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0515A -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0515A
KR20050020515A KR1020030058532A KR20030058532A KR20050020515A KR 20050020515 A KR20050020515 A KR 20050020515A KR 1020030058532 A KR1020030058532 A KR 1020030058532A KR 20030058532 A KR20030058532 A KR 20030058532A KR 20050020515 A KR20050020515 A KR 20050020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ortable terminal
zoom
main bod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5283B1 (ko
Inventor
정진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8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283B1/ko
Publication of KR2005002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2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300)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카메라(300)의 광학부(310)가 접안렌즈(321)가 내장된 내통(320)과, 대물렌즈(331)가 내장된 외통(330)이 구비되고, 상기 줌 조절부(400)는 상기 외통(330)을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이동 기구부(41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직선이동 기구부(410)는 본체부(210)의 제1힌지부(231) 내측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통(330)의 외주면에 래크기어(411)를 형성하고, 본체부(210)의 상측부에 모터(412)를 고정하며, 상기 모터(412)의 축에 고정된 구동기어(413)와 래크기어(411) 사이에 전동기어(414)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종래 기술을 보면 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을 구현하는 위치나 방법 자체에 관심이 몰려 있어 정작 카메라를 장착했을 때 일반 카메라와는 기능이나 성능이 상당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카메라 폰의 촬영 방법에 있어 단순한 카메라 모듈로서 인물이나 사물의 크기 즉 피사체와 배경에 대한 배율 조절을 단순히 카메라 폰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조절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의 줌 기능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현하여 고성능 카메라 폰으로서 디지털 카메라 및 캠코더와 비슷한 성능을 구현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CAMERA ZOOM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기능을 가진 휴대 단말기에 있어 카메라 고유기능인 줌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과 같은 휴대전화기를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의 문제로 그 기능에 있어 단순 촬영기능을 구현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특히 줌 기능을 구현하기에 공간적 제약이 커서 쉽게 구현할 수 없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 시에는 디지털 카메라를 별도로 구입해서 따로따로 들고 다니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하였다.
이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은 카메라가 부착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를 종류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카메라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고정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키패드(11)가 설치된 본체부(10)와,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판(LCD) 등이 설치된 디스플레이부(20)가 힌지부(30)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카메라(21)가 디스플레이부(20)의 상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20)를 열어서, 디스플레이부(20)의 상면이 피사체를 향하도록 한 후 화면으로 촬영될 영상을 확인 한 후 키패드(11)를 사용하여 촬영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를 기준으로 사용자측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할 때, 사용자가 화면으로 촬영될 영상을 확인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도2는 카메라가 힌지부에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키패드(미도시)가 설치된 본체부(110)와,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20)가 힌지부(130)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카메라(121)가 힌지부(130)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힌지부(130)를 돌려서 촬영을 할 수 있으므로, 피사체가 사용자의 전 후방 어느 쪽에 위치하여도 화면으로 촬영될 영상을 확인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피사체가 사용자의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서 영상을 확인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디스플레이 패널 스윙형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키패드(211)가 설치된 본체부(210)와, 화상이 표시되는 엘시디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221)이 설치된 디스플레이부(220)가 힌지부(230)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상기 힌지부(230)는 폴더부(220)가 본체부(210)와 접철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하는 제1힌지부(231)와, 디스플레이부(220)가 제1힌지부(231)에 수직인 방향의 회전축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힌지부(231)에 결합되는 제2힌지부(232)로 구성된다.
그리고, 카메라(300)는 제1힌지부(231)의 측면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 스윙형 휴대용 단말기는 제1힌지부(231)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20)가 본체부(210)와 접철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힌지부(231)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20)가 제1힌지부(231)의 힌지축에 수직인 방향으로도 회전 운동을 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부(220)가 거의 모든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방향에 위치한 피사체도 사용자가 확인하면서 촬영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모두 카메라의 줌 기능을 구현하지 못하여 촬영 기능이 단순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비교될 만한 선행 특허자료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1-0028989호에 알려지고 있는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는 본체와 폴더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면에는 송화부인 마이크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키버튼들이 설치되며, 폴더의 내부면에는 문자 및 숫자를 나타내는 액정표시부와 수화부인 스피커가 설치되며, 상기 폴더와 상기 본체의 일단부를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폴더의 상측 렌즈홀에 카메라 렌즈를 설치하고, 상기 카메라 렌즈를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화상휴대폰 및 카메라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카메라 렌즈가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카메라 렌즈 장작 장치는 카메라 렌즈를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시키는 것으로 역시 줌 기능을 갖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2002-0067444호에 알려지고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셀프 캠코더 및 카메라는 그 출원서에 기재된 내용을 보면, "개인휴대단말기 상의 액정화면으로 촬영하고자 하는 곳에서 제3자의 도움 없이 본인이 직접 무선으로 원격 조정하여 카메라, 캠코더 등을 촬영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촬영기기를 삼각대에 고정 시켜 놓고, 배경과 피사체의 위치를 위치확인위성시스템으로 감지하여 휴대단말기(PDA)로 신호를 송신하며, PDA는 수신된 것을 액정화면에 현 위치와 배경을 띄워 준다. PDA화면에 나타난 피사체의 화상을 보고 원,근거리를 무선 원격 조정하여 적절한 위치를 잡고 촬영버튼을 조작한다. PDA의 용량을 증대시키고, 다양한 컴퓨터 기능을 탑재하여 수신된 신호를 가정에 있는 개인 PC와 접속시켜 데이터를 보관하여 이후에 사진화 한다. 촬영기기에는 컴퓨터기능 즉 위성위치확인시스템을 내장시켜 PDA와 상호 무선 신호를 주고받아 언제 ,어디서든지 본인이 원하는 곳에서 혼자서라도 촬영하도록 한다. PDA기능을 휴대폰에 탑재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와 같이 기재된 것으로 이 셀프 캠코더 및 카메라도 역시 줌 기능을 갖지 못하고 있다.
