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157Y1 -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157Y1
KR200490157Y1 KR2020190001717U KR20190001717U KR200490157Y1 KR 200490157 Y1 KR200490157 Y1 KR 200490157Y1 KR 2020190001717 U KR2020190001717 U KR 2020190001717U KR 20190001717 U KR20190001717 U KR 20190001717U KR 200490157 Y1 KR200490157 Y1 KR 200490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hamber
piston
puncture
sea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용수
Original Assignee
하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용수 filed Critical 하용수
Priority to KR2020190001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1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1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16Tools for repairing damaged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4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preformed elements
    • B29C73/06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preformed elements using plugs sealing in the hole
    • B29C73/08Apparatus therefor, e.g. for inse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타이어의 펑크를 봉합하기 위한 액상의 밀봉제가 주입되는 챔버를 형성하는 실린더와; 상기 챔버를 상기 밀봉제가 수용되는 제1챔버와, 상기 밀봉제가 수용되지 않는 제2챔버로 가변 구획하며, 상기 챔버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어 타이어의 펑크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된 상기 밀봉제를 타이어의 내부 및 펑크에 분사하는 니들과; 상기 피스톤을 왕복이동시켜,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된 상기 밀봉제를 상기 니들로 공급 또는 공급해제하는 피스톤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PUNCTURE SEALING DEVICE FOR A TIRE}
본 고안은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의 펑크에 액상의 밀봉제를 주입하여 봉합할 수 있는 주사기 형태의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 타이어는 나사못, 철심, 쐐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박혀서 펑크가 나더라도 급격한 공기압의 저하가 없어 펑크에 대하여는 비교적 안전항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이물질이 박힌 상태로 고속 주행시에는 타이어 자체가 동적인 상태로 되어 이물질이 빠져나가게 되므로, 공기압의 급격한 저하가 야기되어 차량은 위험한 상태가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 타이어에 나사못, 철심, 쐐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박혀서 펑크가 난 경우, 종래에는 타이어와 휠을 분리한 후 타이어 내부의 펑크 부분에 접착제로 고무편을 부착하여 수리하거나, 또는 액상의 밀봉제를 타이어의 내부면을 따라 밀봉제를 도포하여, 타이어의 펑크를 수리하여 왔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으로 타이어의 펑크를 봉합하는 경우, 고가의 장비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휠과 타이어를 분리하여 치합하고, 휠 바란스까지 교정해야 하므로, 타이어 펑크의 봉합 작업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봉합 작업 비용 또한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타이어의 펑크에 연질의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굵은 실 형태의 플러그패치, 일명 지렁이를 끼워 넣어서 펑크를 봉합하여, 펑크 수리된 타이어의 휠 발란스 작업이 필요없는 타이어 펑크 봉합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플러그패치를 이용한 타이어 펑크 봉합 방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타이어에 박힌 나사못 등을 니퍼 등의 수공구를 사용하여 제거한 후, 펑크에 드릴이나 펑크 수리기의 송곳을 이용하여 펑크를 충분히 넓혀준 후, 펑크 수리기의 송곳에 플러그패치를 끼워 넣은 다음, 손잡이를 잡고 송곳의 끝부분이 타이어의 펑크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조절한 후 송곳을 펑크에 밀어 넣어, 플러그패치를 타이어 내측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삽입된 펑크 수리기의 송곳을 다시 천천히 잡아 빼내면, 플러그패치의 일부가 타이어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커팅기구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된 플러그패치를 적당한 길이로 커팅하면, 타이어의 펑크를 봉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플러그패치를 이용하여 타이어의 펑크를 봉합하는 경우, 펑크 수리기의 송곳에 플러그패치를 끼운 상태에서 사용자가 타이어 펑크를 통해 타이어 내부에 삽입해야 하므로, 플러그 패치를 타이어 내부로 삽입할 때 타이어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 많은 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플러그패치와 타이어 펑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플러그패치의 삽입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타이어 펑크의 봉합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2746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장치를 소형화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휠과 타이어를 분리하지 않고 타이어의 펑크에 삽입되는 