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061Y1 - 타이어 수리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061Y1
KR200487061Y1 KR2020130010668U KR20130010668U KR200487061Y1 KR 200487061 Y1 KR200487061 Y1 KR 200487061Y1 KR 2020130010668 U KR2020130010668 U KR 2020130010668U KR 20130010668 U KR20130010668 U KR 20130010668U KR 200487061 Y1 KR200487061 Y1 KR 200487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ection
tire
tube
container body
bottom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554U (ko
Inventor
잉 츠 데이비드 홍
Original Assignee
탑 얼라이언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 얼라이언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탑 얼라이언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130010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061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5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0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12Puncture pre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4Supplying air for tyre inf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타이어 수리 장치는 타이어 실란트를 포함하기 위한 용기 본체 및 용기 본체를 밀봉하기 위해 용기 본체의 개구에 놓이는 용기 캡을 포함하고, 여기서 타이어 수리 장치는 용기 캡에 제공되는 타이어 실란트 안내 튜브를 더 포함하고, 타이어 실란트 안내 튜브는 용기 본체 내로 연장하는 제1 튜브 섹션 및 제2 튜브 섹션을 구비하고, 플랜지는 제1 튜브 섹션의 내부 표면 위에 형성되고; 플러그는 제1 튜브 섹션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제1 튜브 섹션에 고정되고 플랜지와 제1 바닥 단부 사이에 놓인다. 본 고안의 타이어 수리 장치는 조작하기 용이하고, 이용 효율적이고, 게다가 타이어 수리 장치는 직립 또는 거꾸로 사용될 수 있어, 프로모션 및 실행이 양호하다.

Description

타이어 수리 장치{Tire repair device}
본 고안은 타이어 수리 공구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이어 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 중인 타이어 수리 장치들은 보통 자동차 타이어 수리 및 누설 방지를 포함하는 보호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분무형 타이어 실란트가 통상 종래 기술에서 타이어 수리 장치에 채택된다. 이 경우에, 타이어 수리 분무기의 분무 노즐은 타이어 위에 구성되는 가스 충전 노즐에 연결될 것이고; 분무기를 가압함으로써, 타이어 실란트는 타이어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조작 공정 중, 사람의 손가락들이 타이어 수리 분무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그것을 가압할 필요가 있다. 가압 공정에서 분무기에 가해지는 사람의 손가락들의 불충분한 강도로 인해, 타이어 내로 주입되는 타이어 실란트가 충분히 많지 않다. 그 방식으로는, 효과적인 타이어 수리가 얻어질 수 없다. 더욱이, 타이어 수리 분무기는 거꾸로 놓일 경우 작동할 수 없다. 즉, 만약 가스 충전 노즐이 통상 배치되는 타이어 수리 분무기의 방향에 대해 역전되면, 타이어 수리가 달성될 수 없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타이어 수리 장치가 조작하기 쉽지 않다는 결점을 겨냥한,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조작하기 쉬운 타이어 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적 문제들을 풀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해결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일 양상에 있어서, 본 고안은, 타이어 실란트를 포함하기 위한 용기 본체 및 용기 본체를 밀봉하기 위해 용기 본체의 개구에 형성되는 용기 캡을 포함하는 타이어 수리 장치로서, 타이어 실란트 안내 튜브는 용기 캡에 제공되고, 타이어 실란트 안내 튜브는 용기 본체 내로 연장하는 제1 튜브 섹션 및 제2 튜브 섹션을 구비하고;
