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197Y1 -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197Y1
KR200285197Y1 KR2020020013099U KR20020013099U KR200285197Y1 KR 200285197 Y1 KR200285197 Y1 KR 200285197Y1 KR 2020020013099 U KR2020020013099 U KR 2020020013099U KR 20020013099 U KR20020013099 U KR 20020013099U KR 200285197 Y1 KR200285197 Y1 KR 200285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ke
auto
concrete placing
placing boom
climb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영 길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라이즈
영 길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라이즈, 영 길 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라이즈
Priority to KR2020020013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1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197Y1/ko

Links

Landscapes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을 포함하는 받침부 전체를 분해가 가능한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코어의 사이즈를 갖는 여러 공사현장에 적합하게 길이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오토 크라이밍 장치의 설치 및 운영과 관련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받침부의 4곳에서 균등하게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4점 지지방식의 고정부를 채용함으로써, 흔들림 방지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등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의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전후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를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내외측 방향으로 지지력을 선택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복합형 구조의 지지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코어 내의 구조에 관계없이 적합한 형태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위아래 양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힌지 구조의 고정부를 제공하여 양방향 크라이밍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매층 잭킹(Jacking) 작업에서 2개층마다 크라이밍 작업을 가능하도록 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Auto climbing for concrete placing boom}
본 고안은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해가 가능한 조립식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여 공사현장의 조건에 따라 적합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4곳의 지지점을 확보할 수 있는 4점 지지방식의 고정부를 적용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양방향으로 젖힘이 가능한 고정부 구조를 적용하여 크라이밍 작업시 양방향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기능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오토 크라이밍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오토 크라이밍 장치의 설치 및 사용과 관련한 전반적인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있도록 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 건설공사의 골조공사 공정은 골조공사 착공 →철골/철근 조립 →폼 워크(form work) →콘트리트 타설 →골조 종료 →타 공정 마감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를 높은 곳으로 운반하기 위한 장치로서 콘크리트 펌프카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펌프카의 경우 콘크리트 펌프와 다단상으로 절첩되는 플레이싱 붐이 구비되어 있어서 고층건물을 건설할 때, 자체적으로 콘크리트를 펌핑하여 높은 곳까지 운반 및 공급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나,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장소를 많이 차지하고 운반비가 비싼 단점이 있고, 또한 콘크리트 펌프에 구비되어 있는 플레이싱 붐은 그 기립상태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서 플레이싱 붐의 길이보다 높은 고층건물의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저층건물을 건설할 때 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 펌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운반 및 공급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건축되는 건물의 층수에 따라 콘크리트 펌프 자체를 다음 층으로 옮기는 작업이 매우 힘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고층건물의 건설현장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최근의 고층건물 건설공사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Concrete placing Boom)을 사용하여 골조공사를 시행하고 있다.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100)의 설치 및 운영은 현장 여건에 따라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벽(200) 내부에 오토 크라이밍 장치를 설치 운영하거나,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300)에 개구부 설치 후 운영하거나, 건물 외벽(400)에 설치 운영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러한 여러 방법들 중에서 2∼3개층 저층부 컬럼과 슬라브의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하고, 비용절감과 안전성 및 작업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오토 크라이밍 장치를 코어벽 내부 중앙에서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법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오토 크라이밍 장치를 적용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설치 및 운영은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설치 및 운영 →크라이밍 사전준비 →크라이밍 필요 →상부 프레임 이동 →중간 프레임 이동 →하부 프레임 이동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본체 상승 →크라이밍 종료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오토 크라이밍 장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설치 및 운영에 있어서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오토 크라이밍 장치의 설치 및 운영과 관련한 작업성, 기능성, 안전성 등에 따라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효율적인 설치 및 운영이 가능하다.
기존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으로 접합 고정되어 있는 사각틀 구조의 받침부(10)와, 받침부(10)의 윗면에 용접으로 일체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11)과, 받침부(10)의 좌우측 중간에서 앞뒤 연장되면서 일체 고정되어 있는 전후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12)와, 받침부(10)의 좌우측 끝에서 앞뒤 4곳에 일체 고정되어 있는 힌지 구조의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10) 및 프레임(11)은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및 튜브라 마스터(Tubular mast)가 연결되는 부분이며, 크라이밍 작업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전체를 지지하면서 튜브라 마스터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후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12)는 코어벽측으로 지지되는 부분이며, 실린더 수단으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13)는 받침부(10)상에서 아래방향으로 젖힐 수 있는 힌지 구조를 갖고 있으며, 코어벽 내의 준비된 홀 내에 끼워져 스크류 타입으로 좌우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존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을 갖고 있다.
