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404A - 액정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액정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404A
KR20040016404A KR1020030056125A KR20030056125A KR20040016404A KR 20040016404 A KR20040016404 A KR 20040016404A KR 1020030056125 A KR1020030056125 A KR 1020030056125A KR 20030056125 A KR20030056125 A KR 20030056125A KR 20040016404 A KR20040016404 A KR 20040016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ixel electrode
substrate
comm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와타야스시
무라야마아키오
스노하라가즈유키
히사타케유우조
야마구치다케시
니노미야기사오
후지야마나츠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4001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40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the birefringence of the liquid crystal being electrically controlled, e.g. ECB-, DAP-, HAN-, PI-LC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41Circular 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셀에 있어서, 액정표시셀과, 그 액정표시셀과 대향한 원편광소자 및, 액정셀과 원편광소자의 사이에 개재한 1/4파장판을 포함하고, 액정표시셀 각각의 화소전극은 빗살의 길이방향이 서로 다르면서 전기적으로 접속한 복수의 빗형상 도전층을 포함한 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의 액정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액정디스플레이는 박형이면서 저소비전력인 등의 다양한 특징을 갖고 있고, 워드프로세서,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의 디스플레이로서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정디스플레이에서는 현재, 박막트랜지스터(이하, TFT라 함) 등의 능동소자(active device)를 스위칭소자(switching device)로서 사용하는 한편 네마틱(Nematic)액정을 이용한 TFT-TN(Twisted Nematic)모드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 표시모드를 이용한 액정디스플레이에서는 10inch 정도의 화면 사이즈와 풀칼라 표시가 실현되고 있고, 이와 같은 액정디스플레이는 정보단말용 디스플레이 등으로서 이용된다.
그러나, TN모드의 액정디스플레이에 풀칼라 표시 가능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 시야각(viewing angle)이 극히 좁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동화상(dynamic picture image)을 표시할 때에 테일링(tailing) 현상을 발생시키고, 동화상 표시품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부터 네마틱액정을 이용한 액정디스플레이의 용도는 제한되고 있다.
근년, 액정디스플레이는 데스크톱 컴퓨터나 웍스테이션 등의 모니터에 부가되고, 텔레비전 등으로의 응용이 요구되기 시작하고 있다. 상기된 TNT모드에서는 이와 같은 용도로 요구되는 시야각 및 응답시간(response time) 특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고, 이에 따라 OCB(Optical Compensated Birefringence)모드, VAN(Vertical Aligned Nematic)모드 및, IPS(InPlane Switching)모드와 같이 네마틱액정을 이용한 표시모드나, 계면안정형 강유전성 액정모드 및 반강유전성 액정모드와 같이 스맥틱(smectic)액정을 이용한 표시모드를 채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들 표시모드 중, VAN모드에서는 종래의 TN모드 보다도 짧은 응답시간이 가능하고, 게다가 홈오트로픽배향(homeotropic alignment)을 위해 정전기 파괴 등의 불량을 발생시키는 러빙(rubbing) 처리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각 화소영역을 액정분자의 틸트(tilt)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도메인으로 분할한 멀티도메인형 VAN모드는 시야각의 보상이 비교적 용이한 것으로부터 특히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멀티도메인형 VAN모드의 액정디스플레이는 도메인 분할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디클리네이션(declination) 등에 의해 TN모드의 액정디스플레이에 비해서 투과율이 낮은 경향이 있다. 또한, 멀티도메인형 VAN모드의 액정디스플레이에서는, 반드시 충분하게 짧은 응답시간이 실현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액정디스플레이의 액정표시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액정표시셀에 이용 가능한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에 나타낸 액정표시셀에 도 3에 나타낸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 발생하는 액정분자의 배향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액정표시셀에 도 3에 나타낸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 관찰한 투과율 분포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액정표시셀에 이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2에 나타낸 액정표시셀에 도 6에 나타낸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 발생하는 액정분자의 배향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예1 내지 예3에서 채용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9a는 예1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의 응답시간을 나타낸 그래프,
도 9b는 비교예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의 응답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참조부호의 설명>
2: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어레이 기판),
3: 대향 기판,
4: 액정층,
7: 투명기판(액티브매트릭스 기판),
8: 스위칭소자(TFT),
9: 칼라필터층,
9a~c: 착색층(청, 녹, 적),
10-1: 빗살부,
10-2: 슬릿부,
11: 배향층(액티브매트릭스 기판),
15: 투명기판(대향 전극),
16: 공통전극,
17: 배향층(대향 전극),
25: 액정분자,
31,32: 화살표,
100: 액정디스플레이,
101: 액정표시셀,
102a,102b: 편광판(편광필름),
103a,103b: 1/4파장판,
105a,105b: 원편광소자.
