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2423A - 7-옥소 피리도피리미딘 - Google Patents

7-옥소 피리도피리미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2423A
KR20030022423A KR10-2003-7002955A KR20037002955A KR20030022423A KR 20030022423 A KR20030022423 A KR 20030022423A KR 20037002955 A KR20037002955 A KR 20037002955A KR 20030022423 A KR20030022423 A KR 20030022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alkyl
compound
hydrogen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2325B1 (ko
Inventor
아제노훔베르토바톨롬
첸지안제프레이
둔제임스패트릭
골드스테인데이비드마이클
림쥴리앤
Original Assignee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ublication of KR2003002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46Two or more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 C07D239/47One nitrogen atom and one oxygen or sulfur atom, e.g. cyto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6Antigout agents, e.g. antihyperuricemic or uricosur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61P33/06Antimala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nc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iabete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IDS & HIV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1, R2, R3및 Ar1이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선구약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및 p38-매개 장애의 치료를 위한 이의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7-옥소 피리도피리미딘{7-OXO PYRIDOPYRIMIDINES}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는 이중 인산화에 의해 이들의 기질을 활성화시키는 프롤린-유도 세린/트레오닌 키나제의 부류이다. 상기 키나제는 영양 및 삼투압 스트레스(stress), UV광, 성장 인자, 내독소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비롯한 다양한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다. MAP 키나제의 그룹으로는 다양한 이형체(isoform)(예: p38α, p39β, p38γ 및 p38δ)을 비롯한 p38 키나제 그룹이 있다. p38 키나제는 전사 인자 및 기타 키나제의 인산화 및 활성화를 담당하고, 물리적 및 화학적 스트레스, 전구-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세균성 지질다당류에 의해 활성화된다.
더욱 중요하게는, p38 인산화의 생성물은 TNF과 IL-1 및 사이클로옥시게나제-2를 비롯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매개하는 것으로 보였다. 이들 사이토카인은 각각 다양한 질환의 상태 및 증상과 관련되었다. 예를 들면, TNF-α는 활성화 단핵구 및 대식세포에 의해 주로 생성되는 사이토카인이다. 이들의 과도하거나 비통제된 생성은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발병기전에 있어 원인 역할을 함으로써 영향을 미친다. 이보다 최근에는, TNF 생성의 억제가 염증, 염증성 장 질환, 다중 경화증 및 천식의 치료에 대한 광범위한 용도를 갖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TNF는 이들중에서 바이러스 감염, 예컨대 HIV, 독감 바이러스, 및 단순포진 바이러스, 예컨대 단순포진 바이러스 타입-1(HSV-1) , 단순포진 바이러스 타입-2(HSV-2), 시토메갈로바이러스(CMV), 바이셀라-조스터 바이러스(VZV),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pstein Barr virus), 인간 포진 바이러스-6(HHV-6), 인간 포진 바이러스-7(HHV-7), 인간 포진 바이러스-8(HHV-8), 슈도레이비스(pseudorabies) 및 리노트라체이티스(rhinotracheitis)에 영향을 미친다.
유사하게, IL-1은 활성화 단핵구 및 대식세포에 의해 생성되며, 류마티스성 관절염, 고열 및 골 흡수의 감소를 비롯한 다수의 병리학적 반응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추가로, p38의 병발은 발작, 알츠하이머병, 골관절염, 폐 손상, 패혈성 쇼크, 혈관생성, 피부염, 건선 및 아토피성 피부염에 관련된다(예컨대 문헌 [J. Exp. Opin. Ther. Patents, (2000) 10 (1)] 참조).
특정 피리도[2,3-d]피리미딘이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매개 세포 증식의 억제제로서 개시되어 왔다(WO 96/34867 호 참조).
p38 키나제의 억제에 의한 전술된 사이토카인의 억제는 이들 다수의 질환 상태를 제어하고, 감소시키고, 경감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7-옥소-피리도피리미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2,6-이치환된 7-옥소-피리도[2,3-d]피리미딘, 이의 제조방법, 이들을 포함하는 약학 제제 및 이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선구약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알킬이고;
R2는 -CR'R"-Ra(여기서, R' 및 R"는 수소,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알킬이되, 이들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이고, Ra는 하이드록시알킬이다), Rx-S(O)2-Ry(여기서, Rx는 알킬이고, Ry는 알케닐이다), 알콕시-치환된 알킬, 헤테로사이클릴알킬 또는 C4-C5사이클로알킬이되, 여기서 R2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 그룹은 각각 독립적으로 에스테르, 카바메이트, 카보네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유도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R1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질소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R3은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릴, 아르알킬, 할로알킬, 헤테로알킬, 시아노알킬, 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알킬렌-C(O)-R(여기서, R은 수소, 알킬, 하이드록시, 알콕시, 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또는 디알킬아미노이다) 또는 아실이고;
AR1은 아릴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전술된 염은 단백질 키나제의 억제제이며 생체내에서 p38에 대해 효과적인 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TNF 및 IL-1와 같은 전구-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p38-매개 질환 또는 증상의 치료가 요구되는 환자에게 치료 효과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p38-매개 질환 또는 증상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전술된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p38-매개 질환 및 증상의 치료에 유용한 약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본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다음 용어들은 하기 의미를 갖는다.
"아실"이란, 라디칼 -C(O)R(여기서, R은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페닐 또는 페닐알킬이되, 상기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및 페닐알킬은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포르밀, 아세틸, 사이클로헥실카보닐, 사이클로헥실메틸카보닐, 벤조일, 벤질카보닐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실아미노"란, 라디칼 -NR'C(O)R(여기서, R'는 수소 또는 알킬이고, R은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페닐 또는 페닐알킬이되, 상기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및 페닐알킬은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포르밀아미노, 아세틸아미노, 사이클로헥실카보닐아미노, 사이클로헥실메틸-카보닐아미노, 벤조일아미노, 벤질카보닐아미노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콕시"란, 라디칼 -OR(여기서, R은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이다)를 의미하며, 그 예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등이 있다.
"알킬"이란, 탄소수 1 내지 6의 선형의 포화 일가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탄소수 3 내지 6의 분지된 포화 일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하며, 그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2-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3급-부틸, 펜틸 등이 있다.
"알킬렌"이란, 탄소수 1 내지 6의 선형의 포화 이가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탄소수 3 내지 6의 분지된 포화 이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하며, 그 예로는 메틸렌, 에틸렌, 2,2-디메틸에틸렌, 프로필렌, 2-메틸프로필렌, 부틸렌, 펜틸렌 등이 있다.
"알킬티오"란, 라디칼 -SR(여기서, R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이다)을의미하며, 그 예로는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부틸티오 등이 있다.
"아릴"이란, 일가 모노사이클릭 또는 비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이는 알킬, 하이드록시, 알콕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헤테로알킬, 할로, 니트로, 시아노, 아미노, 모노알킬이미노, 디알킬아미노,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및 아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아릴이라는 용어는, 페닐, 클로로페닐, 메톡시페닐, 1-나프틸, 2-나프틸 및 이들의 유도체, 또는 플루오로페닐 또는 더욱더 구체적으로는 클로로페닐 또는 플루오로페닐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이클로알킬"이란, 고리 탄소수 3 내지 5의 포화 일가 사이클릭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하며, 이의 예로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헥실, 4-메틸사이클로헥실 등,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또는 사이클로헥실이 있다.
"디알킬아미노"란, 라디칼-NRR'(여기서, R 및 R'는 독립적으로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알킬 그룹이다)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디메틸아미노, 메틸에틸아미노, 디(1-메틸에틸)아미노, (사이클로헥실)(메틸)아미노, (사이클로헥실)(에틸)아미노, (사이클로헥실)(프로필)아미노, (사이클로헥실메틸)(메틸)아미노, (사이클로헥실메틸)(에틸)아미노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R2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 그룹은 각각 독립적으로 에스테르, 카바메이트, 카보네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유도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라는 용어는, R2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 그룹(-OH)이 각각 독립적으로 Ra-C(=O)-O-, RaRbN-C(=O)-O-, Ra-O-C(=O)-O- 또는 Ra-SO2-O-(여기서, Ra및 Rb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아릴 또는 아르알킬이다)로서 유도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할로"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 및 클로로이다.
"할로알킬"이란, 하나 이상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할로원자로 치환된 알킬을 의미하며, 그 예로는 -CH2Cl, -CF3, -CH2CF3, -CH2CCl3등이 있다.
"헤테로알킬"이란, -ORa, -NRbRc및 -S(O)nRd(여기서,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치환기에 의해 1, 2 또는 3개의 수소원자가 치환된,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라디칼로서, 단 헤테로알킬 라디칼의 결합 지점이 탄소원자를 통해야 하되, 여기서
Ra는 수소, 아실,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알킬이고;
Rb및 Rc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아실,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알킬이거나, 또는 Rb및 Rc는 함께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릴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Rd는 n이 0인 경우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알킬이고, n이 1 또는 2인 경우,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아미노, 아실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또는 디알킬아미노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2-하이드록시에틸, 3-하이드록시프로필, 2-하이드록시-1-하이드록시메틸에틸,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 1-하이드록시메틸에틸, 3-하이드록시부틸, 2,3-디하이드록시부틸, 2-하이드록시-1-메틸프로필, 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 2-메틸설포닐에틸, 아미노설포닐메틸, 아미노설포닐에틸, 아미노설포닐프로필, 메틸아미노설포닐메틸, 메틸아미노설포닐에틸, 메틸아미노설포닐프로필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헤테로사이클릴"이란, 1 또는 2개의 고리 원자가 N, O 또는 S(O)n(여기서,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다)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이고, 나머지 고리 원자가 C인, 고리 원자수 3 내지 8의 포화 또는 불포화 비방향족 사이클릭 라디칼을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헤테로사이클릴"이란, 1 또는 2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고리 원자가 N 원자이고 나머지 고리 원자가 C 원자인, 고리 원자수 5 내지 6, 바람직하게는 6의 포화 비방향족 사이클릭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사이클릴 고리는 선택적으로 알킬, 할로알킬, 헤테로알킬, 할로, 니트로, 시아노, 시아노알킬, 하이드록시, 알콕시, 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아르알킬, -(X)n-C(O)R(여기서, X는 O 또는 NR'이고, n은 0 또는 1이고, R은 수소, 알킬, 할로알킬, 하이드록시(n이 0인 경우), 알콕시, 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이되, 상기 R'는 H 또는 알킬이다), -알킬렌-C(O)R(여기서, R은 OR 또는 NR'R"이되, R은 수소, 알킬 또는 할로알킬이고, R' 및 R"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다), -알킬렌-S(O)n-Ra(여기서, n은 0, 1 또는 2, 바람직하게는 0이고, Ra는 알킬이다), 또는 -S(O)nR(여기서,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다)(여기서, n이 0이면, R이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알킬이고, n이 1 또는 2이면, R이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아미노, 아실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또는 디알킬아미노이다)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독립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헤테로사이클릴이라는 용어는,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피페리디노, N-메틸피페리딘-3-일, 피페라지노, N-메틸피롤리딘-3-일, 3-피롤리디노, 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1-옥사이드, 티오모르폴리노-1,1-디옥사이드, 피롤리닐, 이미다졸리닐, N-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 및 이의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피페리디닐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바람직하게는 치환된 알킬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치환기로 헤테로원자에서 치환되되, 상기 치환기는 아미노, 카보닐, 예컨대 모노- 또는 바람직하게는 디알킬아미노카보닐(예: 디메틸아미노카보닐), 카복실 또는 알킬옥시카보닐(예: 메톡시카보닐)이다.
"헤테로사이클릴알킬"이란, 라디칼 -RaRb(여기서, Ra은 알킬렌 그룹이고, Rb는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사이클릴 그룹이되, 단 Rb는 헤테로사이클릴 고리의 탄소원자를 통해 Ra에 결합된다)를 의미하며, 그 예로는 테트라하이드로피란-2-일메틸, 2- 또는 3-피페리디닐메틸 등이 있다.
