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835Y1 -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esk - Google Patents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e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835Y1
KR200345835Y1 KR20-2004-0000044U KR20040000044U KR200345835Y1 KR 200345835 Y1 KR200345835 Y1 KR 200345835Y1 KR 20040000044 U KR20040000044 U KR 20040000044U KR 200345835 Y1 KR200345835 Y1 KR 200345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lever
desk
fix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04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남준
Original Assignee
백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남준 filed Critical 백남준
Priority to KR20-2004-0000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83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835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직프레임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에 대부분의 구성요소를 구비시킨 구조로 하여 책상의 높이 조절을 사용자 한 사람이서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상기 책상의 높이 조절을 위한 외부 노출 구성요소가 외부에서는 쉽게 식별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desk, the structure is equipped with most components in the upper vertical frame constituting the vertical frame so that the height of the desk can be quickly and conveniently performed by one user In addition, the external exposure component for height adjustment of the desk is not easily identified from the outside.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수직프레임(1)이 하단에 지지프레임(3)을 고정한 상태의 하부 수직프레임(1a)과 상단에 받침프레임(4)을 고정한 상태의 상부 수직프레임(1b)으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상부 수직프레임(1b)의 하부분은 하부 수직프레임(1a)의 상부분 안쪽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수강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각 하부 수직프레임(1a)의 후방쪽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통공(111)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1b )의 상부분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전방쪽을 향해 형성된 상부 통공(112) 및 하부분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후방쪽을 향해 형성된 하부 통공(113)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1b) 내부에 대략 그 가운데 부분이 힌지축(114)에 의해 축결합되어 상기 축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상태의 레버(115)와, 상기 각 레버의 상단에 절곡형성되어 상부 통공(112)을 통해 전방 외부로 노출된 작동편(116)과, 상기 각 레버(115)의 하단에 절곡형성되어 레버의 회동시 하부 통공(113)을 통해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각 고정통공(111)중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스토퍼핀(117)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1b) 내의 하부분에 그 일단은 레버(115)에 형성된 스토퍼핀(117)의 반대쪽에 접촉됨과 함께 타단은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내벽에 접촉되어 레버(115)의 회동에 의해 스토퍼핀(117)이 하부 수직프레임(1a)의 고정통공(111)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115)에 다시 원상태로의 복원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118)으로 구성되어 외부로 노출된 각 레버(115)의 작동편(116)을 상방으로 가압시킬 경우 상부 수직프레임(1b)이 하부 수직프레임(1a)에서 록킹이 해제되고, 상기 각 레버(115)의 작동편(116)을 상방으로 가압시키지 않을 경우 상부 수직프레임(1b)이 하부 수직프레임(1a)에 록킹되는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이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vertical frame (1a) and the support frame (4) on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1) of the pipe-type provided in a stat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both sides fixed to the support frame (3) at the bottom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1b) is fixed to the state, the lower part of the divided upper vertical frame (1b)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vertical frame (1a) to slide the upper and lower sliding desk combined The plurality of fixed through-holes 111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tate of communicating internal and external to the rear side of each of the lower vertical frame (1a), and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The upper through hole 112 formed toward the front in the stat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the outside and the lower through hole 113 formed toward the rear in the stat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the outer portion and the upper vertical frame (1b) Inside) The lever 115 is axially coupled by the hinge shaft 114 and the lever 115 in a state capable of pivoting around the axial engagement portion, and bent at the upper end of each lever to be exposed to the front outside through the upper through hole 112. One side 116 and bent at the lower end of each lever 115 is formed in any one of the fixed through-holes 111 formed in the lower vertical frame (1a) through the lower through-113 when the lever is rotated The stopper pin 117 to be selectively fitted, and the lower end of each upper vertical frame 1b is in contact with the opposite side of the stopper pin 117 formed on the lever 115, and the other end is the upper vertical frame 1b. When the stopper pin 117 is fitted into the fixed through-hole 111 of the lower vertical frame 1a by contacting the inner wall of the lever 115, the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lever 115 again. Coil spring 118 consists of each lever 115 exposed to the outside The upper vertical frame 1b is released from the lower vertical frame 1a when the east side 116 is pushed upward, and the upper vertical frame 1b is not pushed upward when the operating piece 116 of each lever 115 is not pushed upward. The frame 1b is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lecture desk, which is locked to the lower vertical frame 1a.

Description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esk}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esk

본 고안은 강습장이나 강의실에서 사용하는 책상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책상의 높이를 일정한 높이 범위내에서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the desk used in the classroom or classroom,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desk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desk step by step within a certain height range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user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학교나 학원 등에서 학생들이 선생님으로 부터 강의를 듣거나 강습을 닫을 경우에는 반드시 책상을 필요로 하므로 각 학교나 학원의 교실에는 여러개의 수강용 책상이 걸상과 함께 셋트로 갖추어져 있어 이를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when students take a lecture from a teacher or close a class at a school or academy, they need a desk. Therefore, each classroom or school has a set of classroom desks with benches. Doing.

상기 수강용 책상은 좌,우로 이격되게 한쌍의 수직프레임(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수직프레임은 연결프레임(2)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 수직프레임(1)의 하단에는 바닥면에 안정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과 직각되게 지지프레임(3)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각 수직프레임(1)의 상단에는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수직프레임(1)과 직각되게 받침프레임(4)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프레임에는 책상판(5)이 받쳐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보편적이다.The lecture desk is provided with a pair of vertical frames (1)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each vertical frame is connected in an integrated state by a connecting frame (2), each of the vertical frame (1) The support frame (3) is fixed to the bottom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frame so that it can be supported in a stable state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top of each of the vertical frame (1)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frame (1) to connect the vertical frame The support frame 4 is fixed, and the support fram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esk plate 5 is fixed in a supported state.

상기에서 각 프레임인 수직프레임(1), 연결프레임(2), 지지프레임(3), 받침프레임(4)은 견고성을 위해 금속재가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내부가 텅비어 있는 프레임이 사용되는데, 상기 각 프레임은 사각형이어도 좋고 원형이어도 좋다.The vertical frame (1), the connecting frame (2), the support frame (3), the supporting frame (4) is used for the rigidity of the frame in the above, the metal material is used for the robustness, and among them, the hollow frame is used. The frame may be rectangular or circular.

