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4493A - 편향요크의 코일과 코어 접착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핫멜트 접착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의 코일과 코어 접착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핫멜트 접착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4493A
KR20030004493A KR1020010039995A KR20010039995A KR20030004493A KR 20030004493 A KR20030004493 A KR 20030004493A KR 1020010039995 A KR1020010039995 A KR 1020010039995A KR 20010039995 A KR20010039995 A KR 20010039995A KR 20030004493 A KR20030004493 A KR 20030004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melt
melt adhesive
weight
parts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단양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단양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단양솔텍
Priority to KR1020010039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4493A/ko
Publication of KR20030004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49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 내에 구비되는 편향요크의 코일과 코어 접착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접착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기재 중합체; 1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접착부여수지;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희석제;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물성보강제; 및 1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충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에서도 그 내열성이 보존되어 접착력을 유지됨은 물론, 그 접착력 또는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편향요크의 코어와 편향코일이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브라운관의 제품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는 열가소성의 성질을 갖기 때문에 접착이 행해진 후에도 접착제를 다시 회수하여 이를 재사용할 수 있는 특성이 있어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Description

편향요크의 코일과 코어 접착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접착제 제조방법 {COMPOSITION OF HOT MELT ADHESIVE FOR BINDING THE COIL AND CORE OF A DEFLECTION YOR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HOT MELT ADHESIV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브라운관 내에 구비되는 편향요크의 코일과 코어 접착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접착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브라운관 후면에 구비되는 편향 요크의 코아에 감겨지는 코일의 접착에 이용되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접착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 내에 구비되는 편향요크(약칭하여 'DY'라고도 함)는 모니터의 핵심부품으로 편향요크 코일이 어떠한 기능을 발휘하느냐에 따라 모니터의 브라운관의 품질이 좌우된다. 편향요크는 전자빔의 분사속도 및 분사량 편향 궤도의 조절 기능에 따라 성능이 결정되며, 수직 코일과 수평코일에 의해 편향궤도가 결정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편향요크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브라운관 내에 구비되는 편향요크에 관한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모니터의 브라운관은 형광체층(2)이 형성된 패널(1)과, 상기 패널의 내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에 형광체층과 일정간격 유지되게 고정되어 전자빔의 색 선별 역할을 하는 섀도우마스크(3)와, 상기 패널과 프릿 그라스에 융착 고정되며 후방에 가느다란 네크부(4a)가 일체로 형성된 펀넬(4)과, 상기 네크부(4a)에 수용되어 전자빔(6)을 형광체층으로 방사하는 전자총(5)과 상기 펀넬의 콘부에 설치되어 전자총에서 방사된 전자빔을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요크(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네크부(4a)에 봉입된 전자총(5)에 전원이 인가되어 형광체층(2)으로 전자빔을 주사하면 주사된 전자빔은 편향요크(7)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편향된 상태로 섀도우마스크(3)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형광체를 발광시키게 되므로 소정의 화상이 재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역할을 하는 편향요크(7)는 전자총(5)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6)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 편향 코일(8)과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직 편향코일(9)과, 상기 수직 및 수평 편향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의 손실을 줄여 자기효율을 향상시키는 원추형의 페라이트 코어(10)와 상기 수직 및 수형 편향코일과 페라이트 코어(10)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켜주며, 수직 및 수평 편향 코일사이를 절연시켜주는 홀더(1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상용되고 있는 편향요크는 도 1과 같이 브라운관의 펀넬 콘부(4b)의 단면형상이 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를 감싸면서 감겨져 있는 수직 및 수평 편향코일의 형상 또한 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편향요크의 수평 편향코일(8)에는 일반적으로 15,75kHz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인가하여 그 인가된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브라운관 내부의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켜준다. 또한, 수직 편향코일(9)에는 보통 60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인가하여 그 인가된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브라운관 내부의 전자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켜 준다.
