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220Y1 - 차량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220Y1
KR200475220Y1 KR2020140002993U KR20140002993U KR200475220Y1 KR 200475220 Y1 KR200475220 Y1 KR 200475220Y1 KR 2020140002993 U KR2020140002993 U KR 2020140002993U KR 20140002993 U KR20140002993 U KR 20140002993U KR 200475220 Y1 KR200475220 Y1 KR 200475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wer plate
vehicle
plate portion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벨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벨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벨룩스
Priority to KR2020140002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2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기존 거치대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있는 구조의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그 차량용 거치대는 중앙에 돌출된 자석이 배치되고 하면을 통해 차량 내부의 평평한 부분에 고정될 수 있는 바닥 고정판; 및 상기 바닥 고정판에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바닥 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되며, 내부에 전자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길쭉한 직사각형 띠가 접힌 구조를 가지고 상판부, 하판부 및 굴곡부로 구별되며,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는 단면이 호의 형태를 갖는 상기 굴곡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되, 닫힌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서로 가까워져 상기 끝단에서 서로 접하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의 끝단은 서로 떨어지되 상기 굴곡부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로 돌아가도록 탄성 복원력이 상기 상판부 및 하판부에 인가되며, 상기 상판부의 끝단 부분과 상기 하판부의 끝단 부분 각각에 상기 전자기기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거치대{Holder for vehicle}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전자기기를 고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기를 차량에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등 각종 전자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빈도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의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을 위해서 각종 거치대들이 고안되고 있다. 즉, 차량의 운전자 또는 보조석에 앉은 탑승자가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거치해 놓고 안전하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거치대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기존 거치대의 경우, 특정 전자기기만을 수용하는 구조를 가져 다른 종류나 다른 사이즈의 전자기기에는 적용하기 힘든 문제가 있고, 또한, 회전에 대한 제약이 심하여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되는 방향의 조절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기존 거치대의 경우 일반적으로 딱딱한 재질로 형성되어 깨짐 및 부러짐 등의 불량이 종종 발생하고, 그 구조상의 특징으로 인해 전자기기의 거치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될 수 없고, 외관상으로 차량 내부의 미관을 해치는 경우가 많았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거치대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있는 구조의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중앙에 돌출된 자석이 배치되고 하면을 통해 차량 내부의 평평한 부분에 고정될 수 있는 바닥 고정판; 및 상기 바닥 고정판에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바닥 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되며, 내부에 전자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길쭉한 직사각형 띠가 접힌 구조를 가지고 상판부, 하판부 및 굴곡부로 구별되며,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는 단면이 호의 형태를 갖는 상기 굴곡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되, 닫힌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서로 가까워져 상기 끝단에서 서로 접하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의 끝단은 서로 떨어지되 상기 굴곡부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로 돌아가도록 탄성 복원력이 상기 상판부 및 하판부에 인가되며, 상기 상판부의 끝단 부분과 상기 하판부의 끝단 부분 각각에 상기 전자기기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판 및 상기 내부판을 덮는 외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부의 상기 내부판 상에 적어도 하나의 철판이 배치되며, 상기 자석과 철판 사이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거치부가 상기 바닥 고정판에 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의 외부판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된 상기 자석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가 상기 바닥 고정판에 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판과 외부판은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판이 외부판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바닥 고정판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는 다양한 종류나 다양한 사이즈의 전자기기를 수용할 수 있고, 360도 회전 가능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방향 조절에 불편함이 없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어 깨짐 또는 부러짐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거치 이외의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며, 차량 미관을 위해 차량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 전자기기를 거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서, 거치부의 내부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서, 거치부와 바닥 고정판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서, 바닥 고정판에 대하여 거치부가 회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가 차량에 대시보드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그 사이에 제3의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상부에 존재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에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의 구조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었고,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고안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에 대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100)는 거치부(110) 및 바닥 고정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110)는 전체적으로 반지갑과 유사한 형태로, 길쭉한 직사각형 띠가 반으로 접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거치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판(112) 및 외부판(11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거치부(110)는 내부판(112)과 외부판(114)의 구별없이 일체의 하나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내부판(112)은 상판부(112u), 하판부(112b) 및 굴곡부(112j)로 구별될 수 있다. 