에 깨끗한 느낌을 주거나 입 냄새를 줄이는 등의 용도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 치약을 사용하여 칫솔질을 통해 치아 미백 효과를 달성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치과의사들에 의해 제공되는 전문적인 치아미백 프로그램인 진료실내 미백 처리와 진료실외 미백 처리 방법이 나왔다. 진료실내 처리는 통상적으로 과산화수소인 미백 약품이 구강연조직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입안에 특별하게 끼워 맞춰지는 고무댐을 제조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진료실외 미백 프로그램은 환자가 장기간, 통상적으로 몇 주 동안 하루에 몇 시간에 걸쳐서 저 강도의 미백약품을 사용하여 환자가 본인의 치아에 미백제를 맞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진료실외 프로그램에서는 통상적으로 특정 환자에게 특정한 기구를 치과 진료소에서 초기에 끼워 맞출 필요가 있다. 그 도구는 환자의 치아에 정교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제조되어 환자의 치아에 미백겔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 상기 방법들은 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특허 제 5,310,563호에서는 치아에 대하여 가압 성형되는 퍼티(putty)형 재료를 개시하고 있으나, 미백제를 겔 상으로 치아에 적용할 때 손에 묻어나며, 끈적거림이 심하며, 또한, 겔 상의 제품을 적용하기 위해 별도의 마우스 피스(mouthpiece)를 사용하여야 하며, 마우스 피스를 착용하면서 일상 생활을 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특허 제 5,425,953호에서는 치아 미백용 액상 폴리머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액상 폴리머 조성물은 치아에 적용 전에는 액상이며, 치아에 적용 후 고형 필름 상으로 변환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겔 상 제품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나, 치아에 적용 후 필름이 생성되는 일정 시간동안 끈적거림이 있으며 또한 유기 용매를 사용하고 있어 인체에 유해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특허 제 5,891,453호에서는 휨강성이 낮은 스트립 재질을 사용하여 미백물질을 치아에 전달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을 이용한 치아미백물질 전달 시스템은 일상생활이 용이하나, 스트립 재질 즉, 방수성 스트립재질은 치아에 적용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다음 떼어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휨강성을 조절하여 치아 부착 시 휘어지기 쉽도록 하나 방수성 필름 자체의 이물감이 존재하며, 또한 기존 겔 상의 미백제를 필름에 도포한 것에 불과하므로, 손에 묻어나거나 끈적거림이 심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품 보관 시에는 점착력이 없으며, 치아 부착 시 치아 표면의 침에 의해 수화되어 점착력을 가지는 고분자 내에 치아미백 활성물질을 분산시켜 만든 건조 박막(薄膜)의 치아미백제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 시 손에 묻어서 끈적거리거나, 치아에 적용 시 미끄러짐이 없는 치아미백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치아미백 활성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수화(水和)시 치아 부착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내에 치아미백 활성물질이 분산되어 있는 건조 박막인 치아미백제를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품 보관 시에는 점착력이 없으며, 치아 부착 시 치아 표면의 침에 의해 수화되어 점착력을 가지는 고분자 내에 치아미백 활성물질을 분산시켜 만든 건조 박막(薄膜)의 치아미백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미백제에 함유되는 성분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치아미백제에서 치아 점착성을 갖는 역할을 하는 수화(水和)시 치아 부착성을 나타내는 고분자로는 예컨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인 카보머, 메틸 비닐 에테르와 무수 말레인산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수화시 치아 부착성을 나타내는 고분자는 치아미백물질 전달 시스템에 5 ∼ 8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60 중량%가 좋으며, 만일 그 함유량이 5 중량% 미만이면 미백성분층의 점도가 너무 작아 미백성분층이 흘러서 도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8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 작업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수화(水和)시 치아 부착성을 나타내는 고분자로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 4,000,000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롤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0 ∼ 2,000,000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만일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분자량이 100,000 미만이면 통상적인 사용량에서 도포에 적합한 점도에 도달하기 어려우며, 4,000,000을 초과하면 저 농도에서도 점도가 높아 도포가 어렵다.
