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6251A - 부품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6251A
KR20030026251A KR1020027017466A KR20027017466A KR20030026251A KR 20030026251 A KR20030026251 A KR 20030026251A KR 1020027017466 A KR1020027017466 A KR 1020027017466A KR 20027017466 A KR20027017466 A KR 20027017466A KR 20030026251 A KR20030026251 A KR 20030026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tape
base tape
component carrier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223B1 (ko
Inventor
엔도신이치로
안도다카시
후지와라히로유키
나가사와유지
곤노히로노리
이마가와히로아키
히라이와타루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6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S156/934Apparatus having delaminating means adapted for delaminating a specified article
    • Y10S156/941Means for delaminating semiconductive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05Delaminating process responsive to feed or shape at dela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44Means bringing discrete articles into assembled relationship
    • Y10T156/1768Means simultaneously conveying plural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and serially presenting them to an assembly s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06Delaminating means responsive to feed or shape at dela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78Delaminating bending means
    • Y10T156/1983Poking delamin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94Means for delaminating from releas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를 공급하는 장치(101)를 제공한다. 부품 캐리어 (102)는 한쪽의 면에 부품(115)을 수용하는 캐비티(116)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106, 107)는, 부품 캐리어의 한쪽 면을 안내한다. 가동 플레이트 (109)는, 제1 및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근방에 위치하여 부품 취출 영역(111)을 형성하는 제1의 위치와,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근방에 위치하는 제2의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한다. 가동 플레이트 (109)는 신장부(112)를 갖는다. 이 신장부(112)는, 가동 플레이트가 제1의 위치에 있을 때, 부품 캐리어의 한쪽 면의 근방에서, 부품 캐리어의 적어도 한쪽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부를 따라 가동 플레이트와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있는 부품 캐리어(102)를 누른다.

Description

부품 공급 장치{PART FEEDER}
도 9는, 회로 형성체 상에 전기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종래의 부품 실장 장치(10)를 나타낸다. 실장 장치(10)는, 전기부품(12)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부(11)와, 부품 공급부(11)로부터 부품(12)을 들어 올려서 그 부품(12)을 회로 형성체 (14) 상에 실장하는 실장 헤드(head)(13)와, 실장 헤드(13)를 어떤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반송시키는 반송 장치(15)와, 실장 헤드(13)에 보관 유지된 부품의 위치(수평 위치와 각도 위치)를 인식하는 인식 장치(16)(카메라)와, 회로 형성체(14)를 부품 실장 장치(10)에 공급해서 그 실장 장치 내에서 지지하는 기판 지지 장치(17)와, 부품 실장 장치(1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를 구비한다.
부품 공급부(11)는 하나 이상의 부품 카세트(cassette)(19)를 지지하고 있다. 각각의 카세트(19)는, 전기 부품을 보관 유지한 테이프가 감긴 부품 공급 릴(reel)(20)을 지지하고 있다. 실장 헤드(13)는, 부품(12)을 흡인해서 보관 유지하는 흡인 노즐(nozzle)[퀼(quill)](21)을 구비한다. 흡인 노즐(21)은 각도(角度) 제어부 (22)와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그 흡인 노즐(21)에 보관 유지된 부품(12)의 각도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도면에 나타내는 Z축에 평행한 수직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반송 장치(15)는, 실장 헤드(3)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X축 반송 유닛(unit)(23)과 Y축 반송 유닛(24)을 갖는다. 회로 형성체(14)는, 부품 실장 장치에 공급되기 전에 이미 하나 이상의 전기부품이 실장된 기판의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이 부품 상에 다른 전기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흡인 노즐(21)에 보관 유지된 부품(12)을 인식하는 인식 장치(16)는, 화상 처리 장치 (2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거기에서 인식 장치(16)로 촬영한 화상은 부품이 흡인 노즐에 적정하게 유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렇게 구성된 부품 실장 장치(10)의 동작에 있어서, 실장되는 부품은 부품 공급부(11)의 카세트(19)에 의해 부품 공급 위치(영역)로 공급된다. 실장 헤드(13)는 부품 공급부 상에서 이동하고, 거기에서 흡인 노즐이 부품(12)을 향해서 하강하여 그 부품을 흡착한다. 이어서, 흡인 노즐(21)은 부품과 함께 상승한다. 그 후, 실장 헤드(13)는 반송 장치(15)에 의해서 소정의 장소로 반송되고, 거기에서 인식 장치(16)에 대향한다. 인식 장치(16)는, 흡인 노즐(21)에 보관 유지된 부품(12)의 화상을 촬영한다. 촬영된 화상은 화상 처리 장치(25)로 송신된다. 화상 처리 장치 (25)는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행하고, 부품의 수평 위치 변위와 각도 변위가 계산되어서 제어부(18)로 송신된다. 계산된 위치 변위량을 이용하여, 제어부(18)는, 회로기판(14)을 향해서 이동 중인 실장 헤드(13)의 자세를 조정한다. 그 결과, 부품 (12)은 회로기판(14) 상에 바르게 배치되고, 그 후, 흡인 노즐(21)의 하강 동작에 의해 기판에 실장된다.
도 10과 도 11은, 부품 카세트(19)를 나타낸다. 도 11에서 가장 적절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12)은, 스트립(strip) 또는 테이프(tape)의 형태를 이룬 부품 캐리어(carrier)(26)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부품 캐리어(26)는, 비교적 큰 두께를 갖는 베이스 테이프(base tape)(28)를 갖는다. 베이스 테이프(28)는, 한쪽의 면에 다수의 캐비티(cavity)(29) 또는 오목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캐비티(29)에 전기부품(12)이 수용되어 있다. 캐비티(29)로부터 부품(12)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캐비티(29)에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베이스 테이프(28)의 상기 한쪽의 면은 거기에 부착한 스트립 형상의 상부 테이프(30)로써 피복되어 있다. 부품 공급부(11)의 동작 중, 상부 테이프(30)는 부품 공급부에 도착하기 직전에 간헐적으로 벗겨지고, 이것에 따라, 흡인 노즐(21)이 캐비티 내의 부품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테이프(28)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퍼포레이션(perforation)(구멍)(31)을 갖는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카세트(19)는, 부품 캐리어(26)의 반송 경로(33)(점선으로 나타냄)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32)을 갖는다. 프레임(32)은, 부품 공급 릴(20)을 탈착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 샤프트(shaft)(34)와,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상부 테이프를 벗겨내고, 흡인 노즐에대하여 부품을 노출시키는 셔터(shutter) 기구(35)와, 테이프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공급 기구(36)와, 권취(卷取) 릴을 구동 회전시키기 위한 릴 구동 기구(38)와, 상부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베이스 테이프를 안내하는 테이프 가이드(tape guide)(39)를 갖는다.
