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165Y1 - 차량용 시트패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165Y1
KR200478165Y1 KR2020140006086U KR20140006086U KR200478165Y1 KR 200478165 Y1 KR200478165 Y1 KR 200478165Y1 KR 2020140006086 U KR2020140006086 U KR 2020140006086U KR 20140006086 U KR20140006086 U KR 20140006086U KR 200478165 Y1 KR200478165 Y1 KR 200478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ad
path portion
pad portion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종규
정성빈
박현기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2020140006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1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1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외부와 통공되어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제1유로부; 및 제1유로부와 상호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외력에 의한 단차 변화에 따라 제1유로부와 가변적으로 통공되는 제2유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패드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패드{SEAT PAD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외기가 유동하는 통풍 유로가 형성된 차량용 시트패드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통풍시트는 시트백 또는 시트쿠션에 외부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별도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블로워가 설치된 시트로서, 착석자가 장시간의 주행에도 쾌적함을 느끼게 되어 차량을 운전할 때 피로감을 덜 느끼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부공기가 시트백 또는 시트쿠션에 마련된 유로를 따라 이동하여 착석자에게 도달하게 되는바, 유로는 착석자의 하중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때에 따라 착석자에 의한 하중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경우 유로가 막히게 되어 원활한 외부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들이 발생되어 왔다.
특히, 유로가 시트쿠션에 형성되는 경우는 착석자가 비스듬하게 착좌하거나 착좌 후 한쪽 다리를 들어 올리게 되면, 유로가 불 균일하게 형성되어 냉난방 성능의 좌우 불 균일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10-2013-0056098A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착석자의 착좌시 발생될 수 있는 비대칭적인 하중 작용에도 원활한 내부 공기 흐름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패드는 외부와 통공되어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제1유로부; 및 제1유로부와 상호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외력에 의한 단차 변화에 따라 제1유로부와 가변적으로 통공되는 제2유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유로부가 형성된 제1패드부와 제2유로부가 형성된 제2패드부를 포함하고, 제1패드부와 제2패드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제1패드부와 제2패드부 가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제1패드부와 제2패드부는 시트쿠션에 마련되어 상단부가 착석자를 지지하고, 상기 제2유로부는 제1유로부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제1유로부와 단차를 이룰 수 있다.
착석자와 접하는 제2패드부의 상단부는 착석자와 접하는 제1패드부의 상단부보다 상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패드부 및 제2패드부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지고, 착석자의 착좌시 제2패드부가 압축되어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가 서로 통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부는 중앙부가 외부와 통공되며, 제1유로부의 단부가 상기 제2유로부와 통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부는 착석자의 허벅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2유로부와 대면하는 제1유로부의 출구부가 제2패드부에 의해 폐쇄되도록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는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패드에 따르면, 승객의 비착석시에는 통공을 제한하여 공기의 흐름을 막고, 착석시에만 통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표준 위치를 벗어난 착좌 시에도 냉난방 통풍이 좌우 균일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승객이 좌우 균일한 온도차를 느끼게 함으로써, 불균일에 따른 이질감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패드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패드의 가압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의 배치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패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패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패드의 가압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의 배치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패드는 외부와 통공되어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제1유로부(210); 및 제1유로부(210)와 상호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외력에 의한 단차 변화에 따라 제1유로부(210)와 가변적으로 통공되는 제2유로부(2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패드는 시트백 또는 시트쿠션에 설치되어 착석자를 지지하며,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블로워와 상기 제1유로부(210)가 연통되어 제1유로부(210)를 통해 시트패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패드가 시트쿠션에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기술하고자 하나, 상기한 구성과 후술할 구성들은 동일하게 