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835Y1 -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835Y1
KR200345835Y1 KR20-2004-0000044U KR20040000044U KR200345835Y1 KR 200345835 Y1 KR200345835 Y1 KR 200345835Y1 KR 20040000044 U KR20040000044 U KR 20040000044U KR 200345835 Y1 KR200345835 Y1 KR 200345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lever
desk
fix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준
Original Assignee
백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남준 filed Critical 백남준
Priority to KR20-2004-0000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8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직프레임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에 대부분의 구성요소를 구비시킨 구조로 하여 책상의 높이 조절을 사용자 한 사람이서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상기 책상의 높이 조절을 위한 외부 노출 구성요소가 외부에서는 쉽게 식별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수직프레임(1)이 하단에 지지프레임(3)을 고정한 상태의 하부 수직프레임(1a)과 상단에 받침프레임(4)을 고정한 상태의 상부 수직프레임(1b)으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상부 수직프레임(1b)의 하부분은 하부 수직프레임(1a)의 상부분 안쪽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수강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각 하부 수직프레임(1a)의 후방쪽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통공(111)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1b )의 상부분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전방쪽을 향해 형성된 상부 통공(112) 및 하부분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후방쪽을 향해 형성된 하부 통공(113)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1b) 내부에 대략 그 가운데 부분이 힌지축(114)에 의해 축결합되어 상기 축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상태의 레버(115)와, 상기 각 레버의 상단에 절곡형성되어 상부 통공(112)을 통해 전방 외부로 노출된 작동편(116)과, 상기 각 레버(115)의 하단에 절곡형성되어 레버의 회동시 하부 통공(113)을 통해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각 고정통공(111)중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스토퍼핀(117)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1b) 내의 하부분에 그 일단은 레버(115)에 형성된 스토퍼핀(117)의 반대쪽에 접촉됨과 함께 타단은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내벽에 접촉되어 레버(115)의 회동에 의해 스토퍼핀(117)이 하부 수직프레임(1a)의 고정통공(111)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115)에 다시 원상태로의 복원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118)으로 구성되어 외부로 노출된 각 레버(115)의 작동편(116)을 상방으로 가압시킬 경우 상부 수직프레임(1b)이 하부 수직프레임(1a)에서 록킹이 해제되고, 상기 각 레버(115)의 작동편(116)을 상방으로 가압시키지 않을 경우 상부 수직프레임(1b)이 하부 수직프레임(1a)에 록킹되는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이다.

Description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esk}
본 고안은 강습장이나 강의실에서 사용하는 책상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책상의 높이를 일정한 높이 범위내에서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학원 등에서 학생들이 선생님으로 부터 강의를 듣거나 강습을 닫을 경우에는 반드시 책상을 필요로 하므로 각 학교나 학원의 교실에는 여러개의 수강용 책상이 걸상과 함께 셋트로 갖추어져 있어 이를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수강용 책상은 좌,우로 이격되게 한쌍의 수직프레임(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수직프레임은 연결프레임(2)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 수직프레임(1)의 하단에는 바닥면에 안정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과 직각되게 지지프레임(3)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각 수직프레임(1)의 상단에는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수직프레임(1)과 직각되게 받침프레임(4)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프레임에는 책상판(5)이 받쳐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보편적이다.
상기에서 각 프레임인 수직프레임(1), 연결프레임(2), 지지프레임(3), 받침프레임(4)은 견고성을 위해 금속재가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내부가 텅비어 있는 프레임이 사용되는데, 상기 각 프레임은 사각형이어도 좋고 원형이어도 좋다.
