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9831A - 블레이드-홀더 모듈을 포함하는 케이지 구조를 갖는 암형접촉자 - Google Patents

블레이드-홀더 모듈을 포함하는 케이지 구조를 갖는 암형접촉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9831A
KR20030059831A KR10-2003-7007504A KR20037007504A KR20030059831A KR 20030059831 A KR20030059831 A KR 20030059831A KR 20037007504 A KR20037007504 A KR 20037007504A KR 20030059831 A KR20030059831 A KR 20030059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female contact
blade
modu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미니끄 로제
리차드 카커리
제라드 뮈로
프레데릭 레니에
글렌 스팍스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0015920A external-priority patent/FR2818027B1/fr
Priority claimed from FR0015924A external-priority patent/FR2818028B1/fr
Priority claimed from FR0015923A external-priority patent/FR2818026B1/fr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ublication of KR20030059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83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35Contact members for non-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different types of contact member, e.g. socket co-operating with either round or flat pi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Prostheses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된 블레이드-홀더 모듈(36)을 포함하는 평행육면체 케이지 구조를 갖는 암형 접촉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접속에 의존하며 다양한 폭의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된 접촉자를 산업적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블레이드-홀더 모듈을 포함하는 케이지 구조를 갖는 암형 접촉자 {FEMALE CONTACT HAVING A CAGE STRUCTURE COMPRISING A BLADE-HOLDER MODULE}
US-A-5 613 885에 의해 케이지가 있는 암형 접촉자가 알려졌다. 이와 같은 종류의 접촉자는 상기 케이지의 정면으로 삽입되는 수형 접촉자(플러그)를 접속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지는 그 뒤쪽에 케이지와 연결되는 전도체에 장전되도록 변형 가능한 소편이 있다.
이러한 접촉자 제작의 어려움은 확실한 전기 접촉을 얻는 데 있다. 그밖에도 플러그와 케이지 사이의 전기 접촉의 질이 우수해야만 한다.
실제로 이 접촉자들은 크기가 작고, 특히 자동차 분야 접속에서는 열악한 환경에 놓이게 된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접촉자는 진동이 수반되고 상당한 온도 변화가 따르므로, 접촉의 안정성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인터페이스와 접촉자를 보장하는 유연한 블레이드를 견고한 구조물 구실을 하는 케이지 안에 배치하는 해결 방법이 알려져 있다.
위에 언급한 특허에서는 블레이드가 길이 방향으로 그 판 자체에 C자형으로절첩되어 있는데, 이 블레이드는 케이지 본체 안에 상자 전체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다. 이 블레이드는 수축되어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그 분기부의 각각이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홀더 모듈을 갖춘 케이지가 있는 암형 접촉자, 특히 틀이나 부속 스프링을 갖고 있는 암형 접촉자에 대한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변형예들을 보여주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도면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1은 케이지를 갖는 암형 접촉자 사시도이다.
도2는 부분 절개된 케이지와 블레이드-홀더 모듈 전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블레이드-홀더 모듈의 측입면도이다.
도4a는 케이지 내에 블레이드-홀더 모듈의 조립 방식을 부분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4b는 케이지 일부와 블레이드-홀더 모듈 조립 후 길이방향의 절단도이다.
도5는 블레이드-홀더 모듈을 조립한 변형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케이지가 있는 암형 접촉자와 틀인 블레이드-홀더 모듈의 변형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은 도7의 틀이 있는 블레이드-홀더 모듈이 일단 케이지에 삽입되어 있는 측입면도이다.
도8은 케이지 안에 삽입된 틀이 있는 블레이드-홀더 모듈을 갖고 있는 도 6의 접촉자를 부분적으로 떼어 놓아서 본 평면도이다.
도9a는 케이지가 있는 암형 접촉자와 Z자형의 부속 스프링이 있는 블레이드-홀더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9b는 일단 삽입된 Z자형 부속 스프링으로 된 블레이드-홀더 모듈을 갖고 있는 케이지의 배면 부분 사시도이다.
도10a는 도9a의 실시예에 적합하지만 C자형 부속 스프링이 있는 변형예이다.
도10b는 일단 케이지에 삽입된 C자형 부속 스프링으로 된 블레이드-홀더 모듈을 갖는 케이지의 배면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효율적이고 안정성 있는 전기 접촉을 보장하는 암형 접촉자에 관한 것으로 접속되는 플러그를 착탈하는데 있어서 손상됨이 없고, 그 제품을 산업화 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 이외에도 플러그를 뺀 후에도 이러한 이완 상태로 인해서 모듈의 이탈이 생기지 않는다.
