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2613A -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 Google Patents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2613A
KR20030032613A KR1020010064530A KR20010064530A KR20030032613A KR 20030032613 A KR20030032613 A KR 20030032613A KR 1020010064530 A KR1020010064530 A KR 1020010064530A KR 20010064530 A KR20010064530 A KR 20010064530A KR 20030032613 A KR20030032613 A KR 20030032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atrix
transdermal patch
drug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감성훈
지상철
박은석
김종하
이규현
Original Assignee
(주) 에프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프디엘 filed Critical (주) 에프디엘
Priority to KR1020010064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2613A/ko
Publication of KR20030032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6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468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having a nitrogen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e.g. clebopride, fentany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에 관한 것으로, 경피흡수촉진제로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를 필수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는 약물보호층, 유효약물 함유 매트릭스층 및 피부 부착전 제거되는 박리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트릭스층은 유효약물 1~25 중량%, 감압점착제 40~95 중량% 및 경피흡수촉진제로서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 1~30 중량%를 함유한다.
또한, 상기 매트릭스층에 용해보조제를 30 중량% 까지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Transdermal delivery patch of matrix type}
본 발명은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약물투여의 효율성과 안전성 및 환자의 편이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되어오고 있다.
종래에는 주로 경구투여나 주사제로 약물을 투여하여 왔으나, 경구투여의 경우 약제의 초회통과효과(First-pass effect)에 의해 간장에서 대사되기 쉬운 약물은 전신순환계에 도달하기 전에 불활성화 되는 경우가 있고, 체내 흡수율이 일정치 않으며, 약물의 체내 반감기가 짧은 경우 투여 횟수를 빈번히 하여야 하므로, 장기간 투여하게 되면 위장장애의 부작용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사제의 경우 주사시의 동통이나 이물질 혼입 가능성 등의 단점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경피투여제로 제형화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경피투여제로는 바르는 국소작용제제(Topical dosage form)와 붙이는 패취제가 있다. 그러나 국소작용제제는 유효 조성성분을 밀봉시켜주는 약물보호층이 없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도포되므로 사용자의 옷에 약물이 묻거나 일회 도포시 적용량이 일정하지 않고, 하루에 여러번 도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반하여, 패취제형은 부착시 1매의 적용량이 일정하며 약물이 옷에 묻거나 하루에 여러번 부착해야하는 불편한 점을 갖고 있지 않다.
패취제형은 크게 약물 저장고 형태(Reservoir type)와 매트릭스 형태(Matrix type)로 나누어 진다. 그중 매트릭스 형태의 패취제는 사용되어지는 약물보호층 재질과 점착성분의 성질에 따라 신체 어떤 부위라도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최근 이에 대한 연구가 활기를 띄고 있다.
매트릭스 형태의 패취제를 비롯한 대부분의 패취제는 약물이 피부 각질을 통과하기 어려운 경우 약물의 흡수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경피흡수촉진제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경피흡수촉진제는 피부에 자극이나 손상을 입히지 않고 피부의 흡수장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약물의 피부투과를 향상시킨다. 현재 사용되거나 보고된 경피흡수촉진제로는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등의 지방산, 트윈 등의 계면활성제,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콜 또는 글리콜, 멘톨 등의 테르펜이 있다.
미국특허 제 4,933,184호에는 경피흡수촉진제로 휘발성 멘톨 유도체를 사용하므로써 피부투과 효과가 촉진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휘발성 멘톨 유도체는 피부 자극성이 높으며, 휘발성 때문에 제조 공정시 온도를 50~60℃ 정도로만 유지해야하므로 제조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조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999-29556호에서는 패취제의 조성성분들을 휘발성분과 비휘발성분으로 나누어 도포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즉, 약제조성물중 비휘발성 성분만을 선택하여 약물보호층과 박리층의 한쪽면에 도포하고 고온에서 건조시켜 점착층을 형성한 후, 건조된 점착층 위에휘발성분인 멘톨을 함유한 고점도 용액을 도포하여 상온에서 점착층으로 스며들게 하여 휘발성 경피흡수촉진제층을 형성하고, 휘발성 경피흡수촉진제층 상부에 점착층을 다시 적층하여 매트릭스형 경피투여제를 제조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공정은 매트릭스형 경피투여제의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시켰으나, 공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나타난다.