이러한 수강용 책상은 높이의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하는 학생들중 일부가 자신의 신체적인 조건 등과 다소 맞지 않더라도 어쩔 수 없이 사용할 수 밖에 없음에 따라 사용하는 학생들의 자세 불안정으로 인해 신체적인 발달에 지장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학습태도의 불량으로 인해 수업분위기가 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근래에는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책상이 제공되고 있는 바, 이하 종래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기로 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종래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수강용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수강용 책상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종래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 수강용 책상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좌,우로 이격되어 연결프레임(2)에 의해 일체화된 각 수직프레임(1)은 하단에 지지프레임(3)이 고정된 하부 수직프레임(1a)과 상단에 받침프레임(4)이 고정된 상부 수직프레임(1b)으로 분할되어 상기 분할된 상부 수직프레임의 하부분이 하부 수직프레임(1a)의 상부분 안쪽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분할된 상부 수직프레임(1b)중 하부분 전방쪽에는 수직상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이동통공(11)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하부 수직프레임(1a)중 상부분 전방쪽에는 하나의 고정통공(12)이 형성되어 상부 수직프레임(1b)의 상,하이동시 각 이동통공(11)중 어느 하나의 이동통공이 고정통공(12)과 일치되도록 하며, 상기 각 하부 수직프레임(1a)의 전방쪽에는 고정통공(12)을 감싼상태로 스프링 하우징(13)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각 스프링 하우징에는 내,외부를 수평상태로 연통시켜 주도록 하우징 구멍(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스프링 하우징(13)에는 그 전방쪽 끝단부가 하우징 구멍(1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스토퍼핀(15)이 수평상태로 끼워져 상기 스토퍼핀이 후방쪽인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고정통공(12)을 통해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이동통공(11)으로 끼워져 있도록 함과 함께 스토퍼핀(15)이 전방쪽인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이동통공(11)에서 완전히 빠져나와 있도록 하며, 상기 각 스토퍼핀(15)중 스프링 하우징(13)의 내측부에는 스토퍼핀(15)과 함께 이동되도록 돌기(16)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스토퍼핀(15)에 끼워진 상태로 코일스프링(17)이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핀(15)이 코일스프링(17)에 의해 항상 후방쪽인 내측으로의 이동력을 부여받도록 하고, 상기 각 스토퍼핀(15)의 전방쪽 끝단에는 스프링 하우징(13)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태로 손잡이(18)가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를 이용해 스토퍼핀(15)을 전,후방쪽인 내,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높이 조절장치를 이용해 수강용 책상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의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수강용 책상의 높이가 가장 높은 상태로 조절되어 있는데, 이 상태에서는 도 3과 같이 각 스토퍼핀(15)이 스프링 하우징(13) 내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17)에 의해 복원력을 받아 후방쪽인 내측(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최대한 이동되어 있고, 상기 각 스토퍼핀(15)이 후방쪽인 내측으로 최대한 이동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그 후방쪽인 내측 끝단이 각 수직프레임(1)의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통공(12)을 통해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된 복수개의 이동통공(11)중 가장 아래쪽에 있는 하나의 이동통공으로 완전히 끼워져 있으므로 결국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1b)은 스토퍼핀(15)에 의해 하부 이동이 정지된 상태로 하부 수직프레임(1a)에 록킹되어 있어 이 경우에는 상기 도 2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강용 책상의 구성요소인 책상판(5)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가 가장 높다.
상기에서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하부 수직프레임(1a)은 연결프레임(2)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하부 수직프레임(1a)과 상부 수직프레임(1b)을 분리하더라도 상기 각 하부 수직프레임(1a)만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한편 도 2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학생이나 학원생)가 신체적인 조건이나 기타 다른 이유에 의해 책상의 높이를 더 낮게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록킹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는데,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일단 인위적인 힘에 의해 스토퍼핀(15)을 전방쪽인 외측으로 최대한 잡아당겨야 한다.
