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532A - 점착성이 강화된 액체형 치아미백제 - Google Patents

점착성이 강화된 액체형 치아미백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532A
KR20060081532A KR1020050002011A KR20050002011A KR20060081532A KR 20060081532 A KR20060081532 A KR 20060081532A KR 1020050002011 A KR1020050002011 A KR 1020050002011A KR 20050002011 A KR20050002011 A KR 20050002011A KR 20060081532 A KR20060081532 A KR 20060081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whitening
polymer
liquid
whitening agent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상훈
윤세영
김한수
장석윤
김지영
양해영
최안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02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1532A/ko
Publication of KR2006008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53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82Copolymers of 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형 치아미백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르복실기(-COOH)를 함유한 고분자와 카르보닐기(-C=O) 혹은 에테르기(-O-)를 가지는 고분자와의 분자간의 결합을 이용하여 점착성을 증가시킨 치아미백용 액제에 관한 것으로, 잇몸, 입술 등 구강내 연조직에는 부착되지 않고 경조직에만 선택적으로 부착되고, 과산화물의 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체형, 치아미백제, 점착성, 과산화물, 용출 속도.

Description

점착성이 강화된 액체형 치아미백제{LIQUID TYPE TOOTH WHITENER WITH INCREASED ADHESIVE PROPERTY}
본 발명은 액체형 치아미백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르복실기(-COOH)를 함유한 고분자와 카르보닐기(-C=O) 혹은 에테르기(-O-)를 가지는 고분자와의 분자간의 결합을 이용하여 점착성을 증가시킨 치아미백용 액제에 관한 것으로, 잇몸, 입술 등 구강내 연조직에는 부착되지 않고 경조직에만 선택적으로 부착되고, 과산화물의 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아는 내측의 상아질과 외측의 에나멜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치아의 색이 누렇게 변색되는 이유는, 내인적으로는 음식물 등으로 인하여 이중결합 등의 발색단을 가지는 물질이 치아 외측의 에나멜층에 침착되기 때문이다. 또한, 외인적으로는 치석, 연성 침전물이 치아 표면에 부착되어 치아의 변색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원인중 외인적인 착색은 칫솔질로 인하여 쉽게 제거될 수 있으나, 내인성 발색은 치약이나 칫솔질로는 제거할 수가 없다. 즉, 치약을 이용한 치아 미백에는 한계가 있고, 이에 따라 개발된 것이 과산화수소수를 이용한 치아 미백이다.
1960년에 미국의 치과의사는 환자의 잇몸 질환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과산화 수소수가 치아를 희게 한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하여 치아미백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1980년대에는 가정용 치아미백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 제품은 과산화수소나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 겔을 트레이(tray)에 담아 사용하는 것으로, 고농도의 과산물을 사용하여야 하고, 잇몸에 트레이가 닿는 물리적 자극으로 인하여 구강내 안전성에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트레이 제형의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저농도의 과산화물을 함유하는 스트립 제형이나, 액체를 직접 치아에 도포하는 액제형 제품이 개발되게 되었다. 이중 액제형 제품은 치아에 바르기 쉬워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바를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치아뿐만 아니라 입술 등 구강내 연조직에 쉽게 달라붙어 자극을 주고, 타액에 쉽게 희석되어 과산화수소의 치아 내로의 흡수가 어려워져 미백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회사에서 액체형 치아미백제를 개발하였다. 먼저, 콜게이트(Colgate)사의 미국특허 제6,770,266호에 개시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를 이용한 액체형 치아미백제는, 사용하기 편리하고 사용시 이물감이 적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제제는 수용성 폴리머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사용하여 치아에 대한 부착력이 낮고, 타액에 의해 쉽게 희석되어 치아에서의 과산화물 흡수가 충분하지 않아 소비자가 원하는 미백효과를 나타내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피앤지(P&G)사의 미국특허 제6,569,408호에서 개시하는 유기실리콘(organosiloxane)을 이용한 액체형 치아미백제는, 사용이 편리하고 치아에 대한 부 착력이 좋아 밤새 사용할 수 있으나, 비친수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미백 성분인 과산화물이 치아에 흡수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덴매트(Den-mat)사의 미국특허 제6,555,020호에서 개시하는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을 이용한 액체형 치아미백제 역시 타액에 의해 치아미백제 겔이 쉽게 희석되어 치아에 대한 부착력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EDTA나 CDTA 같은 과산화물 안정화제가 첨가되어 치아표면에서의 미백 반응이 지연되므로 원하는 치아미백 효과를 나타내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Singh 등의 미국특허출원 공개 제2003/0152528호에서는 친수성(hydrophilic) 폴리머와, 친수성 폴리머와 수소결합을 하는 분자량 1000 달톤 미만의 단량체(oligomer)를 이용한 치아미백제를 개시하고 있다. 이 제제는 캐스팅이나 압출에 의한 고체상의 제형에는 적합하지만, 액제의 경우 겔상에서는 분자간의 운동에너지가 강하고 자유도가 증가하여 분자량이 작은 단량체만을 사용한다면 친수성 폴리머와 강한 수소결합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제제와 치아간의 선택적인 부착이 불가능하다.
