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273A - 접철식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접철식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273A
KR20040027273A KR1020030022268A KR20030022268A KR20040027273A KR 20040027273 A KR20040027273 A KR 20040027273A KR 1020030022268 A KR1020030022268 A KR 1020030022268A KR 20030022268 A KR20030022268 A KR 20030022268A KR 20040027273 A KR20040027273 A KR 20040027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force
cover body
dampe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8719B1 (ko
Inventor
가와모토마사노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40027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7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47C7/14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with array of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7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axial friction, e.g. friction dis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15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anted-coil tors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과제) 덮개체를 신속하게 개방시킴과 아울러, 덮개체의 개방종료측에서도 충분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 접철식 전자기기를 얻는다.
(해결수단) 모니터부(20)의 완전폐지상태에서 개방각도가 45°인 상태까지의 사이에서는 축부(106)에 형성된 맞닿음 볼록부(120,122)가 모니터부(20)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게 되나, 이 맞닿음 볼록부(120,122)의 정상부(120C,122C)가 축부 (104)에 설치된 댐퍼부재(110)의 피맞닿음부(114)의 평탄면부(114A)의 중앙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맞닿음 볼록부(120,122)의 위치만이 변할 뿐 모니터부(20)에는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모니터부(20)의 완전폐지상태에서 개방각도가 45°인 상태까지의 사이에서는 모니터부(20)를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또, 모니터부 (20)의 개방각도가 45°인 상태에서 완전개방상태까지의 사이에서는 댐퍼부재(110)에 의한 제동력에 의해서 모니터부(20)를 천천히 개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전자기기{FOLDING TYPE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본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한 덮개체가 설치된 접철식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부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수화부를 부착하기 위한 힌지 유니트로서 편리성이 강조된, 즉 한쪽 손만으로 버튼을 누름으로써 수화부를 원터치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힌지 유니트가 요구되게 되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51526호 공보(제 5 및 제 6 페이지, 도 2){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있어서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 유니트(200)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케이싱(202)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케이싱 (202) 내에는 Ⅹ1측의 단부에 제 1 비틀림 코일 스프링(204)과 고정축(206)과 캡(208)이 조립되어 있고, Ⅹ2측의 단부에는 제 1 회전축(210)과 제 2 비틀림 코일 스프링(212)과 제 2 회전축(214)과 캡(216)이 조립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회전축(214)은 도시하지 않은 수화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수화부를 폐지(閉止)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 2 회전축(214)이 회동하고, 이 제 2 회전축(214)의 단부(214A)가 제 1 회전축(210)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를 누름으로써, 제 1 회전축(210)을 통해서 제 1 비틀림 코일 스프링(204)을 비틀면서 로크수단에 의해서 수화부가 폐지위치에서 로크된다.
즉, 수화부를 폐지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 1 비틀림 코일 스프링(204)에는 탄성력(되돌림력)이 축적된다. 따라서, 수화부의 폐지위치에서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면, 제 1 비틀림 코일 스프링(204)의 되돌림력에 의해서 수화부가 개방된다.
한편, 고정축(206) 및 제 2 회전축(214)의 외주면에는 O링(218,220)이 장착 되어 있으며, 댐퍼부(222)는 0링(218)과 0링(220)에 의해서 간막이된 공간(224) 내에 충전된 실리콘 오일(226)과, 제 1 회전축(210)의 선단부에 축중심에서 부채꼴형상으로 돌출되어 실리콘 오일(226)을 교반하는 1쌍의 날개부(210A,210B) 및 제 1 회전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평면부(210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수화부를 폐지상태에서 개방시키면, 제 1 비틀림 코일 스프링(204)은 각 코일부분들이 밀착된 상태에서 각 코일부분들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상태로 된다.이 때, 각 코일부분은 공간(224) 내를 이동하기 때문에, 공간(224) 내의 실리콘 오일(226)에 의해서 점성저항을 받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댐퍼효과가 얻어진다. 또, 1쌍의 날개부(210A,210B) 및 평면부(210C)도 공간(224) 내를 회전하기 때문에, 실리콘 오일(226)에 의해서 점성저항을 받음으로써 댐퍼효과가 얻어진다.
또, 일본국 특개 2001-165144호 공보(제 3∼제 5 페이지, 도 5){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있어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송화부측과 수화부측을 연결하는 힌지 내부에 댐퍼모듈이 조립되어 있다. 이 댐퍼모듈은 오일 댐퍼 유니트와 일방향 클러치 유니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오일 댐퍼 유니트는 수화부에 고정되어 있고, 일방향 클러치 유니트는 송화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일방향 클러치 유니트에 의해서 수화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경우에 댐퍼효과가 얻어지고, 수화부가 폐지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경우에는 댐퍼효과가 작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수화부를 개방시킬 때에 댐퍼효과가 얻어지도록 함으로써 수화부가 천천히 개방되도록 하고 있는데, 수화부의 회전속도는 수화부의 개방개시로부터 개방종료까지의 사이에서 증가하여 감에도 불구하고,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서는 댐퍼기능에 의한 제동력이 일정하기 때문에, 개방종료측에서는 회전속도에 대한 댐퍼기능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 특허문헌 1에서는 제 1 비틀림 코일 스프링(204)이 수화부를 개방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기능과 수화부의 개방을 제동하는 댐퍼기능을 겸비하고 있고, 특허 문헌 2에서는 댐퍼기능을 가지는 오일 댐퍼 유니트와 탄지기능을 가지는 일방향클러치 유니트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서는 탄지기구와 댐퍼기구를 분리할 수 