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923B1 -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 Google Patents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923B1
KR101181923B1 KR1020100076394A KR20100076394A KR101181923B1 KR 101181923 B1 KR101181923 B1 KR 101181923B1 KR 1020100076394 A KR1020100076394 A KR 1020100076394A KR 20100076394 A KR20100076394 A KR 20100076394A KR 101181923 B1 KR101181923 B1 KR 101181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maxillary sinus
drill
drill rod
alveolar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4374A (ko
Inventor
이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1020100076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9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14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04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2Drill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44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using fluid other than turbine drive fluid
    • A61B2017/1651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using fluid other than turbine drive fluid for coo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은, 드릴로드; 및 상악동 천공 시 치조골을 절삭하는 커터와, 커터로 치조골을 절삭할 때 치조골과 커터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식힐 수 있도록 커터의 내측으로 식염수를 공급할 수 있는 식염수 공급홀을 구비하며, 드릴로드의 일측에 마련되는 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악동 거상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악동의 측방에 윈도우(window)를 형성하기 위해 치조골을 절삭하고, 치조골의 절삭 작업 시 치조골과 커터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식혀 드릴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Drill for lateral sinus graft surgical operation}
본 발명은,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악동 거상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악동의 측방에 윈도우(window)를 형성하기 위해 치조골을 절삭하고, 치조골 절삭 작업 시 치조골과 커터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식혀 드릴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속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한편,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 중 상악 구치부에서의 임플란트 성공률은 다른 부위, 예를 들면 하악 구치부에서의 성공률에 비해 비교적 낮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상악 구치부는 비교적 골질이 약하고, 그 내측에 상악동(Sinus)이 있으므로 임플란트를 식립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상악 구치부의 상부, 보다 정확히는, 윗 어금니와 코 옆에 사이에 존재하는 상악동은 점막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서 생리적으로 치아가 상실되면 밑으로 내려오면서 확장되므로 상악 구치부의 치아가 상실되면 치아 상실에 따른 골 흡수와 함께 하방으로의 확장으로 인해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골 량이 부족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악 구치부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악동 내막을 거상 시켜 공간을 형성한 후, 확보된 공간에 골이식재를 이식하고 여기에 임플란트를 매식하는 방법을 이용하게 되며, 이러한 방법에는 수직접근법 및 측방접근법 등이 있다.
먼저, 수직접근법은 임플란트 시술 부위에 잔존 골이 어느 정도 확보되었을 때의 방법으로, 상악동 내막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끌과 망치 형태의 오스테오톰이라는 기구로 상악을 여러 번 두드려 소정 크기의 홀을 형성한 다음, 홀을 통해 골이식재를 조금씩 넣는 방식이다.
반면, 측방접근법은 상악동 측방을 원형 또는 사각형의 홀을 형성하여 상악동의 내막을 노출시킨 뒤 노출된 상악동 내막을 거상하고 골이식재를 조금씩 넣는 방식이다.
이러한 측방접근법에서 상악동 측방에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홀은 일반적으로 윈도우(window)라 불리는데, 이 윈도우는 상악동의 측방에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한 후 천공된 부분(월, wall)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측방접근법을 이용하기 위하여 드릴로 천공된 월(wall)을 제거할 때에 라운드 버(Round bur)를 사용하여 주변의 상악동으로부터 월(wall)을 분리시켜 제거하였는데, 라운드 버를 사용하여 월(wall)을 주변의 상악동으로부터 제거시킬 때에 상악동 내막을 손상시키지 않고 분리시키기가 쉽지 않았고, 상악동 천공을 위한 치조골의 절삭 시 치조골이 평탄하지 않기 때문에 중심이 흔들리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절삭하기가 쉽지 않았다.
