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496Y1 - 진공 화장실 시스템 - Google Patents

진공 화장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496Y1
KR200489496Y1 KR2020180005792U KR20180005792U KR200489496Y1 KR 200489496 Y1 KR200489496 Y1 KR 200489496Y1 KR 2020180005792 U KR2020180005792 U KR 2020180005792U KR 20180005792 U KR20180005792 U KR 20180005792U KR 200489496 Y1 KR200489496 Y1 KR 200489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t
vacuum
foreign matter
filtration tank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찬
Original Assignee
제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5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14Closet or like flushing arrangements; Washing or bathing facilities peculiar to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63B2705/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의 선실 구역 또는 공용 구역 화장실 내 세면기, 대변기, 소변기, 그레이 워터 탱크(Grey Water Tank: 적당량의 오수가 탱크 내에 모이면 레벨센서를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오수를 배출하는 장치)등의 오물배출처로부터 오물을 흡입하여 오수처리장치 또는 오수저장탱크로 이송,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물에 포함된 금속조각, 비닐 등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 진공 화장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진공흡입기(20,20')가 오물유입부(10)를 통해 오물배출처와 연결되어 오물을 오수저장 탱크(40)로 진공 흡입하여 수거, 처리하는 진공 화장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물유입부(10)는 다수의 오물배출처에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의 유입관(11,11')을 구비한 매니폴드(12)로 구성하고, 상기 요물유입부(10)와 진공흡입기(20) 사이에는 오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여과 유닛(1)을 설치하여 오물에 유입된 이물질이 진공흡입기(20,20'), 오수저장 탱크(40)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진공 화장실 시스템을 구성한다.

Description

진공 화장실 유니트{VACUUM TOILET SYSTEM}
본 고안은 진공 화장실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선실 구역 또는 공용 구역 화장실 내 세면기, 대변기, 소변기, 그레이 워터 탱크(Grey Water Tank: 적당량의 오수가 탱크 내에 모이면 레벨센서를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오수를 배출하는 장치)등의 오물배출처로부터 오물을 흡입하여 오수처리장치 또는 오수저장탱크로 이송,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물에 포함된 금속조각, 비닐 등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 진공 화장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화장실 유니트는 선박, 비행기, 열차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진공 화장실 유니트에는 여과장치가 없어 오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진공흡입기(Vaccumarator)로 유입되므로 고장의 원인이 되는 등의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하 기존 진공 변기 유니트에 대해 참고문헌을 통해 살펴본다.
참고문헌1에; 오물 저장조로부터 순환 펌프에 의하여 그로 공급되는 액체구동 배출기와, 하수관에 분배되는 오물이 상기 배출기을 통하여 저장조내로 끌어당겨지도록 하나의 테크 밸브를 통하여 진공 하수관에 연결된 상기 배출기의 홉입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하수 시스템 내에서 오물의 운송을 위하여 저감된 압력을 제공하는 진공 발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2에; 룸에 위치하고 하수관과 수집컨테이너까지 배출밸브를 통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변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선택된 변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진공 하에 놓여질 수 있는 기차 및 다른 차량 유니트용 진공변기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3에; 출구오프닝을 통하여 배출되어지는 폐기물 리시버유니트와, 상기 출구오프닝을 통하여 폐기물 리시버유니트로부터 하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하수밸브와, 하수밸브에 연결된 상부부분과 하수관의 배출을 제공하는 하류부분을 가지는 하수관과, 작동매체 공급입구를 가지는 이젝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진공하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4에; 하수관을 통하여 하수의 집수 또는 방출공간에 연결되는 하수원 및 하수관 내에 진공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고 작동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진공을 발생시키는 회전로브펌프를 사용하고, 하수는 회전로브펌프를 통해 하수의 집수 또는 방출공간에 운송되도록 한 진공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5에: 하수용기와, 배출밸브 수단에 의하여 그 하수용기에 접속된 하수배관과, 그 하수배관 내에 진공을 생성하기 위한 진공생성수단과, 배출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 및 진공버퍼수단 진공버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하수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 밖에 참고문헌6에; 오수용기와, 배출밸브의 수단에 의하여 그 오수용기에 접속된 오수배관과 그 오수배관 내에 진공을 발생하기 위한 진공발생수단 및 그 배출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를 포함하는 진공오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참고문헌7에; 하수공급원, 하수배관, 상기 하수공급원과 하수배관 사이의 방출밸브, 상기 하수배관에 부분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방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진공하수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 참고문헌8에; 진공 하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시스템은, 변기 유닛과 같은 위생 유닛, 상기 위생 유닛에 연결된 진공 하수 배관계, 상기 위생 유닛과 상기 진공 하수 배관계 사이의 배출밸브, 및 상기 진공 하수 배관계 내에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공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진공하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살핀 바와 같이 종래 진공 화장실 유니트는 오물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오물에 포함된 금속조각, 비닐 등의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장치가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이들 이물질이 오물과 함께 진공흡입기, 오수처리장치, 오수저장탱크 등으로 유입되어 고장을 일으키거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는 등의 여러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14501호, 1995.06.16. (참고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62790호, 2000.10.25. (참고문헌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61991호, 2001.07.07. (참고문헌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5506호, 2002.01.17. (참고문헌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8806호, 2007.08.02. (참고문헌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8724호, 2007.10.05. (참고문헌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2133호, 2007.11.22. (참고문헌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4021호, 2009.10.05.