물론, 외부판(114)도 내부판(112)의 각 부분에 대응하여 각각의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판(112)과 외부판(114)의 구별없이 하나의 판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하나의 판이 각각의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다. 한편, 상판부(112u), 하판부(112b) 및 굴곡부(112j)의 구별은 내부판(112)의 구조를 좀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개념상의 구별이므로, 물리적으로 상판부(112u), 하판부(112b) 및 굴곡부(112j) 사이의 경계가 명확하게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하판부(112b)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수평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하판부(112b)의 일 단부는 굴곡부(112j)에 연결되고, 타 단부 부분에는 2개 그루브들(G1, G2)이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그루브들(G1, G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측면의 일부를 수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2개의 그루브들(G1, G2) 각각은 하판부(112b)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며, 전자기기의 측면의 일부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판부(112b)에 2개의 그루브들(G1, G2)이 형성되었지만, 그루브의 개수가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하판부(112b)에 형성되는 그루브는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하판부(112b)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철판(116)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길쭉한 직사각형 띠 형태를 갖는 2개의 철판(116)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철판(116)의 개수 및 구조가 도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철판(116)은 하판부(112b) 상면 상에 1개 또는 3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철판(116)의 구조도 바닥 고정판(120)에 형성된 자석의 구조에 대응하여 원형이나 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철판(116)은 내부판(112)의 하판부(112b) 상면에 노출되는 구조로 배치되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철판(116)은 하판부(112b) 부분의 내부판(112)과 외부판(114)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철판(116)은 내부판(112)의 하판부(112b) 상면 상에 배치되되, 별도의 덮개 부분에 의해 덮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굴곡부(112j)는 수직 단면이 소정 곡률을 갖는 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삼차원적으로는 한쪽으로 오픈된 하프파이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굴곡부(112j)의 일 단부는 하판부(112b)에 연결되며 타 단부는 상판부(112u)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굴곡부(112j)는 거치부(110)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거치부(110)가 닫힌 상태로 돌아가도록 상판부(112u)와 하판부(112b)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부(110)의 닫힌 상태는 도 1이나 도 2와 같이 하판부(112b)의 좌측 단부와 상판부(112u)의 좌측 단부가 서로 접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거치부(110)의 열린 상태는 도 3과 같이 하판부(112b)의 좌측 단부와 상판부(112u)의 좌측 단부가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판부(112u)는 하판부(112b)와 유사하게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일 단부가 굴곡부(112j)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판부(112u)는 하판부(112b)와 달리 평평한 수평 형태가 아니고 하판부(112b)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판부(112u)는 굴곡부(112j)와의 연결 부분에서 하판부(112b)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굴곡부(112j)에서 멀어져 좌측 단부로 갈수록 점차 하판부(112b)에 가까워져 좌측 단부 부분에서 하판부(112b)의 좌측 단부와 접할 수 있다. 한편, 상판부(112u)의 수직 단면은 상기 하판부(112b)에 소정 각도를 갖는 직선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곡선 형태로 상기 하판부(112b)의 좌측 단부에 점차 가까워지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판부(112u)의 좌측 단부 부분에서는 그루브(G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루브(G3)는 스마트 폰,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측면의 일부를 수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루브(G3)는 전자기기의 상부 측면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200)는 하판부(112b)의 그루브들(G1, G2) 중 하나와 상판부(112u)의 그루브(G3)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판부(112u)의 좌측 단부 부분에 하나의 그루브(G3)가 형성되었지만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외부판(114)은 내부판(112)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판(112)의 하판부(112b)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홈(도 5의 H)이 형성될 수 있다. 홈(H)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홈(H)은 타원이나 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홈(H)은 바닥 고정판(120)에 형성된 돌출된 자석(122)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거치부(110)가 바닥 고정판(120)에 결합할 때, 돌출된 자석(122)이 홈(H)에 삽입되고, 내부판(112) 상의 철판(116)과 자석(122)이 자기력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거치부(110)가 바닥 고정판(12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바닥 고정판(120)은 거치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중앙에 돌출된 자석(122)이 배치될 수 있다. 바닥 고정판(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바닥 고정판(120)의 형태가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바닥 고정판(120)은 타원형이나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닥 고정판(120)은 진공 흡착을 통해 차량의 대시보드(dash board) 등에 결합하거나, 또는 하면에 형성된 접착제를 통해 대시보드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닥 고정판(120)이 대시보드 등에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접착제는 재사용이 가능한 리무벌(removal) 타입일 수 있다.