도 13A∼도 13C와 도 14A∼도 1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기구(35)는 고정 가이드(40)를 갖추며, 이 고정 가이드를 따라 이 고정 가이드 아래를 부품 캐리어(26)가 반송된다. 고정 가이드(40)는, 화살표(43)로 나타내는 캐리어 반송 방향을 따라 상류와 하류에 간격을 두어서 배치된 상류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41)와 하류 가이드 플레이트(42)를 가지며, 이들 가이드 플레이트의 사이에 개구부 (44)가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의 형상을 하고 있는 가동(可動) 가이드 플레이트 또는 셔터(45)가, 상류와 하류의 가이드 플레이트(41, 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셔터(45)는, 상류 가이드 플레이트(41) 근방의 제1의 위치와 하류 가이드 플레이트(42) 근방의 제2의 위치와의 사이를 캐리어 반송 방향을 따라서, 또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1의 위치는, 셔터(45)가 부품 들어올림 위치(46)를 개방하여, 이것에 의해 흡인 노즐이 부품에 액세스하는 위치이다. 또한, 제2의 위치는, 셔터(45)가 부품 들어올림 위치(46)를 폐쇄하고, 이것에 의해 흡인 노즐이 부품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위치이다. 그것을 위해서, 셔터(45)는, 공급 기구 (36)(도 12 참조)에 구동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가동 셔터(45)는,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slot)(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슬롯을 통해서, 벗겨진 상부 테이프가 권취 릴(37)을 향해서 인출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 구동 기구(38)는 지지 샤프트(47)를 가지며, 이 지지 샤프트의 주위에 권취 릴(37)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47)는 동작 레버(lever)(48)와 권취 레버(49)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동작 레버 (48)는, 셔터(45)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링키지(linkage)(50)의 일단(一端)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권취 레버(49)는, 그 자유단(自由端)이 바이어스 스프링(bias spring)(51)에 접속 되어 있으며, 레버(47, 48)가 화살표(52)로 나타내는 방향(도면 상의 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일방향 클러치(clutch)(53)가 샤프트(47)와 권취 릴(37)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권취 릴(37)은 도면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레버(48, 49)의 회전에 추종(追從)하지만, 반 시계 회전 방향의 레버의 회전에는 추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동작 레버(48)가 바이어스 스프링 (51)에 대항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권취 릴(37)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벗겨진 상부 테이프를 소정 길이 만큼 권취한다. 한편, 동작 레버(48)가 바이어스 스프링(51)에 의해서 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권취 릴(37)은 회전하는 일없이 멈춘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을 간헐적으로 반송하는 공급 기구(36)는 샤프트(52)를 가지며, 그 샤프트의 주변에 휠 레버(wheel lever)(53)가 고정되어 있다. 휠 레버(53)는, 피봇(pivot)(54)을 통해서 링키지(50)(도 15 참조)의 타단(他端)에 연결되어 있으며, 링키지(50)가 샤프트(54)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휠 레버(53)는 액추에이터(55) 또는 레버를 가지며, 이 액추에이터(55)가 셔터(45)와 걸려 있다. 셔터(45)는, 사이드 플레이트(sideplate)(56)를 갖는다. 사이드 플레이트(56)에는 U자 형상의 노치(notch)(4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치에 액추에이터(55)가 걸려 있다. 따라서, 휠 레버(53)가 회전하면, 셔터 (45)가 캐리어 반송 방향(43)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베이스 테이프를 간헐적으로 반송하기 위해서, 공급 휠(58)과, 복수의 볼트에 의해서 이 공급 휠(58)에 고정된 래치트 휠(rachet wheel)(59)이, 일방향 클러치 (61)를 통해서 샤프트(52)를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일방향 클러치(61)는, 공급 휠(58)과 래치트 휠(59)이 휠 레버(53)의 반 시계 회전 방향 (62)의 회전에만 추종하고, 시계 회전 방향(63)의 회전에 추종하지 않도록 기능한다. 또한, 래치트 휠(59)은 그 외주부(外周部)에 다수의 톱니(64)가 형성되어 있다.
래치트 레버(65)는, 휠 레버(53)에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으며, 래치트 휠(59)의 래치트 톱니(64)에 맞물려 있다. 한편, 스톱 레버(stop lever)(66)는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으며, 래치트 휠(59)의 래치트 톱니(64)에 맞물려, 휠(58)과 휠(59)의 시계 회전 방향의 회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반 시계 회전 방향의 회전을 허가하고 있다. 휠(58)의 회전에 동기하여 베이스 테이프(28)를 반송하기 위해서, 공급 휠(58)에는 그 외주에 다수의 톱니(6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톱니(67)가 베이스 테이프(28)에 형성된 퍼포레이션(31)과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동작할 경우,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48)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권취 릴(37)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해서 벗겨진 상부테이프를 권취한다. 이것과 동시에, 셔터(45)의 슬롯(70) 근방에서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상부 테이프가 소정의 길이로 벗겨진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휠 레버(53)가 화살표(63) 방향으로 회전하고, 부품 캐리어 반송 방향(43)과 반대측으로 셔터(45)를 이동하여, 부품 들어올림 위치(46)에서 부품(12)이 흡인 노즐(21)에 대하여 노출된다. 휠 레버(53)가 화살표(63)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래치트 레버(59)는 래치트 휠(65)의 몇 개의 톱니(64) 위를 이동한다. 이 때, 스톱 레버(66)는 1개의 톱니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한다. 그 때문에, 공급 휠(58)과 함께 래치트 휠(59)은 회전하는 일없이 동일 장소에 멈춘다.
도 15로 돌아가서, 조작 레버(48)가 해방되면, 이 조작 레버(48)는 스프링 (51)의 가세력(加勢力)에 의해서 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키지(50)가 휠 레버(53)를 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휠 레버(53)의 회전에 의해, 래치트 휠(59)의 톱니(64)와 맞물려 있는 래치트 레버(65)가, 래치트 휠(59) 및 공급 휠(58)을 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스톱 레버(66)는 래치트 톱니(64) 위를 이동하여, 래치트 휠(59)의 회전을 허가한다. 또한, 액추에이터(55)의 회전에 의해, 셔터가 화살표(43)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공급 휠(58)이 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퍼포레이션(31)과 톱니 (67)와의 맞물림에 근거하여, 베이스 테이프(28)가 화살표(43)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만큼 이동한다. 그 결과, 후속하는 캐비티(29)와 그 캐비티에 수용되어 있는 부품이 부품 들어올림 위치(46)로 이동한다. 이상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캐리어(26)로 이송되는 부품(12)이 간헐적으로 흡인 노즐(21)로써 들어올려져, 회로 형성체 상에 실장된다.
그런데, 테이프로 공급되는 전기부품의 크기는 여러 갈래에 걸친다. 예를 들면, 비교적 작은 부품은, 1.0mm×O.5mm×O.5mm 또는 0.6mm×O.3mm×O.3mm의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각각의 부품은 안정된 상태(큰 면을 수직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캐비티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러나, 특히 작아서 경량인 부품은, 부품 공급 카세트에 포함되는 구동 기구나 별도의 장치에 포함되는 구동 기구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에 의해서, 캐비티 내에서 튀어 오르거나, 뛰어 돌거나 한다.
