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598Y1 -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 - Google Patents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598Y1
KR200320598Y1 KR20-2003-0012495U KR20030012495U KR200320598Y1 KR 200320598 Y1 KR200320598 Y1 KR 200320598Y1 KR 20030012495 U KR20030012495 U KR 20030012495U KR 200320598 Y1 KR200320598 Y1 KR 200320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body
sidewalk
circumferential surface
p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래현
Original Assignee
백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래현 filed Critical 백래현
Priority to KR20-2003-0012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5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5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포장된 보도나 주차장 등에 타 블록과 둘레면이 연접하도록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되어 평탄하도록 포장하는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록본체를 경량화하고자 점토를 주재료로 하여 만듦으로써 대형화가 가능해 블록당 포장면적을 넓힐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넓은 포장면적으로 마찰 또한 커 자력에 의한 유동방지가 가능해 부착용 콘크리트층이 불필요하고, 블록본체를 이에 비해 면적은 크고 두께는 얇은 장식용 건축석재로 마감함으로써 둘레에 턱부를 형성해 시공 시 타 블록본체와의 간격이 커 배수성이 뛰어난 한편 자연미가 풍부해 주위환경과의 조화가 뛰어난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A block for paving the sidewalk and roadway}
본 고안은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게가 가벼워 포장면적을 크도록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큰 포장면적으로 마찰 또한 커 자력으로 유동이 방지되며, 둘레를 따라 턱이 형성되어 타 블록과의 간격이 커 배수작용이 탁월하고,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해 자연미와 고급스러움을 함께 갖춘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이하 "블록"이라 한다)은 보도, 차도, 광장, 주차장 등의 포장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인터로킹 블록이라고도 하며, 보도의 포장에 쓰이는 것은 보도블록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블록은 만들고자 하는 블록의 형상(표 1과 같이 여러 가지 타입이 있다)으로 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의 순으로 만드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도 1, 2에서와 같이 지반을 정리하고 그 위로 자갈을 깔아 보조기층을 형성한 후 다시 그 위로 모래층을 형성하고, 모래층 위로 콘크리트층을 형성한 다음 콘크리트층 위로 다수의 블록(5)을 서로간에 둘레면이 연접하도록 배열, 줄눈(C)을 고르도록 형성해 콘크리트의 부착력으로 부착하면 시공이 완료된다.
(표 1)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블록은 아래와 같은 여러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블록은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입별로 상이하기는 하나 가로 230mm, 세로 110mm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블록당 포장면적이 작아 시공 시 많은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을 요한다. 물론 이 문제는 블록의 면적을 크도록 형성하면 간단히 해결되나, 이 경우 블록이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탓에 무게가 무거워져 작업성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다.
둘째, 종래의 블록은 그 위로 다니는 보행자나 차량에 의한 유동을 방지하고자(면적이 작아 마찰 또한 작으므로 쉽게 유동된다) 콘크리트층으로 부착되므로 블록의 철거작업이 어려울 뿐 아니라 철거된 블록에 콘크리트의 일부가 붙어 있어 재사용할 수 없다. 즉 종래의 블록은 영구 시공되는 것이다.
셋째, 일반적으로 블록 시공 시 형성되는 줄눈의 폭은 약 2mm(표준치수이다)이다. 따라서 종래의 블록은 줄눈의 폭이 곧 타 블록과의 간격이다. 이에 종래의 블록은 타 블록과의 간격이 좁아 높은 배수작용을 기대할 수 없다.