1) 프레임을 포함하는 받침부 전체가 용접으로 접합 고정되어 있는 일체식 구조이기 때문에 길이조정이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코어의 사이즈가 다른 여러 공사현장에서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2) 받침부의 좌우측 중간에서 앞뒤로 연장되는 2곳의 고정부에서만 흔들림을 잡아주기 때문에 흔들림이 심하고 구조적인 안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3)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의 안쪽으로 전후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가 배치되는 단일형 구조이기 때문에 오토 크라이밍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코어 내의 구조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4) 좌우 흔들림 방지를 위한 고정부의 구조가 아래쪽 한방향으로만 접을 수 있기 때문에 크라이밍 작업시 한방향으로만 작업이 가능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프레임을 포함하는 받침부 전체를 분해가 가능한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코어의 사이즈를 갖는 여러 공사현장에 적합하게 길이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오토 크라이밍 장치의 설치 및 운영과 관련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받침부의 4곳에서 균등하게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4점 지지방식의 고정부를 채용함으로써, 흔들림 방지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등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의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전후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를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내외측 방향으로 지지력을 선택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복합형 구조의 지지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코어 내의 구조에 관계없이 적합한 형태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위아래 양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고정부를 제공하여 양방향 크라이밍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매층 젝킹(Jacking) 작업에서 2개층마다 크라이밍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단 및 중간에 다수의 볼트 체결용홀을 갖는 2개의 가로부재와 이것들 사이를 연결하는 2개의 세로부재를 사각틀 형태로 조합시킨 구조로 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본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받침부와, 대칭위치에 배치되는 4곳의 가이드 롤러 및 2곳의 체결용 플레이트를 가지면서 다수의 볼트 체결용 홀을 이용하여 받침부 위에 조립가능한 사각틀 구조로 되어 있으며 크라이밍 작업시 튜브라 마스터를 지지 및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프레임과,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볼트 체결용 홀을 통해 받침부의 각 가로부재 양단에 조립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코어벽 상에 지지되면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및 튜브라 마스터 전체의 좌우 흔들림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힌지 구조의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와, 각각의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에 1개씩 배속되면서 그 일측에 일체식으로 조립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4개가 1세트로 되어 있어 4점 지지방식으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및 튜브라 마스터 전체의 전후 흔들림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후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와 각각의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는 각 공사현장의 코어 사이즈에 따른 호환성을 갖추기 위하여 각 볼트 체결용 홀을 통해 조립부위를 가변시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는 코어 내의 구조에 따라 내외측 방향으로 지지력을 선택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양방향 지지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접을 수 있는양방향 접이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후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는 코어 내의 구조에 따라 지지부위를 선택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내지 1c는 일반적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설치/운영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종래 오토 크라이밍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토 크라이밍 장치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오토 크라이밍 장치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오토 크라이밍 장치에서 상향 접이식 고정부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받침부 21 : 프레임
22 : 전후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 23 :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
24a,24b,24c : 볼트 체결용 홀 25 : 가이드 롤러
26 : 체결용 플레이트 27 : 조립용 브라켓
28 : 본체 29 : 힌지핀
30 : 고정체 31 : 스크류 잭
32 : 상부 지지판 33 : 고정용 핀
