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240Y1 - 전원 안정화수단을 내장한 매립형 발광다이오드 투광등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원 안정화수단을 내장한 매립형 발광다이오드 투광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240Y1
KR200372240Y1 KR20-2004-0028679U KR20040028679U KR200372240Y1 KR 200372240 Y1 KR200372240 Y1 KR 200372240Y1 KR 20040028679 U KR20040028679 U KR 20040028679U KR 200372240 Y1 KR200372240 Y1 KR 200372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d
lamp unit
len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김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수 filed Critical 김봉수
Priority to KR20-2004-0028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2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2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 안정화수단을 내장한 매립형 발광다이오드(LED) 투광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은, LED를 구비하는 램프부, LED의 밝기 제어신호 및 온/오프(ON/OFF) 제어신호를 설정하는 중앙제어부, LED를 구동하는 구형파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를 내장하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정밀 전류센싱 저항을 구비하며 램프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전류값을 출력하는 전류 센싱부; 중앙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전류센싱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부; 펄스폭변조기(PWM)을 구비하며 비교부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구형파의 온(ON)시간의 펄스폭을 변조하는 펄스폭제어부; 디지탈스위치로 이루어지며 펄스폭제어부의 출력신호에 기초한 구형파를 발생하는 스위칭부; 스위칭부에서 수신된 구형파신호를 L(코일), C(콘덴서)필터를 통하여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은, 선단부에 수나사를 가지고 있는 수납통과, 내측에 암나사를 구비하여 상기 수납통의 수나사와 결합하는 헤드캡을 구비하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은, LED를 구비하는 램프부, LED를 구동하는 구형파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처리부, 램프부의 위에 장착되며 상기 LED로부터 방사된 광선들이 모두 직진방향의 광빔으로 집속되어 전방으로 직진하게하여 밝기를 증가시키는 콜리메이터(collimator) 렌즈를 수납하며; 상기 헤드캡은, 전면에 광빔이 발사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선두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걸림턱내측에 고무링 및 투명렌즈가 순차적으로 장착되어 광빔이 발사되는 투명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원 안정화수단을 내장한 매립형 발광다이오드 투광등 시스템{Built-in Type LED Flood Light with stabilized power supply}
본 고안은 전원 안정화수단을 내장한 매립형 발광다이오드(Luminecent diode)(이하 LED라 함) 투광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투광등은 빛을 모아 일정한 방향으로 비추는 등으로, 매립형 투광등은 건물내의 벽 또는 바닥 등에 매립하여 사용하는 투광등을 말한다.
종래에는 매립형 투광등에 할로겐 램프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러한 매립형 할로겐 램프 투광등은 일반적으로 광섬유로 된 광케이블에 연결되어서 설치되어진다. 매립형 할로겐 램프 투광등들은 일단 설치되고 나면 수정이 거의 불가능하며재시공을 하는 경우 자재의 재활용상 어려움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A/S에 어려움이 많다. 종래의 투광등은 광케이블이 끊어지면 처음부터 다시 설치하는 재시공을 해야하므로 A/S 비용도 많이 들게 되며, 확장이 어렵다.
따라서 광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수정이 수월하며, A/S 및 확장이 용이한 매립형 투광등이 요망된다.
또한 종래의 매립형 LED 투광등은 LED 간의 색깔정도를 조정할 수 없으며, 과전압, 과전류에 대한 보호장치가 없어서, 과전압, 과전류에 의한 고장이 잦았다. 특히 종래의 매립형 투광등은 과전압, 과전류에 대한 보호장치가 없이 광원과 제어단자가 바로 연결되어 있어, 과전압/과전류에 의해 램프의 파손 또는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 등을 막을 수 없었다. 따라서 이는 종래의 매립형 LED 투광등의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종래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은 선간 전류가 높을 경우 LED 투광등간의 연결을 하지못하거나 하더라도 선의 굵기가 굵은 선을 사용해야 했으므로 소수의 LED 투광등만 연결할 수 있었다.
따라서 LED간의 색깔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과전압 및 과전류에 대한 보호장치인 전원 안정화수단을 내장하고 있는 투광등이 요망된다. 또한 선간전류가 높을 경우라도 다수개의 LED 투광등이 연결될 수 있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이 요망된다.