넷째, 종래의 블록은 미관을 고려해 다양한 색상의 것을 혼용, 배열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이는 단순 색상조합에 불과하므로 인공적인 느낌이 강해 주위환경과 적절한 조화를 이루지 못할 뿐 아니라 고급스럽지도 못하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를 콘크리트에 비해 가벼운 점토로 만듦으로써 대형화가 가능해 포장면적을 넓힐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할 뿐 아니라 넓은 포장면적으로 마찰이 커 자력에 의한 유동방지가 가능해 부착용 콘크리트층이 불필요하며, 본체의 상측을 본체에 비해 면적은 크되 두께는 얇은 장식용 건축석재로 마감함으로써 둘레에 턱을 형성해 타 본체와의 간격이 커 배수성이 뛰어난 한편 자연미가 풍부해 주위환경과 조화가 잘 이뤄지는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의 시공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시공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시공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록본체 10a : 구멍
11 : 블록본체의 둘레면 12 : 격벽부
12a : 연장부 12b : 절단부
13 : 안착부 20 : 마감판
21 : 마감판의 둘레면 22 : 장식부
P, P1, P2 : 턱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둘레면의 양측을 관통하는 구멍이 다수 형성되고, 점토를 주재료로 해 성형되는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의 상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블록본체에 비해 면적이 크도록 형성되어 둘레면과 상기 블록본체의 둘레면 사이에 턱부가 형성되며, 대리석 등 장식용 건축석재로 15~2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마감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감판의 둘레면이 타 마감판의 둘레면과 연접되도록 배열되어 보도 등을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둘레면의 양측을 관통하는 구멍이 다수 형성되고, 상측면 중앙에 격벽부가 형성되어 상기 격벽부의 양측으로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의 양끝에 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각 연장부의 끝과 둘레면 사이에 턱부가 형성되고, 점토를 주재료로 해 성형되는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의 각 안착부에 상기 격벽부와 밀착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안착부에 비해 면적이 크도록 형성되어 둘레면과 상기 블록본체의 둘레면 사이에 턱부가 형성되며, 대리석 등 장식용 건축석재로 15~2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마감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감판의 둘레면이 타 마감판의 둘레면과 연접되도록 배열되어 보도 등을 포장하고; 상기 각 연장부는 끝에 상기 마감판의 둘레면과 턱이 지지 않도록 절단돼 제거되는 절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의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이하 "블록"이라 한다)은 도 3, 4에서와 같이 블록본체(10)와, 상기 블록본체(10)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마감판(20)으로 구성되어 마감판(20)의 둘레면(21)이 타 블록의 것과 연접하도록 일정 패턴으로 배열됨으로써 미포장된 보도나 차도 등을 평탄하도록 포장한다.
상기 블록본체(10)는 점토를 주재료로 하여 만들어진다. 즉 벽돌을 만들듯이 점토를 주재료로 하는 혼합물(점토, 모래 등)을 성형, 건조한 후 소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로 만든 종래 것에 비해 월등히 가벼우므로 가벼운 만큼 면적(가로×세로)을 크도록 형성해 블록당 포장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러한 블록본체(10)는 가로 450mm, 세로 220mm, 두께 70mm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의 치수는 시공 시 무게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성을 고려해 정해진 것으로서, 블록본체(10)와 종래의 블록(표 1 참조)을 비교해 보면 블록본체(10)의 면적이 종래 것의 약 2배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넓어진 포장면적으로 시공이 간편해짐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편 상기 블록본체(10)는 무게 및 재료절감 차원에서 가로방향을 따라 둘레면(11)의 양측을 관통하는 다수의 구멍(10a)이 형성된다. 이 구멍(10a)으로 보다 경량화를 이룰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마감판(20)은 수축현상으로 블록본체(10)를 원하는 크기로 정확히 만들 수 없어, 그리고 외관 및 배수작용 등을 고려해 구비한 것으로서, 대리석이나 옥석 또는 화강석 등과 같이 자연미가 풍부해 주변환경과의 조화가 뛰어난 장식용 건축석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석재인 마감판(20)은 그 특성상 블록본체(10)와는 달리 원하는 크기로 정확히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본체(10)를 원하는 크기로 정확히 만들 수 없어 마감판(20)을 구비한 이유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점토를 주재료로 하는 블록본체(10)는 이를 블록으로 하여 시공할 시 블록으로서 요하는 강도도 얻을 수 있고, 언급한 것처럼 가벼우므로 포장면적을 크도록 형성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성질의 특성상 소성 시 소성환경에 따라 각기 상이한 수축현상에 의해 원하는 크기로 정확히 만들 수 없어(수축현상에 따른 최대ㆍ최소수축율을 고려해 원하는 크기에 준하도록 만드는 것뿐이다) 완제품의 표면이 반듯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품마다 크기 또한 일정하지 못해 이를 시공 시 고른 줄눈을 얻을 수 없으므로 미관을 해치며, 크기가 클 경우 일부를 커터로 절단해 사용해야 했던 것이다.