34 : 홀 35 : 턱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튜브라 마스터의 안내 및 고정을 위한 받침부(20) 및 프레임(21)과,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힌지 구조의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전후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실린더 방식의 전후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고안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오토 크라이밍 장치를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현장 여건에 따라 오토 크라이밍 장치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에 대한 여러 구현예를 보여주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20)는 보통 빔형태로 이루어진 2개의 세로부재 및 가로부재를 사각틀 형태로 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세로부재의 앞뒤 끝에는 위아래판에 적어도 6개씩의 볼트 체결용 홀(24a)이 형성되고, 길이 중간에도 프레임(21)과의 조립을 위한 2개 정도의 볼트 체결용 홀(24a)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 체결용 홀(24a)은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이곳을 통해 조립되는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의 체결위치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받침부(20)를 포함하는 오토 크라이밍 장치의 전체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21)은 받침부(20)의 사각틀 형태에 상응하는 사각틀 구조를 하면서 받침부(20) 위에 조립되는 부분이며,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튜브라 마스터측과 핀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프레임(21)은 받침부(20)와의 조립을 위해 각각의 4변에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2개씩의 조립용 브라켓(27)을 갖추고 있으며, 이때의 조립용 브라켓(25)에 볼트 체결용 홀(24b)이 형성되어 받침부(20)와의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21)의 각 내변의 안쪽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가이드 롤러(25)가 배치되어 튜브라 마스터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되며, 각 모서리 중 적어도 2곳에는 대각선 위치에 각각의 체결용 플레이트(26)가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이곳을 이용하여 튜브라 마스터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받침부(20) 및 프레임(21)은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본체 및 튜브라 마스터측과 연결되며, 크라이밍 작업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본체 및 튜브라 마스터 전체를 지지 및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는 받침부(20)측과 볼트로 체결 조립되는 본체(28)와 이것과 힌지핀(29)으로 조립되어 접이가 가능한 고정체(30)로 이루어져 있으며, 1개의 받침부(20)에 대해 전후 및 좌우측에 각각 1개씩 배치되는 4개가 한세트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의 본체(28)는 2개의 "ㄷ"자형의 빔부재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등지고 있는 형태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빔부재의 윗판과 밑판에는 받침부(20)가 갖는 양단의 볼트 체결용 홀(24a)에 대응하는 갯수의 볼트 체결용 홀(24c)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는 빔부재 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받침부(20)의 양단에 삽입되면서 각각의 볼트 체결용 홀(24a),(24c)을 통해 조립될 수 있으며, 이때의 볼트 체결위치에 따라 받침부(20)의 양단으로부터 그 연장되는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의 볼트 조립위치를 적절히 선택하여 오토 크라이밍 장치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현장의 여건, 즉 코어 사이즈에 적합하게 길이를 맞출 수 있고, 따라서 모든 현장에서 사용이 가능한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는 코어 내의 구조에 따라 내측 방향이나 외측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지지력을 선택적해서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체(30)의 선단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양쪽으로 각각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스크류 잭(31)이 각각 구비된다.
작업자가 스크류 잭(31)을 손으로 풀어낸 후, 코어 내의 벽면에 좌우방향으로 조임으로써,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및 튜브라 마스터 전체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스크류 잭(31)은 안쪽의 것과 바깥쪽의 것 중 어느 쪽이든 이용할 수 있으므로, 현장의 코어 구조에 따라 가장 적합한 좌우 방향의 지지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는 크라이밍 작업시 힌지구조를 이용하여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현장 작업여건에 따라 상향 접이식과 하향 접이식의 2가지 방식 중에서 적절한 방식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보통은 하향 접이식을 주로 사용하지만 상황에 따라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향 접이식도 많이 사용된다.
여기서, 본체(28)와 힌지핀(29)으로 조립되어 있는 고정체(30)는 상부 마감판(32)에 의해 상향 접이가 제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향 접이식의 경우 펼쳐서 사용할 때, 본체(28)와 고정체(30) 간의 록킹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용 핀(33)과 이것의 체결을 위한 홀(34)과 턱(35)이 제공되며, 고정체(30)를 펼친 다음, 홀(34)에 고정용 핀(33)을 삽입 체결하면, 이때의 고정용 핀(33)은 본체(28)의 홀(34)과 고정체(30)의 턱(35)에 동시에 걸려지게 되므로, 본체(28)와 고정체(30) 간의 펼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고정용 핀(33)을 체결하거나 제거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향 접이식의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를 용이하게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의 접이작동은 오토 크라이밍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크라이밍 작업시 이용되는데, 최상부 크라이밍 받침부의 이동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에 부착된 윈치를 이용하여 끌어 올리는 경우, 최상층의 콘크리트 폼에 크라이밍 받침부가 접촉되어 매층마다 크라이밍이 요구되므로, 매 1개층마다 크라이밍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의 접이방식은 대부분 하향 접이식을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하향 접이식 뿐만 아니라 크라이밍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상향 접이식 접이방식을 제공한다.
상향 접이식을 사용할 경우 매 2개층마다 크라이밍이 가능하게 되며, 고정핀 제거 →고정체 상향으로 젖힘 →크라이밍 받침부 상향으로 이동 →최상부 고정부의 고정체를 펼치며 코어 홀에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접이조작이 수행된다.