그리고 매립형 투광등은, 바닥에 설치 되었을 때, 방수되며, 먼지들이 끼지않으며, 돌출되지 않게 되어있어, 사용이 편리하게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램프의 손상과 노이즈에 대한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고 다수개의 LED 투광등을 연결 가능한 매립형 투광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A/S, 확장, 사용이 용이한 매립형 투광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방수되며, 먼지들이 끼지않으며, 돌출되지 않게 되어있어, 사용에 편리한 매립형 투광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의 외관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특징점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은, LED를 구비하는 램프부, LED의 밝기 제어신호 및 온/오프(ON/OFF) 제어신호를 설정하는 중앙제어부, LED를 구동하는 구형파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를 내장하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정밀 전류센싱 저항을 구비하며 램프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전류값을 출력하는 전류 센싱부; 중앙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전류센싱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부; 펄스폭변조기(PWM)을 구비하며 비교부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구형파의 온(ON)시간의 펄스폭을 변조하는 펄스폭제어부; 디지탈스위치로 이루어지며 펄스폭제어부의 출력신호에 기초한 구형파를 발생하는 스위칭부; 스위칭부에서 수신된 구형파신호를 L(코일), C(콘덴서)필터를 통하여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은 상기 중앙제어부와 상기 비교부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하는 제1버퍼앰프; 상기 전류 센싱부와 상기 비교부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하는 제2버퍼앰프;를 더 구비한다.
상기 램프부는 스타(star)구조로 되어 램프부의 후면에 방열금속층을 형성하고 전면 중앙에 하나의 LED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은 상기 램프부의 위에 장착되며 상기 LED로부터 방사된 광선들이 모두 직진방향의 광빔으로 집속되어 전방으로 직진하게하여 밝기를 증가시키는 콜리메이터(collimator) 렌즈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램프부 및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램프부는 상기 렌즈커버의 후단부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커버의 선단부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고안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은, 선단부에 수나사를 가지고 있는 수납통과, 내측에 암나사를 구비하여 상기 수납통의 수나사와 결합하는 헤드캡을 구비하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은, LED를 구비하는 램프부, LED를 구동하는 구형파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처리부, 램프부의 위에 장착되며 상기 LED로부터 방사된 광선들이 모두 직진방향의 광빔으로 집속되어 전방으로 직진하게하여 밝기를 증가시키는 콜리메이터(collimator) 렌즈를 수납하며; 상기 헤드캡은, 전면에 광빔이 발사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선두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걸림턱내측에 고무링 및 투명렌즈가 순차적으로 장착되어 광빔이 발사되는 투명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렌즈는 제1단 및 제2단으로 이루어진 단차를 형성하며 제1단의 두께는 헤드캡의 상기 걸림턱의 두께와 거의 같고 제1단의 반경은 통공의 반경과 거의 같다.
본 고안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램프부 및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램프부는 상기 렌즈커버의 후단부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커버의 선단부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헤드캡의 암나사와 상기 수납통의 수나사가 결합시, 상기 투명렌즈는 걸림턱과 렌즈커버의 선단 사이에 압착 고정 된다.
상기 램프부는 스타(star)구조로 되어 램프부의 후면에 방열금속층을 형성하고 전면 중앙에 하나의 LED를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안정화수단을 내장한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한 블록도로서, 중앙제어부(100), 신호처리부(200), 램프부(800), 전원부(900)로 이루어진다. 또한 신호처리부(200)는 제1버퍼앰프(300), 스위칭제어부(400), 필터부(500), 전류센싱부(600), 제2버퍼앰프(700)으로 이루어지며, 신호처리부(200), 램프부(800)는 투광등 시스템에 내장된다.
중앙제어부(100)는 도1의 투광등 시스템에 있어서 외장되는 부분으로, 램프의 밝기, 온/오프(ON/OFF)를 선택하여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중앙제어부(100)는 스위치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제1버퍼앰프(300)는 중앙제어부(100)와 신호처리부(200)의 임피던스 매칭을 하기위한 것이며, 제1버퍼앰프(300)는 스위칭제어부(400)로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1버퍼앰프(300)는 입출력 노이즈를 차단하여 신호가 찌그러지는 것을 막아준다. 본 발명에서는 제1버퍼앰프(300)로 시판하는 버퍼앰프를 사용하였다.
