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773Y1 - 통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통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773Y1
KR200280773Y1 KR2020020009652U KR20020009652U KR200280773Y1 KR 200280773 Y1 KR200280773 Y1 KR 200280773Y1 KR 2020020009652 U KR2020020009652 U KR 2020020009652U KR 20020009652 U KR20020009652 U KR 20020009652U KR 200280773 Y1 KR200280773 Y1 KR 200280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topper
vent
wate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철
Original Assignee
조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철 filed Critical 조병철
Priority to KR2020020009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7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773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의 마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마개의 완전한 개봉 없이도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용기 내외를 통기시킬 수 있는 통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통기용 마개는 중앙 상부에 통기부재를 형성시키고, 상기 통기부재에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통기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통기부재에는 상기 승강캡의 통기구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밀폐구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밀폐구를 이격하여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밀폐구의 하부에는 지지대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통기용 마개{Airing Cap}
본 고안은 용기의 마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완전한 개봉없이도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용기 내외를 통기시킬 수 있는 통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통과 같은 용기에는 중간의 손잡이 양측으로 두개의 마개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용기에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토록 하여 용기에 담겨진 액체성 내용물의 배출시 출렁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두개의 마개를 모두 개봉시킬 경우 어느 하나의 마개를 분실할 염려가 있으며 한쪽의 마개만을 개봉하여 배출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다보니 배출시 상기에서 언급된 출렁거림 현상으로 내용물의 일부가 정확한 위치에 낙하하지 못하고 일부가 외부로 벗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만일 내용물이 휘발성의 유류일 경우 배출시 안전사고의 우려까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용기의 내외부를 통기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줄 수 있는 마개 구조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용기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물이나 유류 같은 액체성 내용물의 배출시 출렁거림 등과 같은 통기의 부재로 인한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용이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양측에 구비된 마개를 모두 개봉시키지 않더라도 중앙에 구비된 승강캡을 잡아당기면 통기의 실현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의 통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용기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입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체결되도록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마개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출입구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한 체결에 따라 상기 출입구의 안측으로 삽입되어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부면이 일정깊이로 하향연장되어 안측으로 형성되는 속마개와,
상기 속마개가 결합된 상기 용기 내로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속마개의 중앙 상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중공의 통기부재와,
내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된 수밀링이 상기 통기부재의 외주연을 따라 승강하면서 선택적으로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상부 중앙에 통기구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통기부재에 결합되는 승강캡을 포함하며;
상기 통기부재는 상기 승강캡의 승강에 따라 상기 통기구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밀폐시킬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밀폐구와,
상기 밀폐구의 하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 승강캡의 하강에 따라 상기 수밀링에 대한 상대적인 탄성 변형으로 상기 수밀링의 진행이 극복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캡의 상부 안측에 형상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갈수록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극복한 수밀링의 하강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수밀링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으로 높이방향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기구에 대한 밀폐구의 선택적인 밀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수밀링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중공의 연결부와,
각 일단은 상기 밀폐구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각각 연결되고, 각 타단은 상기 플랜지 및 연결부의 내주연예 걸쳐 연결되며, 각 사이마다 소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밀폐구가 상기 플랜지의 중앙 상부로 이 격되도록 밀폐구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
상기 수밀링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도록 상기 속마개의 상부 중앙부위가 소정높이까지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승강캡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수밀링 이하의 승강캡 내주연 하부가 외주연에 상호 밀착 결합되는 중공의 밀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용 마개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개에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부가 높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개에는 외주연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확장되고 하향 절곡되어형성되는 보강턱이 일체로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통기용 마개에서 통기부재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상기 통기용 마개에서 통기부재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10: 통기부재 11: 밀폐구
12: 지지대 13: 플랜지
14: 연결부 15: 밀착부
20: 승강캡 21: 수밀링
22: 통기구 30: 속마개
40: 돌출부 50: 보강턱
100: 통기용 마개 200: 용기
210: 제 1입구 220: 손잡이
230: 제 2입구
다음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개(100)는 용기(200)(도 6에 도시됨)의 제 2입구(230) 외주연에 내주연의 나사산이 체결되면서 안측에 일체로 형성된 속마개(30)가 상기 제 2입구(230)의 안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것이다.
