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653Y1 - 커버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커버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653Y1
KR200489653Y1 KR2020140006474U KR20140006474U KR200489653Y1 KR 200489653 Y1 KR200489653 Y1 KR 200489653Y1 KR 2020140006474 U KR2020140006474 U KR 2020140006474U KR 20140006474 U KR20140006474 U KR 20140006474U KR 200489653 Y1 KR200489653 Y1 KR 200489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inge
shaft
main body
connection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835U (ko
Inventor
이하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6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53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8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버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10)에 구획벽(12)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14)을 커버(30)가 차폐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힌지축(18)을 두고, 상기 커버(30)에는 축개구홈(36)이 형성된 힌지연결단(34)을 둔다. 상기 힌지축(18)에는 걸이편(20)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편(20)의 걸이턱(22)에는 상기 힌지연결단(34)에 형성된 걸이바아(37)가 걸어져 커버(30)가 수납공간(14)을 차폐한 상태에서는 커버(30)가 본체(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힌지연결단(34)에는 상기 걸이편(2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간섭회피슬릿(4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커버(30)가 본체(1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커버(30)의 개폐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버용 힌지장치{Hinge apparatus for cover}
본 고안은 커버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가 소정의 공간을 차폐한 상태에서는 커버를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에서 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커버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버는 소정의 공간을 외부에 대해 개폐하는 것으로,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의 커버는 전장부품이 안착되는 공간을 개폐하는 것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커버의 크기는 대략 작업자가 한 손으로 개폐하고 착탈할 수 있는 정도이다.
이와 같은 커버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본체 쪽에 구비되는 힌지축에 커버에 형성된 축개구홈이 끼워져 조립되어 커버가 개폐된다. 하지만, 상기 축개구홈의 개구정도는 상기 힌지축이 얼마나 쉽게 축개구홈에 삽입되고 분리되느냐를 결정한다. 힌지축이 축개구홈에 쉽게 삽입되면 그 만큼 쉽게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축개구홈을 어느 정도 개구할 것인가와 커버가 공간이 형성된 본체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설계자들의 고민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142554 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가 공간이 형성된 본체에 쉽게 장착되도록 하면서도 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외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본체에 형성된 수납공간을 커버가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장착하는 커버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걸이턱이 형성된 걸이편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축개구홈이 형성되는 힌지연결단과, 상기 힌지연결단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수납공간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걸이턱이 걸어져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이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연결단은 상기 커버의 내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힌지연결단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커버의 외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는 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은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축개구홈의 입구 폭은 상기 힌지축의 둘레의 절반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축개구홈의 입구에는 걸이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연결단에는 상기 걸이편이 위치되는 간섭회피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측벽에 양단이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단은 상기 커버의 일단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의 연장방향은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의 외면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방향이다.
삭제
본 고안에 의한 커버용 힌지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힌지축에 걸이편을 두어 커버가 수납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대편의 힌지연결단의 걸이바아에 걸이편의 걸이턱이 걸어지도록 하여 외력에 의해 커버가 수납공간을 폐쇄한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수납공간을 외부와 확실하게 차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커버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면서, 걸이편과 간섭회피슬롯이 서로 안내되므로 커버의 개폐궤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커버의 동작신뢰성이 좋아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커버용 힌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채용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례가 사용되는 것을 보인 설명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체(10)의 일측에는 구획벽(12)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14)에는 전장부품들이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납공간(14)에 퓨즈나 저항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예로는 자동차용 블럭의 본체가 있다. 상기 구획벽(12)은 본 실시례에서는 평면도로 볼 때 사각형을 이룬다.
상기 구획벽(12)의 일측에서 돌출되어서는 측벽(16)들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16)들을 연결하여서는 힌지축(18)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18)은 봉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측벽(16)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18)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힌지축(18)의 길이방향 중간부에는 걸이편(20)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20)이 힌지축(18)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역학적으로는 중간부에 있는 것이 가장 좋다. 상기 걸이편(20)은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걸이편(20)의 일측에 돌출되게는 걸이턱(22)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2)도 상기 걸이편(20)을 구성하는 일부로서, 상기 걸이편(20)의 일부분이다. 상기 걸이턱(22)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의 걸이바아(37)에 걸어진다. 상기 걸이바아(37)에 상기 걸이턱(22)이 걸어지는 것은 커버(30)가 상기 수납공간(14)을 닫은 상태에서 이다. 이는 상기 걸이턱(22)의 돌출방향이 그러하기 때문이다. 상기 걸이턱(22)의 돌출방향은 상기 수납공간(14)의 개구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구획벽(12)의 외면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방향이다.
