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023Y1 -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023Y1
KR200330023Y1 KR20-2003-0022929U KR20030022929U KR200330023Y1 KR 200330023 Y1 KR200330023 Y1 KR 200330023Y1 KR 20030022929 U KR20030022929 U KR 20030022929U KR 200330023 Y1 KR200330023 Y1 KR 200330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vehicle
frame
whee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다산업
Priority to KR20-2003-0022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0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23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radial arms for supporting the ground engaging parts on th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261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 B60C27/0269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acting on the wheel, e.g. on the rim or wheel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는, 미끄러운 노면상에서의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그 차량의 바퀴에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외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퀴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수의 어댑터 및 상기 프레임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그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퀴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그 바퀴와 노면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각 어댑터에는 상기 프레임의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어댑터에 결합되는 브래킷은 상기 복수의 결합부들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slip of car}
본 고안은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눈길, 빗길 등의 미끄러운 노면에서도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바퀴의 크기에 따라 그 규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빗길이나 눈길 등 미끄러운 노면에서 차를 운행하게 되면, 노면과 차바퀴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차바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노면과 차바퀴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게 되면 차는 제동력을 상실하여 노면에서 미끄러질 위험이 높아지게 되므로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하는 것이 곤란해지며 특히, 겨울철 눈길에서는 이러한 슬립현상이 교통사고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퀴를 감싸는 체인형태의 것 또는 보조휠 형태의 것 등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미끄럼 방지장치는 차량의 바퀴크기에 따라 그 규격이 정하여져 있어서 많은 불편함과 경제적 손실이 수반되었다. 예컨대, 잘 알려진 차량 부착용 체인의 경우를 보면, 체인은 차량바퀴의 크기에 따라 그 규격이 정하여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체인을 구매시 차량의 현재바퀴의 크기와 그 규격이 일치하는 체인을 구매하여 왔다.
따라서 한 번 구입된 체인은 자신의 차량바퀴와 동일한 규격의 차량바퀴에만 사용될 수 있었다. 따라서 차량을 교체하는 경우 또는 타인의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차량의 바퀴의 크기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면 기존의 체인을 사용할 수 없었다.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겨울철에만 사용된다는 현실을 감안하면 한 번 구매한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는 상당히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미끄럼 방지장치는 차량의 교체시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역시 교체해야 되는 불편함과 경제적 손실이 수반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용 바퀴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그 규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어떤 차량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주요부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어댑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2 ... 바퀴
3 ... 바퀴의 외측면 4 ... 바퀴의 외주면
10 ... 프레임 11 ... 나사결합공
12 ... 체결구 13 ... 너트
14 ... 관통부 20 ... 어댑터
21 ... 걸림턱 22 ... 스토퍼부
231 ... 제1관통공 232 ... 제2관통공
30 ... 브래킷 31 ... 브래킷의 일단부
314 ... 고정턱 32 ... 브래킷의 타단부
33 ... 돌기부 C ... 어댑터의 회전중심
L1, L2 ...어댑터의 중앙으로부터 각 관통공까지의 거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는, 미끄러운 노면상에서의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그 차량의 바퀴에 결합되는 것에있어서,
상기 바퀴의 외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퀴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수의 어댑터 및 상기 프레임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그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퀴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그 바퀴와 노면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각 어댑터에는 상기 프레임의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어댑터에 결합되는 브래킷은 상기 복수의 결합부들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어댑터의 각 결합부는, 상기 브래킷의 일단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어댑터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어댑터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그 어댑터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은 그 어댑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각기 다른 거리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주요부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1)는, 프레임(10), 다수의 어댑터(20) 및 다수의 브래킷(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차량바퀴(2)의 외측면(3)과 마주하여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예컨대, 체결구(12) 및 너트(13)에 의하여 상기 차량바퀴(2)에 결합된다.