니들을 통해 액상의 밀봉제를 주입하여 누구나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타이어 펑크를 봉합할 수 있고, 펑크 봉합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타이어의 펑크를 봉합하기 위한 액상의 밀봉제가 주입되는 챔버를 형성하는 실린더와; 상기 챔버를 상기 밀봉제가 수용되는 제1챔버와, 상기 밀봉제가 수용되지 않는 제2챔버로 가변 구획하며, 상기 챔버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어 타이어의 펑크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된 상기 밀봉제를 타이어의 내부 및 펑크에 분사하는 니들과; 상기 피스톤을 왕복이동시켜,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된 상기 밀봉제를 상기 니들로 공급 또는 공급해제하는 피스톤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 구동부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피스톤을 사이에 두고 상기 니들과 대향하며 상기 실린더에 마련되는 너트부와; 상기 피스톤을 지지하며 상기 너트부와 나사 결합되어 나사 운동하며, 상기 피스톤을 왕복이동시키는 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템에 결합되어, 상기 스템을 회전시키는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구동부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게 상기 실린더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챔버로 고압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 공급공과; 상기 에어 공급공에 호스 또는 파이프로 연결되어, 상기 에어 공급공을 통해 상기 제2챔버로 고압 에어를 공급 또는 공급해제하여 상기 피스톤을 왕복이동시키는 에어 공급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되어, 상기 피스톤이 상기 니들과 이격하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들은,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된 상기 밀봉제를 타이어 내부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유동로와, 상기 유동로를 따라 유동한 상기 밀봉제를 타이어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이 형성된 니들 본체와; 상기 유동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유동로를 따라 유동하는 상기 밀봉제의 일부를 타이어의 펑크 둘레에 분사하는 복수의 분기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들 본체의 외주면은, 상기 니들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파이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제1챔버로 상기 밀봉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공을 통해 상기 제1챔버로 상기 밀봉제를 주입한 후, 상기 주입공에는 상기 주입공을 기밀 유지하는 주입공용 니플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공급공에 상기 에어 공급 펌프의 호스 또는 파이프가 연결되지 않을 때, 상기 에어 공급공에는 상기 에어 공급공을 기밀 유지하는 에어 공급공용 니플이 체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장치를 소형화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휠과 타이어를 분리하지 않고 타이어의 펑크에 삽입되는 니들을 통해 액상의 밀봉제를 주입하여 누구나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타이어 펑크를 봉합할 수 있고, 펑크 봉합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의 피스톤의 작동을 도시한 도 1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를 이용하여 타이어의 펑크를 봉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를 이용하여 타이어의 펑크를 봉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1a)는 실린더(10)와, 피스톤(30)과, 니들(40)과, 피스톤 구동부(50a)를 포함한다.
실린더(10)는 일정 길이의 속이 빈 밀봉된 통 형상을 가진다.
실린더(10)의 내부는 타이어(300)의 펑크(310)를 봉합하기 위한 액상의 밀봉제(200)가 주입되는 챔버(13,15)를 형성한다. 여기서, 액상의 밀봉제로서 실란트가 적용될 수 있다.
챔버는 피스톤(30)의 왕복이동에 의해, 밀봉제(200)가 수용되는 제1챔버(13)와, 밀봉제(200)가 수용되지 않는 제2챔버(15)로 가변 구획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10)에는 제1챔버(13)로 밀봉제(200)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공(17)이 형성되어 있다. 주입공(17)에는 주입공(17)을 기밀 유지하는 주입공용 니플(21)이 체결된다.
주입공용 니플(21)은 주입공(17)을 통해 제1챔버(13)로 밀봉제(200)를 주입한 후, 주입공(17)에 체결된다. 여기서, 주입공용 니플(21)에는 주입공(17)에 체결시 기밀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로서 오링(23)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주입공(17)은 실린더(10)의 니늘(40)과 인접한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30)은 일정 직경과 두께를 갖는 패드 형상을 가진다. 피스톤(30)은 실린더(10)에 일정 스트로크로 왕복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피스톤(30)에는 피스톤(30)의 외주면과 실린더(10) 내주면 사이를 기밀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로서 오링(33)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피스톤(30)은 실린더(10)의 챔버를 왕복이동함에 따라, 챔버를 밀봉제(200)가 수용되는 제1챔버(13)와, 밀봉제(200)가 수용되지 않는 제2챔버(15)로 가변 구획한다.
니들(40)은 실린더(1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타이어(300)의 펑크(310)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챔버(13)에 수용된 밀봉제(200)를 타이어(300)의 내부 및 펑크(310)에 분사한다. 니들(40)은 니들 본체(41)와, 복수의 분기 노즐(47)을 포함한다.