이러한, 편향요크의 코어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감싸고 있는 코일은 제품 사용에 따라 전자계에서 기인하는 열에 의해 팽창이 이루어지는 등으로 인해 긴밀하게 코어를 감지 못하게 되어 상기 전술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해, 결국에는 브라운관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편향요크의 코어를 감싸고 있는 코일의 긴밀한 휘감김을 확보하기 위해 소정의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핫멜트 접착제는 브라운관 제품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열에 취약하여 종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브라운관 사용시 제품 내부온도가 최소 120℃인 점을 감안하여 그 이상의 온도에서도 내열성을 유지하며, 그 접착성이 고온에서도 그대로 유지되어 수평 또는 수직 편향 코일이 편향요크 코어에 긴밀하게 휘감겨있도록 해줄 수 있는 접착제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온에서도 그 내열성이 보존되어 브라운관 내의 편향요크 코어와 편향코일이 긴밀하게 접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접착제의 접착성 불량으로 인해 편향요크 코어와 편향 코일이 서로 이격 분리됨으로써 브라운관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접착강도를 향상시키며, 가열하면 연화하여 쉽게 변형되고 식히면 다시 굳어지는 열가소성물질특성을 적절히 활용하여 접착제를 재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 달성을 위한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접착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브라운관 내에 구비되는 편향요크에 관한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핫멜트 접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패널3...섀도우마스크4...펀넬
4a...네크부4b...콘부5...전자총
6...전자빔7...편향요크8...수평편향코일
9...수직편향코일11...홀더102...접착부여수지
104...희석제106...물성보강제108...난연제
112...기재중합체114...충진제122...기타첨가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한, 편향요크의 코일과 코어 접착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은,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기재 중합체; 1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접착부여수지;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희석제;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물성보강제; 및 1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충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서, 상기 기재 중합체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이면 바람직하며, 상기 접착성 부여수지는 석유수지, 글리세린수지, 구마론 인덴수지, 알킬페놀수지, 테르펜수지, 아크릴계수지, 염소화바이페닐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왁스 중 선택된 하나의 로진계 유도체이면 바람직하고, 상기 희석제는, 폴리부텐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및 폴리에틸렌 왁스 중 선택된 하나의 왁스이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폴리프로필렌 왁스는 그 분자량이 500 내지 3000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폴리프로필렌 왁스는 그 분자량이 500 미만이면 내열성이 감소하고 내열 응집력이 매우 약해지며, 분자량이 3000을 초과하면접착성 부여수지의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물성보강제는 접착력보강을 위한 열가소성수지인 고무계열의 블록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공중합체, 폴리(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공중합체, 폴라아마이드, 폴리에스터 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공중합체 등이 이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물성보강제는 접착층의 크랙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충진제는 실리콘디옥사이드, 칼슘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벤토나이드, 제올라이트 및 마그네슘카보네이트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이 혼합물이면 바람직하며, 상기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 그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부의 난연제로서, 상기 난연제는 1,2비스-트리 브로모 페녹시-에텐 물질 또는 트리 이소 프로필레이티드 페닐 포스페이트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 그 중량 대비 0.5 내지 2 중량부의 산화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안료가 더 포함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핫멜트 접착제 제조 방법은 (a)1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접착부여수지와,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희석제와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물성보강제 및 5 내지 15 중량부의 난연제를 각각 정량하여 소정의 혼합기에 투입하는 단계; (b)상기 혼합기 내부 온도를 200 내지 250℃로 유지하면서, 1 내지 3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혼합성분을 녹이는 단계; 및 (c)상기 혼합성분이 용융된 혼합기 내에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기재 중합체와 1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충진제를 투입한 후, 혼합기 내부 온도를 200 내지 250℃로 유지하면서, 1 내지 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c)단계 이후에, 0.5 내지 2 중량부의 산화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안료를 상기 혼합기 내에 투입하고 30 내지 40분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지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핫멜트 접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1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접착부여수지(102)와,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희석제(104)와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물성보강제(106) 및 5 내지 15 중량부의 난연제(108)를 각각 정량하여 소정의 혼합기에 투입한 후, 상기 혼합기 내부 온도를 200 내지 250℃로 유지하면서, 1 내지 3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혼합성분을 녹이는 단계를 진행한다(제1차 혼합 가열 교반 단계, S100). 이어서, 상기 혼합성분이 용융된 혼합기 내에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기재 중합체(112)와 1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충진제(114)를 투입한 후, 혼합기 내부 온도를 200 내지 250℃로 유지하면서, 1 내지 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한다(제2차 혼합 가열 교반 단계, S110). 한편, 상기 제2차 혼합 가열 교반 단계(S110) 이후에, 0.5 내지 2 중량부의 산화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안료 등의 기타 첨가제(122)를 상기 혼합기 내에 투입하고 30 내지 40분동안 교반한다(제3차 혼합 교반 단계, S120). 이후, 핫멜트 접착제의 상품화를 위해 적량을 계량하여 최종 산품으로 포장하는 과정(S130)을 진행하면 핫멜트 접착제의 제조 및 그 포장 단계가마무리된다.
상기 진행되는 핫멜트 접착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핫멜트 접착제의 물리적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각 성분의 함량을 달리하면서 제조방법을 수행한 서로 다른 실시예를 설정하였으며, 종래의 핫멜트 접착제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비교예를 설정하였다.