제1 튜브 섹션의 하나의 단부는 용기 본체 내의 타이어 실란트가 제1 튜브 섹션으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입구를 규정하고, 제1 튜브 섹션의 다른 단부는 밀봉된 제1 바닥 단부이고; 제2 튜브 섹션의 하나의 단부는 제1 튜브 섹션 내의 타이어 실란트가 제2 튜브 섹션으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입구를 규정하고, 제2 튜브 섹션의 다른 단부는 제2 바닥 단부이고; 제2 튜브 섹션의 제2 바닥 단부는 유체 전달 튜브의 하나의 단부에 접속되고; 커넥터는 유체 전달 튜브의 다른 단부 위에 배열되고, 용기 본체 내의 타이어 실란트를 손상된 타이어로 유도(lead)하기 위해 손상된 타이어로 접속하기 위해 구성되고;
제2 입구는 제1 튜브 섹션의 제1 입구와 제1 튜브 섹션의 제1 바닥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플랜지는 제1 튜브 섹션의 내부 표면 위에 형성되고, 내부 표면은 제1 튜브 섹션의 제1 입구 및 제2 튜브 섹션의 제2 입구 사이에 위치되고; 플러그는 제1 튜브 섹션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제1 튜브 섹션에 고정되고 플랜지와 제1 바닥 단부 사이에 놓이는, 타이어 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튜브 섹션과 소통(communicate)하도록 용기 캡 및 제1 튜브 섹션의 제1 바닥 단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용기 캡에 규정되고, 관통-구멍의 내경은 제1 튜브의 제2 부분의 내경보다 작고, 제2 부분은 플랜지와 제1 바닥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의 내경은 제1 튜브 섹션의 제1 부분의 내경보다 작고 제1 부분은 입구와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고; 및 제1 튜브 섹션의 제1 부분의 내경은 제1 튜브 섹션의 제2 부분의 내경보다 작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고정 링은 제2 튜브 섹션과 유체 전달 튜브 사이의 연결 지점에 배열되고 제2 고정 링은 유체 전달 튜브와 커넥터 사이의 연결 지점에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흡입구는 공기 압축기에 연결하고 압축된 공기를 용기 본체에 가하기 위해 용기 본체에 규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패드는 타이어 실란트가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어 실란트 안내 튜브와 용기 캡의 내부 표면 사이에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목부 튜브(neck tube)는 용기 본체의 개구에 제공되고, 수나사(external thread)가 목부 튜브의 외부 표면 위에 형성되고; 체임버는 용기 캡 내에 형성되고, 목부 튜브 위의 수나사에 적합한 암나사는 체임버의 측벽 위에 적응되고; 용기 본체의 목부 튜브는 목부 튜브의 수나사와 체임버의 암나사의 나사식 연결(threaded connection)에 의해 체임버 내로 삽입되고;
제1 튜브 섹션은 체임버 내로 삽입되고, 밀봉 패드는 체임버 내에 배열되고 목부 튜브와 용기 캡의 정상부 사이에 위치되고;
제1 튜브 섹션의 제1 바닥 단부는 용기 캡의 정상부로 연장하고 제2 튜브 섹션은 용기 캡의 정상부에 삽입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는 유체 전달 튜브에 연결하는 타이어 밸브 어댑터(tire valve adapter)를 구비하고, 타이어 밸브 어댑터의 외부 표면을 덮고 타이어 공기 노즐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보호 케이스 및 공기 및 타이어 실란트가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어 밸브 어댑터의 단부에 배열되는 밀봉 링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타이어 밸브 어댑터는 유체 전달 튜브에 나사결합되고, 환형 돌출부는 타이어 밸브 어댑터의 외부 표면 위에 형성되고;
보호 케이스의 하나의 단부는 환형 돌출부 위에 고정되고, 보호 케이스의 다른 단부는 타이어 공기 노즐에 연결되는 나사산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다음 유리한 효과들은: 용기 캡에 타이어 실란트 안내 튜브를 적용하고, 타이어 실란트 안내 튜브의 제1 튜브 섹션 내에 플러그 및 플랜지를 배치하여 달성될 수 있고, 플러그는 조건들에 따라 제2 입구를 차단 또는 개방하기 위해 용기 본체 내의 공기압의 영향 하에서 제1 튜브 섹션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압축된 공기 용기 본체 내로 가해지면, 플러그는 제1 튜브 섹션의 제1 입구과 제1 튜브 섹션의 플랜지 사이에 위치된다. 온도 변화에 의해 생기는 용기 본체 내의 공기 팽창이 발생하면, 플러그는 플랜지에 대해 고정된다. 압축된 공기가 용기 본체 가해지면, 플러그는 제2 입구와 제1 바닥 단부 사이의 제1 튜브 섹션의 위치에 위치되고, 그 결과 타이어 실란트는 용기 본체로부터 손상된 타이어로 유체 전달 튜브를 통해 흐른다. 따라서, 손상된 타이어로의 타이어 실란트의 공급은 타이어 수리를 위해 용기 본체 내의 공기압을 변경시켜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타이어 수리 장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조작하기 쉽고, 이용 효율적이며; 게다가, 타이어 수리 장치는 직립 또는 거꾸로 사용될 수 있어, 프로모션 및 실행이 양호하다.