"하이드록시알킬"이란,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1, 2 또는 3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개의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치환되되, 단 동일한 탄소원자가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실 그룹,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7 내지 18 및 표 1의 화합물(7, 12, 13, 24 및 25)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R2의 치환기를 포함하지 않는,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하이드록시메틸, 2-하이드록시에틸, 2-하이드록시프로필, 3-하이드록시프로필, 1-(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프로필, 2-하이드록시부틸, 3-하이드록시부틸, 4-하이드록시부틸,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 2-하이드록시-1-하이드록시메틸에틸, 2,3-디하이드록시부틸, 3,4-디하이드록시부틸 및 2-(하이드록시메틸)-3-하이드록시프로필, 바람직하게는 2-하이드록시에틸,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 및 1-(하이드록시메틸)-2-하이드록시에틸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하이드록시알킬"이란 헤테로알킬 그룹의 하위세트를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이탈기"란, 합성 유기 화학에서 그와 통상적으로 관련된 의미로서, 즉 친핵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원자 또는 그룹를 의미하며, 이의 예로는 할로(예: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 알칸설포닐옥시, 알렌설포닐옥시, 알킬카보닐옥시(예: 아세톡시), 아릴카보닐옥시, 메실옥시, 토실옥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 아릴옥시(예: 2,4-디니트로페녹시), 메톡시, N,O-디메틸하이드록실아미노 등이 포함된다.
"모노알킬아미노"란, 라디칼 -NHR(여기서, R는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알킬이다)이며, 그 예로는 메틸아미노, (1-메틸에틸)아미노, 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 사이클로헥실아미노, 사이클로헥실메틸아미노, 사이클로헥실에틸아미노 등이 있다.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란, 알킬, 하이드록시, 알콕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헤테로알킬, 할로, 니트로, 시아노, 아미노,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및 아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예: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으로 치환된 페닐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로 독립적이고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 고리를 의미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란,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부형제로서,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비-독성이고 생물학적으로 또는 다른 면에서나 바람직한 부형제를 의미하며, 인간의 약학적 용도 뿐만 아니라 수의학적 용도에도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한다.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란 이러한 부형제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모 화합물의 목적하는 약리학적 활성을 보유하는 염을 의미한다. 이러한 염으로는,
(1) 염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으로 형성되거나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헥산산, 사이클로펜탄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락트산, 말론산, 숙신산, 말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3-(4-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1,2-에탄-디설폰산, 2-하이드록시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4-클로로벤젠설폰산, 2-나프탈렌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캄포르설폰산, 4-메틸비사이클로 [2.2.2]-옥트-2-엔-1-카복실산, 글루코헵톤산, 3-페닐프로피온산, 트리메틸아세트산, t-부틸아세트산, 라우릴 황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하이드록시나프톤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무콘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된 산 부가염; 또는
(2) 모 화합물내에 산성 양성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산성 양성자가 금속 이온, 예컨대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금속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으로 치환되거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트아민, N-메틸글루카민 등과 같은 유기 염기로 배위되어 형성되는 염을 들 수 있다.
"선구-약물" 및 "선구약물"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선구약물이 포유동물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생체내에서 화학식 I에 따른 활성 모 약물을 방출하는 임의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선구약물은 생채내에서 절단되어 모 화합물을 방출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들)를 개조함으로써 제조된다. 선구약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내 하이드록시, 아미노, 설피드릴 그룹, 카복시 또는 카보닐 그룹이 생체내에서 절단되어 각각 자유 하이드록실, 아미노 또는 설피드릴 그룹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임의의 그룹에 결합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선구약물의 예로는, 화학식 I의 화합물내 하이드록시 작용기의 에스테르(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디알킬아미노아세테이트, 포르메이트, 포스페이트, 설페이트 및 벤조에이트 유도체)와 카바메이트(예를 들면, N, N-디메틸아미노카보닐), 카복실 작용기의 에스테르 그룹(예: 에틸 에스테르, 모르폴리노에탄올 에스테르), 아미노 작용기의 N-아실 유도체(예: N-아세틸) N-만니흐(Mannich) 염기, 시프(Schiff) 염기 및 에남미논,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케톤 및 알데하이드 작용기의 옥심, 아세틸, 케탈 및 에놀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문헌 [Bundegaard, H. "Design of Prodrugs" pl-92, Elesevier, New York-Oxford (1985)] 참고).
"보호기"란, 분자 마스크내에 활성 그룹에 결합되는 경우 반응성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는 원자의 그룹을 지칭한다. 보호기에 대한 예는 문헌[T.W.Green and P.G. F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Wiley, 2nded.1991) and Harrison and Harrison et al., Compendium of Synthetic Organic Methods, Vols. 1-8 (John Wiley and Sons. 1971 1996)]에서 발견할 수 있다. 대표적인 아미노 보호기로는 포르밀, 아세틸, 트리플루오로아세틸, 벤질, 벤질옥시카보닐(CBZ), 3급-부톡시카보닐 (Boc), 트리메틸실릴(TMS), 2-트리메틸실릴-에탄설포닐(SES), 트리틸 및 치환된 트리틸 그룹, 알릴옥시카보닐,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 니트로-베라트릴옥시카보닐(NVOC) 등이 있다. 대표적인 하이드록시 보호기로는 하이드록시 그룹이 아실화 또는 알킬화된 그룹, 예컨대 벤질 및 트리틸 에테르 및 알킬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에테르, 트리알킬실릴 에테르 및 알릴 에테르 등이 있다.
질환을 "치료하는" 또는 질환의 "치료"는
(1) 질환을 예방하는 것, 즉 질환에 노출되거나 질환에 걸리기 쉬운 상태이지만, 질환의 징후를 경험하거나 질환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은 포유동물에서 질환의 임상적인 증후가 발현되지 않도록 하는 것,
(2) 질환을 억제하는 것, 즉 질환 또는 이의 임상적인 증후의 발현을 저지하거나 감소시키는 것,
(3) 질환을 완화시키는 것, 즉 질환 또는 이의 임상적인 증후의 퇴행을 유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치료 효과량"이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포유동물에게 투여되는 경우 질환을 위한 상기 치료를 수행하는데 충분한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 효과량"은 화합물, 질환과 이의 경중도, 및 치료할 포유동물의 연령, 체중 등에 따라 변할 것이다.
"치료하는", "접촉하는" 또는 "반응하는"이란 용어는, 화학 반응에서 언급되는 경우, 지적하는 및/또는 목적하는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적절한 조건하에서 2개 이상의 시약을 첨가 또는 혼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적하는 및/또는 목적하는 생성물을 제조하는 반응이, 초기에 첨가된 2개의 시약의 조합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결과를 얻을 필요가 없는 것으로 이해된다. 즉, 궁극적으로 지적하는 및/또는 목적하는 생성물을 형성하도록 혼합물중에서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체가 존재할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구조식중에서, "N"는 구조의 다른 부분에 대해 1 또는 2개의 결합을 갖도록 도시되거나 "O"는 구조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하나의 결합을 갖도록 도시되지만,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N"의 경우 2개 또는 하나의 "H" 원자가 각각 구조식내에 존재하고, "O"의 경우에는 하나의 "H"-원자가 구조식내에 존재하지만,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즉 ISIS 드로우(ISIS draw)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N"는 "-NH2"를 의미하고, "-N-"는 "-NH-"를 의미하고, "-O"는 "-OH"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알킬이고;
R2는 -CR'R"-Ra(여기서, R' 및 R"는 수소,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알킬이되, 이들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이고, Ra는 하이드록시알킬이다), Rx-S(O)2-Ry(여기서, Rx는 알킬이고, Ry는 알케닐이다), 알콕시-치환된 알킬, 헤테로사이클릴알킬 또는 C4-C5사이클로알킬이되, 여기서 R2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 그룹은 각각 독립적으로 에스테르, 카바메이트, 카보네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유도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R1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질소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R3은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릴, 아르알킬, 할로알킬, 헤테로알킬, 시아노알킬, 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알킬렌-C(O)-R(여기서, R은 수소, 알킬, 하이드록시, 알콕시, 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또는 디알킬아미노이다) 또는 아실이고;
AR1은 아릴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식에서,
n은 1 또는 2이고, 바람직하게는 1이고,
X는 수소, 알킬, 할로, 니트로, 시아노 또는 메톡시이고,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이다.
화학식 I의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 화학식 II 또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에 대해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R1은 수소 또는 메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은 수소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R2는 -CR'R"-Ra(여기서, R' 및 R"는 수소,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알킬이되, 이들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이고, Ra는 하이드록시알킬이다), 알콕시-치환된 알킬, Rx-S(O)2-Ry(여기서, Rx는 알킬이고, Ry는 알케닐이다), C4-C5사이클로알킬 또는 (N-치환된 피페리딘-4-일)메틸, 더욱 바람직하게는 -CR'R"-Ra(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또는 (N-치환된 피페리딘-4-일)메틸, 특히는 (N-치환된 피페리딘-4-일)메틸이며, 여기서 치환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의에서 지적된 바와 같고, R2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 그룹은각각 독립적으로 에스테르, 카바메이트, 카보네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유도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2는 (1,1-디메틸-2-하이드록시)에틸, (1,2-디메틸-2-하이드록시)프로필, (N-메틸-피페리딘-4-일)메틸, [1-디메틸아세트아미도-피페리딘-4-일]메틸, [1-카복시메틸-피페리딘-4-일]메틸, (1,1-디메틸-2-하이드록시)에틸, (1-메틸-3-하이드록시)프로필, (1-메틸-1-하이드록시메틸-2-하이드록시)에틸), [1,1-디(하이드록시메틸)]프로필, (1-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프로필, (1-하이드록시메틸)프로필, (1-하이드록시메틸-2,2-디메틸)프로필, (1-하이드록시메틸-3-메틸)부틸, (2-하이드록시)프로필, (1-메틸-2-하이드록시)에틸, (1-하이드록시메틸-2-메틸)부틸, 2-하이드록시에틸, 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필, 5-하이드록시펜틸, 2-하이드록시부틸, 1-(하이드록시메틸)-2-하이드록시에틸,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 [1-카보시메톡시메틸-피페리딘-4-일]메틸, 또는 [1-카복시메틸-피페리딘-4-일]메틸, 또는 {1-메틸, 2-메틸, 2-[메틸-디설폰]}-에틸이고, R2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 그룹은 각각 독립적으로 에스테르, 카바메이트, 카보네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유도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R1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질소원자와 함께 -알킬렌-S(O)n-Ra-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여기서, n은 0, 1 또는 2, 바람직하게는 0이고, Ra는 알킬이다)을 형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질소원자와함께 -알킬렌-S(O)n-Ra-치환된 아지리디닐(여기서, n은 바람직하게는 0이다)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R3은 수소, 알킬, 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할로알킬, 사이클로알킬, 시아노메틸, 헤테로알킬, 아릴, 아르알킬 또는 -알킬렌-C(O)-R(여기서, R은 수소, 알킬, 하이드록시, 알콕시, 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또는 디알킬아미노이다)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3은 수소, 알킬, 아미노,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릴, 특히 수소, 알킬 또는 아릴이다. 또한, R3은 또한 수소, 아미노, 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사이클로프로필, 시아노메틸, 2-하이드록시에틸, 4-플루오로페닐, 벤질, 카복시메틸 또는 메톡시카보닐메틸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3은 수소, 메틸, 4-플루오로페닐, 아미노 또는 사이클로프로필, 특히 수소, 메틸 또는 4-플루오로페닐이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알킬이고;
R2는 -CR'R"-Ra(여기서, R' 및 R"는 수소 또는 알킬이되, 이들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알킬이고, Ra는 하이드록시알킬이다)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알킬이고;
R3은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릴, 아르알킬, 할로알킬, 헤테로알킬, 시아노알킬, -알킬렌-C(O)-R(여기서, R은 수소, 알킬, 하이드록시, 알콕시, 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또는 디알킬아미노이다) 또는 아실이고;
AR1은 아릴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I
상기 식에서,
n은 1 또는 2이고, 바람직하게는 1이고,
X는 수소, 알킬, 할로, 니트로, 시아노 또는 메톡시이고,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이다.
