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654A - 정립 관찰 광학계 - Google Patents

정립 관찰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654A
KR20030045654A KR1020020076476A KR20020076476A KR20030045654A KR 20030045654 A KR20030045654 A KR 20030045654A KR 1020020076476 A KR1020020076476 A KR 1020020076476A KR 20020076476 A KR20020076476 A KR 20020076476A KR 20030045654 A KR20030045654 A KR 20030045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optical system
lens group
reflective
objectiv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6551B1 (ko
Inventor
이시이신이치로
네모토사토루
Original Assignee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5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5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02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involving prisms or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2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 G02B17/04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using prism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Lenses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정립 관찰 광학계는 입사면 및 적어도 2개의 반사면을 가지는 제 1 프리즘, 대물 광학계의 전방 렌즈 군, 입사면 및 적어도 2개의 반사면을 가지는 제 2 프리즘, 대물 광학계의 후방 렌즈 군, 시야 조리개, 및 접안 광학계를 물체측에서 부터 이러한 순서로 포함한다.
제 1 또는 제 2 프리즘 중의 어느 한 편의 하나의 반사면은 루프 미러 면을 포함하고 다음의 조건식이 만족된다.
sin(θ-ω') > 1/n...(1)
6°< ω < 16°...(2)
여기에서,
θ는 제 1 프리즘의 입사면 및 제 1 반사면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ω는 실 시야 ω (절반양)을 나타내고,
ω'는 실 시야 ω (절반양)의 광선 및 제 1 프리즘내에서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그리고
n은 제 1 프리즘의 굴절율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정립 관찰 광학계{IMAGE-ERECTING VIEWING OPTICAL SYSTEM}
본 발명은 겉보기 시야각이 큰 저배율의 정립 관찰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쌍안경이나 단안경에 사용되는 정립 관찰 광학계는 일반적으로 대물 광학계, 정립 광학계 및 접안 광학계를 물체측에서 부터 이러한 순서로 포함한다. 저 배율로 넓은 실 시야를 가지는 정립 광학계에서는, 대물 광학계의 초점 거리를 단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정립 광학계의 전방에 대물 광학계가 배치되고 있는 구성에서는, 정립 광학계의 광로거리에 의해 대물 광학계의 초점 거리는 보다 길어져야 한다. 따라서, 접안 광학계의 초점 거리도 커지고, 전체 광학계의 소형화가 곤란했었다.
본 발명은 특별히 실 시야가 큰 저 배율의 소형화된 정립 광학계를 제공함을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정립 광학계의 광학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정립 광학계의 광학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정립 광학계의 광학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정립 광학계의 광학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에 따른 정립 광학계의 광학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예에 따른 정립 광학계의 광학 구성도,
도 7은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6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의 수치 실시예에 따른 정립 광학계의 렌즈 구성도,
도 9a, 9b, 9c, 및 9d는 무한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에 있을때, 도 8의 렌즈 구성에서 발생되는 제 수차를 도시한 도면,
도 10a, 10b, 10c, 및 10d는 1.2m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에 있을때, 도 8의 렌즈 구성에서 발생되는 제 수차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의 수치 실시예에 따른 정립 광학계의 렌즈 구성도,
도 12a, 12b, 12c, 및 12d는 무한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에 있을때, 도 11의 렌즈 구성에서 발생되는 제 수차를 도시한 도면,
도 13a, 13b, 13c, 및 13d는 1.5m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에 있을때, 도 11의 렌즈 구성에서 발생되는 제 수차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의 수치 실시예에 따른 정립 광학계의 렌즈 구성도,
도 15a, 15b, 15c, 및 15d는 무한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에 있을때, 도 14의 렌즈 구성에서 발생되는 제 수차를 도시한 도면, 및
도 16a, 16b, 16c, 및 16d는 1.5m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에 있을때, 도 14의 렌즈 구성에서 발생되는 제 수차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입사면과 적어도 2개의 반사면을 가지는 제 1 프리즘, 대물 광학계의 전방 렌즈 군, 입사면과 적어도 2개의 반사면을 가지는 제 2 프리즘, 대물 광학계의 후방 렌즈 군, 시야 조리개, 및 접안 광학계를 물체로 부터 이러한 순서로 포함하는 정립 관찰 광학계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프리즘과 제 2 프리즘 중의 어느 한편의 하나의 반사면은 루프 미러 면을 포함하고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sin(θ-ω') > 1/n...(1)
6°< ω < 16°...(2)
여기에서,
θ는 제 1 프리즘의 입사면 및 제 1 반사면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ω는 실 시야 ω (절반양)를 나타내고,
ω'는 실 시야 ω (절반양)의 광선 및 제 1 프리즘내에서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그리고
n은 제 1 프리즘의 굴절율을 나타낸다.