스위칭제어부(400)는 제1버퍼앰프(300)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스위칭을 하여 구형파를 발생시키며 이를 필터부(500)로 출력하는데, 이때 제1버퍼앰프(300)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제2버퍼앰프(7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비교하여 스위칭제어부(400)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일정한 값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스위칭제어부(400)는 비교부(410), 펄스폭제어부(450), 스위칭부(480)를 구비한다.
비교부(410)는 중앙제어부(100)로부터 제1버퍼앰프(300)를 통해 수신된 신호와 전류센싱부(600)로부터 제2버퍼앰프(700)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비교하여 펄스폭제어부(450)로 출력한다.
펄스폭제어부(450)는 비교부(410)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펄스폭을 변조하며, 펄스폭제어부(450)는 펄스폭 변조기(PWM)으로 이루어 진다. 즉 구형파신호의 한 주기는 온(ON)시간과 오프(OFF)시간으로 구성되는데, 펄스폭제어부(450)는 상기 구형파 신호에서 주기는 일정히 하고 온시간의 시간폭을 변조하는 것이다.
스위칭부(480)는 펄스폭제어부(450)의 출력신호에 기초한 구형파를 발생한다. 즉 스위칭부(480)의 출력신호는 주파수는 일정하며 펄스폭제어부(450)에 의해 온(ON)시간의 펄스폭이 변조된 구형파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스위칭부(480)는 정전류 디지탈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필터부(500)는 스위칭부(480)에서 출력한 구형파신호를 L(코일), C(콘덴서)필터를 통하여 직류전류로 변환시킨다.
전류 센싱부(600)는 램프부(800)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전류값을 제2버퍼앰프로 출력한다. 본 고안에서 전류 센싱부(600)는 시판하는 전류센싱 소자를 사용하였으며, 이 전류센싱 소자는 정밀 전류센싱 저항을 사용하여 양단 드롭전압을 읽어들여 전류값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제2버퍼앰프(700)는 전류 센싱부(600)와 스위칭제어부(400)의 임피던스 매칭을 하기위한 것이며, 제2버퍼앰프(700)는 스위칭제어부(400)로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2버퍼앰프(700)로 시판하는 버퍼앰프를 사용하였다.
램프부(800)는 스위칭제어부(400)의 출력신호가 필터부(500)통해 램프부(800)에 입력되며 램프부(800)의 LED의 밝기는 스위칭제어부(400)의 출력신호의 온 시간폭을 조절함에 의해 제어된다.
도 2는 도 1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3은 도 1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에서 신호처리부(200)을 제외한 내장된 부분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1)은 수납통(50), 헤드캡(10), 신호처리부 수납부(80), 램프부(800), 렌즈(850), 렌즈커버(830), 투명렌즈(880), 고무링(890), 선 출구(90)를 구비한다.
수납통(50)은 선단부에 수나사(60)를 가지고 있어 헤드 캡(10)의 암나사(40)과 맞물려져 여닫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수납통(50)은 신호처리부(200), 램프부(800), 렌즈(850) 등을 수납한다.
헤드캡(10)은 전면에 광빔이 발사되는 통공(20)이 형성되고 선두면에 걸림턱(30)이 형성되며 걸림턱(30) 내측에 고무링(890) 및 투명렌즈(880)가 순차적으로 장착되어 광빔이 발사되는 투명창을 형성한다. 또한 헤드캡(10)은 암나사(40)을 구비하며 이는 수납통(50)의 수나사(60)와 결합하게 되어 있다.
투명렌즈(880)는 제1단 및 제2단으로 이루어진 단차를 형성하며 제1단의 두께는 헤드캡(10)의 걸림턱(30)의 두께와 거의 같고 제1단의 반경은 통공(20)의 반경과 거의 같다. 암나사(40)과 수나사(60)가 결합시 투명렌즈(880)는 걸림턱(30)과 렌즈커버(830)의 선단 사이에 압착 고정 된다. 따라서 헤드캡(10)은 고무링(890) 및 투명렌즈(880)에 의해 밀폐되고, 헤드캡(10)의 상부와 투명창 부분이 도출됨없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방수가 되며 먼지가 끼지 않는다.
고무링(890)은 걸림턱(30)과 투명렌즈사이를 외부로부터 실링한다.