본 고안은 오물을 흡입하여 오수처리장치 또는 오수저장탱크로 흡입하여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오물에 포함된 금속조각, 비닐 등의 이물질이 오수처리장치, 오수저장탱크 등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걸러낼 수 있도록 이물질 여과수단을 갖춘 진공 화장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세면기, 대변기, 소변기 등의 오물배출처로부터 오물이 유입되는 오물유입부와 진공흡입기(Vaccumarator, 이하 진공흡입기라 한다.) 사이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 여과수단을 구비한 이물질여과유닛을 설치하여 오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진공흡입기와 오수처리장치 및 오수저장탱크 등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오물의 흡입, 처리과정에서 오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수단로 걸러내게 하고 걸러진 이물질은 이물질배출부를 통해 제거, 처리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고안은; 진공흡입기가 오물유입부를 통해 오물배출처와 연결되어 오물을 오수저장 탱크로 진공 흡입하여 수거, 처리하는 진공 화장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물유입부는 다수의 오물배출처에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의 유입관을 구비한 매니폴드로 구성하고, 상기 요물유입부와 진공흡입기 사이에는 오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여과 유닛을 설치하여 오물에 유입된 이물질이 진공흡입기, 오수저장 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물질여과 유닛은; 오물이 유입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 탱크; 상기 매니폴드와 연결되어 오물을 여과 탱크 내로 유입시키는 유입관; 상기 여과 탱크 내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여과수단; 상기 여과 탱크 양측으로 형성되어 진공흡입기로 오물을 송출하는 분기관; 여과 탱크 내에서 걸러진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부;로 구성한다.
본 고안은 선박의 선실 구역 또는 공용 구역 화장실 내 세면기, 대변기, 소변기, 그레이 워터 탱크(Grey Water Tank) 등의 오물배출처에서 진공흡입기로 오물을 흡입하여 이송,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물에 포함된 금속조각, 비닐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내어 오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진공흡입기 등으로 유입되지 않게 함으로써 뛰어난 작동안정성 등을 갖춘 진공 화장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오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이물질여과 유닛의 여과수단으로 걸러내고 여과수단을 통해 걸러진 이물질은 이물질배출부를 통해 간편히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진공 화장실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진공흡입기 등으로 유입되지 않아 고장발생우려를 해소하고 관리의 용이성과 사용수명 연장 등의 여러 이익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전체 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전체 구성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전체 구성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전체 구성 회로도
도 5, 도 6은 본 고안 중 이물질여과 유닛을 발췌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7, 도 8은 본 고안 중 이물질여과 유닛을 발췌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9, 도 10은 본 고안 중 이물질여과 유닛의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1, 12는 본 고안 중 이물질여과 유닛의 다른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3, 14는 본 고안 중 이물질여과 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5, 16은 본 고안 중 이물질여과 유닛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본 고안은 선박의 선실 구역 또는 공용 구역 화장실 내 세면기, 대변기, 소변기, 그레이 워터 탱크(Grey Water Tank) 등의 오물배출처와 진공흡입기로 연결되어 이들로부터 오물을 진공흡입하여 오수저장탱크로 수거, 처리하는 진공 화장실 시스템에 있어서, 오물의 진공 흡입하는 과정에서 오물에 포함된 금속조각, 나뭇조각, 비닐 등의 이물질을 이물질 여과수단이 구비된 이물질 여과유닛으로 걸러내고, 이물질여과 유닛에 걸러진 이물질은 간단히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진공 화장실 시스템은 해군의 함정에 실시하는 경우 해군에서 요구하는 특수성능(충격, 소음, 진동)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진공 화장실 시스템은 세면기, 대변기, 소변기 등의 오물배출처로 부터 오물유입부가 연결되고, 오물유입부는 이물질여과 유닛을 통해 진공흡입기에 연결되어 진공흡입기 및 씰링 리큐드 탱크를 경유 오수저장탱크로 흡입, 수거, 처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물유입부와 진공흡입기 사이에 설치되는 이물질여과 유닛은 오물유입부의 매니폴드와 연결되는 유입관이 형성되어,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오물을 진공흡입기로 보내기 전에 오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한다.