니들 본체(41)는, 타이어(300)의 펑크(310)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착탈가능하도록, 그 선단부가 뾰족한 가늘고 긴 봉 형상을 가진다.
니들 본체(41)는 실린더(10)의 중심축선 상에 실린더(1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이로써,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1a)는 전체적으로 주사기 형태를 가진다.
니들 본체(41)에는 유동로(43)와 분사 노즐(45)이 형성되어 있다.
유동로(43)는 실린더(10)의 제1챔버(13)와 연통 형성되며, 제1챔버(13)에 수용된 밀봉제(200)를 타이어(300) 내부로 유동하도록 안내한다.
분사 노즐(45)은 니들 본체(41)의 선단 가까이에 형성되어, 유동로(43)를 따라 유동한 밀봉제(200)를 타이어(300) 내부로 분사한다.
한편, 니들 본체(41)의 외주면은, 니들(40)을 타이어 펑크(310)에 삽입시 삽입이 용이 하도록, 니들 본체(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산과 골을 형성하는 스파이럴 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분기 노즐(47)은 분사 노즐(45)과 인접한 위치에 유동로(43)로부터 분기되고, 니들 본체(41)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분기 노즐(47)은 유동로(43)를 따라 유동하는 밀봉제(200)의 일부를 타이어 펑크(310) 둘레에 분사한다.
이와 같이, 니들 본체(41)의 외주면을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니들 본체(41)와 타이어 펑크(310) 둘레 사이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니들 본체(41)와 타이어 펑크(310) 사이의 마찰력이 줄어들게 되어, 누구나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니들 본체(41)를 타이어 펑크(310)에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이어 펑크(310) 둘레와 니들 본체(41)의 함몰된 부분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다량의 밀봉제(200)를 타이어 펑크(310) 둘레를 따라 충진할 수 있게 된다.
피스톤 구동부(50a)는 피스톤(30)을 일정 스트로크로 왕복이동시켜, 제1챔버(13)에 수용된 밀봉제(200)를 니들(40)로 공급 또는 공급해제한다.
피스톤 구동부(50a)는 너트부(51)와 스템(55)을 포함한다.
너트부(51)는 피스톤(30)을 사이에 두고, 니들(40)과 대향하며 실린더(10)의 타단부에 마련된다.
너트부(51)의 중앙에는 스템(55)이 나사 결합하며 관통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스템(55)은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을 가진다. 스템(55)의 일단부는 피스톤(30)의 일측면에 지지된다. 스템(55)의 외주 일 영역에는 너트부(51)의 암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템(55)은 너트부(51)와 나사 결합되어 나사 운동하며, 이에 피스톤(30)을 왕복이동 예컨대, 피스톤(30)을 니들(40)을 향해 접근 또는 이격시킨다.
한편, 스템(55)의 타단부에는 스템(55)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59)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59)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스템(55) 또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피스톤(30)은 니들(40)을 향해 접근 또는 이격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1a)는 탄성부재(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80)은 제1챔버(13)에 수용되어, 피스톤(30)이 니들(40)과 이격하도록 탄성력을 발생한다. 탄성부재(80)의 일단부는 실린더(10)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피스톤(30)의 타측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80)로서 코일 스프링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부재(80)은 원추 스프링, 판 스프링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80)을 더 마련함으로써, 피스톤(30)이 제1챔버(13)에 수용된 밀봉제(200)를 니들(40)을 통해 완전 배출한 후, 피스톤(30)이 밀봉제(200)를 충진하지 않는 최초 위치로 이동할 때,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30)을 누구나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최초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미 설명된 참조부호 90은 실린더(10)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그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그립부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봉합장치(1a)의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0)이 실린더(10)의 주입공(17)으로부터 니들(40)의 반대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도 4의 우측 영역에 제1챔버(13)를 형성함과 동시에, 도 4의 좌측 영역에 제2챔버(15)를 형성한 상태에서, 주입공(17)을 개방하여 제1챔버(13)에 액상의 밀봉제(200)의 필요량을 주입한 후, 주입공용 니플(21)을 주입공(17)에 체결하여, 제1챔버(13)를 기밀 유지한다.
