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737Y1 -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 - Google Patents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737Y1
KR200259737Y1 KR2020010030597U KR20010030597U KR200259737Y1 KR 200259737 Y1 KR200259737 Y1 KR 200259737Y1 KR 2020010030597 U KR2020010030597 U KR 2020010030597U KR 20010030597 U KR20010030597 U KR 20010030597U KR 200259737 Y1 KR200259737 Y1 KR 200259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rry
centrifugal
dehydrator
slud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규
Original Assignee
이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규 filed Critical 이정규
Priority to KR2020010030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7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737Y1/ko

Link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속탈수가 가능한 동시에 탈수효율이 높고, 저렴한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는, 슬러리 공급관; 상기 슬러리 공급관으로부터 슬러리를 공급받아 고속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을 상승력으로 변환시켜 원추형 가이드통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슬러리를 상승시키는 슬러리상승장치; 및 상기 슬러리상승장치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슬러리상승장치에 의해 상승된 슬러리에 포함된 수분을 원통형 원심 탈수통에서 원심력에 의해 여과분리하여 여과된 물은 여과수배출구로 배출하며, 남은 탈수 슬러지는 상기 슬러리상승장치에 의해 상승되는 슬러리에 의해 계속 밀어 올려져서 탈수 슬러지 케이크배출구로 배출하는 슬러리 탈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연속 탈수가 가능하고 입형으로 설치하여 장치가 차지하는 밑면적의 크기를 줄이고, 간단한 구조의 원추형 가이드통의 경사면을 따라 슬러리 및 슬러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장치의 중량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별도의 기초 패드가 불필요하며, 동일한 크기의 다른 탈수기 보다 처리용량을 크게 하고, 원심력을 이용하여 높은 탈수 효율을 달성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고, 유지관리비용을 적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A vertical type slurry dehydrator}
본 고안은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탈수가 가능한 동시에 탈수효율이 높고, 저렴한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하수를 처리하거나, 생활 오수를 정화하거나 분뇨를 처리하는 최종과정에서, 고체 상태의 슬러지와 물의 혼합물 형태인 슬러리를 각각 슬러지와 물로 분리하는 각종 탈수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제지나 펄프 슬러리를 처리하거나 화학 슬러리를 처리하거나 식품 가공을 위한 슬러리를 처리하는 곳에서도 이러한 탈수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탈수기들은, 상하의 여과포 사이에 슬러리를 넣고 가압하여 탈수하는 벨트 프레스나, 좌우의 여과판 사이에 슬러리를 넣고 가압하여 탈수하고, 탈수된 케이크는 하부로 배출하는 필터 프레스나, 나선형 스크류 사이에 슬러리를 투입하여 로터의 체적비율에 의해 고압 압착하여 탈수하는 스크류 프레스 등 많은 종류의 탈수기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원심력을 이용하여 여과포로 물을 여과하는 고효율 연속운전식 원심탈수기는 아직까지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횡형 원심 탈수기(스크류디칸터)는, 슬러리가 들어가서 초고속으로 회전하는 원심 탈수통이 좌우방향으로 누운 수평형 원심분리형 탈수기로서, 원심분리에 의해 탈수된 슬러지를 원심 탈수통 내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속 이동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슬러지 이송용 나선형 스크류 장치가 사용되는 등 장치가 복잡하고 크고 무겁고 비대해져서 차지하는 밑면적의 크기가 넓고, 지면에 별도의 방진기초 패드가 필요하고, 제품의 단가가 고가인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횡형 원심 탈수기는 상기 나선형 스크류 장치가 쉽게 마모되고, 구조가 복잡하여 관리하기 어려우며, 유지보수비가 많이 소요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연속 탈수가 가능한 수직식 입형 원심 탈수통을 설치하여 장치가 차지하는 밑면적의 크기를 줄이고, 간단한 구조의 원추형 가이드통의 경사면을 따라 슬러리 및 슬러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장치의 중량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별도의 기초 패드가 불필요하여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동일한 크기의 다른 탈수기 보다 처리용량을 크게 하는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높은 탈수 압력과 탈수 효율을 달성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으며, 유지관리비용을 적게 하는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의 탈수 시간 조절을 위한 설계 수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원심 탈수통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4a, 4b, 4c, 4d는 도 1의 원심 탈수통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원심 탈수통을 나타내는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6a, 6b, 6c는 도 1의 슬러지 공급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원심 탈수통 및 탈수 슬러지 케이크 유도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는, 슬러리 공급관; 상기 슬러리 공급관으로부터 