본 발명의 제1측면에 의하면, 액정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서로에 대향한 제1 및 제2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열하면서 상기 제2기판과 대향한 화소전극, 상기 제2기판에 지지되면서 상기 화소전극과 대향한 공통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 사이에 개재한 액정층을 구비한 액정표시셀과, 상기 액정표시셀과 대향한 제1원편광소자, 상기 액정표시셀과 상기 제1원편광소자의 사이에 개재한 제1의 1/4파장판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화소전극 중 하나와 상기 공통전극의 사이에 끼워진 상기 액정층의 영역에 대응한 화소영역 내에,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할 때 투과율 또는 반사율이 서로 다른 제1 및 제2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의 각각은 상기 액정층의 표면에 평행한 제1방향으로 연재하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은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면서 상기 액정층의 상기 표면에 평행한 제2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한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의하면, 액정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서로에 대향한 제1 및 제2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열하면서 상기 제2기판과 대향한 화소전극, 상기 제2기판에 지지되면서 상기 화소전극과 대향한 공통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의 사이에 개재한 액정층을 구비한 액정표시셀과, 상기 액정표시셀과 대향한 제1원편광소자 및, 상기 액정표시셀과 상기 제1원편광소자의 사이에 개재한 제1의 1/4파장판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화소전극 중 하나와 상기 공통전극의 사이에 끼워진 상기 액정층의 영역에 대응한 화소영역 내에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할 때에 전계의 강도 또는 액정분자의 틸트각이 서로 다른 제1 및 제2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 각각은 상기 액정층의 표면에 평행한 제1방향으로 연재하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은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면서 상기 액정층의 상기 표면에 평행한 제2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한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의하면, 액정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서로에 대향한 제1 및 제2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열하면서 상기 제2기판과 대향한 화소전극, 상기 제2기판에 지지되면서 상기 화소전극과 대향한 공통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의 사이에 개재한 액정층을 구비한 액정표시셀과, 상기 액정표시셀과 대향한 제1원편광소자와, 상기 액정표시셀과 상기 제1원편광소자의 사이에 개재한 제1의 1/4파장판을 구비하고, 상기 화소전극 각각은 빗살의 길이방향이 서로 다르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 복수의 빗형상 도전층을 구비한 것이 제공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액정디스플레이(100)는 VAN형의 액정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액정표시셀(101)을 한 쌍의 편광판(102a 및 102b)으로 사이에 끼우고, 액정표시셀(101)과 편광판(102a)의 사이 및 액정표시셀(101)과 편광판(102b)의 사이에 1/4파장판(103a 및 103b)을 각각 개재시킨 구조를 갖는다. 또한, 편광판(102a)과1/4파장판(103a)과는 원편광소자(105a)를 구성하고, 편광판(102b)과 1/4파장판(103b)과는 원편광소자(105a)를 구성한다. 또한,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 「1/4파장판」은 한 쌍의 편광성분에 1/4파장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리타데이션필름(retardation film) 및 리타데이션시트의 쌍방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액정디스플레이(100)의 액정표시셀(10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액정표시셀은 액티브매트릭스 기판(혹은 어레이 기판:2)과 대향 기판(3)의 사이에 액정층(4)을 끼워 지지시킨 구조를 갖는다. 이들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과 대향 기판(3)의 간격은 도시되지 않은 스페이서에 의해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은 유리기판과 같은 투명기판(7)을 갖는다. 투명기판(7)의 한쪽의 주면 상에는 배선 및 스위칭소자(8)가 형성된다. 또한, 이들의 위에는 칼라-필터층(9), 화소전극(10) 및 배향막(11)이 순차 형성된다.
투명기판(7) 상에 형성하는 배선은 알루미늄, 몰리브덴 및, 구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사선 및 신호선 등이다. 또한, 스위칭소자(8)는, 예컨대 아몰퍼스실리콘이나 폴리실리콘을 반도체층으로 하고, 알루미늄, 몰리브덴, 크롬, 동 및, 백금 등을 메탈층으로 한 TFT이고, 주사선 및 신호선 등의 배선 및 화소전극(10)과 접속한다.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소망의 화소전극(10)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칼라필터층(9)은, 청, 녹, 적색의 착색층(9a 내지 9c)으로 구성된다. 칼라필터층(9)에는 콘택트홀(contact hole)이 설치되고, 화소전극(10)은 이 콘택트홀을매개로 스위칭소자(8)와 접속된다. 착색층(9a 내지 9c)은 착색 염료(coloring dye)나 착색 안료(coloring pigment)를 포함한 감광성 수지를 이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화소전극(10)은 ITO와 같은 투명도전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화소전극(10)은, 예컨대 스퍼터링법 등에 의해 박막을 형성한 후, 포토리소그래피기술 및 에칭기술을 이용해서 그 박막을 패터닝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화소전극(10) 상에 형성하는 배향막(11)은 폴리이미드 등의 투명수지로 이루어지는 박막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서는 이 배향막(11)에는 러빙 처리는 실시하지 않고 수직 배향막으로 하고 있다.
대향 기판(3)은 유리기판과 같은 투명기판(15) 상에, 공통전극(16) 및 배향막(17)을 순차 형성한 구조를 갖는다. 이들 공통전극(16) 및 배향막(17)은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에 설치된 화소전극(10) 및 배향막(11)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공통전극(16)은 평탄한 연속 막으로 형성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액정표시셀(101)에 이용 가능한 구조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구조에서는 하나의 화소전극(10)은 빗살의 길이방향이 서로 다르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4개의 빗형상 도전층(10a 내지 10d)으로 구성된다. 화소전극(10)을 구성하는 각각의 빗형상 도전층(10a 내지 10d)은 빗살부(10-1)와 슬릿부(slit:10-2)를 서로 그리고, 반복해서 배치한 구조를 갖는다. 도 2에 나타낸 액정표시셀(101)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화소영역을 화소전극(10)을 구성하는 빗형상 도전층(10a 내지 10d)에 대응해서 액정분자의 틸트방향이 서로 다른 4개의 도메인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에 나타낸 액정표시셀(101)에 도 3에 나타낸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 생기는 액정분자의 배향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c는 평면도이고, 도 4b 및 도 4d는 도 4a 및 도 4c에 나타낸 구조를 도면 중 하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d는 간략화하기 위해서, 몇몇 구성요소를 생략한다.