그리고, 타이어 펑크(310)에 니들(40)을 삽입한다. 이 때, 니들(40)의 분사 노즐(45)을 타이어(300) 내부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분기 노즐(47)을 타이어 펑크(310)에 위치시킨 후, 니들(40)이 타이어 펑크(310)에서 요동하지 않도록 그립부(90)을 그립한다.
다음, 피스톤 구동부(50a)의 핸들(59)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템(55)과 너트부(51)의 나사 운동에 의해 피스톤(30)은 니들(40)을 향해 접근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30)이 니들(40)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제1챔버(13)의 체적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제2챔버(15)의 체적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챔버(13)에 수용된 밀봉제(200)는 피스톤(30)의 가압에 의해 니들(40)의 유동로(43)로 유입되고, 유동로(43)를 따라 유동하는 밀봉제(200)의 일부는 분사 노즐(45)을 통해 타이어(300)의 내부에 분사 도포되고, 유동로(43)를 따라 유동하는 밀봉제(200)의 나머지는 복수의 분기 노즐(47)을 통해 타이어 펑크(310) 둘레에 분사 도포된다.
스템(55)의 직선 이동에 의해 피스톤(30)이 니들(40) 가까이에 인접하여, 제1챔버(13)에 수용된 밀봉제(200)의 전량이 타이어(300)의 내부 및 타이어 펑크(310)로 소진되면, 피스톤 구동부(50a)의 핸들(59)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스템(55)과 너트부(51)의 나사 운동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0)은 니들(40)로부터 이격하며 최초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피스톤(30)이 최초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제1챔버(13)의 체적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제2챔버(15)의 체적은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큰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피스톤(30)은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최초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피스톤(30)이 최초 위치로 이동하며 니들(40)로부터 이격할 때, 타이어(300) 내부의 높은 압력의 일부 에어가 니들(40)의 유동로(43)를 따라 제1챔버(13)로 유입하며 니들(40)의 유동로(43)에 잔류하는 액상의 밀봉제(200)를 제1챔버(13)로 유입시킴으로써, 니들(40)과 제1챔버(13)를 간편하게 청소하여, 니들(40)에 남아있는 밀봉제(200)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굳어버려 니들(40)을 재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피스톤(30)이 니들(40)로부터 이격하여 최초 위치에 도달하면, 타이어 펑크(310)에 삽입된 니들(40)을 타이어 펑크(310)로부터 분리한다.
이에 따라, 타이어(300)의 내부로 주입된 밀봉제(200)는 타이어(300) 내부에 발생하는 고압에 의해 타이어 펑크(310)로 유입되며, 타이어 펑크(310) 둘레에 도포된 밀봉제(200)와 함께 타이어 펑크(310)를 충진하여 타이어 펑크(310)를 봉합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1b)는 피스톤 구동부(50b)가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1b)는 피스톤 구동부(50b)는 에어 공급공(61)과 에어 공급 펌프(71)를 포함한다.
에어 공급공(61)은 제2챔버(15)와 연통하게 실린더(10)에 관통 형성되어, 제2챔버(15)로 타이어(300) 내부 압력보다 높은 고압 에어가 공급된다.
에어 공급공(61)에는 에어 공급 펌프(71)의 호스 또는 파이프(73)가 연결된다.
한편, 에어 공급공(61)에 상기 에어 공급 펌프(71)의 호스 또는 파이프(73)가 연결되지 않을 때, 에어 공급공(61)에는 에어 공급공(61)을 기밀 유지하는 에어 공급공용 니플(63)이 체결된다. 여기서, 에어 공급공용 니플(63)에는 에어 공급공(61)에 체결시 기밀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로서 오링(65)이 장착될 수 있다.
에어 공급 펌프(71)는 에어 공급공(61)에 호스 또는 파이프(73)로 연결되어, 에어 공급공(61)을 통해 제2챔버(15)로 고압 에어를 공급 또는 공급해제하여 피스톤(30)을 왕복이동시킨다.
여기서, 에어 공급 펌프(71)로서 에어 컴프레서, 에어 블로워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봉합장치(1b)의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0)이 실린더(10)의 주입공(17)으로부터 니들(40)의 반대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도 6의 우측 영역에 제1챔버(13)를 형성함과 동시에, 도 6의 좌측 영역에 제2챔버(15)를 형성한 상태에서, 주입공(17)을 개방하여 제1챔버(13)에 액상의 밀봉제(200)의 필요량을 주입한 후, 주입공용 니플(21)을 주입공(17)에 체결하여, 제1챔버(13)를 기밀 유지한다.