없어 설계의 자유도가 좁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을 고려하여, 덮개체를 신속하게 개방시킴과 아울러, 덮개체의 개방종료측에서도 충분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고, 또 설계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는 접철식 전자기기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의 베이스부와 모니터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에 구비된 힌지 유니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의 측면도, (B)는 (A)에 대응하는 힌지 유니트의 단면도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의 측면도, (B)는 (A)에 대응하는 힌지 유니트의 단면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의 측면도, (B)는 (A)에 대응하는 힌지 유니트의 단면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의 측면도, (B)는 (A)에 대응하는 상태에서의 힌지 유니트의 단면도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의 측면도, (B)는 (A)에 대응하는 힌지 유니트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에 구비된 힌지 유니트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의 캠면과 캠체의 캠홈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에 구비된 힌지 유니트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의 캠면과 캠체의 캠홈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A)는 액추에이터의 슬라이드 이동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액추에이터의 슬라이드 이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에 구비된 힌지 유니트를 구성하는 서브 캠의 캠면과 스토퍼의 돌기부와의 맞닿음형태를 나타내는 전개도로서, (A)는 전면 맞닿음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일부 맞닿음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에 구비된 댐퍼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의 측면도, (B)는 (A)에 대응하는 댐퍼 유니트의 단면도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의 측면도, (B)는 (A)에 대응하는 댐퍼 유니트의 단면도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의 측면도, (B)는 (A)에 대응하는 댐퍼 유니트의 단면도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의 측면도, (B)는 (A)에 대응하는 댐퍼 유니트의 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힌지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종래의 힌지 유니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힌지 유니트(탄지수단) 12 - 휴대전화(접철식 전자기기)
14 - 축부 16 - 축부
62 - 코일 스프링(탄지수단) 78 - 걸어맞춤 볼록부(로크수단)
92 - 걸어맞춤 오목부(로크수단) 104 - 축부
106 - 축부 108 - 댐퍼 유니트(댐퍼수단)
110 - 댐퍼부재(댐퍼수단, 저항부재)
114 - 피맞닿음부(댐퍼수단, 저항부재)
120 - 맞닿음 볼록부(댐퍼수단, 걸어맞춤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본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한 덮개체가 설치된 접철식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회동 중심이 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여 덮개체를 개방시키는 탄지수단과,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의 폐지상태를 유지하는 로크수단과, 상기 축부에 설치되며, 상기 로크수단이 해제된 후, 상기 덮개체의 소정의 개방각도범위 내에서 공전(空轉)하여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의 제동을 해제하고, 상기 덮개체의 소정의 개방각도범위 외에서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제동하는 댐퍼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덮개체의 회동중심이 되는 축부에는 덮개체를 개방시키는 탄지수단을 설치하고 있으며, 로크수단에 의해서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덮개체의 폐지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로크수단이 해제된 후, 댐퍼수단이 덮개체의 소정의 개방각도범위 내에서 공전하여 탄지수단의 탄지력의 제동을 해제하고, 또 덮개체의 소정의 개방각도범위 외에서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제동하고 있다.
로크수단을 해제하였을 때, 덮개체가 탄지수단에 의해서 개방방향으로 탄지 되는데, 덮개체의 개방개시측은 개방종료측에 비해서 회전속도가 느리다. 따라서, 덮개체의 개방개시에서 소정 각도까지의 사이에서 탄지력의 제동을 해제함으로써, 덮개체의 개방개시에서 소정 각도까지는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덮개체를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또, 덮개체의 소정 각도의 위치에서 개방종료까지의 사이에서 탄지력을 제동함으로써, 즉 댐퍼수단에 의한 제동력에 의해서 덮개체의 회전속도의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덮개체를 천천히 개방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탄지수단과 댐퍼수단을 서로 독립된 개별 부품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탄지수단과 댐퍼수단을 각각 다른 개소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넓어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댐퍼수단은 상기 덮개체의 회동과 함께 회전하는 걸어맞춤부와, 상기 덮개체의 소정의 개방각도범위 내에서 상기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탄지력의 제동을 해제하고, 덮개체의 소정의 개방각도범위 외에서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져서 탄지력을 제동하는 저항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덮개체의 소정의 개방각도범위 내에서 덮개체의 회동과 함께 회전하는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덮개체의 소정의 개방각도범위 외에서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지는 저항부재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저항부재에 의해서 탄지력을 제동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덮개체의 소정의 개방각도범위 내를 덮개체의 완전폐지상태에서 90°까지의 사이로 하고 있다. 덮개체의 개방개시측은 회전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덮개체의 완전폐지상태에서 90°까지의 사이에서 덮개체를 개방시키는 탄지수단의 탄지력의 제동을 해제함으로써, 소정의 각도까지는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덮개체를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탄지수단이 대략 원통형상의 하우징 내에 수납되고, 상기 저항부재가 대략 원통형상의 케이스 내에 충전된 점성부재에 의해서 제동력을 발휘한다.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상기 덮개체의 회동 중심이 되는 축부에 대한 회전방지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하우징 및 케이스가 축부에 대해서 회전방지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관한 접철식 전자기기가 적용된 휴대전화(12)가 도시되어 있다. 이 휴대전화(12)에는 1쌍의 축부(14,16) 및 축부(104,106)가 형성되어 있으며, 축부(14,16)측에는 힌지 유니트(10)(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고, 축부(104,106)측에는 댐퍼 유니트(108)가 설치되어 있다.
