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028Y1 -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028Y1
KR200275028Y1 KR2020020004874U KR20020004874U KR200275028Y1 KR 200275028 Y1 KR200275028 Y1 KR 200275028Y1 KR 2020020004874 U KR2020020004874 U KR 2020020004874U KR 20020004874 U KR20020004874 U KR 20020004874U KR 200275028 Y1 KR200275028 Y1 KR 200275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ring
insert
touch
fit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플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플라텍
Priority to KR2020020004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0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028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일측 내부에 파형관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공간이 형성되되 이 끼움공간에는 제1단턱 및 제2단턱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제1단턱에 안착되어 상기 끼움공간에 끼워진 파형관의 외면을 압착하여 상기 파형관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링과, 상기 제2단턱에 안착되어 상기 패킹링의 변형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링과, 상기 이동링의 외측면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링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링과, 상기 파형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인서트와, 상기 탄성링 및 인서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된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파형관을 한번에 끼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착력 및 수밀력이 높으며 인서트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wave-pipe by one-touch}
본 고안은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형관을 한번에 끼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착력 및 수밀력이 높으며 인서트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일측에는 단일구조의 체결나사관부(4)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파이프(P)가 삽입 연결되는 이중구조의 외측나사관부(6)와 내측삽지관부(8)로 된 몸체(2)와, 상기 외측나사관부(6)에 나사조립되는 조임너트(10)와, 상기 몸체(2)의 내측삽지관부(8) 외주에 삽입되는 원통형 패킹(12)과, 상기 몸체(2)의 외측나사관부(6)의 단부에 결합되는 압착구(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나사관부(6)의 단부 내측에는 삽입단턱(6a)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삽지관부(8)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홈(8a)이 형성된다.
상기 원통형 패킹(12)은 상기 내측삽지관부(8)에 외주에 삽입되는 원통부(16)와 끼움공간의 내저면에 밀착하는 환테부(18)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부(16)의 외주에는 환형돌기(16a)가 형성되고, 상기 환테부(18)에는 끼움공간의 내벽에 밀착될 때 밀폐공간(S)을 형성하는 요홈(18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구(14)는 상기 삽입단턱(6a)에 삽입되어 걸리는 삽입부(20)와, 상기 삽입부(2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면서 중심을 향해 경사되면서 상기 외측나사관부(6)의 단부에서 돌출된 조임부(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20) 및 조임부(22)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부(22)의 단부 내측에는 조임돌기(22a)가 형성된다.
상기 종래의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는 몸체(2)의 내측삽지관부(8)에 원통형 패킹(12)이 끼워지고, 상기 외측나사관부(6)의 단부에는 압착구(14)가 삽입되는 한편 조임너트(10)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파이프(P)를 끼움공간내로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환형돌기(16a)는 압착되면서 파이프(p)와의 사이에 수밀력을 높이고, 파이프(P)의 단부가 환테부(18)에 밀착할 때 요홈(18a)이 압착, 변형되면서 그 변형력이 상, 하측으로 작용하여 수밀력을 높이게 된다.
상기 파이프(P)가 삽입된 후 조임너트(10)를 조이면, 조임너트(10)의 후단턱이 압착구(14)의 조임부(22)에 형성된 경사면을 압착하여 견고히 조립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는 파이프가 견고히 조립되기는 하지만, 파이프를 삽입한 후 조임너트를 조여야 하며, 또한, 파형관을 원터치식으로 연결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파형관을 한번에 끼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착력 및 수밀력이 높으며 인서트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3은 도2의 분리도
도4는 도2의 인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도2의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의 파형관 외면의 상태에 따른 결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파형관 S : 끼움공간
30 : 몸체 32 : 제1단턱
34 : 제2단턱 36 : 패킹링
38 : 이동링 38a : 경사면
40 : 탄성링 42 : 인서트
44 : 고정너트 44a : 챔퍼
44b : 걸림단 46 : 리세스부
48, 50 : 플랜지 54, 56 : 숫나사
58 : 돌출링부 58a : 경사면
64 : 삽입부 64a : 슬릿홈
64b, 64c : 외측 및 내측 돌출부 66 : 플랜지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의 특징은, 그 일측 내부에 파형관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공간이 형성되되 이 끼움공간에는 제1단턱 및 제2단턱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제1단턱에 안착되어 상기 끼움공간에 끼워진 파형관의 외면을 압착하여 상기 파형관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링과, 상기 제2단턱에 안착되어 상기 패킹링의 변형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링과, 상기 이동링의 외측면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링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링과, 상기 파형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인서트와, 상기 탄성링 및 인서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된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상기 패킹링의 내경은 상기 끼움공간에 삽입되는 파형관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데 있다.