현대에 이르러 휴대 전화의 기능이 점점 첨단화되고 복합적 멀티미디어 단말기로서 그 기능은 끝없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아직 휴대전화가 갖고 있는 소형화의 문제로 일반 카메라로서의 기능에 있어서는 충분한 기능 구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 카메라 고유의 기능인 줌 기능을 구현한다면, 좀 더 고성능의 카메라 및 동영상 촬영 기능을 구현 할 수 있어 별도의 카메라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갖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가 일반 카메라로서 고유한 기능인 줌 기능을 충분히 수행함으로써 좀 더 편리한 고기능 휴대폰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반 카메라 및 캠코더의 고유기능인 렌즈의 줌 기능을 카메라폰에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카메라폰이 갖고 있던 단순 기능에서 벗어나 고기능의 카메라폰을 구현 할 수 있게 한다.
먼저 구현상에 있어 폴더타입의 경우 보면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접는 힌지 중앙 또는 양끝 또는 힌지 옆면에 카메라를 장착하게 되는데 이 경우 힌지 옆면의 줌 기능을 구현 할 때 자동 및 수동으로 조작하여 줌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엘시디(LCD)는 커버가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 일 때 구현의 장점이 있다.
바(bar) 타입 단말기의 경우에는 단말기 상단의 좌우측 또는 중앙에 카메라 모듈이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도 역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는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카메라의 광학부가 줌 조절부에 의해 줌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의 광학부는 접안렌즈가 내장된 내통과, 대물렌즈가 내장된 외통이 구비되고, 상기 줌 조절부는 상기 외통을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이동 기구부로 구성된다.
상기 직선이동 기구부는 본체부의 제1힌지부 내측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통의 외주면에 래크기어를 형성하고, 본체부의 상측부에 모터를 고정하며, 상기 모터의 축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래크기어 사이에 전동기어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4는 본 발명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를 보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부분 사시도를 보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요부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패드(211)가 설치된 본체부(210)에 대하여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21)이 설치된 디스플레이부(220)가 힌지부(230)의 제1힌지부(231)와 제2힌지부(232)에 의해 전후,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카메라(300)가 제1힌지부(231)에 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300)의 광학부(310)가 줌 조절부(400)에 의해 줌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300)의 광학부(310)는 접안렌즈(321)가 내장된 내통(320)과, 대물렌즈(331)가 내장된 외통(3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줌 조절부(400)는 상기 외통(330)을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이동 기구부(410)로 되어 있다.