따라서 상악동의 측방에 상악동을 천공 시 중심을 흔들리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치조골을 절삭할 수 있으며 치조골 절삭 시 치조골과의 마찰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악동 거상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악동의 측방에 윈도우(window)를 형성하기 위해 치조골을 절삭하고, 치조골 절삭 작업 시 치조골과 커터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식혀 드릴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드릴로드; 및 상악동 천공 시 치조골을 절삭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로 상기 치조골을 절삭할 때 상기 치조골과 상기 커터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식힐 수 있도록 상기 커터의 내측으로 식염수를 공급할 수 있는 식염수 공급홀을 구비하며, 상기 드릴로드의 일측에 마련되는 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천공부는, 상기 드릴로드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드릴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커터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천공몸체; 및 상기 천공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천공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공몸체에는, 상기 커터측으로부터 상기 드릴로드 측으로 갈수록 상기 천공몸체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횡단면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상기 천공몸체와 상기 드릴로드를 연결시키는 차폐판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천공부는, 상기 차폐판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커터가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되는 포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의 길이는 상기 차폐판의 내측면에서부터 상기 커터의 선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인터에는 상기 포인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식염수 공급홀은 상기 차폐판을 관통하며 형성되되, 상기 드릴로드의 중심축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터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차폐판의 내측면까지의 길이는 상기 커터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스토퍼의 선단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터에는, 상기 커터의 선단부에서 상기 드릴로드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드릴로드의 길이 방향의 교차라인에 대하여 서로 다른 예각의 각도를 갖는 이중 경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중 경사부는, 상기 커터의 일단에서 상기 드릴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드릴로드 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의 종료 지점부터 상기 드릴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드릴로드 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부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1 경사부의 경사 각도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악동 거상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악동의 측방에 윈도우(window)를 형성하기 위해 치조골을 절삭하고, 치조골의 절삭 작업 시 치조골과 커터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식혀 드릴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윈도우 오프너에 대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사용되는 상악동 거상술의 측방접근법을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상악은 윗턱을 나타내는 치과용 용어로, 상악의 어금니 부위는 치아가 발치되고 나면 치조골의 두께가 낮은 경우가 많은데, 이는 상악동이 상악(윗턱)의 어금니 부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하는데 그 중 상악동 거상술의 측방접근법은 단어 그대로 상악의 측방에서 시술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악동 거상술의 측방접근법을 시행하기 위해 상악동의 측방에는 상악동 내막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홀을 형성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이 홀은 윈도우(window)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상악동의 측방에 윈도우(window)를 형성하는 과정은 크게 상악동의 측방에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함으로써 월(wall)을 형성하는 과정과, 이 월(wall)을 주변 상악동으로부터 분리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상악동의 측방을 천공하기 위해 치조골을 절삭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이다.
그리고 월(wall)을 분리 제거하는 과정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과 함께 본 출원인에 의해 새롭게 개발된 윈도우 오프너라는 상악동 거상술용 공구를 이용하게 된다.
윈도우 오프너로 월(wall)을 분리하는 작업은 윈도우 오프너를 월(wall)과 주변 상악동 사이로 삽입시켜서 월(wall)이 윈도우 오프너에 부분적으로 걸림되도록 한 뒤 윈도우 오프너를 기울여 월(wall)을 주변 상악동과 분리하여 제거하는 방식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먼저,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1)은, 드릴로드(100)와, 드릴로드(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천공부(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천공부(200)는 윈도우(window) 형성을 위한 상악동을 천공하기 위해 치조골을 절삭하는 커터(211)와, 치조골을 절삭할 때 커터(211)와 치조골의 마찰로 인해 커터(211)에 발생되는 열을 식힐 수 있도록 커터(211)의 내측으로 식염수를 공급할 수 있는 식염수 공급홀(213a)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드릴로드(100)는 원 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데, 드릴로드(100)는 임플란트 시술 환자의 구강 속에 인입되기 때문에 환자의 구강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원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꼭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드릴로드(100)의 일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천공부(200)가 결합되고,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1)을 작업용 기구인 핸드피스(Hand piece)에 장착할 수 있는 생크부(110)가 마련되는데, 핸드피스에서는 치조골을 절삭할 때 커터(211)로 식염수를 공급한다.