이러한 수강용 책상은 높이의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하는 학생들중 일부가 자신의 신체적인 조건 등과 다소 맞지 않더라도 어쩔 수 없이 사용할 수 밖에 없음에 따라 사용하는 학생들의 자세 불안정으로 인해 신체적인 발달에 지장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학습태도의 불량으로 인해 수업분위기가 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desk has a structure that cannot be adjusted in height, so some of the students are forced to use it even if it does not meet their physical condition. As well as the problem that causes the disrup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lass atmosphere is blurred due to poor learning attitude.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근래에는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책상이 제공되고 있는 바, 이하 종래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기로 하면 다음과 같다.In view of these problems, recently, a desk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has been provided. Hereinafter,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lecture desk will be described first.

첨부된 도 1은 종래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수강용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수강용 책상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종래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 수강용 책상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좌,우로 이격되어 연결프레임(2)에 의해 일체화된 각 수직프레임(1)은 하단에 지지프레임(3)이 고정된 하부 수직프레임(1a)과 상단에 받침프레임(4)이 고정된 상부 수직프레임(1b)으로 분할되어 상기 분할된 상부 수직프레임의 하부분이 하부 수직프레임(1a)의 상부분 안쪽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분할된 상부 수직프레임(1b)중 하부분 전방쪽에는 수직상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이동통공(11)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하부 수직프레임(1a)중 상부분 전방쪽에는 하나의 고정통공(12)이 형성되어 상부 수직프레임(1b)의 상,하이동시 각 이동통공(11)중 어느 하나의 이동통공이 고정통공(12)과 일치되도록 하며, 상기 각 하부 수직프레임(1a)의 전방쪽에는 고정통공(12)을 감싼상태로 스프링 하우징(13)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각 스프링 하우징에는 내,외부를 수평상태로 연통시켜 주도록 하우징 구멍(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스프링 하우징(13)에는 그 전방쪽 끝단부가 하우징 구멍(1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스토퍼핀(15)이 수평상태로 끼워져 상기 스토퍼핀이 후방쪽인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고정통공(12)을 통해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이동통공(11)으로 끼워져 있도록 함과 함께 스토퍼핀(15)이 전방쪽인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이동통공(11)에서 완전히 빠져나와 있도록 하며, 상기 각 스토퍼핀(15)중 스프링 하우징(13)의 내측부에는 스토퍼핀(15)과 함께 이동되도록 돌기(16)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스토퍼핀(15)에 끼워진 상태로 코일스프링(17)이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핀(15)이 코일스프링(17)에 의해 항상 후방쪽인 내측으로의 이동력을 부여받도록 하고, 상기 각 스토퍼핀(15)의 전방쪽 끝단에는 스프링 하우징(13)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태로 손잡이(18)가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를 이용해 스토퍼핀(15)을 전,후방쪽인 내,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Attached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 for a conventional desk having a height adjusting device, FIG. 2 is a front view of a desk for a desk having a conventional height adjusting device, and FIG. 3 is a height of the desk for adjusting by a conventional height adjusting device. A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the vertical frame (1) spaced left and right and integrated by the connecting frame (2) is supported by the lower vertical frame (1a) and the upper support frame (3) fixed at the lower end. The frame 4 is divided into a fixed upper vertical frame 1b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divided upper vertical frame is slidably inserted up and down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vertical frame 1a. A plurality of moving through holes 11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in the vertical state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a fixed through hole 12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vertical frame 1a in front of the upper part. This formation When moving up and down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so that any one of the moving through holes of each of the moving holes (11) coincide with the fixed through hole (12), the fixed through hole (front of each lower vertical frame (1a) 12, the spring housing 13 is fixed to the state surrounding the housing, and each of the spring housing is formed with a housing hole 14 to communicate the inner and outer in a horizontal state, each of the spring housing 13 The stopper pin 15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state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using hole 14, and the fixed through hole 12 formed in the lower vertical frame 1a is moved in the state where the stopper pin is moved to the rear side. Any one formed in the upper vertical frame (1b) in the state that the stopper pin (15) is moved to the outside toward the outside while being fitted into any one of the moving through holes (11) formed in the upper vertical frame (1b) through Go through the hole (11) In the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stopper pin (15) and the projection (16) to be moved together with the stopper pin (15) on the inner side of the spring housing 13 of each stopper pin (15) Coil springs (17) are installed so that the stopper pin (15) is imparted by the coil spring (17) to move inwardly to the inside, and the spring housing at the front end of each stopper pin (15) The handle 18 is fixed in a state located outside the (13) so that the stopper pin 15 can be mov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by using the handle.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높이 조절장치를 이용해 수강용 책상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ocess of step-by-step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ecture desk using the conventional height adjustment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첨부된 도 2의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수강용 책상의 높이가 가장 높은 상태로 조절되어 있는데, 이 상태에서는 도 3과 같이 각 스토퍼핀(15)이 스프링 하우징(13) 내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17)에 의해 복원력을 받아 후방쪽인 내측(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최대한 이동되어 있고, 상기 각 스토퍼핀(15)이 후방쪽인 내측으로 최대한 이동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그 후방쪽인 내측 끝단이 각 수직프레임(1)의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통공(12)을 통해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된 복수개의 이동통공(11)중 가장 아래쪽에 있는 하나의 이동통공으로 완전히 끼워져 있으므로 결국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1b)은 스토퍼핀(15)에 의해 하부 이동이 정지된 상태로 하부 수직프레임(1a)에 록킹되어 있어 이 경우에는 상기 도 2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강용 책상의 구성요소인 책상판(5)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가 가장 높다.The state shown by the solid line of Figure 2 is adjusted to the highest height of the desk,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ure 3 each spring stopper pin 15 is installed in the spring housing 13 coil spring Under the restoring force by (17), it is moved to the inner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as far as possible, and in the state where the respective stopper pins 15 are moved to the inner side which is rearward as much as possible, Through one fixed through hole 12 formed in the lower vertical frame 1a of each vertical frame 1, one of the moving through holes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moving through holes 11 formed in the upper vertical frame 1b is completely Since the upper vertical frame 1b constituting each vertical frame 1 is locked to the lower vertical frame 1a while the lower movement is stopped by the stopper pin 15, in this case, the solid line of FIG. As shown, the height between the desk plate (5)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ponent of the lecture desk is the highest.