한편, 제 1 프리즘의 입사면과 반사면이 동일면 상에 존재할 경우에는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sin(2α-ω') > 1/n...(3)
6°< ω < 16°...(2)
여기에서,
α는 제 1 프리즘의 입사면 및 제 1 반사면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ω는 실 시야 ω (절반양)를 나타내고,
ω'는 실 시야 ω (절반양)의 광선 및 제 1 프리즘내에서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그리고
n은 제 1 프리즘의 굴절율을 나타낸다.
상기 광학 구성에 있어, 포커싱은 상기 대물 광학계의 후방 렌즈 군과 접안 광학계의 적어도 한 편을 이동시킴으로써 이행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라, 제 1 프리즘, 대물 광학계의 전방 렌즈 군, 제 2 프리즘, 대물 광학계의 후방 렌즈 군, 시야 조리개, 및 접안 광학계를 물체측에서 부터 이러한 순서로 포함하는 정립 관찰 광학계가 제공된다. 상기 대물 광학계의 후방 렌즈 군을 초점 조절 렌즈 군이라고 한 경우 본 정립 관찰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0 < f0/f2 < 0.5...(4)
여기에서,
f2는 상기 대물 광학계의 후방 렌즈 군의 초점 거리를 나타내고, 그리고
f0는 대물 광학계 전체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개시는 전체로 특별히 여기에 첨부되는 일본 특허 출원 제 2001-370584 호(2001. 12. 4 에 출원)에 포함된 주된 내용에 관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에 따른 정립 관찰 광학계의 광학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의 각각에서, 정립 광학계는 제 1 프리즘(10(110, 210, 310, 410, 510)), 대물 광학계(20(120, 220, 320, 420, 520))의 전방 렌즈 군(21), 제 2 프리즘(30(130, 230, 330, 430, 530)), 대물 광학계(20(120, 220, 320, 420, 520))의 후방 렌즈 군(포커싱 렌즈 군)(22), 시야 조리개(40), 및 접안 광학계(50)를 물체측에서 부터 이러한 순서로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에서, 제 1 프리즘(10(110, 210, 310, 410, 510))과 제 2 프리즘(30(130, 230, 330, 430, 530))중의 어느 한 편의 하나의 반사면은 루프 미러 면으로 되고 있고, 즉, 제1 프리즘(10)과 제 2 프리즘(30)중의 어느 한 편은 루프 프리즘이다. 또한,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의 각각에서,제 1 프리즘(10(110, 210, 310, 410, 510))과 제 2 프리즘(30(130, 230, 330, 430, 530))에서, 합계 5면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그 5면 중의 하나의 반사면이 루프 미러 면이다. 시야 조리개(40)의 위치는 대물 광학계(20(120, 220, 320, 420, 520))에 의한 무한대에서 물체의 상이 형성되는 위치에 정해진다.
구체적으로는,도 1의 제 1의 실시예에서,제 1 프리즘(10)은 입사면(10i),제 1 반사면(10-1r),제 2 반사면(10-2r) 및 출사면(10e)을 포함하고,제 2 프리즘(30)은 입사면(30i),제 1 반사면(30-1r),제 2 반사면(루프 미러 면)(30-2r(d)),제 3 반사면(30-3r), 및 출사면(30e)을 포함한다.
출사면(10e)과 제 1 반사면(10-1r)은 동일면이다. 입사면(30i)과 제 3 반사면(30-3r)은 동일면이다. 그리고 제 1 반사면(30-1r)과 출사면(30e) 또한 동일면이다 .