화소전극(10)과 공통전극(16)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경우, 배향막(11 및 17)은 액정층(4)을 구성하는 액정분자(25), 구체적으로는 유전율이방성이 부인 액정분자에 대해 이들을 수직배향시키도록 작용한다. 이에 따라, 액정분자(25)는 이들의 장축이 배향막(11)의 막 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되도록 배향한다.
화소전극(10)과 공통전극(16)의 사이에 비교적 낮은 제1전압을 인가하면, 화소전극(10)에 설치된 슬릿부(10-2)의 상방향에는 누설전계(stray electric field)가 생긴다. 즉, 여기서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울어진 전기력선이 생긴다.
화소전극(10)과 공통전극(16)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생기는 전계는 액정분자(25)에 대해서, 그 전기력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시키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액정분자(25)는 배향막(11 및 17) 및 전계로부터의 작용에 의해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향하도록 한다.
그러나, 도 4a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우측의 액정분자(25)의 배향상태와 좌측의 액정분자(25)의 배향상태가 서로 간섭한다. 이에 따라, 액정분자(25)는 도면 중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틸트방향을 변화시켜서 보다 안정한 배향상태를 취하려 한다.
여기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살부(10-1) 및 그 근방이 도면 중 상하방향에 관해서 대칭적인(혹은, 등방적인)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액정분자(25)가 화살표(3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틸트방향을 변화시키는 확률과 화살표(3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틸트방향을 변화시키는 확률과는 동일하게 된다.
이에 대해,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살부(10-1) 및 그 근방이 도면 중 상하방향에 관해서 비대칭(혹은 이방적인) 형상을 갖고 있는 경우, 화소전극(10)의 양단부 사이에 전기력선이 비대칭으로 되고, 동일하게 슬릿부(10-2)의 양 단부 사이에서도 전기력선이 비대칭으로 된다. 이에 따라, 액정분자(25)가 화살표(32)로 나타낸 방향으로 배향한 배향상태는 액정분자(25)가 화살표(3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배향한 배향상태에 비해서 보다 안정으로 된다. 그 결과, 액정분자(25)의 평균적인 틸트방향(디렉터)은 도 4c에 화살표(3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된다.
화소전극(10)과 공통전극(16)의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1전압보다도 높은 제2전압으로까지 높이면, 배향막(11 및 17)이 액정분자(25)를 수직배향시키도록 하는 작용에 대해서 전계가 액정분자(25)를 그 전기력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향시키도록 하는 작용이 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액정분자(25)는 수평배향(homogeneousalignment)에 가까운 방향으로 틸트각을 변화시킨다.
여기서, 전극(10 및 16)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2전압으로 한 경우에도 전극(10 및 16)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1전압으로 한 경우와 동일하게, 액정분자(25)가 화살표(32)로 나타낸 방향으로 배향한 배향상태는 액정분자(25)가 화살표(31)로 나타낸 방향으로 배향한 배향상태에 비해서 보다 안정하다. 이에 따라, 전극(10 및 16)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1 및 제2전압 사이에서 변화시킨 경우, 액정분자(25)의 디렉터는 빗살부(10-1)나 슬릿부(10-2)의 배열방향에 수직한 면내에서 변화하는 것으로 된다. 즉, 전극(10 및 16)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1 및 제2전압 사이에서 변화시킨 경우, 액정분자(25)는 그 평균적인 틸트방향을 빗살부(10-1)나 슬릿부(10-2)의 배열방향에 수직한 면 내에 유지한 그대로 틸트각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화소전극(10)을 구성하는 4개의 빗형상 도전층(10a 내지 10d) 사이에서 빗살부(10-1)나 슬릿부(10-2)의 길이방향을 다르게 해버리는 것에 의해, 액정분자(25)의 틸트방향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한 그대로, 그 틸트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에 설치된 구조만으로 1개의 화소영역 내에 액정분자(25)의 틸트방향이 서로 다른 4개의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분자(25)의 평균적인 틸트방향을 빗살부(10-1)나 슬릿부(10-2)의 배열방향에 수직한 면 내에 유지한 그대로 틸트각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짧은 응답시간을 실현할 수 있는 것에 더해서, 배향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게 양호한 배향 분할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영역 내에 평면파 형상의 전계의 강도의 분포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강도를 변화시켜서 액정층(4)의 광학 특성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표시를 행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제어를 행하는 경우, 액정층(4) 중의 빗살부(10-1) 상의 부분에는 슬릿부(10-2) 상의 부분에 비해서 보다 강한 전계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빗살부(10-1) 상의 부분에서는 슬릿부(10-2) 상의 부분에 비해서 액정분자(25)는 보다 크게 쓰러진다. 즉, 액정층(4)의 빗살부(10-1) 상의 부분과 슬릿부(10-2) 상의 부분에서는 액정분자(25)의 평균적인 틸트각은 서로 다르다. 