슬러리를 공급받아 고속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을 상승력으로 변환시켜 원추형 가이드통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슬러리를 상승시키는 슬러리상승장치; 및 상기 슬러리상승장치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슬러리상승장치에 의해 상승된 슬러리에 포함된 수분을 원통형 원심 탈수통에서 원심력에 의해 여과분리하여 여과된 물은 여과수배출구로 배출하며, 남은 탈수 슬러지는 상기슬러리상승장치에 의해 상승되는 슬러리에 의해 계속 밀어 올려져서 탈수슬러지 케이크배출구로 배출하는 슬러리 탈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러리 공급관은, 상기 원심탈수통의 중심을 향하는 직관형 파이프이거나, 출구가 확폭된 확폭형 파이프이거나, 출구방향이 일측방향으로 절곡된 곡관형 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러리 상승장치는, 바닥면은 평평하고, 내측면에 상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원추형 가이드통; 및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러리 탈수장치는,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과 일체로 연결되고, 원주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원통형 원심 탈수통; 상기 원심 탈수통의 통공이 형성된 원주면에 설치되고, 착탈이 가능한 여과포와 이를 지지하는 여과포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여과판; 상기 원심 탈수통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탈수된 슬러지의 상승경로를 안내하는 슬러지 유도판; 상기 원심 탈수통의 상부판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원심 탈수통의 외측 주연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탈수된 슬러지를 수거하여 상기 탈수슬러지 케이크배출구로 유도하는 탈수슬러지 케이크유도로; 상기 탈수슬러지 케이크 유도로의 외측에 설치되어 원심력에 의해 여과분리된 수분을 여과수 배출구로 안내하는 탈수기 외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는, 크게 슬러리 공급관(10), 슬러리 상승장치(20) 및 슬러리 탈수장치(3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슬러리 공급관(10)은, 슬러지와 물이 혼합된 현탁액 형태의 슬러리를 상기 슬러리 상승장치(20)의 원추형 가이드통(21) 중심에 공급하는 파이프 형태의 이송관이다.
이러한 상기 슬러리 공급관(10)의 형상은 매우 다양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21)의 중심을 향하는 직관형 파이프이다.
이외에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튀김 방지를 위하여 상기 원심 탈수통(22) 중심에 원뿔형 돌기(21a)가 형성되고, 상기 슬러리 공급관(10)은, 그 출구(10a)가 확폭된 출구 확폭형 파이프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 탈수통(22)이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슬러리 공급관(10)은, 그 출구(10b)의 방향이 회전하는 원심 탈수통(22)의 내측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슬러리를 한쪽으로만 공급하는 곡관형 파이프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러리 상승장치(20)는, 상기 슬러리 공급관(10)으로부터 슬러리를 공급받아 고속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을 상승력으로 변환시켜 원추형 가이드통(21)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슬러리를 상승시키는 장치로서, 바닥면은 평평하고, 내측면에 상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원추형 가이드통(21) 및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21)의 회전축(21b)과 연결되어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21)을 회전시키는 모터(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모터(23)는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21)의 회전축(21b)과 벨트(231)/풀리(232) 조합으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외에도 기어나 체인 등 상기 모터(23)의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동력전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러리 탈수장치(30)는, 상기 슬러리 상승장치(20)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슬러리 상승장치(20)에 의해 상승된 슬러리에 포함된 수분을 원통형 원심 탈수통(22)에서 원심력에 의해 여과분리하여 여과된 물(1)은 여과수배출구(31)로 배출하며, 남은 탈수 슬러지는 상기 슬러리 상승장치(20)에 의해 상승되는 슬러리에 의해 계속 밀어 올려져서 탈수슬러지 케이크배출구(32)로 배출하는 장치로서, 크게 원심 탈수통(22), 여과판(33), 슬러지 유도판(34), 탈수슬러지 케이크유도로(35), 여과수 유도판(36) 및 탈수기 외통(37)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원심 탈수통(22)은,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21)과 일체로 연결되고, 원주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측판(22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이러한 통공은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21)의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여과수가 쉽게 빠져나가게 하는 역할과 상기 여과판(3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판(33)은, 상기 원심 탈수통(22)의 통공이 형성된 원주면에 설치되고, 착탈이 가능한 여과포(331)와 이를 지지하는 여과포지지판(33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여과포(331)는 소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여과포지지판(332)과 함께 분해하여 새로운 여과포(331)를 교체하고, 다시 여과포지지판(332)을 상기 원심 탈수통(22)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판(33)은 여러 장으로 구성하여 청소 및 교환을 간편하게 한다.
