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490Y1 -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및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세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및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490Y1
KR200427490Y1 KR2020060012101U KR20060012101U KR200427490Y1 KR 200427490 Y1 KR200427490 Y1 KR 200427490Y1 KR 2020060012101 U KR2020060012101 U KR 2020060012101U KR 20060012101 U KR20060012101 U KR 20060012101U KR 200427490 Y1 KR200427490 Y1 KR 200427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veolar bone
bone
drilling
punch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동
Original Assignee
이경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동 filed Critical 이경동
Priority to KR2020060012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4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4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렌치, 스패너 등과 결합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힘을 천공 부재에 제공하는 너트부, 상기 헤드부의 타단의 중앙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천공 작업 시 치은 및 치조골에 삽입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에서 연장되어 치은 및 치조골을 직접 천공하는 꼬리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천공 부재를 사용할 경우 치조골의 천공작업 시 골조직이 가열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냉각수를 투입할 필요가 없고, 천공 작업 시 분쇄되어 버려지게 되는 골조직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치은을 별도로 절개하지 않음으로써 스텐트와 치은 조직 사이에 정합이 이루어짐으로서 보다 정확하게 치조골을 천공할 수 있고, 절삭되는 치조골 파편을 대부분 채집할 수 있으므로 채집된 파편을 피시술자의 치조골 주위에 간단하게 이식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확률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임플란트, 천공, 치조골, 스텐트, 드릴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및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세트 {Perforation member for perforating alveolar bone used implant operation, and set of perforation member for perforating alveolar bone used implant operation}
도 1 (a) 내지 1 (e)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 (a) 내지 2 (c)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a) 내지 3 (d)는 본 고안의 제 3 내지 제 5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 (a) 내지 4 (g)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 부재의 헤드부 및 너트부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한 도면;
도 5 (a) 내지 5 (e)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스텐트의 여러가지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 6 (a) 내지 6 (e)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제작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및
도 7 (a) 내지 7 (f)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세트 및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스텐트(stent) 및 스텐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고안이다.
임플란트(implant)란 심하게 손상된 치아를 대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보철물, 또는 치아가 빠진 부분에 특수금속(주로 타이타늄이나 타이타늄합금)으로 만들어진 인공치근을 턱뼈에 이식하여 뼈와 엉겨붙게 하여 고정시킨 후 이것을 이용하여 인공 치아를 형성함으로써 본래 자신의 치아와 같은 감각이나 씹는 기능으로 생활할 수 있게 하는 시술 방법을 통칭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틀니, 브릿지 등을 이용한 시술 방법과 비교하여, 시술이 필요한 치아 외에 주변의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고, 수명이 길며, 자연 치아에 유사한 점 등의 장점이 있어서 최근 널리 사용되는 시술방법이다.
종래에 이러한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임플란트를 시술할 환자의 치은을 절개하여 치조골을 노출시킨다. 이어서, 노출된 치조골 중 임플란트를 삽입할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위치에 드릴과 같은 천공 도구를 사용하여 치조골의 소정 위치를 천공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할 천공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형성된 천공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치은을 덮음으로써 임플란트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임플란트 시술 시 치은을 절개하여 치조골을 노출시킨 후 그 위에 직접 드릴 등을 이용하여 천공을 하는 경우, 천공 작업을 수행할 정확한 위치 및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곤란하므로 통상적으로 스텐트(stent)라고 하는 보조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스텐트의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임플란트 시술 전에 고무재질의 인상 재료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상악(上顎) 및/또는 하악(下顎)의 음형을 획득한 후 상기 음형에 석고를 부어 피시술자의 상악 및/또는 하악의 형상과 동일한 석고모형을 제작한다. 이어서, 이를 인공 교합기에 결합시켜 피시술자의 것과 거의 유사한 턱관절 및 상하악 치아를 구강 밖에서 재현한다. 이어서, 치아가 상실되어 임플란트를 시술할 위치에 투명한 재질의 가상의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이를 스텐트로 사용하였다. 이어서, 상기 스텐트 중 드릴이 삽입될 위치에 소정의 마크를 하고 스텐트의 외부에 천공할 방향을 지시하는 표시를 한 후 상기 마크와 표시를 참고로 시술자는 드릴 등의 천공 도구를 이용하여 천공작업을 수행한다.
하지만, 스텐트를 설치한 후 드릴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천공작업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먼저, 종래의 스텐트를 이용한 또는 스텐트를 이용하지 않는 모든 천공 작업은 드릴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그런데, 드릴을 사용하여 치조골을 천공하는 경 우 드릴은 분당 1000회전 정도의 고속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드릴의 고속 회전으로 인하여 열이 발생하는데, 이는 피시술자의 고통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골조직이 괴사하거나 약해지는 원인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식염수와 같은 냉각수를 뿌려주면서 작업하게 되는데, 냉각수는 시술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어 정교한 시술을 수행하는데 큰 장애의 원인이 된다. 즉, 천공이 되는 치조골 주변이 냉각수 및 드릴링에 의하여 발생하는 골 파편에 의하여 시술자의 시야가 방해를 받음으로써 최초에 시술자가 의도한 위치 및 방향으로 치조골을 천공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고속 회전하는 드릴의 경우 빠른 속도로 치조골을 천공하게 되므로 정확한 깊이와 방향으로 천공하는 것도 곤란하다. 더욱이 임플란트는 환자의 입을 벌린 상태에서 환자의 입 내부에 드릴을 삽입하고, 그 나머지 공간으로 충분한 조명 및 시술자의 시야를 확보해야 하는데, 충분한 시야 및 조명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상태에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조건을 추가하는 것은 안전한 시술에 치명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 특히,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시술자가 경험이 부족하거나, 피시술자의 치아 및 상하악 구조가 특이한 경우 상기 문제점으로 인하여 임플란트를 잘못 시술할 가능성을 크게 증가시킨다. 또한, 이러한 냉각수를 이용한 냉각 성능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시술자는 2~3초간 천공 작업을 한 후 골조직의 열기를 식히고, 다시 2~3초간 천공작업을 하는 절차를 반복하게 되는데, 이는 시술 시간을 길어지게 하여 시술자와 피시술자 모두에게 부담을 증가시킨다.