화학식 I의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II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해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R1은 수소 또는 메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은 수소이다.
바람직하게는, R2는 -CR'R"-Ra(여기서, R' 및 R"는 수소 또는 알킬이되, 이들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알킬이고, Ra는 하이드록시알킬이다) 또는 (N-치환된 피페리딘-4-일)메틸, 더욱 바람직하게는 (1,1-디메틸-2-하이드록시)에틸, (1,2-디메틸-2-하이드록시)프로필, (N-메틸-피페리딘-4-일)메틸, [1-디메틸아세트아미도-피페리딘-4-일]메틸, [1-카복시메틸-피페리딘-4-일]메틸 또는 [1-카보시메톡시메틸-피페리딘-4-일]메틸이다.
바람직하게는, R3은 수소, 알킬, 할로알킬, 사이클로알킬, 시아노메틸, 헤테로알킬, 아릴, 아르알킬 또는 -알킬렌-C(O)-R(여기서, R은 수소, 알킬, 하이드록시, 알콕시, 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또는 디알킬아미노이다)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3은 수소, 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사이클로프로필, 시아노메틸, 2-하이드록시에틸, 4-플루오로페닐, 벤질, 카복시메틸 또는 메톡시카보닐메틸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3은 수소 또는 메틸이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앞서 정의된 바와 같되, R2가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이거나, R3이 여러 정의를 갖는 아미노,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사이클릴알킬 및 아미노이고, R1및 Ar1이 이전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화학식 II 및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R3이 수소인 경우,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호변이성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앞서 정의된 화합물 이외에, 본 발명은 모든 호변이성체 형태를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순수한 키랄 형태이든, 라세믹 혼합물이든 또는 기타 혼합물의 형태이든 상관없이, 화합물 및 모든 입체이성체의 선구약물 형태와 함께 이의 모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된 바람직한 그룹의 조합은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형성하므로, 예컨대 바람직한 치환기 R1, R2및 R3도 또한 화학식 II 및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치환기가 될 것이다.
화학식 I의 몇몇 대표적인 화합물은 하기 표 1에 제시되고 있다.
표 1은 화학식 I의 대표적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시험관내 p38 검정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IC50은, 10 μM 미만, 바람직하게는 5 μ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 μM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 μM 미만이다. 특히, 표 I에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시험관내 p38 검정에서 약 0.712 내지약 0.001 μM의 IC50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수화된 형태를 비롯한 용매화 형태 뿐만 아니라 비용매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화된 형태를 비롯한 용매화 형태는 비용매화 형태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된 화합물들 이외에,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들의 선구약물 형태 및 순수한 키랄 형태든 또는 라세미체 혼합물이든 또는 다른 형태의 혼합물이든 이성체들 모두와 함께 상기 화합물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이들 모든 형태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으로는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 산으로부터 유도된 염; 및 지환족 모노- 및 디-카복실산, 페닐-치환된 알칸산, 하이드록시 알카노산, 알칸디오산, 방향족산, 지방복 및 방향족 설폰산과 같은 유기 산으로부터 유도된 염이 포함된다. 따라서, 이러한 염은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비설페이트, 설파이트, 비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카프릴레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숙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레에이트, 만델레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벤조에이트,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말레에이트, 타르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등이 포함된다. 또한, 아미노산의 염(예: 아르기네이트 등) 및 글루코네이트, 갈락투로네이트가 고려된다[예컨대, 베르게(Berge) 등의 문헌 ("Pharmaceutical Salts, "J. of Pharmaceutical Science, 1977, 66, 1-19) 참조].
기초 화합물의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식으로 자유 염기 형태를 상기 염을 제조하는데 충분한 양의 요구되는 산과 접촉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자유 염기 형태는 염 형태를 염기와 접촉시키고 통상의 방식으로 자유 염기를 단리시킴으로써 재생시킬 수 있다. 자유 염기 형태는 극성 용매중 특정 물리적 특성(예: 용해성)에서의 그들 각각의 염 형태와 다소 상이할 수 있으나, 상기 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그들 각각의 자유 염기와 동일하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 부가염은 금속 이온 또는 아민, 예컨대 알칼리 및 알칼리성 토금속 이온 또는 유기 아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양이온으로서 사용되는 금속 이온의 예로는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등이 포함된다. 적합한 아민의 예로는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클로로프로카인, 클로린, 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메틸글루카민 및 프로카인이 있다[예컨대, 베르게 등의 문헌 ("Pharmaceutical Salts, "J. of Pharmaceutical Science, 1977, 66, 1-19) 참조].
기초 화합물의 염기 부가염은 통상의 방식으로 자유 염기 형태를 상기 염을 제조하는데 충분한 양의 요구되는 염기와 접촉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자유산 형태는 염 형태를 산과 접촉시키고 통상의 방식으로 자유 산을 단리시킴으로써 재생시킬 수 있다. 자유 산 형태는 극성 용매중 특정 물리적 특성(예: 용해성)에서의 그들 각각의 염 형태와 다소 상이할 수 있으나, 상기 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그들 각각의 자유 산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절차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1에 제시된 바와 같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되거나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공급원으로부터 구입될 수 있는) 화학식 Ia의 화합물을 1급 아민(R3-NH2)으로 처리하여 화학식 Ib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이 반응은 반응 조건하에서 불활성인 용매,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특히 디클로로메탄, 선택적으로 할로겐화된 방향족 탄화수소, 열린-쇄 또는 사이클릭 에테르(예: 테트로하이드로푸란), 포름아미드 또는 저급 알칸올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적합하게는, 반응은 약 -20 내지 약 120 ℃에서 수행된다.
화학식 Ib의 화합물을 환원시켜 화학식 Ic의 알콜을 수득한다. 이 환원은 전형적으로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예를 들면, 약 -20 내지 약 70 ℃, 바람직하게는 약 0 ℃ 내지 대략 실온에서, 환원 조건하에서 불활성인 용매, 바람직하게는 열린-쇄 또는 사이클릭 에테르, 특히 테트라하이드로푸란중에서) 수소화 리튬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다음 단계에서, 화학식 Ic의 알콜을 산화시키면 화학식 Id의 카복스알데하이드가 수득된다. 산화는 전형적으로 이산화 망간을 사용하여 수행하지만, 많은 다른 방법들도 또한 이용할 수 있다[예를 들면, 문헌 "Advanced Organic Chemistry, 4THed., March, John Wiley & Sons, New York(1992)" 참조]. 사용된 산화제에 따라, 반응은 특정 산화 조건하에서 불활성인 용매,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특히 디클로로메탄 또는 선택적으로 할로겐화된 방향족 탄화수소중에서 편리하게 수행된다. 적합하게는, 산화는 약 0 내지 약 60 ℃에서 수행된다.
화학식 Id의 카복스알데하이드를 염기의 존재하에 아릴-치환된 아세테이트Ar1-CH2-CO2R(여기서, R은 알킬 그룹이다)와 반응시켜 화학식 Ie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카보네이트(예: 포타슘 카보네이트, 리튬 카보네이트 및 소듐 카보네이트), 비카보네이트(예: 포타슘 비카보네이트, 리튬 비카보네이트 및 소듐 비카보네이트), 아민(예: 2급 및 3급 아민), 및 수지-결합된 아민(예: 1,3,4,6,7,8-헥사하이드로-2H-피리미도[1,3-a]피리미딘)을 비롯한 임의의 비교적 비-친핵성인 염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생성물 수율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반응률을 증가시킥 위해, 반응중에 형성된 물을 공비제거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편리하게는, 상기 반응은, 반응 조건하에서 비교적 극성이지만 불활성인 용매, 바람직하게는 아미드, 예컨대 디메틸 포름아미드, N-치환된 피롤리디논, 특히 1-메틸-2-피롤리디논중에서, 및 약 70 내지 약 150 ℃, 특히는 상기 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또는 그와 근접한 온도에서, 언급한 물의 공비 제거를 보조하게 하기 위해 수행된다.
화학식 Ie의 화합물을 산화제(예컨대, 3-클로로퍼벤조산, 즉 MCPBA) 및 옥손(Oxone; 등록상표)으로 산화시켜 설폰(If)을 수득하며, 이는 다양한 표적 화합물들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전형적으로, 화학식 Ie의 화합물은 산화 조건하에서 불활성인 용매중에서 실시된다. 예를 들면, MCPBA가 산화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용매는 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특히 클로로포름이 바람직하다. 옥손(등록상표)이 산화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용매는 물 또는 유기 용매(예: 아세토니트릴)와 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반응 온도는 사용되는 용매에 따라 달라진다. 유기 용매에서,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약 50 ℃, 바람직하게는 약 0 ℃ 내지 대략 실온이다. 물이 용매로서 사용되는 경우,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0 내지 약 50 ℃, 바람직하게는 약 0 ℃ 내지 대략 실온이다. 다르게는, 레늄/과산화물-기재 시약을 사용하는 촉매 조건하에서 산화가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원에 참고로 전반적으로 인용되고 있는 문헌 "Oxidation of Sulfoxides by Hydrogen Peroxide, Catalyzed by Methyltrioxorhenium(VII)", Lahti, David W.; Espenson, James H,Inorg. Chem. 2000, 39(10) pp. 2164-2167; "Rhenium oxo complexes in catalytic oxidations,"Catal. Today, 2000, 55(4), pp317-363 and "A Simple and Efficient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Pyridine N-Oxides", Coperet, Christophe; Adolfsson, Hans; Khuong, Tinh-Alfredo V.; Yudin, Andrei K.; Sharpless, K. Barry,J. Org. Chem., 1998, 63 (5), pp1740-1741 참조.
화합물(If)을 아민(R2-NH2)으로 처리하면 화학식 I'의 목표 화합물(즉, R1이 수소인 화합물(I))이 수득된다. 그 다음, 상기 화합물 I'를 추가로 알킬화시켜 R1이 수소가 아닌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상기 반응은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수행할 수 있다. 편리하게는, 상기 반응은 약 0 내지 약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실온 내지 약 150 ℃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다르게는, 설폰(If)을 사용하는 것 이외의 몇몇 경우에는, 설파이드(Ie) 또는 상응하는 설폭사이드가 아민(R2-NH2)과 직접 반응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R1R2NH의 아민으로 알킬화하여 직접 화학식 I(여기서, R1및 R2는 발명의 요약 부분에서 기술된 바와 같다)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Ie 또는 If의 화합물을 아민(R2-NH2)으로 처리하고, 선택적으로는 생성물을 R1-L(여기서, R1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지만 수소는 아니고, L은 이탈기이다)과 반응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르게는, 화학식 Ie의 화합물의 카복스알데히드를 하기 반응식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으며, 반응식 1에서의 에스테르 환원 및 알콜 산화에 대한 필요성을 없앤다.
화학식 II-a(여기서, Ra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이다)의 화합물(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공급원으로부터 구입가능하다)을 염기의 존재하에 알킬 포르메이트(예: 메틸포르메이트)로 처리하여 화학식 II-b(여기서, M은 금속이다)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이 반응은 약 0 내지 약 100 ℃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편리하다.전형적으로, 에테르(예: THF) 및 다른 용매(이들은 반응 조건에 불활성이다)가 사용된다. 적합한 염기로는 알콕사이드(예: 3급-부톡사이드) 및 다른 비??거 비친핵성인 염기(이들은 화학식 II-a의 화합물을 탈양성자화할 수 있다)가 포함된다.
염기를 사용하여 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II-b의 화합물을 고리화하여 화학식 II-c의 피리미딘을 수득하였다. 전형적으로, 이 고리화 반응은 염기로서 상응하는 알콕사이드를 사용하는 환류 조건하에서 알콜 용매중에서 실시된다.
