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591A -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591A
KR20080003591A KR1020060062026A KR20060062026A KR20080003591A KR 20080003591 A KR20080003591 A KR 20080003591A KR 1020060062026 A KR1020060062026 A KR 1020060062026A KR 20060062026 A KR20060062026 A KR 20060062026A KR 20080003591 A KR20080003591 A KR 20080003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esk
housing
height adjust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명
Original Assignee
박진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명 filed Critical 박진명
Priority to KR1020060062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3591A/ko
Publication of KR20080003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2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balancing device, e.g. by spring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책상 상판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작이 용이하고, 한층 향상된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위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레임 외부면에 위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위치하고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2개의 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에 걸림 접촉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갖는 걸림판과, 편심돌기를 가지며 이 편심돌기의 접촉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끼워진 상태 또는 벗어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걸림판을 회동시킴과 아울러 회동된 자세로 고정하기 위한 캠축 타입의 록킹수단을 포함한다.
책상, 상판, 지지프레임, 상판의 높낮이 조절, 걸림판, 캠축 타입의 록킹수단

Description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HEIGHT ADJUSTABLE DEVICE FOR A DES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조작을 위한 레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록킹수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록킹수단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작이 간편하고, 한층 향상된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책상은 동일한 외형 사이즈로 제작되어 각 학급에 배치되므로 대다수의 학생들은 자신의 신체 체형에 따라 이에 적합한 크기의 책상을 배정 받기 어렵다.
이와 같이 학생의 신체 체형과 적합하지 않은 책상은 착석한 상태에서 불안정한 자세를 유발하게 되며, 불안정한 자세로 장기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 신체 척추의 기형이나 질환 등을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된다.
특히, 일반 성인에 비하여 신체 체형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성장기의 학생들에게는 더욱 심각한 신체 부작용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이 제시되고 있다.
이 책상은 상기 지지프레임이 위아래 방향으로 분할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연결되고 이들의 연결 길이를 변화시킨 후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즉, 걸림용 핀 또는 나사축의 걸림 접촉력으로 고정하면서 상판의 위치를 적어도 2단계 이상으로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기 걸림용 핀이나 나사축이 걸림 접촉된 상태 또는 걸림 접촉이 해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지 않으므로 예를들어, 진동이나 각종 충격 등에 의해 걸림용 핀이나 나사축의 위치가 쉽게 변화되면서 오작동을 유발하게 되므로 만족할 만한 작동안정성을 확보 하기 어렵다.
특히, 책상의 사용 중에 상기 걸림용 핀이나 나사축이 오작동되어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 자칫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축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구조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연결 상태를 고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하여 나사축을 여러 번 회전시켜야하므로 조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판의 높낮이 조절시 신속한 조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걸림용 핀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구조는 걸림용 핀이 대부분 스프링에 탄지되어 걸림 상태로 유지되므로 예를들어, 상판의 높낮이 조절시 상기 걸림용 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당긴 상태로 지지프레임의 연결 길이를 변화시켜야 하므로 높낮이 조절시 불편함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작이 간편하고, 특히 록킹 또는 해제 상태에서 오작동을 방지하여 한층 향상된 작동 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위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레임 외부면에 위치되 며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위치하고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2개의 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에 걸림 접촉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갖는 걸림판과,
편심돌기를 가지며 이 편심돌기의 접촉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끼워진 상태 또는 벗어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걸림판을 회동시킴과 아울러 회동된 자세로 고정하기 위한 캠축 타입의 록킹수단
을 포함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하우징을 지칭한다. 이 하우징(2)은 도면에서와 같이 책상(T)의 상판(P)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F) 일측에 부착된다.
상기 지지프레임(F)은 상부프레임(F1)과 하부프레임(F2)으로 구성되며, 이 프레임(F1, F2)들은 위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연결 길이가 변화된다.
예를들어, 상기 하부프레임(F2)에는 2개의 가이드홈(H)이 구비되고 이 2개의 가이드홈(H)에 상기 상부프레임(F1)이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서 이 상부프레임(F1)의 위쪽에 고정된 상판(P)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통상의 책상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F1)은 상기 가이드홈(H) 통로를 따라 이동될 때 적어도 1단계 이상으로 위치 변화가 가능하게 걸려질 수 있도록 도 3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걸림홈(G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은 내부 공간(S)을 가지며, 상기 하부프레임(F2)에 형성된 가이드홈(H)의 외부면 일측에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용접 고정된다.(도 3참조)
상기 하우징(2)의 내부 공간(S)에는 상기 상부프레임(F1)의 슬라이드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판(4)이 위치된다.