상기 직선이동 기구부(410)는 본체부(210)의 제1힌지부(231) 내측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통(330)의 외주면에 래크기어(411)를 형성하고, 본체부(210)의 상측부에 모터(412)를 고정하며, 상기 모터(412)의 축에 고정된 구동기어(413)와 래크기어(411) 사이에 전동기어(414)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폰 사용 중 피사체를 촬영하면서 줌 기능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체부(210)에 구비된 키패드(211)를 이용하여 모터(412)를 구동시켜 외통(330)을 내,외측으로 이동시켜 접안렌즈(321)에 대한 대물렌즈(331)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줌 촬영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 스윙형 휴대용 단말기는 제1힌지부(231)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20)가 본체부(210)와 접철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힌지부(231)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20)가 제1힌지부(231)의 힌지축에 수직인 방향으로도 회전 운동을 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부(220)가 거의 모든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의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210')의 상측부에 라디오 볼륨 다이얼처럼 조절노브(420)를 설치하고 도 6에서의 모터(412) 대신 조절노브(420)에 의해 구동기어(413)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광학부(310)의 외통(330)을 내,외측으로 이동시켜 접안렌즈(321)에 대한 대물렌즈(331)의 간격을 조절하여 줌잉을 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외 구성 및 작용은 도 6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는 줌 기능이 구현된 카메라 적용(내장형 또는 착탈식 포함) 휴대 단말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카메라를 힌지부에 자동(모터를 이용한 여타의 형태) 또는 수동(잡아 당겨서 빼거나 돌려서 렌즈를 돌출 시키는 형태)으로 동작되는 줌 기능이 구현된 카메라폰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 바(bar) 타입의 경우 자동(모터를 이용한 여타의 형태) 또는 수동(옆면 또는 윗면에 돌려서 렌즈를 돌출 시키는 형태)으로 동작되는 줌 기능이 구현된 카메라폰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줌 기능 구현이 단말기 몸체의 좌측부, 중앙부, 우측부 또는 후방부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장치에서 여타의 방법으로 줌 기능을 구현 한 카메라 폰 또는 동영상 단말기(캠코더 형태)등 줌 기능이 구현된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종래 기술을 보면 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을 구현하는 위치나 방법 자체에 관심이 몰려 있어 정작 카메라를 장착했을 때 일반 카메라와는 기능이나 성능이 상당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카메라폰의 촬영 방법에 있어 단순한 카메라 모듈로서 인물이나 사물의 크기 즉 피사체와 배경에 대한 배율 조절을 단순히 카메라폰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조절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의 줌 기능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현하여 고성능 카메라폰으로서 디지털 카메라 및 캠코더와 비슷한 성능을 구현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카메라가 부착된 종래 휴대용 단말기를 종류별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카메라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고정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카메라가 힌지부에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디스플레이 패널 스윙형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4는 본 발명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요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본체부 231 : 제1힌지부
300 : 카메라 310 : 광학부
320 : 내통 321 : 접안렌즈
330 : 외통 331 : 대물렌즈
400 : 줌 조절부 410 : 직선이동 기구부
411 : 래크기어 412 : 모터
413 : 구동기어 414 : 전동기어

Claims (3)

  1. 카메라(300)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카메라(300)의 광학부(310)가 줌 조절부(400)에 의해 줌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300)의 광학부(310)는 접안렌즈(321)가 내장된 내통(320)과, 대물렌즈(331)가 내장된 외통(330)이 구비되고, 상기 줌 조절부(400)는 상기 외통(330)을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이동 기구부(4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동 기구부(410)는 본체부(210)의 제1힌지부(231) 내측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통(330)의 외주면에 래크기어(411)를 형성하고, 본체부(210)의 상측부에 모터(412)를 고정하며, 상기 모터(412)의 축에 고정된 구동기어(413)와 래크기어(411) 사이에 전동기어(414)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
KR1020030058532A 2003-08-23 2003-08-23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 KR100565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532A KR100565283B1 (ko) 2003-08-23 2003-08-23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532A KR100565283B1 (ko) 2003-08-23 2003-08-23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515A true KR20050020515A (ko) 2005-03-04
KR100565283B1 KR100565283B1 (ko) 2006-03-30

Family

ID=3722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532A KR100565283B1 (ko) 2003-08-23 2003-08-23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2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879B1 (ko) * 2003-11-21 2006-06-30 주식회사 팬택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
WO2016133235A1 (ko) * 2015-02-17 2016-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EP3161413A4 (en) * 2014-06-27 2018-09-05 Real Science Innova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easuring strike and dip, trend and plunge, bearings, and inclin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879B1 (ko) * 2003-11-21 2006-06-30 주식회사 팬택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
EP3161413A4 (en) * 2014-06-27 2018-09-05 Real Science Innova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easuring strike and dip, trend and plunge, bearings, and inclination
WO2016133235A1 (ko) * 2015-02-17 2016-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5283B1 (ko)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9074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US7742100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igital camera function
US7619686B2 (en) Apparatus for a combination camcorder-handset device
WO2004066616A1 (ja) カメラ付き携帯装置
JP2004254185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3309756A (ja) ズームレンズ付き携帯電話
KR100560885B1 (ko) 회전 카메라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JP2003091041A (ja) 携帯情報端末機
JP2006115485A (ja) 電子機器
JP2002062578A (ja) カメラ撮影用ホルダ
KR10056528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
JP2004208176A (ja) 携帯端末機器
JP2005318164A (ja) 携帯電話機
JP2005234480A (ja) 電子機器
JP2004064350A (ja) 撮像装置搭載携帯電話機
JP2005295228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5057548A (ja) 携帯端末装置
JP4398135B2 (ja) 情報通信端末装置
AU200720132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KR1009415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260688A (ja) 携帯端末装置
JP2005043710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3309632A (ja) ズームレンズ付き携帯電話
KR20060073291A (ko)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5055714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