염기의 존재하에 알킬화제 R-X1(여기서, R은 알킬 그룹이고, X1은 이탈기, 예컨대 할라이드이다)을 사용하여 화학식 II-c의 화합물을 알킬화하여 화학식 II-d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적합한 염기로는 카보네이트(예: 탄산칼륨, 탄산리튬 및 탄산나트륨) 및 비카보네이트(예: 중탄산칼륨, 중탄산리튬 및 중탄산나트륨)를 비롯한 비교적 비친핵성인 염기가 포함된다. 편의상, 반응은 반응 조건하에서 불활성인 비교적 극성인 용매,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또는 메틸피롤리디논(MP)중에서 실시된다.
화학식 II-d의 화합물을 상기 반응식 1에서 화학식 Ie의 화합물의 제조를 대해 기술된 바와 유사한 조건하에서 아릴-치환된 아세테이트 Ar1-CH2-CO2R(여기서, R은 알킬 그룹이다)과 반응시켜 화학식 Ie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화학식 II-c의 화합물의 알킬화를 아릴-치환된 아세테이트와의 반응 전에 실시하지만, 이들 2개의 반응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으며 가역적일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II-c의 화합물은 아릴-치환된 아세테이트 Ar1-CH2-CO2R와 반응시킬 수 있고, 생성된 생성물은 알킬화제 R-X1을 사용하여 알킬화시켜 화학식 II-e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알킬화제 R3-X2(여기서, R3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X2은 이탈기, 예컨대 할라이드이다)를 사용하여 화학식 II-e의 화합물의 아민 그룹을 알킬화하여 화학식 Ie의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반응식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추가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화학식 II의 아세탈을 알킬 포름메이트와 반응시키고, 생성된 생성물을 티오우레아와 반응시켜 화학식 II-c의 피리미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화학식 II-c의 화합물을 알킬화제 또는 아릴-치환된 아세테이트와 반응시키고, 생성된 생성물을 아릴-치환된 아세테이트 또는 알킬화제와 각각 반응시켜 화학식 II-e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상기 반응식에 대한 특정 변형된 방법이 고려되며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특정 단계들은 특정 반응 조건과 상용되지 않는 작용기를 위한 보호기의 사용과 관련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컨대 약학 제제 형태의 약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약학 제제는 장내 투여, 예컨대 정제, 피복 정제, 당의정, 경질 젤라틴 캡슐, 연질 젤라틴 캡슐, 용액, 유화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경구 투여되거나, 비강 투여, 예컨대 비강 스프레이 형태로 투여되거나, 또는 좌제 형태와 같은 직장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또한 주사용 용액의 형태와 같은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전술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 약학적으로 불활성인 무기 또는 유기 담체와 함께 가공될 수 있다. 락토즈, 옥수수 전분 또는 이의 유도체, 활석, 스테아르산 또는 이의 염 등은 정제, 피복된 정제, 당의정 및 경질 젤라틴 캡슐의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연질 젤라틴 캡슐에 적합한 담체는 예컨대 식물유, 왁스, 지방, 반고체 및 액체 폴리올 등이지만; 활성 성분의 속성에 따라 연질 젤라틴 캡슐의 경우 담체가 통상 필요하지 않다. 용액 및 시럽의 제조에 적합한 담체는 예컨대 물, 폴리올, 슈크로즈, 전환당, 글루코즈 등이다. 좌약에 적합한 담체는 예컨대 천연유 또는 경화유, 왁스, 지방, 반액체 또는 액체 폴리올 등이다.
또한, 약학 제제는 보존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감미제, 착색제, 향미제, 삼투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염, 완충액, 마스킹제 또는 산화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전술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외에 약학적으로 가치있는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상용성 약학적 담체 물질과 관련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는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며, 하나 이상의 이들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필요한 경우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적으로 가치있는 물질을 상용성 약학적 담체와 함께 생약 투여형에 포함시킴을 포함하는, 상기 약제의 제조방법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초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치료 활성 물질, 특히 소염제로서 또는 이식 수술에 따른 이식 거부의 예방을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투여량은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으며, 물론 각각의 개별적인 경우에 개별적인 필요에 따라 적절히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간편하게 일일 투여되는 경우, 투여량은 약 0.1 내지 약 100 ㎎/kg,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 ㎎/kg이다. 일일 투여량은 단일 투여 또는 분리 투여로서 투약될 수 있으며, 또한 앞서 언급된 상위 투여량 한계점은 지적되는 경우 초과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약제, 특히 염증성, 면역성, 종양성, 폐기관지성, 피부성 및 심혈관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천식, 중추 신경계 질환 또는 복합 당뇨병의 치료, 또는 이식 수술에 따른 이식 거부의 예방을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도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인간 또는 다른 포유동물에 의해 TNF 또는 p38 키나제 생성이 과량이거나 비제어됨으로써 악화 또는 야기된 상기 인간 또는 포유동물의 임의의 장애 또는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효과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시킴을 포함하는, 사이토카인-매개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대상의 염증을 치료하고 열병을 치료하기 위한 해열제로서의 용도에 유용할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류마티스성 관절염, 척추 관절병증, 통풍성 관절염, 골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SLE), 연소성 관절염, 골관절염, 통풍 관절염 및 기타 관절염 증상을 포함하는 관절염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화합물은 성인 호흡기 곤란 증후군, 폐형 유육종증, 천식, 규폐증 및 만성 폐 염증성 질환을 포함하는 폐 장애 또는 허파 염증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패혈증, 패혈증성 쇼크, 그람 음성 패혈증, 말라리아, 뇌막염, 염증 또는 악성에 대한 2차 악액질,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에 대한 2차 악액질, AIDS, ARC(AIDS 관련 합병증), 폐렴 및 포진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및 세균성 염증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골 재흡수 질환(예: 골다공증), 내독성 쇼크, 독성 쇼크 증후군, 재관류 손상, 자가 면역 질환(예컨대 이식조직 대 피이식조직 반응 및 동종 이식), 심장 혈관 질환(예컨대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혈전증, 울혈성 심부전 및 심장 재관류 손상), 신장 재관류 손상, 간 질환 및 신장염, 및 감염에 기인한 근육통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알쯔하이머병, 인플루엔자, 다발성 경화증, 암, 당뇨병, 전신성 홍반성 낭창(SLE), 피부 관련 증상(예컨대 건선, 습진, 화상, 피부염 및 켈로이드 형성) 및 반흔 조직 형성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증성 장 질환, 크론병, 위염, 과민성 장 증후군 및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위장관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망막염, 망막병증, 포도막염, 안구 수명 및 안구 조직의 심한 손상과 같은 안과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신생물을 포함하는 혈관 신생; 전이; 각막 이식조직 거부반응, 안구 혈관 신생, 망막 혈관 신생(예컨대 손상 또는 감염 후 혈관 신생), 당뇨성 망막병증, 후수정체 섬유 증식증 및 혈관 신생성 녹내장과 같은 안과적 증상; 위궤양과 같은 궤양성 질환; 인밴타일(invantile) 혈관종을 포함하여 혈관종과 같은 병적이지만 악성이 아닌 증상, 비강인두의 맥관 섬유종, 및 골의 무혈관성 괴사; 당뇨성 신장병 및 심근증; 및 자궁내막증과 같은 여성 생식계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사이클로옥시게나제-2의 생성을 방지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인간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포유동물, 설치류 등을 포함하여 애완 동물, 외래 동물 및 가축을 수의학적으로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더욱 바람직한 동물로는 말, 개 및 고양이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기타 통상적인 항염증제, 예컨대 스테로이드, 사이클로옥시게나제-2 억제제, NSAID(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DMARD(disease-modifying antirheumatic drug; 질환 조정 항류마티스제), 면역 억제제, 5-리폭시게나제 억제제, LTB4길항제 및 LTA4하이드롤라제 억제제의 대신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보조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TNF-매개 장애"란 용어는 TNF가 자체적으로 제어하거나, 또 다른 모노카인(예: IL-1, IL-6 또는 IL-8이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을 방출하게 함으로써 역할을 하는 임의 및 모든 장애와 질환 상태를 언급한다. 이를테면, IL-1이 주성분이고 이의 생성 또는 작용이 TNF에 응답하여 악화되거나 분비되는 질환 상태는, 따라서 TNF에 의해 매개된 장애로 간주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p38-매개 장애"란 용어는 p38가 자체적으로 제어하거나, 또 다른 인자(예: IL-1, IL-6 또는 IL-8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음)를 방출하게 함으로써 역할을 하는 임의의 및 모든 장애와 질환 상태를 의미한다. 이를테면, IL-1이 주성분이고 이의 생성 또는 작용이 p38에 응답하여 악화되거나 분비되는 질환 상태는, 따라서 TNF에 의해 매개된 장애로 간주할 것이다.
TNF-β는 TNF-α(또한, 악액질로도 알려짐)와 밀접한 구조 유사성을 가지며, 이들 각각은 유사한 생물학적 응답을 포함하고 동일 세포 수용체에 결합하며, TNF-α 및 TNF-β 모두는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해 합성이 억제되므로 본원에서는 달리 상세하게 서술되지 않는다면 "TNF"로서 총괄하여 나타낸다.
실시예 1
설폰(1)
이 실시예는 에틸 4-클로로-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복실레이트로부터 설폰(1)의 제조를 예시한다.
단계 1.1 에틸 4-메틸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복실레이트의 제조
디클로로메탄 250 ㎖중의 에틸 4-클로로-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복실레이트(알드리치 케미칼 캄파니(Aldrich Chemical Co.),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 소재) 20 g(86 밀리몰)의 용액을 0 ℃로 냉각시키고, 에탄올중의 33 % 메틸아민 용액 35 ㎖(281 밀리몰)로 서서히 처리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물 150 ㎖를 첨가하고, 상분리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하에 증발시켜 백색 고체로서의 에틸 4-메틸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복실레이트 19 g(97 %)을 수득하였다.
단계 1.2 4-메틸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메탄올의 제조
수소화 리튬 알루미늄(9 g, 237 밀리몰)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00 ㎖중에서 교반시키고,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00 ㎖중의 에틸 4-메틸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복실레이트 34 g(143 밀리몰)의 용액을 적가하여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얼음중에서 냉각시키고, 물 18 ㎖를 적가하여 조심스럽게 처리하였다. 수산화나트륨 용액(36 ㎖, 2M)을 적가한 후, 물 48 ㎖를 적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로 2회 세척하였다. 여액과 세척액을 합치고,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헥산(2:1) 200 ㎖중에 현탁시키고,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시켜 황색 고체로서의 4-메틸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메탄올 23.5 g(86 %)을 수득하였다.
단계 1.3 4-메틸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복스알데하이드
4-메틸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메탄올(20 g, 108 밀리몰)과 디클로로메탄 1 ℓ를 교반하에 합치고, 이산화망간 87 g(1 몰)으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조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 100 ㎖로 세척하고, 여액과 세척액을 합친 것을 감압하에 증발시켜 백색 고체로서의 4-메틸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복스알데하이드 15.8 g(80 %)을 수득하였다.
단계 1.4
NMP 30 ㎖중의 4-메틸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복스알데하이드 3.3 g(18.1 밀리몰)과 에틸-2-클로로페닐아세테이트 4.0 g(20.1 밀리몰)의 혼합물을 1.5 g의 수지, 중합체 결합 1,3,4,6,7,8-헥사하이드로-2H-피리미도[1,2-a]피리미딘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0 ℃로 가열하였다. 48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수지를 NMP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여액을 물로 희석시키고, 여과하였다. 생성물을 여과 및 에틸아세이트로 여액을 추출하여 단리시켰다. 생성물을 5 % 수성 HCl 및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설파이드 4.0 g을 수득하였다(mass spec.MH+=318, 융점 193.0 내지 193.4).