우선, 힌지 유니트(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축부(14,16)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축부(14)는 송화부{이하, "베이스부(18)"라 한다}에 형성되어 있고, 축부(16)는 수화부{이하, "모니터부(20)"라 한다}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부(14,16)에는 도 2에 나타낸 힌지 유니트(10)가 부착되어 있다. 이 힌지 유니트(10)에는 통형상의 케이스(22)가 구비되어 있으며, 케이스(22)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평탄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축부(14)에는 케이스(22)의 외주면이 면접촉하는 도시하지 않은 부착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22)가 축부(14)에 대해서 회전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22)의 일단부측의 중앙부에는 받침대(26)가 가로지르도록 가설되어 있으며, 그 중심에는 구멍(2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26A)은 샤프트(28)가 관통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샤프트(28)의 일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28A)가 받침대(26)에 맞닿음으로써 위치결정된다. 또, 케이스(22)의 일단부측에는 그 가장자리부에서 케이스(22)의 축방향을 따라서 잘라 내고서 케이스(22)의 내측으로 구부린 절곡편(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2) 내에는 조인트부(34)가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조인트부(34)의 일단부측에는 큰 지름으로 된 대경부(大徑部)(36)가 형성되고, 타단부측에는 작은 지름으로 된 소경부(小徑部)(3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소경부(38)와대경부(36)는 이것들의 중간정도의 지름으로 된 중경부(中徑部)(4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대경부(36)의 일단부측의 외측둘레에는 조인트부(34)의 축방향을 따라서 1쌍의 원호형상의 장착편(42,44)이 연이어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편(42,44)은 케이스(22)의 일단부측에 받침대(26)를 사이에 두고서 형성된 대략 반원형 구멍(46, 48)을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원형 구멍(46,48)을 관통한 장착편(42,44)의 각각의 선단부에는 대략 원기둥형상의 버튼부(50)가 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부착측에는 평면부(52A)와 곡면부(52B)가 연속하는 대략 타원형의 오목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52)의 폭은 장착편(42,44)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장착편(42,44)이 반원형 구멍(46,48)을 통과하면, 장착편(42,44)의 선단면이 오목부(52)의 저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조인트부(34)의 축심(軸芯)은 중공부로 되어 있으며, 이 축심에 샤프트(28)가 끼워짐으로써 조인트부(34)가 샤프트(28)의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장착편(44)의 외측에는 조인트부(34)의 축방향을 따라서 긴 홈부(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부(54) 내에는 절곡편(30)이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조인트부(34)를 케이스(22) 내에 수납하면, 절곡편(30)이 긴 홈부(54) 내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조인트부(34)는 케이스(22)에 대해서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 장착편(44)의 외측에는 긴 홈부(54)와 직교하는 피걸어맞춤홈(56)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편(42)의 외측에도 이와 같은 피걸어맞춤홈(5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버튼부(50)의 곡면부(52B)의 가장자리부에는 1쌍의 돌조부(58)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장착편(42,44)의 선단면이 버튼부(50)의 오목부(52)의 저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돌조부(58)가 피걸어맞춤홈(56)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조인트부(34)와 버튼부(50)가 일체로 되어 케이스(22)의 축방향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장착편(42,44)의 폭과 오목부(52)의 폭이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장착편(42,44)은 오목부(52) 내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편(42,44)의 선단면이 버튼부(50)의 오목부(52)의 저면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조인트부(34)와 버튼부(50)는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 버튼부(50)의 평면부(52A)와 직교하는 대략 반원형상의 단면에는 1쌍의 받이대(60)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받이대(60)는 케이스(22)에 형성된 받침대(26)와 거의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으며, 받침대(26)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받이대(60)가 받침대(26)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는 버튼부(50)의 이동이 규제되며, 이 버튼부(50)를 통해서 조인트부(34)의 이동이 규제된다.
한편, 대경부(36)의 타단부측에는 장착구멍(3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착구멍(36A)에는 코일 스프링(62)의 일단부가 장착된다. 코일 스프링(62)의 타단부는 대략 원통형상의 서브 캠(64)에 장착되며, 조인트부(34)와 서브 캠(64)을 서로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한다. 또, 코일 스프링(62)은 성긴 감기로 하여 되돌림력및 압축력을 축적 가능하게 하고 있다.
서브 캠(64)은 원통형상체(66)와 캠부(68)로 구성되어 있으며, 케이스(22) 내에 수납된다. 여기서, 원통형상체(66)는 조인트부(34)의 중경부(40)에 끼워지며, 이 중경부(40)의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조인트부(34)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 서브 캠(64)의 원통형상체(66)의 내주면에는, 원통형상체(66)의 축방향을 따라서 1쌍의 걸어맞춤홈(7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서브 캠(64) 내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액추에이터(72)가 삽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액추에이터(72)는 원통형상체(74)와 캠부(76)로 구성되고, 원통형상체(74)의 외주면에는 걸어맞춤홈(70)과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볼록부(78)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72)를 서브 캠(64) 내로 삽입하여 걸어맞춤 볼록부(78)를 걸어맞춤홈(70)에 걸어맞추면, 액추에이터(72)와 서브 캠(64)이 일체로 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 원통형상체(74)의 내주면의 일단부측에는 환형상의 피걸어맞춤부(80){도 3의 (B) 참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형상체(74)의 다른 부분에 비해 내경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한편, 조인트부(34)의 소경부(38)에는 환형상의 걸어맞춤부(82)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걸어맞춤부(80)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피걸어맞춤부(80)의 내경치수는 걸어맞춤부(82)의 외경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하고 있으며, 피걸어맞춤부(80)에 걸어맞춤부(82)를 걸어맞추면, 조인트부(34)와 액추에이터(72)가 일체로 되어 샤프트(28)의 축방향에 대해서 슬라이드이동함과 아울러, 액추에이터(72)는 조인트부(34)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액추에이터(72)와 서브 캠(64)과의 사이에는 환형상의 스토퍼(8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84)의 외경치수는 케이스(22)의 내경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스토퍼(84)를 케이스(22) 내로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스토퍼(84)의 타단면에는 1쌍의 플랜지부(86)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부(86)가 케이스(22)의 타단면에 맞닿는 상태까지 스토퍼(84)가 케이스(22) 내로 삽입된다.
상기 플랜지부(86)와 플랜지부(86)와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22)의 타단부측에서 연장된 1쌍의 연장편(88)이 삽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틈새에 연장편(88)을 삽입한 후, 플랜지부(86)와 플랜지부(86)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장편(88)을 구부린다. 이것에 의해서 스토퍼(84)가 케이스(22)에 고정된다.
이 때, 스토퍼(84)의 일단면이 서브 캠(64)에 맞닿게 됨으로써(후술한다), 서브 캠(64)은 스토퍼(84)에 의해서 이동이 규제된다. 여기서, 서브 캠(64)의 걸어맞춤홈(70)의 축방향으로의 길이는 걸어맞춤 볼록부(78)의 길이보다도 길게 하고 있으며, 액추에이터(72)와 서브 캠(64)의 이동량의 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플랜지부(86)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케이스(22)의 외주면과 마찬가지로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평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84)가 축부(14)에 대해서 회전방지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스토퍼(84)의 내주면에는 1쌍의 걸어맞춤 돌기(90)가 돌출형성되어있다. 한편, 액추에이터(72)의 캠부(76)의 외주면에는 캠부(76)의 축방향을 따라서 걸어맞춤 오목부(92)가 형성되어 있으며, 걸어맞춤 돌기(90)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 오목부(92)와 걸어맞춤 돌기(90)가 걸어맞춰진 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72) 및 이 액추에이터(72)에 걸어맞춰져 있는 서브 캠(64)의 회전이 억제된다.
