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292Y1 -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292Y1
KR200239292Y1 KR2020010013177U KR20010013177U KR200239292Y1 KR 200239292 Y1 KR200239292 Y1 KR 200239292Y1 KR 2020010013177 U KR2020010013177 U KR 2020010013177U KR 20010013177 U KR20010013177 U KR 20010013177U KR 200239292 Y1 KR200239292 Y1 KR 2002392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member
pipe
diameter
inclined surfac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기
Original Assignee
곽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정기 filed Critical 곽정기
Priority to KR2020010013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2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292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일측 내부에 경사면이 형성됨과 동시에 파이프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공간을 형성하도록 돌출링부가 형성된 제1이음부재(11)와, 상기 제1이음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제2이음부재(15)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의 단부 외면이 밀착하도록 상기 경사면에서 상기 돌출링부의 뿌리면까지 평탄면이 이어지되, 상기 돌출링부의 길이는 상기 평탄면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2이음부재(15)에는 상기 경사면을 타고 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파이프를 압착하는 직경축소부(19)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파이프의 연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가 간단하면서 고압에 견디고 견고하며 파이프를 분리시킨 후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pipe}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이프 연결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이음부재(1)의 내부에 파이프(3)가 삽입되고, 상기 파이프(3)의 외측에는 너트식으로 된 제2이음부재(5)가 나사결합되어, 파이프(3)가 이음부재(1)의 내부면에 압착하여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이음부재(1)의 단부 외주면에는 경사면(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이음부재(5)의 내부에는 상기 경사면(1a)을 타고 미끄러지는 대향경사면(5a)이 형성되어, 상기 제2이음부재(5)를 조임에 따라 상기 경사면(1a)이 형성된 부위가 변형하여 파이프(3)를 강하게 압착하게 되어 파이프(3)가 빠지지 않게 된다.
그런데, 상기 도1에 도시한 종래 파이프 연결장치는 재차 사용하지 못하게된다. 그리고, 수지재로 된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수지재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종래의 연결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연결력이 강하지 못하여 40mm 이상의 대구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의 연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가 간단하면서 고압에 견디고 견고하며 파이프를 분리시킨 후에 재사용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단면도,
도3은 도2의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해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4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단면도,
도5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단면도,
도6는 도5의 직경축소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직경축소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리단면도,
도9는 도8의 직경축소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직경축소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1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직경축소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직경축소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1이음부재 11c : 경사면
11e : 평탄면 13 ; 파이프
15 : 제2이음부재 17 : 돌출링부
19 : 직경축소부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그 일측내부에 경사면이 형성됨과 동시에 파이프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공간을 형성하도록 돌출링부가 형성된 제1이음부재와, 상기 제1이음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제2이음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의 단부 외면이 밀착하도록 상기 경사면에서 상기 돌출링부의 뿌리면까지 평탄면이 이어지되, 상기 돌출링부의 길이는 상기 평탄면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2이음부재에는 상기 경사면을 타고 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파이프를 압착하는 직경축소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경축소부는 상기 제2이음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가능케 끼워져 있을 수가 있다. 상기 직경축소부는 링 형상으로서, 그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다수의 슬릿홈이 형성되거나, 그 원주면의 소정위치에 트인 홈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이음부재(11)의 외면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제2이음부재(15)의 후술하는 몸체 내면에 형성되며, 이 몸체의 내측에는 몸체와 일체로 된 직경축소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이음부재(11)는, 금속재 또는 수지재로 되어 있고, 그 일측 내부에는 파이프(13)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공간(S)을 형성하도록 돌출링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이음부재(11)의 머리부의 외면에는 숫나사(1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이음부재(11)의 끼움공간(S) 반대측 외면(도2에서 좌측 외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숫나사(1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이음부재(11)의 끼움공간(S)측 내면에는 상기 직경축소부(19)가 밀착하면서 변형되도록 경사면(11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11c)의 우측에는 상기 직경축소부(19)를 도입하도록 평탄한 도입부(11d)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11c)은 상기 도입부(11d)에서 상기 끼움공간(S)을 향하여 내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작아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13)의 단부 외면이 밀착하도록 상기 경사면(11c)에서 상기 돌출링부(17)의 뿌리면까지 평탄면(11e)이 이어지되, 상기 돌출링부의 길이(L1)는 상기 평탄면의 길이(L2)보다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숫나사(11b)의 우측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오링이 끼워지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홈(11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숫나사(11a)의 좌측에 형성된 외면(11g)은 제2이음부재가 체결될 시에 제1이음부재(11)가 회전되지 않게 스패너 등을 끼우도록 각형(사각, 육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13)는, 그 단부 내면이 상기 돌출링부(17)의 외면에 밀착되고, 그 단부 외면은 상기 평탄면(11e)에 밀착하게 된다.