단계 1.5
클로로포름중의 설파이드 13.5 g(42.5 밀리몰)의 용액을 얼음중에서 냉각시키고, 3-클로로퍼벤조산 20.5 g(91 밀리몰)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희석시켰다. 상분리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물을 에틸 에테르중에서 교반하고, 여과하고, 건조시켜 설폰(1) 13.1 g을 수득하였다(mass spec.MH+=350, 융점 232.6 내지 232.8).
실시예 2
설폰(2)
이 실시예는 에틸 4-클로로-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복실레이트로부터 출발하여 6-(2-클로로페닐)-2-메탄설포닐-피리도[2,3-d]피리미딘-7-올의 제조를 예시한 다.
단계 2.1 에틸 4-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복실레이트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00 ㎖중의 4-클로로-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복실레이트(25.4 g, 106 밀리몰, 알드리치 케미칼 캄파니,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 소재)의 용액을 트리에틸아민 50 ㎖ 및 수성 수산화암모늄 40 ㎖로 처리하였다.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 300 ㎖를 첨가하고, 상분리하였다. 유기상을 염수 300 ㎖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염화메틸렌중에 용해시키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의 에틸 4-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복실레이트 16.5 g(95 %)을 수득하였다.
단계 2.2 4-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메탄올
디에틸 에테르중의 수소화 리튬 알루미늄(175 ㎖, 175 밀리몰)의 0 ℃ 용액에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0 ㎖중의 4-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복실레이트(34.7 g, 163 밀리몰)의 용액을 1.5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서서히 가온시킨 후, 다시 0 ℃로 냉각시키고, 그 다음 물 7 ㎖, 2M수산화나트륨 용액 7 ㎖, 이후 물 14 ㎖로 조심스럽게 켄칭(quenching)시켰다. 생성된 현탁액을 여과하고,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 300 ㎖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합치고,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의 4-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메탄올 23.0 g(83 %)을 수득하였다.
단계 2.3 4-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복스알데하이드의 제조
염화메틸렌 800 ㎖중의 4-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메탄올(21.8 g, 128 밀리몰)의 용액을 활성 산화망간 분말(63.0 g, 725 밀리몰)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셀라이트(celite) 패드(pad)를 통해 여과하였다. 고체 잔여물을 고온의 염화메틸렌 및 메탄올의 용액으로 세척을 반복하였다. 여액을 합치고,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의 4-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복스알데하이드 17.5 g(81 %)을 수득하였다.
단계 2.4 6-(2-클로로페닐)-2-메틸티오-피리도[2,3-d]피리딘-7-올의 제조
무수 1-메틸-2-피롤리디논 250 ㎖중의 4-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복스알데하이드(21.7 g, 128 밀리몰) 및 에틸-2-클로로페닐아세테이트(31.3 g, 158 밀리몰)의 용액에 탄산칼륨(63.0 g, 491 밀리몰)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95 ℃에서 교반하고, TLC(20:8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로 관찰하였다. 추가로 에틸-2-클로로페닐아세테이트 12.0 g(60 밀리몰)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95 ℃에서 추가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한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합치고, 물 400 ㎖ 및 에틸 아세테이트 300 ㎖로 희석시켰다. 상분리하고,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황색 침전물이 형성될 때까지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소량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대부분의 생성물은 수성층에 잔존하며 정치시키면 서서히 침출된다. 형성된 현탁액을 여과하고, 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이 절차를 6회 반복하여 총량 31.9 g의 6-(2-클로로페닐)-2-메탄설포닐-피리도[2,3-d]피리미딘-7-올을 수득하였다. Mass spec.M+=303, 융점 234.5 내지 235.3 ℃.
단계 2.5 6-(2-클로로페닐)-2-메탄설포닐-피리도[2,3-d]피리미딘-7-올
6-(2-클로로페닐)-2-메틸티오-피리도[2,3-d]피리미딘-7-올(25.2 g, 82.9 밀리몰)의 용액에 물 200 ㎖중의 옥손(Oxone, 등록상표)(105 g, 171 밀리몰) 슬러리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슬러리를 여과하고, 수거된 고체를 물로 4회 연속적으로 세척하고,건조시켜 밝은 황색 고체로서의 6-(2-클로로페닐)-2-메탄설포닐-피리도[2,3-d]피리미딘-7-올 23.2 g(83 %)을 수득하였다. Mass spec.MH+=336, 융점 215.1 내지 221.1 ℃.
실시예 3
이 실시예는 6-(2-클로로페닐)-2-[(1-메틸-피리딘-4-일메틸)-아미노]-8H-피리도[2,3-d]피리미딘-7-온의 제조를 예시한다.
설폰(2)(0.5 g, 1.49 밀리몰)을 1-메틸-4-아미노메틸피페리딘(0.57 g, 4.47 밀리몰)과 조합하였다. 혼합물을 110 ℃로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잔여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중에 용해시키고, 10 % 메탄올/디클로로메탄중에서의 실리카 겔 상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물들을 합치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여물을 10 % 메탄올/디클로로메탄 15 ㎖중에 용해시키고, 에테르중의 1 당량의 1M HCl로 처리하였다. 용액을 잔여물로 농축시키고, 에테르중에서 분쇄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시켜 6-(2-클로로페닐)-2-[(1-메틸-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8H-피리도[2,3-d]피리미딘-7-온, HCl 염 0.25 g을 수득하였다. Mass spec.MH+=383, 융점 213 내지 220 ℃.
실시예 4
단계 4.1 화합물(4B)의 제조
DMF(30 ㎖)중의 화합물(4A)(4.704 g, 18.94 밀리몰)의 용액에 탄산나트륨(2.2 g, 1.1 당량)을 첨가한 후, 2-클로로-N,N-디메틸 아세트아미드(2.14 ㎖, 1.1 당량)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TLC가 50 % 이상의 출발 물질이 잔존함을 나타내어 반응물을 24 시간 동안 80 ℃에서 추가로 가열하였다. 다시 한 번, TLC 분석이 상당량의 출발 물질이 잔존함을 나타내어, 혼합물을 실온을 냉각시키고, 그 다음 2-클로로-N,N-디메틸 아세트아미드(0.58 ㎖, 0.3 당량)을 추가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4.5시간 동안 80 ℃에서 추가로 가열하고, TLC에 의한 분석은 출발 물질이 거의 잔존하지 않음을 나타내었다. 그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150 ㎖) 및 물(5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배시키고, 층분리하였다. 또한,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1 × 50 ㎖)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였다(3 × 35 ㎖). 유기층을 합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조생성물 9.9 g을 수득하였다. 실리카 겔 및 구배 용출액(순수 디클로로메탄 대 디클로로메탄중의 10 % 메탄올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진한 시럽으로서의 화합물(4B)(3.91 g)을 수득하였다. MH+=334.
단계 4.2 화합물(4C)의 제조
화합물(4B)을 에탄올(120 ㎖)중에 용해시키고, 5분에 걸쳐 상기 용액에 질소 기체로 온건하게 버블링하였다(bubble). 그 다음, 활성탄 상의 10 % 팔라디윰(1.5 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 기압의 수소 기체하에 위치시켰다. TLC에 의한 분석이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나타내어, 혼합물을 2.5 ㎝ 베드(bed)의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오일로서의 화합물(4C), 4-아미노메틸-1-디메틸아미노카보닐메틸-피페리딘(2.15 g)을 수득하였다((M+H)+=200).
단계 4.3 화합물(4)의 제조
설폰(2)(200 ㎎, 0.614 밀리몰), 화합물(4C)(367 ㎎, 3 당량) 및 N-메틸 피롤리디논(0.3 ㎖)을 10 ㎖ 플라스크내에서 혼합하고, 교반하에 110 ℃에서 가열하였다. 5분 후, 혼합유체는 고체로 되돌아가고, TLC 분석에 의해 반응이 완결된 것을 확인하였다. 침전물을 분쇄한 후, 여과하여 백색 분말(235 ㎎)을 수득하였다. 융점 263.1 내지 263.5 ℃, (M+H)+=455. 이 자유 아민(230 ㎎)을 디클로로메탄(50 ㎖) 및 메탄올(50 ㎖)중에 용해시키고, HCl 기체를 15분 동안 용매중에 버블링시켰다 용기를 단단히 봉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50 ℃에서 제거시키고, 디클로로메탄과 함께 2회 동시증발(coevaporate)시켰다. 생성된 HCl 염을 8시간 동안 진공하에 56 ℃에서 건조시켜 회백색 고체로서의 화합물(4)(276 ㎎)을 수득하였다. 융점 211.8 내지 212.8 ℃, (M+H)+=455(자유 염기).
실시예 5
단계 5.1 화합물(5A)의 제조
화합물(4A)(4.632 g, 18.65 밀리몰)을 디메틸포름아미드(30 ㎖)중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탄산나트륨(2.17 g, 1.1 당량) 및 t-부틸 브로모아세테이트(3 ㎖, 1.1 당량)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격렬하에 교반하였다. TLC 분석은 출발 물질이 거의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었다. 에틸 아세테이트(100 ㎖) 및 물(100 ㎖)을 반응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배시키고, 층분리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2 × 100 ㎖)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치고, 물(1 × 75 ㎖) 및 염수(1 × 75㎖)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조생성물 6.5 g을 수득하였다. 용출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중의 3 % 메탄올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진한 시럽으로서의 화합물(5A)(3.95 g)을 수득하였다((M+H)+=363).
단계 5.2 화합물(5B)의 제조
화합물(5A)(3.95 g, 10.9 밀리몰)을 에탄올(125 ㎖)중에 용해시키고, 질소 기체를 5분 동안 온건하게 혼합물에 통과시킨 후, 활성탄(1.5 g) 상의 10 % 팔라디윰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 기압의 수소하에 위치시키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은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나타내고, 반응물을 2.5 ㎝ 베드(bed)의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무색 오일로서의 화합물(5B), 4-아미노메틸-1-3급-부틸옥시카보닐메틸-피페리딘을 수득하였다(2.26 g). (M+H)+=229.
단계 5.3 화합물(5)의 제조
설폰(2)(200 ㎎, 0.614 밀리몰), 화합물(5B)(420 ㎎, 3 당량) 및 N-메틸 피롤리디논을 10 ㎖ 플라스크에서 혼합하고, 교반하에 110 ℃로 가열하였다. 약 10분 후, 혼합유체는 반고체로 되었다. 혼합물을 추가로 20분 동안 교반시키고, TLC 분석은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나타내었다. 그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5 ㎖ 및 헥산 100 ㎖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침전된 생성물을 분쇄하고, 여과하여 백색 분말을 생성하였다. 상기 분말을 헥산 60 ㎖로 세척하고, 진공건조하여 백색 분말로서의 자유 아민 t-부틸 에스테르 270 ㎎을 수득하였다. 융점 217.6 내지 220.0 ℃, (M+H)+=484. 자유 아민을 디옥산(100 ㎖)중에 용해시키고, HCl 기체를 15분 동안 용액에 버블링시켜, 균질액을 형성하였다. 용기를 단단히 봉하고,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8시간 동안 56 ℃에서건조시켜 HCl 염(11)(200 ㎎)을 수득하였다. 융점 235.3 내지 237.9 ℃, (M+H)+=428(자유 아민 카복시산).
실시예 6
6
단계 6.1 화합물(6A)의 제조
화합물(4A)(4.889 g, 19.69 밀리몰)을 디메틸포름아미드(30 ㎖)중에 용해시키고, 탄산나트륨(2.3 g, 1.1 당량)을 첨가한 후, 2-브로모아세트아미드(2.99 g, 1.1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TLC에 의한 분석은 반응이 거의 완결되었음을 나타내었다. 에틸 아세테이트(150 ㎖) 및 물(5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배시키고, 층분리하였다. 유기층을 물(2 × 50 ㎖) 및 염수(1 × 75 ㎖)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진공건조시켜 고체를 수득하였다.헥산(300 ㎖)을 잔여물에 첨가하고, 고체를 분쇄하고, 잘 혼합하였다. 그 다음, 상청액을 따라내었다. 상기 절차를 헥산 300 ㎖로 다시 반복하였다. 잔여물을 진공하에 건조시켜 백색 분말(6A)(3.13 g)을 수득하였다. (M+H)+=306.