이 때 제 2입구(230)를 통해 내용물의 배출시 마개(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통기구(22)를 통해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된 통기부재(10) 및 상기 통기부재(10)에 결합되어 승강하면서 선택적으로 밀폐 및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캡(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마개(100)는 전반적인 형상이 원형으로 폴리에틸렌이 재질이며 승강캡(20)을 제외하곤 모두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기에 편리하도록 외주연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6개의 돌출부(40)가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100)에는 외주연 하단이 수평으로 확장되고 다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어 상부에는 상기 각 돌출부(40)의 하단이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외경 약 80mm 정도의 보강턱(50)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속마개(30)는 상기 마개(100)의 상부면이 약 14mm 정도의 깊이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일정한 직경으로 연장되다가 하단부위는 급작스렇게 외경이 줄어드는 형상을 취하여 제 2입구(230)의 안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속마개(30)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마개(100)가 제 2입구(23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공기의 유출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부 직경이 약 약 12mm 정도이고, 높이가 약 15mm정도인 중공의 통기부재(1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통기부재(10)는 하부의 밀착부(15)와, 상부의 플랜지(13) 및 밀폐구(11)와, 상기 밀착부(15)와 플랜지(13)를 연결하는 연결부(1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밀폐구(11)는 상기 플랜지(13)의 상부 중앙에 소정의 높이차를 두고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14)의 내주연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4개의 지지대(12)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15)는 상기 속마개(30)의 상단면 중앙이 약 7mm 정도 상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직경이 일정하게 연장되다가 상단부위는 상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중공축 형상을 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4)는 상기 밀착부(15)의 상부 내주연이 일정한 외경으로 상향 연장된 것으로, 결국 상기 밀착부(15)의 최소 내경과 상기 연결부(14)의 외경이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3)는 상기 연결부(14)의 상단 테두리가 확장 형성된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형상을 취하며 중앙 상부에는 일정한 높이차를 두고 상기 플랜지(13)의 내경이 비해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원형의 밀폐구(11)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밀폐구(11)는 외경이 약 7mm 정도의 원판 형상으로 상기 연결부(14)의 내주연 상부에서부터 연장되는 4개의 지지대(12)에 의해 떠받쳐져 이격되며, 이러한 이격에 의해 상기 밀폐구(11)와 상기 플랜지(13) 사이에는 상기 각 지지대(12)에 의해 등분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각 지지대(12)는 상호 약 90°정도의 각도마다 1개씩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연결부(14)의 내주연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밀폐구(11)의 하부 테두리에 일체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승강캡(20)은 높이가 약 15mm 정도이고 내경이 약 13mm 정도의 원형으로 상부면이 완만하게 솟아올라 있으며 그 중앙에는 상기 밀폐구(11)가 삽입되어 밀폐시킬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통기구(22)가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손으로 잡기에 용이하도록 상부 테두리가 확장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승강캡(20)의 내주연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중간정도에 수밀링(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수밀링(21)은 상기 승강캡(20)이 상기통기부재(10)의 상부를 통해 하강하면서 결합하게 되면 우선 상기 플랜지(13)에 밀착하여 걸리게 되다가 가압하면 결국 이를 극복하여 연결부(14)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승강캡(20)을 더욱 가압하게 되면 상기 플랜지(13)의 상단에 상기 승강캡(20)의 상부 안측면이 밀착되면서 통기부재(10)에 상기 승강캡(20) 전체가 결합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 연결부(14)의 외경은 상기 수밀링(21)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상기 수밀링(21)은 연결부(14)에 의해 가이드되어 승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밀폐구(11)는 상기 통기구(22)에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만일 공기의 유출입이 필요할 경우 상기 승강캡(20)을 들어올려 상기 수밀링(21)이 상기 연결부(14)의 상부 외주연 위치에 오게 되면 상기 밀폐구(11)는 상기 승강캡(20)의 상승에 따라 통기구(22)로부터 이탈되므로 상기 각 지지대(1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통기구(22)를 통해 들어온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유출입을 제한하려면 상기 승강캡(20)을 하강시켜 상기 플랜지(13)의 상단에 상기 승강캡(20)의 상부 안측을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통기구(22)에 상기 밀폐구(11)가 삽입되어 공기의 유출입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에서 통기부재(10)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에서 통기부재(1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부재(10)에 승강캡(20)이 하강하면서 씌워지게 되면, 우선 승강캡(20)의 수밀링(21)이 통기부재(10)의 플랜지(13)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시 더 힘을 가하면 상기 수밀링(21) 및 플랜지(13)가 상대적으로 탄성변형하면서 상기 수밀링(21)이 플랜지(13)를 극복하여 연결부(14)에 도달한다.
이 때 다시 힘을 가하여 상기 승강캡(20)이 하강하면 상기 플랜지(13)의 상단이 상기 승강캡(20)의 상부 안측에 밀착되고, 통기구(22)에는 밀폐구(11)가 삽입결합되어 통기부재(10)에 유입되는 모든 공기가 차단된다.
