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694Y1 - 병마개 조립체 - Google Patents

병마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694Y1
KR200295694Y1 KR2020020024572U KR20020024572U KR200295694Y1 KR 200295694 Y1 KR200295694 Y1 KR 200295694Y1 KR 2020020024572 U KR2020020024572 U KR 2020020024572U KR 20020024572 U KR20020024572 U KR 20020024572U KR 200295694 Y1 KR200295694 Y1 KR 200295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cap
large diameter
outer periphery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돈례
Original Assignee
안돈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돈례 filed Critical 안돈례
Priority to KR2020020024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694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위조양주의 재주입방지 및 원활한 배출을 가능하게 한 병마개 조립체에 대해 개시한다. 이는 병(200)의 입구 상단에 결합되는 하부캡(100)과, 하부캡과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캡(70)과, 내부공간에 결합되어 병의 외부압력과 내부압력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이동체(90)를 구비한다. 하부캡은 환형의 상부결합리브(101)와, 이 상부결합리브의 외주연에 연장되어 병의 입구 상단부에 안착되는 제2플랜지(103)와, 상부결합리브의 내주연에 연장형성된 안착면(107)과, 중앙에 병의 내부와 연통하는 관통공(106)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부캡은 원통형의 대경외주부(71)와, 대경외주부의 외주연에 제2플랜지(103)와 대응 형성된 제1플랜지(74)와, 대경외주부(71)의 중심부에 복수의 연결리브(73)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단이 폐쇄된 통형의 보스(72)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동체는 보스(72)의 내주면에 헐겁게 결합되는 원통체(92)와, 원통체의 외주연에 연장되고 안착면(107)에 안착되는 환형플랜지(91)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병마개 조립체{Bottle-cap assembly}
본 고안은 병마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양주와 같은 고가의 주류가 위조된 후 빈 양주병에 주입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위조 양주의 제조 및 시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여러 잔의 양주잔에 반복적으로 양주를 따를 때 양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개선된 병마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고가의 양주가 위조되어 사용되는 문제를 예방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병마개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병마개의 개폐여부를 소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구조로서, 주로 병마개의 하단에 절단선이 미리 구획된 커버링을 장착하거나 또는 병마개의 외부에 비닐이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커버지를 부착시키는 방식이 적용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병마개 구조는 외관의 저급함으로 인하여 고가의 양주병에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커버링이나 커버지의 모조 및 부착이 용이하여 신뢰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즉, 위조 양주 제조업자가 이미 소비된 빈 양주병 내에 가짜 양주를 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양주를 믿고 구입할 수 없게 되어 양주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커버지와 커버링 외에 병마개 캡의 내부에 볼 밸브를 적용시킨 위조방지 구조물이 개발되어 시판 중에 있다. 이러한 위조방지 구조물은 병을 세운 상태에서는 볼 밸브가 병의 입구를 막아 유해물질의 주입을 예방하게 되고 병을 기울인 상태에서는 병의 입구가 열리게 되어 양주를 따라낼 수있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볼을 채용한 위조방지용 마개가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270815호에 개시되어 있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폐쇄된 상부면에 다수의 관통공(11)이 형성된 상부커버(10)와, 폐쇄된 하부면에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10)와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커버(20)와, 상기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커버(20)의 관통공(21)을 개폐하는 막이판(40)과,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용기내의 내용물보다 큰 비중을 가지는 볼(3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마개(1)는 용기내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에는 볼(30)이 자중 및 배출되는 내용물의 압력으로 이동되어 막이판(40)으로 하여금 관통공(21)을 개방시킴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고, 용기를 세울시에는 볼(30)에 의해서 막이판(40)으로 하여금 관통공(21)을 폐쇄토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 볼(30)이 막이판(40)을 가압함으로써 위조를 방지하게 할 수 있지만, 세웠던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용기내부 및 외부의 압력차이 및 내용물의 점성에 의해서 막이판(40)이 하부커버(20)에 밀착됨으로써 내용물의 초기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내용물을 여러 잔에 연속적으로 따를 경우 용기의 기울임과 세움을 반복적으로 할 때 막이판(40)이 순간적으로 하부커버(20)의 관통공(21) 가장자리에 밀착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이 원활치 못하게 된다. 결국 내용물이 배출될 때 "벌컥벌컥"거리는 소음발생 및 소망하는 위치로 배출되도록 제어하기가 곤란해진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병 내부로부터 용기내의 내용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개량된 병마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병 내부로 양주 등의 음용액의 재주입을 방지시키는 병마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병마개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병마개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내용물을 따를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본 고안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뚜껑 70...상부캡
71...대경외주부 72...원통형보스
73...연결리브 74...제1플랜지
75...나사부 80...회전팬
90...이동체 91...환형플랜지
92...원통체 100...하부캡
101...상부결합리브 103...제2플랜지
107...안착면 107a...배출공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병마개 조립체는 환형의 상부결합리브와, 이 상부결합리브의 외주연에 연장되어 병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상부결합리브의 내주연에 연장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배출공이 형성된 안착면과, 중앙에 병의 내부와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캡과;
원통형의 대경외주부와, 상기 대경외주부의 외주연에 상기 제2플랜지와 대응 형성된 제1플랜지와, 상기 대경외주부의 중심부에 복수의 연결리브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단이 폐쇄된 통형의 보스가 형성된 상부캡과;