한편 상기 마감판(20)은 블록본체(10)에 실리콘(S)으로 부착되는 바, 부착되었을 시 상측에서 볼 경우 블록본체(10)가 완전히 가려질 수 있도록 블록본체(10)에 비해 면적이 크도록 형성된다. 즉 외관이 미려한 마감판(20)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 부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마감판(20)은 구체적으로 가로 460mm, 세로 230mm, 두께 15~20mm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블록본체(10)에 중심이 상호 일치하도록 부착된다. 따라서 마감판(20)의 둘레면(21) 전체가 블록본체(10)의 둘레면(11)에서 돌출되고, 이에 블록본체(10)와 마감판(20)의 둘레면(11)(21) 사이에는 턱부(P)가 형성된다. 이 때 턱부(P)의 폭은 약 5mm이다.
이상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2는 외관의 미려함을 더하고자 마감판(20)의 표면에 형성되는 음각 또는 양각의 장식부이다. 이 때 장식부(22)로는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문양을 사용해도 무관한다. 예를 들어 자연문양, 식물문양, 동물문양, 상상동물문양, 상상식물문양, 길상어문양 등이 새겨질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시공상태가 도시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해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시공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지반을 평탄하도록 정리하고 그 위로 자갈을 깔아 두께 100mm의 보조기층을 형성한 후 보조기층 위로 모래를 깔아 두께 30mm의 모래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모래층 위로 블록을 타 블록과 그 마감판(20)의 둘레면(21)이 서로 연접하도록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해 폭 2mm의 줄눈(C)이 형성되도록 하면 포장이 완료된다. 이 때 장식용 건축석재로 이루어진 마감판(20)은 보는 이에게 자연스러우면서 고급스러운 느낌을 제공한다.
이처럼 시공되는 블록은 무게가 가벼워 그에 상응하는 만큼 블록본체(10)의 포장면적이 크도록 형성되는 바, 이에 작업자는 간편ㆍ신속하게 시공을 행할 수 있다. 아울러 포장면적이 넓어 블록본체(10)와 모래층 간의 접촉면적 또한 넓으므로 상호 마찰이 커 모래층에 긴밀히 밀착, 유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달리 영구시공이 아니므로(부착용 콘크리트층이 불필요하므로) 철거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턱부(P)로 인해 블록본체(10)와 타 블록의 블록본체(10) 사이의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10mm이다)이 넓어 배수작용 역시 탁월하다.
한편 제1실시예의 블록은 콘크리트라서 독성을 갖는(이 독성으로 시공지에서 동ㆍ식물이 제대로 서식할 수 없다) 종래의 블록과는 달리 천연재료(점토, 대리석 등)를 사용해 만들어지므로 친환경적이다.
아래의 표 2는 종래기술과 제1실시예의 블록을 비교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우수성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표 2)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의 블록은 도 6, 7, 8에서와 같이 상측면 중앙에 격벽부(12)가 형성되어 그 양측으로 안착부(13)가 각각 형성되고 점토를 주재료로 하여 성형되는 블록본체(10)와, 상기 블록본체(10)의 각 안착부(13)에 격벽부(12)와 밀착되도록 실리콘(S)으로 각각 부착되고 장식용 건축석재에 의해 15~2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마감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블록본체(10)는 가로 450mm, 세로 220, 높이(격벽부 포함) 70mm의 크기로 형성되는 바, 격벽부(12)의 양끝에 연장부(12a)가 각각 형성되어 각 연장부(12a)의 끝과 블록본체(10)의 둘레면(11) 사이에 턱부(P1)가 형성된다. 또한 각 연장부(12a)의 끝에는 마감판(20)의 둘레면(21)과 턱이 지지 않도록 절단되어 제거되는 절단부(12b)가 형성된다. 참고로 격벽부(12)의 너비(세로길이)는 안착부(13)의 너비와, 두께는 마감판(20)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마감판(20)은 안착부(13)에 비해 큰 면적으로 형성되어 그 둘레면(21)과 블록본체(10)의 둘레면(11) 사이에 턱부(P2)를 형성한다. 이러한 마감판(20)은 그 턱부(P2)의 폭이 5mm를 이룰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제2실시예의 블록에 있어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0a는 구멍이고, 22는 장식부이며, 기타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그 작용이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블록본체가 점토를 주재료로 하여 성형되기 때문에 무게가 가벼워 이 가벼워진 무게만큼 면적(가로×세로)을 크도록 형성할 수 있으므로 블록당 포장면적이 커 시공이 간편해 신속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면적이 큰 것에 따른 마찰증대로 인해 자력에 의한 유동방지가 가능하므로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부착용 콘크리트층이 불필요해 시공이 편리할 뿐 아니라 영구식이 아니므로 철거가 용이하고, 철거한 블록을 추후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그 둘레에 둘레를 따라 턱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았을 때는 간격이 좁아 보이지만 내부에서는 간격이 넓어 외관이 좋으면서 배수작용이 탁월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친환경적인 