그리고, 치아미백 활성물질로는 과산화물, 아염소산 금속, 과붕산염, 과탄산염, 과산화산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치아미백제에 0.1 ∼ 5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30 중량% 함유하는 것이 좋다. 만일 그 함유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미백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50 중량%를 초과하면 치아표면 부식, 구강 점막 손상 등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게 된다. 상기 과산화물로는 과산화수소, 과산화칼슘, 카르바마이드 퍼옥사이드(carbamide peroxide),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 또는 카르바마이드 퍼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염소산 금속은 아염소산 칼슘, 아염소산 바륨, 아염소산 마그네슘, 아염소산 리튬, 아염소산 나트륨 및 아염소산 칼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미백제는 치아미백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소제, 안정화제, 피로포스페이트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가소제는 치아미백제의 건조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며, 치아미백제에 점착성 폴리머 대비 5.0 ∼ 5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그 함유량이 5.0 중량% 미만이면 유연성이 떨어져 사용 시 이물감을 주며, 50 중량%를 초과하면 제조된 필름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가소제로는 통상적인 필름 가소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또는 트리에틸시트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치아미백 활성물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며, 치아미백제에 0.01 ∼ 5.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화제로는 킬레이트화제와 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킬레이트화제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dminetetraacetic acid)와 그의 염, 소듐 스테네이트(sodium stannate) 또는 포타슘 스테네이트(potassium stannat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산화방지제로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 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노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틱 에시드(nordihydroguaiaretic acid),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트리하이드록시부티로페논(trihydroxybutyrophenone) 또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로포스페이트(Pyrophosphate)류는 타르제거 효과와 금속물질의 킬레이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치아미백제에서 치석방지를 위해 사용하며, 치아미백제에 1.0 ∼ 10.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로포스페이트류로는 디알칼리 메탈 피로포스페이트 또는 테트라알칼리 메탈 피로포스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Na4P2O7, K4P2O7, Na2H2P2O7, K2H2P2O7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성분 이외에 pH 조절제, 감미제, 향료 등의 치아미백제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미백제의 장기 보관 안정성을 위해 pH 4.0 ∼ 11.0으로 조절하며, 제2인산나트륨, 제3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트리에탄올아민, 구연산 또는 구연산나트륨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미백물질 전달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감미제와 향료를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감미제는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스테비오사이드 또는 사카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향료는 일반적인 식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조성성분을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로 에탄올, 물 및 이들의 혼합액(9:1 ∼ 6:4 v/v%)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치아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한 건조 박막이 구강 점막에 들러붙지 않도록 하는 보호필름층(1)을 추가적으로 적층한 치아미백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치아미백제는 도 1과 같이 나타내어질 수 있으므로, 도 1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보호필름층(1)은 침이 치아미백 활성물질과 접촉하여 그것을 용해시키고, 사용자의 입술, 혀, 및 다른 연조직에 의해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치아미백 활성물질이 침식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보호 장벽 역할을 한다. 