한편, 국내특허등록10-0440241호에서는 카르복실기(-COOH)를 함유한 고분자와 카르보닐기(-C=O) 또는 에테르기(-O-)를 함유한 고분자의 수소결합으로 형성된 침식성 고분자 복합체(erodible polymer complex) 및 치아미백 성분을 포함하는 치아부착층과, 친수성 고분자와 필름형성 고분자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침식속도 조절층으로 이루어진 치아미백용 패취를 개시하고 있다. 이 패취는 치아 부착시 구강 내의 수분에 의해 수화되면서 치아미백 성분을 방출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침식 소실되어 없어지므로 떼어내 제거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특허는 패취 타입의 치아미백제에 관한 것으로, 치아 미백 부착층에서 고분자 결합으로 인한 용해도의 차이에 의해 치아부착층의 매트릭스가 붕괴되어 침식 속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행기술의 단점들을 보완하여, 친수성 폴리머의 분자간 결합을 이용하여 점착성을 증가시키고 치아에 대한 선택적인 부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수소 결합의 비율에 따라 과산화수소 등 치아 미백 성분의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액체형 치아미백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카보머(카보폴) 및 카보필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 에테르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갖는 고분자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및 플로닉류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 및 치아 미백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형 치아미백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카르복실기(-COOH)를 함유한 고분자와 카르보닐기(-C=O) 또는 에테르기(-O-)를 갖는 고분자의 분자간 결합을 이용하여 액체형 치아미백제의 점착성을 증가시킨 것으로, 치아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한편 과산화물의 방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언급된 고분자 간의 수소결합을 이용하여 침식 속도를 조절하는 패취 타입 치아미백제와의 차이점은, 본 발명의 치아미백제 가 액체형으로서 겔 내부의 고분자간 결합력을 증가시켜, 특히 응집력을 강화시켜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반면 점착력을 강화시킨다는 것이다. 이처럼 점착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치아에만 부착되어 구강내 다른 조직에 대한 오염을 최소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형 치아미백제는 겔상, 액상 또는 분산체의 형태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치아미백제에서는 카르복실기(-COOH)를 함유한 고분자와 카르보닐기(-C=O) 또는 에테르기(-O-)를 갖는 고분자를 각각 사용하거나, 또는 두 고분자를 합성한 고분자 복합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고분자는 분자간 결합(수소결합, 반데르발스힘, 또는 이온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분자간 수소결합은 전기음성도가 큰 원자에 결합하여 있는 수소원자와 다른 분자에 존재하는 전기음성도가 큰 원자 사이에 작용하는 강한 인력으로, 고분자간 수소결합이 형성되면 고분자 사슬간에 가교결합이 형성되고, 가교결합된 분자사슬은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한다. 수소 결합과 같은 물리적인 가교는 용매, 온도, 수소이온 농도에 따라 가역적이며, 고분자의 비율에 따라 용해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치아 표면의 수산화인회석은 음전하를 띠고 있으며,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치아미백제에서는 카르복실기가 카르보닐기 또는 에테르기와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카르복실기의 음전하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치아 표면의 음전하와의 반발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카르복실기, 카르보닐기 또는 에테르기를 단 독으로 사용하는 액체형 치아미백제에 비해 치아 표면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치아 부착 후에는 구강내 타액에 의해 수화되어 함께 포함되어 있는 과산화물의 방출을 일으켜 치아 미백 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미백제는 pH, 고분자 비율에 따라 점도 및 용해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수화에 따른 치아미백 물질(과산화물 등)의 용출 패턴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고분자의 비율이 증가하면 점도가 증가하여, 메트릭스 내에 타액에 의한 수분 침투가 지연되므로 치아미백 물질의 방출이 늦어진다. 또한, 상기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고분자는 pH에 따라 점도가 변화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치아미백 물질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형 치아미백제에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고분자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카보머(카보폴) 및 카보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에테르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갖는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플로닉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고분자 중에서도 폴리비닐피롤리돈과 카보머(카보폴)가 과산화물의 안전성 향상과 점도 조절, 치아에 대한 선택적인 부착에 크게 기여하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아미백제에서 카르복실기 함유 고분자는 전체 조성중 0.1∼5 중량%로 함유될 수 있고, 카르보닐기 또는 에테르기를 갖는 고분자는 전체 조성중 1∼4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카르복실기, 카르보닐기 또는 에테르기를 함유하는 폴리머의 첨가량이 이보다 낮을 경우에는 점도가 낮아 치아에서 흘러내리며, 두 고분자가 충분한 가교결합을 하지 못하여 선택적인 치아 부착이 불가능하다. 