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165Y1 - 컨넥터 - Google Patents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165Y1
KR200445165Y1 KR2020070006936U KR20070006936U KR200445165Y1 KR 200445165 Y1 KR200445165 Y1 KR 200445165Y1 KR 2020070006936 U KR2020070006936 U KR 2020070006936U KR 20070006936 U KR20070006936 U KR 20070006936U KR 200445165 Y1 KR200445165 Y1 KR 200445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connector
terminals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046U (ko
Inventor
김영혁
Original Assignee
(주)하누리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누리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하누리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070006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165Y1/ko
Publication of KR200800050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0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1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컨넥터에 구비되는 접속용단자들과 접지용단자들의 조립시 먼저 조립되는 접속용단자들의 오조립을 방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컨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일측만이 개구된 공간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일측벽부에는 기판에 직접 고정되는 접속용단자들과 접지용단자들이 삽입 설치될 수 있게 접속용단자 결합공들과 접지용단자 결합공들을 상기 공간부와 연락되게 형성한 컨넥터 몸체; 및 상기 접속용단자들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한 돌부와 상기 돌부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용단자 결합공들에만 상기 돌부가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게 형성한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속용단자들이 상기 접지용단자 결합공들에 삽입되지 않게 한 오조립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컨넥터, 접지용단자, 접속용단자, 오조립방지

Description

컨넥터{a connecto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표시의 IV-IV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에서 단자를 분리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컨넥터 몸체 102 - 공간부
112 - 접속용단자 결합공 114 - 접지용단자 결합공
200 - 전기접속부 210 - 접속용단자
220 - 접지용단자 300 - 오조립 방지부
312 - 돌부 314 - 가이드홈
본 고안은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넥터에 구비되는 접속용단자들과 접지용단자들의 조립시 먼저 조립되는 접속용단자들의 오조립을 방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에는 연료 시스템을 제어하고 점화시기 및 연료펌프 그외 여러 시스템을 조절하며, 차량의 각 부위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보내어진 자동차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 자동차의 주행성능에 영향을 주는 각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제어모듈(Electronic Control Module; 이하 'ECM'이라 칭함) 또는 변속기제어모듈(Transmission Control Module; 이하 'TCM'이라 칭함)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ECM 또는 TCM은 일종의 소형 컴퓨터로서, 상기 ECM 또는 TCM과 연결하여 차량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차량의 자가점검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며, 상기 차량의 자가점검 장치에는 ECM 또는 TCM과 연결하기 위한 컨넥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컨넥터에는 접속용단자들과 접지용단자들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접속용단자들과 접지용단자들은 그 길이가 상호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컨넥터에 접속용단자들과 접지용단자들을 조립시 작업자가 실수로 상기 접속용단자들과 접지용단자들을 바꾸어 조립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 경우 불량을 방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컨넥터에 접속용단자들과 접지용단자들의 조립할 경우 그 작업 순서로, 먼저 접속용단자들을 조립한 후 접지용단자들을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먼저 조립하는 접속용단자들을 잘못 조립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컨넥터에 구비되는 접속용단자들과 접지용단자들의 조립시 먼저 조립되는 접속용단자들의 오조립을 방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컨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만이 개구된 