또한, 드릴을 이용한 천공 작업의 경우 드릴은 골조직을 가늘게 분쇄시키기 때문에, 특히 피시술자의 골조직이 약하거나 치조골이 부족한 경우 임플란트 시술 자체가 곤란하게 된다. 시술자는 이런 경우 피시술자의 다른 부위의 골조직 또는 인공 골조직을 임플란트를 시술할 골조직에 부착시켜서 천공작업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이와 같이 이식된 골조직이 원래의 골조직만큼 강도를 갖기도 힘들고 피시술자에게 추가의 고통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이는 시술자 및 피시술자 모두에게 부담스러운 방법이다.
또한, 종래의 스텐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 드릴 작업의 특성상 스텐트를 형성하고 환자의 치은을 절개한 후 스텐트를 장착하고 스텐트를 보조 도구로 활용하여 천공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스텐트는 치은 조직이 있는 상태에서 제작되는 반면, 실제 시술시에는 치은을 절개하여 치조골 위에 스텐트를 설치한 후 천공 작업을 수행하므로, 스텐트와 치조골 사이에 부정합이 발생한다. 또한, 드릴을 이용한 천공 작업은 드릴의 고속회전하는 특성상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진동에 의하여 치조골과 부정합되는 스텐트는 흔들림에 의하여 위치의 변동이 일어난다. 따라서 최초에 스텐트에 표시한 마크와 실제 시술해야할 방향에는 불일치가 발생하게 되어 최초 시술자가 의도한 것과 다른 위치 및 방향에서 천공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드릴을 이용한 천공 작업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고안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치조골의 천공작업 시 골조직이 가열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냉각수를 투입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시술자의 시야가 잘 확보되고, 피 시술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는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스텐트를 이용하여 치조골 천공 작업을 하는 경우 치은을 별도로 절개하지 않음으로써 스텐트와 치조골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스텐트와 치은이 직접 접촉함으로써 스텐트와 치은 조직 사이에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스텐트 및 상기 스텐트를 활용할 수 있는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및 상기 스텐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비록 시술자가 숙련자인 경우는 물론이고 비숙련자일 경우, 피시술자의 상하악의 형상이 통상적인 경우는 물론이고 그 형상이 특이하여 천공이 어려운 경우 등 시술자와 피시술자를 둘러싼 임플란트 시술을 곤란하게 하는 여러 상황에도 불구하고, 임플란트를 삽입할 홀의 위치, 방향 및 깊이를 정밀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치조골 천공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치조골의 천공 작업 시 분쇄되어 버려지게 되는 골조직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써 비록 골조직이 약하거나 임플란트에 크게 적합하지 않은 치조골을 갖는 경우에도 임플란트 시술을 받을 수 있는 확률을 증가시키는 치조골 천공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렌치, 스패너 등과 결합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힘을 천공 부재에 제공하는 너트부, 상기 헤드부의 타 단의 중앙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천공 작업 시 치은 및 치조골에 삽입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에서 연장되어 치은 및 치조골을 직접 천공하는 꼬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통부 및 상기 꼬리부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통부의 외면에는 콤팩트 본(compact bone) 절삭용 절삭장치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꼬리부는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꼬리부의 단부를 향하여 테이퍼(taper)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꼬리부는 반구형의 절삭장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통부 및 상기 꼬리부의 외면에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너트부는 상기 헤드부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고 정다면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너트부의 측면 중앙에는 환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고무링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너트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헤드부 및 너트부는 정다면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너트부는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암너트부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암너트부는 정다면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헤드부는 두 개의 판재 형상의 헤드 부분이 서도 대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는 상기 헤드 부분 사이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너트부는 정다면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치은 제거 부재는 헤드부, 헤드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너트부, 헤드부의 타단의 중앙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치은 제거를 위하여 치조골 내에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는 몸통부 및 헤드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치은 절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치은 절개부는 상기 몸통부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스텐트는 투명한 재질의 가상의 치아 모형인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 내측에서 그 상단 및 하단이 커버부 내측의 상단 및 하단과 접하게 형성되고,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천공 부재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의 내경은 상기 천공 부재의 몸통부의 폭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텐트에서 상기 관통공의 내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텐트에서 상기 천공 부재 유도부는 상기 커버부 내측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세트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렌치, 스패너 등과 결합되어 외부에 서 전달되는 힘을 천공 부재에 제공하는 너트부, 상기 헤드부의 타단의 중앙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천공 작업 시 치은 및 치조골에 삽입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에서 연장되어 치은 및 치조골을 직접 천공하는 꼬리부를 포함하는 천공 부재를 복수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천공 부재 각각은 상기 몸통부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공 