그 때문에,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상부 테이프가 벗겨지면, 이 상태에서 상부 테이프를 대신하는 것이 없다면, 부품이 그 큰 면을 수평 방향을 향해서 직립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직립 상태로 된 부품은 회로 형성체 상에 바르게 실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흡인 노즐에 의한 진공 흡인도 어렵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기술이 부품 들어올림 위치의 주위 기구에 대해서 개발되어 왔다. 1개의 예로서는, 도 13A로부터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 부재는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41, 42)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셔터(45)는 가이드 플레이트(41)와 가이드 플레이트(42)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류 측의 가이드 플레이트(41)에 인접하는 제1의 위치와, 하류 측의 가이드 플레이트(42)에 인접하는 제2의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45)가 제1의 위치에 있을 때, 전기부품(도시하지 않음)은 셔터(45)와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42)와의사이에서 노출되고, 흡인 노즐에 의해서 들어 올려진다. 부품의 들어올림 동작이 끝나면, 셔터(45)는,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42)에 인접하는 제2의 위치로 돌아간다. 그 후, 캐리어(26)가 소정의 거리 만큼 전진하고, 후속하는 부품(12)이 부품 들어올림 위치(46)로 이송된다. 이 때,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품은 셔터(45)로써 덮혀져 있으며, 직립 상태로 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45)가 제1의 가이드 플레이트(41)의 근방인 제1의 위치로 이동하고, 흡인 노즐에 의한 부품의 들어올림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있어서, 도 14A로부터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테이프(30)는, 권취 릴의 회전에 동기하여 셔터(45)가 제2의 위치로부터 제1의 위치로 이동할 때에, 베이스 테이프(28)로부터 벗겨진다. 그리고, 셔터(45)가 부품으로부터 멀어지면, 베이스 테이프(28)의 노출되는 부분이 진동을 받는다. 그 때문에, 부품 (12)은 캐비티(29) 내에서 튀어오르거나 뛰어 돌거나 하고, 그것이 흡인 노즐에 의한 후에서의 진공 흡착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연한 베이스 테이프, 예를 들면 0.6mm×O.3mm의 크기의 칩(chip) (0603칩)용의 베이스 테이프의 경우, 도 1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45)가 제l의 위치로부터 제2의 위치로 이동하면, 베이스 테이프(28)의 노출 부분을 끌어들여, 그 부분을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42)와의 사이에 끼워, 부품 캐리어(26)의 반송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게다가, 수많은 연구로부터, 부품 들어올림 위치의 부품에 전달되는 진동은, 베이스 테이프가 공급 휠로부터 떨어진 영역에 있는 제2의 테이프 가이드 근방의베이스 테이프 부분의 변형에 의존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테이프 카세트에서는,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42)는, 맞물림이 벗겨진 베이스 테이프(28)에 작용하는 마찰이 최소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맞물림이 벗겨진 베이스 테이프(28)를 아래쪽으로 향하는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42)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3의 가이드 플레이트(71)는, 공급 휠(58)과의 사이에 비교적 큰 공간(72)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맞물림이 벗겨진 베이스 테이프(28)는 휠(58)의 접선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맞물림이 벗겨져서 구부러진 테이프(28)는 진동을 높이고, 이 높아진 진동이 부품 들어올림 위치에 있는 베이스 테이프(28)의 다른 부분으로 전해져서, 캐비티 내에서 부품을 직립 상태로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부품의 튀어오름을 방지하는 다른 방법이 일본국 특개평9-18648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방법에서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반송 경로의 아래에서, 벗겨냄 위치(벗겨냄 영역)와 들어올림 위치(들어올림 영역)와의 사이의 영역에, 상부 테이프가 벗겨진 부분의 부품을 흡인해서 그 부품을 캐비티 내의 소정의 장소에 보관 유지하기 위해서, 영구자석(75)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진동이나 상부 테이프의 벗겨냄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에 기인하는 부품의 튀어오름이나 캐비티로부터의 낙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회로 형성체에 실장되는 전기부품은, 전극에 자성 재료를 이용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전기부품은 자석에 흡인된다. 그러나, 팔라듐(palladium)이 전극에 도금되어 있을 경우, 또는 부품 자체가 대단히 작은 것인 경우, 부품과 자석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은 극히 작다. 단, 그러한 작은 부품에서도, 자석의 자계(磁界)를, 예를 들면, 100가우스까지 강하게 하면, 자석에 흡인된다.
또한, 자기(磁氣) 흡인력의 존재 하에서도 흡인 노즐(21)이 용이하게 부품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점선으로서 나타내는 스러스트 핀(thrust pin)(밀어올림 핀)(76)이 부품 들어올림 위치(46)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스러스트 핀(76)은, 조작 레버(48)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레버(48)가 도면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러스트 핀(76)이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러스트 핀(76)이 부품의 하면(下面)과 접촉해서 그 부품을 위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자석(75)이 대응하는 부분에는 관통 구멍(7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러스트 핀(76)은 흡인 노즐(21)이 부품(12)을 들어올리기 위해서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구성은 흡인 노즐(21)이 부품(12)을 들어올리기 위해서 더욱 큰 흡인력 F2를 필요로 한다. 환언하면, 자석(75)의 흡인력 F1을 크게 하면, 흡인 노즐(21)에 의한 부품(12)의 들어올림을 어렵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품 들어올림 위치(46)의 주위에 형성되는 자계는, 흡인 노즐(21)에 보관 유지되는 부품의 자세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캐비티 내에 있어서의 부품의 튀어오름에 의해, 부품과 스러스트 핀과의 접점이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 큰 부품은 흡인 노즐에 대하여 바르게 유지되지만, 작은 부품은 적정하지 않은 자세로 흡인 노즐에 힘이 가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자 회로 기판(electric circuit board) 등의 회로 형성체 (circuit substrate)에 실장되는 부품을 부품 실장 장치에 공급하는 부품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도 1C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부품 공급 장치의 부분 평면도.
도 2는, 도 1A∼도 1C에 나타내는 부품 공급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3A∼도 3D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부품 공급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4A~도 4C는, 부품 공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임 차트.
도 5A∼도 5D는, 도 3A∼도 3D에 나타내는 부품 공급 장치의 변형예의 부분 단면도.
도 6A∼도 6D는, 도 3A∼도 3D에 나타내는 부품 공급 장치의 다른 변형예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부품 공급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부품 공급 장치를 동 도면의 화살표 ⅤⅢ방향에서 본 도면.
도 9는, 종래의 부품 실장 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부품 카세트의 사시도.
도 11은, 릴과 그 릴에 감긴 부품 공급 캐리어(테이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부품 카세트의 측면도.
도 13A∼도 13C는, 부품 공급부의 평면도 및 동작 설명도.
도 14A∼도 14D는, 도 13A∼도 13C와 함께 부품 공급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부품 카세트의 부분 측면도.
도 16은, 부품 카세트의 다른 부분 측면도.
도 17은, 부품 공급부의 일부 확대 측면도.
도 18은, 다른 부품 카세트의 측면도.
도 19는, 스러스트 핀을 구비한 부품 공급부의 단면도.