상기 체결구(13)의 일단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구(12)의 암나사부는 차량의 바퀴(2)의 외측면(3)에 마련된 나사(5)에 결합되고, 체결구(12)의 수나사부(12a)는 상기 프레임(10)에 마련된 나사결합공(11)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13)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은 차량의 바퀴(2)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상기 프레임(10)의 둘레에는, 그 프레임(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각도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를 관통하는 다수의 원형의 관통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어댑터(20)는 상기 프레임(10)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관통부(14)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각도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20)는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어댑터(20)의 일단부에는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과 마주하여 걸리는한 쌍의 걸림턱(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프레임의 외측면과 마주하여 걸리는 스토퍼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1)은 상기 어댑터(20)를 상기 프레임(10)에 삽입시키는 도중에 그 프레임(10)에 의해 눌려서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프레임(10)에 대한 상기 어댑터(2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탄성복원되어 그 프레임(10)의 내측면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20)는 상기 걸림턱(21)들과 스토퍼부(22)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그 프레임(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의 결합부는 후술하는 브래킷(30)을 상기 어댑터(2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어댑터(20)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0)의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결합부는 제1관통공(231) 및 제2관통공(23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관통공(231)과 상기 제2관통공(232)은 각기 상기 어댑터(20)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를 관통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통공(231)은 상기 어댑터(20)의 회전중심(C)으로부터 제1거리(L1)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2관통공(232)은 상기 회전중심(C)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관통공(231)과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20)의 회전중심(C)으로부터 제2거리(L2)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회전중심(C)으로부터 상기 제1관통공(231)까지의 상기 제1거리(L1)와 상기 회전중심(C)으로부터 상기 제2관통공(232)까지의 상기 제2거리(L2)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20)가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관통부(14)내에서 180도 회전하게 되면, 도 4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제1관통공(231)과 제2관통공(232)도 역시 180도 회전하게 되어, 도 4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지점으로 그 위치가 변경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결합부가 제1관통공(231) 및 제2관통공(232) 두 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관통공은 두 개 이상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브래킷(30)은 상기 프레임(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각도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20)에 결합되는 일단부(31)와, 상기 차바퀴의 외주면(4)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타단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브래킷(20)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상기 브래킷(30)의 일단부(31)는 상단(311)과 하단(312)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 그 상단(311)은 상기 어댑터(20)의 외측면에 밀착되며, 그 하단(312)은 상기 어댑터(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의 일단부(31)의 상단(311)과 하단(312)을 이어주는 연결부(313)는 상기 제1관통공(231) 또는 상기 제2관통공(232)에 끼워진다. 상기 브래킷(30)은 상기 제1관통공(231)과 상기 제2관통공(232)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이하 상기 제1관통공(231)에 끼워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관통공(231)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각 브래킷(30)의 일단부(31)를 삽입시켜, 그 상단(311)은 상기 어댑터(20)의 외측면쪽에 위치시키고, 그하단(312)은 상기 어댑터(20)의 내측면쪽에 위치시킨다. 이렇게 제1관통공(231)에 수직하게 상기 브래킷(30)의 상단을 삽입시키면, 도 5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13)는 상기 어댑터(20)의 내측면에 걸리게 된다.
하지만 상기 고정턱(314)이 상기 어댑터(20)에 결려있는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30)을 상기 어댑터(2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시키면 상기 브래킷(30)은, 상기 고정턱(314)이 형성된 부분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관통공(231)을 통과하게 된다. 그 통과가 완료되면 상기 브래킷(30)의 일단부(31)는 다시 탄성복원되어, 도 5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 일단부(31)의 상단(311)과 하단(312)이 각기 어댑터(20)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밀착하게 되어 상기 브래킷(30)의 일단부(31)의 상기 어댑터(20)에 대한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 브래킷(30)을 상기 어댑터(20)로부터 분리시키려 할 때에는 상기한 결합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즉, 상기 브래킷(30)을 상기 결합과정과 반대방향으로 가압시키면 각기 어댑터(20)에 결려있던 상기 고정턱(314)이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1관통공(231)을 통과할 수 있게 되며, 그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30) 일단부(31)의 상단을 상기 제1관통공(231)으로부터 빼내면 된다.
상기 브래킷(30)의 타단(32)은 상기 차바퀴의 외주면(4)과 마주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차바퀴의 외주면(4)과 노면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노면과 접촉되게 된다. 상기 브래킷(30)들은 상기 차바퀴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각도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 타이어의 외주면(4)과 상기 각 브래킷의 타단(32)이 번갈아가면서 노면과 접촉하게 되어 차량이 요철로 된 노면을 지나가는효과가 발생되어 차량의 제동력이 증대된다.