공간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일측벽부에는 기판에 직접 고정되는 접속용단자들과 접지용단자들이 삽입 설치될 수 있게 접속용단자 결합공들과 접지용단자 결합공들을 상기 공간부와 연락되게 형성한 컨넥터 몸체; 및 상기 접속용단자들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한 돌부와 상기 돌부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용단자 결합공들에만 상기 돌부가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게 형성한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속용단자들이 상기 접지용단자 결합공들에 삽입되지 않게 한 오조립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표시의 IV-IV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에서 단자를 분리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는 몸체(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100)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며, 어느 일측만이 개구된 공간부(102)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102)와 연락되게 다른 일측으로는 접속용단자 결합공(112)들과 접지용단자 결합공(114)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컨넥터 몸체(100)에 구비된 상기 접속용단자 결합공(112)들은 2열을 이루게 배치되도록 형성됨이 좋고, 상기 접지용단자 결합공(114)들은 2열을 이루게 형성된 상기 접속용단자 결합공(112)들 중에서 하부로 배치되는 접속용단자 결합공들의 중간부에 2개만 형성함이 좋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진 전기접속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기접속부(200)는 상기 접속용단자 결합공(112)들에 삽입 결합되는 접속용단자(210)들과 상기 접지용단자 결합공(114)들에 삽입 결합되는 접지용단자(220)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속용단자(210)들과 접지용단자(220)들은 상기 컨넥터 몸체(100)에 구비된 접속용단자 결합공(112)들과 접지용단자 결합공(114)들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상기 컨넥터 몸체(100)에 구비된 공간부에(102)에 위치되는 수평부(212,224)와, 상기 수평부(212,222)로부터 직각을 이루게 절곡되어 상기 컨넥터 몸체(100)의 후단으로 돌출됨에 의해 기판(PCB)에 고정되는 수직부(214,22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속용단자(210)들과 상기 접지용단자(220)들에 구비되어 상기 컨넥터 몸체(100)의 공간부(102)에 위치되는 상기 수평부(212,222)는 그 길이가 상호 다른 길이를 이루게 형성되어, 각각 접속용 혹은 접지용으로 이용된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접지용단자(220)의 수평부(222)가 상기 접속용단자(210)의 수평부(212)의 길이 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육안으로 상기 접지용단자(220)와 접속용단자(210)는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는 오조립 방지부(3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오조립 방지부(300)는 상기 접속용단자(210)들이 상기 접지용단자 결합공(114)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즉, 접속용단자(210)와 접지용단자(220)의 조립시 항상 접속용단자(210)를 먼저 조립한 후 접지용단자(220)를 조립하게 되므로, 먼저 조립되는 접속용단자(210)의 오조립만을 방지하면 된다.
이와 같은 오조립 방지부(300)는 상기 접속용단자(210)들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부(312)를 형성하고, 상기 돌부(312)가 안내될 수 있게 상기 접속용단자 결합공(112)들에만 상기 돌부(312)에 대응하는 가이드홈(314)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314)에 상기 돌부(312)가 안내되면서 접속용단자(210)들이 접속용단자 결합공(112)들에 삽입되게 결함함에 의해, 상기 접속용단자(210)들이 가이드홈(314)이 형성되지 않은 접지용단자 결합공(114)으로는 삽입되지 않게 하여 오조립을 방지한다.
도면 부호 (216,226)은 상기 접속용단자(210)들과 상기 접지용단자(220)들에 구비된 각각의 수평부(212,222)의 양측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걸림턱(216,226)에 의해 상기 접속용단자(210)들과 접지용단자(220)들을 상기 접속용단자 결합공(112)들과 접지용단자 결합공(114)들에 삽입 결합시 상기 경사면을 갖는 걸림턱(216,226)이 접속용단자 결합공(112)과 접지용단자 결합공(114)의 내주면을 압박하면서 삽입 결합되게 되어 상기 단자들이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면 부호 (218,228)은 상기 접속용단자(210)들과 상기 접지용단자(220)들에 구비된 각각의 수평부(212,222)의 후단으로 위치되어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출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 부호 (116)은 상기 단자들을 결합공에 삽입시 상기 걸림돌출부(218,228)가 걸려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컨넥터 몸체(100)에 구비된 접속용단자 결합공(112)들과 접지용단자 결합공(114)들에 각각 형성한 걸림홈부(116)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걸림홈부(116)와 상기 걸림돌출부(218,228)에 의해 상기 접속용단자(210)과 접지용단자(220)들을 상기 접속용단자 결합공(112)들과 접지용단자 결합공(114)들에 삽입 결합시 상기 단자들의 수평부가 일정하게 삽입 결합되게 한다.