커버(30)는 상기 수납공간(14)을 외부에 대해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30)의 골격을 커버본체(32)가 형성한다. 상기 커버본체(32)는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커버본체(32)의 일단부 내면에는 힌지연결단(34)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연결단(34)은 상기 커버본체(32)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힌지연결단(34)이 2개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이 하나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연결단(34)에는 축개구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개구홈(36)은 상기 힌지축(18)이 수납되는 부분이다. 상기 축개구홈(36)의 횡단면은 상기 힌지축(18)의 외면을 절반 이상 둘러싸도록 일측이 개구된다. 이는 상기 힌지축(18)이 상기 축개구홈(36)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고, 일정 이상의 힘에 의해서만 빠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축개구홈(36)에 인접하여서는 걸이바아(37)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바아(37)는 상기 힌지연결단(34)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걸이편(20)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축개구홈(36)의 개구된 일측에는 걸이리브(38)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리브(38)는 상기 축개구홈(36)의 개구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걸이리브(38)를 제외하면 상기 축개구홈(36)은 상기 힌지축(18)의 둘레의 절반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이리브(38)를 제외한 축개구홈(36)의 횡단면은 반원형상이다. 상기 걸이리브(38)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해서 상기 축개구홈(36)에 상기 힌지축(18)이 삽입되고 빠지는 것이 소정 이상의 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힌지연결단(34)에는 상기 축개구홈(36)과 연통되게 간섭회피슬릿(40)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슬릿(40)은 하나의 힌지연결단(34)의 중간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슬릿(40)은 상기 힌지축(18)의 걸이편(20)이 위치된다. 즉, 상기 간섭회피슬릿(40)이 있음으로 해서 상기 힌지연결단(34)이 커버(30)의 개폐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힌지연결단(34)에 대응되는 커버본체(32)의 반대면에는 홈부(41)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41)가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됨에 의해 상기 힌지연결단(34)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홈부(41)로 연통되게 상기 간섭회피슬롯(40)이 형성된다. 이는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연결단(34)이 있는 위치의 반대쪽에는 잠금부(42)가 있다. 상기 잠금부(42)는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구조에 걸어져서 상기 커버(30)가 상기 수납공간(14)을 차폐한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잠금부(42)에 작업자가 힘을 가해 커버(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커버(30)가 상기 힌지축(1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납공간(14)을 개방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버용 힌지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커버(30)는 본체(10)에 형성된 수납공간(14)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수납공간(14)에 수납된 물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30)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는 것은 상기 힌지축(18)이 상기 커버(30)의 힌지연결단(34)에 형성된 축개구홈(36)에 삽입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축(18)은 봉형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 커버(30)의 회전중심이 되는데, 상기 축개구홈(36)의 내면 형상은 상기 힌지축(18)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커버(30)가 본체(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축개구홈(36)의 내부로 들어가는 입구는 상기 힌지축(18)의 둘레의 절반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걸이리브(38)가 형성되어 있어, 축개구홈(36)의 내부로 힌지축(18)이 상기 힌지연결단(34)을 탄성변형시키면서 들어간다. 따라서, 상기 축개구홈(36)에서 상기 힌지축(18)이 임의로 빠지지도 않게 된다.
상기 커버(30)의 축개구홈(36)으로 상기 힌지축(18)을 삽입할 때는 상기 커버본체(32)가 상기 본체(10)의 외면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한다. 이는 상기 커버본체(32)의 내면이 본체(10)의 수납공간(14) 입구와 마주보게 하면 상기 걸이턱(22)이 상기 걸이바아(37)에 걸리기 때문이다.
상기 힌지축(18)이 상기 축개구홈(3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30)가 상기 수납공간(14)을 차폐하게 되면, 상기 걸이바아(37)가 상기 걸이편(20)의 걸이턱(22)에 걸어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의 (a)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커버(30)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커버(30)가 이동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상기 걸이바아(37)가 상기 걸이턱(22)에 걸어져서 커버(30)의 힌지연결단(34)이 상기 본체(10)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화살표 B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면 상기 커버(30)가 상기 본체(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걸이턱(22)에 상기 걸이바아(37)가 걸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즉, 상기 커버(30)가 상기 수납공간(14)을 어느 정도 개방한 상태가 되면 상기 커버(30)를 상기 본체(1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턱(22)이 형성된 걸이편(20)은 상기 커버(30)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연결단(34)의 간섭회피슬롯(40)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편(20)이 상기 간섭회피슬롯(40)에 위치되어 있음에 의해 상기 커버(30)의 개폐궤적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30)가 정확한 궤적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잠금부(42)가 정확하게 상대 구조에 걸어지게 되어 상기 수납공간(14)을 정확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30)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대 운동되는 상기 힌지축(18)과 힌지연결단(34)이 설계된 대로 상대 운동을 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힌지축(18)이 상기 본체(10)에 있고, 상기 축개구홈(36)이 형성된 힌지연결단(34)이 커버(30)에 있으나, 이들이 서로 반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힌지축(18)이 상기 커버(30)에 형성되고, 상기 축개구홈(36)이 형성된 힌지연결단(340이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이편(20)과 힌지연결단(34)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간섭회피슬릿(40)을 형성하고 있으나, 상기 걸이편(20)의 위치에 따라서는 간섭회피슬릿(40)이 없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걸이편(20)이 힌지연결단(34)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이다.