도 20은, 영구자석을 구비한 부품 공급부의 단면도.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부품 공급 장치가 갖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는 그 부품 캐리어의 한쪽 면에 부품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과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의 상기 한쪽 면을 안내하는 것과,
상기 제1과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된 가동 플레이트로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는, 상기 제1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부품 취출 영역을 형성하는 제1의 위치와, 상기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근방에 위치하는 제2의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것과,
상기 가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한쪽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신장부(伸張部)로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1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신장부는, 상기 부품 캐리어의 상기 한쪽 면의 근방에서, 상기 부품 캐리어의 적어도 한쪽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부를 따라 상기 가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신장하고 있는 것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를 공급하는 장치로서,상기 부품 캐리어는 베이스 테이프와 그 베이스 테이프의 한쪽 면에 부착된 상부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테이프는 상기 한쪽 면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테이프는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소정의 길이씩 간헐적으로 벗겨져, 그 결과, 상기 부품은 부품 취출 위치에 있어서 노출되고, 이 노출된 부품에 대하여 부품 취출부가 접근해서 그 부품을 취출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부품 캐리어가 반송되는 통로와,
상기 부품 취출 위치에, 상기 베이스 테이프의 가까이에, 또한 상기 상부 테이프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 장치가 상기 캐비티에 상기 부품을 흡인해서 보관 유지하도록, 상기 전자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형태는,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는 베이스 테이프와 그 베이스 테이프의 한쪽 면에 부착된 상부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테이프는 상기 한쪽 면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테이프는 벗겨냄 위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간헐적으로 벗겨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부품 캐리어가 반송되는 통로와,
상기 벗겨냄 위치에, 상기 베이스 테이프의 가까이에 또한 상기 상부 테이프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 장치가 상기 캐비티에 상기 부품을 흡인해서 보관 유지하도록,상기 전자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형태는,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는 베이스 테이프와 그 베이스 테이프의 한쪽 면에 부착된 상부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테이프는 상기 한쪽 면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벗겨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이프는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소정의 길이 만큼 벗겨져서 부품이 노출되고, 그 후, 부품 취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상기 캐비티로부터 취출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부품 캐리어가 반송되는 통로와,
상기 부품을 상기 캐비티 내에 흡인하기 위해서 상기 부품 취출 위치에 설치한 제1의 전자석 장치와,
상기 부품을 상기 캐비티 내에 흡인하기 위해서 상기 벗겨냄 위치에 설치한 제2의 전자석 장치와,
상기 제1의 전자석 장치를, 상기 부품 취출 동작 전에 오프(off)로 하고, 상기 부품 취출 동작 후에 온(on)으로 하며,
상기 제2의 전자석 장치를, 상기 벗겨냄 동작 전에 온으로 하고, 상기 벗겨냄 동작 후에 오프로 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를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는 베이스 테이프와 그 베이스 테이프의 한쪽 면에 부착된 상부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테이프는 상기 한쪽 면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벗겨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이프는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소정의 길이 만큼 벗겨져서 부품이 노출되고, 그 후, 부품 취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상기 캐비티로부터 취출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부품 캐리어가 반송되는 통로를 준비하고,
상기 부품을 상기 캐비티 내에 흡인하기 위해서 상기 부품 취출 위치에 설치한 전자석 장치를 준비하여,
상기 전자석 장치를, 상기 부품 취출 동작 전에 오프로 하고, 상기 부품 취출 동작의 후에 온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를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는 베이스 테이프와 그 베이스 테이프의 한쪽 면에 부착된 상부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테이프는 상기 한쪽 면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벗겨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이프는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소정의 길이 만큼 벗겨내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부품 캐리어가 반송되는 통로를 준비하고,
상기 부품을 상기 캐비티 내에 흡인하기 위해서 상기 벗겨냄 위치에 설치한 전자석 장치를 준비하고,
상기 전자석 장치를, 상기 벗겨냄 동작 전에 온으로 하고, 상기 벗겨냄 동작 후에 오프로 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형태는,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를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는 베이스 테이프와 그 베이스 테이프의 한쪽 면에 부착된 상부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테이프는 상기 한쪽 면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벗겨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이프는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소정의 길이 만큼 벗겨져서 부품이 노출되고, 그 후, 부품 취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상기 캐비티로부터 취출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부품 캐리어가 반송되는 통로를 준비하고,
상기 부품을 상기 캐비티 내로 흡인하기 위해서 상기 부품 취출 위치에 설치한 제1의 전자석 장치를 준비하고,
상기 부품을 상기 캐비티 내로 흡인하기 위해서 상기 벗겨냄 위치에 설치한 제2의 전자석 장치를 준비하여,
상기 제1의 전자석 장치를, 상기 부품 취출 동작 전에 오프로 하고, 상기 부품 취출 동작 후에 온으로 하며,
상기 제2의 전자석 장치를, 상기 벗겨냄 동작 전에 온으로 하고, 상기 벗겨냄 동작 후에 오프로 하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는 베이스 테이프와 그 베이스 테이프의 한쪽 면에 부착된 상부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테이프는 상기 한쪽 면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고 있고, 벗겨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이프는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소정의 길이 만큼 벗겨져서 부품이 노출되고, 그 후, 부품 취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상기 캐비티로부터 취출되고, 상기 베이스 테이프는 또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퍼포레이션을 갖는 것에 있어서,
회전이 자유로운 휠(wheel)로서, 상기 부품 취출 위치에 있어서 상기 퍼포레이션과 걸리고, 휠의 회전에 근거해서 상기 베이스 테이프를 반송하는 것과,
가이드 부재로서, 상기 부품 취출 위치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퍼포레이션을 상기 톱니와의 걸림을 보증하는 가이드 부재와,
보조 가이드 부재로서, 상기 휠의 외주 근방으로서, 상기 베이스 테이프 부분이 상기 톱니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하는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퍼포레이션과 상기 베이스 테이프와의 걸림 거리를 크게 하는 것을 갖는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써 나타내고 있다.