상기 보스의 내주면에 헐겁게 결합되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외주연에 연장되고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는 환형플랜지가 형성된 이동체;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경외주부와 원통형보스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경사블레이드가 형성된 회전팬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대경외주부의 외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뚜껑이 더 구비된다.
또한, 병마개 조립체는 상기 상부결합리브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환형테가 상기 안착면보다 하향위치되고, 상기 안착면의 가장자리와 환형테의 가장자리 사이가 복수의 지지리브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부결합리브와 환형테 및 지지리브로 이루어지는 공간에 유동가능한 중량체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병마개 조립체는 병내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다가 일시적으로 병을 세우더라도 이동체와 원통형보스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통로에 의해서 병의 외부와 내부가 동일 기압을 형성하게 되므로 다시 내용물을 배출시키더라도 이동체의 이동이 원활하여져서 내용물의 배출이 수월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병마개 조립체는 병의 외부와 내부와의 공기압을 동일하게 조성함으로써 병의 기울임과 세움을 연속적으로 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키더라도 내용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위조액의 투입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병마개 조립체를 나타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병(200)의 입구 상단에 결합되는 하부캡(100)과, 하부캡(100)과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캡(70)과, 내부공간에 결합되어 병(200)의 외부압력과 내부압력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이동체(90)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캡(100)은 환형의 상부결합리브(101)와, 이 상부결합리브(101)의 외주연에 연장되어 병(200)의 입구 상단부에 안착되는 제2플랜지(103)와, 상기 상부결합리브(101)의 내주연에 연장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배출공(107a)이 형성된 안착면(107)과, 중앙에 병(200)의 내부와 연통하는 관통공(106)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부캡(70)은 원통형의 대경외주부(71)와, 상기 대경외주부(71)의 외주연에 상기 제2플랜지(103)와 대응 형성된 제1플랜지(74)와, 상기 대경외주부(71)의 중심부에 복수의 연결리브(73)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단이 폐쇄된 통형의 보스(72)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이동체(90)는 상기 보스(72)의 내주면에 헐겁게 결합되는 원통체(92)와, 상기 원통체(92)의 외주연에 연장되고 상기 안착면(107)에 안착되는 환형플랜지(91)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이동체(90)의 원통체(92) 높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7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200)을 세워놓을 때 보스(72)와 이동체(9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병(200)의 내외부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시킨다. 이 경우 보스(72)의 내주면에는 원통체(92)와의 사이를 이격시켜서 틈새를 형성시키도록 이격리브(77)를 일정간격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대경외주부(71)와 원통형보스(72)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경사블레이드(81)가 형성된 회전팬(8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유출공(76)을 통한 내용물의 무단 주입시 주사바늘의 통과를 방지시킨다. 또한 내용물의 배출시 회전팬(80)의 회전에 의해서 보다 원활하게 한다.
또한, 병마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결합리브(10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환형테(105)가 상기 안착면(107)보다 하향위치되고, 상기 안착면(107)의 가장자리와 환형테(105)의 가장자리 사이가 복수의 지지리브(104)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부결합리브(101)와 환형테(105) 및 지지리브(104)로 이루어지는 공간에는 유동가능한 중량체(300)가 마련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을 배출시키고자 병(200)을 기울일 때 중량체(300)가 하강이동하여 이동체(90)에 충돌함으로써 환형플랜지(91)가 안착면(107)으로부터 수월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내용물의 배출을 더욱 원활하게 한다.
한편, 보관시에 내용물의 증발을 방지시키기 위해서, 대경외주부(71)의 외주면에 나사부(75)가 형성되고, 이에 나사결합되는 뚜껑(60)이 구비된다.
또한, 상/하부캡(70)(100)은 병(200)의 입구상단과 함께 금속띠(150)로 둘러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 병마개 조립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200)을 기울여 내용물을 따르고자 할 때 이동체(90)가 그 자중(自重)과 내용물의 가압및 중량체(300)에 의해서 보스(72)에 밀착되고, 이때 환형플랜지(91)와 안착면(107)의 배출공(107a)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를 경유하여 내용물이 배출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200)을 세워 놓은 상태에서는 보스(71)의 내주면과 원통체(92)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하여, 병(200)의 외부와 내부의 공기압력이 동일해지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200)을기울여 내용물을 따를 때 환형플랜지(91)가 안착면(107)으로부터 수월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보스(7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이격리브(77)에 의해서 원통체(92)와의 틈새 형성을 안정되게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조된 양주(400)를 유출공(76)을 통하여 주입시키더라도 위조양주(400)는 병 내부로 주입이 불가능해진다. 즉, 원통체(92)와 보스(72)가 어긋나게 결합되고, 주입된 위조양주(400)에 의해서 병 내부가 밀폐되게 되므로 더 이상의 위조양주(400)의 주입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병마개 조립체는 병내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다가 일시적으로 병을 세우더라도 이동체와 원통형보스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통로에 의해서 병의 외부와 내부가 동일 기압을 형성하게 되므로 다시 내용물을 배출시키더라도 이동체의 이동이 원활하여져서 내용물의 배출이 수월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 말할 것도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병을 세우더라도 이동체에 의해서 병의 내/외부의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이동체의 분리를 원활하게 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수월하게 한다.
또한, 다수의 경사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회전팬을 구비함으로써 주사바늘등을 통한 위조를 위한 내용물의 투입을 방지시킨다.
또한, 보스(72)와 원통체(92)를 동심으로 결합하여 병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통로를 구성함으로써, 위조양주의 주입시 그 위조양주에 의해서 상기 통로를 폐쇄시키고 위조양주의 주입시 병의 내부압력을 높임으로써 위조양주의 위조를 방지시킨다.