이와 같은 틸트각의 차이는 광학적인 차이로서 관찰 가능하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액정표시셀(101)에 도 3에 나타낸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 관찰되는 투과율 분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액정표시셀(101)의 광원측 및 관찰자측에 한 쌍의 편광판(흑은, 편광 필름)을 이들의 투과용이축(transmission easy axis)이 빗살부(10-1)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전극(10 및 16) 사이에 제1전압 내지 제2전압의 범위 내의 제3전압을 인가한 경우에 관찰한 평면파 형상의 투과율 분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 특징은 광학적 특성으로서 관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도 5에 나타낸 투과율 분포에서는 빗형상 도전층(10a 내지 10d) 사이의 경계 위치에 대략 십(十)자형상의 암(暗)부가 발생한다. 보다 밝은 표시를 행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암부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다른 액정디스플레이(100)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표시셀(101)과 편광판(102a)의 사이 및 액정표시셀(101)과 편광판(102b) 사이에 1/4파장판(103a 및 103b)을 각각 개재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하면,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된 대략 십자형상의 암부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상기 십자형상의 흑선 이상은 빗형상 도전층(10a 내지 10d) 사이의 경계 위치에서는 액정분자(25)의 틸트방향이 편광판의 투과용이축과 평행 또는 수직으로 되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다. 1/4파장판(103a 및 103b)을 이용하면, 액정층(4)에는 직선편광이 아니라 원편광이 입사하기 때문에, 투과율의 틸트방향 의존성이 삭감한다. 따라서, 명(明)표시 시에 십자형상의 흑선 이상은 없게 되고, 투과율이 향상한다. 또한, 1/4파장판(103a 및 103b)을 이용해도 투과율의 틸트각 의존성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암표시가 밝게 되는 일은 없다. 또한, 빗살부(10-1)나 슬릿부(10-2)에 대응한 빗살형상의 투과율 분포도 관찰될 수 있다.
1/4파장판(103a 및 103b)을 이용한 경우, 명표시 시의 투과율이 증가하는 것에 더해,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겉보기 상의 응답시간도 짧게 된다. 전압 인가 후의 액정분자의 배향 변화과정에서는, 우선 액정분자(25)가 쓰러지고, 다음에 쓰러진 액정분자(25)의 틸트방향이 변화한다(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1/4파장판(103a 및 103b)을 이용하면, 투과율의 틸트방향 의존성이 없게 되기 때문에, 액정분자(25)가 쓰러진 시점에서 투과율 변화는 완료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겉보기 상의 응답시간은 짧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 구조에서는 빗살부(10-1)나 슬릿부(10-2)의 폭을 일정하게 했지만, 빗살부(10-1)나 슬릿부(10-2)의 폭을 이들의 길이방향에따라서 변화시켜도 된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액정표시셀(101)에서 이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우선, 도 7은 도 2에 나타낸 액정표시셀(101)에 도 6에 나타낸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 발생하는 액정분자의 배향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에서는 화소전극(10)을 구성하는 4개의 빗형상 도전층(10a 내지 10d) 중 도전층(10a)만을 묘사하고, 도 7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도전층(10a)의 일부만을 묘사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구조에서는 빗살부(10-1)의 폭은 화소전극(10)의 중앙부로부터 주연부로 향해서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슬릿부(10-2)의 폭은 화소전극(10)의 중앙부로부터 주연부로 행해서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살부(10-1)의 상단에서의 액정배향 및 슬릿부(10-2)의 하단에서의 액정배향에 더해서, 빗살부(10-1)나 슬릿부(10-2)의 양측단에서의 액정배향도 디렉터의 방향이 화살표(32)로 나타낸 방향으로 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구조에 의하면, 투과율을 더 높이는 것이나 응답시간을 더 짧게 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화소전극(10)을 빗살부(10-1)와 슬릿부(10-2)를 구비한 빗살형상 도전층(10a 내지 10d)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각 도메인 내에 전계의 강도가 약한 영역과 전계의 강도가 강한 영역을 교대로 그리고 주기적으로 배열한 전계분포를 발생시켰다. 이와 같이, 빗살형 도전층(10a 내지 10d)을 이용한 경우, 비교적 높은 자유도로 설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계분포는 다른 방법으로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슬릿부(10-2)가 설치되지 않은 일반적인 형상의 화소전극(10) 상에 슬릿부(10-2)와 동일한 패턴으로 유전체층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유전체층의 재료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노보랙(noborac)계 수지 등과 같이 액정 재료 보다도 유전율이 낮은 것이면, 유전체층의 상방향으로 전계의 강도가 보다 약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릿부(10-2)를 설치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슬릿부(10-2)가 설치되지 않은 일반적인 형상의 화소전극(10) 상에, 투명절연체층을 매개로 배선을 설치해도 된다. 