또한, 치아미백 활성물질이 함유된 미백성분층(2)이 치아 반대편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치아미백물질 전달 시스템은 몇 분 내지 몇 시간의 기간에 걸쳐서 치아의 표면에 작용하는 치아미백 활성물질의 활동성을 위하여 치아미백 활성물질의 용해 및/또는 침식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한 보호필름층은 pH 5.0 ∼ 8.0, 37 ℃에서 용해되는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한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로는 치아에 부착 후 치아미백 활성물질이 치아미백효과를 발휘하고 나면, 침에 의해 녹아서 제거할 필요가 없어 불편함을 덜 수 있으며 부드러운 필름 재질을 사용하여 사용 시 이물감이 적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하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유드라짓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층(1)은 구강 점막에 대한 점착력이 거의 없으므로 구강 점막에 부착되지 않아 사용 시 물리적인 자극 없이 인접 구강조직과 접촉할 수 있으며, 치아에 부착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침에 의해 용해되어 사라지 므로 사용 시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보호필름층(1)은 본 발명의 치아미백물질 전달 시스템에 적용 시 두께를 5 ∼ 150 ㎛로 사용하는 것이 피부 자극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며, 만일 그 두께가 5 ㎛ 미만이면 치아미백 활성물질에 의해 피부자극이 발생하며, 150 ㎛를 초과하면 사용 시 두께가 너무 두꺼워 입안에 이물감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층이 적층되는 치아미백 활성물질이 함유된 미백성분층(2)의 두께는 50 ∼ 500 ㎛가 바람직하며, 만일 그 두께가 50 ㎛ 미만이면 제품이 흐늘거려서 말리므로 적용하기 어려우며, 500 ㎛를 초과하면 건조 문제로 인해 제조가 어려우며, 적용 시 이물감 또한 심한 단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보호필름층과 치아미백 활성물질이 함유된 미백성분층이 적층된 치아미백제에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점착보조층(3)이 추가로 적층된 치아미백제를 포함한다. 상기 점착보조층(3)은 미백성분층이 치아에 더욱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수화시 치아 부착성을 나타내는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미백제는 수분에 노출되어야만 점착력을 나타내므로 종래의 겔 상의 치아미백제에 비해 적용 시 손에 묻어서 끈적거리거나, 치아에 적용 시 미끄러짐이 없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건조 박막에 추가적으로 적층이 가능한 보호필름층은 건조 박막에 의해 제공된 치아미백 활성물질이 치아를 미백시키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에 건조 박막이 입안에서 침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보호하고, 침에 의해 일정 시간 후에 용해되므로, 사용 후 제거할 필요가 없어 사용 시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보호필름층 제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HPMCP) 20 중량%를 아세톤 73 중량%에 용해시킨 후, 트리아세틴(triacetin) 7 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기포를 제거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150 ㎛ 두께로 도포한 후, 50 ℃에서 열풍 건조하여 보호필름층을 제조하였다.
<미백성분층 제조>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과 다음 방법으로 미백성분층을 제조하였다.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소듐 피로포스페이트(disodium pyrophophate, DSPP) 및 소듐 스테네이트를 혼합한 후, 에탄올에 분산시켰다. 여기에, 액상 소르비톨과 과산화수소를 가하여 혼합하고, 포스포릭 에시드를 넣어 pH 4.5 ± 0.5로 조절한 후 기포를 제거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300 ㎛ 두께로 도포한 후, 50 ℃에서 열풍 건조하여 미백성분층을 제조하였다.
<치아미백제 제조>
상기 제조된 미백성분층과 보호필름층을 적층(Laminating)시키고 1.5 × 6.5 cm로 커팅(cutting)하여 치아미백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5
상기 실시예 1의 조성과 방법으로 보호필름층을 제조한 후 표 1에 나타낸 두께로 보호필름층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다음 표 1에 나타난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미백성분층을 제조하였고 그 두께는 다음 표 1과 같이 하였다.
상기 보호필름층과 미백성분층을 적층하여 치아미백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1035539943-pat00001

비교예
종래의 치아미백제인 화이트스트립스(제조사; P&G사, 미국)를 본 발명의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5와 비교예의 치아미백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4주 임상에 적합한 40명의 건강한 성인 지원자를 선발하였다. 20명씩 2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A 그룹은 비교예(화이트스트립스), B 그룹은 실시예 5의 제품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적용부위는 윗니 부분이며, 각각의 개인에 대해 비타 색조 지침서(루민 배큠-파르브스칼라, VITA LUMIN Vacuum Fabraskala Shade Guide)를 사용하여, 치아의 색조를 기록하여 기준선으로 사용하였다. 용법은 화이트스트립스의 용법을 따랐으며, 1일 1회 30분간 적용하도록 하였으며, 다른 치아 미백 용품의 사용을 피하도록 하였다. 4주 경과 후, 모든 피실험자를 소집하고, 비타 색조 지침서(루민 배큠-파르브스칼라,VITA LUMIN Vacuum Fabraskala Shade Guide)를 사용하여, 색조값을 기록하고, 기준선에 비해 색조 변화 값을 통해, 치아 미백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Figure 112001035539943-pat00010
표 2의 결과를 바탕으로 치아미백제 별로 개선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통계적인 방법인 t-test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1035539943-pat00003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두 Group이 동등하다는 귀무 가설을 입증하는 P값이 0.16으로 유의 수준 0.05 보다 크므로, 귀무 가설을 기각할 수 없으며, 따라서, 실시예 5와 비교예의 제품은 치아 미백효과는 동등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 구강 내에서 필름의 용해속도 비교.