상기에서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하부 수직프레임(1a)은 연결프레임(2)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하부 수직프레임(1a)과 상부 수직프레임(1b)을 분리하더라도 상기 각 하부 수직프레임(1a)만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In the above, the lower vertical frame 1a constituting each vertical frame 1 is connected in an integrated state by the connecting frame 2, which means that the user needs the lower vertical frame constituting each vertical frame 1 ( Even if 1a) and the upper vertical frame 1b are separated, only the lower vertical frames 1a ar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한편 도 2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학생이나 학원생)가 신체적인 조건이나 기타 다른 이유에 의해 책상의 높이를 더 낮게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록킹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는데,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일단 인위적인 힘에 의해 스토퍼핀(15)을 전방쪽인 외측으로 최대한 잡아당겨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tudent or school student) want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desk lower due to physical conditions or other reasons in the state shown by the solid line of FIG. 2, the upper part of each vertical frame 1 is first formed. The locking state of the vertical frame 1b should be released. In order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the stopper pin 15 should be pulled to the outside as far as possible by artificial force.

즉, 각 스토퍼핀(15)의 전방쪽 끝단에 고정된 손잡이(18)를 이용해 상기 각 스토퍼핀(15)을 전방쪽인 외측(도면상 우측)으로 동시에 잡아당기면 상기 각 스토퍼핀은 스프링 하우징(13) 내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17)을 압축시키면서 전방쪽으로 이동되므로 어느 순간 각 스토퍼핀(15)의 후방쪽인 내측 끝단부분이 각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되어 있는 가장 아래쪽의 이동통공(11)에서 동시에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록킹이 해제되어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이 일단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That is, when each stopper pin 15 is simultaneously pulled outward (right side in the drawing) using the handle 18 fixed to the front end of each stopper pin 15, each stopper pin is a spring housing ( 13) Since it moves forward while compressing the coil spring 17 installed in the inside, at the moment, the innermost end portion, which is the rear end of each stopper pin 15, is formed at the uppermost vertical frame 1b. Simultaneously withdraws from the (11), the locking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is released so that the upper vertical frame (1b) constituting each of the vertical frame (1) can be moved once downwards. .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강용 책상의 구성요소인 책상판(5)에 하방으로의 누름력을 부여하면, 상기 책상판과 함께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1b)이 하방으로 이동되는데,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순간에는 각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된 이동통공(11)중 가장 아래의 이동통공을 제외한 어느 하나의 이동통공이 각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통공(12)과 계속적으로 일치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applies downward pressing force to the desk plate 5, which is a component of the desk, the upper vertical frame 1b constituting each vertical frame 1 together with the desk plate is moved downward. At the moment when the upper vertical frame is moved downward, any one of the moving through holes except the lowest moving through hole 11 formed in each upper vertical frame 1b is formed in each lower vertical frame 1a. It is understood that the coincides with the fixed through hole 12 continuously.

따라서 사용자가 보았을 때 어느 하나의 이동통공(11)이 고정통공(12)과 일치된 상태가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높이라고 할 경우 더 이상 책상판(5)을 하방으로 누르지 않고 전방쪽인 외측으로 이동되어 있던 각 스토퍼핀(15)의 당김력을 해제하면, 상기 각 스토퍼핀은 코일스프링(17)에 의해 복원력을 받아 다시 후방쪽인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통공(11)중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통공(12)과 일치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이동통공으로 다시 완전히 끼워지므로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이 스토퍼핀(15)에 의해 하부 수직프레임(1a)에 다시 완전 록킹되면서 정지상태에 있고, 이 경우에는 도 2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강용 책상의 구성요소인 책상판(5)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가 최초상태보다 적정 높이만큼 낮아져 결국 수강용 책상의 높이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user sees any one of the movable through holes 11 and the fixed through holes 12 in the state that he thinks the height of the desk plate (5) is no longer pressed downwards to move forward to the outside When releasing the pulling force of each stopper pin 15, the stopper pin is regenerated by the coil spring 17 and moved back to the inner side while being mov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The upper vertical frame 1b is vertically lowered by the stopper pin 15 because the upper vertical frame 1b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movable through hole coinciding with the fixed through hole 12 formed in the lower vertical frame 1a. Fully locked to the frame 1a again, and in a stationary state, in this case, the height between the desk plate 5 and the bottom surfac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teaching desk, is less than the initial state, as shown by the dashed line in FIG. 2. Will be lowered by the height, the height of the desk for end users to take adjust to the desired height.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는, 책상의 높이 조절시 각 수직프레임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의 록킹 상태를 일단 해제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각 스토퍼핀을 잡아당기기 위한 손잡이와 책상판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각 스토퍼핀을 동시에 잡아당긴 상태에서 책상판을 하방으로 누르거나 상방으로 끌어 당기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결국 책상의 높이 조절을 한 사람이 아닌 두사람이 공동으로 할 수 밖에 없어 사용상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esk height adjustment device, the locking stat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constituting each vertical frame must be released once when the height of the desk is adjusted, in which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handle and the desk plate for pulling each stopper pin is different. Because it is far apar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for the user to push the desk plate downward or pull it upward while pulling each stopper pin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very uncomfortable problem.

또한 각 스토퍼핀을 잡아당기기 위한 손잡이가 전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책상판과 멀리 이격되어 있음에 따라 가까이서는 물론 멀리에서 보더라도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가 한눈에 금방 들어옴에 따라 미관상 보기에 흉한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as the handle for pulling each stopper pin is far away from the desk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there is also an unsightly aesthetic problem as the handle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a glance even if viewed from a close or far distance. .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직프레임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에 대부분의 구성요소를 구비시킨 구조로 하여 책상의 높이 조절을 사용자 한 사람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상기 책상의 높이 조절을 위한 외부 노출 구성요소가 외부에서는 쉽게 식별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structure is equipped with most components in the upper vertical frame constituting the vertical frame can be quickly and conveniently performed by one us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desk In addition, the external exposure component for height adjustment of the desk is not intended to be easily identified from the outside.

