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276U -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276U
KR20160000276U KR2020140005309U KR20140005309U KR20160000276U KR 20160000276 U KR20160000276 U KR 20160000276U KR 2020140005309 U KR2020140005309 U KR 2020140005309U KR 20140005309 U KR20140005309 U KR 20140005309U KR 20160000276 U KR20160000276 U KR 201600002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cover
front fixing
vehicle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규
Original Assignee
최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규 filed Critical 최순규
Priority to KR2020140005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276U/ko
Publication of KR201600002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운전시에 사용하기 위한 차량용 거치대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측면이 평행하게 이루러진 측면을 갖는 전방 고정 부재; 전방 고정 부재의 뒷면에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전방 고정 부재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고정 부재를 감싸는 형상으로 만곡되고, 후방에 회동 부재의 일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후방 고정 부재; 상기 전방 고정 부재와 후방 고정 부재가 하단부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단부가 전개 가능하게 조립된 결합부: 일단이 후방 고정 부재의 후방에 형성된 회동 부재의 수용부에 수용되고, 타단이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회동 부재; 대략 ㄴ 자 구조로 이루어지고, 직립부에 상기 회동 부재의 타단이 고정되고, 바닥부에 흡착부에 연결된 베이스 부재 : 및 차량의 대시 보드 상에 흡착 고정되는 흡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STAND STRUCTURES FOR VEHICLE OF ELECTRONIC MACHINESINCLUDING SMARTPHONE}
본 고안은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립 커버를 씌운 상태의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차량에 거치시키기 위한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차량에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거치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거치대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차량용 거치대의 경우, 특정 기종에 맞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기기를 교체하는 경우, 기기의 크기가 맞지 않아서, 그에 맞는 차량용 거치대를 새로이 구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하여 차량용 네비게이션, 블랙 박스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스마트폰에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의 경우, 차량용 거치대의 필요성은 점점 더 증대되어 가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화면의 크기의 증가 및 교체 주기가 짧아짐으로써, 크기에 상관없이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여 특허 문헌 1에는 크기에 상관없이 장착 가능한 이동 단말기용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이동 단말기용 거치대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량 운전자에게 유용하고 편리한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스마트폰 사용자의 경우, 스마트폰 기기가 고가인 관계로 스마트폰 조작할 때 실수로 바닥에 떨어뜨리는 경우, 액정 등이 파손 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용 카드 등을 넣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커버 씌워 많이 사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 중에서도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을 수 있는 덮개가 달려 있는 다이어리 형의 커버(이하, "플립 커버"라 칭한다)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경우, 커버가 없는 일반 커버의 경우, 커버를 끼운 채로 거치대에 장착하는 것은 용이하나, 플립 커버와 같이 덮개가 있는 경우, 운전자가 스마트폰을 네비게이션 또는 블랙박스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커버를 벗겨 내어 거치대에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허 문헌 1의 이동 단말기의 거치대는 플립 커버의 커버를 스마트폰의 뒤로 제낀 상태로 거치대에 장착은 가능하나, 과속 방지턱 등을 통과할 때, 차량의 진동에 의해 스마트폰이 거치대로 부터 이탈하는 경우가 있다. 차량 운전시 네비게이션 등 전자 기기의 이탈 또는 탈락은 교통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지 않의면, 안된다.