(제1실시형태)
도 1A∼도 1C는, 부품 실장 장치의 부품 공급부(101), 예를 들면, 부품 카세트에 있어서의 부품 들어올림 위치 근방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부품 공급부(101)는, 상기한 종래의 부품 카세트와 마찬가지로, 부품 캐리어(102)(부품 공급 테이프)의 반송 경로(103)를 갖는다. 이 부품 반송 경로 (103)는 하부 가이드 부재(도시하지 않음)와 상부 가이드 부재(104)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하부 가이드 부재와 상부 가이드 부재에 안내되면서 부품 캐리어(102)는 화살표(105)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반송되도록 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하부 가이드 부재는, 부품 공급부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 부재(104)는, 캐리어 반송 방향(화살표(105) 방향)에 관해서 상류측과 하류측에 간격을 두고 고정된 상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6)와 하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7)(고정 플레이트)를 가지며, 이들 상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6)와 하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7)와의 사이에 개구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08)에는, 캐리어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슬롯(110)을 구비한 가동 플레이트(109)(셔터)가 배치되어 있다. 가동 플레이트(109)는, 도시하지 않은 셔터 구동 기구에 연결되어 있으며,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6)의 근방에 위치하여, 하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7)와의 사이에 부품 취출부(111)(부품 취출 영역)를 형성하는 제1의 위치와, 하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7)의 근방에 위치하여, 상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6)와의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2의 위치와의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가동 플레이트(109)는, 제1의 위치에 있을 때, 그 가동 플레이트(109)와 하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7)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품 캐리어(102) 부분을 누르기 위해서, 하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7)를 향해서 캐리어 반송 방향으로 신장되고 또한 부품 취출용 개구부를 횡단하는 누름부(112)(신장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한다. 다른 쪽, 하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7)에는, 가동 플레이트(109)가 제2의 위치에 있을 때 그 가동 플레이트(109)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누름부(112)에 대응하는 노치 (113)(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부품 공급부(101)에 의하면, 부품 캐리어(102)는 화살표(105)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114)씩 간헐적으로 반송된다. 부품 캐리어(102)는, 상기한 종래의 부품 캐리어와 마찬가지로, 부품(115)을 수용하는 캐비티(116)를 구비한 베이스 테이프와, 캐비티(116)를 덮는 상부 테이프로서 이루어지고,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벗겨진 상부 테이프는 가동 플레이트(109)의 슬롯(110)으로부터 취출되어, 도시하지 않은 권취 릴에 권취된다. 한편, 상부 테이프가 벗겨진 부분에 보관 유지되어 있는 부품(115)은, 제1의 위치에 있는 가동 플레이트(109)와 하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7)와의 사이의 부품 취출 위치(111)에서 노출되고, 도시하지 않은 흡인 노즐에 흡인되어서 들어올려진다.
부품(115)의 들어올림이 종료되면, 도 1A와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109)는 제1의 위치로부터 제2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부품 캐리어 (102)도 가동 플레이트(109)와 동기하여 화살표(105)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만큼 이송되어, 후속하는 부품(115)이 부품 취출 위치(111)에 배치된다.
이어서, 도 1B와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109)는, 제2의 위치로부터 제1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 때, 상부 테이프가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벗겨지고, 벗겨진 상부 테이프는 슬롯(110)으로부터 인출되어 권취 릴에 권취된다.그 결과, 부품 취출 위치에 있어서 부품(115)이 노출되고, 흡인 노즐에 의한 부품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가동 플레이트(109)가 제1의 위치에 있을 때, 그 가동 플레이트 (109)와 하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7)와의 사이에 있는 부품 캐리어 부분은, 가동 플레이트(109)의 누름부(112)에 의해서 눌려 있다. 따라서, 다른 기구로부터 그 부품 캐리어 부분에 진동이 전해져도, 그 부품 캐리어 부분은 전혀 또는 거의 진동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부품 취출 위치에서 노출된 부품이 캐비티(116) 내에서 튀어오르거나 이동하거나 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흡인 노즐은 바르게 부품을 흡인해서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부품 취출 위치(111)에 있는 부품 캐리어 부분에 헐거움이 생길 일이 없으므로, 그 헐거움이 가동 플레이트(109)와 고정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끼이게 되는 일도 없고, 안정된 부품 캐리어(102)의 반송이 보증된다.
또한, 누름부(112)에 대응해서 하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7)에 노치(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 플레이트(109)가 제2의 위치에 있을 때, 그 가동 플레이트 (109)의 누름부(112)가 하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7)의 노치(113)에 수납되어서 양자의 간섭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플레이트(109)에 누름부(112)를 설치하고, 부품 취출 위치(111)를 사이에 두어서 가동 플레이트(109)에 대향하는 하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7)에 노치(113)을 형성했지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 가이드 플레이트(107)에 누름부(112')를 마련하고, 가동 플레이트(109)에 노치 (113')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부품 캐리어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신장하는 1개의 누름부를 마련했지만, 부품 캐리어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신장하는 2개의 누름부를 가동 플레이트 또는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해도 좋다.
이상에서, 부품 카세트를 구비한 부품 공급부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부품 카세트를 이용하지 않는 부품 공급부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2실시형태)
도 3에 나타내는 부품 공급부는, 테이프 벗김 위치(영역)(121)와 부품 취출 위치(영역)(122)의 아래쪽에, 전자석 장치(123)를 구비한다. 도면 위에, 전자석 장치(123)는, 부품 캐리어(102)의 하면에 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부품 캐리어(102)의 하면을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 부재에 개구부(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에 전자석 장치(123)를 끼워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신에, 하부 가이드 부재의 바로 아래에 전자석 장치를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하부 가이드 부재는 비(非) 자성 재료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전자석 장치(123)는 또한, 그 전자석 장치(123)를 여자(勵磁)·소자(消磁)(온·오프) 시키는 제어 장치(1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12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해서 전자석 장치(123)를 여자·소자(온·오프) 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 3A∼도 3D와 도 4A∼도 4C를 참조하여, 제어 장치(124)의 동작과 부품의 취출 동작을 설명한다. 지금, 도 3A는, 부품 취출 위치에 있어서 부품을 꺼낸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이 상태에서 전자석 장치(123)는 온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석 장치(123)를 온으로 한 상태에서, 부품 캐리어(102)는 소정의 거리 만큼 화살표(125) 방향으로 반송되고, 새로운 부품(115a)이 부품 취출 위치(122)에 공급된다. 이 때, 테이프 벗겨냄 위치(121)에서는, 그 다음 부품(115b)을 덮는 상부 테이프(126) 부분이 대응하는 베이스 테이프(127) 부분으로부터 박리된다. 따라서, 부품 캐리어(102)의 반송 중, 그 부품(115a)은 전자석 장치(123)의 자력(Fl)에 의해서 캐비티(116) 내에 구속되어 있으며, 캐비티(116)로부터 낙하하는 일은 없다. 계속해서, 부품 취출 위치(122)에 있어서, 흡인 노즐(128)이 부품(115a)에 접근해 오면, 전자석 장치(123)가 오프로 된다. 따라서,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 노즐(128)은 그 흡인 노즐(128)의 흡인력(F2)에 의해서 용이하게 부품(115a)을 흡인해 들어올릴 수 있다. 흡인 노즐 (128)에 의한 부품(115a)의 취출이 완료되면, 전자석 장치(123)가 다시 온으로 되고, 이어서 취출되는 부품(115b)이 캐비티(116) 내에 안정된 상태로 보관 유지된다.