부재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천공 부재는 몸통부의 외면에 콤팩트 본(compact bone) 절삭용 절삭장치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공 부재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천공 부재는 상기 꼬리부는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꼬리부의 단부를 향하여 테이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퍼 되지 않는 꼬리부는 반구형의 절삭장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공 부재 세트는 상기 치은 제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공 부재 세트는 상기 스텐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 구조의 천공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드릴을 이용한 치조골 천공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즉, 본 고안자는 종래의 드릴링은 천공 도구인 드릴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천공되는 치조골을 분쇄하여 삽입되므로 조직의 변형, 냉각수로 인한 시야 장애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러한 드릴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체재로서 새로운 구조의 천공 부재를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체의 골조직은 표면부터 2 내지 3mm 깊이로 형성되는 단단한 치밀질 부분과 치밀질 부분 내부의 해면질 부분으로 구성되며, 단단한 치밀질이라고 하더라도 통상의 목재와 강도가 유사하고, 해면질 부분은 치밀질에 비하여 강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고속회전하는 드릴을 이용하여 골조직을 분쇄하지 않고도 원하는 수준의 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드릴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치조골을 분쇄함으로써 치조골이 분쇄되어 제거된 부분에 생성된 홀에 임플란트를 형성하였다. 반면, 본 고안은 소정의 천공 부재가 치조골을 제거하는 대신 공동이 형성될 위치의 골조직을 측면 또는 내측으로 밀어넣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고속회전으로 인하여 조직을 변형시키거나 시술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등의 단점을 모두 해결하였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천공 부재는 분쇄되어 버려지는 골조직이 없고 소정의 변형을 통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절삭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천공 부재를 이용하여 버려지는 치조골이 없도록 시술하거나, 치조골 일부를 절삭하여 특정 부위에 이식하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서, 특히 치조골 조직이 약하거나 형상이 특이하여 드릴을 이용한 임플란트가 곤란한 경우에도 성공적인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시야 확보가 용이하고, 고속회전 드릴에 비하여 천공되는 위치, 방향 깊이를 더욱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특히 시술자가 비숙련자인 경우에도 양호한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를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1(a) 내지 1(c)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제 1 내지 제 5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110 내지 150)를 도시한다. 도 1(a)에 도시된 제 1 천공 부재(110)는 헤드부(111)와, 헤드부(111)의 일단에 형성되고 렌치, 스패너 등과 결합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힘을 천공 부재(110)에 제공하는 너트부(112), 헤드부(111)의 타단의 중앙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천공 작업 시 치은 및 치조골을 통과하는 몸통부(113) 및 몸통부에서 연장되어 치은 및 치조골을 직접 천공하는 꼬리부(114)로 구성되어,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작업에서 최초 천공에 사용된다. 또한, 몸통부(113) 및 꼬리부(114)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후 너트부(112)에 렌치 등을 결합한 후 렌치를 회전시켜 천공 부재(110)를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산이 치은 또는 치조골 내부로 점차 삽입되어, 치조골 내부에 천공홀을 형성한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제 2 천공 부재(120)는 가이드용 천공 부재로서, 천공 부재(120)는 제 1 천공 부재(110)와 유사하게 헤드부(121), 너트부(122), 몸통부(123) 및 꼬리부(124)로 구성되어 치조골 천공 작업에서 최초 천공 작업 후, 최초 천공 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치은 및 치조골의 천공홀에 삽입된다. 천공 부재(120)는 이 후 X-선 촬영 등에 의하여 임플란트 작업 시 최초 천공의 방향 및 위치가 정확한 지, 어느 정도의 깊이로 천공할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또한, 도 1(c) 내지 도 1(e)에 도시된 제 3 내지 제 5 천공 부재는 천공 확장용 천공 부재로서, 천공 부재(130, 140, 150)는 각각 헤드부(131, 141, 151), 너트부(132, 142, 152), 몸통부(133, 143, 153) 및 꼬리부(134, 144, 154)로 구성되며, 천공 부 재(130), 천공 부재(140) 및 천공 부재(150)의 순서로 천공홀에 삽입된 후 제거된다. 또한, 제 2 천공 부재(120) 내지 제 5 천공 부재(150)의 외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후 렌치 등을 이용하여 렌치를 회전시켜 천공 부재(110 내지 150)를 회전시켜서, 치조골 내부로 삽입하고 이를 제거하여 치조골 내부에 천공홀을 형성시킨다.
한편, 천공 부재(110, 130 내지 150)에서 몸통부의 직경은 제 1 천공 부재(110)에서 제 3 내지 제 5 천공 부재(130 내지 150)로 갈수록 점차로 증가하게 구성하여, 제 1 및 제 3 내지 제 5 천공 부재를 순차적으로 치조골에 삽입함에 따라 치조골에 형성되는 천공의 직경을 점차로 증가시킨다. 또한, 천공 부재(110)는 뒤에서 설명할 스텐트(510)와 결합되어 사용되므로 스텐트(510)와 결합되지 않고 독립하여 사용되는 천공 부재(120 내지 150)의 것보다 긴 몸통부(113) 및 꼬리부(114)를 갖는다. 또한, 시술자가 치조골이 천공되는 깊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하기 위하여, 상기 몸통부 및 꼬리부의 외면에는 꼬리부의 최하단을 기준으로 눈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천공이 형성된 치조골에서 홀의 직경을 넓히기 위하여 3개의 천공 부재(제 3 내지 제 5 천공 부재)를 사용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천공 부재의 갯수는 천공될 홀의 직경 및 피시술자의 골조직 상태 등에 따라서 충분히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천공 부재(120)에 의한 X-선 촬영 절차는 생략한 채 나머지 천공 부재만으로 치조골의 천공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d) 내지 1(e)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먼저, 천공 부재(160)는 천공 부재(110)와 유사하게 헤드부(161), 너트부(162), 몸통부(163) 및 꼬리부(164)로 구성되고, 꼬리부(164)는 십자형의 절삭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렌치 등을 이용하여 천공 부재(160)를 회전시킬 경우 꼬리부(164)가 치조골을 절삭함으로써 더욱 용이한 천공 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천공 부재(170, 180 및 190)도 각각 헤드부(171, 181, 191), 너트부(172, 182, 192), 몸통부(173, 183, 193) 및 꼬리부(174, 184, 194)로 구성되고, 꼬리부(174, 184, 194)에 십자형의 절삭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렌치 등을 이용하여 천공 부재(170, 180, 190)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꼬리부가 치조골을 절삭함으로써 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a) 내지 2(c)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제 6 내지 제 10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210 내지 250)를 도시한다. 