한편, 천공부(200)는 드릴로드(100)와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원기둥 형태로 드릴로드(100)와는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며, 드릴로드(1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천공몸체(210)와, 천공몸체(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230)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천공부(200)는 커터(211)와, 식염수 공급홀(213)을 구비하는데 이에 대해서 천공몸체(210)와 함께 설명한다. 천공몸체(210)는 드릴로드(100)의 횡단면적보다 큰 횡단면적을 갖고 드릴로드(100)보다는 짧은 길이를 가지며 천공몸체(210)의 일단부 즉, 드릴로드(100)와 반대되는 천공몸체(210)의 일단부에 커터(211)가 형성되는데, 커터(211)는 천공몸체(210)의 일단부에서 천공몸체(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한편, 천공몸체(210)에는 커터(211)측으로부터 드릴로드(100) 측으로 갈수록 천공몸체(210)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횡단면의 면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차폐판(213)이 마련된다.
차폐판(213)에 의해서 천공몸체(210)와 드릴로드(100)가 연결되며, 커터(211)에 의해서 치조골이 절삭될 때 절삭되는 치조골이 구강 내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차폐판(21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식염수 공급홀(213a)이 형성되는데, 식염수 공급홀(213a)은 차폐판(213)을 관통하며 형성되되, 드릴로드(100)를 중심축으로하여 드릴로드(1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록 이격되어 각도로 다수 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식염수 공급홀(213a)은 차폐판(213)에 드릴로드(100)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 방향을 따라 3개의 식염수 공급홀(213a)이 형성되었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차폐판(213)의 강도에 무리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더 형성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의 식염수 공급홀(213a)의 개수보다 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천공몸체(210)의 외주면(210a)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스토퍼(230)가 구비되는데, 스토퍼(230)는 천공몸체(210)의 외주면(210a)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되, 천공몸체(210)의 외주면(210a)을 원주 방향을 따라 둘러싸는 구조로 마련된다.
그리고 커터(211)의 선단부로부터 차폐판(213)의 내측면까지의 깊이를 커터(211)의 선단부로부터 커터(211)를 향하는 스토퍼(230)의 선단부까지의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하여, 커터(211)로 치조골의 절삭 시 스토퍼(230)보다 차폐판(213)의 내측면이 먼저 닿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천공부(200)는 차폐판(213)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천공몸체(210)의 일단 즉, 커터(211)가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되는 포인터(250)를 더 포함한다. 포인터(250)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에 그 단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터(211)로 치조골을 절삭 시 포인터(250)를 치조골에 찔러 넣으면 천공몸체(210)의 중심이 흔들리지 않고 커터(211)로 치조골을 정확하게 절삭할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5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포인터(250)의 외주면에는 상호 대칭되는 홈(251, 도 1 참조)이 더 형성된다. 포인터(250)는 차폐판(213)의 내측면에 연결되기 때문에 치조골의 절삭 시 포인터(250)도 함께 회전되는데, 포인터(250)에 전술한 바와 같은 홈(251)이 형성됨으로써 포인터(250)의 회전 시 포인터(250)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포인터(250)의 길이는 차폐판(213)의 내측면으로부터 천공몸체(210)에 형성된 커터(211)의 선단부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포인터(250)가 차폐판(213)의 내측면에 연결되었을 때 원뿔 형상의 포인터(250)의 단부가 커터(211)의 선단부보다 더 돌출되도록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1)과 마찬가지로, 드릴로드(300)와, 치조골을 절삭하는 커터(411)와, 커터(411)로 치조골을 절삭할 때 커터(411)와 치조골의 마찰로 인해 커터(411)에 발생되는 열을 식힐 수 있는 식염수를 커터(411)의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식염수 공급홀(413a)을 구비하는 천공부(400)를 포함한다.
천공부(40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천공몸체(410)와, 천공몸체(41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스토퍼(430)를 더 포함하는데, 스토퍼(430)는 제1 실시예에서의 스토퍼(430)와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커터(411)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천공몸체(410)의 일단에 형성되되, 본 실시예에서의 커터(411)는 제1 실시예의 커터(411)보다 커터(411)의 선단부로부터 스토퍼(430)의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더 길고 커터(411)간의 이격 간격도 더 넓게 형성된다.