한편, 걸어맞춤 오목부(92)와 걸어맞춤 돌기(90)가 걸어맞춰진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62)이 압축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되돌림력이 축적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버튼부(50)를 코일 스프링(62)의 탄지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누르면, 조인트부(34)와 함께 액추에이터(72)가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액추에이터(72)의 걸어맞춤 오목부(92)가 스토퍼(84)의 걸어맞춤 돌기(90)와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72)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코일 스프링(62)의 되돌림력에 의해서 서브 캠(64)을 통해서 액추에이터(72)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축부(16)(도 1 참조)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캠체(94)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캠체(94)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케이스(22)의 외주면과 마찬가지로 캠체(94)의 축방향을 따라서 평탄부(94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축부(16)에는 캠체(94)의 외주면이 면접촉하는 도시하지 않은 부착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캠체(94)가 축부(16)에 대해서 회전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캠체(94)의 외측둘레에는 1쌍의 돌조부(96)가 연이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축부(16)의 부착오목부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 가능하게되어 있다. 또, 캠체(94)의 내주면에는 1쌍의 캠홈(98)이 형성되어 있으며, 액추에이터(72)에 형성된 캠부(76)의 캠면(76A)이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홈(98)은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2)의 슬라이드 이동(화살표 A방향)에 의해서 캠면(76A)과 걸어맞춰지는 캠홈(98)을 통해서 캠체(94)를 회전{화살표 B방향(모니터부(20)의 개방방향)}시키는 회전력으로 변환된다.
또, 도 9의 (A),(B)에서는 도면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액추에이터(72)를 슬라이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상에서는 액추에이터(72)의 이동상태를 볼 수 없으나, 도 9의 (A)에서는 캠홈(98)의 후방측에 걸어맞춰져 있고, 도 9의 (B)에서는 캠홈(98)의 전방측에 걸어맞춰져 있어, 이것에 의해서 캠홈(98)을 통해서 캠체(94)가 회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4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튼부(50)를 누르는 개방개시로부터 액추에이터(72)의 걸어맞춤 오목부(92)가 걸어맞춤 돌기(90)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될 때까지의 사이에서는 액추에이터(72)가 회전 불가능하지만, 버튼부(50)의 누름에 의한 액추에이터(72)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서 캠체(94)를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액추에이터(72)와 스토퍼(84)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도 5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2) 내에 수납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62)에 의해서 액추에이터(72)에 되돌림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액추에이터(72)와 함께 캠체(94)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모니터부(20)를 개방시킨다.
이와 같은 힌지 유니트(10)를 사용하면, 서로 상대회전 가능한 베이스부(18) 및 모니터부(20)에 있어서, 축부(14)에 케이스(22)를 부착함과 아울러 축부(16)에 캠체(94)를 부착하고, 이 상태에서 버튼부(50)를 누르면 모니터부(20)를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여기서, 모니터부(20)를 폐지상태에서 완전히 개방시킬 때까지는 축부(16)에 걸리는 토크의 변동이 크기 때문에, 모니터부(20)의 개방을, 액추에이터(72)의 슬라이드 이동을 캠체(94)의 회전이동으로 변환하여 캠체(94)를 회전시키는 범위와 코일 스프링(62)에 의한 되돌림력에 의해서 캠체(94)를 회전시키는 범위로 분리함으로써 토크의 변동량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캠체(94)를 역회전시키면, 캠체(94)의 캠홈(98)을 통해서 액추에이터 (72)의 캠부(76)에 회전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액추에이터(72)에 걸어맞춰져 있는 서브 캠(64)이 회전한다.
한편, 코일 스프링(62)은 모니터부(20)의 개방개시시의 버튼부(50)의 누름에 의해서 조인트부(34)와 서브 캠(64)의 이간거리가 짧아지게 됨으로써 압축된 상태, 즉 압축력이 축적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캠체(94)가 역회전되면, 액추에이터(72)를 통해서 서브 캠(64)이 역회전됨으로써 코일 스프링(62)에는 되돌림력이 축적되게 된다.
캠체(94)가 역회전되어 액추에이터(72)의 걸어맞춤 오목부(92)가 스토퍼(84)의 걸어맞춤 돌기(90)와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코일 스프링(62)의 압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서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부(34)가서브 캠(64)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되돌려짐과 동시에 버튼부(50)가 본래의 위치로 압출되게 된다.
이 때, 조인트부(34)를 통해서 액추에이터(72)가 되돌려져서 걸어맞춤 오목부(92)가 걸어맞춤 돌기(90)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액추에이터(72)의 회전이 방지되고, 이 액추에이터(72)를 통해서 서브 캠(64)의 회전이 억제된다. 이 때, 엑추에이터(72)의 슬라이드 이동(도 2에 나타낸 화살표 A방향의 반대방향)에 의해서 캠체(94)가 폐지방향으로 회전한다(도 2에 나타낸 화살표 B방향의 반대방향).
이와 같이 되돌림력 및 압축력이 축적 가능한 코일 스프링(62)을 사용함으로써, 1개의 코일 스프링(62)에 의해서, 모니터부(20)를 개방시킬 때에는 코일 스프링(62)이 압축된 상태에서 되돌림력을 이용하여 회전시킴과 아울러, 폐지시킬 때에는 캠체(94)를 통해서 모니터부(20)를 소정 각도까지 역회전{코일 스프링(62)에 되돌림력을 축적}시킨 후, 코일 스프링(62)의 압축에 의한 복원력을 이용하여 액추에이터(72)를 스토퍼(84)와 걸어맞추는 위치까지 되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코일 스프링(62)에 의해서 서로 다른 복수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힌지 유니트(10)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도 용이하게 되고, 제조비용의 절감화도 꾀할 수 있다.
한편, 코일 스프링(62)은 압축하중을 받고 있기 때문에, 스토퍼(84)가 케이스(22) 내로 삽입되면, 스토퍼(84)의 일단면이 서브 캠(64)에 맞닿은 상태에서 서브 캠(64)을 스토퍼(84)측으로 탄지한다.