또한, 제 6 내지 제 10 천공 부재는 그 몸통부(213, 223, 233, 243, 253) 및 꼬리부(214, 224, 234, 244, 254)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면 각각 제 1 내지 제 5 천공 부재의 구성 및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제 6 천공 부재(210) 내지 제 10 천공 부재(250)도 제 1 내지 제 5 천공 부재(150)와 유사하게 각각 헤드부(211, 221, 231, 241, 251)와, 너트부(212, 222, 232, 242, 252), 몸통부(213, 223, 233, 243, 253) 및 꼬리부(214, 224, 234, 244, 254)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천공 부재는 렌치 등에 의한 회전이 아닌 외 부의 망치 등에 의한 타격에 의하여 치조골 내로 삽입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 2 실시예는 천공이 형성된 치조골에서 홀의 직경을 넓히기 위하여 3개의 천공 부재(제 8 내지 제 10 천공 부재)를 사용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천공 부재의 갯수는 천공될 홀의 직경 및 피시술자의 골조직 상태 등에 따라서 충분히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7 천공 부재는 생략한 채 나머지 천공 부재만으로 치조골의 천공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천공 부재와 제 2 실시예에 따른 천공 부재를 적절히 조합하여 치조골을 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치조골의 최초 천공 및 X-선 촬영용의 천공 부재로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천공 부재(210, 220)를 사용하고, 천공된 홀을 확장하기 위한 천공 부재로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천공 부재(130 내지 150)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치조골의 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본 절삭용 천공 부재(310)를 도시한다. 천공 부재(310)는 헤드부(311)와, 헤드부(311)의 일단에 형성되고 렌치, 스패너 등과 결합되거나, 망치 등의 타격 수단과 결합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힘을 천공 부재(310)에 제공하는 너트부(312), 헤드부(311)의 타단의 중앙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천공 작업 시 치은 및 치조골을 통과하는 몸통부(313) 및 몸통부에서 연장되는 꼬리부(314), 및 몸통부(313)의 외면에 형성되고, 날카로운 칼날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절삭부(315)를 포함한다. 또한, 꼬리부(314)는 제 1 천공 부재(110) 또는 제 6 천공 부재(210) 등에 의하여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봉형상의 막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치조골을 포함한 모든 골조직은 크게 표면부터 2 내지 3mm 깊이로 형성되는 단단한 치밀질 부분(콤팩트 본)과 상기 콤팩트 본 내부의 해면질 부분(스폰지 본)으로 구성되는데, 콤팩트 본은 스폰지 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조직이 치밀하고 강도가 강하므로 골조직 중 콤팩트 본 부분을 천공하는 데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뒤에서 설명하듯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천공 부재(310)는 상기 콤팩트 본을 절삭하여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치조골의 천공 시 제 1 실시예의 천공 부재(110) 또는 천공 부재(120), 또는 제 2 실시예의 천공 부재(210) 또는 천공 부재(220)에 의한 치조골 천공 후에 사용되어, 치조골 중 콤팩트 본 부분을 절삭하게 된다. 한편, 절삭부(315)를 포함한 몸통부(313)의 직경은 제 5 천공 부재(150) 또는 제 10 천공 부재(250)의 몸통부의 직경, 즉, 임플란트를 치조골 내부에 장착할 때 요구되는 치조골에 형성되는 홀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천공 부재(310)로 치조골 중 콤팩트 본을 사전에 절삭함으로써 이 후 제 3 내지 제 5 천공 부재 또는 제 8 내지 제 10 천공 부재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 3 실시예에 따른 천공 부재(310)를 이용하여 치조골을 절삭하는 경우의 다른 장점은 천공 부재(310)를 이용하여 콤팩트 본을 절삭하게 되면 절삭된 치조골 파편을 모두 보관한 후 적절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임플란트 시술 시 치조골이 충분히 크고 골조직도 치밀한 경우는 치조골 천 공만으로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지만 치조골의 크기가 작거나 골조직이 치밀하지 못하여 치조골을 천공할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거나 남은 골조직 만으로는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임플란트 시술을 포기하거나, 천공되는 치조골 주변에 인공뼈 또는 피시술자의 다른 골조직을 이식한 후 임플란트를 시술하게 되는데 이러한 골조직 이식에 상기 확보된 파편을 천공되는 치조골 주위에 덧댐으로써 용이하게 골조직의 이식작업을 완성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드릴을 이용한 치조골 천공의 경우 드릴의 고속 회전에 의하여 치조골은 매우 작은 분말 구조로 분쇄되므로 이들 조직을 채집하는 것도 곤란하고 채집한 후에도 이식에 활용하기가 곤란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천공 부재(310)를 이용할 경우 이러한 종래의 드릴을 이용한 천공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b)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천공 부재(320)를 도시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천공 부재(320)는 헤드부(321)와, 헤드부(321)의 일단에 형성되고 렌치, 스패너 등과 결합되거나, 망치 등의 타격 수단과 결합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힘을 천공 부재(320)에 제공하는 너트부(322), 헤드부(321)의 타단의 중앙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천공 작업 시 치은 및 치조골을 통과하는 몸통부(323) 및 몸통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천공되어 홀이 형성된 치조골의 홀 하단을 확장하는 절삭부(324)를 포함한다. 뒤에서 설명하듯이, 상기 천공 부재(311 내지 315) 또는 천공 부재(321 내지 325)에 의하여 치조골을 천공하여 형성된 홀은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taper)되는 꼬리부의 구조상 하단으로 갈수록 끝이 좁아지는데, 절삭부(324)는 홀의 상부와 하부의 직경이 일치되도록 홀의 하부의 직경을 확장시 켜서, 임플란트가 시술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홀의 하단부를 둥글게 절삭한다.