단계 6.2 화합물(6B)의 제조
화합물(6A)(3.1 g, 10.2 밀리몰)을 에탄올(250 ㎖)중에 용해시키고, 질소 기체를 5분 동안 혼합물에 온건하게 버블링시켰다. 활성탄(1.45 g) 상의 10 % 팔라디윰의 혼합물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 기압의 수소하에 위치시키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2.5 ㎝ 베드의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40 ℃에서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점착성 백색 고체로서의 화합물(6B)(1.77 g)을 수득하였다. (M+H)+=172.
단계 6.3 화합물(6)의 제조
설폰(2)(400 ㎎, 1.23 밀리몰), 화합물(6B)(630 ㎎, 3 당량) 및 N-메틸 피롤리디논(0.3 ㎖)을 25 ㎖ 플라스크에서 혼합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에 110 ℃로 가열하였다. 혼합유체는 고체로 변하고, TLC 분석은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나타내었다.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 약 20 ㎖로 희석시키고, 백색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시켜 자유 아민 1차 아미드 410 ㎎을 수득하였다. 융점 244.6 내지 245.9 ℃, (M+H)+=427. 그 다음, 이 자유 아민 1차 아미드를 메탄올(100 ㎖)중에 용해시키고, HCl 기체를 10분 동안 용액에 버블링시켰다. 그 다음, 용기를 단단히 봉하고, 3일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40 ℃에서 감압하에 제거시킨 후, 메탄올 10 ㎖를 잔여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0 ㎖)을 첨가하고,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수집하여 회백색 분말로서의 화합물(6)(250 ㎎)을 수득하였다. 융점 220.0 내지 221.1 ℃, (M+H)+=442(자유 염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7
아세토니트릴(5 ㎖)중의 화합물(9B)(0.28 g, 2 밀리몰)의 용액에 TMSCN(0.8 ㎖, 3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에 80 ℃로 가열하였다. 그 다음, 설폰(1)(0.35 g, 1 밀리몰)을 첨가하고, 40분 동안 80 ℃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메탄올(10 ㎖)로 켄칭시키고, 5분 동안 교반하였다. 50℃에서 감압하에 농축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35 ㎖) 및 물(25 ㎖)을 잔여물에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물(2 × 25 ㎖) 및 염수(1 × 25 ㎖)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건조시켜 조질물 408 ㎎을 수득하였다. 제조용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회백색 분말로서의 아민을 수득하였다(299 ㎎). (M+H)+=373, 융점 91.4 내지 93.2 ℃. 자유 아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중에 실온에서 교반하에 용해시키고, 디에틸 에테르중의 1M HCl(1.2 ㎖, 1.5 당량)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55 ℃에서 감압하에 제거시켰다. 6시간 동안 56 ℃에서 고진공하에 추가로 농축시켜 회백색 분말로서의 화합물(7)을 수득하였다(275 ㎎). (M+H)+=373, 융점 178.0 내지 181.5 ℃.
실시예 8
이 실시예는 6-(2-클로로페닐)-2-[(1,1-디메틸-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8H-피리도[2,3-d]피리미딘-7-온의 제조를 예시한다.
설폰(1) 0.350 g(1.0 밀리몰) 및 0.445 g(5.0 밀리몰)의 혼합물을 1시간 동안 120 ℃에서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조생성물을 칼럼크로마토그래피(5 % 메탄올/디클로로메탄)로 정제하여 포움으로서의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중에 현탁시키고, 염산(1.0M/Et2O, 1 당량)을 첨가하고, 20 분 동안 교반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MeOH/Et2O의 혼합물중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생성물을 여과하여 백색 고체를 생성하였다. 수율 190 ㎎. 융점 228.6 내지 228.9 ℃(HCl 염).
실시예 9
아세토니트릴(4 ㎖)중의 화합물(9B)(문헌 [Chem. Pharm. Bull. 45, 1997, 185-188])(0.28 g, 2 밀리몰)의 용액에 TMSCN(0.8 ㎖, 3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균일해질 때까지 80 ℃로 가열하였다. 그 다음, 화합물(9A)(0.4 g, 1 밀리몰)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35분 동안 80 ℃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메탄올 15 ㎖를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 ℃에서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5 ㎖) 및 물(25 ㎖)로 희석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물(1 × 25㎖) 및 염수(1 × 25 ㎖)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질물 445 ㎎을 수득하였다. 헥산중의 50 %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는 제조용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회백색 분말(242 ㎎)로서의 자유 아민을 수득하였다. (M+H)+=453, 융점 204.7 내지 206.0 ℃. 자유 아민을 실온에서 에틸 아세테이트(15 ㎖)중에 용해시키고, 디에틸 에테르(0.6 ㎖, 1.5 당량)중의 1M HC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50 ℃에서 감압하에 제거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56 ℃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켜 회백색 분말로서의 화합물(9)을 수득하였다(219 ㎎). (M+H)+=453, 융점 142.0 내지 149.0 ℃.
실시예 10
1-메틸-2-피롤리디논(0.25 ㎖)중의 설폰(1)(250 ㎎, 0.71 밀리몰) 및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150 ㎎, 1.4 밀리몰)을 12시간 동안 80 ℃에서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물(1 ㎖)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침전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메탄올중에 현탁시켰다. 다시,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목적하는 생성물(10) 83 ㎎을 수득하였다. Mass spec.MH+=374, 융점 200 내지 210.
실시예 11
1-메틸-2-피롤리디논(0.25 ㎖)중의 설폰(1)(250 ㎎, 0.71 밀리몰) 및 2-아미노-2-에틸-1,3-프로판디올(170 ㎎, 1.4 밀리몰)의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80 ℃에서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물(1 ㎖)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침전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메탄올중에 현탁시켰다. 다시,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목적하는 생성물(11) 83 ㎎을 수득하였다. Mass spec.MH+=388, 융점 98.1 내지 102.
실시예 12
1-메틸-2-피롤리디논(0.25 ㎖)중의 설폰(1)(250 ㎎, 0.71 밀리몰) 및 (S)-(+)-2-아미노-3-메틸-1-부탄올(147 ㎎, 1.4 밀리몰)의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80 ℃에서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물(1 ㎖)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침전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메탄올중에 현탁시켰다. 다시,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목적하는 생성물(12) 90 ㎎을 수득하였다. Mass spec.MH+=372, 융점 167.1 내지 169.1.
실시예 13
1-메틸-2-피롤리디논(0.25 ㎖)중의 설폰(1)(250 ㎎, 0.71 밀리몰) 및 (S)-(+)-2-아미노-1-부탄올(127 ㎎, 1.4 밀리몰)의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80 ℃에서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물(1 ㎖)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침전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메탄올중에 현탁시켰다. 다시,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목적하는 생성물(13) 105 ㎎을 수득하였다. Mass spec.MH+=358, 융점 170.5 내지 172.1.
실시예 14
1-메틸-2-피롤리디논(0.25 ㎖)중의 설폰(1)(250 ㎎, 0.71 밀리몰) 및 (S)-3급-루시놀(leucinol)(167 ㎎, 1.4 밀리몰)의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80 ℃에서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물(1 ㎖)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침전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메탄올중에 현탁시켰다. 다시,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목적하는 생성물(14) 116 ㎎을 수득하였다. Mass spec.MH+=386, 융점 171.2 내지 174.0.
실시예 15
1-메틸-2-피롤리디논(0.25 ㎖)중의 설폰(1)(250 ㎎, 0.71 밀리몰) 및 (R)-(-)-루시놀(167 ㎎, 1.4 밀리몰)의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80 ℃에서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물(1 ㎖)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침전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메탄올중에 현탁시켰다. 다시,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목적하는 생성물(15) 178 ㎎을 수득하였다. Mass spec.MH+=386, 융점 173.1 내지 176.2.
실시예 16
1-메틸-2-피롤리디논(0.25 ㎖)중의 설폰(1)(250 ㎎, 0.71 밀리몰) 및 (S)-(+)-2-아미노-1-프로판올(107 ㎎, 1.4 밀리몰)의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80 ℃에서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물(1 ㎖)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침전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메탄올중에 현탁시켰다. 다시,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목적하는 생성물(16) 87 ㎎을 수득하였다. Mass spec.MH+=344, 융점 131.1 내지 132.2.
실시예 17
1-메틸-2-피롤리디논(0.25 ㎖)중의 설폰(1)(250 ㎎, 0.71 밀리몰) 및 (S)-(+)-이소루시놀(isoleucinol)(167 ㎎, 1.4 밀리몰)의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80 ℃에서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물(1 ㎖)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침전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메탄올중에 현탁시켰다. 다시,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목적하는 생성물(17) 200 ㎎을 수득하였다. Mass spec.MH+=386, 융점 140.1 내지 143.6
실시예 18
1-메틸-2-피롤리디논(0.25 ㎖)중의 설폰(1)(250 ㎎, 0.71 밀리몰) 및 세리놀(serinol)(130 ㎎, 1.4 밀리몰)의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80 ℃에서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물(1 ㎖)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침전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메탄올중에 현탁시켰다. 다시,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목적하는 생성물(18) 179 ㎎을 수득하였다. Mass spec.MH+=360, 융점 155.8 내지 157.3.
실시예 19
이 실시예는 6-(2-클로로페닐)-8-메틸-2-메틸티오-8-하이드로피리디노[2,3-d]피리미딘-7-온(VI)의 제조를 예시한다.
3,3-디에톡시-2-포르밀프로피오니트릴 포타슘 염(II)의 제조
무수 THF(1.1 ℓ)중의 3,3-디에톡시프로판-니트릴(I, 283.80 g, 1.98 몰) 및 메틸 포르메이트(148.80 g, 2.48 몰)의 교반된 용액에 10 ℃에서 THF(2.2 ℓ, 2.2 몰)중의 1.0M 포타슘 3급-부톡사이드를 첨가하였다. 첨가하는 45분에 걸쳐 온도를10 내지 15 ℃로 유지시켰다. 첨가 후, 생성된 슬러리를 주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헥산(400 ㎖)을 첨가하고, 추가로 20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하였다. 슬러리를 여과하고, 케이크를 1/1 헥산/THF로 세척하고, 60 ℃의 진공 오븐에서 밤새도록 건조시켰다. 엷게 탄 분말의 수율은 302.5 g(73.0 %)이었다.1H-NMR(CD3OD)는 목적하는 화학식 II와 일치하였다.
4-아미노-2-설파닐피리미딘-5-카브알데하이드(III)의 제조
에탄올(90 ㎖)중의 티오우레아(92.8 g, 1.22 몰)의 슬러리를 환류하에 가열하고,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상기 슬러리에 환류 조건을 유지시키면서 10분에 걸쳐 5개의 분취량으로 25 % 소듐 메톡사이드/메탄올(85.5 ㎖, 0.37 몰) 및 에탄올(285 ㎖)중의 3,3-디에톡시-2-포르밀프로피오니트릴 포타슘 염 II(222.20 g, 1.06 몰)의 현탁액을 첨가하였다(다르게는, 후자의 슬러리를 50 ℃로 가열하면 첨가를 위한 균일 용매를 수득할 수 있다). 추가의 에탄올(150 ㎖)을 첨가하여 교반을 촉진시켰다. 첨가 후, 진한 슬러리는 밝은 황색으로 변하고, 추가로 1시간 동안 환류를 유지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회전식 증발기에서 증발시켜 거의 건조시켰다. 잔여물을 물(940 ㎖)중에 용해시켰다. 조생성물을 30 % 아세트산(280 ㎖)을 첨가함으로써 용액으로부터 침전시키고, 소결 유리 재질의 여과 퍼넬(funnel) 매체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단리하였다. 케이크를 물로 세척하였다(800 ㎖). 30분 동안 고온의 물(1 ℓ)중에서 분쇄하여 정제한 후, 냉각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오븐에서 60 ℃에서 밤새도록 건조한 후, 밝은 황색 고체로서의 생성물 118.9 g(72.3 %)을 수득하였다(후속의 제조에서는 상기 분쇄가 필요치 않음을 나타내었다). HPLC를 실시하여 순도 98.67 %를 수득하였다.1H-NMR(DMSO-d6)은 목적하는 화학식 III과 일치하였다.
