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685Y1 - 휴대용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685Y1
KR200494685Y1 KR2020200003556U KR20200003556U KR200494685Y1 KR 200494685 Y1 KR200494685 Y1 KR 200494685Y1 KR 2020200003556 U KR2020200003556 U KR 2020200003556U KR 20200003556 U KR20200003556 U KR 20200003556U KR 200494685 Y1 KR200494685 Y1 KR 2004946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alve
lower container
container side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호
Original Assignee
유기호
주식회사 스탠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호, 주식회사 스탠드팩 filed Critical 유기호
Priority to KR2020200003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6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6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6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30Devices for warming by making use of burning cartridges or other chemical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 하부용기측면부와 상기 하부용기측면부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용기측면부에서 연장 형성된 하부용기바닥면부를 구비한 하부용기와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부용기측면부와 상기 상부용기측면부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용기측면부에서 연장 형성된 상부용기바닥면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용기바닥면부와 상기 하부용기바닥면부 사이에 발열체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용기측면부가 상기 상부용기측면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용기에 결합되는 상부용기를 구비한 용기부와, 상기 상부용기측면부의 상단을 덮도록 상기 상부용기에 결합된 뚜껑을 갖는 휴대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측면부는 상기 발열체수용공간에 주입될 물의 예정수위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발열체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증기배출공이 형성되고; 필름형태의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둘레연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로 연장된 증기안내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밸브본체의 일면에 도포된 밸브점착제층부를 가지고, 상기 증기안내영역이 상기 증기배출공을 덮도록 상기 밸브점착제층부를 통해 상기 하부용기측면부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증기배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증기배출밸브의 설치(교체 포함) 작업이 용이하고 증기배출밸브를 별도로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조리용기{Portable Cooker}
본 고안은 휴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등산, 낚시 등과 같은 야외 활동을 할 때 휴대용 조리용기를 사용하여 음식(햇반, 통조림, 김밥, 국, 레토르트(retort) 식품 등)을 조리하게 된다.
휴대용 조리용기의 열원으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가스, 숯, 전기 등은 운반상의 불편함, 화재발생의 위험, 사용 장소의 제한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조리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8은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9는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0은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하부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1은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증기배출밸브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종래의 휴대용 조리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용기(120)와 하부용기(120)에 결합된 상부용기(130)를 구비한 용기부(110)와, 상부용기(130)에 형성된 물주입구마개(141)와, 물주입구마개(141)와 용기부(110)에 나누어 형성된 마개구속부(150)와, 상부용기(130)에 결합된 뚜껑(143)과, 상부용기(130)에 설치된 증기배출밸브(170)를 갖고 있다.
하부용기(120)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 하부용기측면부(121)와, 하부용기측면부(121)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하부용기측면부(121)에서 연장 형성된 하부용기바닥면부(122)와, 하부용기측면부(121)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부용기체결부(124)를 갖고 있다.
하부용기측면부(121)는 일 영역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튀어 나온 형태의 물주입구형성돌출부(121a)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부용기(130)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부용기측면부(131)와, 상부용기측면부(131)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부용기측면부(131)에서 연장 형성된 상부용기바닥면부(132)와, 상부용기측면부(131)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용기체결부(134)를 갖고 있다.
상부용기체결부(134)는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저면에 요형(凹形)의 홈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용기(130)는 상부용기체결부(134)에 형성된 홈에 하부용기체결부(124)가 억지끼움되도록 하부용기(120)에 결합된다.
상부용기(130)의 결합은 상부용기바닥면부(132)와 하부용기바닥면부(122) 사이에 발열체수용공간(도3의 62 참조)이 형성되고, 하부용기측면부(121)가 상부용기측면부(131)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진다.
물주입구마개(141)는 상부용기체결부(134)에서 연장 형성된다.
물주입구마개(141)의 형성은 물주입구(161)가 폐쇄되는 주입구폐쇄위치와 물주입구(161)가 개방되는 주입구개방위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물주입구마개(141)에는 마개손잡이(142)와 증기배출공(141a)이 형성된다.