커터(411)는 선단부에서 드릴로드(300)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드릴로드(300) 길이 방향의 교차라인에 대하여 서로 다른 예각의 각도를 갖는 이중 경사부(411')를 포함한다.
이중 경사부(411')는 커터(411)로 치조골을 절삭할 때 커터(411)에 과도하게 부하가 걸려 커터(41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며, 커터(411)의 선단부로부터 스토퍼(430)의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커터(411)에 이중 경사부(411')의 기계 가공이 어려워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이중 경사부(411')의 기계 가공이 어려운 커터(411)의 선단부로부터 스토퍼(430)의 선단부까지의 길이는 0.5mm 이하로, 제1 실시예에서 커터(211)의 선단부로부터 스토퍼(230)의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0.5mm가 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서의 커터(211)에는 이중 경사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중 경사부(411')는 커터(411)의 일단 즉, 커터(411)의 선단부에서 커터(411)와 반대되는 드릴로드(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져 형성되는 제1 경사부(411'a)와, 이 제1 경사부(411'a)의 종료 지점에서부터 드릴로드(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져 형성되는 제2 경사부(411'b)를 포함한다.
제1 경사부(411'a)의 경사 각도(θ1)와 제2 경사부(411'b)의 경사 각도(θ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예각의 각도를 갖는데, 제1 경사부(411'a)의 경사 각도(θ1)는 제2 경사부(411b)의 경사 각도(θ2)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3)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차폐판(413)과, 차폐판(413)에 형성되며 식염수를 공급할 수 있는 식염수 공급홀(413a)이 구비된다. 이들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3)에는 제1 실시예에 구비된 포인터가 포함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1, 3)로 윈도우(window) 형성을 위해 상악동을 절삭한 후에는 상악동의 절삭으로 인해 형성된 월(wall)을 주변의 상악동으로부터 분리해내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 작업을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윈도우 오프너(window opener)라는 공구가 사용되고 이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은 윈도우 오프너에 대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윈도우 오프너는, 시술자가 시술 작업을 할 때에 손으로 직접 감싸쥐는 핸들(510, handle)과, 핸들(510)과 연결되어 있으며 시술자가 핸들(110)을 회동하게 되면 핸들(110)의 회동과 연동되고 본 발명에 따는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1, 3)의 천공 작업에 의해 형성된 월(wall)을 주변 상악동으로부터 분리 제거할 수 있는 제거부(550)와, 핸들(510)과 제거부(550) 사이에 마련되어 있어 핸들(510)과 제거부(55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530)를 포함한다.
핸들(510)의 외주면에는 시술자의 손에서 핸들(510)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 홈(5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미끄럼 방지 홈(511)은 핸들(510)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핸들(51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 개가 마련된다.
핸들(510)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5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510)과 제거부(55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530)는 경사구간(533)과, 경사구간(533)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제1 직선구간(531)과 제2 직선구간(535)을 구비한다.
제1 직선구간(531)은 핸들(510)과 경사구간(533)을 연결하는 구간으로, 핸들(510)과는 동축을 가지며 나란하게 형성되고 제1 직선구간(531)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단면적이 핸들(510)과 연결된 측에서부터 경사구간(533)과 연결된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며 형성된다.
제2 직선구간(535)은 경사구간(533)과 제거부(550)를 연결하는 구간으로, 핸들(510)의 축과는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핸들(510)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제2 직선구간(535)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단면적이 제2 직선구간(535)의 전 구간에 걸쳐 동일하게 형성된다.
연결부(530)의 제2 직선구간(535)과 연결되는 제거부(550)는, 본 발명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1, 3)의 천공 작업에 의해 형성된 월(wall)을 주변 상악동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는데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부분으로,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1, 3)에 의해 형성된 월(wall)이 부분적으로 걸림되는 제거 헤드(551)와, 제거 헤드(551)와 연결부(530) 사이에 마련되며 제거 헤드(551)가 천공된 월(wall)을 분리 제거하기 위해 월(wall)과 주변 상악동 사이로 삽입될 시 제거 헤드(551)가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553)를 포함한다.