상기 브래킷(30)의 타단(32)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면 노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차바퀴와 노면사이의 미끄러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상기 브래킷(30)이 상기 제1관통공(231)에 끼워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30)은 상기 제2관통공(232)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232)은 상기 제1관통공(231)에 비해 상기 프레임(10)의 중앙으로부터 더 먼 곳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브래킷(30)이 상기 제2관통공(232)에 끼워지게 되면,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30)이 상기 차량 바퀴(2)의 직경방향으로 더욱 연장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 바퀴(2)의 직경크기에 따라 상기 브래킷(30)을 제1관통공(231) 또는 제2관통공(232)에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상기 어댑터(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어댑터(20)는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관통부(14)내에서 상대회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어댑터(20)가 180도 회전하게 되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통공(231)과 제2관통공(232)이 새로운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브래킷(30)이 상기 어댑터(20)에 결합될 수 있는 새로운 두 개의 위치가 창설되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상기 브래킷(30)이 상기 어댑터(20)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는 총 4곳이 된다.
즉, 상기 프레임(10)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어댑터(20)의 회전중심(C)까지의거리를 D라고 하면, 상기 브래킷(30)이 결합될 수 있는 제1위치는, 도 4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제2관통공(232)의 위치 즉, 상기 프레임(10)의 중앙으로부터 D-L2 만큼 이격된 위치가 된다. 제2위치는 도 4의 실선으로 도시된 제1관통공(231)의 위치 즉, 상기 프레임(10)의 중앙으로부터 D-L1 만큼 이격된 위치가 된다. 제3위치는 도 4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제1관통공(231)의 위치 즉, 상기 프레임(10)의 중앙으로부터 D+L1 만큼 이격된 위치가 된다. 그리고 마지막 제4위치는 도 4의 실선으로 도시된 제2관통공(232)의 위치 즉, 상기 프레임(10)의 중앙으로부터 D+L2 만큼 이격된 위치가 된다.
따라서, 상기 브래킷(30)이 상기 어댑터(20)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는 본 실시예에서 제1위치 내지 제4위치의 4곳이 되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4종의 차량 바퀴에도 상기 미끄럼 방지장치(1)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관통공(231)과 제2관통공(232) 두 개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결합부는 2이상의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20)은 탄성변형 가능한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를 차량의 바퀴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미끄럼 방지장치(1)가 부착되게 될 상기 차량 바퀴(2)의 직경을 측정하여, 상기 브래킷(30)을 상기 어댑터(20)의 어느 위치에 결합시킬 것인가를 결정한다.
상기 차량 바퀴(2)의 크기가, 상기 어댑터(20)를 회전시키기 전의 위치 즉, 상기 제2위치나 상기 제4위치에 상기 브래킷(30)을 결합시켜서, 상기 차량바퀴(2)에 적합하게 상기 미끄럼 방지장치(1)를 부착시킬 수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제1관통공(231)이나 제2관통공(232)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브래킷(30)을 결합시킨다.
하지만 상기 제2위치나 상기 제4위치에 상기 브래킷(30)을 결합시키는 것이 상기 차량바퀴(2)의 크기에 비추어 적합하지 않지만 상기 어댑터(20)의 제1위치나 제3위치가 적합한 경우라면, 상기 어댑터(20)를 180도 회전시킨 후, 상기 제3위치에 있는 상기 제1관통공(231) 또는 상기 제1위치에 있는 상기 제2관통공(232)에 상기 브래킷(30)을 결합시킨다.