이러한 타입의 접촉자에서 생기는 또 하나의 문제점은 부식으로 인한 침식이다. 이 같은 현상은 진동과 플러그와 접촉 상자 사이에서의 마찰로 인해 생긴다. 따라서 금속 입자가 손상되고 산화되어 금속 부품 사이의 전도성이 떨어진다. 이 현상은 일단 시작되면 급속히 악화된다.
특히 본 발명은 접촉자의 크기를 소형화 시켜야 된다는 부가적인 제약을 해결해 준다. 이 경우 크기의 정도를 가늠하기 위해서, 예를 들자면 접촉자 케이지 벽의 두께는 0.2 mm정도, 블레이드의 두께는 0.1 mm정도이며, 이 암형 접촉자에 장착시키는 플러그의 크기는 대략 0.6 x 1.2 mm정도이다.
또한 이러한 접촉자는 다양한 크기의 플러그를 장착할 수 있어 다용도의 장점이 있고 분극 수단을 갖는다.
도1에는 케이지가 있는 암형 접촉자(10)를 나타낸다.
이 접촉자는 평행육면체 형상의 케이지(12)와 여기 표시되어 있지 않은 전선과 연결 수단(14)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케이지는 패널을 절첩하여 만들 수 있다. 점선으로 표시된 플러그(26)의 삽입방향(24)에서 보자면, 이 케이지는 윗면(16), 그와 마주 보는 아래면(18), 우측면(20)과 좌측면(22)을 갖는다. 패널을 접은 후 그 맞닿는 선(28)은 윗면(16)에 있게 된다.
알려진 연결 수단(14)은 전선의 금속 부분에 끼우는 윙(30)과 이 전선의 피복에 끼우는 윙(32)이 있다.
구역(34)은 케이지와 연결 수단(14)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케이지는 각 면의 연장부에서 나온 절곡판(16-1, 18-1, 20-1, 22-1)을 가질 수 있다.
도2에 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절곡판(16-1, 18-1)만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2에는 블레이드-홀더 모듈(36)이 제시되어 있다.
이 모듈에는 견고한 본체(38)와 블레이드(40)가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견고한 본체(38)는 별개의 전단부(38-1)와 후단부(38-2)를 갖고 있고 그 횡단면은 U자형으로 되어 있다.
블레이드는 모두 네 개인데, 위에 두 개의 블레이드(40-1, 40-2)와 아래에 두 개의 블레이드(40-3, 40-4)로, 본체(38)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한다. 이 블레이드는 구부러져 정상이 거의 맞닿을 정도로 마주하는 만곡부를 갖는다.
이 블레이드는 본체(38)를 만들면서 생기는데, 본체의 윗면(42-1)과 아래면(42-2)의 연장선 내에 있다. 이 블레이드는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있는 U자형으로 휘어진 면이다. 여기서 각 블레이드는 길이 방향의 중선을 따라 절개된 부분(44-1, 44-2)에 의해 양분되어 각각의 블레이드는 한 쌍의 블레이드를 이룬다.
이 배열은 길이 방향으로 정확한 대칭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도3에서 제시된 변형예의 경우에는 이와 다르게 배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도면에서는 모듈(36)만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한 쌍의 블레이드들은 플러그와 접촉되는 점에 해당하는 만곡된 정상부를 갖고 있고 그 정상부는 길이 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다. 그래서 위 블레이드(40-1, 40-2)는 전단부에 접촉되는 점과 후단부에 접촉되는 점이 생긴다. 아래 블레이드도 마찬가지인데, 이 네 점이 우수한 탄성 접촉을 보장하고, 확실하게 그리고 완벽하게 균형을 유지하면서 플러그를 지탱해 준다. 이렇게 해서 우수한 전기적 접촉이 유지된다.
같은 면에 있는 블레이드는 전단부 접촉점을 갖고 있고, 마주 보고 있는 다른 면에 있는 블레이드는 후단부 접촉점을 갖고 있다. 이 실시예는 간단한 지그재그 판을 나타낸다.
앞서 제시한 배열에서 모듈의 윗면(42-1)과 아래면(42-2)은 케이지(10)의 윗면(16)과 아래면(18)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U자의 바닥면은 측면과 평행하게 놓인다.
특히 위와 아래 두면은 도4b에 자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케이지의 절곡판(16-1, 18-1)으로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이처럼 절곡판에 의한 배열로 플러그에 부가적인 접촉점이 생겨나고, 삽입시 유도를 보장하게 된다.
절곡판으로 고정하는 것을 보완하거나 대체하여 케이지 안에 모듈의 배치를 유지하기 위해, 도4a에 나타난 실시예와 같이 변형부(46)와 같은 것을 결합한 수단들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변형부는, 예를 들면 금형 작업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케이지 본체 안에 만들어진, 보다 정확히 말하면 아래면(18)에 낸 창(48)에 맞도록 적합하게 된다.