즉, 각 스토퍼핀(15)의 전방쪽 끝단에 고정된 손잡이(18)를 이용해 상기 각 스토퍼핀(15)을 전방쪽인 외측(도면상 우측)으로 동시에 잡아당기면 상기 각 스토퍼핀은 스프링 하우징(13) 내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17)을 압축시키면서 전방쪽으로 이동되므로 어느 순간 각 스토퍼핀(15)의 후방쪽인 내측 끝단부분이 각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되어 있는 가장 아래쪽의 이동통공(11)에서 동시에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록킹이 해제되어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이 일단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강용 책상의 구성요소인 책상판(5)에 하방으로의 누름력을 부여하면, 상기 책상판과 함께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1b)이 하방으로 이동되는데,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순간에는 각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된 이동통공(11)중 가장 아래의 이동통공을 제외한 어느 하나의 이동통공이 각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통공(12)과 계속적으로 일치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았을 때 어느 하나의 이동통공(11)이 고정통공(12)과 일치된 상태가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높이라고 할 경우 더 이상 책상판(5)을 하방으로 누르지 않고 전방쪽인 외측으로 이동되어 있던 각 스토퍼핀(15)의 당김력을 해제하면, 상기 각 스토퍼핀은 코일스프링(17)에 의해 복원력을 받아 다시 후방쪽인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통공(11)중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통공(12)과 일치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이동통공으로 다시 완전히 끼워지므로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이 스토퍼핀(15)에 의해 하부 수직프레임(1a)에 다시 완전 록킹되면서 정지상태에 있고, 이 경우에는 도 2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강용 책상의 구성요소인 책상판(5)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가 최초상태보다 적정 높이만큼 낮아져 결국 수강용 책상의 높이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는, 책상의 높이 조절시 각 수직프레임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의 록킹 상태를 일단 해제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각 스토퍼핀을 잡아당기기 위한 손잡이와 책상판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각 스토퍼핀을 동시에 잡아당긴 상태에서 책상판을 하방으로 누르거나 상방으로 끌어 당기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결국 책상의 높이 조절을 한 사람이 아닌 두사람이 공동으로 할 수 밖에 없어 사용상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스토퍼핀을 잡아당기기 위한 손잡이가 전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책상판과 멀리 이격되어 있음에 따라 가까이서는 물론 멀리에서 보더라도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가 한눈에 금방 들어옴에 따라 미관상 보기에 흉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직프레임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에 대부분의 구성요소를 구비시킨 구조로 하여 책상의 높이 조절을 사용자 한 사람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상기 책상의 높이 조절을 위한 외부 노출 구성요소가 외부에서는 쉽게 식별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수강용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수각용 책상의 정면도
도 3은 종래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 수강용 책상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종래 높이 조절장치가 수강용 걸상에 갖추어진 상태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수강용 책상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수강용 책상을 일부 절결상태로 나타낸 정면도
도 7a는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 수강용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각 수직프레임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이 록킹된 상태도
도 7b는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 수강용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각 수직프레임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이 록킹 해제된 상태도
도 8은 도 7a의 Ⅰ-Ⅰ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요소인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부 수직프레임을 분해하여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가 수강용 걸상에 갖추어진 상태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직프레임 1a. 하부 수직프레임
1b. 상부 수직프레임 3. 지지프레임
4. 받침프레임 111. 고정통공
112. 상부 통공 113. 하부 통공
114. 힌지축 115. 레버
116. 작동편 117. 스토퍼핀
118. 코일스프링 119. 돌출편
120. 이탈방지편 121. 유동방지편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수직프레임이 하단에 지지프레임을 고정한 상태의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단에 받침프레임을 고정한 상태의 상부 수직프레임으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상부 수직프레임의 하부분은 하부 수직프레임의 상부분 안쪽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수강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각 하부 수직프레임의 후방쪽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통공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의 상부분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전방쪽을 향해형성된 상부 통공 및 하부분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후방쪽을 향해 형성된 하부 통공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 내부에 대략 그 가운데 부분이 힌지축에 의해 축결합되어 상기 축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상태의 레버와, 상기 각 레버의 상단에 절곡형성되어 상부 통공을 통해 전방 외부로 노출된 작동편과, 상기 각 레버의 하단에 절곡형성되어 레버의 회동시 하부 통공을 통해 하부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각 고정통공중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스토퍼핀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 내의 하부분에 그 일단은 레버에 형성된 스토퍼핀의 반대쪽에 접촉됨과 함께 타단은 상부 수직프레임의 내벽에 접촉되어 레버의 회동에 의해 스토퍼핀이 하부 수직프레임의 고정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에 다시 원상태로의 복원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외부로 노출된 각 레버의 상단 작동편을 상방으로 가압시킬 경우 상기 레버의 하단 스토퍼핀이 하부 수직프레임의 고정통공에서 빠져나와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부 수직프레임의 록킹을 해제하고, 각 레버의 상단 작동편을 상방으로 가압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레버의 하단 스토퍼핀이 하부 수직프레임의 고정통공으로 끼워져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부 수직프레임을 록킹시켜 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5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수강용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수강용 책상을 일부 절결상태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a 및 7b는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 수강용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이다.