마개구속부(150)는 물주입구마개(141)에 형성된 마개구속요홈(152b)과, 물주입구형성돌출부(121a)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용기구속돌부(152a)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마개구속부(150)에 따르면 마개구속요홈(152b)과 하부용기구속돌부(152a) 사이의 체결작용에 의해 주입구폐쇄위치에 도달한 물주입구마개(141)는 용기부(110)에 구속된다.
뚜껑(143)에는 상부용기체결부(134)에 대응하는 뚜껑체결부(143a)가 형성된다.
뚜껑(143)은 뚜껑체결부(143a)에 형성된 홈에 상부용기체결부(134)가 억지끼움되도록 상부용기(130)에 설치된다.
증기배출밸브(170)는 증기배출공(141a)에 설치된 밸브본체(171)와, 밸브본체(171)에 결합된 지지너트(172)와, 밸브본체(171)에 설치된 압축스프링(173)을 갖고 있다.
밸브본체(171)는 대략 사다라꼴 단면의 밸브바디부(171a)와, 밸브바디부(171a)에서 직선상으로 연장형성된 밸브다리부(171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밸브본체(171)는 밸브바디부(171a)의 상단이 물주입구마개(141)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밸브다리부(171b)가 물주입구마개(141)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지지너트(172)는 밸브다리부(171b)의 종단에 나사결합된다.
압축스프링(173)은 양단이 지지너트(172)와 밸브바디부(171a)에 나누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휴대용 조리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용기바닥면부(122)에 발열체를 탑재한다.
다음에 하부용기(120)에 상부용기(130)를 설치한다.
다음에 상부용기(130)에 가열하여 익힐 음식물을 담는다.
다음에 상부용기(130)에 뚜껑(143)을 설치한다.
다음에 물주입구(161)를 통해 발열체수용공간에 물을 주입한다.
다음에 물주입구마개(141)를 주입구폐쇄위치로 이동시켜 물주입구(161)를 폐쇄한다. 물주입구(161)의 폐쇄상태는 마개구속부(150)에 의해 유지된다.
발열체수용공간(도3의 62 참조)에 물이 주입되면 발열체와 물과의 수화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하고 이 열에 의해 상부용기(130)에 담긴 음식물이 가열된다.
한편 발열체와 물과의 수화반응시 발생한 열에 의해 물이 기화하여 발열체수용공간에 증기가 발생한다.
발열체수용공간의 증기압력은 지지너트(172)와 밸브다리부(171b)에 가해진다.
발열체수용공간의 증기압력이 지지너트(172)와 밸브다리부(171b)에 가해지면 밸브바디부(171a)는 물주입구마개(141)의 상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증기배출공(141a)이 개방된다.
발열체수용공간의 증기는 개방된 증기배출공(14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용 조리용기에 따르면, 밸브본체(171), 지지너트(172) 및 압축스프링(173)을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제작한 후 증기배출공(141a)에 밸브본체(171)를 설치하고 밸브본체(171)에 지지너트(172)와 압축스프링(173)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증기배출밸브(170)의 설치(교체 포함)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증기배출공(141a)에 밸브본체(171)를 설치하고 밸브본체(171)에 지지너트(172)와 압축스프링(173)을 설치하는 작업이 복잡하기 때문에 증기배출밸브(170)를 별도로 휴대하거나 보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0203호(공개일자: 2020년 05월 29일, 발명의 명칭: 발열체를 이용한 식품용기)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휴대용 조리용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증기배출밸브의 설치(교체 포함) 작업이 용이하고 증기배출밸브를 별도로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 하부용기측면부와 상기 하부용기측면부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용기측면부에서 연장 형성된 하부용기바닥면부를 구비한 하부용기와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부용기측면부와 상기 상부용기측면부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용기측면부에서 연장 형성된 상부용기바닥면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용기바닥면부와 상기 하부용기바닥면부 사이에 발열체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용기측면부가 상기 상부용기측면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용기에 결합되는 상부용기를 구비한 용기부와, 상기 상부용기측면부의 상단을 덮도록 상기 상부용기에 결합된 뚜껑을 갖는 휴대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측면부는 상기 발열체수용공간에 주입될 물의 예정수위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발열체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증기배출공이 형성되고; 필름형태의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둘레연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로 연장된 증기안내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밸브본체의 일면에 도포된 밸브점착제층부를 가지고, 상기 증기안내영역이 상기 증기배출공을 덮도록 상기 밸브점착제층부를 통해 상기 하부용기측면부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증기배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음식물 