본 고안은 다음에 첨부 도면들 및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타이어 수리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타이어 수리 장치의 조립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타이어 수리 장치의의 전체 절단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부분 A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부분 B의 확대도이고;
도 6은 정상 온도 및 압력 조건 하에서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타이어 수리 장치의 용기 캡에서의 플러그의 위치 a의 개략도이고;
도 7은 고온 조건 하에서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타이어 수리 장치의 용기 캡에서의 플러그의 위치 b의 개략도이고;
도 8은 압축된 공기 용기 본체에 가해질 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타이어 수리 장치의 용기 캡에서의 플러그의 위치 c의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타이어 수리 장치의 용기 본체의 절단도이고;
도 10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플러그의 개략도이고;
도 10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플러그의 개략도이고;
도 10c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플러그의 개략도이고;
도 10d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플러그의 개략도이고;
도 10e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의 플러그의 개략도이고;
도 10f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의 플러그의 개략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수리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가 도 1에 도시되고, 도 2 내지 도 9에 더 상세히 나타낸다. 타이어 수리 장치는 타이어 실란트를 포함하기 위한 용기 본체(10)를 포함한다. 용기 캡(20)은 용기 본체(10)를 밀봉하기 위해 용기 본체(10)의 개구에 놓이고; 타이어 실란트 안내 튜브는 용기 캡(20)에 제공된다. 타이어 실란트 안내 튜브는 용기 본체(10) 내로 연장하는 제1 튜브 섹션(21) 및 제2 튜브 섹션(22)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튜브 섹션(22)은 제1 튜브 섹션(21)에 수직이다.
제1 튜브 섹션(21)의 하나의 단부는 용기 본체(10) 안의 타이어 실란트가 제1 튜브 섹션(21)에 들어가게 구성되는 제1 입구(211)를 규정하고, 제1 튜브 섹션(21)의 다른 단부는 밀봉된 제1 바닥 단부(212)이다. 제2 튜브 섹션(22)의 하나의 제1 튜브 섹션(21) 내의 타이어 실란트가 제2 튜브로 들어가게 구성되는 제2 입구(221)를 규정하고, 제2 튜브 섹션(22)의 다른 단부는 제2 바닥 단부(222)이다. 제2 튜브 섹션(22)의 제2 바닥 단부(222)는 유체 전달 튜브(30)의 하나의 단부에 연결되고; 커넥터(40)는 유체 전달 튜브(30)의 다른 단부 위에 배열되고, 및 용기 본체(10) 내의 타이어 실란트를 손상된 타이어로 유도하기 위해 손상된 타이어에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제2 입구(221)는 제1 튜브 섹션(21)의 제1 입구(211)와 제1 튜브 섹션(21)의 제1 바닥 단부(212) 사이에 위치된다.
플랜지(25)는 제1 튜브 섹션(21)의 내부 표면 위에 형성되고, 내부 표면은 제1 튜브 섹션(21)의 제1 입구(211)와 제2 튜브 섹션(22)의 제2 입구(221) 사이에 위치된다. 플러그(24)는 제1 튜브 섹션(21) 내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배치된다. 플러그(24) 및 제1 튜브 섹션(21)의 내부 표면은 억지끼워맞춤을 형성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25)는 환형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24)의 외경은 제1 튜브 섹션(21)의 최소 내경보다 약간 더 크다. 따라서, 저온 조건 하에서, 플러그(24)가 수축될지라도, 플러그(24)는 또한 제1 튜브 섹션(21)의 내부 표면에 저항할 것이고, 따라서 타이어 실란트는 누설될 수 없다.