인공타액(pH 7.0, 37 ℃)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와 비교예의 용해 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1035539943-pat00004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는 치아미백 활성물질이 미백 작용을 나타내는 약 30분간은 녹지 않으며, 미백 작용이 끝나면 필름이 녹아 비교예에 비해 사용 후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제품의 편리성
치아 부착시 치아 점착 후 이물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와 비교예 필름을 피검자의 윗니 부분에 점착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1035539943-pat00005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는 적용 시에 끈적 거림이 없으며, 손에 묻어나지 않고, 또한, 치아 점착 시 이물감이 없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 제품의 안정성 1(주성분 함량)
4 ℃ 냉장, 25 ℃ 실온 및 40 ℃ 가속 조건에서 실시예 5와 비교예를 보관하였으며, 개시 시 함량과 4주 경과 후 함량을 KMnO4법(과산화수소 정량법)과 요오드법(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 정량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1035539943-pat00006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는 건조 필름 형태이므로, 겔상의 비교예에 비해 온도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 제품의 안정성 2(인장강도 시험)
본 발명은 침에 의해 녹아 없어지는 필름 형태이므로, 비교예의 방수성의 스트립재질과 달리, 경시 변화에 의해 제품의 인장강도가 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 다. 이러한, 제품의 인장강도 감소는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 시 불편함이 따르게 되어, 상품성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의 시간에 따른 인장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4 ℃ 냉장, 25 ℃ 실온 및 40 ℃ 가속 조건에 실시예 5의 제품을 보관하여, 개시 시 및 6주 후에 각각 QTS Texture Analyzer를 사용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는 제품의 인장강도가 숙성기간을 거치면서 일정한 값을 보인다 따라서, 제품의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미백제는 제품의 적용 시에 끈적거림이 없으며, 손에 묻어나지 않고, 보호필름층을 적층한 경우, 미백성분층에 의해 제공된 치아미백 활성물질이 치아를 미백시키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에 미백성분층이 입안에서 침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보호하고, 치아미백물질 전달 시스템을 사용 후 제거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사용자의 배치 조작이 간편하며, 착용 시 발언 또는 외관에 문제가 없어 치아 미백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치아미백 활성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수화(水和)시 치아 부착성을 나타내는 고분자인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 4,000,000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내에 치아미백 활성물질이 분산되어 있는 건조 박막(薄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미백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박막에는 수화(水和)시 치아 부착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5 ∼ 80 중량%와 치아미백 활성물질 0.1 ∼ 50 중량%가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미백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미백 활성물질이 과산화수소,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미백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한 건조 박막이 구강 점막에 들러붙지 않도록 하는 보호필름층이 추가적으로 적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미백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층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썩시네이트, 유드라짓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의 것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미백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층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미백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층의 두께는 5 ∼ 150 ㎛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미백제.