Claims (5)

  1. 환형의 상부결합리브와, 이 상부결합리브의 외주연에 연장되어 병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상부결합리브의 내주연에 연장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배출공이 형성된 안착면과, 중앙에 병의 내부와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캡과;
    원통형의 대경외주부와, 상기 대경외주부의 외주연에 상기 제2플랜지와 대응 형성된 제1플랜지와, 상기 대경외주부의 중심부에 복수의 연결리브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단이 폐쇄된 통형의 보스가 형성된 상부캡과;
    상기 보스의 내주면에 헐겁게 결합되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외주연에 연장되고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는 환형플랜지가 형성된 이동체;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외주부와 원통형보스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경사블레이드가 형성된 회전팬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외주부의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뚜껑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결합리브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환형테가 상기 안착면보다 하향위치되고, 상기 안착면의 가장자리와 환형테의 가장자리 사이가 복수의 지지리브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결합리브와 환형테 및 지지리브로 이루어지는 공간에 유동가능한 중량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조립체.
KR2020020024572U 2002-08-17 2002-08-17 병마개 조립체 KR200295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572U KR200295694Y1 (ko) 2002-08-17 2002-08-17 병마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572U KR200295694Y1 (ko) 2002-08-17 2002-08-17 병마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694Y1 true KR200295694Y1 (ko) 2002-11-18

Family

ID=7312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572U KR200295694Y1 (ko) 2002-08-17 2002-08-17 병마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6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7507C2 (ru) Одноос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с двойной выдачей
US20210309421A1 (en) Container, clos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e
US7578386B2 (en) Cover assembly enable to mix interior material at opening
CA2455448C (en) Fluid dispensing valve and method of use
RU2603594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вентилируемого выливания через удлиненное отверстие
US5029719A (en) Bottle and cap assembly
AU2008292545B2 (en) Discharge cap for bottle-like container
US20110049169A1 (en) Vented closure for container
US20100170910A1 (en) Hinged closure
RU2112725C1 (ru)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верстия в шейке контейнера
JP3626411B2 (ja) 飲料容器
US5433338A (en) Demountable cap for disposable containers of liquid
US20060249521A1 (en) Spill-resistant container
US20050167455A1 (en) Tamper-proof bottle cap
JP6831986B2 (ja) キャップ
JP2019119452A (ja) 注出キャップ
KR200295694Y1 (ko) 병마개 조립체
RU2268849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ориентации укупорочного средства относительно контейнера
JP3410551B2 (ja) スクイズボトル用キャップ
JPH0642984Y2 (ja) 液体容器用キャップ
JP2009196696A (ja) 中栓及び中栓付キャップ
US20060000791A1 (en) Anti-fraud cap for bottles
KR200296157Y1 (ko) 절약용 용기
KR200301585Y1 (ko) 병마개 조립체
KR200280773Y1 (ko) 통기용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