제1이음부재(11)에 결합되는 제2이음부재(15)는 상기 제1이음부재(11)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직경축소부(19)와, 공구를 끼우는 몸체로 나누어져 있으며, 수지재로 되어 있다.
상기 몸체는 스패너등으로 조우기가 용이하도록 각형(사각, 육각)의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파이프(13)가 관통하는 구멍을 가진 캡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이음부재 측으로 돌출된 돌출테부(15a)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테부(15a)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이음부재(11)의 숫나사(11a)에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1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의 내측에 형성된 직경축소부(19)는 그 좌측단에 챔퍼(chamfer)(c)가 형성되고 상기 제1이음부재(11)의 경사면(11c)에 밀착하면서 구부려지는 평탄면(19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챔퍼(c)는 상기 제1이음부재의 경사면(11c)를 타고 용이하게 미끄러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평탄면(19b)에는 상기 제2이음부재(15)가 제1이음부재(11)에 조여짐에 따라 상기 경사면(11c)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내경이 축소되도록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슬릿홈(19a)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직경축소부(19)의 전체길이는 상기 제1이음부재(11)의 도입부(11d)와 경사면(11c)을 합한 수평거리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음부재(11)와 제2이음부재(15)는 각각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된다.
한편, 상기 끼움공간(S)의 바닥면에 패킹부재가 끼워져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는 상기 돌출링부를 통한 유체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제2이음부재(15)의 숫나사를 제1이음부재(11)의 암나사에 약간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파이프(13)를 상기 제2이음부재(15)의 내면 사이로 끼우면서 파이프(13)의 단부를 상기 끼움공간(S)에 끼운 다음, 제2이음부재(15)의 몸체에 스패너등을 끼워 돌려 조우면, 제2이음부재의 평탄면(19b)이 제1이음부재의 경사면(11c)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그 직경이 축소되어 제2이음부재(15)의 단부가 파이프(13)을 압착하여 파이프를 견고히 연결한다. 이와같이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가 도3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직경축소부(19)의 끝단은 상기 제1이음부재(11)의 평탄면(11e)의 입구까지만 들어가는데, 상기 돌출링부(17)의 끝단과의 사이에 소정간격이 생기게 되므로, 상기 파이프(13)에서 상기 직경축소부(19)가 밀착하는 부분을 받치는 부분이 없으므로, 제2이음부재(15)를 쉽게 조일 수 있다.
이때, 파이프의 단부는 지름이 줄어 들면서 변형되어 파이프가 견고히 결합되는데, 상기 제2이음부재(15)는 그 슬릿홈(19a)에 의해 직경이 용이하게 줄어 들어 파이프를 압착한다.
그리고, 제2이음부재(15)를 풀게 되면, 파이프 및 제2이음부재가 수지재로서 탄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원상태로 그 형상을 복원하게 된다. 따라서, 재차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출테부(15a)에 의해 제2이음부재(15)의 변형에 대한 강성이 커진다. 상기 제2이음부재(15)를 제1이음부재(11)에 체결할 시에는 상기 숫나사(11a)의 좌측에 형성된 외면(11g)을 스패너로 잡아 제1이음부재(11)가 회전하지 않게 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경축소부(19')를 별도의 부재로 사출성형하여 제2이음부재(15')의 몸체에 인서트하여 일체로 한 구성이다. 이때 제2이음부재(15')의 몸체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이 걸림턱에 상기 직경축소부(19')의 뿌리부가 걸리게 하여 접착함에 의해 일체화한다. 나머지 구성은 도2와 동일하다.