제거부(550)의 스토퍼(553)와 제거 헤드(551)는 그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단면이 반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거부(550)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가상의 원형 단면 특히 제거 헤드(551)의 가상의 원형 단면이 제거부(550)와 연결된 제2 직선구간(535)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단면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 직선구간(535)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스토퍼(553)는, 제거 헤드(551)가 월(wall)을 분리 제거하기 위해 월(wall)과 상악동 사이로 삽입될 때 제거 헤드(551)가 너무 깊이 삽입되어 상악동 내막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깊이만큼만 제거 헤드(55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거 헤드(55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월(wall)을 분리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에는 스토퍼(553)에 접촉되는 상악동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553)의 모서리(553a) 즉 제2 직선구간(535)으로 연결되는 모서리(553a)가 라운딩(rounding)으로 형성된다.
제거 헤드(551)에는 스토퍼(553)와 연결되는 측과 반대되는 측에 제거 헤드(551)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제거 헤드(551)의 내측으로 돌출된 언더 컷(555, Under cut)이 형성되는데, 언더 컷(555)은 제거 헤드(551)로 천공된 월(wall)을 분리 제거할 때에 상악동 내막과 월(wall)의 분리가 쉽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언더 컷(555)은 단부로부터 제거 헤드(551)의 내주면을 향해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 지도록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555a)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555a)에 의해서 언더 컷(555)의 단부가 절삭날(555b)로 마련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언더 컷(555)의 단부가 절삭날(555b)로 마련되면, 핸들(510)의 회동에 의해서 월(wall)이 상악동 내막과의 분리가 쉽지 않을 때 시술자가 핸들(510)을 회전함으로써 언더 컷(555)이 회전하게 하여 언더 컷(555)의 절삭날(555b)이 월(wall)과 상악동 내막 사이를 절삭하게 되므로 월(wall)의 분리가 쉬워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상악동 거상술의 측방접근법과 관련하여 설명하기로 하는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1, 3)을 모두 구비하여 치조골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상악동 거상술의 측방접근법을 시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악의 어금니 부위는 치아가 발치되고 나면 치조골의 두께가 낮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하여 골이식재를 이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잔존골의 두께가 4~5mm 이하인 경우에는 상악동 거상술의 측방접근법을 시행하게 되는데, 상악동 거상술의 측방접근법을 시행 후 골이식재를 이식하기 위해서는 상악동의 측방에 윈도우(window)를 형성해야 하고, 이때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에 대응되는 상악동의 측방에 본 발명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1, 3)을 이용하여 상악동을 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1)과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릴(3)이 있는데, 잔존골의 두께는 환자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환자의 치조골의 두께가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1)만으로 천공 작업을 완료하기 어렵게 두꺼운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1)로 1차 절삭 후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릴(3)로 2차 절삭을 하게 된다. 그러나 환자의 치조골 두께가 두껍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3)만 이용하여 치조골을 절삭할 수 있다.
먼저, 상악동의 측방에 윈도우(window)를 형성할 위치를 지정한 후,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1)을 이용하여 치조골을 절삭하게 되는데 핸드피스(hand piece)에 결합된 드릴(1)의 천공몸체(210)에 구비된 포인터(250)를 치조골에 찔러 넣은 후 회동을 시킨다.