렌즈커버(830)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램프부(800) 및 렌즈(850)를 지지한다. 램프부(800)는 렌즈커버(830)의 후단부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렌즈(850)은 렌즈커버(830)의 선단부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램프부(800)는 미국 루미레즈(Lumileds)사의 럭션(Luxeon)의 스타(star)구조를 사용한다. 스타는 기판의 후면에 방열금속층(810)을 형성하고 전면 중앙에 하나의 LED(820)를 설치하고 그 주변에 방사상으로 6개의 단자들이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제1단자(822)는 LED(820)의 애노드 전극과 연결되고, 좌우의 2개의 제1납땜 전극들(822a)는 제1단자(8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단자(823)는 LED(820)의 캐소드 전극과 연결되고, 좌우의 2개의 제2납땜 전극들(823a)는 제2단자(8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타형 기판구조는 방사돌기들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열방출을 원활하게 하기위한 구조를 가진다. 방열금속층(810)은 열전도율이 좋은 알루미늄 코팅층으로 형성한다. LED(820)의 애노드와 캐소드는 신호처리부(200)의 필터부(500)와 전류 센싱부(600)에 각각 연결된다.
렌즈(850)는 램프부(800)의 위에 설치되며, 콜리메이터(collimator)구조를 가지는 콜리메이터 렌즈를 사용한다. 콜리메이터 렌즈는 변형된 볼록렌즈로 전면은 오목 포물면(865)을 이루고 그 중앙은 볼록돌기(870)를 가지며 후면은 볼록 포물면(866)을 이루고 중앙에 요홈(86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요홈(860)에서 측방으로 방사된 광선은 볼록 포물면(866)에서 전반사되어 전방으로 굴절되어 나아가고, 오목 포물면(865)과 이루는 볼록렌즈의 광학적 특성에 따라서 축방향으로 집중되어 직진하게 된다. 또한 전방으로 방사된 광선은 중앙의 블록돌기와 이루는 볼록렌즈 구조에 의해 축방향으로 집중되면서 전방으로 직진하게 된다. 따라서 LED(820)로부터 방사된 광선들이 콜리메이터를 통과하면서 모두 직진방향의 광빔으로 집속되어 전방으로 직진하는 직진성을 가지게 되므로 밝기를 증가시킨다.
신호처리부 수납부(80)는 신호처리부(200)을 수납하는 부분이다. 신호처리부(200)에 가해지는 전원(900) 및 중앙제어부(100)의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선이 선 출구(90)을 통해 신호처리부(200)와 연결된다. 이때 선 출구(90)에 고무 패킹을 사용하여 방수되게 한다.
도 4는 도 2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의 외관이다. 도 4는 헤드캡(10)은 암나사(40)와 수납통(50)의 수나사(60)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암나사(40)와 수나사(60)가 결합시, 단차를 가지는 투명렌즈(880)의 제1단이 헤드캡(10)의 통공(20)에 고무링(890)과 함께 걸림턱(30)과 렌즈커버(830)의 선단 사이에 압착 고정 된다. 따라서 헤드캡(10)은 고무링(890) 및 투명렌즈(880)에 의해 밀폐되고, 헤드캡(10)의 상부와 투명렌즈(880) 부분이 도출됨없이 평탄하게 형성되며, 방수가 되며 먼지가 끼지 않는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은 전원 안정화 수단을 구비하여 램프의 손상과 노이즈에 대한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고 다수개의 LED 투광등을 연결 가능하고, 종래의 할로겐 램프대신 LED를 사용하여 A/S, 확장,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의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는 방수되며, 먼지들이 끼지않으며, 돌출되지 않게 되어있어, 사용에 편리하다.