도 1은 종래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수강용 책상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cture desk with a conventional height adjustment device

도 2는 종래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수각용 책상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a desk for a conventional desk having a height adjustment device

도 3은 종래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 수강용 책상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Figure 3 is a main portion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desk is adjusted by the conventional height adjustment device

도 4는 종래 높이 조절장치가 수강용 걸상에 갖추어진 상태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conventional height adjustment device equipped with a lecture bench

도 5는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수강용 책상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sk for teaching with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수강용 책상을 일부 절결상태로 나타낸 정면도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ut desk with a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artially cut state

도 7a는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 수강용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각 수직프레임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이 록킹된 상태도Figure 7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desk desk by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vertical frame constituting each vertical frame is a state diagram

도 7b는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 수강용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각 수직프레임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이 록킹 해제된 상태도Figure 7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desk desk by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in which the upper vertical frame constituting each vertical frame is unlocked

도 8은 도 7a의 Ⅰ-Ⅰ선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7A.

도 9는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요소인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부 수직프레임을 분해하여 나타낸 요부 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lower vertical frame and the upper vertical frame, which are components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가 수강용 걸상에 갖추어진 상태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사시도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eight adjustment device equipped with a lecture bench for referen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수직프레임 1a. 하부 수직프레임1. Vertical frame 1a. Lower vertical frame

1b. 상부 수직프레임 3. 지지프레임1b. Upper vertical frame 3. Support frame

4. 받침프레임 111. 고정통공4. Support frame 111. Fixed hole

112. 상부 통공 113. 하부 통공112. Upper aperture 113. Lower aperture

114. 힌지축 115. 레버114. Hinge Shaft 115. Lever

116. 작동편 117. 스토퍼핀116. Operation Plate 117. Stopper Pin

118. 코일스프링 119. 돌출편118. Coil Spring 119. Protrusion

120. 이탈방지편 121. 유동방지편120. Departure prevention piece 121. Flow prevention piece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수직프레임이 하단에 지지프레임을 고정한 상태의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단에 받침프레임을 고정한 상태의 상부 수직프레임으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상부 수직프레임의 하부분은 하부 수직프레임의 상부분 안쪽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수강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각 하부 수직프레임의 후방쪽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통공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의 상부분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전방쪽을 향해형성된 상부 통공 및 하부분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후방쪽을 향해 형성된 하부 통공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 내부에 대략 그 가운데 부분이 힌지축에 의해 축결합되어 상기 축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상태의 레버와, 상기 각 레버의 상단에 절곡형성되어 상부 통공을 통해 전방 외부로 노출된 작동편과, 상기 각 레버의 하단에 절곡형성되어 레버의 회동시 하부 통공을 통해 하부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각 고정통공중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스토퍼핀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 내의 하부분에 그 일단은 레버에 형성된 스토퍼핀의 반대쪽에 접촉됨과 함께 타단은 상부 수직프레임의 내벽에 접촉되어 레버의 회동에 의해 스토퍼핀이 하부 수직프레임의 고정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에 다시 원상태로의 복원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외부로 노출된 각 레버의 상단 작동편을 상방으로 가압시킬 경우 상기 레버의 하단 스토퍼핀이 하부 수직프레임의 고정통공에서 빠져나와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부 수직프레임의 록킹을 해제하고, 각 레버의 상단 작동편을 상방으로 가압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레버의 하단 스토퍼핀이 하부 수직프레임의 고정통공으로 끼워져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부 수직프레임을 록킹시켜 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vertical frame of the pipe form provided in a stat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both sides is divided into a lower vertical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rame is fixed to the bottom and an upper vertical frame in a state of fixing the support frame to the top, The lower portion of the divided upper vertical frame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vertical frame to be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ecture desk, the vertical in the state of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and outer in the rear side of each lower vertical frame The plurality of fixed through holes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direction, and the upper through holes formed toward the front and the inside and outside communicate with the lower por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vertical frame, the inner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A lower through hole formed toward the side,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vertical frame is substantially coupled to the shaft by a hinge axis. A lever in a rotatable state around the engaging portion, an actuating piece bent at the upper end of each lev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through hole, and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lever to lower the lower hole when the lever rotates. A stopper pin selectively fitted into one of the fixed through holes formed in the lower vertical frame through the lower end, and one end of the upper vertical frame is in contact with the opposite side of the stopper pin formed on the lever, and the other end is When the stopper pi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stopper pin is inserted into the fixed through hole of the lower vertical frame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the coil spring is configured to give the lever a restoring force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piece is pushed upward, the lower stopper pin of the lever comes out of the fixing hole of the lower vertical frame. If the lower vertical frame and the upper vertical frame are unlocked, and the upper operating piece of each lever is not pushed upward, the lower stopper pin of the lever is inserted into the fixed through hole of the lower vertical frame to close the lower vertical frame and the upper vertical frame.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the lecture desk,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5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0.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수강용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수강용 책상을 일부 절결상태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a 및 7b는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 수강용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cture desk having a height adju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the lecture desk having the height adju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artially cut state, and FIGS. It is a longitudinal section showing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desk by the device.