그러나 이 창의 길이는 이 변형부를 수용하는데 필요한 길이보다 커서 유격(J)이 생긴다. 이 유격은 플러그가 삽입되어 만곡부가 감소될 시, 블레이드가 변형되어 늘어나게 한다. 그와 동시에 이로써 모듈도 상응하여 신장된다.
효과에는 변함없이 케이지에 변형부를 만들 수도 있고 모듈 면에도 창을 만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5에 나타나 있는데, 그것은 모듈을 케이지 본체 안에 조립하는 새로운 방법을 보여준다.
동일한 요소는 같은 도면 부호를 갖는다.
각각의 면(42-1, 42-2)은 블레이드(40)의 양쪽 끝에서 한 쌍의 돌기 (50-1 내지 50-4)를 갖고 있으며, 그것들은 전단부(38-1)와 후단부(38-2)에 배열되어 있다.
이 돌기들은 케이지 벽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고 그것이 붙어 있는 면에 위치한다.
상사변환 대응 방식으로 케이지 본체(12)는 대응하는 면에, 이 경우 우측면(20)에, 두개의 개구부(52-1, 52-2)를 전단부와 후단부에 가지며, 이 것들은 돌기(50-1내지 50-4)와 끼워진다.
비슷한 방식으로 같은 이유에서 후방 개구부(52-2)는 개구부에 끼워지는 돌기의 길이보다 더 길게 되어 있는데, 이것은 플러그가 유입될 시 블레이드와 모듈의 신장에 필요한 유격(J)을 만들기 위해서이다.
다른 보다 더 제한된 배열은 단 한 쌍의 돌기만을 갖게 되는 것인데, 그 하나는 윗면에 나머지 하나는 아래면에 있고 단 하나의 창에 끼워지게 된다.
잘못된 삽입의 위험을 막기 위해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접촉 케이지에, 알려진 바와 같이, 분극 수단을 부가할 수 있다. 이 같은 수단은 예를 들면 돌출부를 갖는 케이지가 비대칭적 형태로 나타나고 여기 표시되지 않은 소켓은 결합된 외양을 갖는다.
이 같은 배열로 암형 접촉자는 크기가 변화하는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용적이 증가하는데, 이는 모듈의 한 측벽이 없어서 두께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틀이 있는 블레이드-홀더 모듈을 갖는 제1 변형 실시예가 도6 내지 도8에 나타나 있다. 동일한 요소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도면 부호를 갖고 있는데, 100씩 더해진다.
도6에서는 케이지가 있는 암형 접촉자(110)를 제시한다.
이 접촉자는 평행육면체인 케이지(112)와 여기 표시되지 않은 전선과 연결 수단(114)을 갖고 있다.
케이지는 패널을 절첩하여 만들 수 있다. 점선으로 표시된 플러그(126)의 삽입방향(124)에서 보자면, 이 케이지는 윗면(116), 그와 마주 보는 아래면(118), 우측면(120)과 좌측면(122)을 갖는다. 패널을 접은 후 그 맞닿는 선(128)은 윗면(116)에 있게 된다.
알려진 연결 수단(114)은 전선의 금속 부분에 끼우는 윙(130)과 이 전선의 피복에 끼우는 윙(132)이 있다.
구역(134)은 케이지와 연결 수단을 이어준다.
도1에는 틀이 있는 블레이드-홀더 모듈(136)도 제시되어 있다.
이 모듈에는 견고한 본체(138)와 블레이드(140)가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견고한 본체(138)는 별개의 전단부(138-1)와 후단부(138-2)를 갖고 있고 폐쇄된 틀을 형성하는 단면을 갖는다.
블레이드는 모두 네 개인데, 위에 두 개의 블레이드(140-1, 140-2)와 아래에 두 개의 블레이드(140-3, 140-4)로, 본체(138)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한다. 이 블레이드는 구부러져 정상이 마주하는 만곡부를 갖는다.
이 블레이드는 본체(138)를 만들면서 생기는데, 본체의 윗면(142-1)과 아래면(142-2)의 연장선 내에 있다. 여기서 각 블레이드는 길이 방향의 중선을 따라 절개된 부분(144-1, 144-2)에 의해 양분되어 각각의 블레이드는 한 쌍의 블레이드를 이룬다.
이 배열은 길이 방향으로 정확한 대칭을 이룬다.
앞서 제시한 배열에서 모듈의 윗면(142-1)과 아래면(142-2)은 케이지(110)의 윗면(116)과 아래면(118)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 모듈은 틀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틀의 전단부(138-1)와 후단부(138-2)는 모듈의 일반적인 형태에 비해 돌출되어 있고 폐쇄된 틀을 형성하는 측면(138-3 내지 138-6)으로 이루어진다. 돌출부의 폭은 케이지의 벽(120 또는 122)의 두께와 같다.