그리고, 타이어 펑크(310)에 니들(40)을 삽입한다. 이 때, 니들(40)의 분사 노즐(45)을 타이어(300) 내부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분기 노즐(47)을 타이어 펑크(310)에 위치시킨 후, 니들(40)이 타이어 펑크(310)에서 요동하지 않도록 그립부(90)을 그립한다.
그리고, 에어 공급 펌프(71)를 구동하여, 고압 에어를 에어 공급공(61)을 통해 실린더(10)의 제2챔버(15)로 주입시키면, 고압 에어의 가압력에 의해 피스톤(30)은 니들(40)을 향해 접근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30)이 니들(40)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제1챔버(13)에 수용된 밀봉제(200)는 니들(40)의 유동로(43)로 유입되고, 유동로(43)를 따라 유동하는 밀봉제(200)의 일부는 분사 노즐(45)을 통해 타이어(300)의 내부에 분사 도포되고, 유동로(43)를 따라 유동하는 밀봉제(200)의 나머지는 복수의 분기 노즐(47)을 통해 타이어 펑크(310) 둘레에 분사 도포된다.
스템(55)의 직선 이동에 의해 피스톤(30)이 니들(40) 가까이에 인접하여, 제1챔버(13)에 수용된 밀봉제(200)의 전량이 타이어(300)의 내부 및 타이어 펑크(310)로 소진되면, 제2챔버(15)로 주입된 고압 에어를 제2챔버(15)로부터 배출시킨다.
이 때, 피스톤(30)은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0)은 니들(40)로부터 이격하며 최초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피스톤(30)의 이동에 의해 제1챔버(13)의 체적은 증가하고 제2챔버(15)의 체적은 감소하게 된다.
한편, 피스톤(30)이 최초 위치로 이동하며 니들(40)로부터 이격함에 따라, 제1챔버(13)에는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피스톤(30)이 니들(40)로부터 이격하여 최초 위치에 도달하면, 타이어 펑크(310)에 삽입된 니들(40)을 타이어 펑크(310)로부터 분리한다.
이에 따라, 타이어(300)의 내부로 주입된 밀봉제(200)는 타이어(300) 내부에 발생하는 고압에 의해 타이어 펑크(310)로 유입되며, 타이어 펑크(310) 둘레에 도포된 밀봉제(200)와 함께 타이어 펑크(310)를 충진하여 타이어 펑크(310)를 봉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휠과 타이어를 분리하지 않고 타이어의 펑크에 삽입되는 니들을 통해 액상의 밀봉제를 주입하여 누구나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타이어 펑크를 봉합할 수 있고, 펑크 봉합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a,1b: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10: 실린더
13: 제1챔버
15: 제2챔버
17: 주입공
21: 주입공용 니플
30: 피스톤
40: 니들
41: 니들 본체
43: 유동로
45: 분사 노즐
47: 분기 노즐
50a,50b: 피스톤 구동부
51: 너트부
55: 스템
61: 에어 공급공
63: 에어 공급공용 니플
71: 에어 공급 펌프
80: 탄성부재

Claims (9)

  1. 타이어의 펑크를 봉합하기 위한 액상의 밀봉제가 주입되는 챔버를 형성하는 실린더와;
    상기 챔버를 상기 밀봉제가 수용되는 제1챔버와, 상기 밀봉제가 수용되지 않는 제2챔버로 가변 구획하며, 상기 챔버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어 타이어의 펑크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된 상기 밀봉제를 타이어의 내부 및 펑크위치에 분사하는 니들과;
    상기 피스톤을 왕복이동시켜,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된 상기 밀봉제를 상기 니들로 공급 또는 공급해제하는 피스톤 구동부와;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되어, 상기 피스톤이 상기 니들과 이격하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구동부는,
    상기 피스톤을 사이에 두고 상기 니들과 대향하며 상기 실린더에 마련되는 너트부와;
    상기 피스톤을 지지하며 상기 너트부와 나사 결합되어 나사 운동하며, 상기 피스톤을 왕복이동시키는 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에 결합되어, 상기 스템을 회전시키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구동부는,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게 상기 실린더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챔버로 고압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 공급공과;
    상기 에어 공급공에 호스 또는 파이프로 연결되어, 상기 에어 공급공을 통해 상기 제2챔버로 고압 에어를 공급 또는 공급해제하여 상기 피스톤을 왕복이동시키는 에어 공급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은,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된 상기 밀봉제를 타이어 내부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유동로와, 상기 유동로를 따라 유동한 상기 밀봉제를 타이어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이 형성된 니들 본체와;