다음으로, 도 3(c)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천공 부재(330)를 도시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천공 부재(320)는 헤드부(331)와, 헤드부(331)의 일단에 형성되고 렌치, 스패너 등과 결합되거나, 망치 등의 타격 수단과 결합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힘을 천공 부재(330)에 제공하는 너트부(332), 헤드부(331)의 타단의 중앙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천공 작업 시 치은 및 치조골을 통과하는 몸통부(323)로 구성되고, 꼬리부 또는 절삭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천공 부재(330)는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특히 상악(上顎)을 천공하는 경우 골조직을 치밀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골파편을 천공 내부로 삽입하여 천공된 홀의 상단에 접합하는 경우(또는 하악(下顎)의 천공 시 홀의 하단에 골파편을 접합하는 경우), 골파편을 상악 또는 하악에 접합시키는데 사용된다.
다음으로 도 3(d)는 본 고안에 따른 치은 제거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치은 제거 부재(350)는 헤드부(351)와, 헤드부(351)의 일단에 형성되는 너트부(352), 헤드부(351)의 타단의 중앙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치은 제거를 위하여 치조골 내에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는 몸통부(353) 및 헤드부(351)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치은 절개부(354)를 포함한다. 또한, 몸통부(353)가 천공홀에 삽입되는 경우 치은 절개부(354)의 일단이 치은을 관통하여 치조골에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치은 절개부(354)는 헤드부(351)와 탈부착이 가능하고, 헤드부(351)에 부착되어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치은 제거 부재(350)는 예를 들면 도 1(a)에 의하여 치조골을 천공하 고, 가이드용 천공 부재(120)를 이용하여 X-선 찰영을 종료한 후, 도 3(a) 또는 도 1(c)에 도시된 천공 부재를 사용하여 치조골을 천공하기 전에 사용되어, 피시술자의 치은을 미리 제거함으로써 도 3(a) 또는 도 1(c)를 이용한 치조골 천공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 4(a) 내지 4(g)는 본 고안에 따른 천공 부재의 헤드부 및 너트부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에서 보듯이, 본 고안에 따른 천공 부재는 원통형의 헤드부(411)가 형성되고, 그 상단에 직육면체 형상의 너트부(412)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천공 부재를 이용할 경우에, 나사산이 형성된 경우에는, 너트부의 외경과 일치하는 크기를 갖는 마우스를 갖는 렌치를 이용하여 너트부(412)와 렌치의 마우스와 결합시킨 후 렌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너트를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천공 부재가 치조골 내부로 삽입되게 한다.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렌치 마우스를 너트부와 결합시키고 망치로 렌치의 타단부에 충격을 가하여 그 힘이 너트부에 전달되어 천공 부재를 치조골 내부로 삽입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렌치를 이용하였지만, 스패너 등 통상적으로 못 또는 나사못을 삽입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천공 부재를 이용하여 치조골을 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b) 내지 도 4(c)는 헤드부와 너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의 천공 부재를 도시한다. 이 경우 렌치 등은 헤드부(420, 430)에 직접 결합되고 힘을 전달하게 된다. 도 4(d)는 서로 대향하게 형성된 두 개의 헤드부(441 및 442) 사이에 너 트부(423)가 삽입된 구조의 천공 부재를 도시한다. 이 경우 렌치는 헤드부(441 및 442)의 사이에 삽입되므로 천공 시 렌치가 너트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천공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도 4(e) 및 도 4(f)는 또 다른 헤드 구조를 갖는 천공 부재를 도시하는데, 숫너트부가 형성된 도 4(a) 내지 도 4(d)와 달리 헤드부(450 및 460)의 내부에 8각형 암너트부가 형성되고, 렌치는 상기 암너트부에 삽입된 후 천공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도 4(e)의 암너트부는 상단과 하단의 직경이 일치하는 구성을 갖고, 도 4(f)의 암너트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진행할 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암너트부는 렌치 등의 마우스가 천공 부재로 삽입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천공 부재가 렌치 마우스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에 비하여 렌치가 너트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g)는 또 다른 구조의 천공 부재(470)를 도시하는데, 헤드부(471)의 상단에 직육면체 형상의 너트부(472)가 형성되며, 특히 상기 너트부의 측면 중앙에는 원통형인 띠모양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고무링(473)이 장착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렌치 등을 너트부(472)에 장착하여 천공 부재(470)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고무링(473)의 하단에 렌치 마우스를 위치시켜서 렌치의 회전 시 렌치와 천공 부재(47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단면이 사각형 또는 팔각형인 너트부를 예시하고 있으나,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렌치 등과 너트부가 잘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너트부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몸통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만 개시하고 있지만, 천공 부재를 삽입하는 방법에 따라서 나사산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5(e)는 다양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텐트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스텐트(510)는 도 5(a)에서 보듯이, 임플란트를 시술할 위치에 형성되고 투명한 재질의 가상의 치아 모형인 커버부(511), 커버부 내측에서 그 상단 및 하단이 커버부 내측의 상단 및 하단과 접하게 형성되고, 대략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천공 부재 유도부(512)로 구성된다. 또한, 도 5(b)에서 보듯이 제 2 스텐트(520)는 커버부(521) 및 천공 부재 유도부(522)를 포함하고, 특히, 관통공의 외면에 암나사부(523)가 형성된다. 