이 배선은, 예컨대 신호선, 게이트선, 보조 용량 배선 등이고, 슬릿부(10-2)와 동일한 패턴으로 배열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배선의 상방향에 전계의 강도가 보다 강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도 슬릿부(10-2)를 형성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액정디스플레이(100)가 투과형(transmissive type)인 경우, 상기된 유전체층 및 배선의 재료는 투과율의 관점으로부터 투명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정디스플레이(100)가 반사형(reflective type)인 경우, 상기된 유전체층 및 배선의 재료로서 투명한 재료에 더해서 금속재료와 같이 불투명한 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액정층(4) 중의 전계의 강도가 보다 강한 영역의 폭(W1)과 전계의 강도가 보다 약한 영역의 폭(W2)의 합(W12)은 20㎛ 이하인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합(W12)이 20㎛ 이하이면, 액정분자의 배향을 상기된 바와 같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충분한 투과율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합(W12)은 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합(W12)이 6㎛ 이상이면, 액정층(4) 중에 전계의 강도가 보다 강한 영역과 보다 약한 영역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구조를 충분히 높은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는 것에 더해서 상기된 액정배향을 안정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합(W12)은 화소전극(10)의 빗살부(10-1)의 폭과 슬릿부(10-2) 폭의 합, 화소전극(10) 상의 유전체층에 끼워진 영역의 폭과 유전체층의 폭의 합, 화소전극(10) 상에 설치된 배선의 폭과 배선에 끼워진 영역의 폭의 합, 제3전압인가 시에 틸트각이 보다 큰 영역의 폭 보다 작은 영역의 폭과의 합, 제3전압인가 시에 투과율 보다 높은 영역의 폭 보다 낮은 영역의 폭의 합 등과 거의 등가이다. 따라서, 이들 폭도 20㎛ 이하인 것 및 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폭(W1) 및 폭(W2)은 각각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W1) 및 폭(W2)은 각각 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는 응답시간 및 투과율에 관해서 실용상 충분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폭(W1) 및 폭(W2)은 화소전극(10)의 빗살부(10-1)의 폭과 슬릿부(10-2)의 폭, 화소전극(10) 상의 유전체층에 끼워진 영역의 폭과 유전체층의 폭, 화소전극(10) 상에 설치된 배선의 폭과 배선에 끼워진 영역의 폭, 제3전극인가 시에 틸트각이 보다 큰 영역의 폭과 보다 작은 영역의 폭, 제3전압인가 시에 투과율이 보다 높은 영역의 폭과 보다 낮은 영역의 폭 등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폭도 8㎛ 이하인 것 및 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액정층(4) 중의 전계의 강도가 보다 강한 영역의 길이 및 전계의 강도가 보다 약한 영역의 길이는 각각 폭(W1) 및 폭(W2) 보다도 길게되면 좋지만, 이들의 합인 폭(W12)에 대해서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보다 많은 액정분자를 이들 영역의 길이방향으로 배향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정층(4) 중의 전계의 강도가 보다 강한 영역 및 보다 약한 영역의 쌍방을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 관해서 비대칭으로 했지만,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향에 관해서 대칭으로 해도 된다. 단, 전자의 경우, 응답시간 등의 점에서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전율이방성이 부(負)인 네마틱액정을 수직배향시킨 VAN모드를 채용했지만, 유전율이방성이 정(正)인 네마틱액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높은 콘트라스트가 바람직한 경우는 VAN모드를 채용하면서 노멀리 블랙(normally black)으로 하는 것에 의해, 예컨대 400:1 이상의 높은 콘트라스트와 고투과율 설계에 의한 밝은 화면설계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겉보기 상, 액정의 광학응답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편광필름(102a 및 102b)의 투과용이축 혹은 흡수축과 전계가 강한 영역과 약한 영역의 배열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45°로부터 소정의 각도 θ만큼 차이나도 된다. 이 격도 θ는 시야각 등에 따라서 설정할 수도 있지만, 응답시간을 단축하는데는 22.5°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 화소전극(10)을 구성하는 빗살형 도전층(10a 내지 10d)의 형상에 특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직사각형이나 부채꼴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전극을 4개의 빗살형상 도전층(10a 내지 10d)으로 구성했지만, 화소전극을 구성하는 빗살형상 도전층의 수는 2 이상이면 특히 제한은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전압인가 시에 액정층 중에 전계의 강도가 보다 강한 영역과 보다 약한 영역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에만 설치했지만,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 및 대향 기판(3)의 쌍방에 설치해도 된다. 단, 전자의 경우,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과 대향 기판(3)을 접합시켜서 셀을 형성할 때에 얼라인먼트 마크 등을 이용한 고정밀한 위치 맞춤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칼라필터층(9)을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에 설치한 구조(COA:color filter on array)를 채용했지만, 칼라필터층(9)은 대향 기판(3)에 설치해도 된다. 단, 전자의 경우,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과 대향 기판(3)을 접합시켜서 셀을 형성할 때에 얼라인먼트 마크 등을 이용한 고정밀한 위치 맞춤이 불필요하게 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디스플레이(100)가 투과형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반사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1에서 상측을 관찰자측으로 하면, 원편광소자(105a)는 불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1)
본 예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액정디스플레이(100)를 제작했다. 또한, 본 예에서는 화소전극(10)은 도 8a에 나타낸 형상으로 형성했다.
우선, 통상의 TFT형성 프로세서와 동일하게 성막과 패터닝을 반복하고, 유리기판(7) 상에 주사선 및 신호선 등의 배선 및 TFT(8)를 형성했다. 다음에, 유리기판(7)의 TFT(8) 등을 형성한 면에,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칼라필터층(9)을 형성했다.