한편,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는 화장료 조성물등 외용제제에 사용하여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201424호에서는 약물을 액화시킴으로써 흡수를 촉진시키는 용해제로서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중 하나인 3-L-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사용하였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0-76279호에서는 3-L-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가소제로 사용하였다.
국제특허공개 제 00/62737호, 제 00/42983호에서는 또다른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중 하나인 멘틸 락테이트를 화장료 조성물에 냉감제로 사용하였으며, 국제특허공개 제 96/14840호와 제 97/42944호에서는 멘틸락테이트를 경피 통증을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였다.
미국특허 제 5,713,131호에서는 또다른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중 하나인 멘틸 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를 면도후 사용되는 냉감제로 사용하였고, 영국특허 제 1,567,496호에서는 피부보호 화장료 조성물, 국제특허공개 제 00/16738호에서는 벌레구충제, 미국특허 제 6,048,549호에서는 피부자극감소제 조성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들은 이미 외용제제로서 피부에 성공적으로 사용된바 있으므로, 경피흡수촉진제로서의 휘발성 멘톨 유도체가 가진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체수단으로서의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경피흡수촉진제로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를 포함한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에 관한 것으로, 경피흡수촉진제로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로서 멘틸 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 3-L-멘톡시프로판-1,2-디올, 멘틸 락테이트, 멘틸 에톡시아세테이트 및 멘톤 글리세린아세탈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는 약물보호층, 유효약물 함유 매트릭스층 및 피부 부착전 제거되는 박리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트릭스층은 경피흡수촉진제로서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 1~30 중량%, 감압점착제 40~95 중량% 및 유효약물 1~25 중량%를 함유한다.
또한, 상기 매트릭스층에 용해보조제를 30 중량% 까지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중 매트릭스층을 구성하는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피흡수촉진제로 사용되는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는 조성성분중에 1~30 중량% 범위내에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는 약물의 피부각질층 통과를 도와주고, 세포간 지방층을 가역적으로 파괴함으로써 약물의 세포내 침투를 증진시킨다. 경피흡수촉진제가 1 중량% 미만일 경우 경피 흡수촉진 작용이 경미하여 유효약물의 피부각질 통과를 촉진시킬 수 없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패취제의 접착력을 현저하게 저하시켜 안정적인 제제를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의 경피흡수촉진제는 멘틸 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 3-L-멘톡시프로판-1,2-디올, 멘틸 락테이트, 멘틸 에톡시아세테이트 및 멘톤 글리세린아세탈 등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트릭스층 구성에 사용되는 감압점착제는 조성성분중에 40~95 중량% 범위내에서 사용하며, 약한 압력을 가해 피부에 부착시키고 제거될 때 잔류물을 남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감압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감압점착제, 고무엘라스토머 및 실리콘계 감압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감압점착제로서는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또는 아크릴레이트와 비닐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카르복실기와 하이드록실기를 관능기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예컨대 내쇼날 스타치사의 상품명 : DT-87-4098, 87-2516, 87-2100, 87-2052 등). 고무엘라스토머로서는 폴리이소부틸렌(예컨대 내쇼날 스타치사의 상품명 : DT-87-6430, 엑손케미칼사의 상품명 : Vistanex 등),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예컨대 일본합성고무사의 상품명 : JSR5000, JSR5100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계 감압점착제로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예컨대 다우코닝사의 상품명 : X7-290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트릭스층 구성에 사용되는 유효약물은 조성성분중에 1~25 중량%범위내에서 사용한다. 만약 유효약물의 함유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약물농도의 감소로 피부흡수율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반면에 25 중량%를 초과하여 과량 함유되면 패취내 약물의 용해도 부족으로 약물이 점착층 밖으로 석출된다.