반면, 이들 폴리머의 함량이 상기 함량 범위 보다 높으면 점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므로 치아에 발림성이 좋지 않아 사용감이 나빠진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미백제 조성물의 pH는 4∼9인 것이 바람직하고, pH 5∼7 범위의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점도는 50,000∼700,000 cps가 바람직하고, 100,000∼450,000 cps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pH가 4 보다 낮은 경우에는 산에 의한 치아우식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pH가 9 보다 높으면 치아미백 물질인 과산화물이 분해된다. 또한, 점도가 50,000 cps 보다 낮은 경우에는 치아에서 흘러내려 치아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지 못하며, 700,000 cps 보다 높으면 치아에 발림성이 좋지 않아 사용감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치아미백제에서 치아 미백 성분은 구강 내 치아에 적용되어 미백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라면 가능하다. 치아 미백 성분으로는 산화제가 효과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작용을 할 수 있으면서 구강 내 제품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모두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과산화물(peroxide), 과붕산염(perborate), 과탄산염(percarbonate), 퍼옥시산(peroxyacids), 과황산염(persulfates), 금속 아염소산염(metal chlorite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과산화물은,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과붕산나트륨(sodium perbonate) 및 과산화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ate) 중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함량은 1.5∼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미백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축합 인산염 및/또는 점 도조절제를 더욱 함유할 수 있다.
축합 인산염(polyphosphates)은 미백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사용되며, 치색생성 억제와 치석 제거에 효과적이다. 또한 금속의 킬레이팅제로 사용되어 치아착색의 원인인 철, 마그네슘 등의 금속이온 제거에 사용된다. 축합인산염으로는 메타인산나트륨(sodium methaphosphate), 헥사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haphosphate), 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산성피로인산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 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및 메타인산칼륨(potassium methaphosphate) 중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카보머류의 경우 산성 조건에서는 분자간 배열이 조밀하게 배열되어 존재하나 pH가 높아짐에 따라 폴리머의 잔가지가 풀려 점도를 증가시키게 되므로 이를 조절하기 위해 점도 조절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점도 조절제로는 pH를 높여줄 수 있는 염기성 물질,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 및 인산 완충액(phosphate buffer) 중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미백제에는 이밖에도 충치예방을 위해 불소 이온을 첨가하거나, 안료 및 향료, 감미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불소 이온을 공급할 수 있는 물질로는 불화나트륨(sodium fluoride), 불화주석(stannous fluoride), 단일불화인산염(MFP), 불화암모늄(ammonium fluoride) 등이 있다.
안료는 치아를 밝게 보이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탈크(talc),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산화아연 등이 있으며, 이중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향료는 과일향, 민트향, 유칼립투스향, 세이지, 계피향 등이 있으며, 이중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감미제로는 만니톨, 솔비톨, 자일리톨, 아스파탐, 설탕, 꿀, 사카린나트륨 등이 있으며, 이중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제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카보머(카보폴) 및 카보필의 1 종, 에테르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갖는 고분자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및 플로닉류의 1 종, 치아미백 성분인 과산화물, 축합인산염과 점도조절제, 감미제, 그리고 향료를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켜 균질한 용액을 제조한다. 이 용액의 pH를 4∼9 범위로 조절하고, 40 ℃에서 기포를 제거한 후 용기에 충전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9
다음 표 1의 조성에 따라,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보머 또는 폴리아크릴산, 과산화수소, 트리에탄올아민, 산성피로인산나트륨, 솔비톨 및 과일향을 물과 에탄올 혼합용매에 용해시켜 균질한 용액을 제조하였다. 액제의 pH를 4∼9 사이로 조정하 고 40°C에서 기포를 제거하여 본 발명의 액체형 치아미백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는 조성물 중 폴리비닐피롤리돈과 카보머의 함량비를 조절한 것이고, 실시예 5∼9는 폴리비닐피롤리돈과 폴리아크릴산의 함량비를 조절한 것이다.