또한,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각의 핫멜트 접착제의 물리적 특성 중, 접착제의 용융점도는 브룩필드 점도계를 사용하여 200℃에서 측정하였으며, 이들 접착제의 연화점은 ASTM E-28 링볼(Ring Ball)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이들 접착제의 접착강도은 인스트론 테스트머신을 사용하였으며, 크로스 헤드 스피드는 50㎜/min이며, 5개의 파괴하중의 평균치를 사용하였다. 이때, 접착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접착제를 길이 10㎝, 넓이 2.5㎝, 두께 1㎜의 폴리에틸렌 피착제를 열프레스로 만든다. 상기 피착제의 표면상태는 매끄럽게 하며, 표면이 긁혔거나 거칠어져 있으면 안된다. 시험 표면은 최소 12.5㎜, 최대 14.5㎜로 겹쳐져야 한다. 그 시험에 사용된 접착제는 200℃에서 용융도포된 후, 1㎏의 무게로 10분 동안 눌러 접착시킨다.
<실시예 1>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르되, 접착 부여수지로 석유수지(상표명:SU-120) 11.8g, 희석제로 폴리프로필렌 왁스(상표명:JQ-300p) 11.8g, 물성보강제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상표명:H-1052), 난연제로 브롬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1,2-비스 (트리브로모페닐) 에텐 [bis(tribromophenoxy)ethane] 3.5g, 기재 중합체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상표명:UT-2280) 17g, 충진제로 실리콘옥사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탈크 28g을 각각 이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성분과 함량으로 제조된 핫멜트 접착제에 대한 물성, 예컨대 용융점도, 연화점 및 접착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사용된 접착부여수지로 석유수지 대신 글리세린 로진 에스테르를 사용하고, 그 함량을 16g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물성보강제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대신 접착층의 크랙방지를 위한 공중합체(상표명 M-580) 3.80g으로 대체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사용된 물성보강제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대신 접착층의 크랙방지를 위한 공중합체(상표명 M-580) 3.80g으로 대체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물성보강제로 사용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사용을 배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물성보강제로 사용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사용을 배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3에서 물성보강제로 사용된 접착층의 크랙방지를 위한 공중합체의 사용을 배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4에서 물성보강제로 사용된 접착층의 크랙방지를 위한 공중합체의 사용을 배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였다.
구분 용융점도(poise)(at 200℃) 연화점(℃) 폴리에틸렌 접착강도(㎏/㎠)
실시예 1 2500 155 35 이상
실시예 2 2700 154 34 이상
실시예 3 2300 152 32 이상
실시예 4 2500 153 36 이상
비교예 1 2900 147 29 이상
비교예 2 3200 145 22 이상
비교예 3 3300 147 24 이상
비교예 4 3300 140 20 이상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 및 이에 대비되는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시예 1 내지 4에서의 용융점도는 2300 내지 2700(poise)로 측정된 반면, 비교예 1 내지 4에서는 2900 내지 3300(poise)로 측정되어, 비교예들에 비해 실시예에서는 그 용융점도가 약 400 내지 1000(poise)가 더 낮게 측정되었는데, 접착제의 용융점도는 낮을 수록 유동성 확보가 좋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들의 이용의 편리성이 보장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화점은 높을수록 접착제의 성능이 우수해지는데, 비교예들에 비해 실시예들에서 그 연화점들이 약 7 내지 9℃ 정도 더 높게 측정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에 대한 접착강도 실험에서도 더 높은 수치로 측정되어 접착력이 더 우수하게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핫멜트 접착제는 120℃ 이상의 고온에서도 그 내열성이 보존되어 접착력을 유지됨은 물론, 그 접착력 또는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편향요크의 코어와 편향코일이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브라운관의 제품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는 열가소성의 성질을 갖기 때문에 접착이 행해진 후에도 접착제를 다시 회수하여 이를 재사용할 수 있는 특성이 있어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Claims (13)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기재 중합체;
1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접착부여수지;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희석제;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물성보강제; 및
1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충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중합체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부여수지는 석유수지, 글리세린수지, 구마론 인덴수지, 알킬페놀수지, 테르펜수지, 수소화로진에스테르수지, 아크릴계수지, 염소화바이페닐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왁스 중 선택된 하나의 로진계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폴리부텐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및 폴리에틸렌 왁스 중 선택된 하나의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왁스는 그 분자량이 500 내지 3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보강제는 접착력보강을 위한 열가소성수지인 고무계열의 블록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보강제는 접착층의 크랙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실리콘디옥사이드, 칼슘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벤토나이드, 제올라이트 및 마그네슘카보네이트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이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 그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부의 난연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1,2비스-트리 브로모 페녹시-에텐 물질 또는 트리 이소 프로필레이티드 페닐 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 그 중량 대비 0.5 내지 2 중량부의 산화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안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핫멜트 접착제 제조 방법에 있어서,
(a)1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접착부여수지와,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희석제와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물성보강제 및 5 내지 15 중량부의 난연제를 각각 정량하여 소정의 혼합기에 투입하는 단계;
(b)상기 혼합기 내부 온도를 200 내지 250℃로 유지하면서, 1 내지 3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혼합성분을 녹이는 단계; 및
(c)상기 혼합성분이 용융된 혼합기 내에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기재 중합체와 1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충진제를 투입한 후, 혼합기 내부 온도를 200 내지 250℃로 유지하면서, 1 내지 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제조 방법.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에, 0.5 내지 2 중량부의 산화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안료를 상기 혼합기 내에 투입하고 30 내지 40분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제조 방법.