Claims (10)

  1. LED를 구비하는 램프부, LED의 밝기 제어신호 및 온/오프(ON/OFF) 제어신호를 설정하는 중앙제어부, LED를 구동하는 구형파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를 내장하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정밀 전류센싱 저항을 구비하며 램프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전류값을 출력하는 전류 센싱부;
    중앙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전류센싱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부;
    펄스폭변조기(PWM)을 구비하며 비교부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구형파의 온(ON)시간의 펄스폭을 변조하는 펄스폭제어부;
    디지탈스위치로 이루어지며 펄스폭제어부의 출력신호에 기초한 구형파를 발생하는 스위칭부;
    스위칭부에서 수신된 구형파신호를 L(코일), C(콘덴서)필터를 통하여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와 상기 비교부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하는 제1버퍼앰프;
    상기 전류 센싱부와 상기 비교부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하는 제2버퍼앰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스타(star)구조로 되어 램프부의 후면에 방열금속층을 형성하고 전면 중앙에 하나의 LE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의 위에 장착되며 상기 LED로부터 방사된 광선들이 모두 직진방향의 광빔으로 집속되어 전방으로 직진하게하여 밝기를 증가시키는 콜리메이터(collimator) 렌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램프부 및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램프부는 상기 렌즈커버의 후단부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커버의 선단부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
  6. 선단부에 수나사를 가지고 있는 수납통과, 내측에 암나사를 구비하여 상기 수납통의 수나사와 결합하는 헤드캡을 구비하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은, LED를 구비하는 램프부, LED를 구동하는 구형파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처리부, 램프부의 위에 장착되며 상기 LED로부터 방사된 광선들이 모두 직진방향의 광빔으로 집속되어 전방으로 직진하게하여 밝기를 증가시키는 콜리메이터(collimator) 렌즈를 수납하며;
    상기 헤드캡은, 전면에 광빔이 발사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선두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걸림턱내측에 고무링 및 투명렌즈가 순차적으로 장착되어 광빔이 발사되는 투명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렌즈는 제1단 및 제2단으로 이루어진 단차를 형성하며 제1단의 두께는 헤드캡의 상기 걸림턱의 두께와 거의 같고 제1단의 반경은 통공의 반경과 거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램프부 및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램프부는 상기 렌즈커버의 후단부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커버의 선단부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캡의 암나사와 상기 수납통의 수나사가 결합시, 상기 투명렌즈는 걸림턱과 렌즈커버의 선단 사이에 압착 고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스타(star)구조로 되어 램프부의 후면에 방열금속층을 형성하고 전면 중앙에 하나의 LE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LED 투광등 시스템.
KR20-2004-0028679U 2004-10-11 2004-10-11 전원 안정화수단을 내장한 매립형 발광다이오드 투광등시스템 KR200372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679U KR200372240Y1 (ko) 2004-10-11 2004-10-11 전원 안정화수단을 내장한 매립형 발광다이오드 투광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679U KR200372240Y1 (ko) 2004-10-11 2004-10-11 전원 안정화수단을 내장한 매립형 발광다이오드 투광등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240Y1 true KR200372240Y1 (ko) 2005-01-10

Family

ID=4935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679U KR200372240Y1 (ko) 2004-10-11 2004-10-11 전원 안정화수단을 내장한 매립형 발광다이오드 투광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2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28B1 (ko) * 2009-06-08 2011-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RU2807500C1 (ru) * 2023-05-17 2023-11-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радиотехники и электроники им. В.А. Котельников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порогового тока светодиод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28B1 (ko) * 2009-06-08 2011-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RU2807500C1 (ru) * 2023-05-17 2023-11-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радиотехники и электроники им. В.А. Котельников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порогового тока светодиод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6173B2 (en) Low profile lamp using TIR lens
CN101688642B (zh) 具有前向散热组件的照明装置
US7686486B2 (en) LED lamp module
US7281820B2 (en) Lighting module assembly and method for a compact lighting device
US7402961B2 (en) Circuit for illuminating multiple light emitting devices
US7651240B2 (en) Combination task lamp and flash light
US20070159009A1 (en) Method of using a single pole single throw switch to provide three operative states
US20130223065A1 (en) Street lamp
JP5447926B2 (ja) 車輌用前照灯
JP2017027045A (ja) 回し込み式口金付きカメラベース装置
CN211551215U (zh) 手电筒
KR101475888B1 (ko) Led 조명 장치
KR200372240Y1 (ko) 전원 안정화수단을 내장한 매립형 발광다이오드 투광등시스템
JP2006238185A (ja) 光電スイッチ用投光ヘッド
KR200377622Y1 (ko) 방열형 발광다이오드 투광등 시스템
US8721138B2 (en) Light conduit nautical navigation light
KR200312459Y1 (ko) 발광다이오드 손전등
JP2016054069A (ja) 車両用灯具の点灯回路、車両用灯具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H10240175A (ja) 照明装置
US20180163943A1 (en) Wide-angle illumination and waterproof led lamp structure
CN113028307A (zh) 手电筒
WO2019057215A1 (en) LAMP
US11708020B2 (en) Lighting unit with electronically modulated beam configuration
JP2014232646A (ja) ランプ
CN210199998U (zh) 一种耐用型交通信号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