조성물 실시예(중량 g)
1 2 3 4 5 6 7 8 9
폴리비닐피롤리돈 15 14.2 13.8 13.5 15 14.2 13.8 13.5 13
카보머 0.5 1.3 1.7 2 - - - - -
폴리아크릴산 - - - - 0.5 1.3 1.7 2 2.5
과산화수소(35%) 8 8 8 8 8 8 8 8 8
산성피로인산나트륨 1.5 1.5 1.5 1.5 1.5 1.5 1.5 1.5 1.5
트리에탄올아민 2.2 2.2 2.2 2.2 2.2 2.2 2.2 2.2 2.2
정제수 36 36 36 36 36 36 36 36 36
에탄올 36 36 36 36 36 36 36 36 36
과일향 0.5 0.5 0.5 0.5 0.5 0.5 0.5 0.5 0.5
솔비톨 0.3 0.3 0.3 0.3 0.3 0.3 0.3 0.3 0.3
비교예 1
위 실시예 1에서 치아미백 성분인 과산화수소만 첨가하지 않고, 나머지 성분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치아미백제의 치아부착시간 측정 및 과산화수소의 용출 측정
위 실시예 1 내지 9에서 제조한 액제 치아미백제를 변형시킨 Franz-cell에 치아의 성분과 동일한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시편에 부착하여 치아부착 시간과 과산화수소의 용출 시험을 행하였다.
대조군 1은 시판 중에 있는 제품으로서, 카보머와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콜게이트사의 심플리화이트로 하였다.
대조군 2는 시판 중에 있는 제품으로서, 유기실리콘과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P&G사의 나이트이펙츠로 하였다.
치아부착 시간의 측정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낸다.
부착시간 5분 10분 15분 30분 45분 60분
실시예 1 형태유지 일부소실 일부소실 완전소실 - -
실시예 2 형태유지 형태유지 일부소실 완전소실 - -
실시예 3 형태유지 형태유지 일부소실 완전소실 - -
실시예 4 형태유지 형태유지 일부소실 일부소실 완전소실 -
실시예 5 형태유지 일부소실 완전소실 - - -
실시예 6 형태유지 일부소실 완전소실 - - -
실시예 7 형태유지 일부소실 일부소실 완전소실 - -
실시예 8 형태유지 형태유지 일부소실 일부소실 완전소실 -
실시예 9 형태유지 형태유지 일부소실 일부소실 완전소실 -
대조군 1 형태유지 완전소실 - - - -
대조군 2 형태유지 형태유지 형태유지 일부소실 일부소실 일부소실
과산화수소의 용출시험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각각의 값은 시간에 따른 용출 정도(%)이다.
시간 5분 10분 15분 30분 45분 60분
실시예 1 15 45 77 98 98 98
실시예 2 13 27 55 95 95 94
실시예 3 11 28 52 92 92 90
실시예 4 8 22 45 75 96 95
실시예 5 35 88 98 98 96 96
실시예 6 31 85 99 97 98 98
실시예 7 27 55 83 98 98 96
실시예 8 21 49 79 89 95 95
실시예 9 25 53 79 92 95 94
대조군 1 88 99 98 98 97 99
대조군 2 7 14 22 39 49 65
위 표 2 및 3에서 보듯이, 본 발명 제형의 구성 폴리머중에서 카보머와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함량 비를 다르게 하여 부착 시간과 과산화물의 용출 패턴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카보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부착 시간이 증가하고 과산화수소의 용출 시간이 길어져 용출 패턴이 지속형 제형으로 바뀜을 알 수 있다.
또한, 폴리아크릴산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함량비를 다르게 하여도 부착 시 간과 과산화물의 용출 패턴이 조절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는, 폴리아크릴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부착 시간이 증가하고 과산화수소의 용출 시간이 길어진다.
이처럼 고분자 조성을 다르게 함에 따라 부착 시간과 과산화물 용출 패턴이 바뀌는 것은, 카보머와 폴리비닐피롤리돈 고분자간의 수소 결합, 폴리아크릴산과 폴리비닐피롤리돈 사이의 수소 결합, 카보머 및 폴리아크릴산의 비율에 따른 제형의 점도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2: 미백효과 실험
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치아미백제의 미백 효과를 실험실적(in vitro) 평가법으로, 착색된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태블릿 시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즉, 착색된 시편 위에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제제를 각각 도포한 후 1 분간 상온에 방치하고, 다시 1 분간 물에 dipping한 후에 꺼내서 티슈로 3 회 가볍게 닦아주고, 온도 37 ℃, 습도 95 %로 세팅한 항온항습기에 방치한 다음, 6 시간 후에 제제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L 값을 측정하였다. 도포 전후의 L 값의 차이인 ΔL을 계산하였다. 정리된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ΔL (1회 사용)
실시예 3 37.50±4.50
실시예 7 37.96±1.98
비교예 1 1.08±0.55
위 표 4에서 보듯이, 치아미백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치아미백제(실시예 3 및 7)가 치아미백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제제(비교예 1) 보다 미백효과가 월 등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점착성 증가 효과를 보여주는 실험 및 결과
실시예 1, 대조군 1 및 대조군 2의 치아미백제를 각각 기니아피그의 구강 점막에 부착하고, 이의 치아미백제 면을 수산화인회석 시편에 부착하고 30 분 후에 떼어낼 때, 구강 점막에 남아 있는 치아미백제의 잔존률을 평가하였다. 다음 표 5는 잔존률을 나타낸 것이다.