다음에, 유리기판(7)의 투명절연막(9)을 형성한 면에 대해서, 소정 패턴의 마스크를 매개로 ITO를 스퍼터링했다. 그 후, 이 ITO막 상에 레지스트패턴을 형성하고, 이 레지스트패턴을 마스크로서 이용해서 ITO막의 노출부를 에칭했다. 이상과 같이 해서,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전극(10)을 형성했다. 또한, 여기서는 빗살부(10-1)의 폭 및 슬릿부(10-2)의 폭은 모두 5㎛로 했다.
그 후, 유리기판(7)의 화소전극(10)을 형성한 면의 전면에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하고, 이 도포막을 소성(燒成)하는 것에 의해, 수직배향성을 나타낸 두께 70nm의 배향막(11)을 형성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을 제작했다.
다음에, 별도 준비한 유리기판(15)의 한쪽의 주면 상에 공통전극(16)으로서, 스퍼터링법을 이용해서 ITO막을 형성했다. 이어서, 이 공통전극(16)의 전면에,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에 관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배향막(17)을 형성했다. 이상과 같이 해서 대향 기판(3)을 제작했다.
다음에,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과 대향 기판(3)의 대향면 주연부를 이들의 배향막(11 및 17)이 형성된 면이 대향하도록 그리고, 액정 재료를 주입하기 위해주입로가 남도록 접착제를 매개로 접합시키는 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액정표시셀(101)을 형성했다. 또한, 이 액정표시셀(101)의 셀 갭(gap)은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과 대향 기판(3)의 사이에 스페이서로서 높이 4㎛의 수지를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했다. 또한, 이들 기판(2 및 3)을 접합시킬 때, 기판(2 및 3)의 위치 맞춤은 이들의 단면 위치를 일치하게 하는 것에 의해 행하고, 얼라인먼트 마크 등을 이용하는 고정밀한 위치 맞춤은 행해지지 않는다.
다음에, 이 공(空)의 액정표시셀(101) 중에 유전율이방성이 부인 액정 재료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주입해서 액정층(4)을 형성했다. 그 후, 액정주입구를 자외선 경화 수지로 봉지하고, 액정표시셀(101)의 양면에 1/4파장판(103a 및 103b)을 점착하며, 더욱이 이들의 위에 편광필름(102a 및 102b)을 각각 붙이는 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액정디스플레이(100)를 얻었다. 여기서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필름(102a 및 102b)은 이들의 투과용이축(도면 중 양 화살표로 나타냄)이 빗형상 도전층(10a 내지 10d) 사이의 경계에 대해서 22.5° 또는 67.5°의 각도를 이루도록 붙였다. 또한, 1/4파장판(103a 및 103b)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광축이 편광필름(102a 및 102b)의 투과용이축에 대해서 45°의 각도를 이루는 한편, 이들 광축끼리가 직교하도록 붙였다. 또한, 이 액정디스플레이(100)는, 예컨대 화소전극(10)과 공통전극(16)의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을 약 1.5V와 약 5V의 사이에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구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해서 제작한 액정디스플레이(100)를 화소전극(10)과 공통전극(16)의 사이에 5V의 전압을 인가한 상태로 관찰했다. 그 결과,화소전극(10)의 빗살부(10-1)와 슬릿부(10-2)에 대응한 투과율분포가 보여졌지만, 빗형상 도전층(10a 내지 10d) 사이의 경계에 대응한 대략 십자형상의 암부는 보여지지 않았다.
(비교예)
1/4파장판(103a 및 103b)을 사용하지 않는 것 이외는 상기 예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액정디스플레이를 제작했다. 이 액정디스플레이(100)를 화소전극(10)과 공통전극(16)의 사이에 5V의 전압을 인가한 상태로 관찰했다. 그 결과, 화소전극(10)의 빗살부(10-1)와 슬릿부(10-2)에 대응한 투과율분포에 더해서, 빗형상 도전층(10a 내지 10d) 사이의 경계에 대응한 대략 십자형상의 암부가 보여졌다.
다음에, 예1에서 제작한 액정디스플레이(100)와 본 비교예에서 제작한 액정디스플레이에 대해서, 화소전극(10)과 공통전극(16)의 사이에 5V의 전압을 인가해서, 전압 인가 개시로부터의 경과시간에 따른 투과율 변화를 조사했다. 즉, 겉보기 상의 응답시간을 조사했다.
도 9a는 예1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100)의 응답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b는 비교예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의 응답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 중, 횡축은 전압인가 개시로부터 경과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은 투과율을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압인가 개시로부터의 투과율 변화가 완료하기까지의 시간인 응답시간(Ton)은 비교예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에서는 25ms였던 것에 대해서, 예1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100)에서는 10ms로 반분 이하로 단축되었다. 또한, 예1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10)에서는 비교예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에 비해서 높은 투과율이 얻어졌다.
(예2)
화소전극(10)을 도 8에 나타낸 형상으로 하고, 빗살부(10-1)의 폭 및 슬릿부(10-2)의 폭을 모두 4㎛로 한 것 이외는 예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액정디스플레이(100)를 제작했다. 또한, 이 액정디스플레이(100)는, 예컨대 화소전극(10)과 공통전극(16)의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을 약 1.5V와 약 5V 사이에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해서 제작한 액정디스플레이(100)를 화소전극(10)과 공통전극(16)의 사이에 5V의 전압을 인가한 상태로 관찰했다. 그 결과, 화소전극(10)의 빗살부(10-1)와 슬릿부(10-2)에 대응한 투과율분포가 보여졌지만, 빗형 도전층(10a 내지 10d) 사이의 경계에 대응한 대략 십자형상의 암부는 보여지지 않았다. 또한, 이 액정디스플레이(100)의 응답시간 및 투과율은 예1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100)와 동등했다.
