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682Y1 - 절곡형 상자 - Google Patents

절곡형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682Y1
KR200356682Y1 KR20-2004-0010323U KR20040010323U KR200356682Y1 KR 200356682 Y1 KR200356682 Y1 KR 200356682Y1 KR 20040010323 U KR20040010323 U KR 20040010323U KR 200356682 Y1 KR200356682 Y1 KR 200356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dhesive
bent
box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옥자
Original Assignee
하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옥자 filed Critical 하옥자
Priority to KR20-2004-0010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6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65D5/363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 B65D5/364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the secured corners presenting diagonal, bissecting or similar folding lines, the central panel presenting no folding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sides permanently secured to adjacent sides, with sid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by adhesive strips, or with sides held in place solely by rigidity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Handgrip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0Break-in flaps, or members adapted to be torn-off, to provide pouring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납작하게 포개어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절곡형 상자가 개시된다. 절곡형 상자는 사각형 저판, 상기 저판의 대향하는 모서리에 측벽을 형성하는 측면판 및 상기 저판의 대향하는 나머지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측벽을 형성하는 접착측면판을 포함하는 측벽부, 상기 접착측면판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접착되는 접착편 및 상기 측면판의 내면에 접착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 양측에 형성된 제2 경사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 접착편 커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판을 포함하는 보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형 상자가 납작하게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편 커버는 상기 연결부의 외면과 접촉하며, 상기 절곡형 상자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편 커버는 상기 연결부의 내면과 접촉하여 상기 절곡형 상자의 구조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절곡형 상자는 납작하게 절곡된 상태에서 조립된 상태로 변형하기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절곡형 상자{FOLDING TYPE BOX}
본 고안은 절곡형 상자(folding type box)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접어서 납작하게 변형이 가능한 절곡형 상자에 관한 것이다.
절곡형 상자(folding type box)는 제품을 보관 및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의 제품을 직육면체의 박스에 수용함으로써 제품의 적재,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할 수 있으며, 납작하게 변형이 가능하여 보관하기도 편리하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상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제품을 수용한다. 따라서 상점이나 판매대에서는 많은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 많은 수의 포장용 상자를 보유하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포장용 상자의 상판 또는 저판을 해체하여 납작하게 겹쳐서 보관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상자를 해체하여 보관하는 방법은 많은 양의 포장용 상자를 보관할 수는 있지만, 다시 상자 형태로 만들기에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겹쳐서 보관하기 쉽고, 신속하게 상자 형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절곡형 상자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절곡형 상자란 다양한 절곡선이 상자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절곡선을 따라 상자가 납작하게 접혀서 보관하기 편리하게 제조되는 상자를 말한다. 따라서 많은 수의 절곡형 상자가 납작하게 접혀서 부피를 현저하게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많은 절곡형 상자가 상점이나 판매대에 공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안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포장용 상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20-0261445에 2002년 01월09일 등록된 “포장용 상자”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장용 상자의 덮개부(2)와 수납부(3)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수납부(3)와 덮개부(2)는 동일한 형상 및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덮개부(2)가 수납부(3)의 상부를 덮어주기 위하여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먼저 포장용 상자(1)의 수납부(3)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납부(3)의 바닥면(31)을 기준으로 네 방향으로 측벽이 절곡선(40)에 의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일반적인 상자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수납부(3)는 상기 바닥면(31)의 양측 길이방향 즉, 종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종 측벽(22)이 절곡선(40)에 의하여 절곡되어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상기 바닥면(31)의 양측 폭 방향 즉, 횡 방향으로 상기 종측벽(22)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횡 측벽(23)이 역시 상기 절곡선(40)에 의하여 절곡되어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며, 상기 종측벽(22)의 