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090Y1 -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 - Google Patents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090Y1
KR200429090Y1 KR2020060020497U KR20060020497U KR200429090Y1 KR 200429090 Y1 KR200429090 Y1 KR 200429090Y1 KR 2020060020497 U KR2020060020497 U KR 2020060020497U KR 20060020497 U KR20060020497 U KR 20060020497U KR 200429090 Y1 KR200429090 Y1 KR 200429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opening
line
main body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주
Original Assignee
김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행주 filed Critical 김행주
Priority to KR2020060020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0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2Bucket gr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6Grabs actuated by a single rope or ch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14Grabs opened or closed by driving motors thereon
    • B66C3/16Grabs opened or closed by driving motors thereon by fluid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담긴 흙이나 돌 등을 돌이나 흙을 배출하기 위해 하부에 설치된 개폐문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고, 본체의 중심을 잡기 위한 테크라인의 내부에 유압실린더와 연결되는 유압호스가 매설됨에 따라, 상기 유압호스를 유압식 크레인의 유압라인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동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하부가 개구되고, 복수의 리프트라인이 상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무게중심을 잡기 위한 중심잡이라인이 설치된 사각통체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하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개폐문;으로 구성된 흙바가지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은 각각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개폐되고, 상기 중심잡이라인의 내부에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식 크레인의 유압라인과 연결되는 유압호스가 매설됨을 특징으로 한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가 제공된다.
흙바가지, 유압식 크레인, 유압실린더, 유압호스, 개폐문

Description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The soil dipper for oil pressure type crane}
도 1은 본 고안의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의 작용을 도시한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프트라인 2 : 중심잡이라인
3 : 본체 4 : 개폐문
5 : 유압실린더 6 : 유압호스
7 : 연결고리 8 : 로드
9 : 브레킷 10 : 인장기
100 : 흙바가지
본 고안은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에 담긴 흙이나 돌 등을 돌이나 흙을 배출하기 위해 하부에 설치된 개폐문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고, 본체의 중심을 잡기 위한 테크라인의 내부에 유압실린더와 연결되는 유압호스가 매설됨에 따라, 상기 유압호스를 유압식 크레인의 유압라인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동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흙바가지는 기초공사를 위한 공사현장에서 굴착한 흙이나 자갈 등을 담아 트럭에 싣거나 다른 장소로 옮기기 위한 것으로, 이의 통상적인 구조는 리프트라인이 설치된 사각통체형상의 본체의 하부에 개폐가능한 개폐문이 설치되고, 본체의 일측에 승하강시 본체의 무게중심을 잡기 위한 중심잡이라인이 설치되고, 개폐문의 일측에 개폐문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라인이 설치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리프트라인과 개폐라인을 각각 크레인의 윈치와 연결한 후 크레인을 조작하여 리프트라인과 개폐라인의 당김과 풀기를 반복함으로써 공사현장에서 굴착한 흙이나 자갈 등을 용이하게 운반트럭에 싣거나 다른 장소로 옮길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흙바가지는 본체의 승하강과 개폐문의 작동을 위해서는 반드시 두 개 이상의 윈치가 필요한 구조임에 따라, 두 개의 윈치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식 크레인에 장착 사용할 수 있었지만 하나의 윈치만이 구비된 유압식 크레인에는 장착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개폐문의 개폐를 위한 개폐라인은 리프트라인과 같이 전기식 크레인의 윈치에 의해 당겨지고 풀어지게 됨으로써 우천시 빗물로 인해 윈치의 제동크장 치에 슬립현상이 발생되어 개폐문의 동작이 안정적이지 않고 민첩하지 못하게 되어, 본체에 담긴 흙이나 자갈 등이 아래로 떨어져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공사현장에서 굴착한 흙이나 자갈을 담아 운반트럭이나 다른 장소로 옮기기 위한 흙바가지의 개폐문의 동작을 안정되게 하고, 하나의 윈치와 유압라인이 구비된 유압식 크레인에 장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폐문이 유압에 의해 작동되게 하여 유압식 크레인용 장착 사용할 수 있는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의 작용을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100)는 상하부가 개구되고, 복수의 리프트라인(1)이 상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무게중심을 잡기 위한 중심잡이라인(2)이 설치된 사각통체형상의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개구된 하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개폐문(4);으로 구성된 흙바가지(100)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4)은 각각 본체(3)의 일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유압실린더(5)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개폐되고, 상기 중심잡이라인(2)의 내부에 유압실린더(5)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식 크레인의 유압라인과 연결되는 유압호스(6)가 매설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은 리프트라인(1)을 본체(3)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고리이고, 8은 유압실린더(5)의 로드이며, 9는 로드(8)를 개폐문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레킷이고, 10은 중심잡이라인(2)을 일정한 힘으로 당기는 인장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100)는 공사현장에서 기초공사 등으로 인해 굴착한 흙이나 자갈 등을 담아 운반트럭이나 다른 장소로 옮기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이다.
특히, 본 고안은 전력과 유압을 동시에 이용하는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하나의 윈치와 유압라인을 구비한 유압식 크레인에 장착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와 함께 유압에 의해 작동됨에 따라 작동이 정확하고 민첩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의 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개폐문(4)이 각각 본체(3)의 일측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5)에 의해 작동됨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통해 두 개의 윈치로 작동되는 구조를 갖는 종래와 달리, 하나의 윈치만으로 작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압호스(6)는 유압라인과 연결하고 리프트라인(1)은 윈치와 연결하면 작동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윈치와 하나의 유압라인을 구비한 전기식 크레인보다 보급도가 휠씬 높은 유압식 크레인에 장착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개폐문(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식 크레인의 유압라인을 통한 유압실린더(5)의 작동압으로 신축되는 로드(8)에 의해 작동된다.
이에 따라 윈치에 의해 개폐문(4)이 작동되어 우천시 빗물에 의해 윈치의 제동장치에서 발생하는 슬립현상에 의해 개폐문(4)의 작동이 안정되지 못하였던 종래와 달리 개폐문(4)의 작동을 유압에 특성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공사현장에서 흙이나 자갈 등을 옮기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본체(3)에 담긴 흙이나 자갈 등이 아래로 떨어져 작업자가 다치는 등의 불미스러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유압실린더(5)에 유압을 제공하기 위해 유압식 크레인의 유압라인과 연결되는 유압호스(6)가 중심잡이라인(2)의 내부에 매설됨에 따라, 상기 중심잡이라인(2)은 인장기(10)를 통해 본체(3)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활과 유압실린더(5)에 유압을 제공하는 역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중의 물리적인 마찰이나 충격이 유압호스(6)로 가해지더라도 중심잡이라인(2)이 일차적으로 보호함으로써 유압호스(6)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압호스(6)와 중심잡이라인(2)이 따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됨에 따라 작업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되어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나의 윈치만을 필요하도록 개폐문(4)이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유압식 크레인에 장착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개폐문(4)의 작동이 신속하고 정확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전사고의 발생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하부가 개구되고, 복수의 리프트라인(1)이 상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무게중심을 잡기 위한 중심잡이라인(2)이 설치된 사각통체형상의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개구된 하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개폐문(4);으로 구성된 흙바가지(100)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4)은 각각 본체(3)의 일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유압실린더(5)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개폐되고, 상기 중심잡이라인(2)의 내부에 유압실린더(5)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식 크레인의 유압라인과 연결되는 유압호스(6)가 매설됨을 특징으로 한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
KR2020060020497U 2006-07-29 2006-07-29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 KR200429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497U KR200429090Y1 (ko) 2006-07-29 2006-07-29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497U KR200429090Y1 (ko) 2006-07-29 2006-07-29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090Y1 true KR200429090Y1 (ko) 2006-10-17