이 걸림판(4) 일측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걸림돌기(G2)가 돌출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G2)가 상기 상부프레임(F1)에 형성된 걸림홈(G1)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2) 내부에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힌지 결합된다.
상기 걸림판(4)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양측면에는 힌지축(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G2)는 상기 걸림홈(G1)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서 걸림 접촉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축(6)은 상기 하우징(2) 내벽면을 관통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 내부에는 캠축 타입의 록킹수단(8)이 위치되며, 이 수단(4)은 상기 걸림판(4)과 접촉하여 이 걸림판(4)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록킹수단(8)이 도 3에서와 같이 회전축(10)의 외주면 일측에 편심돌기(1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10)의 회전시 상기 편심돌기(12)가 상기 걸림판(4)과 접촉하는 방식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회전축(10)은 상기 하우징(2) 내부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판(4)측에 형성된 접지홀(14) 내부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끼워져서 양측단이 상기 하우징(2)의 양측 벽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0)은 일측단이 상기 하우징(2)의 외측으로 더욱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2) 외부에서 도 4에서와 같이 레버(L)가 부착될 수 있다.
이 레버(4)는 원통의 손잡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2) 외부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로 상기 회전축(1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편심돌기(12)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10)이 축선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될 때 상기 걸림판(4)의 접지홀(14) 내측 테두리면과 접촉하여 통상의 캠 접촉 방식에 의해 상기 걸림판(4)이 회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 편심돌기(12)가 도 5에서와 같이 위치되면, 상기 걸림판(4)이 도면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걸림돌기(G2)가 상기 걸림홈(G1) 내부에 끼워져서 록킹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프레임(F1)과 하부프레임(F2)의 연결 상태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편심돌기(12)가 도 6에서와 같이 위치되면, 상기 걸림판(4)이 도면에서와 같이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걸림돌기(G2)가 상기 걸림홈(G1)으로부터 벗어나서 록킹된 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록키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프레임(F1)과 하부프레임(F1)의 연결 길이를 변화시켜서 상기 상판(P)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는 편심돌기(12)가 상기 걸림판(4)과 내접 상태로 접촉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걸림판(4)의 외측 테두리 둘레면과 외접 상태로 접촉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판(4)은 상기 록킹수단(8)과 비접촉 상태일 때 상기 하우징(2)의 내부 공간(S)에서 탄성반발력에 의해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걸림돌기(G2)가 상기 걸림홈(G1) 내부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셋팅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3에서와 같이 통상의 비틀림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C1)가 상기 걸림판(4)의 일측 힌지축(6)에 끼워져서 상기 탄성부재(C2)로부터 발생하 는 탄성반발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G2)가 상기 걸림홈(G1)에 걸려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록킹수단(8)이 도 5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록킹 및 해제를 위하여 어느 한 쪽으로 조작되지 않고 중립 지점에 위치될 때 상기 탄성부재(C1)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G2)가 상기 걸림홈(G1)에 항상 걸려지도록 하여 한층 항상된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C1)는 비틀림 코일스프링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판스프링이나 압축 또는 인장 코일스프링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걸림판(4)은 어느 하나의 스프링으로부터 발생된 탄성반발력에 의해 상기 힌지축(6)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걸림돌기(G2)가 상기 걸림홈(G1) 내부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셋팅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들을 셋팅하는 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수단(8)은 상기 하우징(2) 내부에서 돌기부 및 홈부의 걸림 접촉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G2)가 상기 걸림홈(G1)에 끼워져서 걸려지거나 벗어난 상태로 고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편심돌기(12) 일측에 멈춤돌기(W1)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의 일측 내벽면에는 2개의 멈춤홈(W2)이 형성되어 상기 멈춤돌기(W1)가 상기 2개의 멈춤홈(W2)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홈부에 끼 워지면서 상기 걸림판(4)이 걸림 또는 해제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예를들어, 상기 편심돌기(12)가 도 5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위치될 때 상기 멈춤돌기(W1)가 어느 하나의 멈춤홈(G2) 또는 다른 하나의 멈춤홈(G2)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걸림판(4)이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각각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2) 내부에는 상기 멈춤돌기(W1)가 상기 2개의 멈춤홈(W2)에 탄력적으로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장력발생부재(C2)가 더 설치된다.