자석(122)은 바닥 고정판(120)의 중심에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자석(122)의 구조가 원기둥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자석(122)은 다각 기둥이나 타원 기둥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닥 고정판(120)이 차량의 대시보드에 진공 흡착 등을 통해 결합하고, 그러한 바닥 고정판(120)에 거치부(110)가 결합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거치대(100)가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거치부(110)의 외부판(114)에 형성된 홈(도 5의 H)에 바닥 고정판(120)의 자석(122)이 삽입되고, 자석(122)이 거치부(110)의 내부판(112)에 배치된 철판과 자기력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바닥 고정판(120)에 거치부(110)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바닥 고정판(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으로 돌출된 귀(12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귀(124)는 바닥 고정판(120)을 차량의 대시보드(dash board) 등과 결합 또는 분리할 때,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귀(124)는 생략되거나 도시된 형태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 전자기기를 거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기기(200), 예컨대 스마트 폰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0)에 거치될 수 있다. 전자기기(200)는 하부 측면 부분이 거치부(110)의 하판부(112b)의 그루브(G1)에 삽입되고, 상부 측면 부분이 거치부(110)의 상판부(112u)의 그루브(G3)에 삽입되는 식으로 거치될 수 있다. 한편, 거치부(110)의 하판부(112b)와 상판부(112u)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전자기기(200)를 누름으로써, 전자기기(2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전자기기(200)를 누르는 힘은 거치부(110)의 기하학적인 구조에 기초하여, 굴곡부(112j)가 하판부(112b)와 상판부(112u)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기 때문이다. 물론, 전자기기(200)가 존재하지 않으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판부(112b)와 상판부(112u)의 좌측 단부가 접하는 상태, 즉 닫힌 상태로 돌아간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부(112b)에는 2개의 그루브들(G1, G2)이 형성될 수 있고, 전자기기(200)의 하부 측면은 좌측 단부에 가까운 부분의 그루브(G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기기(200)의 하부 측면은 좌측 단부에서 먼 쪽의 그루브(G2)에 삽입될 수도 있다. 전자기기(200)의 하부 측면이 좌측 단부에서 먼 쪽의 그루브(G2)에 삽입되는 경우, 전자기기(200)는 바닥에 대하여 보다 수직에 가까운 형태로 차량용 거치대(100)에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따라, 또는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그루브의 위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수직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서, 거치부의 내부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부판(112)의 하판부(112b) 상면으로 길쭉한 직사각형 구조의 철판(116)이 나란히 배치되고, 하판부(112b)의 끝단 부분으로 2개의 그루브들(G1, G2)이 형성될 수 있다. 들또한, 상판부(112u)의 끝단 부분에 1개의 그루브(G3)가 형성될 수 있다. 철판(116)의 구조나 개수, 배치 위치 등은 도 4에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하판부(112b)의 그루브들(G1, G2)의 개수나 상판부(112u)의 그루브(G3)의 개수 역시 도 4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내부판(1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분이 얇고 외곽 부분을 따라서 소정 높이의 테두리로 둘러싸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내부판(112)에 외부판(114)이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하여 전체 거치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판(112)은 테두리가 없이 전체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동일한 두께를 갖는 구조의 경우에도 그루브(G1, G2, G3) 부분의 두께는 다를 수 있다. 내부판(112)이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경우에는, 외부판(114)은 내부판(112)의 일면에 단순히 접착된 구조로 결합할 수 있다.