이물질을 여과하는 이물질여과 유닛은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 탱크, 여과 탱크 내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여과수단, 여과 탱크 양측으로 형성되어 진공흡입기로 오물을 송출하는 분기관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물질배출부는 여과 탱크 내에서 걸러진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밸브, 청소용 배출플랜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 1,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전체 구성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전체 구성 측면도 및 회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 중 이물질여과유닛을 발췌한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진공 화장실 시스템은 선박의 선실 구역 또는 공용 구역 화장실 내 세면기, 대변기, 소변기, 그레이 워터 탱크(Grey Water Tank) 등의 오물배출처는 오물유입부(10)를 통해 진공흡입기(20,20')에 연결되어 진공흡입기(20,20') 및 씰링 리큐드 탱크(30,30')를 경유 오수저장 탱크(40)로 흡입, 수거, 처리되도록 구성된다.
진공흡입기(20,20')은 복수로 구성하여 고장 등에 대비하여 복수로 운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안정성 등을 확보할 수 있게 실시한다.
상기 오물유입부(10)와 진공흡입기(20) 사이에는 이물질여과 유닛(1)을 설치하여 오물에 유입된 이물질이 진공흡입기(20,20') 및 오수저장 탱크(40)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한다.
오물유입부(10)는 다수의 오물배출처에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의 유입관(11,11')을 구비한 매니폴드(12)로 구성하고, 매니폴트(12)는 유입관(11,11')으로부터 유입된 오물을 진공흡입기(20,20')로 보내기 전에 오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유출구(13)를 이물질여과 유닛(1)과 연결한다.
이물질을 여과하는 이물질여과 유닛(1)은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 탱크(2), 여과 탱크(2) 내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여과수단(3), 여과 탱크(2) 양측으로 형성되어 진공흡입기(20,20')로 오물을 송출하는 분기관(4,4')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물질여과 유닛(1)에는 여과 탱크(2) 내에서 걸러진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부(9) 등이 구성된다.
상기 이물질배출부(9)는 여과 탱크(2) 하부에 여과 탱크(2)에 쌓이는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드레인밸브(91)를 설치하고, 여과 탱크(2) 전면에는 여과 탱크(2) 내부를 청소하고 이물질여과수단(3)을 교체, 관리,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용 배출 플랜지(92)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여과 유닛(1)의 여과 탱크(2) 양측 분기관(4,4') 연결된 진공흡입기(20,20')는 씰링 리큐드 탱크(30,30')와 연결하고 씰링 리큐드 탱크(30,30')는 송출관(31,31')으로 다시 오수저장 탱크(40)로 연결하여 오물을 흡입, 수거, 처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진공 화장실 시스템은 해군의 함정에 실시하는 경우 해군에서 요구하는 특수성능(충격, 소음, 진동)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오물유입부(10)와 진공흡입기(20,20') 사이에 설치되는 이물질여과유닛(1)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오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이물질여과 유닛(1)은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 탱크(2), 여과 탱크(2) 내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여과수단(3), 여과 탱크(2) 양측으로 형성되어 진공흡입기(20,20')로 오물을 송출하는 분기관(4,4'), 그리고 여과 탱크(2)에서 걸러진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부(9)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과 탱크(2)는 중앙 상부에 유입관(21)이 형성되어 매니폴드(12)의 유출관(13)과 연결되고, 여과 탱크(2) 양측에는 진공흡입기(20,20')와 연결되는 분기관(4,4')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유입관(21)은 여과 탱크(2) 내부로 깊숙히 연결하여 오물이 여과 탱크(21)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진공흡입기(20,20')와 연결되어 진공흡입력으로 여과 탱크(21) 내 오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분기관(4,4')은 유입관(21) 보다 높은 위치로 배치한다.