모듈이 내장된 접촉자의 사시도가 도7에 나타나 있다. 접촉자를 부분적으로 떼어 놓아서 본 평면도인 도8은 이것을 더 잘 설명하여 배열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상사변환 대응 방식으로, 모듈을 둘러싸는 측벽(138-3 내지 138-6)의 위치에서 케이지 본체(112)내에 대응되는 면에, 이 경우에는 좌우 측면들(120, 122)에, 4개의 개구부, 즉 전방 개구부(152-1, 152-2)와 후방 개구부(152-3, 152-4)를 만들어 모듈의 돌출면을 끼울 수 있다.
후방 개구부(152-1, 152-2)의 각각의 길이는 측면(138-3, 138-4)의 길이보다 큰데, 플러그가 삽입될 시 블레이드와 모듈의 신장에 필요한 유격(J)을 만들기 위해서이다.
실제로 플러그를 삽입할 때 블레이드는 만곡부가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로 인해서 모듈이 필연적으로 신장된다.
또한 이 배열은 모듈이 일단 케이지에 끼워지면 이동하는 것을 막아 주는데, 심지어는 응력이 완화되었을 때도 즉 미리 끼워져 있던 플러그를 뺀 후에도 모듈은 케이지 안에 제자리에 있게 된다.
이러한 배열의 장점 가운데 하나가 거의 전체적으로 케이지에 유용한 부피를 늘이는 것이다. 돌출면들은 케이지 벽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고, 이 면들은 케이지 벽 두께 안에 위치함으로써 폭은 더 적으나 더 큰 치수의 플러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지의 내부 공간을 만들어 준다.
다양한 여러 개의 도면에서 절첩하여 만든 케이지를 제시하고, 케이지 자체 이완에 대해서는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나, 맞닿는 면(128) 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여러 점에 레이저 총 같은 것으로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이 케이지의 견고성을 강화시켜 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케이지는 상당한 견고성을 갖고, 일단 조립되면 대칭되는 모듈이 큰 안정성을 보장하고, 산업화도 용이하게 해준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면(138-3 내지 138-6)들을 단 한 쌍의 전단부면(138-5, 138-6)이나 단 한 쌍의 측면(138-3, 138-5 또는 138-4, 138-6)으로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대칭을 잃고 케이지 내부 공간이 적어지게 되지만 몇몇 적용 방식에서는 이 같은 제작 방법이 적합할 수도 있다. 케이지 안에 개구부의 수는 그 만큼줄어든다.
바로 위에서 설명한 제작 방식에서는 플러그를 삽입하게 되는 케이지의 입구가 반드시 절곡판을 가질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절곡판을 만들기 위한 절개와 절첩 과정은 생략된다. 이의 장점은 패널을 절개할 때 약간의 경사면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인데, 일단 케이지가 만들어지고 모듈을 제자리에 넣고 나서 플러그 삽입이 용이하도록 해 준다.
잘못된 삽입의 위험을 막기 위해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접촉 케이지에, 알려진 바와 같이, 분극 수단을 부가할 수 있다. 이 같은 수단은 예를 들면 돌출부를 갖는 케이지가 비대칭적 형태로 나타나고 여기 표시되지 않은 소켓은 결합된 외양을 갖는다.
이러한 접촉자의 제작 비용이 감소되고, 생산 단계가 산업적으로 단순화된다.
이제 공통점을 갖고 있는 두 개의 변형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요소는 같은 도면 부호를 갖고, 그 번호가 200과 300씩 증가한다.
도9a에는 평행육면체인 케이지(212)와 여기 표시되지 않은 전선과 연결 수단(214)을 갖는 암형 접촉자(210)를 제시하고 있다.
케이지는 패널을 절첩하여 만들 수 있다. 점선으로 표시된 플러그(226)의 삽입방향(224)에서 보자면, 이 케이지는 윗면(216), 그와 마주 보는 아래면(218), 우측면(220)과 좌측면(222)을 갖는다. 패널을 접은 후 그 맞닿는 선(228)은윗면(216)에 있게 된다.
절첩하여 만든 이 케이지는 상자 자체 이완에 대해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맞닿는 면(228) 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여러 점에 레이저 총 같은 것으로 용접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케이지의 견고함도 강화된다.
알려진 연결 수단(214)은 전선의 금속 부분에 끼우는 윙(230)과 이 전선의 피복에 끼우는 윙(232)이 있다.
구역(234)은 케이지와 이 연결 수단을 이어준다.
도9a에는 부속 스프링이 있는 블레이드-홀더 모듈(236)도 소개되어 있다.