상기 인서트는 상기 고정너트의 내측에 삽입되며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릿홈을 가지는 삽입부와, 상기 고정너트의 걸림단에 걸리게 되며 상기 삽입부의 단부 외측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외측 돌출부와, 상기 파형관 골의 양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파형관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삽입부의 단부 내측에 형성된 내측 돌출부와, 상기 고정너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3은 도2의 분리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0)의 일측 내부에는 파형관(P)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공간(S)이 형성되고, 이 끼움공간(S)에는 제1단턱(32) 및 제2단턱(34)이 개구부측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단턱(32)에는 상기 파형관(P)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파형관(p)의 외면을 압착하는 패킹링(36)이 안착되고, 상기 제2단턱(34)에는 상기 파형관(P)을 끼움공간(S)에 삽입시 파형관(P)의 외면에 의한 상기 패킹링(36)의 변형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링(38)이 안착되며, 상기 이동링(38)의 개구부측 외측면에는 상기 파형관(P)을 끼움공간(S)에 삽입시 패킹링(36)과 이동링(38)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끼움공간(S)에 끼워진 파형관(P)의 외면과 패킹링(36)을 압착하는 탄성링(40)이 안착된다. 상기 이동링(38)은 상기 파형관(P)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내측에경사면(38a)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파형관(P)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인서트(42)와, 상기 탄성링(40)과 인서트(4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30)에 결합된 고정너트(44)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30)의 중간 외측면에는 리세스부(46)가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이 리세스부(46)의 양측에는 플랜지(48)(5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48)(50)의 외주면은 스패너 등의 공구로 용이하게 잡도록 육각 또는 사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48)(50)의 외주면에 평탄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랜지(48)의 좌측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너트(44)가 나사결합되도록 숫나사(54)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50)의 우측 외주면에서는 몸체를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에 체결하도록 숫나사(5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30)의 끼움공간(S)에는 온수 사용시 파형관(P)과 패킹링(36)의 열변형을 방지하고 파이프(P)의 동심을 유지시키도록 파형관(P)이 안내되면서 끼워져 밀착되는 돌출링부(58)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링부(58)의 단부에는 파형관(P)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경사면(58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30)에 형성된 제2단턱(34)의 내경은 제1단턱(3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패킹링(36)은 고무재의 고리이고, 상기 이동링(38)은 플라스틱재의 고리이다.
도4는 도2의 인서트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릿홈(64a)을 가지고 상기 고정너트(44)의 내측에삽입되는 삽입부(64)와, 상기 삽입부(64)의 단부 외측에는 형성된 외측 돌출부(64b)와, 상기 삽입부(64)의 단부 내측에는 형성된 내측 돌출부(64c)와, 상기 고정너트(44)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66)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 돌출부(64b)는 상기 고정너트(44)의 후술하는 걸림단(44b)에 걸리게 되는데,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돌출부(64c)는 단면이 대체로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형관(P)의 삽입후 골의 양측면과 접촉되게 되므로 파형관(P)이 쉽게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42)의 내경은 상기 파형관(P)이 헐겁게 끼워지도록 맞추어져 있고, 상기 고정너트(44)는 상기 몸체(30)의 숫나사(54)에 나사결합되는데, 암나사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상기 인서트(42)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챔퍼(44a)가 형성되는 한편 삽입된 인서트(42) 단부의 외측 돌출부(64b)가 걸리어 빠지지 않도록 걸림단(44b)이 형성된다.
도5a 및 도5b는 도2의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의 파형관 외면의 상태에 따른 결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전술한 도2의 몸체(30')의 돌출링부(58)가 제거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0)의 끼움공간(S)에 패킹링(36), 이동링(38) 및 탄성링(40)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제1단턱(32) 및제2단턱(34)에 각각 안착시킨 후 고정너트(44)를 몸체(30)의 숫나사(54)에 체결하여 탄성링(40)의 이탈을 방지케 한다.