더욱이, 플랜지(25)의 내경은 제1 튜브 섹션(21)의 제1 부분의 내경보다 작고, 제1 튜브 섹션(21)의 제1 부분의 내경은 제1 튜브 섹션(21)의 제2 부분의 내경보다 더 작고; 제1 튜브 섹션(21)의 제1 부분은 제1 입구(211)와 플랜지(25) 사이에 위치되고, 제1 튜브 섹션(21)의 제2 부분은 플랜지(25)와 제1 바닥 단부(212) 사이에 위치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튜브 섹션(21)의 제1 부분의 내경은 3.5mm이고; 플랜지(25)의 내경은 3.4mm이고; 제1 튜브 섹션(21)의 제2 부분의 내경은 3.8mm이다.
플러그(24)는 용기 본체(10) 내에서의 상이한 내부 공기압들의 적용에 의해 제1 튜브 섹션(21) 내에서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요구 조건들에 기초하여 제2 튜브 섹션(22)의 제2 입구(221)를 차단하거나 개방한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정상 온도 및 압력 조건 하에서, 압축된 공기를 용기 본체(10) 내로 가하지 않고, 플러그(24)는 제1 튜브 섹션(21)의 제1 입구(211)와 플랜지(25) 사이에, 즉 위치 a 사이에 위치될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고온 조건 하에서, 용기 본체(10) 내에서 공기 팽창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압은 플러그(24)를 밀어서 제1 튜브 섹션(21) 내에서 이동시키고 플랜지(25) 위에서 고정된다. 이 때, 제1 튜브 섹션(21)은 길어지고 얇아진다. 압축된 공기가 용기 본체(10)에 가해지면, 용기 본체(10) 내의 공기압은 신속하게 증가하고, 플러그(24)는 제2 튜브 섹션(22)의 제2 입구(221)와 제1 튜브 섹션(21)의 제1 바닥 단부(212) 사이의 위치로 이동한다. 동시에, 타이어 실란트는 용기 본체(10)로부터 제2 튜브 섹션(22)의 제2 입구(221)를 통과하여 유체 전달 튜브(30)를 통해 손상된 타이어로 흐를 수 있고, 따라서, 일방향 밸브 작동 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손상된 타이어로의 타이어 실란트의 공급이 타이어 수리를 위해 용기 본체((10) 내의 공기압을 변경하여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타이어 수리 장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조작하기 쉽고, 프로모션 및 실행이 양호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튜브 섹션(21)과 통하도록 용기 캡(20) 및 제1 튜브 섹션(21)의 제1 바닥 단부(212)를 통해 형성되는 관통-구멍(26)이 용기 캡(20)에 형성된다. 관통-구멍(26)의 내경은 플랜지(25)와 제1 바닥 단부(212) 사이에 위치된 제1 튜브 섹션(21)의 제2 부분의 내경보다 작다. 유리하게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구멍(26)의 내경은 100㎛보다 작다. 따라서, 영-라플라스 식(Young-Laplace equation)에 기초하여, 모세관 압력(capillary pressure)의 영향 하에서, 타이어 실란트가 관통-구멍(26)을 통과하는 것은 쉽지 않다. 모세관의 내경이 작으면 작을 수록, 모세관의 경계들 간의 차압이 높아지고, 그 결과 타이어 실란트는 타이어 수리 장치가 사용될 때 누설할 수 없다.
플러그(24)가 제2 튜브 섹션(22)의 제2 입구(221) 와 제1 튜브 섹션(21)의 제1 바닥 단부(212) 사이의 위치, 즉 도 8에 나타낸 위치 c로 이동하면, 제2 튜브 섹션(22)의 제2 입구(221)와 제1 튜브 섹션(21)의 제1 바닥 단부(212) 사이의 공기는 관통-구멍(26)을 통해 흘러 나올 수 있다. 더욱이, 플러그(24)는 제2 튜브 섹션(22)의 제2 입구(221)를 차단하지 않을 것이고, 그 결과 제2 튜브 섹션(22)의 제2 입구(221)는 용기 본체(10)와 통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압의 영향 하에서, 타이어 실란트는 완전히 흘러 나올 수 없다.