이렇게, 부품(115)의 반송 중, 그 부품(115)은 전자석 장치(123)의 자계에 의해서 캐비티(116) 내에 안정적으로 보관 유지된다. 한편, 부품(115)의 취출 시, 전자석 장치(123)는 오프로 되므로, 흡인 노즐(128)은 자계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부품(115)을 흡인해서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흡인 노즐(128)의 부품 흡인력을 과도하게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또한, 부품(115)이 작을 경우, 또는 그 부품(115)에 포함되는 자성 부분이 작은 경우, 전자석 장치(123)의 자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그 부품(115)을 캐비티(116)에 안정적으로 보관 유지할 수 있고, 부품(115)의 취출 시에 전자석 장치(123)는 오프로 되므로, 흡인 노즐(128)의 흡인력을 크게 할 필요도 없다. 또한, 부품(115)의 크기나 중량에 따라서, 제어 장치(124)는 전자석장치(123)의 부품 흡인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5A∼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취출 위치(122)의 근방에 제1의 전자석 장치(130)를 배치하고, 테이프 벗겨냄 위치(121)의 근방에 제2의 전자석 장치(131)를 배치하여, 이들 2개의 전자석 장치(130, 131)를 별도로 구동해도 좋다. 이 경우, 부품 취출 위치에 있어서 부품을 취출한 직후의 상태에서, 2개의 전자석 장치(130, 131)는 동시에 온으로 되어 있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석 장치(130, 131)를 온으로 한 상태에서, 부품 캐리어(102)는 소정의 거리 만큼 화살표(125) 방향으로 반송되어, 새로운 부품(115a)이 부품 취출 위치(122)에 공급된다. 한편, 테이프 벗겨냄 위치(121)에서는, 그 다음의 부품(115b)을 덮는 상부 테이프(126) 부분이, 대응하는 베이스 테이프(127) 부분으로부터 박리된다. 이때, 상부 테이프(126)와 베이스 테이프(127)의 재질에 따라서는 정전기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 정전기는, 벗겨진 상부 테이프(126) 부분에 대응하는 캐비티(116)에 수용되어 있는 부품에 영향을 끼치고, 그 부품(115b)의 위치를 불안정하게 한다. 그 때문에, 그 부품(115b)에 진동이 작용하면, 용이하게 이동하거나, 직립 상태가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테이프 벗겨냄 위치(121)의 근방에 배치된 제2의 전자석 장치(131)의 자력 F3에 의해서 부품(115b)은 캐비티(116) 내에 안정적으로 보관 유지되므로, 정전기력에 의해 과도하게 이동하거나 직립하는 일도 없다. 또한, 정전기력은, 상부 테이프(126) 및/또는 베이스 테이프(127)의 재질에 상응해서 변화한다. 따라서, 부품의 크기나 중량 뿐만 아니라, 그것들의 재질에 상응해서 제2의 전자석 장치(131)의 자력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어장치(124)에는 각각의 부품 공급부에 상응하는 자력 데이터(구체적으로는, 전자석 장치에 인가하는 전압 데이터)를 저장해 두고, 그 부품 공급부에 상응해서 적당한 자력을 전자석 장치에서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품 캐리어(102)가 도 5A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도 5B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하면, 제1과 제2의 전자석 장치(130, 131)는 함께 오프로 된다. 따라서,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 노즐(128)은 그 흡인 노즐(128)의 흡인력(F2)에 의해서 용이하게 부품(115a)을 흡인해 들어올릴 수 있다. 흡인 노즐(128)에 의한 부품 (115a)의 취출이 완료되면, 제1과 제2의 전자석 장치(130, 131)가 다시 온으로 되어, 부품(115b)을 캐비티(116) 내에 안정적으로 보관 유지하고, 그 상태에서 부품 캐리어(102)가 소정의 거리 만큼 반송되며, 그 때에, 테이프 벗겨냄 위치(121)에서 상부 테이프(126)가 베이스 테이프(127)로부터 박리된다. 이 때, 부품(115b)은 전자석 장치(123)에 의해서 안정되게 유지되어 있으므로, 상부 테이프(126)의 박리 시에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해서 부품(115b)이 이동하거나 직립하는 일도 없다.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132)(셔터)를 이용한 부품 공급부의 경우, 제1과 제2의 전자석 장치는 아래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A는, 부품 취출 위치(122)에 있어서 부품을 취출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이 상태에서 제1의 전자석 장치(130)는 온으로 되어 있다. 이 때, 제2의 전자석 장치(131)는 온으로 되어도 좋고, 오프로 되어도 좋다. 이어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전자석 장치(130)가 온으로 된 상태에서, 또는 제1과 제2의 전자석 장치(130, 131)가 함께 온으로 된 상태에서, 부품 캐리어(102)는 소정의 거리 만큼 화살표(125) 방향으로 반송되고, 새로운 부품(115a)이 부품 취출 위치(122)에 공급된다. 이 때, 점선으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캐리어(102)와 함께 가동 플레이트(132)도 화살표(125)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 만큼 이동한다. 따라서, 가동 플레이트(132)와 부품 캐리어(102)와의 상대적인 이동은 없고, 상부 테이프(126)의 벗겨냄은 실행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캐리어(102)의 반송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을 향해서, 가동 플레이트(132)는 점선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권취 릴이 회전하고, 테이프 벗겨냄 위치(121)에 있는 상부 테이프(126) 부분을 베이스 테이프(127)로부터 박리한다. 이 테이프 벗겨냄 시(時), 적어도 제2의 전자석 장치(131)는 온으로 되고, 테이프 벗겨냄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에 의해 부품(115c)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계속해서, 흡인 노즐(128)에 의한 부품(115a)의 취출 동안, 제1의 전자석 장치(130)는 오프로 된다. 그 후, 부품(115a)의 취출이 완료되면, 제1의 전자석 장치(130), 또는 제1 및 제2의 전자석 장치(130, 131)가 온으로 되고, 부품 캐리어(102)를 소정의 거리 만큼 반송시킨다.
이렇게, 적어도 가동 플레이트(132)를 이동시키면서 상부 테이프를 벗겨내는 동안, 제2의 전자석 장치(131)를 온으로 해서 정전기에 의한 부품의 이동을 방지한다. 단, 제2의 전자석 장치(131)는 항상 온으로 하고, 그 근방에 있는 부품을 캐비티 내에 안정되게 보관 유지해 두도록 해도 좋다.
(제3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관한 부품 공급부(140)를 나타낸다. 이 부품 공급부(140)에 있어서, 부품 캐리어의 상부 가이드부(141)는, 부품 취출 위치(도시하지 않음)의 하류측에 있어서 공급 휠(142)에 대향하는 영역에, 공급 휠(142)을 향해서 돌출한 보조 가이드부(143)를 갖는다. 보조 가이드부(143)에 있어서, 공급 휠(142)에 대향하는 부분(144)은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으며, 부품 취출 위치를 통과한 베이스 테이프(127) 부분의 퍼포레이션(145)이 될 수 있는 한 길게 공급 휠 (142)의 톱니(146)와 계속해서 걸리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형성된 부품 공급부(140)에 의하면, 부품 취출 위치를 통과한 베이스 테이프(127) 부분이 비교적 긴 거리(147)에 걸쳐서 공급 휠(142)에 지지되므로, 그 베이스 테이프(127)의 휘어짐에 의해 발생하는 스트레스나 진동이, 부품 취출 위치로 전달되기 전에 거의 감쇠된다. 따라서, 그 스트레스나 진동에 의해서 부품 취출 위치에 있는 부품이 캐비티 내에서 튀어오르거나 하는 일이 없으므로, 그 부품은 흡인 노즐에 의해서 적정하게 흡인되어 보관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이 실행한 실험에 의하면, 보조 가이드부(143)가 없는 부품 공급부의 경우, 1069개의 부품 공급에 있어서 4회의 부품 기립(起立)이 발생했지만, 보조 가이드가 있는 부품 공급부의 경우, 전혀 부품 기립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보조 가이드부(143)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요컨대, 부품 취출부를 통과한 후의 베이스 테이프 부분을 될 수 있는 한 길게 공급 휠과 걸리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보조 가이드부(143)는 상부 가이드 부재(141)에 부착한 블록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상부 가이드 부재(141)를 변형해서 형성해도 좋다.