내부판(112)과 외부판(114)은 동일 재질로 형성되거나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실리콘(silicone)과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의 이중 사출 및/또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내부판(112)과 외부판(114)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판(112)과 외부판(114)은 실리콘이나 우레탄 재질 등과 같이 상하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깨짐 및/또는 부러짐 등에 강할 수 있고, 거치되는 전자기기와 부드럽게 접촉할 수 있다. 한편, 거치되는 전자기기와의 부드러운 접촉을 위해 내부판(112)의 경도가 외부판(114)의 경도보다 낮을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0)는 기존 PC(Poly Carbonate) 재질의 거치대의 거친 촉감의 문제나 깨짐 및/또는 부러짐 등의 불량 발생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내부판(112)과 외부판(114)을 느낌이 좋은 실리콘을 삽입하여 질감을 좋게 만들고, 투-톤(two-tone)으로 제작하여 컬러를 다양하게 만듦으로써, 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0)는 컬러에 민감한 젊은 세대들에게 크게 어필할 수 있다. 지금까지 내부판(112)과 외부판(114)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투-톤의 컬러로 형성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내부판(112)과 외부판(114)이 동일 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동일 컬러로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0)는, 거치부(110)의 기하학적 구조에 기인하여, 휴대폰 거치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크게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또한 탈부착이 가능하여 책상이나 캠핑 용구 등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한편, 탈부착과 관련하여, 거치부(110)를 바닥 고정판(120)으로부터 탈부착할 수도 있고, 아예 바닥 고정판(120)까지를 포함한 전체 차량용 거치부(110)를 대시보드 등으로부터 탈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내부에 배치된 철판(116) 또는 자석(122)을 이용하여 티켓 및 자동차 통행권을 붙이거나 끼우는 식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서, 거치부와 바닥 고정판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거치부(110)의 외부판(114)에는 홈(H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H1)은 원형 구조를 가지면 제1 깊이(D1)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바닥 고정판(120)의 자석(122)은 원기둥과 같이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제1 두께(D2)를 가질 수 있다. 바닥 고정판(120)의 자석(122)이 외부판(114)의 홈(H1)에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하므로, 자석(122)의 지름과 홈(H1)의 지름은 거의 동일하거나 자석(122)의 지름이 약간 작을 수 있다.
또한, 자석(122)의 상면이 홈(H)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결합하는 경우를 고려할 때, 제1 깊이(D1)는 제1 두께(D2)와 거의 동일하거나 제1 두께(D2)보다 작을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서, 바닥 고정판에 대하여 거치부가 회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0)에서, 거치부(110)는 바닥 고정판(120)에 결합한 후,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바닥 고정판(120)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10)는 바닥 고정판(120)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할 수도 있다. 이는 거치부(110)가 바닥 고정판(120)으로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철판(116)과 자석(122) 사이의 자기력에 의해 거치부(110)가 바닥 고정판(120)으로 결합하기 때문이다.