또한 도 8은 도 7a의 Ⅰ-Ⅰ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요소인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부 수직프레임을 분해하여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 높이 조절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7A,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lower vertical frame and the upper vertical frame, which are components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상기 각 도면에 의한 본 고안 실시예는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수직프레임(1)이 하단에 지지프레임(3)을 고정한 상태의 하부 수직프레임(1a)과 상단에 받침프레임(4)을 고정한 상태의 상부 수직프레임(1b)으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각 상부 수직프레임의 하부분은 각 하부 수직프레임(1a)의 상부분 안쪽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각 하부 수직프레임(1a)의 후방쪽에는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고정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1b)의 상부분에는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전방쪽을 향해 상부 통공(112)이 형성됨과 함께 하부분에는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후방쪽을 향해 하부 통공(113)이 형성되며,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1b) 내부에는 대략 그 가운데 부분이 힌지축(114)에 의해 축결합되어 상기 축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레버(115)가 설치되고, 상기 각 레버의 상단에는 상부 통공(112)을 통해 전방 외부로 노출되도록 작동편(116)이 절곡 형성되며, 상기 각 레버(115)의 하단에는 레버의 회동시 하부 통공(113)을 통해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각 고정통공(111)중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스토퍼핀(117)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각 상부수직프레임(1b) 내의 하부분에는 그 일단은 레버(115)에 형성된 스토퍼핀(117)의 반대쪽에 접촉됨과 함께 타단은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내벽에 접촉되어 레버(115)의 회동에 의해 스토퍼핀(117)이 하부 수직프레임(1a)의 고정통공(111)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115)에 다시 원상태로의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코일스프링(118)이 설치된 구조로 하여, 사용과정에서 각 상부 수직프레임(1b)의 외부로 노출된 레버(115)의 상단 작동편(116)을 상방으로 가압시킬 경우 상기 레버(115)의 하단 스토퍼핀(117)이 하부 수직프레임(1a)의 고정통공(111)에서 빠져나와 하부 수직프레임(1a)과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록킹을 해제하고, 각 레버(115)의 상단 작동편(116)을 상방으로 가압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레버(115)의 하단 스토퍼핀(117)이 하부 수직프레임(1a)의 고정통공(111)으로 끼워져 하부 수직프레임(1a)과 상부 수직프레임(1b)을 록킹시켜 주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drawings, the vertical frame 1 having a pipe shap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both sides is supported on the lower vertical frame 1a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3 fixed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is fixed to the frame (4) is divided into, 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divided upper vertical frame is coupled to slide up and down inside the upper portion of each lower vertical frame (1a) A plurality of fixed through holes 111 are formed on the rear side of each of the lower vertical frames 1a so as to have equal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and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upper vertical frames 1b. The upper through hole 112 is formed toward the front in the stat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the outside and the lower through hole 113 is formed toward the rear in the stat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the lower portion, each upper vertical Inside the frame 1b The lever 115 is install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thereof is axially coupled by the hinge shaft 114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the shaft coupling portion, and the upper end of each lever is moved forward and outward through the upper through hole 112. The operating piece 116 is bent to be exposed, and at the lower end of each lever 115, any one of the fixed through holes 111 formed in the lower vertical frame 1 a through the lower through holes 113 when the lever is rotated. The stopper pin 117 is bent to be selectively fitted into the fixed through hole, and one end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is in contact with the opposite end of the stopper pin 117 formed on the lever 115.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when the stopper pin 117 is fitted into the fixed through-hole 111 of the lower vertical frame (1a)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115, the original state back to the lever 115 Coil springs to provide 118 is installed, when pressing the upper operating piece 116 of the lever 115 exposed to the outside of each upper vertical frame (1b)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lower stopper pin of the lever 115 ( 117 exits from the fixed through hole 111 of the lower vertical frame 1a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lower vertical frame 1a and the upper vertical frame 1b, and the upper operating piece 116 of each lever 115 is removed. When not pressurized upward, the lower stopper pin 117 of the lever 115 is inserted into the fixed through hole 111 of the lower vertical frame 1a to lock the lower vertical frame 1a and the upper vertical frame 1b. Give it.

상기에서 레버(115)의 하단중 스토퍼핀(117)의 반대쪽에는 돌출편(119)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118)의 일단부가 상기 돌출편(119)으로 끼워짐에 따라 코일스프링(118)의 일단이 레버(115)에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러짐이 없도록 하고,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의 하단에는 안쪽 공간을 커버한 상태로 이탈방지편(120)이 절곡 형성되어 코일스프링(118)이 상기 이탈방지편(120)에 의해 간섭됨에 따라 외부로 이탈됨이 없도록 한다.The protrusion piece 119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topper pin 117 of the lower end of the lever 115 so that one end of the coil spring 118 is fitted into the protrusion piece 119.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lever 115 so that there is no slip, and at the bottom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the release prevention piece 120 is formed bent in a state covering the inner space, the coil spring 118 is As the interference prevented by the departure preventing piece 120, so as not to be separated to the outside.

또한 레버(115)의 가운데부분인 힌지축(114) 결합부분에는 그 양측면이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내벽에 근접되도록 대략 ㄷ자형상의 단면을 갖는 유동방지편(121)이 고정되어 실제로 상기 유동방지편(121)이 힌지축(114)에 의해상부 수직프레임(1b)에 축결합됨에 따라 레버(115)가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에 축결합된 상태가 되는데, 이는 레버(115)가 상부 수직프레임(1b)의 공간부 내에서 힌지축(114)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유동됨이 없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In addition, the hinge shaft 114, which is the center of the lever 115, is coupled to the hinge shaft 114, the flow preventing piece 121 having a substantially c-shaped cross section is fixed so that both sides thereof are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so that the flow As the prevention piece 121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vertical frame 1b by the hinge shaft 114, the lever 115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vertical frame 1b, which means that the lever 115 is This is to prevent the fluid from flowing when rotating about the hinge axis 114 in the spac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그리고, 레버(115)의 상단에 절곡형성되어 상부 수직프레임(1b)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통공(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작동편(116)에는 손잡이(122)가 압입 고정되어 사용과정에서 작동편(116)의 작동이 보다 편리해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handle 122 is press-fitted to the operating piece 116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hole 11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by bending at the upper end of the lever 115. Operation of the operating piece 116 is made more convenien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높이 조절장치를 이용해 수강용 책상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ecture desk step by step using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첨부된 도 6의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수강용 책상의 높이가 가장 높은 상태로 조절되어 있는데, 이 상태에서는 도 7a와 같이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내부 공간부에 힌지축(1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레버(115)가 코일스프링(119)의 복원력을 받으면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레버(115)의 상단에 절곡형성된 작동편(116)은 상부 수직프레임(1b)의 상부분에 전방쪽을 향해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형성된 상부 통공(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레버(115)의 하단에 절곡형성된 스토퍼핀(117)은 상부 수직프레임(1b)의 하부분 후방쪽을 향해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형성된 하부 통공(111)을 통해 하부 수직프레임(1a)의 후방쪽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통공(111)중 가장 상부에 있는 하나의 고정통공에 끼워져 있으므로 결국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1b)은 레버(115)의 스토퍼핀(117)에 의해 하부 이동이 정지된 상태로 하부 수직프레임(1a)에 록킹되어 있어 이 경우에는 수강용 책상의 구성요소인 책상판(5)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가 가장 높다.In the state shown by the solid line of FIG. 6, the height of the desk is adjusted to the highest state. In this state,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constituting each vertical frame 1 as shown in FIG. 7A. The lever 115 rotatably axially coupled by the hinge shaft 114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while receiving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19, in which the bent operation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lever 115. The piece 116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through-hole 112 formed in the stat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toward the front part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and is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lever 115. The formed stopper pin 117 communicates internally and externally with the rear side of the lower vertical frame 1a through the lower through-hole 111 formed in a state of communicating internally and externally toward the lower rear sid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To be equally spaced vertically in one state The upper vertical frame 1b constituting each vertical frame 1 is moved downward by the stopper pin 117 of the lever 115 because it is fitted in one fixed through hole at the top of the formed plurality of fixed through holes 111. Locked to the lower vertical frame (1a) in this stopped state, in this case the height between the desk plate (5), which is a component of the lecture desk and the bottom surface is the highest.