이는 유입관(21)을 통해 여과 탱크(21) 내로 유입된 오물이 곧장 분기관(4,4')으로 배출되지 않고 후술하는 이물질여과수단(3)에 의해 오물을 걸러낸 후 배출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9, 도 10은 본 고안 중 이물질여과 유닛에 설치되는 이물질여과수단(3)의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여과 탱크(1) 내의 유입관(21) 하부에 스크린(5,5')을 설치한다. 상기 스크린(5,5')은 도시한 예와 같이 유입관(21) 하부에서 분기관(4,4')이 있는 방향으로만 경사지게 형성하고 분기관(4,4')이 없는 방향에는 설치되지 않게 구성한다.
즉, 스크린(5,5')은 분기관(4,4')이 있는 방향으로 유입관(21)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하여 유입관(21)으로 유입된 오물이 분기관(4,4')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분기관(4,4')으로 향하면서 오물이 걸러지게 한다.
그리고 분기관(4,4')이 없는 방향으로는 [스크린(5,5')이 없으므로] 오물이 바로 분기관(4,4')을 향해 빠져나가록 한다.
이것은 분기관(4,4')에 가까운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흡입력의 작용으로 이물질이 더 큰 흡입력의 영향력을 받게 됨으로써[이물질은 오물 보다 무겁고 부피가 커서 오물에 더욱 강하고 집중적으로 흡입력이 작용한다.] 분기관(4,4') 방향에 스크린(5,5')을 설치하여 오물을 걸러내게 하고 스크린(5,5')이 없는 방향으로는 스크린(5,5')을 설치하지 않아 오물의 원활한 배출을 돕도록 위한 것이다.
상기 스크린(5,5')에는 오물을 통과시키고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여과공(51,51')을 형성한다.
도 11, 12는 본 고안 중 이물질여과수단(3)의 다른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여과 탱크(1) 내의 유입관(21) 하부에 스크린(6,6')을 설치하되, 상기 스크린(6,6')은 유입관(21) 하부에 힌지(61,61')로 각운동되게 연결하여 힌지(61,61')를 중심으로 흡입력 작용 시에 분기관(4,4') 방향으로 전개되면서 오물을 걸러내도록 한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스크린(6,6')은 유입관(21) 하부에 분기관(4,4')이 있는 방향으로 힌지(61,61')를 결합하여 흡입력이 작용하면 힌지(61,61')를 중심으로 분기관(4,4') 방향으로 펼쳐지게 구성한다.
즉, 스크린(6,6')은 유입관(21)에 힌지(61,61')로 연결하여 분기관(4,4')으로 여과 탱크(2) 내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이 작용되면 유입관(21) 하부에 설치된 스크린(6,6')이 흡입력의 영향으로 분기관(4,4') 방향으로 펼쳐지게 함으로써 오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게 한다.
상기 스크린(6,6')에는 역시 오물을 통과시키고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여과공(61,61')을 형성한다.
도 13, 14는 본 고안 중 이물질여과수단(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여과탱크(1) 내의 유입관(21)과 분기관(4,4') 사이에 나선형 철선을 원형으로 형성한 나선형 스크린(7)을 설치하되, 상기 나선형 스크린(7)은 유입관(21) 외면에 상하로 자유로이 유동되게 하고, 유동되는 폭을 상하로 제한할 수 있도록 상하에 나선형 스크린(7)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재(71,71')을 형성한다.