상기 유효약물은 해열, 진통, 소염작용을 나타내는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플르르비프로펜, 피록시캄, 케토롤락, 디클로페낙, 메페나믹산, 살리실산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부신피질 호르몬 계열의 덱사메타손, 히드로코티손, 프레드니소론, 베타메타손,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홀르오시놀론 아세토니드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베타 차단제의 프로프라눌룰, 아테놀룰, 핀돌룰, 티모롤, 부프라놀롤, 메토프로롤, 알프레놀롤, 옥스프레놀롤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칼슘 차단제의 니페디핀, 베라파밀, 딜티아젬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기타 심혈관계 약물인 클로니딘, 에날라프릴, 프라조신, 니트로글리세린, 이질산이소소르비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 에치닐에스트라디올, 프로제스테론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남성호르몬의 테스토스테론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국소마취제인 테트라케인, 디부케인, 리도케인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항히스타민제인 디펜히드라민, 말레인산 디펜히드라민, 클로르페니라민, 케토티펜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합성마약인 부프레노핀, 펜타닐, 수펜타닐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기관지확장제인 살부타몰이나 터부탈린; 금연보조제로 이용되는 니코틴 등 기타 패취제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대부분의 약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트릭스층내의 유효약물의 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용해보조제를 조성성분중에 30 중량% 까지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용해보조제는 약물의 농도가 높을 경우, 건조후 패취제에 약물 결정이 생성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해보조제로는 트리아세틴, 이소프로필 알콜,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에틸에탄올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N-메틸 모포린 및 벤즈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을 1종 또는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를 구성하고 있는 약물보호층으로는 종래의 패취제제에서 이용되고 있는 약물보호층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부직포, 면포, 직포등의 공기나 수분의 투과성이 좋은 재질이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알루미늄 처리된 폴리에틸렌 등의 단층 필름 또는 다층의 라미네이트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부직포나 면포는 수분투과력이 없는 플라스틱 필름과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를 구성하고 있는 박리층은 패취제제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콘 코팅된 약물 불투과성 제거용 필름 또는 종이 박리지를 사용하며, 필름의 소재는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이 사용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이들 필름을 적층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약물 조제탱크에 유효약물, 감압점착제 용액, 경피흡수촉진제 및 용해보조제를 혼합하여 모든 성분들이 균일하게 섞이도록 교반한 후, 실리콘코팅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종이 박리지위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고 건조시킨다. 이때 건조기의 건조온도는 (1존) 30~40℃, (2존) 40~60℃, (3존) 80~100℃, (4존) 100~120℃로 한다. 처음부터 너무 높은 온도로 건조시키면 용매가 빨리 증발되어 구멍이 생기므로 이를 막기 위한 것이다. 건조후 PET 필름 또는 부직포로 라미네이트하여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는 투여량에 있어서 환자의 증상, 연령, 체중, 성별 등에 따라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제조
150ℓ 조제탱크에 아크릴계 감압점착제(DT 87-2852)를 넣고, 펜타닐을 가하여 약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 후, 멘틸 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와 프로필렌글리콜을 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였다. 상기 약물함유 점착용액을 35 메쉬 체로 여과하고 기포를 제거한 후 도포건조기의 액댐에 가하였다. 액댐에 가한 약물함유 점착용액을 실리콘코팅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400㎛의 두께로 코팅하였다. 코팅된 약물함유 점착용액을 7 m/min의 속도로 건조시켰다. 이때 건조기의 건조온도는 (1존) 30℃, (2존) 40℃, (3존) 80℃, (4존) 100℃로 하였다.
건조 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라미네이트하여 권취하였다.