(예3)
화소전극(10)을 도 8c에 나타낸 형상으로 한 것 이외는 예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액정디스플레이(100)를 제작했다. 또한, 이 액정디스플레이(100)는, 예컨대 화소전극(10)과 공통전극(16)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을 약 1.5V와 약 5V 사이에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해서 제작한 액정디스플레이(100)를 화소전극(10)과 공통전극(16)의 사이에 5V의 전압을 인가한 상태로 관찰했다. 그 결과, 화소전극(10)의 빗살부(10-1)와 슬릿부(10-2)에 대응한 투과율분포가 보여졌지만, 빗형상 도전층(10a 내지 10d) 사이의 경계에 대응한 대략 십자형상의 암부는 보여지지 않았다. 또한, 이 액정디스플레이(100)의 응답시간 및 투과율은 예1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100)와 동일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화소전극 내에 소정의 패턴으로 전계 강도의 분포를 형성해서 액정분자의 틸트방향을 제어하고, 이에 의해 화소영역을 액정분자의 틸트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도메인으로 분할 한 경우, 이들 도메인 사이의 경계에서는 액정분자의 틸트방향을 소망의 방향으로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명표시 시에 암부를 발생한다. 또한, 이 경우, 이들 도메인 사이의 경계에서는 틸트방향이 안정화할 때까지 비교적 긴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전압인가로부터 투과율이 안정화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길다.
이에 대해서, 본 기술에서는, 액정표시셀과 편광판의 사이에 1/4파장판을 개재시켜서 액정층에 직선편광이 아니라 원편광을 입사시키기 때문에, 투과율의 틸트방향 의존성이 삭감한다. 따라서, 명표시 시에 도메인 사이의 경계에 암부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 그리고, 투과율이 안정화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이 기술에 의하면, 멀티도메인형 VAN모드를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높은 투과율 및 짧은 응답시간의 쌍방을 실현 가능하게 된다.
당업자에 있어서는, 부가적인 장점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상세한 설명 및 대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양한 변형이 첨부된 청구항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투과율이 높고, 충분하게 짧은 응답시간이 실현되는 신규한 액정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액정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서로에 대향한 제1 및 제2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열하면서 상기 제2기판과 대향한 화소전극, 상기 제2기판에 지지되면서 상기 화소전극과 대향한 공통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 사이에 개재한 액정층을 구비한 액정표시셀과,
    상기 액정표시셀과 대향한 제1원편광소자,
    상기 액정표시셀과 상기 제1원편광소자의 사이에 개재한 제1의 1/4파장판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화소전극 중 하나와 상기 공통전극의 사이에 끼워진 상기 액정층의 영역에 대응한 화소영역 내에,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할 때 투과율 또는 반사율이 서로 다른 제1 및 제2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 각각은 상기 액정층의 표면에 평행한 제1방향으로 연재하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은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면서 상기 액정층의 상기 표면에 평행한 제2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제2원편광소자와, 상기 제1 및 제2원편광소자는 상기 액정표시셀을 사이에 끼우고, 상기 액정표시셀과 상기 제2원편광소자의 사이에 개재한 제2의 1/4파장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부의 유전율이방성을 갖는 액정 재료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 상에 배치된 제1수직배향막과,
    상기 공통전극 상에 배치된 제2수직배향막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 상에 배치된 제1수직배향막과,
    상기 공통전극 상에 배치된 제2수직배향막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액정층은 부의 유전율이방성을 갖는 액정 재료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 각각은 빗살의 길이방향이 서로 다르면서 서로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복수의 빗형상 도전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7. 액정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서로에 대향한 제1 및 제2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열하면서 상기 제2기판과 대향한 화소전극, 상기 제2기판에 지지되면서 상기 화소전극과 대향한 공통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의 사이에 개재한 액정층을 구비한 액정표시셀과,
    상기 액정표시셀과 대향한 제1원편광소자 및,
    상기 액정표시셀과 상기 제1원편광소자의 사이에 개재한 제1의 1/4파장판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화소전극 중 하나와 상기 공통전극의 사이에 끼워진 상기 액정층의 영역에 대응한 화소영역 내에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할 때에 전계의 강도 또는 액정분자의 틸트각이 서로 다른 제1 및 제2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 각각은 상기 액정층의 표면에 평행한 제1방향으로 연재하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은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면서 상기 액정층의 상기 표면에 평행한 제2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영역은 전계의 강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영역은 상기 액정분자의 틸트각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10. 제7항에 있어서, 제2원편광소자와, 상기 제1 및 제2원편광소자는 상기 액정표시셀을 끼우고, 상기 액정표시셀과 상기 제2원편광소자의 사이에 개재한 제2의1/4파장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부의 유전율이방성을 갖는 액정 재료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 상에 배치된 제1수직배향막과,
    상기 공통전극 상에 배치된 제2수직배향막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 상에 배치된 제1수직배향막과,
    상기 공통전극 상에 배치된 제2수직배향막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액정층은 부의 유전율이방성을 갖는 액정 재료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 각각은 빗살의 길이방향이 서로 다르면서 서로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복수의 빗형상 도전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15. 액정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서로에 대향한 제1 및 제2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열하면서 상기 제2기판과 대향한 화소전극, 상기 제2기판에 지지되면서 상기화소전극과 대향한 공통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의 사이에 개재한 액정층을 구비한 액정표시셀과,
    상기 액정표시셀과 대향한 제1원편광소자 및,
    상기 액정표시셀과 상기 제1원편광소자의 사이에 개재한 제1의 1/4파장판을 구비하고,