양측 길이방향에 형성된 보조날개(24)는 상기 횡 측벽(23)의 내측에 접착되어 상기 종측벽(22) 및 상기 횡 측벽(23)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수납부(3)의 상기 횡 측벽(23)에는 양 귀퉁이(20)로부터 상기 횡 측벽(23)의 단부까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각각 제1 절곡선(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절곡선(41)의 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각각 제2 절곡선(42)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상기 횡측벽(23)과 상기 보조날개(24)의 접착은 상기 횡측벽(23)의 제1 절곡선(41)으로 구분된 외측에 형성된 가상의 접착부(26)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보조날개(24)의 제2 절곡선(42)의 상측을 맞대어 상기 횡측벽(23)과 상기 보조날개(24)의 전체에 대하여 접착을 행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접착을 행한다. 이렇게 부분적으로 접착을 행하는 이유는 상기 제1 절곡선(41) 및 제2 절곡선(42)에 의하여 절곡되는 상기 횡측벽(23)과 상기 보조날개(42)의 하측에 형성된 절곡부(27)가 용이하게 절곡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종래의 절곡형 상자는 절곡선을 따라 납작하게 절곡된 형태에서 상자의 형태로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절곡선이 측벽부에 형성되어 측벽부 자체가 절곡된다. 그러므로 상자를 납작하게 접기 위하여 측벽부 주위에 힘을 가하면 절곡선 주변으로 힘이 집중되어 절곡선을 따라 저판 위로 쉽게 절곡된다. 그러나 측벽부에 형성된 절곡선은 상자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하여 상자의 형태로 변형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절곡선 주변으로 힘이 집중되는 원리에 의해서 쉽게 절곡된다. 따라서 약간의 힘을 가해도 상자가 납작하게 절곡되어 보관하기에는 편리하나 상자 내부에 대상물을 수용할 때에는 단점으로 작용할 수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절곡형 상자는 절곡선을 따라 절곡하여 삽입편을 홈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더욱 확실히 고정시키기 위해서 2중, 3중으로 삽입편을 제작하여 여러 홈에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런 방법은 상자가 납작한 상태에서 조립된 상태로 변형하는 과정이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번거로워 진다. 또한, 삽입편이 홈에서 빠지면, 상자 자체가 전개도의 형태로 풀려지므로 상자 안에 내용물이 훼손되거나 파손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절곡형 상자에 대상물을 수용한 후, 절곡형 상자를 위로 적재하는 경우, 많은 절곡형 상자를 적재하면 적재 높이가 높아져 그 위로 쌓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적층 구조도 불안해지므로 무너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절곡형 상자의 대상물이 훼손되거나 파손되어 큰 손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절곡형 상자를 위로 적재하는 경우 위의 상자와 아래의 상자간에 서로 연결되어 무너지지 않도록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본 고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절곡형 상자가 납작하게 절곡된 상태에서 조립된 상태로 변형하기가 용이한 절곡형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절곡형 상자를 적재할 때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는 절곡형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절곡형 상자에 수용된 대상물을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절곡형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손으로 들기 용이한 절곡형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고안에 의한 절곡형 상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의 전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의 절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의 접힌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의 전개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의 절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310:저판 120,220,320:측벽부
130,230,330:보강부 140,240:상판부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곡형 상자는 저판, 측벽부, 접착편 및 보강부를 포함한다.
저판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부는 상기 저판의 대향하는 나머지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측벽을 형성하는 측면판 및 상기 저판의 대향하는 나머지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측벽을 형성하는 접착측면판을 포함한다. 접착편은 상기 접착측면판의 일 단부에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제1 경사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측면판의 내면에 접착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보강부는 상기 측면판의 내면에 접착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 양측에 형성된 제2 경사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 접착편 커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판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편 커버는 상기 절곡형 상자가 납작하게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의 외면과 접촉하며, 상기 절곡형 상자가 상자 형태로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편 커버는 상기 연결부의 내면과 접촉하여 상기 절곡형 상자의 구조를 지지한다.
만약 보강부와 측면판이 서로 접착되지 않는 경우 보강부를 측면판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삽입편이 형성되어 인접한 측면판의 내면의 홈에 삽입되어야 하고, 이때 측면판과 고정판을 손으로 잡고 삽입편을 삽입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자의 구조가 정확하게 형성되지 않아 절곡선의 방향에 어긋나게 절곡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여러 번의 과정을 거쳐야만 포장용 상자로 변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보강부와 상기 측면판간에 서로 접착되므로 앞선 번거로움이 없이 납작하게 절곡된 상태에서 조립된 절곡형 상자로 변형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자의 구조가 형성되도록 접착되어 있으므로 측면판을 상기 저판에 수직하게 올려주면, 상자의 구조가 절곡선에 따라 형성되므로 여러 번의 반복이 필요 없다.