시트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유로부(220)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유로부(210)는 중앙부가 외부와 통공되고 양단부가 각각 한 쌍의 제2유로부(220)와 통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유로부(220)는 바람직하게는 착석자의 허벅지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제1유로부(210)는 시트백 측으로 착석자의 엉덩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의 배치 범위는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어 착석자에게 통풍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의 상방으로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의 길이를 따라 외부와 통공되는 다수개의 통기홀(10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시트패드의 상단은 착석자를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패드는 상기 제1유로부(210)가 형성된 제1패드부(110)와 제2유로부(220)가 형성된 제2패드부(120)를 포함하고, 제1패드부(110)와 제2패드부(120) 사이에는 간극(130)이 형성되어 제1패드부(110)와 제2패드부(120)가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간극(130)은 상기 제2패드부(120)가 압축되어 상기 제2유로부(220)와 제1유로부(210)가 통공될 수 있을 정도의 간극(13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패드부(110)와 제2패드부(120)는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독립적인 패드를 구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간극(130)을 형성하되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패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를 기준으로 상기 통기홀(101)이 형성되는 제1패드부(110)의 상단부(110)와 제2패드부(120)의 상단부(120) 소재는 각각 상기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의 하방에 위치한 상기 제1패드부(110)의 하단부와 제2패드부(120)의 하단부 소재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드부(110)와 제2패드부(120)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1패드부(110)와 제2패드부(120)는 상단부가 착석자를 지지하고, 상기 제2패드부(120)는 제1패드부(110)보다 차량의 전방 측에 위치되어 제2유로부(220)가 착석자의 허벅지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제1유로부(210)가 착석자의 엉덩이에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로부(220)는 제1유로부(210)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제1유로부(210)와 단차를 이룰 수 있으며, 착석자와 접하는 제2패드부(120)의 상단부는 착석자와 접하는 제1패드부(110)의 상단부보다 상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패드부(110) 및 제2패드부(120)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져 압축과 복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2유로부(220)가 제1유로부(210)보다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시트패드에 아무도 착석하지 않는 경우, 즉 제2유로부(220)에 어떠한 하중도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유로부(210)가 제2유로부(220)의 하방에 위치되어 제2패드부(120)에 의해 출구부가 폐쇄되어 막혀있는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유입된 공기의 유동은 저지되거나 또는 제1유로부(210)에 형성된 상기 통기홀(101)을 통해서만 배출된다. 그러다가 착석자가 착석하면 상기 제2패드부(120)가 가압되어 제2패드부(120)에 상하로 압축이 발생되며, 제1패드부(110)와 제2패드부(120) 사이의 상기 간극(130)으로 제2패드부(120)가 신장되면서 상기 제2패드부(120)의 상단부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유로부(220) 또한 함께 하강하게 되며, 제2유로부(220)가 제1유로부(210)와 일부 또는 전체 매칭됨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부(210)에서 유입된 공기가 제2유로부(220)로 유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 사이의 단차는 승객의 착좌에 따른 제2패드부(120)의 압축시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가 통공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제2패드부(120)의 압축률 또는 예상되는 착석자의 무게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극(130) 또한 제2패드부(120)의 압축에 따른 간극(130)으로의 팽창되는 양이 상기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가 서로 통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정도로 간극이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패드부(120)의 상단부가 제1패드부(110)의 상단부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은 일반적으로 착석자의 착좌시 시트패드 중 엉덩이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허벅지에 대응되는 부분에 더 많은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이며, 이때 허벅지에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된 유로의 형상에 많은 변형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패드부(110)와 제2패드부(120) 및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를 상기한 바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착석자가 착좌하는 경우 또는 착석자가 좌우 하중 편차가 발생되도록 착좌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유로부 간의 원활한 유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착석자가 가하는 하중에 따라 상기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의 통공되는 정도가 달라지므로, 제2패드부(120)에 인가되는 하중에 따라 제1유로부(210)에서 제2유로부(220)로 통하는 외부공기의 유동량은 가변될 수 있으며, 착석자의 정상적인 착좌 및 설정된 표준위치를 벗어난 비대칭적인 착좌시에도 충분한 유동량을 가지고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도록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의 단차, 제1패드부(110)와 제2패드부(120)의 압축률, 상기 간극(130)등의 요소들을 