서브 캠(64) 및 조인트부(34)에 있어서는 코일 스프링(62)이 장착되는 서로대면하는 측을 각각 경사면(64A,34A)으로 하고 있으며, 코일 스프링(62)의 환형상부분의 양 단부가 맞닿을 수 있도록 샤프트(28)의 축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약간 경사지게 함으로써, 코일 스프링(62)의 탄지력이 서브 캠(64)에 균일하게 걸리도록 하고 있다.
또, 서브 캠(64)의 캠부(68)에는 캠면(7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토퍼 (84)의 일단면에는 1쌍의 돌기부(102)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서브 캠(64)의 캠면(77)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0의 (A),(B)에는 상기 돌기부(102)와 캠면(77)의 맞닿음 형태를 나타낸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서브 캠(64)의 회전에 의해서 돌기부(102)가 맞닿는 캠면(77)의 위치가 다르며, 돌기부(102)와 캠면(77)이 전면(全面) 맞닿음에서 일부 맞닿음까지의 맞닿음 형태를 취하고 있다.
서브 캠(64)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5의 (B) 및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102)가 캠면(77)의 산형상부(77A)와 전면 맞닿음한다. 이와 같이 캠면(77)이 돌기부(102)와 전면 맞닿음함으로써 소정 각도 내에서는 일정한 마찰력이 얻어지게 되며, 버튼부(50)가 눌려져서 액추에이터(72)가 스토퍼(84)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때에 모니터부(20)가 급격하게 개방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서브 캠(64)의 회전정지상태(완전개방상태 또는 완전폐지상태)에서는, 도 7의 (A),(B) 및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102)가 캠면(77)의 경사부(77B)와 일부 맞닿음한다.
이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62)의 압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서 코일 스프링(62)으로부터 받는 추진력이 서브 캠(64)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모니터부(20)의 왼전개방위치(점선)에서는 화살표 B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서브 캠(64)에 부여됨으로써, 서브 캠(64)을 통해서 액추에이터(72)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완전개방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모니터부(20)의 완전폐지위치(실선)에서는 화살표 B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서브 캠(64)에 부여됨으로써, 서브 캠(64)을 통해서 액추에이터(72)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완전폐지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모니터부(20)의 완전폐지상태 및 완전개방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함으로써, 완전폐지상태 및 완전개방상태에서 모니터부(20)가 요동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어서, 댐퍼 유니트(108)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104,106)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축부(104)는 베이스부(18)에 형성되어 있고, 축부(106)는 모니터부(20)에 형성되어 있다. 축부(104)에는 대략 원기둥형상의 댐퍼부재(110)가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댐퍼부재(110)의 일단부의 외주면에는 볼록부(110A)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축부(104)의 내주면에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홈부(104A)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축부(104)에 대해서 회전방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 댐퍼부재(110)의 타단부 중앙에는 샤프트부(112)의 일단부가 노출되어있으며, 이 노출부분에는 피맞닿음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피맞닿음부(114)는 대략 타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길이방향측의 원호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평탄면부 (114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샤프트부(112)는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으며, 샤프트부(112)의 타단측의 외주면에 도시하지 않은 날개체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댐퍼부재(110)의 본체(116) 내부에는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계수가 큰 유동체가 충전되어 있으며, 샤프트부(112)가 회전하면, 날개체에 의해서 이 유동체가 교반된다. 환언하면, 샤프트부(112)에는 날개체를 통해서 유동체의 점성저항이 부하되게 된다.
한편, 축부(106)의 저면에는 원통 오목부(118)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맞닿음부(114)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원통 오목부(118)의 내주면에는 1쌍의 맞닿음 볼록부(120,122)가 축중심측을 향해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맞닿음 볼록부(120,122)는 대략 삼각기둥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 볼록부(120)의 맞닿음면(120A)과 맞닿음 볼록부(122)의 맞닿음면(122A) 및 맞닿음 볼록부(120)의 맞닿음면(120B)과 맞닿음 볼록부(122)의 맞닿음면(122B)이 각각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맞닿음면(120A)과 맞닿음면(122A) 및 맞닿음면(120A)과 맞닿음면 (122B)의 이간거리는 피맞닿음부(114)의 폭치수{평탄면부(114A)끼리의 이간거리}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원통 오목부(118)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맞닿음면(120A,122A,120B,122B)의 길이{원통 오목부(118)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돌출량}는 평탄면부(114A)의 길이의약 1/2이 되며, 도 12의 (B) 및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면(120A, 122A) 또는 맞닿음면(120B,122B)이 평탄면부(114A)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계속해서, 피맞닿음부(114)와 맞닿음 볼록부(120,122)의 걸어맞춤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부(20)가 베이스부(18)에 대해서 폐지된 상태에서는 맞닿음면(120A,122A)이 피맞닿음부(114)의 평탄면부(114A)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도 13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부(20)를 베이스부(18)에 대해서 45°개방시키면, 모니터부(20)의 회전에 수반하여 축부(106)가 회전함에 의해서 피맞닿음부(114)에 대한 맞닿음 볼록부(120,122)의 위치가 바뀜으로써, 이번에는 맞닿음면(120B,122B)이 피맞닿음부(114)의 평탄면부(114A)에 맞닿게 된다.
즉, 개방각도가 0°∼45°까지의 사이에서는 맞닿음 볼록부(120,122)의 정상부(120C,122C)만이 평탄면부(114A)의 중앙부에 맞닿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샤프트부(112)는 회전하지 않는다(이른바 공전(空轉) 또는 공주(空走)).
한편, 도 14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부(20)를 베이스부(18)에 대해서 45°보다도 더 개방시키면, 맞닿음면(120B,122B)이 피맞닿음부(114)의 평탄면부(114A)에 맞닿은 상태에서, 맞닿음 볼록부(120,122)에 의해서 평탄면부(114A)가 화살표 C방향으로 눌려진다. 따라서, 평탄면부(114A)를 통해서 샤프트부(112)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댐퍼부재(110)의 본체(116) 내의 유동체가 날개체에 의해서 교반되고, 이 날개체를 통해서 샤프트부(112)가 유동체의 점성저항을 받게 됨으로써, 축부(106)를 통해서 모니터부(20)에는 제동력이 부하되게 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12)의 개방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힌지 유니트(10)측에 있어서, 도 3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부(20)가 베이스부(18)에 대해서 폐지된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62)에는 되돌림력 및 압축력이 축적되어 있고, 액추에이터(72)의 걸어맞춤 오목부(92)에는 스토퍼(84)의 걸어맞춤 볼록부(78)가 걸어맞춰져 있어 액추에이터(72)의 회전이 억제되어 있다.