가열 초기단계에서 증기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열손실량을 줄일 수 있고 증기가 증기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단계에서 증기배출유로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브본체는 상기 증기안내영역에 밸브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증기배출밸브는 상기 밸브돌기가 상기 증기배출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용기측면부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증기배출유로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증기안내영역은 상기 밸브본체의 둘레연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로 연장된 후 다시 상기 밸브본체의 둘레연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필름형태의 밸브본체와 밸브본체의 일면에 도포된 밸브점착제층부를 가지고 밸브점착제층부를 통해 하부용기측면부의 외표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밸브를 구성함으로써, 증기배출밸브의 설치(교체 포함) 작업이 용이하고 증기배출밸브를 별도로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
도3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배출밸브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배출밸브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용기의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배출밸브의 사시도,
도8은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결합사시도,
도9는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
도10은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하부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증기배출밸브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는 도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배출밸브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용기(20)와 하부용기(20)에 결합된 상부용기(30)를 구비한 용기부(10)와, 상부용기(30)에 결합된 뚜껑(43)과, 하부용기(20)에 결합된 증기배출밸브(70)를 갖고 있다.
하부용기(20)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 하부용기측면부(21)와, 하부용기측면부(21)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하부용기측면부(21)에서 연장 형성된 하부용기바닥면부(22)와, 하부용기측면부(21)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부용기체결부(24)와, 하부용기체결부(24)에서 연장 형성된 하부용기손잡이(26)를 갖고 있다.
하부용기측면부(21)에는 증기배출공(21a)이 형성된다.
증기배출공(21a)은 발열체수용공간(62)에 주입될 물의 예정수위보다 높은 위치에서 후술하는 발열체수용공간(62)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하부용기체결부(24)의 형성은 하부용기측면부(21)와의 사이에 하부용기지지턱(25)이 마련되도록 이루어진다.
상부용기(30)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부용기측면부(31)와, 상부용기측면부(31)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부용기측면부(31)에서 연장 형성된 상부용기바닥면부(32)와, 상부용기측면부(31)에 형성된 상부용기체결부(34)와, 상부용기체결부(34)에 형성된 상부용기손잡이(37)를 갖고 있다.
상부용기체결부(34)는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저면에 요형(凹形)의 홈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부용기체결부(34)의 형성은 상부용기측면부(31)와의 사이에 따라 상부용기지지턱(35)이 마련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용기(30)는 상부용기체결부(34)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하부용기체결부(24)가 억지끼움되도록 하부용기(20)에 결합된다.
상부용기(30)의 결합은 상부용기바닥면부(32)와 하부용기바닥면부(22) 사이에 발열체수용공간(62)이 형성되고, 하부용기측면부(21)가 상부용기측면부(31)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부용기(30)의 설치는 하부용기지지턱(25)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증기배출밸브(70)는 필름형태의 밸브본체(71)와, 밸브본체(71)의 일면에 도포된 밸브점착제층부(72)를 갖고 있다.
밸브본체(71)는 후술하는 증기안내영역(73)에 밸브돌기(74)가 형성된다.
밸브본체(71)는 PET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밸브점착제층부(72)는 밸브본체(71)의 둘레연부에서 시작하여 밸브본체(71)의 내부로 연장된다.
밸브점착제층부(72)의 점착제는 밸브점착제층부(72)에 박리지(Release Paper, 剝離紙)를 붙여 보호할 수 있다. 박리지는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증기배출밸브(70)는 밸브점착제층부(72)를 통해 하부용기측면부(21)의 외표면에 결합된다. 증기배출밸브(70)의 결합은 증기안내영역(73)이 증기배출공(21a)을 덮고 밸브돌기(74)가 증기배출공(21a)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뚜껑(43)에는 상부용기체결부(34)에 대응하도록 뚜껑체결부(43a)가 형성된다.