한편 도 6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학생이나 학원생)가 신체적인 조건이나 기타 다른 이유에 의해 책상의 높이를 더 낮게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록킹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는데,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일단 인위적인 힘에 의해 레버(115)의 상부분에 절곡 형성된 작동편(116)을 책상판(5) 쪽인 상방으로 가압시켜야 하고, 상기 작동편을 상방으로 가압시킬 때에는 사용자가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책상판(5) 위에 일단 올려 놓은 상태에서 나머지 네손가락으로 작동편(116)을 가볍게 감싸 안은 다음 상기 네손가락으로 작동편을 상방으로 가압시키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tudent or academy student) want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desk lower due to physical conditions or other reasons, as shown by the solid line of FIG. 6, the upper part of each vertical frame 1 is first formed. The locking state of the vertical frame 1b should be released. In order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the working piece 116 bent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ever 115 by artificial force is placed on the desk plate 5 side. When pressing the operating piece upward,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ng piece upward, the user puts the thumbs of both hands on the desk plate 5 once, gently wraps the operating piece 116 with the remaining four fingers, and then with the four fingers. The working piece may be pressurized upward.

상기에서 레버(115)에 형성된 작동편(116)을 상방으로 가압시킬 때는 상기 작동편에 손잡이(122)가 압입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작동편(116)을 직접 상방으로 가압시킬 때 보다 매우 편리할 것임은 물론 사용자가 거부감도 가지지 않을 것이다.When pressing the operating piece 116 formed on the lever 115 upward in the above, as the handle 122 is press-fitted to the operating piece is more convenient when pressing the operating piece 116 directly upward. Of course, the user will not have a sense of rejection.

이와 같이하여 레버(115)에 형성된 작동편(116)을 상방으로 가압시키면 상기 레버(115)는 코일스프링(118)의 압축에 따른 탄성력을 받으면서 힌지축(121)을 기준으로 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버(115)의 하단에 형성된 스토퍼핀(117)은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각 고정통공(111)중 가장 상부에 있는 하나의 고정통공에서 빠져나가게 되고, 이 경우 도 7b와 같이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록킹이 해제되어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은 일단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In this way, when the operating piece 116 formed on the lever 115 is pressed upward, the lever 115 receives the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of the coil spring 118 and clockwise in the drawing based on the hinge shaft 121. As the stopper pin 117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ever 115 is rotated to exit from one of the fixed through hole at the top of each of the fixed through hole 111 formed in the lower vertical frame (1a), in this case As shown in 7b, the locking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is released, so that the upper vertical frame 1b constituting each vertical frame 1 may be moved downward once.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115)에 형성된 작동편(116)의 상방 가압력을 어느 정도 해제시킴과 동시에 수강용 책상의 구성요소인 책상판(5)에 하방으로의 누름력을 부여하면, 상기 책상판과 함께 각 수직프레임(1)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1b)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순간에는 각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된 하부 통공(113)이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각 고정통공(111)중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과 일치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releases the upward pressing force of the operating piece 116 formed on the lever 115 to some degree and gives downward pressure to the desk plate 5 which is a component of the lecture desk, the desk plate and The upper vertical frame 1b constituting each vertical frame 1 together moves downward. At the moment when the upper vertical frame moves downward, the lower through holes 113 formed in each upper vertical frame 1b are lower vertically. It is understood that the fixed through-hole of any one of the fixed through-holes 111 formed in the frame (1a).