또한, 도 5(c)에서 보듯이, 제 3 스텐트는 커버부(531), 천공 부재 유도부(532) 및 암나사부(533)가 형성되고, 특히 관통공이 천공 부재 유도부(532)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도 5(d)에서 보듯이, 제 4 스텐트는 커버부(541), 천공 부재 유도부(542) 및 암나사부(543)가 형성되고, 특히 유도부(542)가 커버부(541)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5(c) 및 도 5(d)에 따른 스텐트는 특히 치조골을 천공 치조골이 설치될 인공의 치아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지 않고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또한, 도 5(e)에서 보듯이, 제 4 스텐트(550)는 커버부(551), 커버부 내측에서 그 상단 및 하단이 커버부 내측의 상단 및 하단과 접하게 형성되고, 대략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두 개의 천공 부재 유도부(552, 553)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스텐트는 특히 피시술자의 치아가 두 개 이상 연속 으로 상실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형성할 경우 적절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스텐트(550)의 커버부(551) 외면에는 결합제(554)가 도포되어 스텐트와 피시술자의 치아의 결합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도부의 갯수는 반드시 2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더 많이 장착될 수 있으며, 제 1 내지 제 4 스텐트의 특징을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임플란트를 시술할 자리에 스텐트(510 내지 550)를 장착한 후 스텐트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천공 부재(110, 210)를 삽입하고, 상기 관통공의 방향에 따라 천공 부재를 치조골에 삽입시킨 후 천공 부재를 제거하여 최초 천공(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스텐트 내부에 형성되는 유도부 및 관통공의 위치 및 방향은 시술자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시술자는 유도부가 커버부 내에 결합되었을 때 치조골에서 천공할 위치(홀을 생성할 위치)를 결정한 후 홀의 가상의 연장선과 스텐트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관통공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는 사전에 다양한 직경과 방향을 갖는 관통공이 형성된 유도부를 다수 제작하고, 피시술자의 치아구조에 맞게 커버부를 형성한 후, 상기 커버부의 형상에 적합하고, 유도부에 장착된 후 관통공의 위치 및 방향이 치조골에 형성될 홀의 연장선과 일치하는 유도부를 선택하여 커버부와 결합하여 시술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제 1 스텐트(510)는 제 1 천공 부재(110)와 결합되고, 제 2 스텐트(520)는 제 2 천공 부재(210)와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 반대도 성립가능하며, 특히 제 1 스텐트에 제 1 천공 부재를 삽입하는 경우는 제 1 스텐트의 관통공의 직경을 제 1 천공 부재의 몸통부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천공 부재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 중 유도부의 관통홀과 연결되는 부분은 마찬가지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복수의 스텐트 중 도 5(a)에 도시된 스텐트(510)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도 6(a) 내지 6(e)를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고무재질의 인상 재료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상악(上顎) 및/또는 하악(下顎)의 음형을 획득하고, 상기 음형에 석고를 부어 피시술자의 상악 및/또는 하악의 형상과 동일한 석고모형을 제작한다. 이어서, 이를 인공 교합기에 결합시켜 피시술자의 것과 거의 유사한 턱관절(치조골) 및 상하악 치아의 모형(610)을 형성한다. 모형(610)은 플라스틱 수지 등으로 구성된 턱관절부(611)와 인공 치아부(613)를 포함하고, 특히 본 실시예는 턱관절부(611) 중 임플란트가 시술되는 위치의 턱관절부(612)는 투명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투명하게 형성한다. 이어서, 도 6(b)에서 보듯이, 드릴(D)과 같은 소정의 천공 도구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치조골에 직접 천공하는 것과 같은 위치, 방향 및 깊이로 턱관절부(612)의 소정의 지점을 천공하여 홀을 형성한다. 즉, 시술자는 모형(610)에 형성된 홀의 위치 및 형상 등과 실제 피시술자의 X-선 사진의 치조골 구조를 비교하여 모형(610)을 천공한 방식으로 실제 피시술자의 치조골을 천공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다른 방식으로 천공한다면 다시 모형을 제작, 천공 형성 및 비교하는 절차를 반복하여 피시술자의 치조골을 어떤 형상 등으로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정확하게 결정한 후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이어서, 도 6(c)에서 보듯이 중앙부에 홀이 형성된 인공 치근(620)을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턱관절부(612) 내에 삽입한다. 상기 삽입은 인공 치근(620)에 형성된 홀과 턱관절부(612)에 형성된 홀의 위치 및 방향이 일치되게 이루어진다. 인공 치근(620)을 턱관절부(612) 내에 완전히 삽입한 후, 천공 부재 유도부(512)를 턱관절부(612) 및 인공치근(620) 위에 장착한다. 또한, 유도부(512)는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유도부(512)의 관통공의 하단과 인공 치근(620)의 홀의 상단은 일치하게 배치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관통공과 홀의 직경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6(d)에서 보듯이, 유도부(512)와 인공 치근(620)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 및 홀에 긴 나사와 같은 장치를 삽입하여 유도부(512)를 인공 치근(620)에 임시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유도부(512)의 외면에 액체인 플라스틱 수지 등을 도포하고 이를 경화시켜 커버부(511)를 형성한다. 이어서, 유도부(512)와 인공 치근(620)을 임시로 고정한 장치를 제거하고, 유도부(512)가 부착된 커버부(511)를 모형(610)에서 제거함으로써 도 5(a)에 도시된 스텐트(510)는 완성된다.
본 실시예는 스텐트(510)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지만, 피시술자의 치조골 및 치아의 모양 등에 따라서 스텐트, 특히 천공 부재 유도부와 관통공의 모양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인공 치근의 모양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다양한 방법의 스텐트 제작 방법 중 일례에 불과하고 다른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 및 기능을 갖는 스텐트를 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앞에서 설명한 천공 부재 및 스텐트를 이용한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한 천공 작업 절차를 도 7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에서 도 1 내지 도 6에 사용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의 제 1 단계는, 도 7(a)에서 보듯이, 임플란트를 식립할 위치에 스텐트(510)를 설치하고, 스텐트(510)의 관통공 내부로 천공 부재(110)를 투입한 후 렌치 등을 이용하여 치은(G), 콤팩트 본(C) 및 스펀지 본(S)을 차례대로 천공하여 최초 홀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스텐트(510)는 먼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커버부(511)를 형성한다. 이어서, 사전에 촬영한 X-선을 활용하여 치조골 내부에 형성될 홀의 위치, 방향 및 깊이를 결정한 후 상기 홀의 연장선과 스텐트 커버부(5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천공 부재 유도부(512)의 관통홀이 일치하도록 스텐트 내부에 천공 부재 유도부(512)를 장착한다. 천공 부재 유도부는 X-선 사진을 활용하여 수작업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사전에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유도부를 다수 제작한 후 적합한 유도부를 선택할 수도 있다. 선택된 유도부(512)를 커버부(511)에 설치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스텐트(510)가 완성된다.