만약, 상기 원심 탈수통(22)의 측판(221)이 매우 미세한 구멍으로 이루어져서 여과포(331)의 역할을 대신 할 수 있다면, 상기 여과판(33)과 여과포(331) 및 여과포지지판(332)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판(33)을 상기 원심 탈수통(22)의 측판(221)은 물론,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21)의 경사면에 이르기까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하여 낮은 원심력에서 탈수가 시작되어 높은 원심력에 이르기까지 유도하여 보다 완전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슬러지 유도판(34)은, 상기 원심 탈수통(22)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슬러리와 탈수된 슬러지의 상승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슬러지 유도판(34)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상기 원심 탈수통(22)의 측판(221)을 따라 수직형으로 형성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러지 유도판(34)의 상방으로 갈수록 공간이 더 넓어지도록 경사형으로 형성하여 슬러지 배출을 더욱 원활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러지 유도판(34)의 높이를 짧게 하여 청소나 교환시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러지 유도판(34)과 원심 탈수통(22) 사이를 연결하는 그 단면이 화살촉 형상인 여과판 지지부(38)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판 지지부(38)는 상기 슬러지 유도판(34)과, 나사조립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러지 유도판(34)과, 여과판(33)을 하나의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된 슬러지는 여과포(331)와 상기 슬러지 유도판(34) 사이의 간격(a) 만큼의 두께로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간격(a)을 조절하여 배출되는 슬러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수슬러지 케이크유도로(35)는, 상기 구부러진 원심 탈수통(22)의 상부판(222)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원심 탈수통(22)의 외측 주연부를 'ㄷ'형상으로 둘러싸는 형상이고, 상기 탈수된 슬러지를 수거하여 상기 탈수슬러지 케이크배출구(32)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탈수슬러지 케이크 유도로(35)의 형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단순한 'ㄷ'형상이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케이크가 비산되면서 상기 탈수슬러지 케이크유도로(35)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슬러지의 유동이 용이하도록 그 내면이 곡면을 이루는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여과수 유도판(36)은, 상기 원심 탈수통(22)의 원주면 외측에 설치되어 원심력에 의해 여과 분리된 수분을 안내하여 자유 낙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탈수기 외통(37)과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별도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탈수기 외통(37)은, 상기 원심 탈수통(22)과 여과수 유도판(36) 및 탈수 슬러지 케이크유도로(35)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여과수 유도판(36) 및 탈수 슬러지 케이크유도로(35)를 지지하거나 원심력에 의해 여과분리된 수분을 여과수 배출구(31)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수기 외통(37)과, 원추형 가이드통(21)의 회전축(21b) 사이에 물 튀김 방지판(39)을 설치하여 비산하는 여과수가 벨트(231)/풀리(232)나 모터(23) 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수슬러지 케이크유도로(35)에 롤러(40)를 설치하고, 상기 원심 탈수통(22)의 측판(221)에 롤러레일(41)을 설치하여 상기 원심 탈수통(22)의 회전시 흔들림 및 소음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와 물의 현탁액 형태인 슬러리가 상기 슬러리 공급관(10)을 통해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21)에 공급되면, 상기 모터(23)에 의해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21)이 고속으로 회전하여 발생되는 원심력으로 상기 슬러리를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21)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슬러리가 상기 원심 탈수통(22)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23)에 의해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21)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심 탈수통(22)에 의해슬러리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여과판(33)과 원심 탈수통(22)의 측판(221)을 통과하여 상기 여과수 유도판(36) 또는 탈수기 외통(37)의 벽면 및/또는 탈수슬러지 케이크유도로(35)의 벽면에 부딪힌 후 중력 낙하되고, 상기 탈수기 외통(37)의 저면에 형성된 여과수 배출구(31)로 자연 배출된다.