4-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브알데하이드(IV)의 제조
아세톤(1.5 ℓ)중의 4-아미노-2-설파닐-피리미딘-5-카브알데하이드(III)(100.00 g, 644.4 몰) 및 325 메시(mesh)의 탄산칼륨(178.10 g, 1.29 몰)용액에 요오도메탄(128.10 g, 902.2 몰)을 서서히 냉각시키면서 2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주말 동안 주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화합물(III)이 잔존함을 나타내었으며 추가로 분취량의 요오도메탄을 첨가하고(8 ㎖), 밤새도록 지속적으로 교반하였다. 다시, TLC는 화합물(III)이 일부 남아 있음을 나타내어 추가로 요오드메탄을 첨가하고(8 ㎖), 추가로 24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하였다. HPLC는 95.9 %의 S-알킬화 생성물 및 3.7 %의 화합물(III)을 나타내었다. 반응 혼합물을 회전식 증발기에서 스트리핑(stipping)하여 거의 건조시켰다. 물(1 ℓ)을 잔여물에 첨가하고, 생성물을 여과를 통해 수집하고, 물(200 ㎖)로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진공 오븐에서 60 ℃에서 밤새도록 건조시켰다. 수율은 103.37 g(94.8 %)이었다. HPLC는 95.8 %의 화합물(IV) 및 4.2 %의 화합물(III)을 나타내었다.
6-(2-클로로페닐)-2-메틸티오-8-하이드로피리디노[2,3-d]피리미딘-7-온(V)의 제조
화합물(IV)(10.00 g, 59.1 몰), 에틸 2-(2-클로로페닐)아세테이트(14.40 g,71.8 몰), NMP(115 ㎖) 및 325 메시의 탄산칼륨(29.00 g, 209.8 몰)의 혼합물을 95 ℃에서 밤새도록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물(800 ㎖)로 희석시켰다. 생성된 슬러리를 밤새도록 교반하고, 여과하여 생성물(V)을 단리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물로 세척하고, 밤새도록 진공 오븐에서 60 ℃에서 건조시켰다. 단리된 수율은 진하게 탄 고체 14.9 g(83.0 %)이었다. HPLC에 의한 분석은 순도 98.3 %를 나타내었다.
6-(2-클로로페닐)-8-메틸-2-메틸티오-8-하이드로피리디노[2,3-d]피리미딘-7-온(VI)의 제조
화합물(V)(0.25 g, 0.82 몰), NMP(5 ㎖), 탄산칼륨(0.11 g, 0.82 밀리몰) 및 요오도메탄(0.14 g, 0.96 밀리몰)의 혼합물을 주위 실온에서 밤새도록 질소하에 교반하였다. 물(15 ㎖)을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교반하였다. 슬러리를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물(10 ㎖)로 세척하였다. HPLC에 의한 분석은 순도 97.8 %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0
이 실시예는 시험관내 p38 (MAP) 키나제의 억제를 측정하기 위한 검정 프로토콜을 설한다.
본 발명 화합물의 시험관내 p-38 MAP 키나제 억제 활성은, 문헌 [Ahn, N. G. et al.,J. Biol. Chem., 266(7), 4200-4227, (1991)]에 기술된 방법을 약간 변형시킨 방법을 이용하여, γ-포스페이트를 p-38 키나제에 의해 γ-33P-ATP로부터 마이엘린(Myelin) 염기 단백질(MBP)로 전이시키는 것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재조합 p38 MAP 키나제의 포스포릴화 형태는, 이. 콜라이(E. Coli)에서 SEK-1 및 MEKK를 이용하여 발현시킨 다음, 니켈 컬럼을 사용하여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포스포릴화된 p38 MAP 키나제를 키나제 완충액(20 mM 3-(N-모르폴리노)프로판설폰산, pH 7.2, 25 mM β-글리세롤 포스페이트, 5 mM 에틸렌 글리콜-비스(베타-아미노에틸 에테르)-N,N,N',N'-테트라아세트산, 1 mM 나트륨 바나데이트, 1 mM 디티오트레이톨, 40 mM 염화 마그네슘)중에 희석하였다. DMSO중에 용해시킨 시험 화합물 또는 오직 DMSO만(대조용)을 첨가하고, 샘플을 30 ℃에서 10 분간 항온처리하였다. MBP 및 γ-33P-ATP를 함유하는 기질 칵테일을 첨가하여 키나제 반응을 개시하였다. 30 ℃에서 20 분간 더 배양한 후, 0.75 % 인산을 가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그 다음, 포스포릴화 MBP는 포스포셀룰로즈 막(메사추세츠주 베드프로드 소재의 밀리포어(Millipore))을 사용하여 잔류 γ-33P-ATP로부터 분리하고, 섬광 계수기(코넥티컷주 메리덴 소재의 패커드(Packard))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 검정에서 활성적이었다. 본 발명의 몇몇 화합물의 p38 억제 활성(IC50으로 나타냄, 분석된 p38 효소를 50 % 억제하는 농도)은 하기와 같다.
(표 1로부터의)CPD # IC50, μM
1 0.052
3 2.196
4 6.266
7 0.0003
8 0.031
10 0.042
11 0.024
12 0.124
13 0.048
18 0.092
실시예 21
이 실시예는 THP1 세포에서 LPS-유도된 TNF-α 생성의 억제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관내 검정을 설명한다.
TNF-α 방출을 억제하는 본 발명 화합물의 능력은, 문헌 [Blifeld, et al.,Transplantation, 51:498-503, (1991)]에 기술된 방법을 약간 변형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a)TNF 생합성의 유도
THP-1 세포를 2.5 × 106세포/㎖의 농도로 배양 배지[15 % 소 태아 혈청, 0.02 mM 2-머캅토-에탄올을 함유하는 RPMI(미들랜드주 게일터스버그 소재의 깁코(Gibco)-BRL)]중에 현탁한 후, 96 웰 플레이트(각 웰에 0.2 ㎖의 분취량)에 플레이팅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DMSO중에 용해시킨 후, 최종 DMSO 농도가 5%가 되도록 배양 배지로 희석하였다. 25 ㎕ 분취량의 시험 용액, 또는 DMSO만을 함유한 배지(대조용)를 각 웰에 가하였다. 세포를 37 ℃에서 30 분간 항온처리하였다. LPS(미저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시그마(Sigma))를 0.5 ㎍/㎖의 최종 농도로 웰에 가하고 세포를 2 시간동안 추가로 항온처리하였다. 항온처리 시간의 종료시, 배양물 상청액을 수거하고 존재하는 TNF-α의 양을 하기 기술하는 바와 같은 ELISA 검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b)ELISA 검정
문헌 [Reimund, J.M. et al.,GUT. Vol. 39(5), 684-689, (1996)]에 기술된 2개의 안티-TNF-α 항체(2TNF-H12 및 2TNF-H34)를 이용하여, 특이적 포획 ELISA 검정에 의해 존재하는 인간 TNF-α의 양을 측정하였다.
폴리스티렌 96-웰 플레이트를 PBS(10 ㎍/㎖) 중, 웰 당 50 ㎕의 항체 2TNF-H12로 코팅하고 4 ℃에서 가습 챔버에서 밤새 가온처리하였다. 플레이트를 PBS로 세척한 다음 실온에서 1 시간동안 PBS 중 5 % 무지 분유(nonfat-dry milk)로 봉쇄하고 PBS 중 0.1 % BSA(소 혈청 알부민)로 세척하였다.
인간 재조합 TNF-α의 원액(미네소타주 미네아폴리스 소재의 알 앤 디 시스템즈(R&D Systems))으로부터 TNF 표준물을 제조하였다. 분석에서 표준물의 농도는 10 ng/㎖에서 출발한 후 6회의 1/2 로그로 단계적으로 희석하였다.
25 ㎕ 분취량의 상기 배양물 상청액 또는 TNF 표준물 또는 배지만(대조용)을 25 ㎕ 분취량의 바이오티닐화 단일클론 항체 2TNF-H34(0.1 % BSA를 함유하는 PBS 중 2 ㎍/㎖)와 혼합한 다음 각 웰에 첨가하였다. 샘플을 실온에서 약하게 진탕시키면서 2 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PBS 중 0.1 % BSA로 3회 세척하였다. 0.416 ㎍/㎖의 퍼옥시다제-스트렙타비딘 및 PBS 중 0.1 % BSA를 함유하는 퍼옥시다제-스트렙타비딘(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소재의 지메드(Zymed)) 용액 50 ㎕를 각 웰에 가하였다. 샘플을 실온에서 1 시간동안 더 배양한 후 PBS 중 0.1 % BSA로 4회 세척하였다. 50 ㎕의 O-페닐렌디아민 용액(0.2M 시트레이트 완충액(pH 4.5) 중 1 ㎍/㎖ O-페닐렌-디아민 및 0.03 % 과산화 수소)을 각 웰에 가하고 샘플을 실온에서 어두운 상태로 30 분간 배양하였다. 샘플의 흡광도 및 기준치를 각각 450 nm 및 650 nm에서 판독하였다. 450 nm에서의 흡광도 대 사용된 농도에 관한 그래프로부터 TNF-α 수준을 측정하였다.
IC50값은 450 nm 흡광도의 최대값이 절반으로 감소하는 시험 화합물의 농도로 정의하였다.
실시예 22
이 실시예는 마우스(또는 래트)에서 LPS-유도된 TNF-α 생성의 억제를 평가하기 위한 생체내 검정을 예시한다.
생체내에서 TNF-α 방출을 억제하는 본 발명 화합물의 능력은, 문헌 [Zanetti, et al.,J. Immunol., 148:1890 (1992); and Sekut, et al.,J. Lab. Clin. Med., 124:813 (1994)]에 기술된 방법을 약간 변형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8 내지 21 g으로 칭량된 암컷 BALB/c 마우스(캘리포니아주 홀리스터 소재의 찰스 리버(Charles River))를 1 주일간 적응시켰다. 각각 8마리의 마우스를 함유하는 그룹들에 0.9 % 염화 나트륨, 0.5 %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4 % 폴리소르베이트 80, 0.9 % 벤질 알콜을 함유하는 수성 비히클(CMC 비히클)에 현탁시키거나 용해시킨 시험 화합물 또는 비히클만(대조군)을 경구 투여하였다. 30 분후에, 마우스에게 20 ㎍의 LPS(미저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시그마)를 복강내 주입하였다. 1.5 시간 후에, 마우스를 CO2흡입에 의해 죽이고 심장천자(cardio centesis)로 혈액을 수거하였다. 혈액을 15,600 X g에서 5 분간 원심분리하여 정화시키고 혈청을 깨끗한 튜브로 옮기고, 제조업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ELISA 검정(캘리포니아주 카마릴로 소재의 바이오소스 인터내셔날(Biosource International))으로 TNF-α에 대해 분석할 때까지 -20 ℃에서 냉동시켰다.

Claims (24)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선구약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알킬이고;
    R2는 -CR'R"-Ra(여기서, R' 및 R"는 수소,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알킬이되, 이들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이고, Ra는 하이드록시알킬이다), Rx-S(O)2-Ry(여기서, Rx는 알킬이고, Ry는 알케닐이다), 알콕시-치환된 알킬, 헤테로사이클릴알킬 또는 C4-C5사이클로알킬이되, 여기서 R2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 그룹은 각각 독립적으로 에스테르, 카바메이트, 카보네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유도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R1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질소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R3은 수소, 알킬, 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사이클로알킬, 아릴, 아르알킬, 할로알킬, 헤테로알킬, 시아노알킬, -알킬렌-C(O)-R(여기서, R은 수소, 알킬, 하이드록시, 알콕시, 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또는 디알킬아미노이다) 또는 아실이고;
    AR1은 아릴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AR1이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AR1이 1 또는 2개의 할로, 알킬 또는 메톡시 그룹으로 독립적으로 치환된 페닐 그룹인 화합물.