실험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패드부(120)가 가압되어 압축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시트패드의 형상에 따라 제1패드부(110) 또는 제1패드부(110)에 대응되는 위치가 더 많이 하중을 받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반대로 제1패드부(110)가 제2패드부(120)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1유로부(210)가 제2유로부(220)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단차를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패드부(110)와 제2패드부(120)가 마련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1패드부(110)와 제2패드부(120)로 구분되지 않고 시트패드가 일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가 상기 실시예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패드에 따르면, 승객의 비착석시에는 통공을 제한하여 공기의 흐름을 막고, 착석시에만 통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표준 위치를 벗어난 착좌 시에도 냉난방 통풍이 좌우 균일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승객이 좌우 균일한 온도차를 느끼게 함으로써, 불균일에 따른 이질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1 : 통기홀 110 : 제1패드부
120 : 제2패드부 130 : 간극
210 : 제1유로부 220 : 제2유로부

Claims (8)

  1. 외부와 통공되어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제1유로부; 및
    상기 제1유로부보다 상방에 위치되어서 제1유로부와 상호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외력에 의한 단차 변화에 따라 제1유로부와 가변적으로 통공되는 제2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부는 제1패드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부는 제2패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패드부와 제2패드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서 제1패드부와 제2패드부가 상호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패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패드부와 제2패드부는 시트쿠션에 마련되어 상단부가 착석자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패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착석자와 접하는 제2패드부의 상단부는 착석자와 접하는 제1패드부의 상단부보다 상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패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부 및 제2패드부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지고, 착석자의 착좌시 제2패드부가 압축되어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가 서로 통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패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부는 중앙부가 외부와 통공되며, 제1유로부의 단부가 상기 제2유로부와 통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패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부는 착석자의 허벅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패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2유로부와 대면하는 제1유로부의 출구부가 제2패드부에 의해 폐쇄되도록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는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패드.
KR2020140006086U 2014-08-14 2014-08-14 차량용 시트패드 KR200478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086U KR200478165Y1 (ko) 2014-08-14 2014-08-14 차량용 시트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086U KR200478165Y1 (ko) 2014-08-14 2014-08-14 차량용 시트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165Y1 true KR200478165Y1 (ko) 2015-09-04

Family

ID=5434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086U KR200478165Y1 (ko) 2014-08-14 2014-08-14 차량용 시트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165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4234A (ja) 2011-04-20 2012-11-15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4234A (ja) 2011-04-20 2012-11-15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8518B2 (en) Passive air suspended seat comfort layer having areas of differing pressures
US8662579B2 (en) Vehicle seat
US2826135A (en) Seat construction
US10856664B2 (en) Seat back and cushion ventilation assembly
JP6295334B2 (ja) 車両シート用の発泡体部品、及び車両シート
JP6197740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528583B1 (ko) 채널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US20050280294A1 (en) Vehicle seat
US11072266B2 (en) Vehicle seat
JP6423732B2 (ja) 車両用シート
WO2016158042A1 (ja) 車両用シート
JP6288851B2 (ja) 通気性シートおよびシートの空調システム
CN116118585A (zh) 座椅表面穿孔
JP2009524461A (ja) 自動車シート用クッション
JP6225830B2 (ja) 乗物用シート
JP4347646B2 (ja) クッションパッド
KR200478165Y1 (ko) 차량용 시트패드
KR101683484B1 (ko) 차량용 통풍패드
US10479243B2 (en) Air channel thermocomfort foam pad
US9469228B2 (en) Seat climate control assembly and seat employing the same
JP2015217776A (ja) 乗物用シート
KR101251137B1 (ko) 차량 시트의 냉난방장치
JP2015098299A (ja) 乗物用シート
KR20180034006A (ko) 차량 시트의 통풍기능을 위한 독립적 에어 럼버 서포트 구조
KR101371310B1 (ko) 차량용 통풍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