상기 나선형 스크린(7)은 유입관(21) 외측에서 유입관(21)과 분기관(4,4') 사이에 설치하여 분기관(4,4')으로부터 흡입력이 작용하면 흡입력에 의해 분기관(4,4') 측으로 상승되게 하고, 흡입력이 상실되면 하강되게 함으로써 상승작동시에는 흡입력에 의해 오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게 하고, 하강 시에는 나선형 스크린(7)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면서 이물질이 털어지게 한다.
원형 분기관(4,4')이 있는 방향으로 힌지(61,61')로 각운동되게 연결하여 힌지(61,61')를 중심으로 흡입력 작용 시에 분기관(4,4') 방향으로 전개되면서 오물을 걸러내도록 한 것이다.
도 15, 16은 본 고안 중 이물질여과수단(3)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원뿔형 스크린(8)을 형성하고, 원뿔형 스크린(8)을 여과 탱크(2) 내 유입관(21) 하부 외측에 삽입하여 결합한 것이다.
상기 원뿔형 스크린(8)은 도시한 예와 같이 결합부(81)를 유입관(21) 외측에 삽입 고정시킨 상태에서 외주연이 여과 탱크(2) 내주연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유입관(21)과 분기관(4,4') 사이를 구획시키도록 하여 유입관(21)을 통해 여과 탱크(2) 내부로 유입된 오물이 원뿔형 스크린(8)을 통과하여 분기관(4,4') 측으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오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게 구성한다.
물론 이를 위하여 상기 원뿔형 스크린(8)에는 전술한 예들에서와 같이 오물을 통과시키고 오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지도록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여과공(82,82')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사용한 부호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이물질여과 유닛 11,11':유입구
2:여과 탱크 3:이물질여과수단
4,4':분기관 5,5':스크린
51,51':여과공
6,6':스크린 61,61':힌지
62,62':여과공
7:나선형 스크린 71,71':제한부재
8:스크린 9:이물질배출부
91:드레인밸브 92:배출 플랜지
10:오물유입부 20,20':진공흡입기
30,30':씰링 리큐드 탱크(SEALING LIQUID TANK)
40:오수저장 탱크(SEWAGE COLLECTING TANK)

Claims (7)

  1. 다수의 오물배출처에 연결하는 복수의 유입관(11,11')을 구비한 매니폴드(12)로 구성된 오물유입부(10)와 진공흡입기(20,20') 사이에 오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여과 유닛(1)을 설치한 진공 화장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여과 유닛(1)은; 오물이 유입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 탱크(2)와; 상기 매니폴드(12)에 연결되어 오물을 여과 탱크(2) 내로 유입시키는 유입관(21)과; 상기 여과 탱크(2) 내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여과수단(3)과; 상기 여과 탱크(2) 양측으로 형성되어 진공흡입기(20,20')로 오물을 송출하는 분기관(4,4')으로 구성하며,
    상기 이물질여과수단(3)은; 상기 여과 탱크(2) 내의 유입관(21)과 분기관(4,4') 사이에 나선형 철선을 원형으로 형성한 나선형 스크린(7)을 설치하되,
    상기 나선형 스크린(7)은 유입관(21) 외면에 상하로 자유로이 유동되게 하고, 나선형 스크린(7)의 이동을 상하로 제한하는 제한부재(71,71')을 형성하여 오물에 유입된 이물질이 진공흡입기(20,20'), 오수저장 탱크(40)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화장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80005792U 2018-12-13 2018-12-13 진공 화장실 시스템 KR200489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792U KR200489496Y1 (ko) 2018-12-13 2018-12-13 진공 화장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792U KR200489496Y1 (ko) 2018-12-13 2018-12-13 진공 화장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96Y1 true KR200489496Y1 (ko) 2019-06-26

Family

ID=67002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792U KR200489496Y1 (ko) 2018-12-13 2018-12-13 진공 화장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381A (ko) 2019-10-15 2021-04-23 주식회사 호두 육상설치용 진공 화장실 시스템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501A (ko) 1993-11-11 1995-06-16 하리 브롬스터 배출 장치(ejector device)
KR20000062790A (ko) 1999-03-10 2000-10-25 티모 레이닐레 진공변기시스템
JP2000343094A (ja) * 1999-06-07 2000-12-12 Taiga Bussan:Kk 移床式生物膜ろ過装置