이 때,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62)으로부터 받는 압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서, 서브 캠(64)에는 화살표 B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여된다(도 7의 (A) 참조). 따라서, 완전폐지상태에서 모니터부(20)가 요동되는 일이 없다.
이 상태에서, 도 4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부(20)의 우측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버튼부(50)를 누르면, 버튼부(50)를 통해서 조인트부(34) 및 액추에이터(72)가 샤프트(28)의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액추에이터(72)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서, 캠부(76)와 걸어맞춰져 있는 캠홈(98)을 통해서 캠체(94)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캠체(94)가 고정된 모니터부(20)를 Ø1(Ø1≤45°) 개방시킨다.
한편, 댐퍼 유니트(108)측에 있어서는, 도 12의 (A),(B) 및 도 13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106)에 형성된 맞닿음 볼록부(120,122)가 모니터부(20)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함으로써, 맞닿음 볼록부(120,122)의 정상부(120C,122C)가 축부(104)에 설치된 댐퍼부재(110)의 피맞닿음부(114)의 평탄면부(114A)의 중앙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맞닿음 볼록부(120,122)의 위치가 바뀌게 된다. 따라서, 샤프트부(112)는 정지된 상태 그대로 있기 때문에, 모니터부(20)에는 댐퍼부재(110)에 의한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힌지 유니트(10)측에 있어서, 도 3의 (A),(B)에 나타낸 액추에이터 (72)의 걸어맞춤 오목부(92)에서 스토퍼(84)의 걸어맞춤 돌기(90)가 빠지게 되면, 액추에이터(72)와 스토퍼(84)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도 5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2)가 회전 가능하게 되고, 이 후 코일 스프링(62)의 되돌림력에 의해서 서브 캠(64)을 통해서 액추에이터(72)가 케이스(22)에 대해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72)와 일체로 캠체(94)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모니터부(20)가 더 Ø2 개방된다.
이 때, 캠면(77)이 돌기부(102)와 전면 맞닿음되기 때문에(도 10의 (A) 참조), 캠면(77)과 돌기부(102)에 의한 슬라이드 저항에 의해서 모니터부(20)에는 제동력이 얻어진다.
한편, 댐퍼 유니트(108)측에 있어서, 도 13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부(20)의 개방각도가 45°인 상태로 되면, 맞닿음 볼록부(120,122)의 맞닿음면(120B,122B)이 댐퍼부재(110)의 피맞닿음부(114)의 평탄면부(114A)에 맞닿게 되고, 이 상태에서 도 14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 볼록부(120,122)가 평탄면부(114A)를 화살표 C방향으로 누름으로써, 평탄면부(114A)를 통해서 샤프트부(112)를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댐퍼부재(110)의 본체(116) 내의 유동체가 도시하지 않은 날개체에 의해서 교반되고, 이 날개체를 통해서 샤프트부(112)가 유동체의 점성저항을 받게 됨으로써, 축부(106)를 통해서 모니터부(20)에는 댐퍼부재(110)에 의한 제동력이 얻어진다.
따라서, 모니터부(20)의 개방각도가 45°∼160°사이에서는 힌지 유니트(10)의 캠면(77)과 돌기부(102)와의 슬라이드 저항에 의한 제동력과 댐퍼 유니트(108)의 댐퍼부재(110)의 점성저항에 의한 제동력에 의해서 모니터부(20)를 천천히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부(20)가 개방되고서 정지될 때에 충격을 받을 일이 없다. 여기서, 모니터부(20)가 베이스부(18)에 대해서 소정 각도(Øl+Ø2)(여기서는 약 160°) 개방되면, 모니터부(20)와 베이스부(18)가 맞닿아서 정지된다.
한편, 모니터부(20)의 완전개방상태에서는, 도 7의 (A) 및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62)으로부터 받는 압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서 서브 캠(64)에는 화살표 B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모니터부(20)의 완전개방상태에서 모니터부(20)가 요동되는 일이 없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12)의 폐지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힌지 유니트(10)측에 있어서, 도 6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개방상태의 모니터부(20)를 베이스부(18)에 대해서 폐지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 이 때, 캠체(94)를 통해서 액추에이터(72) 및 서브 캠(64)이 역회전됨으로써 코일 스프링(62)에는 되돌림력이 축적된다.
여기서, 댐퍼 유니트(108)측에 있어서는, 도 14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 볼록부(120,122)의 맞닿음면(120B,122B)이 댐퍼부재(110)의 피맞닿음부 (114)의 평탄면부(114A)에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도 15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 볼록부(120,122)의 맞닿음면(120A,122A)이 댐퍼부재(110)의 피맞닿음부(114)의 평탄면부(114A)에 맞닿을 때까지의 사이(완전개방상태에서 45°폐지된 상태)에서는, 맞닿음 볼록부(120,122)의 정상부(120C,122C)가 댐퍼부재(110)의 피맞닿음부(114)의 평탄면부(114A)의 중앙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맞닿음 볼록부(120, 122)의 위치만이 바뀌기 때문에, 샤프트부(112)는 정지된 상태 그대로 있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부(20)에는 댐퍼부재(110)에 의한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5의 (A),(B)에 나타낸 상태에서 도 12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부(20)가 폐지될 때까지의 사이에서는, 맞닿음 볼록부(120,122)의 맞닿음면(120A,122A)이 댐퍼부재(110)의 피맞닿음부(114)의 평탄면부(114A)에 맞닿은 상태에서 맞닿음 볼록부(120,122)가 평탄면부(114A)를 화살표 D방향으로 누름으로써, 평탄면부(114A)를 통해서 샤프트부(112)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모니터부(20)에는 댐퍼부재(110)의 점성저항에 의해서 제동력이 얻어진다.