    상기 화소전극 각각은 빗살의 길이방향이 서로 다르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빗형상 도전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원편광소자와, 상기 제1 및 제2원편광소자는 상기 액정표시셀을 끼우고, 상기 액정표시셀과 상기 제2원편광소자의 사이에 개재한 제2의 1/4파장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부의 유전율이방성을 갖는 액정 재료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 상에 배치된 제1수직배향막과,
    상기 공통전극 상에 배치된 제2수직배향막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 상에 배치된 제1수직배향막과,
    상기 공통전극 상에 배치된 제2수직배향막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액정층은 부의 유전율이방성을 갖는 액정 재료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KR1020030056125A 2002-08-14 2003-08-13 액정디스플레이 KR200400164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36497A JP2004077697A (ja) 2002-08-14 2002-08-14 液晶表示装置
JPJP-P-2002-00236497 2002-08-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404A true KR20040016404A (ko) 2004-02-21

Family

ID=32020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125A KR20040016404A (ko) 2002-08-14 2003-08-13 액정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100607A1 (ko)
JP (1) JP2004077697A (ko)
KR (1) KR20040016404A (ko)
TW (1) TWI23187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9385B2 (en) 2009-09-16 2012-10-02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US10409117B2 (en) 2015-02-17 2019-09-10 Samsung Dispi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7148B2 (ja) * 2004-04-09 2011-02-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JP2006133619A (ja) * 2004-11-08 2006-05-25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453086B2 (en) 2005-01-14 2008-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 film transistor panel
KR20070051642A (ko) * 2005-11-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JP5075718B2 (ja) * 2008-04-08 2012-11-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KR20100012080A (ko) * 2008-07-28 2010-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레이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EP2416212A4 (en) * 2009-03-31 2013-10-02 Sharp Kk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R112012001903A2 (pt) * 2009-07-30 2016-03-15 Sharp Kk dispositivo de exibição de cristal líquido
TWI485495B (zh) * 2011-01-26 2015-05-21 Innolux Corp 液晶顯示裝置
CN102681271A (zh) * 2012-05-24 2012-09-1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其应用的显示装置
JP2014095783A (ja) 2012-11-08 2014-05-22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CN110908160B (zh) * 2019-12-10 2021-07-06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965A (ko) * 1997-11-14 1999-06-25 야마모토 히데키 적층파장판, 원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JP2001108957A (ja) * 1999-10-04 2001-04-20 Asahi Glass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020024720A (ko) * 2000-09-26 2002-04-01 윤종용 광시야각 액정 표시 장치
KR20020043943A (ko) * 2000-12-05 2002-06-12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프린지 필드 구동 모드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904B1 (ko) * 1998-05-19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시야각액정표시장치
US6642984B1 (en) * 1998-12-08 2003-11-04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wide transparent electrode and stripe electrodes
US6927824B1 (en) * 1999-09-16 2005-08-09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TW588171B (en) * 2001-10-12 2004-05-21 Fujitsu Display Tec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965A (ko) * 1997-11-14 1999-06-25 야마모토 히데키 적층파장판, 원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JP2001108957A (ja) * 1999-10-04 2001-04-20 Asahi Glass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020024720A (ko) * 2000-09-26 2002-04-01 윤종용 광시야각 액정 표시 장치
KR20020043943A (ko) * 2000-12-05 2002-06-12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프린지 필드 구동 모드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9385B2 (en) 2009-09-16 2012-10-02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US10409117B2 (en) 2015-02-17 2019-09-10 Samsung Dispi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07592A (en) 2004-05-16
US20040100607A1 (en) 2004-05-27
JP2004077697A (ja) 2004-03-11
TWI231873B (en) 2005-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1928B1 (ko) 액정디스플레이
US6781657B1 (en) Method of producing two domains within a liquid crystal lay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40324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6005584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7018289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1249350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16404A (ko) 액정디스플레이
JP2009258332A (ja) 液晶表示装置、電子機器
JP4760223B2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4151525A (ja) 液晶表示装置
JP2002214613A (ja) 液晶表示装置
JP2005037784A (ja) 液晶表示素子
JP4104374B2 (ja) 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4127623B2 (ja) 液晶表示装置
JPH0829790A (ja) 液晶表示装置
JP2004077699A (ja) 液晶表示装置
JP2004077698A (ja) 液晶表示装置
KR19980028453A (ko) 평면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
JP2001125144A (ja) 液晶表示装置
KR100708795B1 (ko) 액정 표시 소자
JP2003315776A (ja) 液晶表示装置
JP2003315781A (ja) 液晶表示装置
JP2004037853A (ja) 液晶表示装置
KR100259894B1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3315812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