도 2에서 도시된 제 2의 실시예에서, 제 1 프리즘(110)은 입사면(110i), 제 1 반사면(110-1r), 제 2 반사면(110-1r), 제 2 반사면(루프 미러 면)(110-2r(d)), 제 3 반사면(110-3r) 및 출사면(110e)을 포함한다. 제 2 프리즘(130)은 입사면(130i), 제 1 반사면(130-1r), 제 2 반사면(130-2r), 및 출사면(130e)을 포함한다.
입사면(110i) 및 제 3 반사면(110-3r)은 동일면이다. 출사면(110e)과 제 1 반사면(110-1r)은 동일면이다. 또한 입사면(130i)과 제 2 반사면(130-2r)은 동일면이다.
도 3에서 도시된 제 3의 실시예에서, 제 1 프리즘(210)은 입사면(210i), 제 1 반사면(210-1r), 제 2 반사면(루프 미러 면)(210-2r(d)), 및 출사면(210e)을 포함한다. 제 2 프리즘(230)은 입사면(230i), 제 1 반사면(230-1r), 제 2 반사면(230-2r), 제 3 반사면(230-3r), 및 출사면(230e)을 포함한다.
제 1 반사면(210-1r)과 출사면(210e)은 동일면이다. 그리고 입사면(230i)과 제 2 반사면(230-2r)은 동일면이다.
도 4에서 도시된 제 4의 실시예에서, 제 1 프리즘(310)은 입사면(310i), 제 1 반사면(310-1r), 제 2 반사면(루프 미러 면)(310-2r(d)), 제 3 반사면(310-3r), 및 출사면(310e)을 포함한다. 제 2 프리즘(320)은 입사면(330i), 제 1 반사면(330-1r), 제 2 반사면(330-2r), 및 출사면(330e)을 포함한다.
입사면(310i)과 제 3 반사면(310-3r)은 동일면이다. 그리고 제 1 반사면(310-1r)과 출사면(310e)은 동일면이다.
도 5에서 도시된 제 5의 실시예에서, 제 1 프리즘(410)은 입사면(410i), 제 1 반사면(410-1r), 제 2 반사면(410-2r), 및 출사면(410e)을 포함한다. 제 2 프리즘(430)은 입사면(430i), 제 1 반사면(430-1r), 제 2 반사면(루프 미러 면)(430-2r(d)), 제 3 반사면(430-3r), 및 출사면(430e)을 포함한다.
입사면(410i)과 제 2 반사면(410-2r)은 동일면이다. 입사면(430i)과 제 3 반사면(430-3r)은 동일면이다. 제 1 반사면(430-1r)과 출사면(430e)은 동일면이다.
도 6에서 도시된 제 6의 실시예에서, 제 1 프리즘(510)은 입사면(510i), 제 1 반사면(루프 미러 면)(510-1r(d)), 제 2 반사면(510-2r), 및 출사면(510e)을 포함한다. 제 2 프리즘(530)은 입사면(530i), 제 1 반사면(530-1r), 제 2 반사면(530-2r), 제 3 반사면(530-3r), 및 출사면(530e)을 포함한다.
입사면(510i)과 제 2 반사면(510-2r)은 동일면이다. 입사면(530i)과 제 2 반사면(530-2r)은 동일면이다.
제 1 내지 제 6의 실시예에서, 입사면과 출사면은 도 1 내지 도 6이 도시된 페이지에 수직으로 뻗어있다. 마찬가지로 루프 미러 면을 제외한 반사면은 도 1 내지 도 6이 도시된 페이지에 수직으로 뻗어있다.
제 1 내지 제 6의 실시예는, (ⅰ)제 1 그룹 :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제 1 내지 제 4의 실시예, 및 (ⅱ)제 2 그룹 :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제 5 및 제 6의 실시예, 으로 대별된다.
제 1 그룹, 즉, 제 1 내지 제 4의 실시예는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sin(θ-ω') > 1/n...(1)
6°< ω < 16°...(2)
여기에서,
θ는 제 1 프리즘의 입사면 및 제 1 반사면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ω는 실 시야 ω (절반양)를 나타내고,
ω'는 실 시야 ω (절반양)의 광선 및 제 1 프리즘내에서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그리고
n은 제 1 프리즘의 굴절율을 나타낸다.