KR1020010088418A 2001-12-29 2001-12-29 건조 박막형 치아미백제 KR100796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418A KR100796385B1 (ko) 2001-12-29 2001-12-29 건조 박막형 치아미백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418A KR100796385B1 (ko) 2001-12-29 2001-12-29 건조 박막형 치아미백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552A KR20030059552A (ko) 2003-07-10
KR100796385B1 true KR100796385B1 (ko) 2008-01-22

Family

ID=3221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418A KR100796385B1 (ko) 2001-12-29 2001-12-29 건조 박막형 치아미백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065B1 (ko) * 2002-07-24 2006-02-08 주식회사 태평양 하이드로젤 매트릭스 부착 치아 미백용 패취
US20050019277A1 (en) * 2002-09-11 2005-0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oth whitening products
US8524200B2 (en) 2002-09-11 2013-09-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oth whitening products
JP3847736B2 (ja) * 2003-08-04 2006-11-22 株式会社ジーシー ジェル状の歯牙用漂白材組成物
KR100782709B1 (ko) * 2003-11-13 2007-1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액정상 치아 미백제
KR101137724B1 (ko) * 2004-02-18 2012-04-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사용이 편리한 건식 치아 미백 패취
DE102004049740B4 (de) * 2004-10-13 2009-08-27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Selbstklebende Zahnfoli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Zahnfolie
KR101328162B1 (ko) * 2011-06-27 2013-11-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생분해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테입형 불소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48A (ja) * 1996-06-28 1998-01-20 Lion Corp 口腔貼付材
KR0170574B1 (ko) * 1995-12-01 1999-02-18 이능희 구강 점막 부착성 패취제
KR20020096263A (ko) * 2001-06-19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미백 용 패취
KR20020097297A (ko) * 2001-06-20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드라이 타입의 치아 미백 패취
KR100457271B1 (ko) * 2001-06-19 2004-11-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과산화물이 안정화된 치아 미백 용 패취
KR100471918B1 (ko) * 2001-06-26 2005-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미백 용 패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574B1 (ko) * 1995-12-01 1999-02-18 이능희 구강 점막 부착성 패취제
JPH1017448A (ja) * 1996-06-28 1998-01-20 Lion Corp 口腔貼付材
KR20020096263A (ko) * 2001-06-19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미백 용 패취
KR100457271B1 (ko) * 2001-06-19 2004-11-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과산화물이 안정화된 치아 미백 용 패취
KR20020097297A (ko) * 2001-06-20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드라이 타입의 치아 미백 패취
KR100471918B1 (ko) * 2001-06-26 2005-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미백 용 패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552A (ko) 200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2802B2 (en) Patches for teeth whitening
US6689344B2 (en) Patches for teeth whitening
JP3995274B2 (ja) 低曲げ剛性を有する材料片を使用した口腔ケア物質供給システム
JP4471084B2 (ja) 歯の白色化方法、歯牙白色化用組成物及び歯牙美白用セット
JP4582333B2 (ja) 歯牙美白用セット
US20060018845A1 (en) Tooth whitening
CA2705568A1 (en) A delivery system for a tooth whitener using a strip of material having low flexural stiffness
JP3997371B2 (ja) 歯の美白用セット
JP2007169181A (ja) 歯牙貼付用製品及び口腔ケア方法
JP4157527B2 (ja) 歯肉に安全なドライタイプのパッチ
KR100796385B1 (ko) 건조 박막형 치아미백제
JP2006182705A (ja) 歯牙貼付用製品及び口腔ケア物質の供給方法
KR100673813B1 (ko) 치아미백용 겔 조성물
KR100550066B1 (ko) 수용성 점착제 용액과 수용성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패취로구성되는 패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 미백 방법
JP4548554B2 (ja) 歯の美白用セット
KR101813978B1 (ko) 치아 미백용 조성물과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치아 패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미백 방법
KR101709986B1 (ko) 실리카 및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치아 미백용 조성물
JP4548582B2 (ja) 歯牙美白用セット
KR100308247B1 (ko) 구강 청정용 조성물
JP2002193775A (ja) 歯の美白用セット
JP2001322928A (ja) 歯牙又は歯茎用貼付剤
JP4656324B2 (ja) 歯牙美白用セット
KR100436968B1 (ko) 치아 미백용 패취
JP2006282550A (ja) 歯牙美白用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