이 모듈은 견고한 본체(238)와 블레이드(240)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견고한 본체(238)는 별개의 전단부(238-1)와 후단부(238-2)를 갖고 있고 폐쇄된 틀을 형성하는 단면을 갖는다.
블레이드는 모두 네 개인데, 위에 두 개의 블레이드(240-1, 240-2)와 아래에 두 개의 블레이드(240-3, 240-4)로, 본체(238)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한다. 이 블레이드는 구부러져 정상이 마주하는 만곡부를 갖는다.
이 블레이드는 본체(238)를 만들면서 생기는데, 본체의 윗면(242-1)과 아래면(242-2)의 연장선 내에 있다. 여기서 각 블레이드는 길이 방향의 중선을 따라 절개된 부분(244-1, 244-2)에 의해 양분되어 각각의 블레이드는 한 쌍의 블레이드를 이룬다.
이 배열은 길이 방향으로 정확한 대칭을 이룬다.
앞서 제시한 배열에서 모듈의 윗면(242-1)과 아래면(242-2)은 케이지(210)의윗면(216)과 아래면(218)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 모듈은 틀을 갖고 있는데, 틀의 전단부(238-1)와 후단부(238-2)는 모듈의 일반적인 형태에 비해 돌출되어 있고 폐쇄된 틀을 형성하는 측면(238-3 내지 238-6)으로 이루어진다. 돌출부의 폭은 케이지의 벽(220 또는 222)의 두께와 같다.
틀(238-2, 238-1)의 면(238-3, 238-5)은 절첩하여 맞닿는 선의 오른쪽에 잘 결속되도록 하는 톱니 모양으로 접혀 맞닿는 부분을 갖는다. 이는 부속 스프링을 갖는 변형 실시예에 필요하다.
이 모듈은 도면 부호 250의 Z자형 부속 스프링으로 완성된다. 이 스프링은 구부러진 가운데 부분과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보다 정확히 표현하면 이 스프링은 절개해서 생기는 윗면(242-1)에서 만들어지는데, 그 제1 분기부(250-1)는 그 연장부에 놓인다. 제2 분기부(250-2)는 이중 만곡부를 만들기 위해 전단부로 기울어져 있고 모듈의 높이(h)와 동일한 높이 이다. 말단부인 제3 분기부(250-3)는 제1 분기부에 평행하고, 제1 분기부의 끝단을 넘어 뒤로 연장되어 있다. Z자형의 이중 만곡부 부속 스프링의 높이는 부속 스프링이 들어가게 되는 케이지의 내부 높이 보다 약간 크다. 이렇게 해서 부속 스프링(250)이 약간의 압력을 받게 된다. 이 스프링의 분기부가 양분되어 마치 블레이드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두 개의 스프링을 가진 것과 같게 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이 스프링의 형태가 최적화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채 다른 외양을 보일 수도 있다. 단 다음에서 설명하는 마지막 실시예에서와 같이 필요한 특성을 갖도록 케이지 내부의 접촉만은 보장되어야 한다.
상사변환 대응 방식으로, 모듈을 둘러싸는 측벽(238-3 내지 238-6)의 위치에서 케이지 본체(212) 내에 대응되는 면에, 이 경우에는 좌우 측면들(220, 222)에, 4개의 개구부, 즉 전방 개구부(252-1, 252-2)와 후방 개구부(252-3, 252-4)를 만들어 모듈의 돌출면을 끼울 수 있다.
전후방 개구부들 각각의 길이는 측면(238-3, 238-4)의 길이보다 큰데, 플러그가 삽입될 시 개구부에서 각각 유격(J)을 만들기 위해서 이다. 도10b를 참고하기 바란다. 이 유격은 플러그를 삽입할 때 블레이드와 모듈의 움직임에 필요하다.
실제로 플러그를 삽입할 때 블레이드는 만곡부가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로 인해서 모듈이 필연적으로 신장된다.
또한 이 배열은 모듈이 일단 케이지에 끼워지면 이동하는 것을 막아 주는데, 심지어는 응력이 완화되었을 때도 즉 미리 끼워져 있던 플러그를 뺀 후에도 모듈은 케이지 안에 제자리에 있게 된다.
부속 스프링(250)은 도9b에 나타난 것처럼 예를 들면 레이저 총 또는 다른 유사한 방법으로 케이지 위에 한 점(251)을 용접하거나 하여 케이지에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말단 분기부(250-3) 끝부분에 용접을 했다. 이로써 접촉자 안에 플러그를 삽입할 때 발생하는 움직임을 허용하면서도 모듈 전체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또한 패널로 아래면(242-2)에 맞닿는 선(228)을 갖는 케이지를 만들 수도 있다. 이 경우 말단 분기부(250-3)의 용접점(251)은 맞닿는 선(228)인 패널의 가장자리를 연결해 주는 점과 일치된다.