따라서 사용자가 보았을 때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된 하부 통공(113)이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111)과 일치된 상태가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높이라고 할 경우 더 이상 책상판(5)을 하방으로 누르지 않고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는 작동편(116)의 상방 가압력을 완전히 해제하면, 레버(115)는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118)의 복원력을 받아 다시 힌지축(114)을 기준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레버(115)에 형성된 스토퍼핀(117)이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하부 통공(113)을 통해 상부 수직프레임(1b)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111)으로 끼워지므로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이 레버(115)의 스토퍼핀(15)에 의해 다시 하부 수직프레암(1a)에 완전 록킹되면서 정지상태가 되고, 이 경우 도 6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강용 책상의 구성요소인 책상판(5)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가 최초상태보다 적정 높이만큼 낮아져 결국 수강용책상의 높이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user sees that the lower through-hole 113 formed in the upper vertical frame 1b coincides with any one of the fixed through-holes 111 formed in the lower vertical frame 1a, the height that he thinks is more. When the upper pressing force of the operation piece 116 pressed upward is completely released without pressing the desk plate 5 downward, the lever 115 receives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18 that has been compressed and the hinge shaft 114 again. It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drawing, in which the stopper pin 117 formed in the lever 115 is formed in the upper vertical frame (1b) through the lower through hole 113 formed in the lower vertical frame (1a) Since the upper vertical frame 1b is completely locked to the lower vertical prearm 1a by the stopper pin 15 of the lever 115 because the upper vertical frame 1b is inserted into one fixed through hole 111, in this case, 6, as dashed line The height between the chaeksangpan 5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sk components for taking as low as proper height than the first state would be the height of the desk taken for the end user to adjust to the desired height.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 작용에서 상부분에 절곡형성된 작동편(116)에 의해 힌지축(114)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레버(115)의 하단중 스토퍼핀(117)의 반대쪽에는 돌출편(119)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118)의 일단부가 상기 돌출편(119)으로 끼워져 있는데, 이는 상기 코일스프링(118)이 압축되면서 레버(115)에 탄성력을 발생시키거나 인장되면서 레버(115)에 복원력을 발생시킬 때 미끄러짐이 없도록 하기 위함에 있고,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1b)의 하단에는 안쪽 공간을 커버한 상태로 이탈방지편(120)이 절곡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레버(115)의 회전시 코일스프링(118)이 상기 이탈방지편(120)에 의해 간섭됨에 따라 외부로 이탈됨이 없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Protrusion piece 119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topper pin 117 of the lower end of the lever 115 is rotated relative to the hinge axis 114 by the operating piece 116 bent in the upper portion in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med so that one end of the coil spring 118 is fitted into the protruding piece 119, which is to compress the coil spring 118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to the lever 115 or to tension the restoring force to the lever 115 In order to prevent the slip when generate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is formed to prevent the release preventing piece 120 is bent to cover the inner space, which is the coil spring dur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115 In order to prevent the 118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as the interference preventing piece 120 is interfered with.

또한 본 고안 작용에서 레버(115)는 힌지축(114)에 의해 직접 상부 수직프레임(1b) 내의 공간부에서 힌지결합되어도 되지만 실시예와 같이 상기 레버의 힌지축(114) 결합부분에 그 양측면이 상부 수직프레임(1b)의 내벽에 근접되도록 대략 ㄷ자형상의 단면을 갖는 유동방지편(121)을 고정시켜 실제로 상기 유동방지편(121)이 힌지축(114)에 의해 상부 수직프레임(1b) 내의 공간부에서 축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 한데, 이는 레버(115)가 상부 수직프레임(1b)의 공간부 내에서 힌지축(114)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유동성이 크지 않도록 함에 따라 상기 레버(115)의 회전시 그 회전방향에 따라 스토퍼핀(117)이 하부 수직프레임(1a)에 형성된 각 고정통공(111)중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에 정확히 끼워지거나 끼워진 상태에서는 원활하게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In addition, in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115 may be hinged in the space portion in the upper vertical frame 1b directly by the hinge shaft 114, but as shown in the embodiment both sides of the hinge shaft 114 engaging portion of the lever The anti-flow piece 121 having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 section is fixed so as to be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 b so that the flow preventing piece 121 is actually in the upper vertical frame 1 b by the hinge shaft 114. It is preferred to be axially coupled in the space, which is such that when the lever 115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114 in the spac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1b, the fluidity is not large. The stopper pin 117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during the rotation of the fixed vertical hole (1a) of each of the fixed through-holes formed in one of the fixed through-holes exactly or in the fitted state so as to exit smoothly .

한편 본 고안의 구성요소중에서 레버(115)의 상부분에 절곡형성되어 상기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편(116)은 수강용 책상의 구성요소인 책상판(5)과 약간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책상판의 하방에 위치되므로 사용자를 포함한 사람들이 일부러 고개를 숙인상태에서 주시하지 않는 한 쉽게 눈에 띠지는 않게된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ever 115, the operating piece 116 for rotating the lever is a lower part of the desk plate in a state slightly away from the desk plate 5, which is a component of the lecture desk Because it is located at, it is not easily noticeable unless people, including users, deliberately keep their heads down.

그러므로 본 고안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는, 책상의 높이 조절을 위해 각 수직프레임을 이루는 상부 수직프레임의 록킹 상태를 일단 해제시킬 때 최초 작동력을 전달하는 작동편이 책상판과 매우 가까운 곳에 위치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각 상부 수직프레임의 록킹 해제와 동시에 책상판을 하방으로 누르거나 상방으로 끌어 당기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결국 책상의 높이 조절을 한 사람이서도 어렵지 않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상기 작동편이 책상판에 가려 쉽게 보여지지 않아 미관상 보기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lecture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lease stat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constituting each vertical frame to release the height of the desk once the operating piece to transfer the initial operating force is located very close to the desk plate When the upper vertical frame is unlocked, it is possible to press the desk plate downward or pull it upward, and thus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desk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is secured. There is, of course, the working piece is not easily seen hidden on the desk plate has a good effect in aesthetic view.