용기 캡(20)에 규정된 관통-구멍(26)이 없고, 그것에 의해, 제2 입구(221)와 제1 바닥 단부(212) 사이의 제1 튜브 섹션(21)의 공간은 충분히 커야 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24)가 제2 입구(221)와 제1 바닥 단부(212) 사이의 위치로 이동하면, 플러그(24)는 더 많은 저항을 갖고 충돌하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플러그(24)가 제1 바닥 단부(212)로 이동할 때 플러그(24)가 우연히 제2 튜브 섹션(22)으로 들어가거나 부분적으로 제2 입구(221)를 차단하는 경우를 회피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브(50)는 제1 튜브 섹션(21)에 고정되고 플랜지(25)와 제1 바닥 단부(212) 사이에 놓인다. 리브(50)는 플러그(24)에 맞닿는 리브 본체(51) 및 제1 튜브 섹션(21)의 내부 표면에 저항하는 저항부(resisting portion; 52)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리브(50)는 제1 튜브 섹션(21)에서 제2 튜브 섹션(22)의 바닥과 플랜지(25) 사이에 위치된 그것의 리브 본체(51)에 고정된다. 플러그(24)가 리브(50)를 통과하면, 리브(50)의 리브 본체(51)는 플러그(24)에 맞닿아 플러그(24)가 제2 튜브 섹션(22)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제2 입구(221)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타이어 수리 공정 동안 공기 및 타이어 실란트 누설을 회피하기 위해, 제1 고정 링(31)은 제2 튜브 섹션(22) 및 유체 전달 튜브(30)를 고정하기 위해 제2 튜브 섹션(22)과 유체 전달 튜브(30) 사이에 연결 지점에 배열된다. 제2 고정 링(32)은 유체 전달 튜브(30)와 커넥터(40) 사이의 연결 지점에 배열되고, 마찬가지로 타이어 수리 공정 동안 공기 및 타이어 실란트 누설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고정 링(31) 및 제2 고정 링(32)은 볼트들에 의해 조정된 견고성(tightness)을 갖는 후프 구조들일 수 있다.
더욱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공기 흡입구(11)는 공기 압축기(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하기 위해 용기 본체(10)에 규정되고; 이러한 식으로, 압축된 공기는 용기 본체(10)에 가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흡입구(11)는 공기 압축기에 대한 용기 본체(10)의 편리한 연결을 위해 용기 본체(10)의 개구 근방에 배열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밀봉 패드(23)는 타이어 실란트 안내 튜브와 용기 캡(20)의 내부 표면 사이에 배열되어, 타이어 실란트가 용기 본체(10)와 용기 캡(20) 사이의 갭을 통해 유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4, 도 6 및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목부 튜브(12)는 용기 본체(10)의 개구에 제공되고, 수나사는 목부 튜브(12)의 외부 표면 위에 형성된다. 추가로, 체임버(27)는 용기 캡(20)에 형성되고, 목부 튜브(12) 위에 수나사에 적합한 암나사는 체임버(27)의 측벽 위에 적응된다. 용기 본체(10)의 목부 튜브(12)는 목부 튜브(12)의 수나사 및 체임버(27)의 암나사 사이의 나사식 연결에 의해 체임버(27)내로 삽입된다. 제1 튜브 섹션(21)은 체임버(27) 내로 삽입되고, 밀봉 패드(23)는 체임버(27) 내에 배열되고 목부 튜브(12)와 용기 캡(20)의 정상부(271) 사이에 위치된다. 더욱이, 밀봉 패드(23)는 목부 튜브(12)에 의해 단단히 가압된다. 제1 튜브 섹션(21)의 제1 바닥 단부(212)는 용기 캡(20)의 정상부(271)로 연장하고, 용기 캡(20)의 정상부(271)에 위치된 관통-구멍(26)과 통하고, 제2 튜브 섹션(22)은 용기 캡(20)의 정상부(271) 내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6,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 캡(20)은 통합된 요소이다. 