상기 전후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2)는 일종의 실린더 방식의 고정수단이며, 각각의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2)에 1개씩 배속되면서 전후 흔들림을 4점 지지방식으로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받침부의 전후 및 좌우 4곳에서 지지점을 제공함에 따라 기존 받침부의 중간 2곳에서 지지점을 제공하는 것에 비해 훨씬 안정되고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후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2)는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내의 구조가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의 내측으로 지지기반이 마련되어 있는경우에는 내측의 설치되는 고정부를 적용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내의 구조가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의 내측으로 벽면이 아닌 공간부가 조성되는 경우에는 외측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코어 내의 구조에 따라 전후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2)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현장의 작업여건에 관계없이 모든 현장에 오토 크라이밍 장치의 적절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고층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설치 및 운영시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립 완료상태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오토 크라이밍 장치는 3세트를 1식으로 하며 3개층에 걸쳐 1세트씩 설치되어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및 튜브라 마스터의 전체적인 하중을 지지하거나 크라이밍 작업시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오토 크라이밍 시스템에 의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설치를 위한 운영계획이 수립되면, 코어 내에 각 고정부의 설치를 위한 홀을 천공하는 크라이밍 사전준비를 시행하고, 1식 3세트 중 오토 크라이밍 장치의 최상부 받침부, 중간 받침부 및 하부 받침부를 차례로 이동 고정시킨 후, 크라이밍 실린더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본체를 상승시켜 설치하면 크라이밍을 종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는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이용하여 현장별 코어 사이즈에 따라 장치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타 현장에서도 전용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양방향으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4곳의 지지점을 확보할 수 있는 전후 및 좌우 흔들림 방지를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견고하고 안정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하향 접이식은 물론 상향 접이식을 구비하여 양방향 작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크라이밍 작업시 매 2개층식 잭킹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등 오토 크라이밍 장치의 설치 및 운영과 관련한 전체적인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양단 및 중간에 다수의 볼트 체결용 홀(24a)을 갖는 2개의 가로부재와 이것들 사이를 연결하는 2개의 세로부재를 사각틀 형태로 조합시킨 구조로 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본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받침부(20);
    대칭위치에 배치되는 4곳의 가이드 롤러(25) 및 2곳의 체결용 플레이트(26)를 가지면서 다수의 볼트 체결용 홀(24b)을 이용하여 받침부(20) 위에 조립가능한 사각틀 구조로 되어 있으며, 크라이밍 작업시 튜브라 마스터를 지지 및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프레임(21);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볼트 체결용 홀(24c)을 통해 받침부(20)의 각 가로부재 양단에 조립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코어벽 상에 지지되면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및 튜브라 마스터 전체의 좌우 흔들림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힌지 구조의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
    각각의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에 1개씩 배속되면서 그 일측에 일체식으로 조립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4개가 1세트로 되어 있어 4점 지지방식으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및 튜브라 마스터 전체의 전후 흔들림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후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와 각각의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는 각 공사현장의 코어 사이즈에 따른 호환성을 갖추기 위하여 각 볼트 체결용 홀(24a),(24c)을 통해 조립부위를 가변시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는 코어 내의 구조에 따라 내외측 방향으로 지지력을 선택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양방향 지지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접을 수 있는 양방향 접이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2)는 코어 내의 구조에 따라 지지부위를 선택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23)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
KR2020020013099U 2002-04-30 2002-04-30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 KR200285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099U KR200285197Y1 (ko) 2002-04-30 2002-04-30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099U KR200285197Y1 (ko) 2002-04-30 2002-04-30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586A Division KR100461633B1 (ko) 2002-04-30 2002-04-30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197Y1 true KR200285197Y1 (ko) 2002-08-13

Family

ID=73075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099U KR200285197Y1 (ko) 2002-04-30 2002-04-30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1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8221B2 (en) Formwork system for constructing a structural concrete floor with projecting floor beams
JP2009091123A (ja) 鉄塔用クレーン
KR100461633B1 (ko)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
JP2002356297A (ja) 鉄塔建設用クレーン及び該クレーンを用いた鉄塔建設方法
KR200285197Y1 (ko)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
KR20060055268A (ko) 고층 건물용 콘크리트 분배기
JP2780571B2 (ja) 鉄筋籠の建込み装置
JP2021116153A (ja) タワークレーン用支持構台及びこれを用いたクライミング方法
JP3358789B2 (ja) ポールリフター
JP2878589B2 (ja) 仮設構造物
KR102219660B1 (ko) 사장교 주탑부 케이블 설치를 위한 승강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부의 케이블 시공방법
JP3413760B2 (ja) 乗客コンベアの据付装置
KR102230963B1 (ko)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JP6836036B2 (ja) スライダー部とスライダー収納部と取付具との組み合せ
JP2807858B2 (ja) 取付け可能な作業用ステージ
JPH1088786A (ja) 柱状構造物用足場
JP3056393B2 (ja) エレベータ据付用足場装置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JP3943391B2 (ja) 枠組足場における手摺の取付方法
JP3229541B2 (ja) 折り畳み式連層吊足場
JPH03162381A (ja) エレベーター用鉄塔昇降路
JPH09194160A (ja) エレベータの据付用足場装置
KR200375322Y1 (ko) 고층 건물용 콘크리트 분배기
JPH1136604A (ja) 枠組足場の組立方法および枠組足場用支柱
JP2021011811A (ja) スライダー部とスライダー収納部と取付支柱具との組み合せ
CN113338632A (zh) 一种高层钢结构安装用安全顶升方法及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