아울러, 상기 승강캡(20)이 다시 상승토록 하면 상기 수밀링(21)은 상기 연결부(14)의 외주연에 의해 가이드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승강이 자유롭게 되고, 상기 통기구(22)에서부터 상기 밀폐구(11)가 이탈되면서 상기 밀폐구(11)를 지지하는 각 지지대(12)의 사이로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로서 물이 담겨있어 주로 물통으로서 기능하는 용기(200)에는 상부 양측에 손잡이(220)를 사이에 두고 제 1입구(210) 및 상기 제 1입구(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제 2입구(230)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만일 상기 용기(200)에 담겨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려면, 상기 제 1입구(210)를 개봉시키고 상기 제 2입구(230)에 결합된 통기용 마개(100)에서 통기부재(10)에 결합된 승강캡(20)을 들어올려 밀폐구(11)를 통기구(22)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러면 상기 통기구(22)로부터 밀폐구(11)를 지지하는 지지대(12)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결국 개봉된 상기 제 1입구(210)까지 통기될 수 있어 출렁거림 없이 물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100)에서, 물이 담겨지는 물통으로서 언급된 용기(200)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외에, 주류, 유류 등과 같이 액성물질이 내부에 담겨지는 모든 종류의 용기(200)가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통기부재(10)와 승강캡(20)의 재질은 동일한 폴리에틸렌 이외에, 서로 다른 이종의 합성수지재를 재질로 할 수 있으며, 목재,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ABS등과 같은 합성수지 중에서 택일하여 재질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용 마개(100)는 상기에서 언급된 용기(200) 이외에, 통기가 간헐적 또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하는 각종 산업용품 또는 가정용품 등에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에서 제시된 수치상 크기는 일실시예로서 언급된 것이며, 용기의 크기나 규모 및 용도에 따라 각 구성요소의 크기 또한 달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에 의하면, 배출시킬 곳의 마개만 완전히 개봉시키고 다른 쪽 입구에 구비된 통기용 마개에서는 승강캡을 들어올려 통기하게 되면, 출렁거림없이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승강캡을 제외하곤 일체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어 제작 및 생산이 용이하며, 물통 뿐만 아니라 용이한 통기를 필요로 하는 각종 용기에는 모두 적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용기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입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체결되도록 내 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마개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출입구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한 체결에 따라 상기 출입구의 안측으로 삽입되어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부면이 일정깊이로 하향 연장되어 안측으로 형성되는 속마개와,
    상기 속마개(30)가 결합된 상기 용기 내로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속마개(30)의 중앙 상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중공의 통기부재와,
    내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된 수밀링이 상기 통기부재의 외주연을 따라 승강하면서 선택적으로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상부 중앙에 통기구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통기부재에 결합되는 승강캡을 포함하며;
    상기 통기부재는 상기 승강캡의 승강에 따라 상기 통기구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밀폐시킬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밀폐구와,
    상기 밀폐구의 하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 승강캡의 하강에 따라 상기 수밀링에 대한 상대적인 탄성 변형으로 상기 수밀링의 진행이 극복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캡의 상부 안측에 형상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극복한 수밀링의 하강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수밀링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으로 높이방향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통기구에 대한 밀폐구의 선택적인 밀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수밀링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중공의 연결부와,
    각 일단은 상기 밀폐구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각각 연결되고, 각 타단은 상기 플랜지 및 연결부의 내주연에 걸쳐 연결되며, 각 사이마다 소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밀폐구가 상기 플랜지의 중앙 상부로 이 격되도록 밀폐구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수밀링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도록 상기 속마개의 상부 중앙부위가 소정높이까지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승강캡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수밀링 이하의 상기 승강캡 내주연 하부가 외주연에 상호 밀착 결합되는 중공의 밀 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용 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에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부가 높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용 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에는 외주연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확장되고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턱이 일체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용 마개.
KR2020020009652U 2002-03-30 2002-03-30 통기용 마개 KR200280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52U KR200280773Y1 (ko) 2002-03-30 2002-03-30 통기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52U KR200280773Y1 (ko) 2002-03-30 2002-03-30 통기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773Y1 true KR200280773Y1 (ko) 2002-07-13

Family

ID=7307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652U KR200280773Y1 (ko) 2002-03-30 2002-03-30 통기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7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968B1 (ko) 2008-11-28 2011-03-11 김인수 액체용기 뚜껑의 공기조절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968B1 (ko) 2008-11-28 2011-03-11 김인수 액체용기 뚜껑의 공기조절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8914B1 (en) Spill-resistant container
RU2112725C1 (ru)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верстия в шейке контейнера
US7100790B2 (en) Spill-resistant metered flow cap for a cup
AU2002322675B2 (en) Fluid dispensing valve and method of use
EP0369559B1 (en) Closure assembly with pouring spout and measuring cup
US7845525B2 (en) Carbonated drink closure and dispensing device
US20110049169A1 (en) Vented closure for container
US4869390A (en) Spill proof cup
US5487482A (en) Handled closure device
US5366109A (en) Removable cap for disposable containers of liquid
RU2254275C2 (ru) Вы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укупорочный колпачок со встроенным вылив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US6523724B2 (en) Container
US20060249521A1 (en) Spill-resistant container
US5433338A (en) Demountable cap for disposable containers of liquid
CA2469942A1 (en) Two-part closure system and nozzle with groove
KR200280773Y1 (ko) 통기용 마개
US3220619A (en) Metered liquid dispensing closure
IE54299B1 (en) Self-venting flexible pouring spouts for containers
KR200295694Y1 (ko) 병마개 조립체
CN213921983U (zh) 一种底部按压粉仓混合结构
JPS6090151A (ja) 容器、中栓及び外蓋から成る組合せ
KR200365965Y1 (ko) 액체용기 뚜껑
KR20160002482U (ko) 액체 용기용 뚜껑
CA2652952C (en) Can
KR200446598Y1 (ko) 액체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