핸드피스 작동에 의해 회동 되는 드릴(1)은 천공몸체(210)의 일단에 형성된 커터(211)가 핸드피스 작동에 연동되어 치조골을 절삭하는데 포인터(250)를 치조골에 찔러 넣었기 때문에 중심이 흔들리지 않고 정확한 위치를 절삭할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50)에는 포인터(25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홈(25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천공몸체(210)와 함께 회동 되는 포인터(250)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치조골을 절삭하는 커터(211)는 치조골과의 마찰로 인해 열이 발생되는데 열이 발생되어 지속되는 시간이 길어지면 커터(211)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드릴(1)이 장착된 핸드피스에서 식염수를 공급하게 되고, 천공몸체(210)의 차폐판(213)에 형성된 식염수 공급홀(213a)을 통해 식염수가 천공몸체(210)의 내측으로 공급되어 커터(211)와 치조골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식힐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 과정에 의해서 치조골을 절삭하여 상악동을 천공하게 되는데, 환자의 치조골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1)만으로도 상악동 천공이 완료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릴(3)을 이용하여 추가 절삭 작업을 하게 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릴(3)을 이용하여 치조골을 절삭하는 과정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3)을 이용하여 치조골을 절삭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데,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릴(3)에는 제1 실시에에 따른 드릴(1)에 구비된 포인터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이미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1)로 1차 절삭 작업을 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를 절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1, 3)로 천공 작업이 끝난 후에는 윈도우 오프너를 이용하여 월(wall)을 주변의 상악동으로부터 분리/제거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시술자는 천공 작업으로 형성된 월(wall)을 제거하기 위해 핸들(510)을 잡아 제거부(550)의 제거 헤드(551)를 월(wall)과 주변의 상악동 사이에 삽입하게 되는데, 월(wall)과 주변 상악동 사이에 제거 헤드(551)가 삽입되는 것이 쉽지 않은 경우에는 시술자는 핸들(110)에서 제거부(550)와 반대되는 측을 망치 등으로 두들겨 월(wall)과 주변 상악동 사이로 제거 헤드(551)를 삽입한다.
제거 헤드(551)의 일측에는 제거부(15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553)가 마련되어 있어 제거 헤드(551)가 월(wall)과 주변 상악동의 사이에 너무 깊이 들어가 상악동 내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거 헤드(551)에는 스토퍼(553)와 반대되는 측에 제거 헤드(551)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제거 헤드(551)의 반경 방향을 따라 언더 컷(555, Under cut)이 형성되어 있는데, 만약 제거 헤드(551)에 언더 컷(555)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핸들(510)을 회전시켜 월(wall)을 주변 상악동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을 할 때에 제거 헤드(551)가 월(wall)과 주변 상악동 사이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언더 컷(555)의 단부는 절삭날(155b)로 마련되는데, 제거 헤드(551)가 월(wall)을 주변 상악동으로부터 분리 제거할 때 제거 헤드(551)에 마련된 언더 컷(555)의 절삭날(555b)을 월(wall)과 상악동 내막 사이에서 회전시키게 되면 월(wall)과 상악동 내막 사이를 절삭하여 월(wall)의 분리 제거 작업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준다.
마지막으로 월(wall)을 주변 상악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해 내는 작업에서는 시술자가 핸들(510)을 잡고 상악동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거 헤드(551)와 언더 컷(155)에 의해 부분적으로 걸림된 월(wall)이 상악동 내막과 분리되면서 주변 상악동으로부터 제거되어 최종적으로 윈도우(window)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이 진행될 때에는 제거부(550)의 스토퍼(553)가 지렛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월(wall)이 상악동 내막과 분리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1, 3)을 사용하게 되면, 상악동 거상술의 측방접근법으로 시술할 때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윈도우(window)의 형성 작업 시 치조골을 절삭할 때에 드릴에 구비된 포인터(250)로 회전 중심을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의 치조골을 절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1, 3)을 모두 구비하여 사용하면 환자마다 다른 치조골의 두께에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1)만 사용하여 상악동을 천공할 수 있거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1)과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릴(3)을 단계적으로 사용하여 상악동을 천공할 수 있어 윈도우 형성을 위한 천공 작업에 다양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0,300: 드릴로드 110,310: 생크부
200,400: 천공부 210,410: 천공몸체
211,411: 커터 213,413: 차폐판
230,430: 스토퍼 250: 포인터
251: 홈 411' : 이중 경사부
411'a: 제1 경사부 411'b: 제2 경사부

Claims (11)

  1. 드릴로드; 및
    상악동 천공 시 치조골을 절삭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로 상기 치조골을 절삭할 때 상기 치조골과 상기 커터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식힐 수 있도록 상기 커터의 내측으로 식염수를 공급할 수 있는 식염수 공급홀을 구비하며, 상기 드릴로드의 일측에 마련되는 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천공부는,
    상기 드릴로드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드릴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커터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천공몸체; 및
    상기 천공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천공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천공몸체에는,