한편, 도 4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2)의 걸어맞춤 오목부(92)가 스토퍼(84)의 걸어맞춤 돌기(90)와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도 3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62)의 압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서 조인트부(34)가 서브 캠(64)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되돌려짐과 동시에 버튼부(50)가 본래의 위치로 압출되게 된다.
그리고, 조인트부(34)를 통해서 액추에이터(72)가 되돌려짐으로써 회전이 방지되고, 이 액추에이터(72)를 통해서 서브 캠(64)의 회전이 억제된다. 이 때, 액추에이터(72)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서 캠체(94)가 폐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도 7의 (A) 및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62)으로부터 받는 압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서 코일 스프링(62)으로부터 받는 추진력이 회전력으로 변환됨으로써, 서브 캠(64)에는 화살표 B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모니터부(20)의 완전폐지상태에서 모니터부(20)가 요동되는 일이 없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12)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의 (A),(B) 및 도 13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부(20)의 완전폐지상태에서 모니터부(20)의 개방각도가 45°인 상태까지의 사이에서는, 축부(106)에 형성된 맞닿음 볼록부(120,122)가 모니터부(20)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게 되지만, 맞닿음 볼록부(120,122)의 정상부(120C,122C)가 축부(104)에 설치된 댐퍼부재(110)의 피맞닿음부(114)의 평탄면부(114A)의 중앙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맞닿음 볼록부(120,122)의 위치만이 바뀌게 될 뿐, 샤프트부(112)는 정지된 상태 그대로 있기 때문에, 모니터부(20)에는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도 4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부(20)의 완전폐지상태에서 모니터부(20)의 우측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버튼부(50)를 누르면, 버튼부(50)를 통해서 조인트부(34) 및 액추에이터(72)가 샤프트(28)의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액추에이터(72)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서 캠부(76)와 걸어맞춰져 있는 캠홈(98)을 통해서 캠체(94)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캠체(94)가 고정된 모니터부(20)를 개방시키게 되는데, 이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댐퍼부재(110)에 의한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모니터부(20)를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부(20)의 개방각도가 45°인 상태로 되면, 도 13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 볼록부(120,122)의 맞닿음면(120B,122B)이 댐퍼부재(110)의 피맞닿음부(114)의 평탄면부(114A)에 맞닿은 상태에서 도 14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 볼록부(120,122)가 평탄면부(114A)를 화살표 C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이 평탄면부(114A)를 통해서 샤프트부(112)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모니터부(20)에는 댐퍼부재(110)에 의한 제동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모니터부(20)의 개방각도가 45°인 상태에서 개방종료까지의 사이에서는 코일 스프링(62)(도 2 참조)의 되돌림력에 의한 모니터부(20)의 회전속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부(20)를 천천히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힌지 유니트(10)와 댐퍼부재(110)를 서로 독립된 별개 부품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힌지 유니트(10)와 댐퍼부재(110)를 각각 다른 개소에 부착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넓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니터부(20)가 45°개방된 상태에서 완전개방상태(160°)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서는 모니터부(20)에 댐퍼부재(110)에 의한 제동력이 얻어지도록 하였으나, 토크의 변동에 따라서 적절한 각도를 설정하면 되기 때문에, 45° 또는 160°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힌지 유니트(10)에 의해서도 댐퍼효과가 얻어지도록 하였으나, 힌지 유니트(10)에는 반드시 댐퍼효과를 부가시킬 필요는 없으며, 댐퍼 유니트(108)만의 댐퍼효과에 의해서 모니터부(20)에 제동력이 얻어지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댐퍼부재(110)는 샤프트부(112)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댐퍼효과가 얻어지도록 하였으나, 댐퍼부재(110)를 일방향 댐퍼로 하여 일방향의 회전만에 댐퍼효과가 얻어지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모니터부(20)를 개방시킬 때에는 댐퍼효과가 얻어지고, 폐지할 때에는 댐퍼효과가 해제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 힌지 유니트(10)의 구성부품을 케이스(22) 내에 모두 수납하도록 하였으나, 케이싱체의 축을 케이스로 하여 직접 구성부품을 조립할 수도 있다. 그러나, 조립하는 품과 수고를 고려하면, 본 실시형태와 같이 케이스(22) 내에 조립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튼부(50)를 눌러서 모니터부(20)를 개방시켰으나, 물론 버튼부(50)를 누르지 않고서도 모니터부(20)를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모니터부(20)를 도 4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각도(Ø1) 회전시키면, 모니터부(20)와 일체로 회전하는 캠체(94)의 캠홈(98)을 통해서 액추에이터(72)가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스토퍼(84)와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어 모니터부(20)가 개방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1쌍의 케이싱체가 상대 회전하는 것이면 되기 때문에, 휴대전화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AV기기의 덮개 등과 같이 개방각도가 결정되어 있는 것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청구항 1 및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덮개체의 개방개시로부터 소정 각도까지의 사이에서는 탄지력의 제동을 해제함으로써, 덮개체의 개방개시로부터 소정 각도까지는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덮개체를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또, 소정 각도의 위치에서 개방종료까지의 사이에서는 탄지력을 제동함으로써, 댐퍼수단에 의한 제동력에 의해서 덮개체의 회전속도의 증가를 억제하여 덮개체를 천천히 개방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탄지수단과 댐퍼수단을 각각 다른 개소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넓어지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덮개체의 완전폐지상태로부터 90°까지의 사이에서는 덮개체를 개방시키는 탄지수단의 탄지력의 제동을 해제함으로써, 소정 각도까지는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덮개체를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하우징 및 댐퍼부재를 원통형상의 축부에 장착하였을 때, 하우징 및 댐퍼부재가 축부에 대해서 회전방지된다.