이 조건식 (1) 및 (2)를 만족함으로써, 광선은 제 1 프리즘내에서 반사면을 통과하지 못하고, 따라서 시야의 주변 영역에서 주변 광량 저하, 및 투과광이 원인인 고스팅(ghosting)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그룹, 즉, 제 5 및 제 6의 실시예에서, 제 1 프리즘(410(510))의 입사면(410i(510i))과 제 2 반사면(410-2r(510-2r))은 동일면상에 존재하고, 제 1 프리즘(410(510))은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sin(2α-ω') > 1/n...(3)
6°< ω < 16°...(2)
여기에서,
α는 제 1 프리즘의 입사면 및 제 1 반사면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ω는 실 시야 ω (절반양)를 나타내고,
ω'는 실 시야 ω (절반양)의 광선 및 제 1 프리즘내에서의 광축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그리고
n은 제 1 프리즘의 굴절율을 나타낸다.
이 조건식 (3) 및 (2)를 만족함으로써, 광선은 제 1 프리즘내에서 반사면을 통과하지 못하고, 따라서 시야의 주변 영역에서 주변 광량 저하, 및 투과광이 원인인 고스팅(ghosting)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기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포커싱은 대물 광학계(20(120, 220, 320, 420, 520)의 후방 렌즈 군(22)을 광축 방향을 따라 진퇴시킴으로써 이행된다. 선택적으로 접안 광학계가 포커싱 렌즈 그룹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인터널-포커싱 배치(arrangement)에 따르면, 외관에 이동 부분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따라서 렌즈 프레임 구조의 강도를 용이하게 높일수 있고, 또 정립 관찰 광학계가 포함되어 있는 부분의 부피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따라서 방수 구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방 렌즈 군(21)과 후방 렌즈 군(22)을 포함하는 대물 광학계(20(120, 220, 320, 420, 520))에서, 포커싱때의 수차 변동을 작게 하기 위해, 후방 렌즈 군(22)은 약한 광학 파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식(4)는 전방 렌즈 군(21)과 후방 렌즈 군(22)의 파워를 규정하고 있다.
f0/f2가 조건식(4)의 하한을 초과 한다면, 포커싱때의 후방 렌즈 군(22)의 이동거리가 길어지고, 그 때문에 후방 렌즈 군(22)의 이동거리를 커버하는 충분한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 광학계가 커진다.
f0/f2가 조건식(4)의 상한을 초과 한다면, 포커싱때의 수차 변화, 특히 상면 만곡의 보정이 곤란해 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수치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구면 수차로 나타나는 색수차(축상 색수차)도에서, 굵은선 및 2개 타입의 점선은 각각 d, g 및 c 선에 관한 구면 수차를 나타낸다. 또한, 배율 색수차도에서, 2개 타입의 점선은 각각 g 및 c 선에 관한 배율을 나타낸다. 그러나, 기준선으로서 d선은 세로축과 일치한다. 또한, s는 사지탈 이미지를 나타내고, M은 메리디오날 이미지를 나타낸다. ER은 사출 동경을 나타내고, B는 겉보기 시야각(°)을 나타낸다. 표에서 r은 곡율 반경을 나타내고, d는 렌즈두께 또는 렌즈 간격을 나타내며, Nd는 d선의 굴절율을 나타내고, 그리고 v는 아베(abbe)수를 나타낸다.
또한, 광축에 관하여 대칭인 비구면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x=cy2/(1+[1-{1+K}c2y2]1/2)+A4y4+A6y6+A8y8+A10y10...
여기에서,
c는 비구면 꼭지점(1/r)의 곡률을 나타내고,
y는 광축으로 부터의 거리를 나타내고,
x는 광축으로 부터의 거리"y"에 관하여 광축 방향의 변위량을 나타내고,
K는 원뿔계수를 나타내고, 그리고
A4는 4차 비구면계수를 나타내고,
A6는 6차 비구면계수를 나타내고,
A8는 8차 비구면계수를 나타내고, 그리고
A10는 10차 순서의 비구면계수를 나타낸다.
[수치 실시예 1]
도 8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제 1의 수치 실시예에 따른 정립 광학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제 1의 수치 실시예의 렌즈 구성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무한대의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일 때의, 도 8의 렌즈 구성에서 발생한 수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1.2m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일 때의, 도 8의 렌즈 구성에서 발생한 수차를 도시한 것이다.