또한 도 8은 도 7a의 Ⅰ-Ⅰ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요소인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부 수직프레임을 분해하여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각 도면에 의한 본 고안 실시예는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수직프레임(1)이 하단에 지지프레임(3)을 고정한 상태의 하부 수직프레임(1a)과 상단에 받침프레임(4)을 고정한 상태의 상부 수직프레임(1b)으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각 상부 수직프레임의 하부분은 각 하부 수직프레임(1a)의 상부분 안쪽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각 하부 수직프레임(1a)의 후방쪽에는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고정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1b)의 상부분에는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전방쪽을 향해 상부 통공(112)이 형성됨과 함께 하부분에는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후방쪽을 향해 하부 통공(113)이 형성되며,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1b) 내부에는 대략 그 가운데 부분이 힌지축(114)에 의해 축결합되어 상기 축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레버(115)가 설치되고, 상기 각 레버의 상단에는 상부 통공(112)을 통해 전방 외부로 노출되도록 작동편(116)이 절곡 형성되며, 상기 각 레버(115)의 하단에는 레버의 회동시 하부 통공(113)을 통해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각 고정통공(111)중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스토퍼핀(117)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각 상부수직프레임(1b) 내의 하부분에는 그 일단은 레버(115)에 형성된 스토퍼핀(117)의 반대쪽에 접촉됨과 함께 타단은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내벽에 접촉되어 레버(115)의 회동에 의해 스토퍼핀(117)이 하부 수직프레임(1a)의 고정통공(111)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115)에 다시 원상태로의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코일스프링(118)이 설치된 구조로 하여, 사용과정에서 각 상부 수직프레임(1b)의 외부로 노출된 레버(115)의 상단 작동편(116)을 상방으로 가압시킬 경우 상기 레버(115)의 하단 스토퍼핀(117)이 하부 수직프레임(1a)의 고정통공(111)에서 빠져나와 하부 수직프레임(1a)과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록킹을 해제하고, 각 레버(115)의 상단 작동편(116)을 상방으로 가압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레버(115)의 하단 스토퍼핀(117)이 하부 수직프레임(1a)의 고정통공(111)으로 끼워져 하부 수직프레임(1a)과 상부 수직프레임(1b)을 록킹시켜 주도록 한다.
상기에서 레버(115)의 하단중 스토퍼핀(117)의 반대쪽에는 돌출편(119)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118)의 일단부가 상기 돌출편(119)으로 끼워짐에 따라 코일스프링(118)의 일단이 레버(115)에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러짐이 없도록 하고,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의 하단에는 안쪽 공간을 커버한 상태로 이탈방지편(120)이 절곡 형성되어 코일스프링(118)이 상기 이탈방지편(120)에 의해 간섭됨에 따라 외부로 이탈됨이 없도록 한다.