최종 생성된 매트릭층의 조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펜타닐 5 중량%
아크릴계 감압점착제(DT 87-2852) 85 중량%
멘틸 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 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5 중량%
실시예 2 :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제조
150ℓ 조제탱크에 아크릴계 감압점착제(DT 87-6430)를 넣고, 디클로페낙디에틸암모늄을 가하여 약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 후, 멘틸 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와 프로필렌글리콜을 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였다. 상기 약물함유 점착용액을 35 메쉬 체로 여과하고 기포를 제거한 후 도포건조기의 액댐에 가하였다. 액댐에 가한 약물함유 점착용액을 종이 박리지위에 500㎛의 두께로 코팅하였다. 코팅된 약물함유 점착용액을 3 m/min의 속도로 건조시켰다. 이때 건조기의 건조온도는 (1존) 40℃, (2존) 60℃, (3존) 100℃, (4존) 120℃로 하였다.
건조 후 부직포로 라미네이트하여 권취하였다.
최종 생성된 매트릭층의 조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디클로페낙디에틸암모늄 5 중량%
아크릴계 감압점착제(DT 87-6430) 75 중량%
멘틸 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 1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0 중량%
실시예 3 :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제조
150ℓ 조제탱크에 폴리이소부틸렌계 감압점착제(DT 87-4098)를 넣고, 인도메타신을 가하여 약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 후, 멘틸 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와 프로필렌글리콜을 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였다. 상기 약물함유 점착용액을 35 메쉬 체로 여과하고 기포를 제거한 후 도포건조기의 액댐에 가하였다. 액댐에 가한 약물함유 점착용액을 종이 박리지위에 300㎛의 두께로 코팅하였다. 코팅된 약물함유 점착용액을 10 m/min의 속도로 건조시켰다. 이때 건조기의 건조온도는 (1존) 35℃, (2존) 50℃, (3존) 90℃, (4존) 110℃로 하였다.
건조 후 부직포로 라미네이트하여 권취하였다.
최종 생성된 매트릭층의 조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인도메타신 5 중량%
폴리이소부틸렌계 감압점착제(DT 87-4098) 75 중량%
멘틸 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 1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5 중량%
실험예 1 : 피부투과도 측정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를 사용하여, Sprague-Dawley계 쥐(rat) 피부에 피부 투과시험을 행하였다.
1) 쥐 피부의 적출
체중 250±20g의 웅성 Sprague-Dawley계 쥐를 에테르로 마취시킨 후, 등쪽의 털을 전기제모기(TGC Inc., Model 900, Japan)로 제거하고 3㎝ ×3㎝의 면적으로 피부를 적출하였다. 적출한 피부가 상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피하지방을 제거하고 이를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20℃에서 유리판에 잘 펴서 오염이 되지 않도록 보관하였다. 보관기간은 3일을 넘기지 않았다.
2) 피부투과도 측정
적출된 쥐의 피부를 상온에서 녹인 후 생리식염수에 30분 정도 적신 다음 프란츠 확산셀(Franz diffusion cell)에 장착하고, 셀을 확산셀 드라이브 콘솔(diffusion cell drive console; Fine Scientific Instrument, Model FCD8-900A)에 장착한 후, 항온순환펌프(Fine Scientific Instrument, Model FT-101)를 이용하여 리셉터층의 온도를 37±0.5℃로 유지하면서, 스타-헤드 마그네틱바(star-head magnetic bar)를 이용하여 600 rpm으로 일정하게 회전시켰다.
리셉터층으로 0.1M pH 7.2 인산염완충액을 이용하였으며, 리셉터층 부피는 11.5㎖, 리셉터층과 접촉하는 피부의 면적은 1.77㎠ 였다.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를 피부의 표면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 점착시켰다. 점착한 후 1, 2, 4, 6, 8, 10, 24시간째에 0.2㎖의 리셉터층을 샘플링 포트로부터 마이크로시린지를 사용하여 채취한 후,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약물의 농도를 측정하고, 평형상태에서의 피부투과속도를 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경피흡수촉진제만 배합하지 않고, 상기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으로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를 제조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피부투과속도(㎍/㎠/hr)
실시예 1 3.28±0.53
실시예 2 2.35±0.74
실시예 3 1.83±0.02
대조군 1 1.21±0.45
대조군 2 1.03±0.55
대조군 3 0.82±0.02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를 경피흡수촉진제로 포함한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가, 경피흡수촉진제를 포함하지 않은 대조군 1~3의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에 비하여 피부투과 속도가 현저히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피부 자극성 측정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를 사용하여, 토끼 피부에 1차 자극성 시험을 하였다.