KR 1020120121575 A
본 고안의 목적은 플립 커버를 끼운 상태에도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장착이 용이한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 기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장착 가능하고, 장착된 전자기기를 좌우로 360도 회전 가능하고, 전후로 45도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운전시에 사용하기 위한 차량용 거치대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측면이 평행하게 이루러진 측면을 갖는 전방 고정 부재; 전방 고정 부재의 뒷면에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전방 고정 부재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고정 부재를 감싸는 형상으로 만곡되고, 후방에 회동 부재의 일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후방 고정 부재; 상기 전방 고정 부재와 후방 고정 부재가 하단부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단부가 전개 가능하게 조립된 결합부: 일단이 후방 고정 부재의 후방에 형성된 회동 부재의 수용부에 수용되고, 타단이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회동 부재; 대략 ㄴ 자 구조로 이루어지고, 직립부에 상기 회동 부재의 타단이 고정되고, 바닥부에 흡착부에 연결된 베이스 부재 : 및 차량의 대시 보드 상에 흡착 고정되는 흡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고정 부재의 뒷면 상단부에 형성된 탄성 부재; 및 상기 후방 고정 부재의 상단 만곡부에 형성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1 쌍의 탄성부재가 전자 기기의 양측면을 탄성적으로 그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탄성 부재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나, 배향 위치가 상하로 약간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운전시에 사용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차량용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와 스마트폰의 전면 표시 화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로 이루어진 플립 커버에 끼워진 스마트폰 : 및 제 1 항에 기재된 차량용 거치대를 포함하고, 플립 커버의 커버를 씌운 상태에서 커버를 뒤로 젖힌 사용 상태로 상기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립 커버의 상기 커버를 뒤로 제낀 상태에서, 상기 전방 고정 부재가 상기 보호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커버를 고정하여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 따른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는 플립 커버를 끼운 상태에도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장착이 매우 용이하다는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 따른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는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 기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장착 가능하고, 장착된 전자 기기를 좌우로 360도 회전 가능하고, 전후로 45도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거치대에 전자 기기를 장착한 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차량용 거치대에 전자 기기를 다른 형태로 장착한 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거치대에 플립 커버를 씌운 상태로 전자 기기를 장착한 예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200)의 차량용 거치대(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10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100)은 크게 전방 고정 부재(110), 후방 고정 부재(120), 회동 부재(150), 베이스 부재(160), 및 흡착 부재(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방 고정 부재(1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 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방 고정 부재(110)의 상단부 뒷면에는 탄성 부재(111)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의 배면에는 체결 돌출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전방 고정 부재(110)의 최상단부는 가능한한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에서 후술하는 플립 커버(300)을 씌운 채로 전자 기기(200)를 거치대(100)에 장착할 때에 플립 커버의 커버 부재(320)과 전자 기기의 본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310)사이에 상기 전방 고정 부재(110)가 끼워져 고정되어야 하므로, 가능한 한 수평으로 이루어져야 전자 기기가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후방 고정 부재(120)는 도 1 및 도 2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고정 부재(110) 보다 상단부가 크게 형성되어 이를 감싸는 형태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후방 고정 부재(120)의 상단부의 만곡부 내측에는 탄성 부재(121)을 포함한다. 전방 고정 부재(110)의 상단부 뒷면에 형성된 탄성 부재(111)과 후방 고정 부재(120)의 상단부의 만곡부 내측에 형성된 탄성 부재(121)은 쌍을 이루어 전자 기기(200)의 양 측면을 그립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111, 121)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기기를 장착할 때, 미끄러지거나 이탈되지 않는 정도의 탄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방 고정 부재(120)의 하단부에는 전방 고정 부재(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체결될 수 있는 돌출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고정 부재(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체결 돌출부(113)과 후방 고정 부재(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체결 돌출부(123)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스프링 부재에 의해 전자 기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 및 도 2 형태로 고정되고 있으나, 전자 기기를 장착하고자 할 때는 후방 고정 부재의 한단 휘어진 부분(125)와 전방 고정 부재의 최하단 부분을 누름으로써, 결합부(130)를 축으로 하여 전방 고정 부재(110)과 후방 고정 부재(120)의 최상단이 전개된다. 전개된 전방 고정 부재(110)의 뒷면에 부착된 탄성 부재(111)과 후방 고정 부재(120)의 만곡부에 형성된 탄성 부재(121)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자 기기의 양 측면을 안정적으로 그립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후방 고정 부재의 한단 휘어진 부분(125)의 휘어진 각도는 전자 기기의 폭에 비례하여 정해질 수 있다.