Claims (4)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수직프레임이 하단에 지지프레임을 고정한 상태의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단에 받침프레임을 고정한 상태의 상부 수직프레임으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상부 수직프레임의 하부분은 하부 수직프레임의 상부분 안쪽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수강용 책상에 있어서,The pipe-shaped vertical fram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both sides is divided into a lower vertical frame with a support frame fixed at the bottom and an upper vertical frame with a support frame fixed at the top.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desk of the lower vertical frame is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sliding seats coupled to the lecture desk, 상기 각 하부 수직프레임의 후방쪽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통공과,A plurality of fixed through holes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of communicating internal and external to the rear side of each of the lower vertical frames,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의 상부분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전방쪽을 향해 형성된 상부 통공 및 하부분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후방쪽을 향해 형성된 하부 통공과,An upper through hole formed toward the front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portion of each upper vertical frame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and a lower through hole formed toward the rear in the state where the inside and the outside communicate with the lower portion;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 내부에 대략 그 가운데 부분이 힌지축에 의해 축결합되어 상기 축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상태의 레버와,A lever having a center thereof coupled to the inside of each of the upper vertical frames by a hinge shaft and rotatable about the shaft coupling portion; 상기 각 레버의 상단에 절곡형성되어 상부 통공을 통해 전방 외부로 노출된 작동편과,A working piece bent at the upper end of each lever and exposed to the front outside through the upper hole; 상기 각 레버의 하단에 절곡형성되어 레버의 회동시 하부 통공을 통해 하부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각 고정통공중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스토퍼핀과,A stopper pin that is bent at the bottom of each lever and selectively fits into any one of the fixed through holes formed in the lower vertical frame through the lower through holes when the lever is rotated;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 내의 하부분에 그 일단은 레버에 형성된 스토퍼핀의 반대쪽에 접촉됨과 함께 타단은 상부 수직프레임의 내벽에 접촉되어 레버의 회동에 의해 스토퍼핀이 하부 수직프레임의 고정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에 다시 원상태로의 복원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외부로 노출된 각 레버의 상단 작동편을 상방으로 가압시킬 경우 상기 레버의 하단 스토퍼핀이 하부 수직프레임의 고정통공에서 빠져나와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부 수직프레임의 록킹을 해제하고, 각 레버의 상단 작동편을 상방으로 가압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레버의 하단 스토퍼핀이 하부 수직프레임의 고정통공으로 끼워져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부 수직프레임을 록킹시켜 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The lower end of each upper vertical frame is in contact with the opposite side of the stopper pin formed on the lever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upper vertical frame so that the stopper pin is inserted into the fixed through hole of the lower vertical frame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Is composed of a coil spring that gives the lever a restoring force back to its original state, and when the upper working piece of each lever exposed to the outside is pushed upward, the lower stopper pin of the lever comes out of the fixed through hole of the lower vertical frame. If the vertical frame and the upper vertical frame are unlocked, and the upper operating piece of each lever is not pushed upward, the lower stopper pin of the lever is inserted into the fixed through hole of the lower vertical frame to lock the lower vertical frame and the upper vertical frame.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the desk, characterized in that to l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각 레버의 하단중 스토퍼핀의 반대쪽에는 돌출편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의 일단부가 상기 돌출편으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레버에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러짐이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The desk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topper pin of the lower end of each lever, so that one end of the coil spring i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iece so that one end of the coil spring does not slip in contact with the lever. Height adjus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각 상부 수직프레임의 하단에는 안쪽 공간을 커버한 상태로 이탈방지편이 절곡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이 상기 이탈방지편에 의해 간섭됨에 따라 외부로 이탈됨이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lecture desk,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piece is formed at the bottom of each upper vertical frame to cover the inner space so that the coil spring is not separated from the outside as the coil spring is interfered by the separation prevention piece.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각 레버의 가운데부분인 힌지축 결합부분에는 그 양측면이 상부 수직프레임의 내벽에 근접되도록 대략 ㄷ자형상의 단면을 갖는 유동방지편이 고정되어 실제로 상기 유동방지편이 힌지축에 의해 상부 수직프레임에 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The hinge shaft engaging portion, which is the center of each lever, is fixed with a flow preventing piece having a substantially c-shaped cross section so that both sides thereof are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upper vertical frame, so that the flow preventing piece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vertical frame by the hinge axis.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lecture desk, characterized in that.
KR20-2004-0000044U 2004-01-02 2004-01-02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esk KR20034583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044U KR200345835Y1 (en) 2004-01-02 2004-01-02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e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044U KR200345835Y1 (en) 2004-01-02 2004-01-02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e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835Y1 true KR200345835Y1 (en) 2004-03-25

Family

ID=4942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044U KR200345835Y1 (en) 2004-01-02 2004-01-02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e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835Y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223B1 (en) 2004-07-20 2007-01-16 선진산업 주식회사 Height adjusting device of desk and chair
KR100738392B1 (en) 2005-11-14 2007-07-20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chair or a desk
KR100761885B1 (en) 2006-07-26 2007-09-28 주식회사 진성기업 Height Control Device of a Chair and Desk
KR101626025B1 (en) * 2015-02-05 2016-05-31 (주)제이와이 Apparatus for inclination adjustment of upper plate in desk
KR20220005258A (en) 2020-07-06 2022-01-13 손경섭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student books and stools
WO2022098037A1 (en) * 2020-11-04 2022-05-12 임성모 Height adjustment assembly for table le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223B1 (en) 2004-07-20 2007-01-16 선진산업 주식회사 Height adjusting device of desk and chair
KR100738392B1 (en) 2005-11-14 2007-07-20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chair or a desk
KR100761885B1 (en) 2006-07-26 2007-09-28 주식회사 진성기업 Height Control Device of a Chair and Desk
KR101626025B1 (en) * 2015-02-05 2016-05-31 (주)제이와이 Apparatus for inclination adjustment of upper plate in desk
KR20220005258A (en) 2020-07-06 2022-01-13 손경섭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student books and stools
WO2022098037A1 (en) * 2020-11-04 2022-05-12 임성모 Height adjustment assembly for table le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5626A (en) Armrest-adjusting mechanism
KR100737961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rmrest and structure for up-down sliding armrest
US20110221258A1 (en) Seatbelt adjusting device
US7753448B2 (en) Seat position-adjusting device for a highchair
DE102014019884B3 (en) Adjustment mechanism and associated child carrier
US20120014554A1 (en) Soft-opening hinge and headphone set including same
US20070235601A1 (en) Height-adjustable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KR20060016235A (en) Flat type monitor
KR200345835Y1 (en)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esk
US20050279261A1 (en) Height adjustable device for a retractable tube assembly
US7182718B2 (en) Muscle exercising device
KR100608273B1 (en)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esk
US6923417B2 (en) Projector device
KR200394565Y1 (en)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desk or chair
JP2006220838A (en) Stand for keyboard instrument
KR200255826Y1 (en)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esk
US7419219B2 (en) Adjustable arm assembly for a chair
JP2003029653A (en) Height adjusting device for lcd
JP5858487B2 (en) Portable toilet
KR20130027150A (en) Separating type supporter for tablet pc
KR20080003591A (en) Height adjustable device for a desk
KR200162380Y1 (en) Chair with a writing table
JPH0227808Y2 (en)
KR101187485B1 (en) Reading stand and apparatus for fixing thereof
KR200392121Y1 (en) Vertically-adjustable device for desks and chai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