체중 2.5~3.5㎏의 성숙한 백색토끼 6마리의 등쪽 털을 전기제모기(TGC Inc., Model 900, Japan)로 가로 세로 약 10㎝ 되도록 제거하였다.
제모된 토끼의 등피부를 좌우로 나누어 왼쪽을 투여구획, 오른쪽을 대조구획으로 하여 건강피부 또는 찰과피부가 서로 대각선으로 분포하도록 구분하여 2.5㎝ ×2.5㎝의 건강피부 2개소와 찰과피부 2개소로 하였다.
찰과피부는 주사기 바늘 끝을 이용하여 표피는 손상되나 진피는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피가 나지 않을 정도로 찰과상을 입혀서 만들었다.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를 상기 제모된 토끼의 등부위 피부에 첩부하고, 첩부후 24시간 및 48시간의 홍반과 부종에 관하여 피부자극 판정기준에 따라 판정하고, 얻어진 양 스코어의 합계를 각 시간의 자극 스코어로 하였으며, 각 시간의 자극 스코어의 평균치를 일차피부자극지수(PII치)로 하였다.
비교 시료로는 디클로페낙디에틸암모늄 5 중량%, 아크릴계 감압점착제(DT 87-6430) 75 중량%, 멘톨 10 중량% 및 프로필렌글리콜 10 중량%를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피부자극성(PII치)
실시예 1 0.0
실시예 2 0.0
실시예 3 0.0
비교 시료 1.0
※ 피부자극 판정기준
0 : 홍반, 부종 - 없음 1 : 극히 가벼운 홍반, 부종
2 : 분명한 홍반, 부종 3 : 중간 정도에서 강한 홍반, 부종
4 : 선홍색의 강한 홍반, 부종
※ 일차피부 자극지수(PII치)
0.0 ~ 0.5 : 비자극성, 0.6 ~ 2.0 : 약한 자극성
2.1 ~ 5.0 : 중등도 자극성, 5.1 ~ 8.0 : 강한 자극성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는 피부 자극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를 함유하는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는 제조시 고온에서 단시간에 건조하므로써 제조공정을 크게 단축시켜 생산속도를 빠르게 하는 동시에, 유효 약물의 피부투과성이 우수하고, 피부자극성이 낮은 효과가 있으며, 우수한 경시안정성을 나타내는 효과도 있다.

Claims (10)

  1. 약물보호층, 유효약물 함유 매트릭스층 및 피부 부착전 제거되는 박리층으로 이루진 경피투여 패취제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층은 경피흡수촉진제로서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 감압점착제 및 유효약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층은 경피흡수촉진제로서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 1~30 중량%, 감압점착제 40~95 중량% 및 유효약물 1~25 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층 구성에 사용되는 경피흡수촉진제는 멘틸 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 3-L-멘톡시프로판-1,2-디올, 멘틸 락테이트, 멘틸 에톡시아세테이트 및 멘톤 글리세린아세탈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층 구성에 사용되는 감압점착제는 아크릴계 감압점착제, 고무엘라스토머 및 실리콘계 감압점착제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매트릭스층 구성에 사용되는 약물은 해열, 진통, 소염작용을 나타내는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플르르비프로펜, 피록시캄, 케토롤락, 디클로페낙, 메페나믹산, 살리실산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부신피질 호르몬 계열의 덱사메타손, 히드로코티손, 프레드니소론, 베타메타손,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홀르오시놀론 아세토니드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베타 차단제의 프로프라눌룰, 아테놀룰, 핀돌룰, 티모롤, 부프라놀롤, 메토프로롤, 알프레놀롤, 옥스프레놀롤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칼슘 차단제의 니페디핀, 베라파밀, 딜티아젬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기타 심혈관계 약물인 클로니딘, 에날라프릴, 프라조신, 니트로글리세린, 이질산이소소르비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 에치닐에스트라디올, 프로제스테론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남성호르몬의 테스토스테론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국소마취제인 테트라케인, 디부케인, 리도케인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항히스타민제인 디펜히드라민, 말레인산 디펜히드라민, 클로르페니라민, 케토티펜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합성마약인 부프레노핀, 펜타닐, 수펜타닐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기관지확장제인 살부타몰이나 터부탈린; 금연보조제로 이용되는 니코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용해보조제를 30 중량% 까지 추가로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보조제가 트리아세틴, 이소프로필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에틸에탄올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N-메틸 모포린 및 벤즈암모늄 클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8. 