이어서, 스텐트(510)를 임플란트를 시술할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천공 부재 유도부(512)에 형성된 관통공 내부에 천공 부재(110)를 삽입한다. 이어서, 천공 부재(110)의 너트부(112)와 렌치를 결합한 후 렌치를 이용하여 천공 부재(110) 를 나사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천공 부재(110)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치은(G) 및 치조골(C 및 S)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삽입은 사전에 피시술자에 대한 X-선 촬영 등을 통하여 사전에 선택된 깊이만큼 이루어지며, 정확한 깊이만큼 삽입하기 위하여 천공 부재(110)의 외면에 눈금이 표시된 것을 이용하거나, 전체를 삽입했을 때의 삽입된 깊이가 사전에 선택된 깊이와 일치하는 길이를 갖는 천공 부재를 선택하여 보다 정확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최초 천공을 위한 천공 부재(110)의 직경은 약 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천공 부재(110) 및 스텐트(510)를 제거하여 치은(G) 및 치조골(C 및 S)에 대한 제 1 단계의 천공 작업이 완료된다.
이어서, 도 7(b)에서 보듯이, 제 1 단계의 천공 작업에 의하여 형성된 홀에 안내용 천공 부재(120)를 삽입한다. 상기 천공 부재(120)는 천공 부재(110)와 동일하거나 약간 직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단계에서 천공된 홀의 깊이만큼 삽입된다. 삽입 후, 삽입 부위에 대한 X-선 촬영을 수행하여 천공된 위치, 방향 및 깊이가 정확한 지 검토한 후 정상적으로 천공된 경우 다음의 제 3 단계를 진행하고, 수정이 필요한 경우 앞의 제 1 단계를 다시 진행하여 적절한 수정을 한 후 다시 촬영하는 절차를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된 천공 부재(120)를 제거함으로써 제 2 단계는 완료된다.
이어서, 도 7(c)에서 보듯이, 제 3 단계에서 치은 절개 부재(350)를 이용하여 치조골이 천공되는 부분의 치은을 제거한다. 즉, 치은 절개 부재(350)의 헤드부(351)에 치은 절개부(354)를 부착한 후, 몸통부(353)를 천공홀에 삽입하다. 이 어서, 치은 절개부(354)의 일단이 치은을 관통하여 치조골에 접할 수 있도록 치은 절개부(354)의 위치를 형성한 후 렌치 등을 이용하여 치은 절개 부재(350)를 회전시켜서 천공홀이 형성될 부분의 치은을 제거한다. 한편, 치은 절개 부재에 의하여 절개되는 치은의 위치는 이 후의 제 4 단계 내지 제 6 단계에 의하여 천공되는 치조골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치은을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한 치조골의 천공홀의 직경이 3mm인 경우 제거되는 치은의 직경도 3mm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치은 절개부(354)는 치은 절개 부재(350)와 탈부착이 가능하고, 높이 조절도 자유로운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연히 치은 절개 부재에 고정된 치은 절개부를 사용할 수도 있고, 높이 조절도 불가능한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7(d)에서 보듯이, 제 4 단계는 천공 부재(310)를 제 1 및 제 2 단계에 의하여 형성된 홀에 삽입한다. 천공 부재(310)의 절삭부(315)의 폭은 임플란트를 치조골 내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치조골에 형성되는 홀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천공 부재(310)는 렌치 등의 보조구를 이용하여 치조골(C 및 S) 내부로 삽입되는데, 특히, 콤팩트 본(C)에서 제 1 단계에 의하여 형성된 홀 주변의 골조직을 절삭부(315)가 절삭하면서 삽입된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후의 임플란트 작업 시 보강 작업 등에 사용되도록 절삭된 골조직은 별도로 채집되어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된 천공 부재(310)를 제거함으로써 제 4 단계는 완료된다.
이어서, 도 7(e)에서 보듯이, 제 5 단계는 먼저 천공 부재(130, 140 및 150) 를 각각 앞 단계에 의하여 형성된 홀에 삽입하고 제거하는 절차를 반복한다. 이 경우 각각의 천공 부재의 직경을 앞에서 사용된 천공 부재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각각의 천공 부재(130, 140 및 150)를 삽입함으로써 치조골 내부에 형성되는 홀의 크기를 조금씩 증가시킨다. 또한, 천공 부재(150)의 직경은 임플란트를 치조골 내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치조골에 형성되는 홀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제 4단계의 천공 부재의 갯수를 3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제 4 단계에서 사용되는 천공 부재의 갯수는 1개 이상으로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다. 이 경우 , 각 천공 부재는 약 1mm 단위로 직경이 증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7(f)에서 보듯이, 제 6 단계에서 천공 부재(320)를 삽입한다. 즉, 제 5 단계에서 사용된 천공 부재는 모두 꼬리부가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되므로 치조골에 형성된 홀의 단부는 임플란트가 시술되기에 너무 좁으므로, 홀의 단부의 직경도 임플란트가 시술되기에 충분하도록 넓히기 위하여 천공 부재(320)를 삽입하여, 천공 부재(320)의 단부에 형성된 절삭부(324)에 의하여 골조직을 절삭한다. 이어서, 천공 부재(320)을 제거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 절차는 완료된다.