또한, 상기 접착편 커버는 상기 절곡형 상자가 납작하게 절곡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부의 외면과 접촉하여 연결부의 위에 겹쳐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으므로 연결부의 접착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또, 상기 절곡형 상자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부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저판에 고정되고, 제1 경사접이선의 위에 겹쳐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경사접이선에 힘을 작용하는 경우, 제1 경사접이선에 힘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여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측벽부가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절곡형 상자의 구조를 지지한다. 그러므로, 측면판이 절곡선에 의해 약간의 힘만 작용하여도 접히던 단점을 보완한다.
또한, 측벽부를 저판에 수직하게 이동시키면, 상기 접착편 커버가 자동적으로 상기 절곡형 상자의 구조를 지지하면서 상기 저판에 수직하게 형성되므로 절곡형 상자의 측벽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절곡형 상자 보다 더 쉽게 상자의 구조로 변형할 수 있고, 조립하는 시간에 있어서도 훨씬 단축되어 실용적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측면판의 상단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판은 별도로 제조되지 않고, 일체로 제조되어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판이 상기 측면판과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측면판의 내면에 접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에서 상기 저판에 닿는 모서리의 일측에 삽입편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에 대응하여 상기 저판의 모서리에는 결속홈이 형성되어 상기 절곡형 상자의 구조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부에 형성되는 삽입편의 개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삽입편은 삽입편에 대응하여 상기 저판에 형성되는 결속홈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가 저판에 강하게 고정되어, 중량이 큰 대상물을 수용하여도 상자의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의 전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절곡형 상자는 저판(110), 측벽부(120), 접착편(130), 보강부(140) 및 상판부(150)를 포함한다. 절곡형 상자는 사과나 배와 같은 과일을 수용하여 운반하고 보관하기 편리하다.
저판(110)은 사각형 형상으로 절곡형 상자(100)의 저면을 형성한다. 저판(110)의 재질은 골판지로 구성되어,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외부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절곡하기도 용이하다. 골판지는 종이 재질이기 때문에 재료 구입이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경량이어서 운반하기에 부담이 없다. 또한, 종이라는 재질의 특성상 재활용이 용이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재단 및 성형을 쉽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골판지의 절곡을 통해 구조적으로 성형될 수 있기 때문에 납작하게 포개어 운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저판(110), 측벽부(120), 접착편(130), 보강부(140) 및 상판부(150) 일체가 골판지로 형성된다. 물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얇게 판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절곡이 가능하다면 골판지 이외의 다양한 재질로도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절곡형 상자를 구성할 수가 있다. 저판(110)의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126,128)과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된 부분에는 2개의 결속홈(112)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측벽부(120)는 제1 측면판(122), 제2 측면판(124), 제1 접착측면판(126) 및 제2 접착측면판(128)을 포함한다. 제1 측면판(122)은 저판(110)의 일 모서리에 형성되고, 제2 측면판(124)은 제1 측면판(122)과 대향하는 저판(110)의 일 모서리에 형성된다. 제1 접착측면판(126)은 저판(110)의 나머지 모서리 중 한 변에 연결되고, 양단부에 접착편(130)이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접착편(130)에는 제1 경사접이선(136)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접착측면판(128)은 저판(110)의 나머지 모서리에 일변이 연결되고, 양단부에는 제1 측면판(126)과 마찬가지로 접착편(130)이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접착편(130)은 연결부(132) 및 접착부(134)를 포함한다. 