조립 공정 동안, 밀봉 패드(23)가 용기 캡(20)의 체임버(27)에 장착되고, 용기 캡(20)이 용기 본체(10)의 목부 튜브(12)에 체결(screwed down)되고, 이후 유체 전달 튜브(30)가 제2 튜브 섹션(22)의 제2 바닥 단부(222)에 단단히 고정될 것을 단지 요구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커넥터(40)는 유체 전달 튜브(30)에 접속하는 타이어 밸브 어댑터(41)를 구비하고, 타이어 밸브 어댑터(41)는 타이어 공기 노즐을 개방하여, 타이어 실란트 적용 및 타이어 수리가 편리한 타이어, 유체 전달 튜브(30), 용기 캡(20) 및 용기 본체(10), 소통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을 만든다. 커넥터(40)는 보호 케이스(42) 및 밀봉 링(43)을 더 구비하고; 보호 케이스(42)는 타이어 밸브 어댑터(41)의 외부 표면을 보호하고 타이어 공기 노즐에 대한 접속을 위해 구성되고; 밀봉 링(43)은 공기 및 타이어 실란트가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어 밸브 어댑터(41)의 단부에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타이어 밸브 어댑터(41)는 유체 전달 튜브(30)와 나사결합되고, 환형 돌출부(411)는 타이어 밸브 어댑터(41)의 외부 표면 위에 형성된다. 보호 케이스(42)의 하나의 단부는 환형 돌출부(411) 위에 고정되고, 보호 케이스(42)의 다른 단부는 타이어 공기 노즐에 연결되는 나사산(421)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 본체(10)의 바람직한 체적은 450ml이고, 이것은 중간 크기의 세단 또는 그보다 작은 것에 적합하다. 제1 튜브 섹션(21) 내의 플러그(24)는 고무 재료로 만들어지고, 이것은 -40~80℃에서 용기 본체(10)에서의 공기 팽창에 만족한다. 플러그(24)는 실리콘 고무, 라텍스 고무, 수지(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또는 다른 폴리머로 만들어 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재료들에 비해, 이들 재료들은 특정 탄성, 낮은 열팽창 및 낮은 열 수축을 가진다. 도 10a-10f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러그(24)는 입방체형, 직사각형, 각기둥형, 타원형, 구형, 또는 원뿔형 등일 수 있다. 물론, 플러그(24)의 형상은 상기 형상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이어 수리 공정 동안, 공기 압축기는 용기 본체(10)에 연결되고, 유체 전달 튜브(30)는 수리될 타이어에 각각 연결된다. 공기 압축기가 작동하면, 공기 압축기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된 공기는 용기 본체(10) 내의 플러그(24)를 밀어서 위치 a또는 위치 b로부터 위치 c로 이동시키고, 이후 용기 본체(10) 내의 타이어 실란트는 타이어 내로 흐른다. 공기 압축기는 압축된 공기를 계속 발생하여 타이어 내의 공기압이 표준 공기압에 도달하게 하고, 이후 자동차는 천천히 전방으로 이동하여 손상된 타이어가 수리하도록 타이어 실란트가 손상된 타이어의 내부 표면을 덮게 한다. 본 고안의 타이어 수리 장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조작하기 용이하고, 비용 효율적이며, 게다가, 타이어 수리 장치는 프로모션 및 실행이 양호한, 직립 또는 거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위에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재되었지만, 본 고안은 위에서 언급한 특정 구현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제로, 위에서 언급한 특정 구현들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의도된다. 본 고안의 생각(inspiration)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은 또한 본 고안의 대상 및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경예들을 만들 수 있다. 모든 이들 변경예들은 본 고안의 보호 대상에 속한다.