한편,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자석(122)의 지름은 홈(H1)의 지름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가 차량에 대시보드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0)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10)에 형성된 그루브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수직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수직 각도를 가지고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10)의 좌우 회전이 자유롭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좌우 각도를 가지고 디스플레이 화면을 시청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옆 자석의 탑승자도 용이하게 전자기기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거치대(100)의 기하학적인 구조에 기초하여 전자기기를 거치하지 않은 경우에, 거치부(11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어 공간을 매우 작게 차지하며, 또한 내부의 철판(116)이나 자석(122)을 이용하여 티켓 및 자동차 통행권 등을 붙이거나 끼우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0)는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차량뿐만 아니라 책상 등에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캠핑 등 다양한 곳에서 이용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거치대, 110: 거치부, 112: 내부판, 114: 외부판, 112u: 상판부, 112b: 하판부, 112j: 굴곡부, 116: 철판, 120: 바닥 고정판, 122: 자석, 200: 전자기기

Claims (5)

  1. 삭제
  2. 중앙에 돌출된 자석이 배치되고 하면을 통해 차량 내부의 평평한 부분에 고정될 수 있는 바닥 고정판; 및
    상기 바닥 고정판에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바닥 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되며, 내부에 전자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길쭉한 직사각형 띠가 접힌 구조를 가지고 상판부, 하판부 및 굴곡부로 구별되며,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는 단면이 호의 형태를 갖는 상기 굴곡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되, 닫힌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서로 가까워져 상기 끝단에서 서로 접하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의 끝단은 서로 떨어지되 상기 굴곡부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로 돌아가도록 탄성 복원력이 상기 상판부 및 하판부에 인가되며,
    상기 상판부의 끝단 부분과 상기 하판부의 끝단 부분 각각에 상기 전자기기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판 및 상기 내부판을 덮는 외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부의 상기 내부판 상에 적어도 하나의 철판이 배치되며, 상기 자석과 철판 사이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거치부가 상기 바닥 고정판에 결합하며,
    상기 내부판과 외부판은 이중 사출 결합 구조를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판부의 외부판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원통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은 상기 원통 홈에 삽입되는 돌출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자석이 상기 원통 홈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가 상기 바닥 고정판에 결합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바닥 고정판에 대하여 36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3. 삭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판과 외부판은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판이 외부판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사출 결합 구조는 실리콘(silicone)과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의 이중 사출 결합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KR2020140002993U 2014-04-14 2014-04-14 차량용 거치대 KR200475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993U KR200475220Y1 (ko) 2014-04-14 2014-04-14 차량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993U KR200475220Y1 (ko) 2014-04-14 2014-04-14 차량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220Y1 true KR200475220Y1 (ko) 2014-11-13

Family

ID=5229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993U KR200475220Y1 (ko) 2014-04-14 2014-04-14 차량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2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148B1 (ko) * 2016-06-09 2017-01-04 한성산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KR20170061850A (ko)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지케이옥시 활대 거치구를 구비한 아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5177A (ja) * 2010-07-20 2012-02-09 Yupiteru Corp 車載用電子機器用の支持構造
KR20130071039A (ko) * 2011-12-20 2013-06-28 권재규 전자기기를 차량 내부에 위치시키는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5177A (ja) * 2010-07-20 2012-02-09 Yupiteru Corp 車載用電子機器用の支持構造
KR20130071039A (ko) * 2011-12-20 2013-06-28 권재규 전자기기를 차량 내부에 위치시키는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850A (ko)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지케이옥시 활대 거치구를 구비한 아쟁
KR101890882B1 (ko) * 2015-11-27 2018-08-22 주식회사 지케이옥시 활대 거치구를 구비한 아쟁
KR101693148B1 (ko) * 2016-06-09 2017-01-04 한성산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WO2017213301A1 (ko) * 2016-06-09 2017-12-14 한성산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508B2 (en) Apparatus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s
US9377810B2 (en) Electronic device
JP5591787B2 (ja) 多機能保護ケース
EP1895174A2 (en) Suction cup
US20130098788A1 (en) Cell Phone Case
US20070102611A1 (en) Base capable of use with a support for holding an object
JP5507503B2 (ja) 電子機器用ケース及びキーボード装置
US20080210834A1 (en) Suction cup device
US20130284866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947778B2 (ja) 電子機器用スタンド及びスタンド付き電子機器
KR200475220Y1 (ko) 차량용 거치대
KR101721751B1 (ko)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140001365U (ko)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0483942Y1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KR20160000276U (ko)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
KR20130007270U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JP3174930U (ja) 直立に置くことができる保護カバー
KR20140116993A (ko) 탄성 받침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US20160198071A1 (en) Compliant support for component alignment
KR20130071039A (ko) 전자기기를 차량 내부에 위치시키는 거치대
KR20160001771U (ko) 휴대기기용 거치대
KR20160003392A (ko) 휴대 단말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110008506U (ko) 착탈식 거치대
WO2010004329A1 (en) Flat folding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