연결부(132)는 제1 경사접이선(136)을 따라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126,128)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제1 및 제2 측면판(122,124)과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126,128)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경사접이선(136)을 따라 제1 및 제2 측면판(122,124)에 인접한 면에 접착부(134)가 형성되어 접착부(134)의 바깥 면이 제1 및 제2 측면판(122,124)의 내면에 접착된다. 따라서 제1 접착측면판(126) 및 제2 접착측면판(128)을 저판(110)위로 접으면,접착편(130)은 제1 경사접이선(136)을 따라 제1 및 제2 측면판(122,124)의 내면에 접착부(134) 및 연결부(132)가 겹쳐지면서 절곡된다.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126,128)의 외벽에는 내부로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부(127)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관통부(127)에 손을 넣을 수 있어서, 절곡형 상자를 손으로 들고 운반하기 용이하고, 따라서 절곡형 상자를 손으로 다루기 편하다. 또한, 상자 내부에 대상물을 외부에서도 관찰할 수 있으므로 대상물을 상태를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접착부(134)의 단부는 안쪽으로 부분적으로 돌출 연장되어 중앙부(142)와 부분적으로 겹쳐져서, 접착된 부분이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접착편과 연결부의 단부는 접착편이 제1 측면판에 접착하여도 중앙부와 부분적으로 겹쳐지지 않도록 제2 경사접이선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140)는 중앙부(142), 접착편 커버(144) 및 삽입편(148)을 포함한다. 중앙부(142)는 제1 측면판(122)의 일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제1 측면판(122)의 내면에 접착된다. 접착편 커버(144)는 중앙부(142)와 제2 경사접이선(146)을 매개로 연결되고, 중앙부(142)의 양측부에 형성된다. 접착편 커버(144)의 내면에는 커버 관통부(127a)가 형성되어 커버 관통부(127a)에 손을 넣어 접착편 커버(144)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접착편 커버(144)에는 저판(110)에 형성된 결속홈(112)에 삽입되도록 대응하여 삽입편(148)이 저판(110)에 닿는 모서리에 형성된다. 따라서 중앙부(142)는 제1 측면판(122)에 접착되고, 삽입편(148)이 결속홈(112)에 삽입되면서 접착편 커버(144)가 저판(110)에 고정된다. 제2 경사접이선(146)의 안쪽 단부로부터 보강부(140)를 상하로 절개하는 수직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중앙부(142) 및 접착편 커버(144) 사이를 부분적으로 분리시켜 접착편 커버(144)가 제1 접착면(122)에서 접착되지 않고 접착편(130)을 가리고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강부는 제1 측면판과는 별도로 제조되어 제1 측면판에 접착될 수 있다.
상판부(150)는 상판(152), 제1 접힘판(154a), 제2 접힘판(154b) 및 제3 접힘판(154c)을 포함한다. 상판(152)은 제2 측면판(124)의 일 모서리와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저판(110) 및 측벽부(120)가 제공하는 공간을 덮는 역할을 한다. 상판부(150)의 중앙부에는 내부 공간을 볼 수 있는 개방부(159)가 형성되어 상판(152)을 열지 않아도 내부를 볼 수 있어 편리하다. 따라서 대상물을 전시하거나 진열하는 용도로 사용할 때 일부분만 개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판(152)의 제2 측면판(124)과 접하는 모서리와 제2 접힘판(154b)과 접하는 모서리에는 양측부에 상판(152)의 안쪽을 향하는 U-자형의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상판(152)의 주변이 절곡될 때 상판(152)으로부터 가이드부(159)가 돌출되며, 가이드부(159)의 위치는 저판(110)의 모서리에는 결속홈(112)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제1 접힘판 내지 제3 접힘판(154a,154b,154c)은 상판(152)의 모서리에 순차적으로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1 및 제3 접힘판(154a,154c)은 상판(152)의 마주하는 두 모서리에 연결되고, 내면에는 두 개의 관통부(127)가 형성 되어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126,128)을 덮었을 때 관통부(127)간에 서로 겹쳐져 외부에서 상자의 내부 공간으로 관통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제2 접힘판(154b)는 양단부에 접착부(134)가 형성되어 제1 및 제3 접힘판(154a,154c)의 내면에 접착하여제1 내지 제3 접힘판(154a,154b,154c)을 서로 연계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제2 접힘판(154b)에는 제2 접힘판(154b) 및 접착부(134)가 만나는 절곡선의 하단으로부터 제2 접힘판(154b)의 내면으로 약 45도 방향으로 제3 경사접이선(156)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3 접힘판(154a,154c)이 저판(110) 위로 절곡선을 따라 절곡되면, 제2 접힘판(154b)의 단부가 제3 경사접이선(156)을 따라 접혀서 상판(152)위에 납작하게 절곡된다. 제2 접힘판(154b)의 상단부에 형성된 2개의 홈은 절곡형 상자를 대량으로 생산하였을 때, 다른 절곡형 상자의 보강판의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편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대량 생산 시 골판지의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형성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의 절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의 접힌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절곡형 상자는 도 2와 같이 조립되어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태에서 제1 및 제3 접힘판(154c)을 상판(152)을 향하여 눌러주면, 제3 경사접이선(156)을 매개선으로 제2 접힘판(154b)의 양단부의 제1 및 제3 접힘판(154a,154b,154c)의 인접한 면과 제1 및 제3 접힘판(154a,154b, 154c)과 연결된 절곡선이 펴지면서 상판(152)으로 납작하게 절곡된다(①). 