그밖에도 이 같이 용접으로 연결하면 더 양질의 전도성이 보장된다.
스프링은 케이지의 개구부가 있는 모듈의 면에 끼워져 전단부와 후단부가 고정된다. 스프링은 모듈과 함께 진동으로 발생하는 작은 진폭의 움직임을 ±j의 범위 내로 제한한다.
또 하나의 변형예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여러 면 중 한 면에 있는 개구부의 길이는 유격을 만들기 위해 개구부에 끼워지는 면의 길이보다 크다.
이러한 배열의 장점 가운데 하나가 거의 전체적으로 케이지에 유용한 부피를 늘리는 것이다. 돌출면들은 케이지 벽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고, 이 면들은 케이지 벽 두께 안에 위치함으로써 폭은 더 적으나 더 큰 치수의 플러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지의 내부 공간을 만들어 준다.
도9a와 9b에서 Z자형 스프링을 갖는 접촉자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요소는 도10a와 10b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되고, 100씩 증가한다. 부속 스프링(350)이 변형되어 말단 분기부(350-3)가 C자형을 띠어 적절하게 된 예를 보여준다. 그 이외에도 이 스프링은 뒷부분(338-2)의 아래면(342-2)으로 만들어진다. 부속 스프링은 말단 분기부(350-3)에 의해 케이지의 윗면(316)의 지점(351)에 용접되어 있다. 이 용접은 면(316)을 통해 직접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한 개 이상의 만곡된 구역과 말단 지지부를 갖는다.
그러므로 케이지와 말단 분기부(350-3)를 구성하는 패널의 가장자리를 연결하기 위해 공통의 용접점(351)을 갖는 수도 있다.
핀이 있는 접촉점에서는 부식으로 인한 침식 현상은 제거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면(338-3 내지 338-6)들을 단 한 쌍의 전단부면(338-5, 338-6)이나 단 한 쌍의 측면(338-3, 338-5 또는 338-4, 338-6)으로 줄일 수 있다.
바로 위에서 설명한 제작 방식에서는 플러그를 삽입하게 되는 케이지의 입구가 반드시 절곡판을 가질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절곡판을 만들기 위한 절개와 절첩 과정은 생략된다. 이의 장점은 패널을 절개할 때 약간의 경사면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인데, 일단 케이지가 만들어지고 모듈을 제자리에 넣고 나서 플러그 삽입이 용이하도록 해 준다.
잘못된 삽입의 위험을 막기 위해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접촉 케이지에, 알려진 바와 같이, 분극 수단을 부가할 수 있다. 이 같은 수단은 예를 들면 돌출부를 갖는 케이지가 비대칭적 형태로 나타나고 여기 표시되지 않은 소켓은 결합된 외양을 갖는다.
이러한 접촉자의 제작 비용이 감소되고, 생산 단계가 산업적으로 쉬워진다. 단 한 단계의 부가적인 절첩 과정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품의 낭비가 없다. 부속 스프링을 고정하는 데는 케이지 용접점을 같이 쓸 수 있다.
전기한 블레이드의 수는 네 개이지만 윗면 하나, 아래면 하나로 단 두 개의 블레이드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제작 방식에 의해 만들어진 케이지는 매우 견고하고, 대칭적 모듈은 일단 조립되면 상당한 안정성이 보장되고 산업화 생산을 가능케 한다.