상기 브래킷(30)을 상기 어댑터(20)에 설치하는 과정이 완료되게 되면, 사용자는 차량 바퀴의 외측면(3)에 마련되어 있는 나사(5)에 상기 체결구(1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를 체결한다. 이후, 상기 프레임(10)을 상기 차량 바퀴(2)의 외측면(3)에 배치시키고, 상기 프레임(10)의 나사결합공(11)들을 통해 상기 체결구(315)의 수나사부를 끼워넣는다. 그 후, 상기 너트(13)를 상기 체결구(12)의 수나사부에 체결하면 상기 프레임(31)이 상기 바퀴(2)의 외측면(3)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1)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미끄럼 방지장치(1)의 프레임(10)은 상기 바퀴의 외측면(3)에 배치되어 지지되며, 상기 브래킷(30)의 타단부(32)는 상기 바퀴의 외주면(4)과 노면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 타이어의 외주면(4)과 상기 각 브래킷의타단(32)이 번갈아가면서 노면과 접촉하게 되어 차량이 요철로 된 노면을 지나가는 효과가 발생되어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1)를 상기 바퀴에서 떼어낼 떼에는 상기한 부착방식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우선, 사용자는 상기 너트(13)들을 상기 체결구(12)의 수나사부로부터 이완시켜 풀어내고, 상기 나사결합공(11)들에 걸려 있는 상기 체결구(12)의 수나사부로부터 상기 프레임(10)을 분리시켜 낸다. 그 후, 사용자는 상기 체결구(12)를 상기 차량(2)의 나사(5)로부터 이완시키면 상기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1)를 상기 차량바퀴(2)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이 완료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프레임(10)을 상기 차량 바퀴(2)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체결구(12)와 너트(13)를 채용하여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바퀴(2)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결합수단을 채용하면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차량 바퀴(2)에 대하여 어느 정도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브래킷(30)을 상기 어댑터(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로서 복수의 관통공(231, 232)을 구비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분리 가능한 결합수단이 적절히 채용될 수도 있다. 예들 들어, 상기 어댑터(20)에 복수세트의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30)은 그 브래킷(30)을 관통하여 상기 어댑터(20)의 복수세트의 나사공 중 어느 한 세트의 나사공에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 브래킷(3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는 브래킷을 어댑터에 결합시키는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크기의 바퀴에만 한정되어 부착할 수 있었던 종래의 미끄럼 방지장치와 달리, 차량 바퀴의 크기가 다양하게 변하는 경우에도 차량바퀴의 크기에 적합하게 그 규격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경제적 손실을 막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미끄러운 노면상에서의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그 차량의 바퀴에 결합되는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외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퀴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수의 어댑터; 및
    상기 프레임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그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퀴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그 바퀴와 노면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각 어댑터에는 상기 프레임의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어댑터에 결합되는 브래킷은 상기 복수의 결합부들 중 어느하나의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각 결합부는, 상기 브래킷의 일단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어댑터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그 어댑터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은 그 어댑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각기 다른 거리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KR20-2003-0022929U 2003-07-15 2003-07-15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KR200330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929U KR200330023Y1 (ko) 2003-07-15 2003-07-15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929U KR200330023Y1 (ko) 2003-07-15 2003-07-15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023Y1 true KR200330023Y1 (ko) 2003-10-11

Family

ID=4933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929U KR200330023Y1 (ko) 2003-07-15 2003-07-15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0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238B1 (ko) * 2007-05-22 2008-09-11 (주) 에스시에스시스템스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238B1 (ko) * 2007-05-22 2008-09-11 (주) 에스시에스시스템스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87646A1 (en) Band device for a wheel rim
AU2001256514A1 (en) Band device for a wheel rim
KR200330023Y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KR200330024Y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US4449561A (en) Non-skid device for wheelchairs and the like
KR200323574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US4974653A (en) Tire traction device
KR100562864B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KR200330022Y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KR20040100101A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CA1307725C (en) Tire traction device
KR101778262B1 (ko) 스노우 타이어 커버
JPH0742809Y2 (ja) タイヤの滑り止め具
KR101181945B1 (ko) 타이어 밀림방지장치
US2681095A (en) Anchoring means for wheel antiskid harness
KR101812073B1 (ko) 차량용 스노우 체인
US1160576A (en) Flexible non-skid device for dual-tired wheels.
KR200318710Y1 (ko)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장치
WO2015084063A1 (ko) 스노우 체인용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노우 체인
JPH034561Y2 (ko)
KR100406263B1 (ko) 타이어의 미끄럼방지구 결합구조
KR100350240B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구
KR930006325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KR200389701Y1 (ko) 미끄럼방지장치용 휠보호장치
KR20050031680A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