뚜껑체결부(43a)에는 뚜껑손잡이(44)가 형성된다.
뚜껑(43)은 뚜껑체결부(43a)에 형성된 홈에 상부용기체결부(34)가 억지끼움되도록 상부용기(30)에 설치된다.
뚜껑(43)의 설치는 상부용기지지턱(35)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증기배출밸브(70)를 하부용기측면부(21)의 외표면에 결합한다.
다음에 하부용기바닥면부(22)에 발열체(201)를 탑재한다.
다음에 하부용기(20)에 상부용기(30)를 설치한다.
다음에 하부용기(20)와 상부용기(30) 사이를 통해 발열체수용공간(62)에 물을 주입한다
다음에 상부용기(30)에 가열하여 익힐 음식물을 담는다.
다음에 상부용기(30)에 뚜껑(43)을 설치한다.
발열체수용공간(62)에 물이 주입된 상태에서 발열체(201)와 물과의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부용기(30)에 담긴 음식물이 가열된다.
한편 발열체(201)와 물과의 수화반응시 발생한 열에 의해 물이 기화하여 발열체수용공간(62)에 증기가 발생한다.
발열체수용공간(62)의 증기압력은 밸브돌기(74)와 증기안내영역(73)의 밸브돌기(74) 둘레영역에 가해진다.
발열체수용공간(62)의 증기압력이 밸브돌기(74)와 증기안내영역(73)에 가해지면 증기안내영역(73)은 하부용기측면부(21)의 외표면에서 이탈하고 증기안내영역(73)과 하부용기측면부(21)의 외표면 사이에 증기배출유로(75)가 형성된다.
발열체수용공간(62)의 증기는 증기배출유로(75)와 증기배출공(2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일 재질의 상부용기(31)를 채용하고 있으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이상의 재질로 제작된 상부용기(31')를 채용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부용기측면부(31')는 합성수지재질의 측면프레임부(31'a)와 측면프레임부(31'a)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박지로 제작되어 측면프레임부(31'a)에 결합된 측면금속박지부(31'b)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부용기바닥면부(32')는 바닥프레임부(32'a)와 바닥프레임부(32'a)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박지를 사용하여 제작되어 바닥프레임부(32'a)에 결합된 바닥금속박지부(32'b)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밸브본체(71)의 둘레연부에서 시작하여 밸브본체(71)의 내부로 연장하여 증기안내영역(73)을 형성하고 있으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본체(71)의 둘레연부에서 시작하여 밸브본체(71)의 내부로 연장된 후 다시 밸브본체(71)의 둘레연부에 도달하도록 증기안내영역(73)을 형성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형태의 밸브본체(71)와 밸브본체(71)의 일면에 도포된 밸브점착제층부(72)를 가지고 밸브점착제층부(72)를 통해 하부용기측면부(21)의 외표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밸브(70)를 구성함으로써, 증기배출밸브(70)의 설치(교체 포함) 작업이 용이하고 증기배출밸브(70)를 별도로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밸브본체(71)에 밸브돌기(74)를 형성하고 밸브돌기(74)가 증기배출공(21a)에 삽입되도록 증기배출밸브(70)를 하부용기측면부(21)의 외표면에 결합함으로써, 음식물 가열 초기단계에서 증기배출공(21a)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열손실량을 줄일 수 있고 증기가 증기배출공(21a)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단계에서 증기배출유로(75)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밸브돌기에 의해 발열체수용공간의 증기압력이 가해지는 면적이 증가하여 증기안내영역이 하부용기측면부의 외표면에서 이탈하는 정도가 증가함).