후방 고정 부재(120)의 하부 배면에는 회동 부재(150)의 수용 결합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회동 부재(150)의 볼 부재(도시 하지 않음)를 수용 하여 좌우로 180 도 또는 전후로 45 도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용 결합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 부재(140)는 볼 부재(도시 하지 않음)가 형성된 일단과 축 형상으로 연장된 타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회동 부재(140)의 볼 부재는 후방 고정 부재(120)에 형성된 수용 결합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가능하고, 타단은 베이스 부재(160)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60)은 대략 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직립부에 회동 부재(150)이 고정되어 있고, 바닥부에는 흡착부(170)이 형성되어 있으며, 흡착부(170)가 부착시 흡착을 조절하기 위한 고정 후크(16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흡착부(170)은 상용중인 흡착부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100)의 동작, 즉 차량용 거치대에 전자 기기를 장착하는 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거치대에 전자 기기를 장착한 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차량용 거치대에 전자 기기를 다른 형태로 장착한 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5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용 거치대(100)은 차량의 대시 보드 상에 흡착 고정되어 있고, 이 흡착 고정되 거치대(100)에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PMP 등의 전자 기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기기라 함은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지만, 메모지, 명함, 통행료 카드 등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전자 기기라 함은 차량 운전시 필요한 물품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스마트폰을 커버 없이 장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플립 커버 등이 씌운 상태의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기기에 대한 장착 방법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는 설명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100)에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등을 장착하여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200)을 거치대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전방 고정 부재(110)과 후방 고정 부재(120)의 하단부가 결합 고정되어 있는 체결부(130)의 하단부를 두 손가락으로 누르면 그 상단부가 전개된다. 이때 스마트폰의 양측면을 한 쌍의 탄성 부재(111,121)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간단히 장착될 수 있을 있다. 이때, 스마트폰의 크기나, 기종에 상관없이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 조차 없다.
이때,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거치대가 직립하여 있는 경우, 전방 고정 부재(110)와 후방 고정 부재(120)의 상단부에 형성된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전방 고정 부재(110)를 앞으로 당김으로써, 스마트폰을 탄성 부재(111, 12)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한 손 장착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이 장착하여 그립할 수 있는 전방 고정 부재(110) 및 후방 고정 부재(120)은 회동 부재(150)을 통해 베이스 부재(16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회동 부재(150)에 의해 스마트폰이 장착된 전방 및 후방 고정 부재(110, 120)는 좌우로 180도 까지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세로 방향으로 장착된 스마트폰은 사용 용도 즉, 스마트폰의 사용 상태에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화면이 운전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스마트폰을 앞뒤로 45도까지 각도 조절될 수 있도록 회동될 수 있다.
이 출원 명세서의 종래 기술에서도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스마트폰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310)를 끼운 상태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보호 부재(310)은 종류가 매우 다양할 뿐만아니라. 커버(320)이 부착되어 있는 플립 커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플립 커버를 끼운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기기(200)은 플립 커버의 커버(320) 부분 때문에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커버를 벗겨 내고 장착할 수 밖에 없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버를 뒤로 제껴서 장착하는 경우, 차량의 진동에 의해 거치대로 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를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장착 방법에 따라 장착하는 경우, 플립 커버를 씌운 상태 그대로 스마트폰을 거치대(100)에 안정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100)의 다른 형태의 동작, 즉 차량용 거치대에 전자 기기를 장착하는 다른 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거치대에 플립 커버를 씌운 상태로 전자 기기를 장착한 예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스마트폰(200)은 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310)과 그 보호 부재에 연장되어 형성된 커버(320)을 갖는 플립 커버를 씌운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200)의 사용시에는 커버(320)을 뒤로 제낀 상태로, 표시 화면이 보이도록 사용되고 있다, 운전자가 차량에서 네비게이션, 블랙 박스 용도로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반 사용 상태로 장착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100)는 플립 커버를 씌운 상태에서 그대로 안정되게 장착할 있다.