한편, 이렇게 탈수되고 남은 슬러지는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21)을 따라 연속적으로 상승하는 슬러리에 의해 밀려 올라가면서 점차적으로 탈수가 진행되며, 상기 슬러지 유도판(34)의 안내를 받아 계속 상승하게 되고, 상기 원심 탈수통(22)의 구부러진 상부판(222)을 지나 상기 탈수슬러지 케이크유도로(35)에 수집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탈수슬러지 케이크배출구(32)로 배출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의 탈수 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도 2에서 R은 원심 탈수통(22)의 반지름이고, A는 여과포(331)와 슬러지 유도판(34) 사이의 간격이고, H가 원심 탈수통(22)의 높이로서, 공급되는 슬러리의 양을 Q(ℓ/min), 슬러리 중 슬러지의 비율을 1 %라 하면, R = 50 cm, A = 1 cm, H = 50 cm 라는 가정 하에, 원심 탈수통(22)에 머무르는 슬러지의 양은 대략
2πR ×A ×H 이므로 2 * 3.14 * 50 * 1 * 50 = 15700 cm3이 된다.
여기서, Q = 1000 ℓ/min 으로 가정하면, 공급되는 슬러지의 양은,
0.01 * 1000 ℓ/min * 1000 cm3= 10000 cm3/min 이 된다.
그러므로, 탈수시간(t) = 15700 cm3÷10000 cm3/min 이다.
즉, 탈수시간(t) = 1.57 min 이 된다.
따라서, 원심 탈수통(22)의 반지름(R), 여과포(331)와 슬러지 유도판(34)의 간격(A)과, 원심 탈수통의 높이(H), 슬러리의 공급속도(Q), 슬러리의 농도 등에 의해 탈수 시간이 조정되며, 각종 슬러리의 종류에 따라 가장 적절한 탈수 시간을 선택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원동기로서 모터를, 동력전달장치로서 벨트/풀리 조합을 예시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원동기와 동력전달장치가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여과판의 형태나 종류도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판이나, 슬러지 유도판, 여과수 유도판 등도 매우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에 의하면, 연속 탈수가 가능한 수직식 입형 원심 탈수통을 설치하여 장치가 차지하는 밑면적의 크기를 줄이고, 간단한 구조의 원추형 가이드통의 경사면을 따라 슬러리 및 슬러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장치의 중량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별도의 기초 패드가 불필요하여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동일한 크기의 다른 탈수기 보다 처리용량을 크게 하고, 원심력을 이용하여 높은 탈수 효율을 달성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고, 유지관리비용을 적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5)

  1. 슬러리 공급관;
    상기 슬러리 공급관으로부터 슬러리를 공급받아 고속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을 상승력으로 변환시켜 원추형 가이드통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슬러리를 상승시키는 슬러리상승장치; 및
    상기 슬러리상승장치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슬러리상승장치에 의해 상승된 슬러리에 포함된 수분을 원통형 원심 탈수통에서 원심력에 의해 여과분리하여 여과된 물은 여과수배출구로 배출하며, 남은 탈수 슬러지는 상기 슬러리상승장치에 의해 상승되는 슬러리에 의해 계속 밀어 올려져서 탈수슬러지 케이크배출구로 배출하는 슬러리 탈수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공급관은,
    상기 원심탈수통의 중심을 향하는 직관형 파이프이거나, 출구가 확폭된 확폭형 파이프이거나, 출구방향이 일측방향으로 절곡된 곡관형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상승장치는,
    바닥면은 평평하고, 내측면에 상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원추형 가이드통; 및
    일정량의 슬러리를 연속하여 상승할 수 있도록 안내역할을 하는 슬러지 유도판; 및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을 회전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탈수장치는,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과 일체로 연결되고, 원주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원통형 원심 탈수통;
    상기 원심 탈수통의 통공이 형성된 원주면에 설치되고, 착탈이 가능한 여과포와 이를 지지하는 여과포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여과판;
    상기 원심 탈수통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탈수된 슬러지의 상승경로를 안내하는 슬러지 유도판;
    상기 원심 탈수통의 상부판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원심 탈수통의 외측 주연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탈수된 슬러지를 수거하여 상기 탈수슬러지케이크배출구로 유도하는 탈수슬러지 케이크유도로;
    상기 탈수 슬러지 케이크 유도로의 외측에 설치되어 원심력에 의해 여과 분리된 수분을 안내하여 낙하시키는 여과수 유도판; 및
    상기 원심 탈수통과 여과수 유도판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여과수 유도판 및 탈수 슬러지 케이크 유도로를 지지하거나 상기 여과수 유도판에 의해 낙하된 수분을 여과수 배출구로 안내하는 탈수기 외통;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판은, 상기 원심 탈수통의 측판 및/또는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의 경사면에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 유도판은 상기 원추형 가이드통을 따라 평형 또는 경사를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유도판과 원추형 가이드통 사이를 연결하는 여과판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