Claims (14)

  1.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carrier)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는 그 부품 캐리어의 한쪽 면에 부품을 수용하는 캐비티(cavity)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과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의 상기 한쪽 면을 안내하는 것과,
    상기 제1과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된 가동 플레이트로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는, 상기 제1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근방에 위치해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부품 취출 영역을 형성하는 제1의 위치와, 상기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근방에 위치하는 제2의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것과,
    상기 가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한쪽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신장부로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1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신장부는, 상기 부품 캐리어의 상기 한쪽 면의 근방에서, 상기 부품 캐리어의 적어도 한쪽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부를 따라, 상기 가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와의 사이로 신장되어 있는 것을 갖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다른 쪽에는 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2의 위치에있을 때, 상기 가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2의 가이드 플레이트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신장부는 상기 노치에 수용되는 장치.
  3.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는 베이스 테이프와 그 베이스 테이프의 한쪽 면에 부착된 상부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테이프는 상기 한쪽 면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테이프는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소정의 길이씩 간헐적으로 벗겨져서, 그 결과, 상기 부품은 부품 취출 위치에 있어서 노출되고, 이 노출된 부품에 대하여 부품 취출부가 접근해서 그 부품을 취출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부품 캐리어가 반송되는 통로와,
    상기 부품 취출 위치에, 상기 베이스 테이프의 가까이에 또한 상기 상부 테이프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 장치가 상기 캐비티에 상기 부품을 흡인해서 보관 유지하도록, 상기 전자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 캐리어를 간헐적으로 반송시키기 직전에 상기 전자석 장치를 온(on)으로 하고, 상기 부품 캐리어를 간헐적으로 반송시킨 직후에 상기 전자석을 오프(off)로 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 취출부의 부품 취출 동작 직전에상기 전자석 장치를 오프로 하고, 상기 부품 취출 동작의 완료 직후에 상기 전자석을 온으로 하는 장치.
  6.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는 베이스 테이프와 그 베이스 테이프의 한쪽 면에 부착된 상부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테이프는 상기 한쪽 면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테이프는 벗겨냄 위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간헐적으로 벗겨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부품 캐리어가 반송되는 통로와,
    상기 벗겨냄 위치에, 상기 베이스 테이프의 가까이에 또한 상기 상부 테이프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 장치가 상기 캐비티에 상기 부품을 흡인해서 보관 유지하도록, 상기 전자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 캐리어의 간헐적인 반송 직전에 상기 전자석을 온으로 하고, 상기 부품 캐리어의 간헐적인 반송 직후에 상기 전자석을 오프로 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테이프의 벗겨냄 직전에 상기 전자석을 온으로 하고, 상기 상부 테이프의 벗겨냄 직후에 상기 전자석을 오프로 하는 장치.
  9.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는 베이스 테이프와 그 베이스 테이프의 한쪽 면에 부착된 상부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테이프는 상기 한쪽 면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벗겨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이프는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소정의 길이 만큼 벗겨져서 부품이 노출되고, 그 후, 부품 취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상기 캐비티로부터 취출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부품 캐리어가 반송되는 통로와,
    상기 부품을 상기 캐비티 내에 흡인하기 위해서 상기 부품 취출 위치에 설치한 제1의 전자석 장치와,
    상기 부품을 상기 캐비티 내에 흡인하기 위해서 상기 벗겨냄 위치에 설치한 제2의 전자석 장치와,
    상기 제1의 전자석 장치를, 상기 부품 취출 동작 전에 오프로 하고, 상기 부품 취출 동작의 후에 온으로 하며,
    상기 제2의 전자석 장치를, 상기 벗겨냄 동작 전에 온으로 하고, 상기 벗겨냄 동작 후에 오프로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장치.
  10.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를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는 베이스 테이프와 그 베이스 테이프의 한쪽 면에 부착된 상부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베이스 테이프는 상기 한쪽 면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벗겨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이프는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소정의 길이 만큼 벗겨져서 부품이 노출되고, 그 후, 부품 취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상기 캐비티로부터 취출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부품 캐리어가 반송되는 통로를 준비하고,
    상기 부품을 상기 캐비티 내에 흡인하기 위해서 상기 부품 취출 위치에 설치한 전자석 장치를 준비하고,
    상기 전자석 장치를, 상기 부품 취출 동작 전에 오프로 하고, 상기 부품 취출 동작 후에 온으로 하는 방법.
  11.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를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는 베이스 테이프와 그 베이스 테이프 한쪽 면에 부착된 상부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테이프는 상기 한쪽 면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벗겨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이프는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소정의 길이 만큼 벗겨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부품 캐리어가 반송되는 통로를 준비하고,
    상기 부품을 상기 캐비티 내에 흡인하기 위해서 상기 벗겨냄 위치에 설치한 전자석 장치를 준비하고,
    상기 전자석 장치를, 상기 벗겨냄 동작 전에 온으로 하고, 상기 벗겨냄 동작 후에 오프로 하는 방법.
  12.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를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는 베이스 테이프와 그 베이스 테이프의 한쪽 면에 부착된 상부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테이프는 상기 한쪽 면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벗겨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이프는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소정의 길이 만큼 벗겨져서 부품이 노출되고, 그 후, 부품 취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상기 캐비티로부터 취출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부품 캐리어가 반송되는 통로를 준비하고,
    상기 부품을 상기 캐비티 내에 흡인하기 위해서 상기 부품 취출 위치에 설치한 제1의 전자석 장치를 준비하고,
    상기 부품을 상기 캐비티 내에 흡인하기 위해서 상기 벗겨냄 위치에 설치한 제2의 전자석 장치를 준비하여,
    상기 제1의 전자석 장치를, 상기 부품 취출 동작 전에 오프로 하고, 상기 부품 취출 동작 후에 온으로 하며,
    상기 제2의 전자석 장치를, 상기 벗겨냄 동작 전에 온으로 하고, 상기 벗겨냄 동작 후에 오프로 하는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장치에 의한 자력을 상기 부품 및/또는 부품 캐리어의 정보에 따라서 제어하는 방법.