잔존률
실시예 1 11.45±7.52
대조군 1 57.96±11.2
대조군 2 41.08±9.65
위 표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미백제는 종래의 액체형 제제와는 달리 액체 매트릭스상의 응집력이 증가하여 점착성이 증가한 것으로 치아에만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형 치아미백제는 잇몸, 입술 등 구강내 연조직에는 부착되지 않고 치아에만 선택적으로 부착되고, 과산화물의 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다.

Claims (6)

  1.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카보머(카보폴) 및 카보필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 에테르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갖는 고분자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및 플로닉류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 및 치아 미백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형 치아미백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고분자는 카보머(카보폴)이고, 에테르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갖는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치아미백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고분자는 전체 조성중 0.1∼5 중량%로 함유되고, 카르보닐기 또는 에테르기를 갖는 고분자는 전체 조성중 1∼4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치아미백제.
  4. 제 1 항에 있어서, pH가 4∼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치아미백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점도가 50,000∼700,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치아미백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치아미백 성분은 산화제이며, 과산화물(peroxide), 과붕산염(perborate), 과탄산염(percarbonate), 퍼옥시산(peroxyacids), 과황산염(persulfates) 및 금속 아염소산염(metal chlorites)의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치아미백제.
KR1020050002011A 2005-01-10 2005-01-10 점착성이 강화된 액체형 치아미백제 KR20060081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011A KR20060081532A (ko) 2005-01-10 2005-01-10 점착성이 강화된 액체형 치아미백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011A KR20060081532A (ko) 2005-01-10 2005-01-10 점착성이 강화된 액체형 치아미백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532A true KR20060081532A (ko) 2006-07-13

Family

ID=3717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011A KR20060081532A (ko) 2005-01-10 2005-01-10 점착성이 강화된 액체형 치아미백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15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3357A1 (en) * 2016-11-16 2018-05-2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3357A1 (en) * 2016-11-16 2018-05-2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
AU2016429694B2 (en) * 2016-11-16 2020-01-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2338B2 (en) Adhesive dental bleach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vinylpyrrolidone
US7094393B2 (en) Tooth bleaching compositions
TWI380827B (zh) 具有交聯聚合物過氧化物之口護理組成物
ES2372400T3 (es) Composiciones para el cuidado bucal con polímeros formadores de película.
EP2544651B1 (en) Tooth whitening composition
EP2101719B1 (en) Teeth whitening functional materials delivery system
US20060292092A1 (en) Oral care compositions,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4677029B2 (ja) 歯牙美白剤
WO2007066837A1 (en) Delivery system for tooth whitening component using in situ gelling
US20060292090A1 (en) Oral care compositions,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040002855A (ko) 국소용 구강 관리 조성물
JP2002187809A (ja) 歯牙コーティング剤
BRPI0109371B1 (pt) emplastros do tipo seco para branqueamento dental
TW200522977A (en) Silicone polymer based liquid tooth whitening composition
EP2306961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enhancing flouride uptake using bioactive glass
AU2002240115A1 (en) Topical oral care compositions
JPH0665083A (ja) 歯の疼痛過敏性を緩和、除去する組成物
BRPI0519741B1 (pt) Composição de cuidado oral, e, método para clareamento de uma superfície de dente
KR100633682B1 (ko) W/o 에멀젼 타입의 치아 미백제
KR101154935B1 (ko) 액정상의 치아 미백제
KR100673813B1 (ko) 치아미백용 겔 조성물
JP2005187330A (ja) 歯牙貼布用製品及びゲル組成物の選定方法
KR20060081532A (ko) 점착성이 강화된 액체형 치아미백제
BR112021003356A2 (pt) composições e métodos para assistência odontológica
KR20010100220A (ko) 치아 에나멜 부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