  4. 제 3 항에 있어서,
    AR1이 2-클로로페닐, 2-메틸페닐 또는 2-메톡시페닐인 화합물.
  5. 제 4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인 화합물.
    화학식 III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또는 메틸인 화합물.
  7. 제 6 항에 있어서,
    R2가 (1,1-디메틸-2-하이드록시)에틸, (1,2-디메틸-2-하이드록시)프로필 또는 (1-치환된 피페리딘-4-일)메틸이되, R2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 그룹은 각각 독립적으로 에스테르, 카바메이트, 카보네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유도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화합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9. 하기 화학식 Ig의 화합물을 충분한 조건하에서 식 R1R2NH의 아민과 접촉시켜 화학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 R2, R3및 Ar1은 제 1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n은 0 내지 2의 정수이고,
    R6은 알킬 그룹이다.
  10. 제 9 항에 있어서,
    n이 1인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n이 2인 방법.
  12. (a) 식 NC-CH2-CH(ORa)2(여기서, Ra는 알킬임)의 아세탈을 충분한 조건하에서 축합화 염기의 존재하에 식 HCO2R(여기서, R은 알킬임)의 알킬 포르메이트와 접촉시켜 축합 생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축합 생성물을 충분한 조건하에서 고리화 염기의 존재하에 티오우레아와 접촉시켜 하기 화학식 II-c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II-c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축합화 염기가 3급-부톡사이드인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화 염기가 알콕사이드인 방법.
  15. (a) 하기 화학식 II-c의 피리미딘을 충분한 조건하에서 알킬화 염기의 존재하에 식 R-X1의 알킬화제와 접촉시켜 하기 화학식 II-d의 알킬화 피리미딘을 제조하고, (b)상기 화학식 II-d의 알킬화 피리미딘을 충분한 조건하에서 고리화 염기의 존재하에 식 Ar1-CH2-CO2R의 아릴 아세테이트와 접촉시켜 하기 화학식 II-e의 피리도피리미딘을 제조하거나; 또는
    (a) 하기 화학식 II-c의 피리미딘을 충분한 조건하에서 고리화 염기의 존재하에 식 Ar1-CH2-CO2R의 아릴 아세테이트와 접촉시켜 하기 화학식 3의 티올 피리도피리미딘을 제조하고, (b) 상기 화학식 3의 티올 피리도피리미딘을 충분한 조건하에서 알킬화 염기의 존재하에 식 R-X1의 알킬화제와 접촉시켜 하기 화학식 II의 피리도피리미딘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II-e의 피리도피리미딘의 제조방법.
    화학식 II-c
    상기 식에서,
    X1은 이탈기이고,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이고,
    Ar1은 아릴이다.
  16. 제 15 항에 있어서,
    X1이 할라이드인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의 피리도피리미딘을 충분한 조건하에서 식 R3-X2의 질소 알킬화제와접촉시켜 하기 화학식 Ie의 N-치환된 피리도피리미딘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상기 식에서,
    R3은 알킬, 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사이클로알킬, 아르알킬, 할로알킬, 헤테로알킬, 시아노알킬, -알킬렌-C(O)-R'(여기서, R'는 수소, 알킬, 하이드록시, 알콕시, 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또는 디알킬아미노이다) 또는 아실이고,
    X2는 이탈기이고,
    AR1및 R은 제 15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18. 제 17 항에 있어서,
    X2가 할라이드인 방법.
  19. 제 9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
  2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 활성제로서의 화합물.
  21. p38-매개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용도.
  22. p38-매개 장애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제 1 항의 화합물을 치료 효과량으로 투여함을 포함하는 p38-매개 장애의 치료 방법으로서,
    상기 p38-매개 장애가 관절염, 크론병, 알쯔하이머병, 과민성 장 증후군, 성인 호흡기 곤란 증후군 또는 만성 폐쇄 폐 질환인 방법.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p38-매개 장애가 관절염, 크론병, 알쯔하이머병, 과민성 장 증후군, 성인 호흡기 곤란 증후군 또는 만성 폐쇄 폐 질환인 용도 또는 방법.
  24. 본원에 기술된 발명.
KR1020037002955A 2000-08-31 2001-08-22 7-옥소 피리도피리미딘 KR100582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957700P 2000-08-31 2000-08-31
US60/229,577 2000-08-31
PCT/EP2001/009688 WO2002018379A2 (en) 2000-08-31 2001-08-22 7-oxo pyridopyrimidi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423A true KR20030022423A (ko) 2003-03-15
KR100582325B1 KR100582325B1 (ko) 2006-05-22

Family

ID=2286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955A KR100582325B1 (ko) 2000-08-31 2001-08-22 7-옥소 피리도피리미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EP (1) EP1315727B1 (ko)
JP (1) JP4146721B2 (ko)
KR (1) KR100582325B1 (ko)
CN (2) CN100358892C (ko)
AR (1) AR033996A1 (ko)
AT (1) ATE298751T1 (ko)
AU (2) AU1214702A (ko)
BR (1) BR0113590A (ko)
CA (1) CA2420122A1 (ko)
DE (1) DE60111752T2 (ko)
ES (1) ES2243568T3 (ko)
GT (1) GT200100190A (ko)
MX (1) MXPA03001733A (ko)
PA (1) PA8527401A1 (ko)
PE (1) PE20020524A1 (ko)
UY (1) UY26920A1 (ko)
WO (1) WO2002018379A2 (ko)
ZA (1) ZA2003010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25072A1 (en) * 2002-04-19 2003-11-03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Novel compounds
WO2004060346A2 (en) 2002-12-30 2004-07-22 Angiotech International Ag Drug delivery from rapid gelling polymer composition
US20070020234A1 (en) * 2003-07-07 2007-01-25 Vande Woude George F Inhibition of tumor angiogenesis by combination of thrombospondin-1 and inhibitors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WO2005105097A2 (en) * 2004-04-28 2005-11-10 Gpc Biotech Ag Pyridopyrimidines for treating inflammatory and other diseases
AU2005254800B2 (en) * 2004-06-15 2010-12-09 Pfizer Inc. Benzimidazolo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JP4968066B2 (ja) * 2005-04-25 2012-07-04 宇部興産株式会社 4−アミノ−2−アルキルチオ−5−ピリミジンカルバルデヒドの製法
JP2006321749A (ja) * 2005-05-19 2006-11-30 Ube Ind Ltd 2−シアノマロンアルデヒドのアルカリ金属塩の製法
AU2007211684A1 (en) 2006-01-31 2007-08-09 F. Hoffmann-La Roche Ag 7H-pyrido[3,4-d]pyrimidin-8-ones, their manufacture and use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WO2008055842A1 (en) * 2006-11-09 2008-05-15 F. Hoffmann-La Roche Ag Substituted 6-phenyl-pyrido [2,3-d] pyrimidin-7-one derivatives as kinase inhibitor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CA2690327A1 (en) 2007-06-15 2008-12-18 Thomas P. Cleary A nove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amino-pentan-1,5-diol
KR20120104200A (ko) * 2009-10-09 2012-09-20 아프락시스 인코포레이티드 Cns 장애의 치료를 위한 8­에틸­6­(아릴)피리도[2,3­d]피리미딘­7(8h)­온
US20120184542A1 (en) 2011-01-19 2012-07-19 Kevin Anderson Pyrido pyrimidines
BR112014023460B1 (pt) * 2012-03-22 2020-09-01 Oscotec, Inc Composto, formulação farmacêutica, uso de um composto
EP3943087A1 (en) 2013-03-15 2022-01-26 Celgene CAR LLC Heteroaryl compounds and uses thereof
AR095464A1 (es) 2013-03-15 2015-10-21 Celgene Avilomics Res Inc Compuestos de heteroarilo y usos de los mismos
CN105307657B (zh) 2013-03-15 2020-07-10 西建卡尔有限责任公司 杂芳基化合物和其用途
AU2018346712B2 (en) 2017-10-05 2021-04-01 Fulcrum Therapeutics, Inc. P38 kinase inhibitors reduce DUX4 and downstream gene expression for the treatment of FSHD
US10342786B2 (en) 2017-10-05 2019-07-09 Fulcrum Therapeutics, Inc. P38 kinase inhibitors reduce DUX4 and downstream gene expression for the treatment of FSHD
US20210261544A1 (en) * 2018-09-14 2021-08-26 Abbisko Therapeutics Co., Ltd. Fgfr inhibitor,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CN115960098A (zh) * 2020-09-11 2023-04-14 上海凌达生物医药有限公司 一类含氮稠环类化合物的制备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3168A (ja) * 1984-09-28 1986-04-26 Ube Ind Ltd 2−メルカプト−4−アミノ−5−ホルミルピリミジンおよびその製法
IL117923A (en) * 1995-05-03 2000-06-01 Warner Lambert Co Anti-cance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polysubstituted pyrido¬2,3-d¾pyrimidine derivatives and certain such novel compounds
CA2254768A1 (en) * 1996-05-20 1997-11-27 Jinlong Jiang Antagonists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US5945422A (en) * 1997-02-05 1999-08-31 Warner-Lambert Company N-oxides of amino containing pyrido 2,3-D! pyrimidines
US6184226B1 (en) * 1998-08-28 2001-02-06 Scios Inc. Quinazoli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P-38 α
EP1315726A1 (en) * 2000-08-31 2003-06-04 F. Hoffmann-La Roche Ag 7- oxo pyridopyrimidines as inhibitors of cellular prolif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3001733A (es) 2003-05-27
WO2002018379A2 (en) 2002-03-07
PE20020524A1 (es) 2002-06-18
ATE298751T1 (de) 2005-07-15
CN1721412A (zh) 2006-01-18
WO2002018379A3 (en) 2002-07-25
EP1315727A2 (en) 2003-06-04
PA8527401A1 (es) 2002-07-30
KR100582325B1 (ko) 2006-05-22
GT200100190A (es) 2002-05-23
BR0113590A (pt) 2003-07-22
CA2420122A1 (en) 2002-03-07
AU2002212147B2 (en) 2007-10-18
ZA200301078B (en) 2004-05-07
UY26920A1 (es) 2002-02-28
CN100358892C (zh) 2008-01-02
CN1451004A (zh) 2003-10-22
ES2243568T3 (es) 2005-12-01
CN1303072C (zh) 2007-03-07
JP4146721B2 (ja) 2008-09-10
DE60111752T2 (de) 2006-05-04
JP2004507540A (ja) 2004-03-11
AR033996A1 (es) 2004-01-21
DE60111752D1 (de) 2005-08-04
AU1214702A (en) 2002-03-13
EP1315727B1 (en)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325B1 (ko) 7-옥소 피리도피리미딘
RU2324695C2 (ru) 6-АЛКОКСИПИРИДОПИРИМИДИНЫ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ОБЛАДАЮЩАЯ АКТИВНОСТЬЮ ИНГИБИТОРОВ КИНАЗЫ МАР р38
KR100571339B1 (ko) 세포증식 억제제로서의 7-옥소 피리도피리미딘
RU2269527C2 (ru) Производные пиридопиримидинов,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их основе
EP2464647B1 (en) Azaindazoles as btk kinase modulators and use thereof
KR100537241B1 (ko) P38 단백질 키나제의 억제제로서의 알킬아미노 치환된이중고리 질소 헤테로고리 화합물
AU2002212147A1 (en) 7-OXO pyridopyrimidines
JP4616839B2 (ja) ヒドロキシアルキル置換ピリド−7−ピリミジン−7−オン類
US6753427B2 (en) 7-oxo-pyridopyrimidines (II)
KR100793688B1 (ko) P-38 미토겐 활성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6-알콕시-피리도-피리미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