  14. 테이프 형상의 부품 캐리어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기 부품 캐리어는 베이스 테이프와 그 베이스 테이프의 한쪽 면에 부착된 상부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테이프는 상기 한쪽 면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벗겨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이프는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소정의 길이 만큼 벗겨져서 부품이 노출되고, 그 후, 부품 취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상기 캐비티로부터 취출되며, 상기 베이스 테이프는 또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퍼포레이션(perforation)을 갖는 것에 있어서,
    회전이 자유로운 휠(wheel)로서, 상기 부품 취출 위치에 있어서 상기 퍼포레이션과 걸리고, 휠의 회전에 근거해서 상기 베이스 테이프를 반송하는 것과,
    가이드 부재로서, 상기 부품 취출 위치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퍼포레이션을 상기 톱니와의 걸림을 보증하는 가이드 부재와,
    보조 가이드 부재로서, 상기 휠의 외주 근방으로서, 상기 베이스 테이프 부분이 상기 톱니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퍼포레이션과 상기 베이스 테이프와의 걸리는 거리를 크게 하는 것을 갖는 장치.
KR10-2002-7017466A 2000-06-30 2001-06-29 부품 공급 장치 KR100502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8016 2000-06-30
JPJP-P-2000-00198016 2000-06-30
JPJP-P-2000-00228877 2000-07-28
JP2000228877 2000-07-28
JPJP-P-2000-00375832 2000-12-11
JP2000375832 2000-12-11
PCT/JP2001/005669 WO2002003771A1 (fr) 2000-06-30 2001-06-29 Dispositif d'alimentation en pie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251A true KR20030026251A (ko) 2003-03-31
KR100502223B1 KR100502223B1 (ko) 2005-07-18

Family

ID=2734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466A KR100502223B1 (ko) 2000-06-30 2001-06-29 부품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910514B2 (ko)
EP (1) EP1307083B1 (ko)
JP (1) JP4917163B2 (ko)
KR (1) KR100502223B1 (ko)
CN (2) CN1231110C (ko)
DE (1) DE60131175T2 (ko)
WO (1) WO20020037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492A (ko) * 2017-01-17 2018-07-2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3995A (ja) * 1996-02-26 1997-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吸着方法
US7380581B2 (en) * 2005-01-26 2008-06-03 Samsung Techwin Co., Ltd. Tape feeder and tape feeding and recovering modules therefor
JP4479616B2 (ja) * 2005-07-13 2010-06-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EP1956879A1 (en) * 2007-02-09 2008-08-13 ASUSTeK Computer Inc. Feeder cover
JP2011060829A (ja) * 2009-09-07 2011-03-24 Bonmaaku:Kk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搬送用キャリア及びそ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印刷装置
CN102342196B (zh) * 2010-01-19 2014-10-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带式供料器以及使用该带式供料器的载带送出方法
JP5846629B2 (ja) * 2011-10-28 2016-01-20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US10321618B2 (en) * 2012-03-22 2019-06-11 Fuji Corporation Tape feeder
JP6035514B2 (ja) * 2012-11-28 2016-11-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JP6245517B2 (ja) * 2013-06-14 2017-12-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方法
DE102016217761B3 (de) * 2016-09-16 2018-02-01 Asm Assembly Systems Gmbh & Co. Kg Bauteilabstreifer und Gurtzuführvorrichtung
WO2019130450A1 (ja) * 2017-12-26 2019-07-04 株式会社Fuji テープフィーダ
JP7096322B2 (ja) * 2018-02-20 2022-07-05 株式会社Fuji テープフィーダのサポートプレート種/部品種組み合わせ確認システム及びサポートプレート種/部品種組み合わせ確認方法
WO2023228345A1 (ja) * 2022-05-26 2023-11-30 株式会社Fuji フィーダ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1855B2 (ja) * 1990-01-22 1998-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ップ供給装置
JPH07114319B2 (ja) * 1991-01-22 1995-12-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ップ形電子部品の供給装置
JP2714294B2 (ja) * 1991-12-19 1998-02-16 三洋電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JP2976689B2 (ja) * 1992-04-28 1999-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装置
JP3342038B2 (ja) * 1992-06-03 2002-11-05 三洋電機株式会社 テープ送出装置
JP3356829B2 (ja) * 1993-07-16 2002-1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方法
KR970001239Y1 (ko) * 1993-12-29 1997-02-21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릴상태의 전자부품 자동공급 장치
JP3404431B2 (ja) * 1994-07-04 2003-05-06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部品供給取出装置
JPH09186487A (ja) * 1995-12-28 1997-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供給装置
DE69737545T2 (de) * 1996-05-13 2007-12-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elektronischen bauelementen
JP3670404B2 (ja) * 1996-06-28 2005-07-13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部品供給装置
EP1617716B1 (en) 1997-01-20 2007-03-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ponent feeding device
JPH1140985A (ja) * 1997-07-17 1999-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の供給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部品供給装置
JPH1154989A (ja) * 1997-08-05 1999-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
JPH11266098A (ja) * 1998-03-18 1999-09-28 Murata Mfg Co Ltd チップ状電子部品供給装置
MY125155A (en) * 1998-07-15 2006-07-31 Panasonic Corp Parts feeder
US6162007A (en) * 1999-01-14 2000-12-19 Witte; Stefan Apparatus for feeding electronic component tape
JP2000252690A (ja) * 1999-03-04 2000-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フィーダ
JP5043278B2 (ja) * 2000-09-18 2012-10-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装置
TW507492B (en) * 2000-11-24 2002-10-21 Mirae Corpration Feeder for surface moun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492A (ko) * 2017-01-17 2018-07-2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31478B2 (en) 2006-11-07
EP1307083A1 (en) 2003-05-02
DE60131175D1 (de) 2007-12-13
JP2010212737A (ja) 2010-09-24
EP1307083A4 (en) 2006-12-13
US20050121140A1 (en) 2005-06-09
JP4917163B2 (ja) 2012-04-18
CN1440633A (zh) 2003-09-03
CN1231110C (zh) 2005-12-07
WO2002003771A1 (fr) 2002-01-10
US20030179553A1 (en) 2003-09-25
CN1633231A (zh) 2005-06-29
US6910514B2 (en) 2005-06-28
EP1307083B1 (en) 2007-10-31
KR100502223B1 (ko) 2005-07-18
DE60131175T2 (de) 200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7163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供給方法
KR100318874B1 (ko) 부품공급장치
JP4809506B2 (ja) テープフィーダ及びそれを用いたキャリアテープの送り出し方法
KR101639667B1 (ko) 부품 실장기
JP3356829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方法
JP3404431B2 (ja) 電子部品供給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部品供給取出装置
JPH11251788A (ja) チップ部品供給装置
JP2009054656A (ja) 部品供給装置
JP5184197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面実装機
JPH11307992A (ja) 電気部品供給装置および方法
KR100963270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0889520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JPH10163684A (ja) 部品供給装置
JPH07326887A (ja) 部品供給装置
JP3342038B2 (ja) テープ送出装置
JP3849174B2 (ja) 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
JPH1154989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3989069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3586389B2 (ja) パーツフィーダ
JP4530798B2 (ja) 装着ユニット、部品装着装置及び部品装着方法
JPH08330785A (ja) テープフィーダー
JP3066182B2 (ja) テープ送出装置
JP2023103603A (ja) フィーダ
JPH04107991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2000082898A (ja) 部品供給装置のシャッ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