10: 용기 본체 12: 목부 튜브
20: 용기 캡 21: 제1 튜브 섹션
22: 제2 튜브 섹션 24: 플러그
25: 플랜지 26: 관통-구멍
27: 체임버 30: 유체 전달 튜브
31: 제1 고정 링 40: 커넥터
41: 타이어 밸브 어댑터 42: 보호 케이스
43: 밀봉 링 50: 리브
51: 리브 본체 52: 저항부(resisting portion)
211: 제1 입구 212: 제1 바닥 단부
221: 제2 입구 222: 제2 바닥 단부
271: 정상부 411: 환형 돌출부
421 : 나사산

Claims (9)

  1. 타이어 실란트(tire sealant)를 포함하기 위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에 놓이는 용기 캡을 포함하는 타이어 수리 장치로서, 타이어 실란트 안내 튜브는 상기 용기 캡에 제공되고, 상기 타이어 실란트 안내 튜브는 상기 용기 본체 내로 연장하는 제1 튜브 섹션 및 제2 튜브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튜브 섹션의 하나의 단부는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상기 타이어 실란트가 상기 제1 튜브 섹션으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입구를 규정하고, 상기 제1 튜브 섹션의 다른 단부는 밀봉된 제1 바닥 단부이고; 상기 제2 튜브 섹션의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1 튜브 섹션 내의 상기 타이어 실란트가 상기 제2 튜브 섹션으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입구를 규정하고, 상기 제2 튜브 섹션의 다른 단부는 제2 바닥 단부이고; 상기 제2 튜브 섹션의 상기 제2 바닥 단부는 유체 전달 튜브의 하나의 단부에 접속되고; 커넥터는 상기 유체 전달 튜브의 다른 단부 위에 배열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상기 타이어 실란트를 손상된 타이어로 유도(lead)하기 위해 상기 손상된 타이어로 접속하기 위해 구성되고;
    상기 제2 입구는 상기 제1 튜브 섹션의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1 튜브 섹션의 상기 제1 바닥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플랜지는 상기 제1 튜브 섹션의 내부 표면 위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표면은 상기 제1 튜브 섹션의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튜브 섹션의 상기 제2 입구 사이에 위치되고; 플러그는 상기 제1 튜브 섹션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제1 튜브 섹션에 고정되고 상기 플랜지와 상기 제1 바닥 단부 사이에 놓이는, 타이어 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 섹션과 소통(communicate)하도록 상기 용기 캡 및 상기 제1 튜브 섹션의 상기 제1 바닥 단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상기 용기 캡에 규정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내경은 상기 제1 튜브의 제2 부분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플랜지와 상기 제1 바닥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타이어 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내경은 상기 제1 튜브 섹션의 제1 부분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고; 및 상기 제1 튜브 섹션의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내경은 상기 제1 튜브 섹션의 제2 부분의 내경보다 작은, 타이어 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 고정 링은 상기 제2 튜브 섹션과 상기 유체 전달 튜브 사이의 연결 지점에 배열되고 제2 고정 링은 상기 유체 전달 튜브와 상기 커넥터 사이의 연결 지점에 배열되는, 타이어 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공기 흡입구는 공기 압축기에 연결하고 압축된 공기를 상기 용기 본체에 가하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에 규정되는, 타이어 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밀봉 패드는 상기 타이어 실란트가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어 실란트 안내 튜브와 상기 용기 캡의 내부 표면 사이에 배열되는, 타이어 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목부 튜브(neck tube)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에 제공되고,
    수나사(external thread)가 상기 목부 튜브의 외부 표면 위에 형성되고; 체임버는 상기 용기 캡 내에 형성되고, 상기 목부 튜브 위의 상기 수나사에 적합한 암나사는 상기 체임버의 측벽 위에 적응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목부 튜브는 상기 목부 튜브의 상기 수나사와 상기 체임버의 상기 암나사의 나사식 연결(threaded connection)에 의해 상기 체임버 내로 삽입되고;
    상기 제1 튜브 섹션은 상기 체임버 내로 삽입되고, 상기 밀봉 패드는 상기 체임버 내에 배열되고 상기 목부 튜브와 상기 용기 캡의 정상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튜브 섹션의 상기 제1 바닥 단부는 상기 용기 캡의 상기 정상부로 연장하고 상기 제2 튜브 섹션은 상기 용기 캡의 상기 정상부에 삽입되는, 타이어 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유체 전달 튜브에 연결하는 타이어 밸브 어댑터(tire valve adapter)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어 밸브 어댑터의 외부 표면을 덮고 타이어 공기 노즐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보호 케이스 및 공기 및 타이어 실란트가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타이어 밸브 어댑터의 단부에 배열되는 밀봉 링을 구비하는, 타이어 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밸브 어댑터는 상기 유체 전달 튜브에 나사결합되고, 환형 돌출부는 상기 타이어 밸브 어댑터의 외부 표면 위에 형성되고;
    상기 보호 케이스의 하나의 단부는 상기 환형 돌출부 위에 고정되고, 상기 보호 케이스의 다른 단부는 상기 타이어 공기 노즐에 연결되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타이어 수리 장치.