    상기 유동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유동로를 따라 유동하는 상기 밀봉제의 일부를 타이어의 펑크 둘레에 분사하는 복수의 분기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본체의 외주면은, 상기 니들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파이럴 형상을 갖는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제1챔버로 상기 밀봉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공을 통해 상기 제1챔버로 상기 밀봉제를 주입한 후, 상기 주입공에는 상기 주입공을 기밀 유지하는 주입공용 니플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공에 상기 에어 공급 펌프의 호스 또는 파이프가 연결되지 않을 때, 상기 에어 공급공에는 상기 에어 공급공을 기밀 유지하는 에어 공급공용 니플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KR2020190001717U 2019-04-25 2019-04-25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KR200490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717U KR200490157Y1 (ko) 2019-04-25 2019-04-25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717U KR200490157Y1 (ko) 2019-04-25 2019-04-25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157Y1 true KR200490157Y1 (ko) 2019-10-07

Family

ID=6816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717U KR200490157Y1 (ko) 2019-04-25 2019-04-25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1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833B1 (ko) * 2021-09-13 2023-01-31 선병승 타이어 펑크 수리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106U (ko) * 1993-01-19 1994-08-19 최위태 타이어용 펑크 수리기
JP2001505501A (ja) * 1997-09-12 2001-04-24 アルスイッセ・バイリシェス・ドルックグス―ベルク・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ー カーゲー タイヤの欠陥を補修する装置
KR200422746Y1 (ko) 2006-05-20 2006-07-31 정규엽 타이어 펑크 수리 지그
JP5521658B2 (ja) * 2010-03-10 2014-06-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イヤ修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106U (ko) * 1993-01-19 1994-08-19 최위태 타이어용 펑크 수리기
JP2001505501A (ja) * 1997-09-12 2001-04-24 アルスイッセ・バイリシェス・ドルックグス―ベルク・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ー カーゲー タイヤの欠陥を補修する装置
KR200422746Y1 (ko) 2006-05-20 2006-07-31 정규엽 타이어 펑크 수리 지그
JP5521658B2 (ja) * 2010-03-10 2014-06-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イヤ修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833B1 (ko) * 2021-09-13 2023-01-31 선병승 타이어 펑크 수리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8749B2 (ja) 樹木注入装置及び方法
US5005754A (en) Bladder and mandrel for use with surgical stapler
US8226377B2 (en) Sealing pump-up device
KR200490157Y1 (ko)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EP2163374A1 (en) Sealing/pump-up device
US20070191762A1 (en) Needleless injector and ampule system
US20140261869A1 (en) Puncture Repair Liquid Injection Method and Injection Device
JP2018126734A (ja) 電動カートリッジ式流体吐出装置及びシステム
US5670180A (en) Laminated glass and windshield repair device
TWI542786B (zh) Can be filled with tubeless tire of the pump
KR101418529B1 (ko) 액체공급방법 및 장치
US8579216B2 (en) Injection nozzle for repairing a wall element
JP2014070451A (ja) 接着剤注入装置およびピンニング工法
KR20160142993A (ko) 자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주입장치
KR101756630B1 (ko) 가압식 수간주사 방법 및 그 주사기
CN210494792U (zh) 一种用于无痛整形的注射器
US3052141A (en) Tire repair gun and cartridge
JP6402223B2 (ja) ピンジョイント構造
US603045A (en) Repair device for pneumatic tires
KR20190115593A (ko) 자동화 주름 재생기
US610594A (en) Bicycle-tire-repair kit
JP5689732B2 (ja) 既設配管継手部の漏洩修理工法及び既設配管継手部の漏洩修理用シール材注入チューブ
US616572A (en) William iierrick
JP2004338476A (ja) タイヤの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KR101666850B1 (ko) 에어 공급이 가능한 타이어펑크실 삽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