플립 커버(310, 320)를 씌운 스마트폰(200)은 사용 시에 커버(320)를 뒤로 제낀 상태가 된다. 이때,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20)를 전방 고정 부재(110)과 후방 고정 부재(120) 사이에 삽입하여 전방 고정 부재(110)의 뒷면에 형성된 탄성 부재(111)과 후방 고정 부재의 만곡부에 형성된 탄성 부재(121)에 의해 커버(320)가 고정된다. 이 때, 전방 고정 부재(110)가 플립 커버의 보호 부재(310)와 커버(320) 사이로 삽입되어 한 쌍의 탄성 부재(111, 121)에 의해 커버(320)를 꽉 누름으로써, 안정적으로 스마트폰(200)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에 장착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200)은 커버가 씌워진 채로 안정되게 장착되어 과속 방지턱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차량의 진동에 의해서도 거치대(100)으로 이탈되거나 탈락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안전 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고안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고안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고안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거치대 110 : 전방 고정 부재
111 : 전방 고정 부재의 탄성 부재 120 : 후방 고정 부재
121 : 후방 고정 부재의 탄성 부재 130 : 결합부
150 : 회동 부재 160 : 베이스 부재
170 : 흡착 부재 200 : 전자 기기
310 : 보호 부재 320 : 보호 부재의 커버

Claims (5)

  1.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운전시에 사용하기 위한 차량용 거치대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측면이 평행하게 이루러진 측면을 갖는 전방 고정 부재;
    전방 고정 부재의 뒷면에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전방 고정 부재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고정 부재를 감싸는 형상으로 만곡되고, 후방에 회동 부재의 일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후방 고정 부재;
    상기 전방 고정 부재와 후방 고정 부재가 하단부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단부가 전개 가능하게 조립된 결합부:
    일단이 후방 고정 부재의 후방에 형성된 회동 부재의 수용부에 수용되고, 타단이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회동 부재;
    대략 ㄴ 자 구조로 이루어지고, 직립부에 상기 회동 부재의 타단이 고정되고, 바닥부에 흡착부에 연결된 베이스 부재 : 및
    차량의 대시 보드 상에 흡착 고정되는 흡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고정 부재의 뒷면 상단부에 형성된 탄성 부재; 및
    상기 후방 고정 부재의 상단 만곡부에 형성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1 쌍의 탄성부재가 전자 기기의 양측면을 탄성적으로 그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탄성 부재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나, 배향 위치가 상하로 약간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4. 스마트폰을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와 스마트폰의 전면 표시 화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로 이루어진 플립 커버에 끼워진 스마트폰 : 및
    제 1 항에 기재된 차량용 거치대를 포함하고,
    플립 커버의 커버를 씌운 상태에서 커버를 뒤로 젖힌 사용 상태로 상기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커버의 상기 커버를 뒤로 제낀 상태에서, 상기 전방 고정 부재가 상기 보호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커버를 고정하여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KR2020140005309U 2014-07-15 2014-07-15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 KR201600002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09U KR20160000276U (ko) 2014-07-15 2014-07-15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09U KR20160000276U (ko) 2014-07-15 2014-07-15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76U true KR20160000276U (ko) 2016-01-25

Family

ID=5531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309U KR20160000276U (ko) 2014-07-15 2014-07-15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276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083B1 (ko) 2018-01-26 2019-03-08 임재현 휴대폰 거치대
KR200489241Y1 (ko) 2017-12-20 2019-05-21 (주)가나웨이브시스 차량용 거치대
KR20190001360U (ko) 2017-11-30 2019-06-10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EP3835642A1 (de) * 2019-12-09 2021-06-16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Halterungsvorrichtung für mobile endgeräte am bedienpult eines schienenfahrzeug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360U (ko) 2017-11-30 2019-06-10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KR200489241Y1 (ko) 2017-12-20 2019-05-21 (주)가나웨이브시스 차량용 거치대
KR101956083B1 (ko) 2018-01-26 2019-03-08 임재현 휴대폰 거치대
EP3835642A1 (de) * 2019-12-09 2021-06-16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Halterungsvorrichtung für mobile endgeräte am bedienpult eines schienenfahrzeug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11855A1 (en) Rotationally limited connection system
US20170174147A1 (en) Apparatus for securing a mobile device to a steering wheel
EP2856900A1 (en) Multifunctional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US20130299365A1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20150257288A1 (en) Support Assembly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60000276U (ko)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
US20140191095A1 (en) Systems and apparatuses to support an electronic device
US8479961B2 (en) Device holder of a transport apparatus
KR20140007050A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CN104116289A (zh) 平板型电子装置保护套
KR101042534B1 (ko) 핸드폰 거치대
KR20140123837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30105799A (ko) 집게식 단말기 거치대
TWM330723U (en) Container
KR101187753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201500338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KR101954704B1 (ko) 차량용 거치대
KR20130071039A (ko) 전자기기를 차량 내부에 위치시키는 거치대
KR101338217B1 (ko) 휴대형 전자기기의 지지대
KR20120008365U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KR101102464B1 (ko) 보호부와 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기기 케이스
KR200472146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어플부재를 구비하는 보호 케이스
KR200476543Y1 (ko) 모바일기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