또한, 제2 측면판(124)의 내면에 접착부(134)의 외면이 접착되고, 연결부(132)와 제1 및 제3 접착측면판(126,128)이 연결되므로, 저판(110)을 향하여 눌러주면 제1 경사접이선(136)을 따라 저판(110)위로 납작하게 절곡된다(②). 또한, 접착편커버(144)의 중앙부에 형성된 커버 관통부(127a)를 잡아당기면 삽입편(148)이 결속홈(112)에서 제거된다. 이때 연결부(132)의 내면에 겹쳐서 위치한 접착편 커버(144)가 제2 경사접이선(146)을 매개로 저판(110)의 위로 이동하면서, 제1 경사접이선(136)에 의해서 접착부(134)와 접해 있던 연결부(132)가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126,128)과 일체로 수평 하게 펴진다. 그러므로 접착편 커버(144)가 연결부(132)의 외면에 겹치면서 보강부(144),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126,128)이 납작하게 절곡된다(③).
도 5를 참조하면, 절곡형 상자는 저판(110)위에 납작하게 절곡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절곡형 상자는 제1 및 제3 접힘판(154a,154c)이 상판부(150) 위로 절곡될 때 제3 경사접이선(156)을 매개로 접착부(134)가 제1 및 제3 접힘판(154a,154c)의 내면에 접착되고(A),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126,128)이 저판(110)위로 절곡될 때 제1 경사접이선(136)을 매개로 접착편(130)이 제2 측면판(124)의 내면에 접착된다(B). 또한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126,128)이 저판(110)위로 절곡될 때 제1 경사접이선(136)을 매개로 접착편(130)이 제1 측면판(122)에 접착되고(C), 중앙부(142)가 제2 경사접이선(146)을 매개로 제1 측면판(122)의 내면에 접착된다(D). 따라서 총 4번의 접착을 이용하여 절곡형 상자의 구조를 완성시킨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는 접착부(134)를 제1 및 제2 측면판(122,124)의 내면에 접착하여 고정시켜서,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126,128)을 저판(110)위에 수직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측벽의 구조가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측벽판 및 보강판을 손으로 잡아서 측벽을 형성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한번에 포장용 상자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140)의 접착편 커버(144)가 절곡형 상자를 납작하게 절곡된 상태에서는 연결부(132)의 바깥 면과 접촉하여 연결부(132)의 위에 겹쳐서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132)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으므로 연결부(132)의 접착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또, 상기 절곡형 상자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연결부(132)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저판(110)에 고정되고, 제1 경사접이선(136)의 위에 겹쳐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경사접이선(136)에 힘이 작용되는 경우, 제1 경사접이선(136)에 힘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여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측벽부(120)가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절곡형 상자의 구조를 지지한다. 그러므로, 측벽부에 형성된 절곡선에 의해 약간의 힘만 작용하여도 접히던 단점을 보완한다.
또한, 상판부(150)에 가이드부(158)가 형성되어 상판부(150)가 내부 공간을 덮는 경우, 가이드부(158)가 상판부(150)에 수직하게 돌출된다. 따라서 절곡형 상자를 적재하는 경우, 위에 적재되는 절곡형 상자의 저판에 형성된 결속홈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가이드부(158)가 형성되어 위에 적재된 절곡형 상자의 결속홈에 삽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래의 절곡형 상자와 상자의 위에 적재된 절곡형 상자가 서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서로 분리되지 않아 적층 구조를 안정시킨다. 따라서 절곡형 상자를 안전하게 적재하고,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측벽부(120)를 저판(110)에 수직하게 이동시키면, 접착편 커버(144)가 자동적으로 상기 절곡형 상자의 구조를 지지하면서 저판(110)에 수직하게 형성되므로 종래의 절곡형 상자 보다 더 쉽게 상자의 구조로 변형할 수 있고, 조립하는 시간에 있어서도 훨씬 단축되어 실용적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판(152)의 중앙부에는 개방부(159)가 형성되어 대상물을 전시하거나 진열하는 용도로 사용할 때 일부분만 개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용된 대상물을 외부에서 손 쉽게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절곡형 상자는 저판(210), 측벽부(220), 접착편(230), 보강부(240) 및 상판부(250)를 포함한다.