장식용 건축석재로 마감되기 때문에 미려하고 주변환경과 조화가 잘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둘레면(11)의 양측을 관통하는 구멍(10a)이 다수 형성되고, 점토를 주재료로 해 성형되는 블록본체(10)와; 상기 블록본체(10)의 상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블록본체(10)에 비해 면적이 크도록 형성되어 둘레면(21)과 상기 블록본체(10)의 둘레면(11) 사이에 턱부(P)가 형성되며, 대리석 등 장식용 건축석재로 15~2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마감판(20)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감판(20)의 둘레면(21)이 타 마감판(20)의 둘레면(21)과 연접되도록 배열되어 보도 등을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20)은 표면에 문양 등의 장식부(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
  3. 둘레면(11)의 양측을 관통하는 구멍(10a)이 다수 형성되고, 상측면 중앙에 격벽부(12)가 형성되어 상기 격벽부(12)의 양측으로 안착부(13)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12)의 양끝에 연장부(12a)가 형성되어 상기 각 연장부(12a)의 끝과 둘레면(11) 사이에 턱부(P1)가 형성되고, 점토를 주재료로 해 성형되는 블록본체(10)와; 상기 블록본체(10)의 각 안착부(13)에 상기 격벽부(12)와 밀착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안착부(13)에 비해 면적이 크도록 형성되어 둘레면(21)과 상기 블록본체(10)의 둘레면(11) 사이에 턱부(P2)가 형성되며, 대리석 등 장식용 건축석재로 15~2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마감판(20)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감판(20)의 둘레면(21)이 타 마감판(20)의 둘레면(21)과 연접되도록 배열되어 보도 등을 포장하고; 상기 각 연장부(12a)는 끝에 상기 마감판(20)의 둘레면(21)과 턱이 지지 않도록 절단돼 제거되는 절단부(12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20)은 표면에 문양 등의 장식부(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
KR20-2003-0012495U 2003-04-23 2003-04-23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 KR200320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495U KR200320598Y1 (ko) 2003-04-23 2003-04-23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495U KR200320598Y1 (ko) 2003-04-23 2003-04-23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598Y1 true KR200320598Y1 (ko) 2003-07-23

Family

ID=4941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495U KR200320598Y1 (ko) 2003-04-23 2003-04-23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5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678B1 (ko) 2007-07-05 2008-01-23 전채석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019562B1 (ko) * 2010-07-22 2011-03-08 이주석 보도블록 및 보차도 경계석을 포함하는 도로의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678B1 (ko) 2007-07-05 2008-01-23 전채석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019562B1 (ko) * 2010-07-22 2011-03-08 이주석 보도블록 및 보차도 경계석을 포함하는 도로의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02279A1 (en) Photoluminescent sand
US20080267703A1 (en) Paver stone system
KR200320598Y1 (ko)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
JP2002285504A (ja) 舗装用ブロック及び敷設方法
JP3045073U (ja) 舗装用ブロック
JP6474626B2 (ja) 縁石構造体及びその構築方法
US20050238426A1 (en) Inlaid paving unit
KR19980033706A (ko) 칼라 보도블럭
JP3556136B2 (ja) 透水性パネル
CN211340262U (zh) 一种架空铺装的无机人造石结构
KR100883402B1 (ko) 모자이크 페이빙 제작방법
KR100736918B1 (ko)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
CA3123128C (en) Photoluminescent sand
CN211772993U (zh) 石质人行横道线
KR20200012319A (ko) 보도경계블록.
JPH09291502A (ja) コンクリート
KR100741410B1 (ko) 흡수성 포장층의 시공방법
CN2511706Y (zh) 花岗岩饰面水泥砼铺地砖
JP3181561B2 (ja) 二面化粧縁石ブロック
KR100986095B1 (ko) 위치 안내용 보도블록의 제조 방법
US9458577B2 (en) Procedure for construction of pavements and resulting pavement
KR200396342Y1 (ko) 경계석 기능을 갖는 포장재
KR101277571B1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연속 경계석의 시공방법
KR20160125586A (ko)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JP3051650U (ja) 敷石用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