도면 부호 (120)은 상기 컨넥터 몸체(100)에 구비된 공간부(102)의 내부를 상하부로 구획하는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판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판(120)에 의해 상기 컨넥터 몸체(1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 즉, 암컨넥터(미도시)에 결합시 상기 가이드판(120)에 의해 정확하게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 암컨넥터에는 상기 가이드판(120)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는, 상기 컨넥터 몸체(100)에 구비된 접속용단자 결합공(112)들과 접지용단자 결합공(114)들에 상기 접속용단자(210)들과 접지용단자(220)들을 삽입 결합시 상기 접속용단자(210)들의 수평부(212)에 형성된 돌부(312)와 접속용단자 결합공(112)에 형성된 가이드홈(314)에 의해 상호 오조립이 방지되는 것으로, 이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컨넥터 몸체(100)에 접속용단자(210)들과 접지용단자(220)들을 조립시 먼저, 접속용단자(210)들을 상기 접속용단자 결합공(112)에 삽입 결합하고, 이후 상기 접지용단자(220)들을 접지용단자 결합공(1140)에 삽입 결합하여 작업하게 된다. 즉, 상기 접속용단자(210)들과 접지용단자(220)들은 수평부(212,222)의 길이 차이로 인해 육안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접속용단자(210)들을 먼저 결합한 후 접지용단자(220)들을 결합하는데에는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
따라서, 상기 접속용단자(210)들을 상기 접속용단자 결합공(112)에 삽입 결합시 상기 접속용단자(210)들의 수평부(212)에 형성된 돌부(312)가 상기 접속용단자 결합공(112)에 형성된 가이드홈(314)에 안내되면서 상기 접속용단자(210)들이 상기 접속용단자 결합공(112)들에 삽입 결합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실수로 상기 접속용단자(210)들을 상기 접지용단자 결합공(114)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접지용단자 결합공(114)에는 가이드홈(31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으로서 상기 접속용단자(210)의 수평부(212)에 형성된 돌부(312)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컨넥터 몸체(100)에 구비된 접속용단자 결합공(112)들에 상기 접속용단자(210)들을 모두 조립한 다음에, 상기 컨넥터 몸체(100)에 구비된 접지용단자 결합공(114)들에 접지용단자(220)들을 결합함에 의해,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접속용단자(210)를 결합 전에 상기 접지용단자(220)를 먼저 결합하게 되면, 위에서 설명한 오조립을 방지할 수 없는데, 본 고안은 작업 공정의 순서상 접속용단자(210)의 결합전에 접지용단자(220)를 결합하는 경우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의 조립공정에 따른 순서는 항상 접속용단자(210)를 먼저 결합한 후에 접지용단자(220)를 결합하게 됨으로, 위와 같은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만약, 작업자의 실수로 접속용단자(210)를 결합 전에 접지용단자(220)를 결합하려고 하여도 상기 접속용단자(210)와 접지용단자(220)는 수평부(212,222)의 길이 차이로 인해 작업자가 접속용단자(210)와 접지용단자(220)를 육안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음으로서, 작업자가 상기 접지용단자(220)를 먼저 결합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접속용단자(210)를 모두 결합한 후에 접지용단자(220)를 결합하게 됨으로, 먼저 결합되는 접속용단자(210)의 오조립만을 방지하면 컨넥터의 단자 조립에 대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넥터 몸체(100)에 구비된 접속용단자 결합공(112)들과 접지용단자 결합공(114)들에 상기 접속용단자(210)들과 접지용단자(220)들을 조립할 때, 상기 단자들에 형성된 걸림돌출부(218,228)가 상기 결합공들에 형성된 걸림홈부(116)에 걸려 일정 거리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자들의 양측으로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걸림턱(216,226)에 의해 상기 단자들이 결합공에 결합된 상태에서 빠짐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조립 방법에 의해, 상기 컨넥터 몸체(100)에 접속용단자(210)들과 접지용단자(220)들을 조립한 컨텍터는 상기 단자들(210,220)들을 기판(PCB)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고정한다.