측벽부(220)는 제1 측면판(222), 제2 측면판(224), 제1 접착측면판(226) 및 제2 접착측면판(228)을 포함한다. 제1 측면판(222)은 저판(210)의 일 모서리에 형성되고, 제2 측면판(224)은 제1 측면판(222)과 대향하는 저판(210)의 일 모서리에 형성된다. 제1 접착측면판(226)은 저판(210)의 나머지 모서리 중 한 변에 연결되고, 양단부에 접착편(230)이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접착편(230)에는 제1 경사접이선(236)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접착측면판(228)은 저판(210)의 나머지 모서리에 일변이 연결되고, 양단부에는 제1 측면판(226)과 마찬가지로 접착편(230)이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접착편(230)은 연결부(232) 및 접착부(234)를 포함한다. 연결부(232)는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236,238)과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접착부(234)는 제1 및 제2 측면판(232,234)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 측면판(232,234)의내면에 접착된다. 연결부(232)와 접착부(234)는 제1 경사접이선(236)을 매개로 연결되어 제1 접착측면판(226) 및 제2 접착측면판(228)을 저판(210)위로 접으면, 연결부(232) 및 접착부(234)가 서로 접하여 위치한다. 접착부(234)는 내면이 제1 및 제2 측면판(222,224)에 접착되어, 납작하게 절곡 되는 경우에 접착편(230)의 내면이 제1 및 제2 측면판(222,224)에 접한다. 또 조립된 상자의 경우에는 연결부(232) 및 접착부(234)의 외면이 서로 접하여 위치한다.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226,228)의 외벽에는 내부로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부(227)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절곡형 상자를 손으로 들고 운반하기 유용하다.
그 외의, 저판부(210), 보강부(230) 및 상판부(240)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의 전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절곡형 상자는 저판(310), 측벽부(320), 접착편(330) 및 보강부(340)를 포함한다.
저판(310)은 사각형 형상으로 절곡형 상자의 저면을 형성한다. 저판(310)의 재질은 골판지로 구성되어,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외부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절곡하기도 용이하다. 골판지는 종이 재질이기 때문에 재료 구입이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경량이어서 운반이 용이하고, 재활용이 용이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재단 및 성형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골판지의 절곡을 통해 구조적으로 성형될 수 있기 때문에 납작하게 포개어 운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저판(310), 측벽부(320), 접착편(330) 및 보강부(340) 일체가 골판지로 형성되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저판(310)의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326,328)과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된 부분에는 2개의 결속홈(312)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측벽부(320)는 제1 측면판(322), 제2 측면판(324), 제1 접착측면판(326) 및 제2 접착측면판(328)을 포함한다. 제1 측면판(322)은 저판(310)의 일 모서리에 형성되고, 제2 측면판(324)은 제1 측면판(322)과 마주하는 저판(310)의 일 모서리에 형성된다. 제1 접착측면판(326)은 저판(310)의 일 모서리에 한 변이 연결되고, 양단부에 접착편(330)이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326,328)의 외벽에는 내부로 관통하는 슬릿홈(327)이 형성되어 절곡형 상자를 손으로 들고 운반하기 유용하다. 슬릿홈(327)은 십자가 모양으로 형성되어 손이 들어가서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326,328)의 일부분을 쥐게 된다. 측벽부(320)는 높이가 길게 형성되어 페인트통과 같이 높이가 있는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다.