Claims (7)

  1. 본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한 덮개체가 설치된 접철식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회동 중심이 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여 덮개체를 개방시키는 탄지수단과,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의 폐지상태를 유지하는 로크수단과,
    상기 축부에 설치되며, 상기 로크수단이 해제된 후, 상기 덮개체의 소정의 개방각도범위 내에서 공전(空轉)하여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의 제동을 해제하고, 상기 덮개체의 소정의 개방각도범위 외에서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제동하는 댐퍼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전자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과 상기 댐퍼수단을 서로 독립된 개별 부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전자기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댐퍼수단은, 상기 덮개체의 회동과 함께 회전하는 걸어맞춤부와, 상기 덮개체의 소정의 개방각도범위 내에서 상기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탄지력의 제동을 해제하고, 덮개체의 소정의 개방각도범위 외에서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져서 탄지력을 제동하는 저항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전자기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소정의 개방각도범위 내가 덮개체의 완전폐지상태에서 90°까지의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전자기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이 대략 원통형상의 하우징 내에 수납되고, 상기 저항부재가 대략 원통형상의 케이스 내에 충전된 점성부재에 의해서 제동력을 발휘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상기 축부에 대한 회전방지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전자기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소정의 개방각도범위 내가 덮개체의 완전폐지상태에서 90°까지의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전자기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이 대략 원통형상의 하우징 내에 수납되고, 상기 저항부재가 대략 원통형상의 케이스 내에 충전된 점성부재에 의해서 제동력을 발휘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상기 축부에 대한 회전방지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전자기기.
KR10-2003-0022268A 2002-09-26 2003-04-09 접철식 전자기기 KR100508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1582 2002-09-26
JP2002281582A JP2004116665A (ja) 2002-09-26 2002-09-26 折り畳み式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273A true KR20040027273A (ko) 2004-04-01
KR100508719B1 KR100508719B1 (ko) 2005-08-17

Family

ID=32040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268A KR100508719B1 (ko) 2002-09-26 2003-04-09 접철식 전자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050867A1 (ko)
JP (1) JP2004116665A (ko)
KR (1) KR100508719B1 (ko)
CN (1) CN1685165A (ko)
AU (1) AU2003241842A1 (ko)
TW (1) TW595191B (ko)
WO (1) WO2004029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5955B2 (ja) * 2003-07-28 2009-08-19 富士通株式会社 移動式無線通信装置
WO2005010378A1 (ja) * 2003-07-28 2005-02-03 Fujitsu Limited 移動式無線通信装置
WO2005101798A1 (de) * 2004-04-19 2005-10-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biltelefon
TWI272822B (en) * 2004-04-30 2007-02-01 Benq Corp Flip-flop electronic device
CN100492249C (zh) * 2004-09-30 2009-05-27 日本发条株式会社 铰链装置及使用了该铰链装置的开闭机构
JP2006238065A (ja) * 2005-02-25 2006-09-07 Kyocera Corp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開閉方法
JP4662876B2 (ja) * 2006-03-28 2011-03-30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端末機器のパネルの着脱構造
CN101198238B (zh) * 2006-12-06 2011-03-30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枢转机构及折叠式电子装置
US8132292B2 (en) * 2008-02-11 2012-03-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inge mechanis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1876338B (zh) * 2009-04-29 2013-10-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及采用该铰链结构的电子装置
US8477505B2 (en) * 2009-09-29 2013-07-02 Netgear, Inc. Peripheral device with limited relative angular movement
US8540062B2 (en) 2011-05-20 2013-09-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Low profile rotary damper
US8745820B2 (en) 2011-09-30 2014-06-1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Rotary hinge with adjustable damping assembly
CN109827160A (zh) * 2018-12-31 2019-05-31 慈溪市乐诺照明科技有限公司 一体式自动工具箱灯
CN112460202B (zh) * 2020-12-02 2024-05-03 奥众戴斯汽车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摩擦式单向阻尼器
CN112684853B (zh) * 2020-12-30 2024-07-23 联想(北京)有限公司 转轴组件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5233A (ja) * 1988-07-22 1990-02-05 Sugatsune Ind Co Ltd 粘性流体を用いた多板式ダンパー
JPH0450524A (ja) * 1990-06-18 1992-02-19 Fuji Seiki Co Ltd 回転ダンパ
US5259019A (en) * 1991-04-08 1993-11-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providing for a curved device with hinged cover
JP3268467B2 (ja) * 1992-09-08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機
JP2689913B2 (ja) * 1994-07-15 1997-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開放型折畳み携帯無線機
JPH08139793A (ja) * 1994-11-15 1996-05-31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用電話器の開閉装置
US5649309A (en) * 1995-05-18 1997-07-15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xially aligned cover release mechanism
US6151486A (en) * 1998-10-30 2000-11-21 Ericsson Inc. Magnetic latch and release device and radiotelephones incorporating same
JP2000161336A (ja) * 1998-11-24 2000-06-13 Masashi Iino ポップアップヒンジ
KR100419927B1 (ko) * 2000-03-03 2004-02-2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폴더형 휴대전화기
JP2003065320A (ja) * 2001-08-29 2003-03-05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50867A1 (en) 2006-03-09
KR100508719B1 (ko) 2005-08-17
AU2003241842A1 (en) 2004-04-19
CN1685165A (zh) 2005-10-19
WO2004029468A1 (ja) 2004-04-08
TW200405714A (en) 2004-04-01
TW595191B (en) 2004-06-21
JP2004116665A (ja) 200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8719B1 (ko) 접철식 전자기기
JP3183342B2 (ja) ヒンジ構造
US7634838B2 (en) Hinge and a mobile phone with the hinge
JP4090930B2 (ja) 機器ケースの開閉装置
JP3732619B2 (ja) ヒンジ装置
US20070039135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JP2906346B1 (ja) ヒンジ装置
EP1403460A2 (en) Damper hinge
KR20040079822A (ko) 힌지 유닛 및 이 힌지 유닛을 사용한 힌지 구조
KR20030083751A (ko) 로터리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힌지구조
JP2003065320A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KR100375701B1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US6122801A (en) Hinge mechanism
KR20050039579A (ko) 휴대단말기용 힌지
US20090255091A1 (en) Hinge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418050B1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US20090282647A1 (en) Hinge assembl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JP4357764B2 (ja) ヒンジ用ロータリーアクチュエータ
KR20100024242A (ko)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044743A (ja) 携帯機器用ヒンジ
JP2005147344A (ja) ヒンジ装置
JP2009041729A (ja)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JPH05263563A (ja) ヒンジ機構
JP2001223479A (ja) ヒンジユニット
JP3471743B2 (ja) 折り畳み式機器の開閉保持用ヒンジ装置の係嵌組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