또한, 상기 컨넥터 몸체(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는 상기 기판(PCB)이 설치된 케이싱(C)을 고정하기 위한 단턱(104)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C)과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즉, 본 고안의 컨넥터는 단자들이 기판에 직접 고정됨과 아울러 케이싱이 케이싱에 구비된 단탁에 결합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컨넥터에 구비되는 접속용단자들과 접지용단자들의 조립시 먼저 조립되는 상기 접속용단자의 오조립을 방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측만이 개구된 공간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일측벽부에는 기판에 직접 고정되는 접속용단자들과 접지용단자들이 삽입 설치될 수 있게 접속용단자 결합공들과 접지용단자 결합공들을 상기 공간부와 연락되게 형성한 컨넥터 몸체; 및
    상기 접속용단자들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한 돌부와 상기 돌부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용단자 결합공들에만 상기 돌부가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게 형성한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속용단자들이 상기 접지용단자 결합공들에 삽입되지 않게 한 오조립 방지부를 포함하는 컨넥터.
KR2020070006936U 2007-04-26 2007-04-26 컨넥터 KR200445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936U KR200445165Y1 (ko) 2007-04-26 2007-04-26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936U KR200445165Y1 (ko) 2007-04-26 2007-04-26 컨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46U KR20080005046U (ko) 2008-10-30
KR200445165Y1 true KR200445165Y1 (ko) 2009-07-03

Family

ID=4135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936U KR200445165Y1 (ko) 2007-04-26 2007-04-26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16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339A (en) * 1898-09-27 Apparatus for inflating pneumatic tires
KR940022955A (ko) * 1993-03-02 1994-10-22 루이스 에이. 헥트 모서리 장착식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H0896871A (ja) * 1994-09-27 1996-04-12 Fujitsu Ltd 回路基板接続用コネクタとメモリカード
KR200278222Y1 (ko) 2002-03-21 2002-06-20 박영태 핸드폰용 입출력 플러그의 인쇄회로기판 적용 핀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339A (en) * 1898-09-27 Apparatus for inflating pneumatic tires
KR940022955A (ko) * 1993-03-02 1994-10-22 루이스 에이. 헥트 모서리 장착식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H0896871A (ja) * 1994-09-27 1996-04-12 Fujitsu Ltd 回路基板接続用コネクタとメモリカード
KR200278222Y1 (ko) 2002-03-21 2002-06-20 박영태 핸드폰용 입출력 플러그의 인쇄회로기판 적용 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46U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7038B2 (en) Card edge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592266B1 (en) Fiber optic cable connector clip
JP5590952B2 (ja) コネクタ付き基板
JP3985570B2 (ja) 電気接続箱
US8777677B2 (en) Electrical contact for plug-in connections
WO2011142132A1 (ja) 嵌合完了検知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US8758043B2 (en) Fitting confirmation construction of connector for connecting circuit board
KR102039749B1 (ko)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JP2008300286A (ja) 嵌合検知コネクタ
EP1662618B1 (en) A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US6116952A (en) Multipole waterproof connector
KR20160123214A (ko) 커넥터 어셈블리
CN113196577A (zh) 多件式印刷电路板适配器插头
US20160308292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ical connector on circuit board
JP4782024B2 (ja) 電子接続箱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445165Y1 (ko) 컨넥터
US7828608B2 (en) Connector having terminal holding portion that contacts a mating terminal
US7744398B1 (en) Locking device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6666730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contact positioning elements
JP6505547B2 (ja) コネクタ構造
KR200431623Y1 (ko) 기판 연결용 커넥터
US10044142B1 (en) Connector locking holder
US20160056559A1 (en) Printed board connecting structure
KR100773308B1 (ko) 터미널의 단자 휨 방지구조
JP5533081B2 (ja) ケーブル接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