KR2020130010668U 2013-12-23 2013-12-23 타이어 수리 장치 KR200487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668U KR200487061Y1 (ko) 2013-12-23 2013-12-23 타이어 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668U KR200487061Y1 (ko) 2013-12-23 2013-12-23 타이어 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554U KR20150002554U (ko) 2015-07-01
KR200487061Y1 true KR200487061Y1 (ko) 2018-08-01

Family

ID=5379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668U KR200487061Y1 (ko) 2013-12-23 2013-12-23 타이어 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06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5225B (zh) * 2019-07-26 2024-04-30 河北万达轮胎有限公司 一种自动后充气修剪胎毛和测量轮胎外径的多功能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6681A (ja) 2007-08-31 2009-03-19 Honda Motor Co Ltd タイヤのパンク修理装置
JP2009208343A (ja) 2008-03-04 2009-09-17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2011189696A (ja) * 2010-03-16 2011-09-29 Sumitomo Rubber Ind Ltd キャップ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0880A1 (zh) * 2011-09-21 2013-03-28 精联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补胎胶水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6681A (ja) 2007-08-31 2009-03-19 Honda Motor Co Ltd タイヤのパンク修理装置
JP2009208343A (ja) 2008-03-04 2009-09-17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2011189696A (ja) * 2010-03-16 2011-09-29 Sumitomo Rubber Ind Ltd キャップ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554U (ko)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3229B2 (en) Tire repair device
KR101513486B1 (ko) 타이어 세멘트를 포함하는 타이어 수리 장치
US9457367B2 (en) Tire repair solution can
CN105675231A (zh) 一种负压密封检测装置
US9492976B2 (en) Sealant bottle for tire repair of vehicle
KR200487061Y1 (ko) 타이어 수리 장치
JP3189236U (ja) タイヤ修理装置
JP5590584B1 (ja) ガス圧型のタイヤ修理用シーラントボトル
JP2004191105A (ja) バルブ装置の気密検査用ガス漏れ検出孔
AU2013267028B2 (en) Tire Repair Device
CA2835626A1 (en) Tire repair device
EP3061597B1 (en) Tyre repair machine
CN203580150U (zh) 轮胎修补机
CN203686340U (zh) 一种低温绝热气瓶安全阀节气座
AU2012201903B2 (en) Tire Repair Device Containing Tire Cement
CN111595533A (zh) 一种注塑模具防漏水检测仪
TWI621544B (zh) Pneumatic tire repair glue bottle
CN215721535U (zh) 一种用于金属软管的惰性气体充装接头及金属软管组件
CN203726842U (zh) 轮胎修补机
CN213313333U (zh) 水火箭胶塞发射器
CN203587298U (zh) 管路气密性检测装置
TWI542464B (zh) A car tonic bottle
KR102001909B1 (ko) 가스 압력 타입의 타이어 수리용 실란트 용기
CN209892913U (zh) 一种燃气阀上泄漏测试的连接装置
JP3174164U (ja) テスト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