접착편(330)은 연결부(332) 및 접착부(334)를 포함한다. 연결부(332)는 제1 경사접이선(336)을 따라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326,328)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제1 및 제2 측면판(322,324)과 제1 및 제2접착측면판(326,328)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경사접이선(336)을 따라 제1 및 제2 측면판(322,324)에 인접한 면에 접착부(134)가 형성되어 접착부(134)의 바깥 면이 제1 및 제2 측면판(322,324)의 내면에 접착된다. 따라서 제1 접착측면판(326) 및 제2 접착측면판(328)을 저판(310)위로 접으면, 접착편(330)은 제1 경사접이선(336)을 따라 제1 및 제2 측면판(322,324)의 내면에 접착부(334) 및 연결부(332)가 겹쳐지면서 절곡된다.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326,328)의 외벽에는 내부로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부(327)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관통부(327)에 손을 넣을 수 있어서, 절곡형 상자를 손으로 들고 운반하기 용이하고, 따라서 절곡형 상자를 손으로 다루기 편하다. 접착부(334)의 단부는 안쪽으로 부분적으로 돌출 연장되어 중앙부(342)와 부분적으로 겹쳐져서, 접착된 부분이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보강부(340)는 제1 보강판(341a) 및 제2 보강판(341b)을 포함한다. 제1 보강판(341a)은 제1 측면판(322)의 일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중앙부(342), 접착편 커버(344) 및 삽입편(348)을 포함한다. 중앙부(342)는 제1 측면판(322)의 일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제1 측면판(322)의 내면에 접착된다. 접착편 커버(344)는 중앙부(342)와 제2 경사접이선(346)을 매개로 연결되고, 중앙부(342)의 양측부에 형성된다. 접착편 커버(344)의 내면에는 관통부(327)가 형성된다. 또한, 접착편 커버(344)에는 저판(310)에 형성된 결속홈(312)에 삽입되도록 대응하여 삽입편(348)이 저판(310)에 닿는 모서리에 형성된다. 제2 경사접이선(346)의 안쪽 단부로부터 보강부(340)를 상하로 절개하는 수직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중앙부(342) 및 접착편 커버(344) 사이를 부분적으로 분리시켜 접착편 커버(344)가 제1 접착면(322)에서 접착되지 않고 접착편(330)을 가리고 보호할 수 있다. 제2 보강판(341b)는 제1 보강판(341a)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 보강판(341a)의 대응하는 변에 연결된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상자의 절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절곡형 상자는 제1 측면판(322) 및 제2 측면판(324)에 제1 보강판(341a) 및 제2 보강판(341b)이 접착되어 측벽부(320)를 고정시킨다.
제1 및 제2 보강판(341a,341b)은 도 7과 같이 저판(310)에 형성된 결속홈(312)에 삽입편(348)을 삽입하여 측벽부를(320) 고정시킨다. 따라서 제1 및 제2 보강판(341a,341b)은 측벽부(320)를 저판(310)위에 고정시키면서, 접착편 커버(344)가 접착편(330)에 형성된 제1 경사접이선(336)을 외부에서 지지하므로 절곡형 상자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외부에 힘에 의해서 쉽게 절곡되지 않는다. 접착편 커버(344)를 저판(310)위로 들어 올리면, 삽입편(348)이 결속홈(312)에서 제거되어 접착편 커버(344)가 제2 경사접이선(346)을 따라 위로 들리고, 제1 및 제2 보강판(341a,341b)이 뒤로 누우면서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326,328)이 저판(310)위로 납작하게 절곡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접착측면판(326,328)이 제1 경사접이선(336)을 따라 저판(310)위로 납작하게 절곡되고, 제1 및 제2 측면판(322,324)도 납작하게 절곡되어 상자의 부피를 줄인다.
본 고안에 따르면, 측벽판 및 보강판이 분리된 경우 손으로 잡아서 측벽을 형성해야 하나, 측벽판 및 보강판이 접착되어 위의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한번의 과정으로 납작하게 절곡된 형태에서 조립되어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절곡형 상자로 변형시킬수 있다.