도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이음부재의 직경축소부가 몸체에 분리가능케 끼워진 구성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이음부재(25)는 상기 제1이음부재(11)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직경축소 링(29)와, 공구를 끼우는 몸체로 나누어져, 상기 직경축소링은 몸체에서 서로 분리가능케 되어 있으며, 수지재로 되어 있다.
상기 몸체는 스패너등으로 조우기가 용이하도록 각형(사각, 육각)의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파이프(13)가 관통하는 구멍을 가진 캡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제1이음부재측으로 돌출된 돌출테부(25a)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테부(25a)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이음부재(11)의 숫나사(11a)에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25b)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직경축소 링(29)이 걸리는 걸림턱(25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경축소 링(29)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측단에 챔퍼(chamfer)(c)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이음부재(25)가 제1이음부재(11)에 조여짐에 따라 상기 경사면(11c)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내경이 축소되도록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슬릿홈(29a)이 형성된 형상이다. 상기 슬릿홈(29a)은 상기 챔퍼(c)가 형성된 쪽이 트여 소정 길이로 되어 있다.
상기 챔퍼(c)는 상기 제1이음부재의 경사면(11c)를 타고 용이하게 미끄러지게 한다. 상기 챔퍼(c)의 반대측단은 상기 몸체의 걸림턱(25c)에 걸리게 된다.
도6의 직경축소 링 대신에,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경 축소링(39)이 제2이음부재(25)의 몸체에 분리가능케 끼워질 수도 있다. 상기 직경축소 링(39)은 그 원주면의 소정 위치에 트인 홈(39a)이 형성된 구성이다. 이 트인 홈(39a)은 링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비스듬하게 형성되거나 S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8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이음부재(45)의 직경축소부가 몸체에 분리가능케 끼워진 구성으로, 직경축소 링(49)의 양단에 챔퍼(c)(c')가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직경축소 링(49)이 결합되는 몸체는 도5의 구성과 동일하지만, 몸체에형성된 걸림턱(45c)이 상기 챔퍼(c')의 경사에 맞게 경사져 있다. 몸체의 돌출테부(45a), 암나사(45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직경축소 링(49)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측단에 챔퍼(chamfer)(c)(c')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이음부재(45)가 제1이음부재(11)에 조여짐에 따라 상기 경사면(11c)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내경이 축소되도록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슬릿홈(49a)(49a')이 형성된 형상이다. 상기 슬릿홈(49a)(49a')은 상기 챔퍼(c)(c')가 형성된 쪽이 트여 소정 길이로 되어 있으며, 직경축소 링(49)의 양측에서 서로 엇갈리게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측의 챔퍼(c)는 상기 제1이음부재의 경사면(11c)를 타고 용이하게 미끄러지게 한다. 상기 타측의 챔퍼(c)는 상기 몸체의 걸림턱(45c)에 걸리게 된다.
도9의 직경축소 링 대신에,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경축소 링(59)이 제2이음부재(45)의 몸체에 분리가능케 끼워질 수도 있다. 상기 직경축소 링(59)은 그 원주면의 소정 위치에 트인 홈(59a)이 형성된 구성이다. 이 트인 홈(59a)은 링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의 길이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형성된 트인 홈(69a)을 가진 직경축소 링(69)이 제2이음부재의 몸체에 분리가능케 끼워지거나,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의 길이방향을 따라 S자 형상으로 형성된 트인 홈(79a)을 가진 직경축소 링(79)이 제2이음부재의 몸체에 분리가능케 끼워질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즉, 제1이음부재 및 제2이음부재는 본 고안의 기능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하면, 제1, 제2이음부재를 먼저 결합한 상태에서 파이프를 끼워 결합하므로 배관시에 파이프의 연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파이프를 분리시킨 후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이음부재를 쉽게 조일 수 있으며, 제1, 제2이음부재를 각각 한개로 사출성형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간단하고, 이음이 견고하므로 고압에 견딘다.