    상기 커터측으로부터 상기 드릴로드 측으로 갈수록 상기 천공몸체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횡단면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상기 천공몸체와 상기 드릴로드를 연결시키는 차폐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상기 차폐판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커터가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되는 포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의 길이는 상기 차폐판의 내측면에서부터 상기 커터의 선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에는 상기 포인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염수 공급홀은 상기 차폐판을 관통하며 형성되되, 상기 드릴로드의 중심축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다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차폐판의 내측면까지의 길이는 상기 커터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스토퍼의 선단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에는,
    상기 커터의 선단부에서 상기 드릴로드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드릴로드의 길이 방향의 교차라인에 대하여 서로 다른 예각의 각도를 갖는 이중 경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경사부는,
    상기 커터의 일단에서 상기 드릴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드릴로드 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의 종료 지점부터 상기 드릴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드릴로드 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부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1 경사부의 경사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KR1020100076394A 2010-08-09 2010-08-09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KR101181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394A KR101181923B1 (ko) 2010-08-09 2010-08-09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394A KR101181923B1 (ko) 2010-08-09 2010-08-09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374A KR20120014374A (ko) 2012-02-17
KR101181923B1 true KR101181923B1 (ko) 2012-09-11

Family

ID=45837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394A KR101181923B1 (ko) 2010-08-09 2010-08-09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9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9912B (zh) * 2013-10-25 2016-08-10 张英怀 牙种植用平面定位钻
EP3001967A1 (en) * 2014-09-30 2016-04-06 C.G.M. S.P.A. A head for holding a nail for bone implantology and kit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4235A (ja) 2002-07-04 2004-02-05 Toshiba Tungaloy Co Ltd 内部給油用油穴付きドリル
KR100759261B1 (ko) 2007-01-15 2007-09-17 주식회사 메가젠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US20090274996A1 (en) 2008-05-05 2009-11-05 Kenneth Miller Bone cutt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4235A (ja) 2002-07-04 2004-02-05 Toshiba Tungaloy Co Ltd 内部給油用油穴付きドリル
KR100759261B1 (ko) 2007-01-15 2007-09-17 주식회사 메가젠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US20090274996A1 (en) 2008-05-05 2009-11-05 Kenneth Miller Bone cutt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374A (ko) 201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261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0946269B1 (ko) 임플란트용 천공 드릴
CA2643609C (en) Reamer for operating implant
KR100981717B1 (ko) 상악동 거상용 드릴 툴
KR100884211B1 (ko) 상악동 거상 시술용 피조톰
JP2010533539A (ja) 上顎洞膜挙上用ドリル
KR101067485B1 (ko) 임플란트 드릴용 스토퍼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US20170143351A1 (en) Implant placement trephine, prepackaged and sized implant / trephine kit, and methods of use
KR20090096767A (ko)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지그
KR10098171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0981716B1 (ko) 상악동 거상용 드릴 툴
TWI444166B (zh) 用以頂起鼻竇之鑽孔工具
KR100801510B1 (ko)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및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세트
KR20100011761A (ko)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
KR101181923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KR101068399B1 (ko) 천공 깊이 제한유닛 및 그를 구비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838003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170895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윈도우 오프너
US20090069834A1 (en) Auxiliary tool for formation of implant pre-hole
KR200323647Y1 (ko)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KR101566457B1 (ko)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KR102205986B1 (ko) 임플란트용 트레파인 드릴
KR200427490Y1 (ko)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및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세트
JP2015036006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のドリリングシステム
KR102505011B1 (ko) 잇몸비절개수술용 공구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