10: 본체 12: 구획벽
14: 수납공간 16: 측벽
18: 힌지축 20: 걸이편
22: 걸이턱 30: 커버
32: 커버본체 34: 힌지연결단
36: 축개구홈 37: 걸이바아
38: 걸이리브 40: 간섭회피슬릿
42: 잠금부

Claims (7)

  1. 본체에 형성된 수납공간을 커버가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장착하는 커버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걸이턱이 형성된 걸이편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축개구홈이 형성되는 힌지연결단과,
    상기 힌지연결단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수납공간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걸이턱이 걸어져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이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연결단은 상기 커버의 내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힌지연결단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커버의 외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는 홈부가 형성되는 커버용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편은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되는 커버용 힌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개구홈의 입구 폭은 상기 힌지축의 둘레의 절반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축개구홈의 입구에는 걸이리브가 형성되는 커버용 힌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단에는 상기 걸이편이 위치되는 간섭회피슬릿이 형성되는 커버용 힌지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측벽에 양단이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단은 상기 커버의 일단에 형성되는 커버용 힌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턱의 연장방향은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의 외면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방향인 커버용 힌지장치.
  7. 삭제
KR2020140006474U 2014-09-02 2014-09-02 커버용 힌지장치 KR200489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474U KR200489653Y1 (ko) 2014-09-02 2014-09-02 커버용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474U KR200489653Y1 (ko) 2014-09-02 2014-09-02 커버용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35U KR20160000835U (ko) 2016-03-10
KR200489653Y1 true KR200489653Y1 (ko) 2019-07-17

Family

ID=5553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474U KR200489653Y1 (ko) 2014-09-02 2014-09-02 커버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5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5395A1 (en) * 1997-02-10 1998-08-13 Ut Automotive Dearborn, Inc. Battery terminal shield with hinge
JP2003314128A (ja) * 2002-04-19 2003-11-06 Kawamura Electric Inc 樹脂製ボックスの構造
JP3660107B2 (ja) * 1997-07-24 2005-06-15 シンクレイヤ株式会社 通信用中継器筐体
JP4966759B2 (ja) * 2007-06-20 2012-07-04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回路遮断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554Y1 (ko) 1995-12-14 1999-06-01 정몽규 글로브 박스 힌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5395A1 (en) * 1997-02-10 1998-08-13 Ut Automotive Dearborn, Inc. Battery terminal shield with hinge
JP3660107B2 (ja) * 1997-07-24 2005-06-15 シンクレイヤ株式会社 通信用中継器筐体
JP2003314128A (ja) * 2002-04-19 2003-11-06 Kawamura Electric Inc 樹脂製ボックスの構造
JP4966759B2 (ja) * 2007-06-20 2012-07-04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回路遮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35U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8523B2 (en) Connector and wire harness
US20180123281A1 (en) Protective cap for an attachment housing
KR102052647B1 (ko)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
TWI569527B (zh) 電插塞連接器
US11031732B2 (en) Lever-type connector
US941315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20170054252A1 (en) Snap Back Cover Lockout Device
JP2014103845A5 (ja) バスダクトプラグインホール保護構造
KR20140021514A (ko) 노이즈를 흡수하는 장치
KR200489653Y1 (ko) 커버용 힌지장치
JP6224968B2 (ja) バッテリ接続端子保護カバー
KR20200063877A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US9640916B2 (en) Shield connector
JP6657163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RU2016119151A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шнур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узел внутренней отдел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10361502B1 (en) Socket for connecting a plug connector
CN109964547B (zh) 用于控制器的壳体和用于该壳体的盖罩
JP2010027392A (ja) コネクタ
CN107710520B (zh) 电线盖以及带电线盖的连接器
US10493929B2 (en) Cable guide attachment structure
CN108306151A (zh) 连接器
KR20160066997A (ko) 차량용 블럭의 개폐커버장치
KR20170032784A (ko) 커버용 힌지장치
KR102628650B1 (ko) 개폐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
CN105981248A (zh) 凸缘构件上的附件布置方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