경피흡수촉진제로서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 1~30 중량%, 감압점착제 40~95 중량% 및 유효약물 1~25 중량%를 혼합하여 모든 성분들이 균일하게 섞이도록 교반한 후, 실리콘코팅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종이 박리지위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고 건조시킨 후, PET 필름 또는 부직포로 라미네이트하여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를 제조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용해보조제를 30 중량% 까지 추가로 더 포함하여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를 제조하는 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건조온도는 (1존) 30~40℃, (2존) 40~60℃, (3존) 80~100℃, (4존) 100~120℃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10064530A 2001-10-19 2001-10-19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KR20030032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530A KR20030032613A (ko) 2001-10-19 2001-10-19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530A KR20030032613A (ko) 2001-10-19 2001-10-19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613A true KR20030032613A (ko) 2003-04-26

Family

ID=2956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530A KR20030032613A (ko) 2001-10-19 2001-10-19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26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768B1 (ko) * 2008-01-24 2010-04-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2제식 유효성분 피부전달 시스템
KR20150032298A (ko) * 2012-06-20 2015-03-25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경피 흡수 촉진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첩부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768B1 (ko) * 2008-01-24 2010-04-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2제식 유효성분 피부전달 시스템
KR20150032298A (ko) * 2012-06-20 2015-03-25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경피 흡수 촉진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첩부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4573B1 (de) Pflaster mit hohem Gehalt an weichmachenden Inhaltsstoffen
JP2604097B2 (ja) 皮膚浸透増強剤としてソルビタンエステルを用いた経皮的に薬物を投与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hien Development of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s
JP2550441B2 (ja) 皮膚透過性促進組成物
KR100209469B1 (ko) N-치환-o-톨루이딘유도체로 이루어진 약용배합제 및 경피흡수형 제제
JP2660839B2 (ja) 局所塗布用浸透促進製薬組成物
KR101000945B1 (ko) 매트릭스형 경피투여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2512600A (ja) 経皮治療製剤
JPH09501398A (ja) 活性成分パッチ
KR19990007786A (ko) 경피 침투 강화제로써 트리아세틴
EP1225951A2 (en) A dual adhesive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PT100502A (pt) Composicoes farmaceuticas para aumentar a capacidade de permeacao na pele utilizando monolinoleato de glicerol
Pawar et al. Recent advancements in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KR950006217B1 (ko) 니코란딜 외용제
JPH11222443A (ja) 経皮吸収促進組成物および経皮吸収製剤
KR20030032613A (ko) 매트릭스형 경피투여 패취제
JPH07103016B2 (ja) 貼付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68123A (ja) 局所麻酔用貼付剤
JP2000501718A (ja) 皮膚塗布用の表面安定化された調合薬
KR100552649B1 (ko) 펠비낙 함유 소염진통용 플라스터
JP3461401B2 (ja) 経皮投与用テープ剤
KR100552651B1 (ko)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Kakar et al. Transdermal drug delivery as a boon
Shinde et al. REVIEW OF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JPH08113532A (ja) 硬膏剤及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