Claims (20)

  1.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윗면(16), 아래면(18)과 두 개의 측면(20, 22)을 포함하는 평행육면체 케이지 구조를 갖는 암형 접촉자에 있어서,
    블레이드-홀더 모듈의 분기부(42-1, 42-2)는 케이지의 윗면(16)과 아래면(18)에 평행하게 놓이고, 블레이드-홀더 모듈(36)의 본체(38)는 별개의 전단부(38-1)와 후단부(38-2)를 갖고 있으며, 본체의 윗면(42-1)과 아래면(42-2)의 연결부의 두 부분 사이에 서로 마주 보는 적어도 두 개의 굽은 블레이드(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 보는 상기 블레이드(40)는 서로 마주 대하는 만곡부를 갖고 있으며, 그 구부러진 정상이 접근하도록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0)들은 양분되어(40-1 내지 40-4) 각각은 길이 방향의 중선을 따라 절개된 부분(44-1, 44-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4. 제3항에 있어서, 한 면이 양분된 블레이드(40)가 하나는 전단부에 다른 하나는 후단부로 변위된 접촉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의 본체(38)는 케이지(12)와 함께 절첩되어 플러그가 삽입되는 방향(24)에서 볼 때 상기 케이지의 입구에 위치하게 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절곡판(16-1, 16-2)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접촉자에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46)와 적어도 하나의 창(48)이 있어, 하나는 케이지(12) 그리고 다른 하나는 모듈 본체(38)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7.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창(48)의 길이는 유격(J)을 만들기 위하여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홀더 모듈(136)은 전단부(138-1)와 후단부(138-2)에 횡단면이 폐쇄되어 있는 두 개의 틀을 갖고, 상기 틀의 면(142-1, 142-2)은 케이지의 윗면(116)과 아래면(118)에 평행으로 놓여 있는 블레이드(140)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9. 제8항에 있어서, 케이지는 적어도 두 개의 개구부(152-1 내지 152-4)를 갖고 있으며 상기 개구부에 끼워 넣기에 알맞도록 틀이 적어도 두 개의 돌출면을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10. 제9항에 있어서, 돌출면(138-3 내지 138-6)의 두께는 대응하는 개구부(152-1 내지 152-4)를 갖고 있는 케이지 벽의 두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 개의 개구부(152-1 내지 152-4)를 갖는 케이지의 경우 틀은 네 개의 돌출면(138-3 내지 138-6)을 갖고 있고, 두 개의 전방 개구부(152-1, 152-2)는 기능적으로 유격(J)을 만들기 위해 개구부가 받아들이는 면(138-3, 138-4)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 본체(38)의 윗면(42-1)과 아래면(42-2)은 각기 그 면에 돌출되고 케이지(12)에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52-1, 52-2)에 맞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50-1 내지 50-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13. 제12항에 있어서, 네 개의 돌기가 있는 경우 전방 돌기라 불리는 두 개의 돌기는 전단부에 있고 후방 돌기라 불리는 두 개의 돌기는 후단부에 있으며, 전단부 돌기를 받아들이는 개구부(52-2)는 유격(J)을 만들기 위해 대응하는 돌기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홀더 모듈(236, 336)은 그 후단부에 놓여 있고 모듈의 일부이며 케이지 안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속 스프링(250, 35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15. 제14항에 있어서, 부속 스프링(250, 350)은 케이지에 만곡된 구역과 말단 지지부(250-3, 350-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스프링(250)의 만곡부(250-1, 250-2, 250-3)는 Z자형으로 서로 마주 대한 두 개의 만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17. 제16항에 있어서, Z자형은 세 개의 분기부(250-1, 250-2, 250-3)를 갖는데, 그 제1 분기부(250-1)는 모듈(236)과 더불어 절개하여 얻어지고, 제2 분기부(250-2)는 탄성 효과를 얻도록 전단부로 휘어져 있고, 제3 말단 분기부(250-3)는 제1 분기부와 평행하게 위치하여 케이지 안에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250, 350)은 말단 분기부(250-3, 350-3) 부분에서 용접점(251, 351)에 의해 케이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널을 절첩하여 만든 케이지는 그 윗면에 스프링(250, 350)이 말단 분기부(250-3, 350-3) 위치에 케이지와 연결되는 지점에서 공통의 용접점(251, 351)과 맞닿는 선(228, 32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36)은 견고한 본체와 탄성 있는 분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접촉자.
KR10-2003-7007504A 2000-12-07 2001-12-06 블레이드-홀더 모듈을 포함하는 케이지 구조를 갖는 암형접촉자 KR200300598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5923 2000-12-07
FR0015920A FR2818027B1 (fr) 2000-12-07 2000-12-07 Contact femelle a cage avec un module porte-lames
FR0015924A FR2818028B1 (fr) 2000-12-07 2000-12-07 Contact femelle a cage avec un module porte-lames a ressort d'accompagnement
FR00/15920 2000-12-07
FR0015923A FR2818026B1 (fr) 2000-12-07 2000-12-07 Contact femelle a cage avec un module porte-lames a cadres
FR00/15924 2000-12-07
PCT/FR2001/003857 WO2002047210A1 (fr) 2000-12-07 2001-12-06 Contact femelle a cage avec un module porte-lam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831A true KR20030059831A (ko) 2003-07-10

Family

ID=2724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504A KR20030059831A (ko) 2000-12-07 2001-12-06 블레이드-홀더 모듈을 포함하는 케이지 구조를 갖는 암형접촉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40116002A1 (ko)
EP (1) EP1340290B1 (ko)
JP (1) JP2004520687A (ko)
KR (1) KR20030059831A (ko)
AT (1) ATE360272T1 (ko)
BR (1) BR0116191A (ko)
DE (1) DE60127991T2 (ko)
ES (1) ES2286164T3 (ko)
WO (1) WO2002047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7988B3 (de) * 2005-04-19 2006-11-16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 Kontakthülse