Claims (3)

  1. 그 일측내부에 경사면이 형성됨과 동시에 파이프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공간을 형성하도록 돌출링부가 형성된 제1이음부재와, 상기 제1이음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제2이음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의 단부 외면이 밀착하도록 상기 경사면에서 상기 돌출링부의 뿌리면까지 평탄면이 이어지되,
    상기 돌출링부의 길이는 상기 평탄면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2이음부재에는 상기 경사면을 타고 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파이프를 압착하는 직경축소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축소부는 링 형상으로서, 그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다수의 슬릿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축소부는 링 형상으로서, 그 원주면의 소정위치에 트인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KR2020010013177U 2001-05-07 2001-05-07 파이프 연결장치 KR2002392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177U KR200239292Y1 (ko) 2001-05-07 2001-05-07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177U KR200239292Y1 (ko) 2001-05-07 2001-05-07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292Y1 true KR200239292Y1 (ko) 2001-10-12

Family

ID=7310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177U KR200239292Y1 (ko) 2001-05-07 2001-05-07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29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7602B2 (en) 2001-02-06 2010-03-16 Swagelok Company Tube fitting
US7762592B2 (en) 2001-02-06 2010-07-27 Swagelok Company Tube fitting for stainless steel tubing
WO2012008953A1 (en) * 2010-07-14 2012-01-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unt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KR200475018Y1 (ko) 2012-04-12 2014-11-03 시노-스위스 봉락연결관기술주식회사 압력 클램프 파이프라인 연결장치
US10215315B2 (en) 2008-09-05 2019-02-26 Parker-Hannifin Corporation Tube compression fitting and flared fitting used with connection body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178457B1 (ko) * 2020-04-10 2020-11-13 이윤철 연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7602B2 (en) 2001-02-06 2010-03-16 Swagelok Company Tube fitting
US7740283B2 (en) 2001-02-06 2010-06-22 Swagelok Company Tube fitting with separable tube gripping device
US7762592B2 (en) 2001-02-06 2010-07-27 Swagelok Company Tube fitting for stainless steel tubing
US10215315B2 (en) 2008-09-05 2019-02-26 Parker-Hannifin Corporation Tube compression fitting and flared fitting used with connection body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12008953A1 (en) * 2010-07-14 2012-01-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unt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KR200475018Y1 (ko) 2012-04-12 2014-11-03 시노-스위스 봉락연결관기술주식회사 압력 클램프 파이프라인 연결장치
KR102178457B1 (ko) * 2020-04-10 2020-11-13 이윤철 연결장치
WO2021206450A1 (ko) * 2020-04-10 2021-10-14 (주)피엘에스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7221B2 (ja) 管継手
US7878555B2 (en) Coupling device for circular pipes
US7980601B2 (en) Coupler for corrugated pipe
CN105276307A (zh) 管接头
KR200239292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269757Y1 (ko)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
US4238132A (en) Connector
JP3000037U (ja) パイプ連結具
KR200409053Y1 (ko) 파이프 이음구조
KR200255542Y1 (ko) 인서트를 가진 파이프 연결장치
KR19990040575U (ko) 파이프연결장치
KR101372931B1 (ko) 파이프 피팅 장치
KR200194721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0117149Y1 (ko)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JPH08145251A (ja) 管接続装置
KR200373381Y1 (ko) 파이프 조인트
KR200236761Y1 (ko)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
WO2002046655A1 (en) Pipe joint
KR200275028Y1 (ko)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
KR960000436Y1 (ko) 관 연결구
KR200164118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213663Y1 (ko) 배관 연결구
JPH07248081A (ja) 管接続装置
JP2009019652A (ja) 管継手
KR200432883Y1 (ko) 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