또한 밸브본체(71)의 둘레연부에서 시작하여 밸브본체(71)의 내부로 연장된 후 다시 밸브본체(71)의 둘레연부에 도달하도록 연장하는 방법으로 증기안내영역(73)을 형성함으로써, 증기배출유로(75)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10, 110: 용기부 20, 120: 하부용기
21, 121: 하부용기측면부 22, 122: 하부용기바닥면부
24, 124: 하부용기체결부 30, 130: 상부용기
31, 131: 상부용기측면부 32, 132: 상부용기바닥면부
34, 134: 상부용기체결부 43, 143: 뚜껑
70, 170: 증기배출밸브 71: 밸브본체
72: 밸브점착제층부

Claims (3)

  1.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 하부용기측면부와 상기 하부용기측면부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용기측면부에서 연장 형성된 하부용기바닥면부를 구비한 하부용기와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부용기측면부와 상기 상부용기측면부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용기측면부에서 연장 형성된 상부용기바닥면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용기바닥면부와 상기 하부용기바닥면부 사이에 발열체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용기측면부가 상기 상부용기측면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용기에 결합되는 상부용기를 구비한 용기부와, 상기 상부용기측면부의 상단을 덮도록 상기 상부용기에 결합된 뚜껑을 갖는 휴대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측면부는 상기 발열체수용공간에 주입될 물의 예정수위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발열체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증기배출공이 형성되고;
    필름형태의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둘레연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로 연장된 증기안내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밸브본체의 일면에 도포된 밸브점착제층부를 가지고, 상기 증기안내영역이 상기 증기배출공을 덮도록 상기 밸브점착제층부를 통해 상기 하부용기측면부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증기배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상기 증기안내영역에 밸브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증기배출밸브는 상기 밸브돌기가 상기 증기배출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용기측면부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안내영역은 상기 밸브본체의 둘레연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로 연장된 후 다시 상기 밸브본체의 둘레연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KR2020200003556U 2020-09-29 2020-09-29 휴대용 조리용기 KR2004946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556U KR200494685Y1 (ko) 2020-09-29 2020-09-29 휴대용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556U KR200494685Y1 (ko) 2020-09-29 2020-09-29 휴대용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685Y1 true KR200494685Y1 (ko) 2021-12-01

Family

ID=7889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556U KR200494685Y1 (ko) 2020-09-29 2020-09-29 휴대용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68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743A (ja) * 1998-04-21 1999-11-02 Toppan Printing Co Ltd 圧力調整弁および圧力調整弁付き包装体
JP2008253481A (ja) * 2007-04-04 2008-10-23 Techno World:Kk 加熱調理容器
KR100917694B1 (ko) * 2007-11-08 2009-09-21 홍경애 발열제로 가열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KR20130002000U (ko) * 2011-09-20 2013-03-28 유란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743A (ja) * 1998-04-21 1999-11-02 Toppan Printing Co Ltd 圧力調整弁および圧力調整弁付き包装体
JP2008253481A (ja) * 2007-04-04 2008-10-23 Techno World:Kk 加熱調理容器
KR100917694B1 (ko) * 2007-11-08 2009-09-21 홍경애 발열제로 가열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KR20130002000U (ko) * 2011-09-20 2013-03-28 유란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694B1 (ko) 발열제로 가열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KR101904403B1 (ko) 전기조리기
JP5942595B2 (ja) 電気炊飯器
KR20170071130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KR100797150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 개폐안전장치
KR200494685Y1 (ko) 휴대용 조리용기
JP2008167890A (ja) 炊飯器
KR102335688B1 (ko) 휴대용 조리용기
KR101244277B1 (ko) 중탕기
CN110811294A (zh) 电炊具
KR100798731B1 (ko) 압력 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
JP6067544B2 (ja) 調理器
JP5884174B2 (ja) 電気炊飯器
KR101209067B1 (ko) 중탕기의 강제 배기장치
KR102370746B1 (ko) 휴대용 조리용기
JP5853420B2 (ja) 圧力型電気炊飯器
JP6523993B2 (ja) 炊飯器
JP4961387B2 (ja) 炊飯器
JP3498699B2 (ja) 炊飯器
KR101281244B1 (ko)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JP2010046132A (ja) 炊飯器
JP2015100625A (ja) 調理器
KR102454019B1 (ko) 전기압력밥솥
JP5125211B2 (ja) 電気炊飯器
JP7257792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