KR1020010039995A 2001-07-05 2001-07-05 편향요크의 코일과 코어 접착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핫멜트 접착제 제조방법 KR20030004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995A KR20030004493A (ko) 2001-07-05 2001-07-05 편향요크의 코일과 코어 접착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핫멜트 접착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995A KR20030004493A (ko) 2001-07-05 2001-07-05 편향요크의 코일과 코어 접착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핫멜트 접착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493A true KR20030004493A (ko) 2003-01-15

Family

ID=2771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995A KR20030004493A (ko) 2001-07-05 2001-07-05 편향요크의 코일과 코어 접착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핫멜트 접착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44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1629B2 (en) 2011-12-15 2016-06-21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Good-efficiency RPM zone display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865A (ja) * 1993-10-15 1995-09-19 Dainippon Ink & Chem Inc 製本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
KR20000058683A (ko) * 2000-06-24 2000-10-05 정하승 폴리올레핀 타입의 편향 요크용 핫멜트 조성물
JP2001139911A (ja) * 1999-10-29 2001-05-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ポリオレフィン接着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KR20020032748A (ko) * 2000-10-27 2002-05-04 정하승 전자부품용 핫멜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865A (ja) * 1993-10-15 1995-09-19 Dainippon Ink & Chem Inc 製本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2001139911A (ja) * 1999-10-29 2001-05-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ポリオレフィン接着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KR20000058683A (ko) * 2000-06-24 2000-10-05 정하승 폴리올레핀 타입의 편향 요크용 핫멜트 조성물
KR20020032748A (ko) * 2000-10-27 2002-05-04 정하승 전자부품용 핫멜트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1629B2 (en) 2011-12-15 2016-06-21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Good-efficiency RPM zone display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6205B2 (en) Foamable adhesive composition
CN103045111A (zh) 一种用于极性聚合物与金属粘结的聚酯热熔胶
US20110056616A1 (en) Adhesive tape and its use as a cable bandaging tape
US3566321A (en) Adhesive mounting means for a cathode ray tube-yoke combination
KR100314881B1 (ko) 폴리올레핀 타입의 편향 요크용 핫멜트 조성물
KR20200026957A (ko) 핫멜트 조성물 및 밀봉재
EP4039378B1 (e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producing adhesive tape
KR20030004493A (ko) 편향요크의 코일과 코어 접착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핫멜트 접착제 제조방법
JP5499318B2 (ja) ケーブル被覆用モールド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端末
JP2007224100A (ja) ホットメルト組成物ならびにマット及びカーペット
JPH03501136A (ja) 熱溶融型接着剤組成物
KR100561886B1 (ko) 음극선관용 저항성 프라이머 코팅
EP0091807B1 (en) Heat-sealing tape
KR100479324B1 (ko) 에틸렌 아크릴산-무정형 폴리알파올레핀-이소부틸렌계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편향 요크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JP3487340B2 (ja) 自己融着線、多芯自己融着線及びこれらを用いた偏向ヨークコイル
US4620127A (en) Kinescope-yoke assembly
JP2518334B2 (ja) 耐捩じれ変形自己融着性エナメル線
JPS61151256A (ja) ポリオレフイン樹脂融着用組成物及び融着方法
KR0121195B1 (ko) 광범위 융점을 갖는 점착테이프
JP2014065781A (ja) 積層部材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
KR930008156B1 (ko) 열용융형 접착제 조성물
KR100589033B1 (ko) 앤티도밍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섀도우 마스크
JPH0839676A (ja) サンドイッチ溶接方法
KR100941782B1 (ko) 다층 전극 기판용 가접착제 조성물
JPH10168403A (ja) 防爆テープ及び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