또한 레버(115)의 가운데부분인 힌지축(114) 결합부분에는 그 양측면이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내벽에 근접되도록 대략 ㄷ자형상의 단면을 갖는 유동방지편(121)이 고정되어 실제로 상기 유동방지편(121)이 힌지축(114)에 의해상부 수직프레임(1b)에 축결합됨에 따라 레버(115)가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에 축결합된 상태가 되는데, 이는 레버(115)가 상부 수직프레임(1b)의 공간부 내에서 힌지축(114)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유동됨이 없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그리고, 레버(115)의 상단에 절곡형성되어 상부 수직프레임(1b)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통공(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작동편(116)에는 손잡이(122)가 압입 고정되어 사용과정에서 작동편(116)의 작동이 보다 편리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높이 조절장치를 이용해 수강용 책상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6의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수강용 책상의 높이가 가장 높은 상태로 조절되어 있는데, 이 상태에서는 도 7a와 같이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내부 공간부에 힌지축(1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레버(115)가 코일스프링(119)의 복원력을 받으면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레버(115)의 상단에 절곡형성된 작동편(116)은 상부 수직프레임(1b)의 상부분에 전방쪽을 향해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형성된 상부 통공(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레버(115)의 하단에 절곡형성된 스토퍼핀(117)은 상부 수직프레임(1b)의 하부분 후방쪽을 향해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형성된 하부 통공(111)을 통해 하부 수직프레임(1a)의 후방쪽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통공(111)중 가장 상부에 있는 하나의 고정통공에 끼워져 있으므로 결국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1b)은 레버(115)의 스토퍼핀(117)에 의해 하부 이동이 정지된 상태로 하부 수직프레임(1a)에 록킹되어 있어 이 경우에는 수강용 책상의 구성요소인 책상판(5)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가 가장 높다.
한편 도 6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학생이나 학원생)가 신체적인 조건이나 기타 다른 이유에 의해 책상의 높이를 더 낮게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록킹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는데,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일단 인위적인 힘에 의해 레버(115)의 상부분에 절곡 형성된 작동편(116)을 책상판(5) 쪽인 상방으로 가압시켜야 하고, 상기 작동편을 상방으로 가압시킬 때에는 사용자가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책상판(5) 위에 일단 올려 놓은 상태에서 나머지 네손가락으로 작동편(116)을 가볍게 감싸 안은 다음 상기 네손가락으로 작동편을 상방으로 가압시키면 된다.
상기에서 레버(115)에 형성된 작동편(116)을 상방으로 가압시킬 때는 상기 작동편에 손잡이(122)가 압입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작동편(116)을 직접 상방으로 가압시킬 때 보다 매우 편리할 것임은 물론 사용자가 거부감도 가지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레버(115)에 형성된 작동편(116)을 상방으로 가압시키면 상기 레버(115)는 코일스프링(118)의 압축에 따른 탄성력을 받으면서 힌지축(121)을 기준으로 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버(115)의 하단에 형성된 스토퍼핀(117)은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각 고정통공(111)중 가장 상부에 있는 하나의 고정통공에서 빠져나가게 되고, 이 경우 도 7b와 같이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록킹이 해제되어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은 일단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115)에 형성된 작동편(116)의 상방 가압력을 어느 정도 해제시킴과 동시에 수강용 책상의 구성요소인 책상판(5)에 하방으로의 누름력을 부여하면, 상기 책상판과 함께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1b)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순간에는 각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된 하부 통공(113)이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각 고정통공(111)중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과 일치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았을 때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된 하부 통공(113)이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111)과 일치된 상태가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높이라고 할 경우 더 이상 책상판(5)을 하방으로 누르지 않고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는 작동편(116)의 상방 가압력을 완전히 해제하면, 레버(115)는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118)의 복원력을 받아 다시 힌지축(114)을 기준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레버(115)에 형성된 스토퍼핀(117)이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하부 