표 1은 제 1의 수치 실시예의 수치 데이터를 나타낸다. D7(14.94;26.89)은 무한대의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일 때 및 1.2m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일 때의, 후방 렌즈 군(22)의 물체쪽 최측면 및 제 2 프리즘(30)의 출사면간의 거리(d7)(도 8)를 나타낸다. D9(24.80; 12.85)는 무한대의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일 때 및 1.2m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일 때의, 후방 렌즈 군(22)의 상쪽 최측면 및 접안 광학계(50)의 물체쪽 최측면간의 거리(d9)(도 8)을 나타낸다.
면 번호 r d Nd v
1 31.28 1.56883 56.3
2 1.00 - -
3 59.264 3.87 1.51633 64.1
4 -26.478 1.60 1.62004 36.3
5 -67.614 3.00 - -
6 54.21 1.51633 64.1
7 D7 - -
8 -14.300 8.00 1.78472 25.7
9 -16.720 D9 - -
10* -250.000 5.50 1.49176 57.4
11 -27.363 0.50 - -
12 116.372 1.50 1.84666 23.8
13 24.611 10.96 1.58913 61.2
14 -24.611 0.50 - -
15 23.839 5.61 1.58913 61.2
16 -150.000 - - -
*는 광축에 관하여 회전 대칭 비구면을 나타낸다.비구면 데이터(표시하고 있지 않는 비구면 계수는 0(0.00)이다.)
면 번호 K A4 A6 A8
10 0.00 -0.81400x10-4 -0.25300x10-6 0.11400x10-8
ω = 8°D7 = 14.94 26.89D9 = 24.80 12.85
[수치 실시예 2]
도 11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제 2의 수치 실시예에 따른 정립 광학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두 번째 수치 실시예의 렌즈 구성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무한대의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일 때의, 도 11의 렌즈 구성에서 발생한 수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1.5m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일 때의, 도 11의 렌즈 구성에서 발생한 수차를 도시한 것이다.
표 2는 제 2의 수치 실시예의 수치 데이터를 나타낸다. D7(14.18;27.10)은 무한대의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일 때 및 1.5m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일 때의, 후방 렌즈 군(22)의 물체쪽 최측면 및 제 2 프리즘(30)의 사출면간의 거리(d7)(도 8)를 나타낸다. D9(20.95;8.03)는 물체 거리가 무한대일 때 포커싱되는 때 및 물체거리가 1.5m일때에 포커싱되는 때의, 후방 렌즈 군(22)의 상쪽 최측면 및 접안 광학계(50)의 물체쪽 최측면간의 거리(d9)(도 8)를 나타낸다.
면 번호 r d Nd v
1 31.28 1.56883 56.3
2 1.00 - -
3 47.000 3.87 1.51633 64.1
4 -29.750 1.60 1.62004 36.3
5 -92.300 3.00 - -
6 54.21 1.51633 64.1
7 D7 - -
8 -16.408 8.00 1.78472 25.7
9 -18.244 D9 - -
10* -60.000 5.50 1.49176 57.4
11 -18.140 0.50 - -
12 1.50 1.84666 23.8
13 24.140 10.70 1.58913 61.2
14 -24.140 0.50 - -
15 20.388 6.25 1.58913 61.2
16 -150.000 - - -
*는 광축에 관하여 회전 대칭 비구면을 나타낸다.비구면 데이터(표시하고 있지 않는 비구면 계수는 0(0.00)이다.)
면 번호 K A4 A6
10 0.00 -0.12800x10-3 0.13000x10-6
ω = 8°D7 = 14.18 27.10D9 = 20.95 8.03
[수치 실시예 3]
도 14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제 3의 수치 실시예에 따른 정립 광학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제 3의 수치 실시예의 렌즈 구성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무한대의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일 때의, 도 14의 렌즈 구성에서 발생한 수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1.5m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일 때의, 도 14의 렌즈 구성에서 발생한 수차를 도시한 것이다.
표 3은 제 3의 수치 실시예의 수치 데이터를 나타낸다. D7(13.89;27.21)은 무한대의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일 때 및 1.5m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일 때의, 후방 렌즈 군(22)의 물체쪽 최측면 및 제 2 프리즘(30)의 출사면간의거리(d7)(도 8)를 나타낸다. D9(19.48;6.16)는 무한대의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일 때 및 1.5m 거리에서 물체가 포커스 상태일 때의, 후방 렌즈 군(22)의 상쪽 최측면 및 접안 광학계(50)의 물체쪽 최측면간의 거리(d9)(도 8)를 나타낸다.