Family

ID=4177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497U KR200429090Y1 (ko) 2006-07-29 2006-07-29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09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364B1 (ko) 2009-12-28 2010-07-20 명 하 윤 굴삭기 그라브 실린더의 유압 분배용 어댑터
CN105951977A (zh) * 2016-06-21 2016-09-21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泥沙沉淀池清理设备及泥沙清理***
KR20180083166A (ko) * 2017-01-12 2018-07-20 (주)포스코켐텍 캐스터블 공급버킷 및 이를 포함하는 캐스터블 공급설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364B1 (ko) 2009-12-28 2010-07-20 명 하 윤 굴삭기 그라브 실린더의 유압 분배용 어댑터
CN105951977A (zh) * 2016-06-21 2016-09-21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泥沙沉淀池清理设备及泥沙清理***
KR20180083166A (ko) * 2017-01-12 2018-07-20 (주)포스코켐텍 캐스터블 공급버킷 및 이를 포함하는 캐스터블 공급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12742B1 (en) Device for pulling up walls or building slabs or tight deals towards boardings and for expanding excavations
WO2014205601A9 (zh) 旋挖斗钻机
CN102472035A (zh) 一次装填多个沙袋的装置和方法
KR200429090Y1 (ko)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
JP4545774B2 (ja) 地下埋設体の切断方法と引上げ方法
US7032692B2 (en) Drilling device for earth drill
KR101861688B1 (ko) 크레인 버켓 인양기
US20160244943A1 (en) Safety lifting system for a mechanical excavator
KR20090056063A (ko) 건설기계의 캐빈 보호장치
JP2015196587A (ja) クレーン機能を有する多関節フロント
KR100674120B1 (ko) 유압쇼벨의 걸이구 안전장치
GB2559811A (en) Device for an excavator
KR101988824B1 (ko) 항타기용 안전장치
JP2009002056A (ja) 既設杭撤去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205263A (ja) 掘削機の排土装置
JP2001090465A (ja) アースドリル用掘削具とアースドリル
US3143229A (en) Excavators
KR101229614B1 (ko) 토사 인양 장치
CN211816237U (zh) 嵌入式入岩中掘综合一体静力液压桩机
JP3673763B2 (ja) 移動式クレーン
NZ543546A (en) Pipe or log grapple with hydraulically extendible gripping fingers
KR20050080182A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JPS592191Y2 (ja) 地下連続壁構築用掘削装置
JPS5812935Y2 (ja) 掘削機
RU2078876C1 (ru) Рабочее оборудование экскаватора-драглай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