KR2020010030597U 2001-10-08 2001-10-08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 KR200259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597U KR200259737Y1 (ko) 2001-10-08 2001-10-08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597U KR200259737Y1 (ko) 2001-10-08 2001-10-08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737Y1 true KR200259737Y1 (ko) 2002-01-09

Family

ID=7306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597U KR200259737Y1 (ko) 2001-10-08 2001-10-08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73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111B1 (ko) 2007-12-12 2008-07-18 유한회사 세원산업 원형스크린 건조장치
KR100900723B1 (ko) * 2007-05-16 2009-06-05 주식회사 청일화학 슬러리 원심탈수기
CN107524112A (zh) * 2017-09-04 2017-12-29 江苏艺凯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泥资源化制成环保海绵构件构建河道生态的***
KR101934764B1 (ko) 2016-10-10 2019-01-03 한국기계연구원 슬러지 고속 건조 장치
KR20210150662A (ko) * 2020-06-04 2021-12-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제지 슬러지를 활용한 광촉매물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광촉매 콘크리트
KR20220026835A (ko) * 2020-08-26 2022-03-07 신정환 슬러지가 상승되면서 탈수되는 기립식 원심탈수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723B1 (ko) * 2007-05-16 2009-06-05 주식회사 청일화학 슬러리 원심탈수기
KR100847111B1 (ko) 2007-12-12 2008-07-18 유한회사 세원산업 원형스크린 건조장치
KR101934764B1 (ko) 2016-10-10 2019-01-03 한국기계연구원 슬러지 고속 건조 장치
CN107524112A (zh) * 2017-09-04 2017-12-29 江苏艺凯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泥资源化制成环保海绵构件构建河道生态的***
KR20210150662A (ko) * 2020-06-04 2021-12-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제지 슬러지를 활용한 광촉매물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광촉매 콘크리트
KR102348235B1 (ko) 2020-06-04 2022-01-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제지 슬러지를 활용한 광촉매물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광촉매 콘크리트
KR20220026835A (ko) * 2020-08-26 2022-03-07 신정환 슬러지가 상승되면서 탈수되는 기립식 원심탈수장치
KR102403148B1 (ko) 2020-08-26 2022-05-26 신정환 슬러지가 상승되면서 탈수되는 기립식 원심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9876C (en) An apparatus for filtering suspension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apparatus
AU583054B2 (en) Apparatus for clarification of water
KR970010548B1 (ko) 스크류 프레스
KR101851988B1 (ko) 슬러지 탈수장치
US5846413A (en) Three zone dissolved air flotation clarifier with improved efficiency
CN106365411A (zh) 一种污泥浓缩和脱水一体机
KR200259737Y1 (ko) 입형 원심 슬러리 탈수기
US4062776A (en) Sludge concentrator and conditioner
US41860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watering of sludgy substance
KR20080054853A (ko) 슬러리 탈수장치
US20090039003A1 (en) Single-Cell Mechanical Flotation System
KR102197323B1 (ko) 슬러지 농축탈수장치
JP3903069B1 (ja) 回転加圧脱水機および回転加圧脱水機による汚泥の脱水方法
JPH0975613A (ja) 竪型ドラムスクリーン
KR101212425B1 (ko) 오,폐수 정화용 슬러지 분리기 및 슬러지 탈수기 연결장치
CN1192939A (zh) 电螺旋加压脱水机
JP2007029930A (ja) 固液分離装置
EP1335785B1 (en) Filtration apparatus
JP2004000888A (ja) 固液分離装置
US5296152A (en) Apparatus for filtering suspension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apparatus
CN102974149A (zh) 一种污水预过滤装置及其应用
JP2003088896A (ja) スクリュープレス式汚泥脱水装置
KR100343113B1 (ko) 폐수협잡물의 복합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0337029Y1 (ko) 폐수협잡물의 복합처리 장치
KR20040100721A (ko) 원통형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