또한, 접착편 커버가 형성되어 경사 접이선 위에 겹쳐서 위치하므로 외부에 힘에 의해서 쉽게 절곡되지 않으므로, 절곡형 상자의 구조가 더욱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재하는 경우 아래의 절곡형 상자의 상판부에 가이드부와 위에 적재된 절곡형 상자의 저판에 결속홈이 서로 연결되면서 적층구조를 안정시켜 안정하게 절곡형 상자를 적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판부의 중앙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대상물을 전시하거나 진열하는 용도로 사용하기 편리하고, 측벽부의 외벽에는 내부로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절곡형 상자를 손으로 들기가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절곡형 상자에 있어서,
    사각형 저판;
    상기 저판의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에 측벽을 형성하는 측면판 및 상기 저판의 대향하는 나머지 한 쌍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측벽을 형성하는 접착측면판을 포함하는 측벽부;
    상기 접착측면판의 일 단부에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제1 경사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측면판의 내면에 접착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접착편; 및
    상기 측면판의 내면에 접착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 양측에 형성된 제2 경사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 접착편 커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판을 포함하는 보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형 상자가 납작하게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편 커버는 상기 연결부의 외면과 접촉하며, 상기 절곡형 상자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편 커버는 상기 연결부의 내면과 접촉하여 상기 절곡형 상자의 구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측면판의 상단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에서 상기 저판에 닿는 모서리의 일측에 삽입편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에 대응하여 상기 저판의 모서리에는 결속홈이 형성되어 상기 절곡형 상자의 구조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편에서 상기 연결부의 단부는 상기 제2 경사접이선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편에서 상기 접착부의 단부는 안쪽으로 부분적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중앙부와 부분적으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상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 중 하나의 상단 모서리에는 절곡선을 매개로 상판부가 연결되며, 상기 상판부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나머지 주변을 따라 형성된 제1 내지 제3 접힘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힘판의 양단에는 상판 접착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3 접힘판에 접착되고, 상기 제2 접힘판의 양단부에 제3 경사접이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3 경사접이선을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접힘판이 상기 상판을 향해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상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상판의 안쪽을 향하는 U-자형의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라인은 상기 제1 내지 제3 접힘판 또는 상기 측면판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상판의 주변이 절곡될 때 상기 상판으로부터 가이드부가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저판의 모서리에는 결속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편의 상기 접착부는 상기 측면판과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접착편의 내면이 상기 측면판의 내면과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상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편의 상기 접착부는 상기 측면판과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접착편의 내면 또는 외면이 상기 측면판의 내면과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상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접이선의 안쪽 단부로부터 상기 보강판을 상하로 절개하는 수직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 및 상기 접착편 커버 사이를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상자.
KR20-2004-0010323U 2004-04-14 2004-04-14 절곡형 상자 KR200356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323U KR200356682Y1 (ko) 2004-04-14 2004-04-14 절곡형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323U KR200356682Y1 (ko) 2004-04-14 2004-04-14 절곡형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682Y1 true KR200356682Y1 (ko) 2004-07-19

Family

ID=4943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323U KR200356682Y1 (ko) 2004-04-14 2004-04-14 절곡형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6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14Y1 (ko) 2009-02-13 2013-07-26 양진용 포장 케이스
CN108238333A (zh) * 2018-02-05 2018-07-03 顺丰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式包装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14Y1 (ko) 2009-02-13 2013-07-26 양진용 포장 케이스
CN108238333A (zh) * 2018-02-05 2018-07-03 顺丰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式包装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8273B2 (en) High strength partition box assembly
US9180996B2 (en) Corrugated cardboard box with open-work flaps and set of blanks for obtaining same
US9114904B2 (en) Stackable display container with box portion and reinforcing layer
US8973811B2 (en)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JP5490681B2 (ja) ボトル包装箱及び対応する切り抜き材
US10442597B1 (en) Retention package with article-loading apertur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1603230B2 (en) Self-contained continuous carton system with self erecting stacking shoulders
US5447269A (en) Multiple unit box and blank therefor
KR200356682Y1 (ko) 절곡형 상자
JPH0322106Y2 (ko)
AU2013206121A1 (en) Improved Container and Blanks Therefor
WO2002034629A1 (en) Sandwich pack
KR200457917Y1 (ko) 포장박스
JP2003246319A (ja) 展示機能付包装用箱
JP3048955U (ja) 包装箱
KR102426598B1 (ko) 녹다운형 카톤박스
CN211167771U (zh) 包装结构
RU117410U1 (ru) Ящик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упак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варианты) и поддон для этого ящика
JP2019123535A (ja) 梱包箱と梱包方法
JPH018515Y2 (ko)
CN212220811U (zh) 便于堆放的粽子包装盒
JP3168957U (ja) 包装用紙箱
JPH08282Y2 (ja) 小分け可能な包装用容器
JP3059376U (ja) 内装材の脱出防止装置付き贈答箱
KR200322733Y1 (ko) 과일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