다음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서트(42)의 삽입부(64)를 고정너트(44)의 챔퍼(44a)에서 밀어 넣으면, 상기 삽입부(64)의 다수의 슬릿홈(64a)과 삽입부(64)의 단부 일측에 형성된 외측 돌출부(64b)가 축소되면서 삽입부(64)의 외경이 축소되고, 고정너트(44)의 걸림단(44b)을 넘어 펴지면서 다시 걸림단(44b)에 외측 돌출부(64b)가 걸리게 되므로 인서트(42)는 후측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파형관(P)을 인서트(42)의 내부를 통하여 끼움공간(S)에 삽입하게 되는데, 파형관(P)의 삽입력에 의해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파형관(P)의 산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42)의 삽입부(64)의 단부 내측에 형성된 내측 돌출부(64c)를 밀게 되고, 아울러 상기 파형관(P)의 산은 상기 패킹링(36)과 맞닿게 되어 패킹링(36)의 변형을 가져오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링(38)과 탄성링(40)이 밀리게 된다.
그리고, 파형관(P)의 삽입력에 의해 파형관(P)의 산이 상기 삽입부(64)의 내측 돌출부(64c)와 패킹링(36)을 지나가게 되면 내측 돌출부(64c)와 패킹링(36)은 원위치로 복원되어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돌출부(64c)는 상기 파형관(P) 골의 양측면과 맞닿게 되므로 수밀력을 높이게 되며, 이에 따라 파형관(P)이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형관(P)은 몸체(30)의 돌출링부(58)에 외삽되게 되며, 온수 등에 의해 파형관(P)이 변형되더라도 완전한 원형을 이루게 하여 수밀력을 높이게된다.
한편, 상기 파형관(P)을 분리할 경우에는, 삽입부(64)와 패킹링(36)의 변형도 이상의 힘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도5a 및 도5의 과정을 반대로 반복 수행하게 되어 파형관(P)이 쉽게 분리되게 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0')의 돌출링부(58)가 제거되어 작용시 열에 의해 파형관(P)의 변형이 생기지 않는 냉수용, 또는 파형관(P)의 강성이 큰 연결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용도에는 돌출링부(58)가 없어도 충분한 수밀력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는 파형관을 한번에 끼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착력 및 수밀력이 높으며 인서트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그 일측 내부에 파형관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공간이 형성되되 이 끼움공간에는 제1단턱 및 제2단턱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제1단턱에 안착되어 상기 끼움공간에 끼워진 파형관의 외면을 압착하여 상기 파형관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링과;
    상기 제2단턱에 안착되어 상기 패킹링의 변형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링과;
    상기 이동링의 외측면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링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링과;
    상기 파형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인서트와;
    상기 탄성링 및 인서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된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링의 내경은 상기 끼움공간에 삽입되는 파형관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고정너트의 내측에 삽입되며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릿홈을 가지는 삽입부와;
    상기 고정너트의 걸림단에 걸리게 되며 상기 삽입부의 단부 외측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외측 돌출부와;
    상기 파형관 골의 양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파형관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삽입부의 단부 내측에 형성된 내측 돌출부와;
    상기 고정너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
KR2020020004874U 2002-02-19 2002-02-19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 KR200275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874U KR200275028Y1 (ko) 2002-02-19 2002-02-19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874U KR200275028Y1 (ko) 2002-02-19 2002-02-19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028Y1 true KR200275028Y1 (ko) 2002-05-09

Family

ID=7311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874U KR200275028Y1 (ko) 2002-02-19 2002-02-19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0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555B2 (en) Coupling device for circular pipes
KR20100093394A (ko) 주름 파이프용 연결 장치
US20040094950A1 (en) Pipe coupling
KR200269757Y1 (ko)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
US20020145284A1 (en) Fitting assembly for corrugated tubing
KR200275028Y1 (ko)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
US4238132A (en) Connector
EP0638752A1 (en) Pipe connector
KR200239292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1881210B1 (ko) 파이프 연결용 탑 조인트 링
KR200177937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200255542Y1 (ko) 인서트를 가진 파이프 연결장치
KR100408930B1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KR200258823Y1 (ko) 배관파이프의연결구조
KR200142429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KR960000436Y1 (ko) 관 연결구
KR100324470B1 (ko) 관 연결구
KR0117149Y1 (ko)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KR200236761Y1 (ko)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
KR200194721Y1 (ko) 파이프 연결장치
JP2000193157A (ja) 管継手
KR200220160Y1 (ko) 파이프 연결관
KR19980025999U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KR200251654Y1 (ko) 호스 조임장치
KR100803556B1 (ko) 배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