KR20010061991A (ko) 1999-11-30 2001-07-07 티모 레이닐레 진공하수시스템
KR20020005506A (ko) 2000-07-10 2002-01-17 티모 레이닐레 진공시스템
KR20070078806A (ko) 2006-01-30 2007-08-02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진공하수 시스템
KR20070098724A (ko) 2006-03-31 2007-10-05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진공오수 시스템
KR20070112133A (ko) 2005-01-25 2007-11-22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진공하수시스템
KR20090104021A (ko) 2006-12-21 2009-10-05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진공 하수 시스템
KR101243415B1 (ko) * 2012-07-04 2013-03-13 최중철 빗물정화장치
KR200484580Y1 (ko) * 2016-03-18 2017-09-27 제트코리아 주식회사 진공변기 시스템의 이물질여과 겸용 오물파쇄장치
KR101794124B1 (ko) * 2017-01-31 2017-11-06 황성규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501A (ko) 1993-11-11 1995-06-16 하리 브롬스터 배출 장치(ejector device)
KR20000062790A (ko) 1999-03-10 2000-10-25 티모 레이닐레 진공변기시스템
JP2000343094A (ja) * 1999-06-07 2000-12-12 Taiga Bussan:Kk 移床式生物膜ろ過装置
KR20010061991A (ko) 1999-11-30 2001-07-07 티모 레이닐레 진공하수시스템
KR20020005506A (ko) 2000-07-10 2002-01-17 티모 레이닐레 진공시스템
KR20070112133A (ko) 2005-01-25 2007-11-22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진공하수시스템
KR20070078806A (ko) 2006-01-30 2007-08-02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진공하수 시스템
KR20070098724A (ko) 2006-03-31 2007-10-05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진공오수 시스템
KR20090104021A (ko) 2006-12-21 2009-10-05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진공 하수 시스템
KR101243415B1 (ko) * 2012-07-04 2013-03-13 최중철 빗물정화장치
KR200484580Y1 (ko) * 2016-03-18 2017-09-27 제트코리아 주식회사 진공변기 시스템의 이물질여과 겸용 오물파쇄장치
KR101794124B1 (ko) * 2017-01-31 2017-11-06 황성규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381A (ko) 2019-10-15 2021-04-23 주식회사 호두 육상설치용 진공 화장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4289B2 (en) Two-stage flush and grey water flush systems and devices
JP4368412B2 (ja) 軽度汚水インターフェイスバルブ装置および方法
JP5102307B2 (ja) 真空汚水処理システム
US8153004B2 (en) Grease trap with detachable residue interceptor
RU2120420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ой воды
KR102010573B1 (ko) 오수 배출 촉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오수 배출장치
US6110383A (en) Oil/water separator
JP2002320964A (ja) 分離器デバイス
SE504962C2 (sv) Anordning vid ett avloppssystem i en byggnad för olika grader av förorenat avloppsvatten
KR200489496Y1 (ko) 진공 화장실 시스템
KR102060940B1 (ko) 다단계 빗물 저장탱크를 이용한 빗물 저장 및 수질 처리 시스템
KR101768117B1 (ko) 다기능 우수겸용 오수받이
KR101390567B1 (ko) 하수 고액분리 집수정
JP2007138561A (ja) 管内濁質除去装置
JP2007325998A (ja) ディスポーザ
KR102046131B1 (ko) 초기우수 수질 처리 시스템
KR101397569B1 (ko) 분뇨 및 오물수거용 버큠로리 탱크의 진공펌프 고장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한 오물 수거 시스템
KR20010097084A (ko) 슬러지와 유류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15206B1 (ko) 남성용 순환식 변기 세정장치
JPH0790899A (ja) 厨芥移送装置及び厨芥処理装置
KR200199547Y1 (ko) 슬러지와 유류를 분리하는 장치
KR102622386B1 (ko) 세척수를 재활용한 상수도관 세척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499493B1 (ko) 오수처리시설용 스크린 탱크
JPH09296493A (ja) 真空排水システム
JP2007063810A (ja) ディスポーザ排水の固形物収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