US7252559B1 (en) * 2006-10-13 2007-08-07 Delphi Technologies, Inc. Two piece electrical terminal
US8272901B2 (en) * 2010-09-21 2012-09-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rimp contact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DE102012017949A1 (de) * 2011-09-28 2013-03-2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nschlusspassstück
JP6084898B2 (ja) * 2013-06-06 2017-02-22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EP2866306B1 (de) * 2013-10-23 2020-07-29 Aptiv Technologies Limited Kontaktbuchse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2015159094A (ja) * 2014-02-25 2015-09-03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FR3045964B1 (fr) * 2015-12-17 2018-06-15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tact femelle avec lames laterales de maintien pour contact male et ensemble de connexion comportant de tels contacts femelle et male
DE102016201103B4 (de) * 2016-01-26 2023-10-05 Lisa Dräxlmaier GmbH Kontaktteil
JP2018010818A (ja) * 2016-07-15 2018-01-18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構造
DE102017001166A1 (de) * 2017-01-31 2018-08-02 Kostal Kontakt Systeme Gmbh Kontaktlamelle für ein buchsenartiges Steckverbinderteil und buchsenartiges Steckverbinderteil
US10283889B2 (en) 2017-09-14 2019-05-0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with balanced front end protection
JP6872152B2 (ja) * 2017-09-21 2021-05-19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2047Y2 (ko) * 1986-01-29 1991-07-08
DE8713038U1 (de) * 1987-09-28 1987-11-19 Amp Deutschland Gmbh, 6070 Langen Buchsenartiger elektrischer Anschluß
DE3817803C3 (de) * 1988-05-26 1995-04-20 Reinshagen Kabelwerk Gmbh Elektrische Flachsteckverbindung
DE8914951U1 (de) * 1989-12-18 1991-04-18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Elektrisches Kontaktelement mit einer Überfeder
DE4131470A1 (de) * 1991-09-21 1993-04-01 Kostal Leopold Gmbh & Co Kg Elektrisches steckkontaktteil
FR2699010B1 (fr) * 1992-12-07 1994-12-30 Cinch Connecteurs Sa Organe de contact électrique femelle.
US5342226A (en) * 1993-06-21 1994-08-30 Electro-Wire Products, Inc. Female blade terminal
FR2707431A1 (fr) * 1993-07-06 1995-01-13 Briffe Roger Connecteur électrique femelle à fiabilité améliorée.
DE4439105C1 (de) * 1994-11-02 1996-04-25 Kostal Leopold Gmbh & Co K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FR2730864B3 (fr) * 1995-02-17 1997-04-30 Amp France Borne femelle electrique d'une seule piece
US5810627A (en) * 1996-01-11 1998-09-22 Molex Incorporated Female electrical terminal
FR2758214B1 (fr) * 1997-01-08 1999-01-29 Cinch Connecteurs Sa Organe de contact electrique femelle
FR2783098B1 (fr) * 1998-09-08 2000-10-06 Cinch Connecteurs Sa Organe de contact electrique feme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0290A1 (fr) 2003-09-03
WO2002047210A1 (fr) 2002-06-13
DE60127991D1 (de) 2007-05-31
EP1340290B1 (fr) 2007-04-18
BR0116191A (pt) 2003-12-16
ATE360272T1 (de) 2007-05-15
US20040116002A1 (en) 2004-06-17
JP2004520687A (ja) 2004-07-08
ES2286164T3 (es) 2007-12-01
DE60127991T2 (de)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59831A (ko) 블레이드-홀더 모듈을 포함하는 케이지 구조를 갖는 암형접촉자
US5624283A (en) Electrical terminal back-up spring with anti-chattering support members
JP2909572B2 (ja) コネクタ用リ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
KR970063833A (ko) 길이가 다른 단자들을 갖춘 전기 커넥터
US7114982B2 (en)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US5971816A (en) Miniature electrical contact with folded double wall cage section
KR100966225B1 (ko) 접촉 안정부를 갖춘 전기 소켓 단자
CN102668255B (zh) 熔丝端子
JP3428756B2 (ja) 雌型電気端子
KR910005521A (ko) 저 삽입력 회로 패널 소켓
JP3143222U (ja) 改良されたデュアルビームコンタクトを備えたコネクタ
JP2004273154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端子
US20220037810A1 (en) Connecting terminal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ductors
US6080005A (en) Terminal fitting
US5408048A (en) Pressure-welding type electric terminal
KR20070086745A (ko) 압축 커넥터
JP2006172732A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KR100787202B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2005123100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S6350781Y2 (ko)
JP7279933B2 (ja) 基板支持具
KR101493986B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KR20050035098A (ko) 조인트 단자, 조인트 커넥터 및 이들의 제조 방법
CN214542623U (zh) 电源连接器与连接组件
JPH09259963A (ja) 雌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