면 번호 r d Nd v
1 31.28 1.56883 56.3
2 3.00 - -
3 48.796 3.87 1.51633 64.1
4 -28.615 1.60 1.62004 36.3
5 -84.842 4.00 - -
6 54.21 1.51633 64.1
7 D7 - -
8 -17.193 8.00 1.78472 25.7
9 -18.658 D9 - -
10* -120.000 6.00 1.49176 57.4
11 -19.212 0.96 - -
12 1.50 1.84666 23.8
13 25.307 8.70 1.58913 61.2
14 -25.307 1.04 - -
15 20.414 5.80 1.58913 61.2
16 -100.000 - - -
*는 광축에 관하여 회전 대칭 비구면을 나타낸다.비구면 데이터(표시하고 있지 않는 비구면 계수는 0(0.00)이다.)
면 번호 K A4
10 0.00 -0.94605x10-4
ω = 8°D7 = 13.89 27.21D9 = 19.48 6.16
표 4는 각각의 수치 실시예에 대하여 각각의 조건식의 수치를 나타낸다.
수치 실시예 1 수치 실시예 2 수치 실시예 3
조건식(1) θ= 48 θ= 48 θ=48(실시예 1~4)
조건식(2) ω= 8.0 ω= 8.0 ω=8.0
조건식(3) α= 24 α= 24 α=24(실시예 5~6)
조건식(4) 0.31 0.36 0.40
상기 설명에 따라, 광 시야 및 저 배율을 가지는 소형의 정립 광학계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입사면과 적어도 2개의 반사면을 가지는 제 1 프리즘, 대물 광학계의 전방 렌즈 군, 입사면과 적어도 2개의 반사면을 가지는 제 2 프리즘, 상기 대물 광학계의 후방 렌즈 군, 시야 조리개, 및 접안 광학계를 물체측에서 부터 이러한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리즘과 제 2 프리즘중의 어느 한 편의 하나의 반사면은, 루프 미러 면으로 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프리즘은 다음의 조건식,
    sin(θ-ω') > 1/n
    6°< ω < 16°
    를 만족하고, 여기에서
    θ는 상기 제 1 프리즘의 상기 입사면 및 제 1 반사면 사이의 각도,
    ω는 실 시야 ω (절반양),
    ω는 실 시야 ω (절반양)의 광선 및 상기 제 1 프리즘 내에서의 광축 사이의 각도, 및
    n은 상기 제 1 프리즘의 굴절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립 관찰 광학계.
  2. 입사면과 적어도 2개의 반사면을 가지는 제 1 프리즘, 대물 광학계의 전방렌즈 군, 입사면과 적어도 2개의 반사면을 가지는 제 2 프리즘, 상기 대물 광학계의 후방 렌즈 군, 시야 조리개, 및 접안 광학계를 물체측에서 부터 이러한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리즘과 상기 제 2 프리즘중의 어느 한 편의 하나의 반사면은 루프 미러 면으로 되고,
    상기 제 1 프리즘의 상기 입사면과 제 2 반사면은 동일면 상에 존재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프리즘은 다음의 조건식,
    sin(2α-ω') > 1/n
    6°< ω < 16°
    을 만족하고, 여기에서
    α는 상기 제 1 프리즘의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제 1 반사면 사이의 각도,
    ω는 실 시야 ω (절반양),
    ω'는 실 시야 ω (절반양)의 광선 및 상기 제 1 프리즘 내에서의 광축 사이의 각도, 및
    n은 상기 제 1 프리즘의 굴절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립 관찰 광학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 광학계의 상기 후방 렌즈 군과 상기 접안 광학계의 적어도 한 편은 초점 조절 렌즈 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립 관찰광학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 광학계의 상기 후방 렌즈 군과 상기 접안 광학계의 적어도 한 편은 초점 조절 렌즈 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립 관찰 광학계.