한편, 상기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한 천공 작업 절차에서 제 2, 3 단계 및 제 5 단계의 천공 작업은 피시술자의 상태에 따라서 생략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천공 부재(110 내지 150)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천공 부재(210 내지 250)도 전체로써 또는 혼합 하여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및 2 단계에 의한 천공 작업은 제 1 실시예의 천공 부재를 이용하고, 이 후 단계의 천공은 제 2 실시예의 장치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피시술자의 상태에 따라서 각 단계에서 사용되는 천공 부재는 다양하게 선택가능하다. 또한, 스텐트의 형상 및 천공 부재의 헤드부 및 너트부의 형상도 각각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것을 피시술자의 상태, 시술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가능하다.
이상으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오직 뒤에서 설명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고안에 따른 천공 부재를 사용할 경우 치조골의 천공작업 시 골조직이 가열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냉각수를 투입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시술자의 시야가 잘 확보되고, 피시술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다. 치조골의 천공 작업 시 분쇄되어 버려지게 되는 골조직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써 비록 골조직이 약하거나 임플란트에 크게 적합하지 않은 치조골을 갖는 경우에도 임플란트 시술을 받을 수 있는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텐트를 이용하여 치조골 천공 작업을 하는 경우 치은을 별도로 절개하지 않음으로써 스텐트와 치조골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 고, 스텐트와 치은이 직접 접촉함으로서 스텐트와 치은 조직 사이에 정합이 이루어짐으로서 보다 정확하게 치조골을 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천공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절삭된 치조골 파편을 대부분 채집할 수 있으므로 채집된 파편을 피시술자의 치조골 주위에 간단하게 이식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확률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분쇄되어 버려지는 골조직이 없고 소정의 변형을 통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절삭할 수도 있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천공 부재를 이용하여, 버려지는 치조골이 없도록 시술하거나, 치조골 일부를 절삭하여 특정 부위에 이식하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서, 특히 치조골 조직이 약하거나 형상이 특이하여 드릴을 이용한 임플란트가 곤란한 경우에도 성공적인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시야 확보가 용이하고, 고속회전 드릴에 비하여 천공되는 위치, 방향 깊이를 더욱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특히 시술자가 비숙련자인 경우에도 양호한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하다.

Claims (20)

  1.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로서: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힘을 천공 부재에 제공하는 너트부;
    상기 헤드부의 타단의 중앙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천공 작업 시 치은 및 치조골에 삽입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에서 연장되어 치은 및 치조골을 직접 천공하는 꼬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및 상기 꼬리부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외면에는 콤팩트 본 절삭용 절삭장치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부재.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꼬리부는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꼬리부의 단부를 향하여 테이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부재.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의 측면 중앙에는 환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고무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부재.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꼬리부는 반구형의 절삭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부재.
  7.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및 상기 꼬리부의 외면에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부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는 상기 헤드부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부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너트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부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두 개의 판재 형상의 헤드 부분이 서도 대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는 상기 헤드 부분 사이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부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는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암너트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부재.
  12. 제 8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는 다각형의 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부재.
  13. 헤드부;
    헤드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너트부;
    헤드부의 타단의 중앙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치은 제거를 위하여 치조골 내에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는 몸통부; 및
    헤드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치은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린트 시술을 위한 천공 부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치은 절개부는 상기 몸통부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부재.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세트로서:
    제 1항 또는 2항에 따른 천공 부재를 복수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천공 부재 각각은 상기 천공 부재의 몸통부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부재 세트.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부재 세트는 제 13항에 따른 치은 제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부재 세트.
  20. 제 18항 또는 19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부재 세트는 제 15항에 따른 스텐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부재 세트.
KR2020060012101U 2006-05-04 2006-05-04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및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세트 KR2004274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101U KR200427490Y1 (ko) 2006-05-04 2006-05-04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및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101U KR200427490Y1 (ko) 2006-05-04 2006-05-04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및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세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609A Division KR100801510B1 (ko) 2006-05-04 2006-05-04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및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490Y1 true KR200427490Y1 (ko) 2006-09-27

Family

ID=4177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101U KR200427490Y1 (ko) 2006-05-04 2006-05-04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및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4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595B1 (ko) 2007-01-11 2008-03-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595B1 (ko) 2007-01-11 2008-03-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269B1 (ko) 임플란트용 천공 드릴
CA2643609C (en) Reamer for operating implant
JP5162663B2 (ja) 上顎洞膜挙上用ドリル
JP4695198B2 (ja) 上顎洞挙上術のためのインプラントドリル
EP2131757B1 (en) Maxillary bone cutting system, k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884211B1 (ko) 상악동 거상 시술용 피조톰
US7611355B2 (en) Manual driver for implant drills and method of dental implantation
KR100829243B1 (ko) 잇몸 펀칭장치
KR100801510B1 (ko)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및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세트
CN108712889B (zh) 牙用整平钻头
TWI444166B (zh) 用以頂起鼻竇之鑽孔工具
KR10098171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810972B1 (ko) 치과용 드릴
KR200427490Y1 (ko)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및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세트
JP2021513439A (ja) 口腔外科方法及び装置
KR101181923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KR101170895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윈도우 오프너
JP6707734B2 (ja) インプラント用骨平面形成具
JP3793603B2 (ja) インプラント用孔穿孔装置
KR101440213B1 (ko) 임플란트용 시술기구
JP2015036006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のドリリングシステム
KR102505011B1 (ko) 잇몸비절개수술용 공구세트
KR101455067B1 (ko) 임플란트 시술유도 홀 공정용 부재
KR100936678B1 (ko)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
WO2015087321A1 (en) Sinus lift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