통공(113)을 통해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111)으로 끼워지므로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이 레버(115)의 스토퍼핀(15)에 의해 다시 하부 수직프레암(1a)에 완전 록킹되면서 정지상태가 되고, 이 경우 도 6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강용 책상의 구성요소인 책상판(5)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가 최초상태보다 적정 높이만큼 낮아져 결국 수강용책상의 높이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 작용에서 상부분에 절곡형성된 작동편(116)에 의해 힌지축(114)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레버(115)의 하단중 스토퍼핀(117)의 반대쪽에는 돌출편(119)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118)의 일단부가 상기 돌출편(119)으로 끼워져 있는데, 이는 상기 코일스프링(118)이 압축되면서 레버(115)에 탄성력을 발생시키거나 인장되면서 레버(115)에 복원력을 발생시킬 때 미끄러짐이 없도록 하기 위함에 있고,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의 하단에는 안쪽 공간을 커버한 상태로 이탈방지편(120)이 절곡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레버(115)의 회전시 코일스프링(118)이 상기 이탈방지편(120)에 의해 간섭됨에 따라 외부로 이탈됨이 없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 작용에서 레버(115)는 힌지축(114)에 의해 직접 상부 수직프레임(1b) 내의 공간부에서 힌지결합되어도 되지만 실시예와 같이 상기 레버의 힌지축(114) 결합부분에 그 양측면이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내벽에 근접되도록 대략 ㄷ자형상의 단면을 갖는 유동방지편(121)을 고정시켜 실제로 상기 유동방지편(121)이 힌지축(114)에 의해 상부 수직프레임(1b) 내의 공간부에서 축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 한데, 이는 레버(115)가 상부 수직프레임(1b)의 공간부 내에서 힌지축(114)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유동성이 크지 않도록 함에 따라 상기 레버(115)의 회전시 그 회전방향에 따라 스토퍼핀(117)이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각 고정통공(111)중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에 정확히 끼워지거나 끼워진 상태에서는 원활하게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구성요소중에서 레버(115)의 상부분에 절곡형성되어 상기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편(116)은 수강용 책상의 구성요소인 책상판(5)과 약간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책상판의 하방에 위치되므로 사용자를 포함한 사람들이 일부러 고개를 숙인상태에서 주시하지 않는 한 쉽게 눈에 띠지는 않게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는, 책상의 높이 조절을 위해 각 수직프레임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의 록킹 상태를 일단 해제시킬 때 최초 작동력을 전달하는 작동편이 책상판과 매우 가까운 곳에 위치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각 상부 수직프레임의 록킹 해제와 동시에 책상판을 하방으로 누르거나 상방으로 끌어 당기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결국 책상의 높이 조절을 한 사람이서도 어렵지 않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상기 작동편이 책상판에 가려 쉽게 보여지지 않아 미관상 보기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수직프레임이 하단에 지지프레임을 고정한 상태의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단에 받침프레임을 고정한 상태의 상부 수직프레임으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상부 수직프레임의 하부분은 하부 수직프레임의 상부분 안쪽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수강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각 하부 수직프레임의 후방쪽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통공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의 상부분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전방쪽을 향해 형성된 상부 통공 및 하부분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후방쪽을 향해 형성된 하부 통공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 내부에 대략 그 가운데 부분이 힌지축에 의해 축결합되어 상기 축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상태의 레버와,
    상기 각 레버의 상단에 절곡형성되어 상부 통공을 통해 전방 외부로 노출된 작동편과,
    상기 각 레버의 하단에 절곡형성되어 레버의 회동시 하부 통공을 통해 하부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각 고정통공중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스토퍼핀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 내의 하부분에 그 일단은 레버에 형성된 스토퍼핀의 반대쪽에 접촉됨과 함께 타단은 상부 수직프레임의 내벽에 접촉되어 레버의 회동에 의해 스토퍼핀이 하부 수직프레임의 고정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에 다시 원상태로의 복원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외부로 노출된 각 레버의 상단 작동편을 상방으로 가압시킬 경우 상기 레버의 하단 스토퍼핀이 하부 수직프레임의 고정통공에서 빠져나와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부 수직프레임의 록킹을 해제하고, 각 레버의 상단 작동편을 상방으로 가압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레버의 