이 장력발생부재(C2)는 통상의 스프링 중에서 압축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압축 코일스프링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2)의 일측 내벽면과 상기 회전축(10)의 일측 단부 사이에 도면에서와 같이 끼워져서 탄성반발력에 의해 상기 멈춤돌기(W1)가 상기 멈춤홈(W2)측으로 이동되어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장력발생이 가능하게 셋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멈춤돌기부(W1)가 상기 2개의 멈춤홈(W2)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홈(W2) 내측에 끼워진 고정 상태는 상기 회전축(10)의 레버(C)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멈춤돌기(W1)가 상기 멈춤홈(W2)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은 록킹 구조는 예를들어, 걸림용 핀이 록킹 또는 해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는 종래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비하여 상판(P)의 높낮이 조절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특히 진동이나 각종 충격 등에 의해 오작동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장력발생부재(C2)로 압축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 설 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외에도 통상의 판스프링이나 인장 코일스프링 또는 비틀림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책상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연결 길이를 변화시켜서 상판의 높낮이 상태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높낮이 조절시 지지프레임의 록킹 또는 해제는 물론이거니와 어느 하나의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신속한 조작이 가능하고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오작동을 방지하여 한층 향상된 작동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위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레임 외부면에 위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위치하고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2개의 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에 걸림 접촉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갖는 걸림판;
    편심돌기를 가지며 이 편심돌기의 접촉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끼워진 상태 또는 벗어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걸림판을 회동시킴과 아울러 회동된 자세로 고정하기 위한 캠축 타입의 록킹수단;
    을 포함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홈 내부에는 복수개의 걸림홈을 갖는 다른 하나의 프레임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편심돌기가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되면서 상기 걸림판과 외접 상태 또는 내접 상태로 접촉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심돌기는 돌기부 및 홈부의 끼움 결합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분리 가능하게 접촉된 상태로 걸려지면서 상기 걸림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기 편심돌기와 상기 하우징 내벽면 사이에서 돌기부와 홈부가 걸림 접촉이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위치되도록 장력을 발생하는 장력발생부재를 더 포함하며,
    이 장력발생부재는 압축 코일스프링이나 인장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비틀림 스프링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기 걸림판이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탄성반 발력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또는 인장 코일스프링, 압축 코일스프링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기 록킹수단이 캠축 작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060062026A 2006-07-03 2006-07-03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80003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026A KR20080003591A (ko) 2006-07-03 2006-07-03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026A KR20080003591A (ko) 2006-07-03 2006-07-03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591A true KR20080003591A (ko) 2008-01-08

Family

ID=3921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026A KR20080003591A (ko) 2006-07-03 2006-07-03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35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575B1 (ko) * 2012-11-15 2014-04-29 (주)다보스티엔지 가구용 상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WO2021004096A1 (zh) * 2019-07-10 2021-01-14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升降桌及其控制方法
KR102637329B1 (ko) * 2023-12-28 2024-02-20 (주)캠퍼스라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575B1 (ko) * 2012-11-15 2014-04-29 (주)다보스티엔지 가구용 상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WO2021004096A1 (zh) * 2019-07-10 2021-01-14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升降桌及其控制方法
KR102637329B1 (ko) * 2023-12-28 2024-02-20 (주)캠퍼스라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463B2 (en) Height-adjustable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JPH05156859A (ja) 内倒れ式上下動窓
KR100775626B1 (ko) 강의용 책상
TW201905576A (zh) 開閉體開閉裝置、以及具備該開閉體開閉裝置之各種被開閉體
JP4518039B2 (ja) 着脱機構
KR101207295B1 (ko) 독서대 받침대
KR20080003591A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JP5653601B2 (ja) 肘掛け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椅子
JP4966095B2 (ja) ヒンジ機構
KR100894071B1 (ko) 휴대용 독서대 겸용 책상
KR101400683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20080005702A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86295Y1 (ko)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
JP2021016775A (ja) 転落防止装置
KR100913402B1 (ko) 상다리 절첩장치
US2003836A (en) Folding leg construction and locking means therefor
KR200312322Y1 (ko) 접이식 탁자
JP4133287B2 (ja) 肘掛け
JPS63303298A (ja) カメラ支持装置
KR20240039512A (ko) 독서대용 이단경사판의 각도조절부 고정부재
KR102306895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US1200389A (en) Adjustable school seat and desk.
KR200426705Y1 (ko)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 조절장치
KR200284307Y1 (ko) 독서대가 구비된 책상
KR200395675Y1 (ko) 높이조절수단이 강구된 강대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