  5. 제 1 프리즘, 대물 광학계의 전방 렌즈 군, 제 2 프리즘, 상기 대물 광학계의 후방 렌즈 군, 시야 조리개, 및 접안 광학계를 물체측에서 부터 이러한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대물 광학계의 상기 후방 렌즈 군은 초점 조절 렌즈 군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대물 광학계는 다음 조건식,
    0< f0/f2 < 0.5
    을 만족하고, 여기에서
    f2는 상기 대물 광학계의 상기 후방 렌즈 군의 초점 거리, 및
    f0는 상기 대물 광학계 전체의 초점 거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립 관찰 광학계.
KR1020020076476A 2001-12-04 2002-12-04 정립 관찰 광학계 KR100626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70584A JP4083419B2 (ja) 2001-12-04 2001-12-04 正立観察光学系
JPJP-P-2001-00370584 2001-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654A true KR20030045654A (ko) 2003-06-11
KR100626551B1 KR100626551B1 (ko) 2006-09-22

Family

ID=1917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476A KR100626551B1 (ko) 2001-12-04 2002-12-04 정립 관찰 광학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47482B2 (ko)
JP (1) JP4083419B2 (ko)
KR (1) KR100626551B1 (ko)
CN (1) CN1244832C (ko)
TW (1) TWI2352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0781B2 (ja) 2003-01-17 2007-05-30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ファインダの投光装置
JP2004219908A (ja) 2003-01-17 2004-08-05 Pentax Corp ファインダの投光装置
US6941069B2 (en) 2003-01-17 2005-09-06 Pentax Corporation Light-projecting device
US7046925B2 (en) 2003-01-17 2006-05-16 Pentax Corporation Superimpose-plate for view finder
CN106154525A (zh) * 2015-04-20 2016-11-23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光学***
CN111025600B (zh) * 2019-12-31 2021-11-30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长焦光学成像***及变焦摄像装置
WO2023229136A1 (ko) * 2022-05-26 2023-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59846B (ko) 1992-09-11 1995-10-11 Canon Kk
US6867916B2 (en) * 1995-01-11 2005-03-15 Canon Kabushiki Kaisha Viewfinder optical system
JPH09204573A (ja) 1996-01-25 1997-08-05 Sanden Corp 自動販売機
JPH10282422A (ja) 1997-04-01 1998-10-23 Minolta Co Ltd 実像式ファインダ光学系
JP4081178B2 (ja) * 1998-05-19 2008-04-2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結像光学系
US6384969B1 (en) 1999-10-28 2002-05-0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Telescope and binoculars
TW463057B (en) * 1999-11-10 2001-11-11 Ibm Compact illumination system providing improved field of view for virtual display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23149A (zh) 2003-06-11
TW200301366A (en) 2003-07-01
US6847482B2 (en) 2005-01-25
JP2003172875A (ja) 2003-06-20
KR100626551B1 (ko) 2006-09-22
US20030107801A1 (en) 2003-06-12
JP4083419B2 (ja) 2008-04-30
CN1244832C (zh) 2006-03-08
TWI235246B (en)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3858A (en) Reflecting optical system and optical apparatus
US6097550A (en) Optical system and image taking apparatus
US6078411A (en) Real-image finder optical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5946505A (en) Finder system for a single lens reflex camera
JP2000199852A (ja) 軸外し反射光学系
US6919998B2 (en) Observation optical system and observation device
KR100626551B1 (ko) 정립 관찰 광학계
JP3306351B2 (ja) 実像式変倍ファインダー
US5557463A (en) Eyepiece
KR100188064B1 (ko) 실상식 변배 파인더
US6229653B1 (en) Variable-power eyepiece optical system
JPH0318162B2 (ko)
EP0611976B1 (en) Keplerian zoom finder optical system
US5815312A (en) Real image type finder
US6493150B2 (en) Real image mode variable magnification finder
JP2701445B2 (ja) ズーム光学系
US4753523A (en) Low magnification projection objective lens
US6362924B2 (en) Real-image-type zoom finder
US6529330B1 (en) Observation optical system and optical device having the same
US6865032B2 (en) Real image type finder optical system, and ima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H1048702A (ja) ケプラー式変倍ファインダー
JPH1172706A (ja) 実像式ズームファインダ
JP3723640B2 (ja) 望遠鏡光学系
US20060023303A1 (en) Real-image finder optical system
JPH08248316A (ja) 実像式ズームファイン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