하단 스토퍼핀이 하부 수직프레임의 고정통공으로 끼워져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부 수직프레임을 록킹시켜 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레버의 하단중 스토퍼핀의 반대쪽에는 돌출편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의 일단부가 상기 돌출편으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레버에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러짐이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부 수직프레임의 하단에는 안쪽 공간을 커버한 상태로 이탈방지편이 절곡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이 상기 이탈방지편에 의해 간섭됨에 따라 외부로 이탈됨이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레버의 가운데부분인 힌지축 결합부분에는 그 양측면이 상부 수직프레임의 내벽에 근접되도록 대략 ㄷ자형상의 단면을 갖는 유동방지편이 고정되어 실제로 상기 유동방지편이 힌지축에 의해 상부 수직프레임에 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KR20-2004-0000044U 2004-01-02 2004-01-02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KR200345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044U KR200345835Y1 (ko) 2004-01-02 2004-01-02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044U KR200345835Y1 (ko) 2004-01-02 2004-01-02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835Y1 true KR200345835Y1 (ko) 2004-03-25

Family

ID=4942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044U KR200345835Y1 (ko) 2004-01-02 2004-01-02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83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223B1 (ko) 2004-07-20 2007-01-16 선진산업 주식회사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738392B1 (ko) 2005-11-14 2007-07-20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걸상 높낮이 조절 장치
KR100761885B1 (ko) 2006-07-26 2007-09-28 주식회사 진성기업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626025B1 (ko) * 2015-02-05 2016-05-31 (주)제이와이 책상 상판의 경사조절장치
KR20220005258A (ko) 2020-07-06 2022-01-13 손경섭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WO2022098037A1 (ko) * 2020-11-04 2022-05-12 임성모 테이블 다리용 높낮이 조절 어셈블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223B1 (ko) 2004-07-20 2007-01-16 선진산업 주식회사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738392B1 (ko) 2005-11-14 2007-07-20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걸상 높낮이 조절 장치
KR100761885B1 (ko) 2006-07-26 2007-09-28 주식회사 진성기업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626025B1 (ko) * 2015-02-05 2016-05-31 (주)제이와이 책상 상판의 경사조절장치
KR20220005258A (ko) 2020-07-06 2022-01-13 손경섭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WO2022098037A1 (ko) * 2020-11-04 2022-05-12 임성모 테이블 다리용 높낮이 조절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7303B2 (en) Seatbelt adjusting device
KR100737961B1 (ko) 의자 팔걸이의 높이 조절 장치 및 상하 승강 구조
US7753448B2 (en) Seat position-adjusting device for a highchair
KR100628119B1 (ko) 평판형 모니터
DE102014019884B3 (de) Einstellmechanismus und zugehörige Kindertragevorrichtung
US20120014554A1 (en) Soft-opening hinge and headphone set including same
US20070235601A1 (en) Height-adjustable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KR200345835Y1 (ko)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US20050279261A1 (en) Height adjustable device for a retractable tube assembly
US7182718B2 (en) Muscle exercising device
KR100608273B1 (ko) 수강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US6923417B2 (en) Projector device
KR200394565Y1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JP2006220838A (ja) 鍵盤楽器のスタンド
KR200255826Y1 (ko)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US7419219B2 (en) Adjustable arm assembly for a chair
KR200442106Y1 (ko) 책상 일체형 의자
JP2003029653A (ja) Lcdの高さ調節装置
KR20040004345A (ko) 책걸상용 높이조절장치
JP5858487B2 (ja) 可搬便器
KR20080003591A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546942B1 (ko) 보조책상 겸용 보조서랍장
KR200162380Y1 (ko) 수강용 책상
JPH0227808Y2 (ko)
KR200392121Y1 (ko) 책상 및 걸상의 높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