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036Y1 - 셔터도어용차폐부재 - Google Patents

셔터도어용차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036Y1
KR200249036Y1 KR2019980020026U KR19980020026U KR200249036Y1 KR 200249036 Y1 KR200249036 Y1 KR 200249036Y1 KR 2019980020026 U KR2019980020026 U KR 2019980020026U KR 19980020026 U KR19980020026 U KR 19980020026U KR 200249036 Y1 KR200249036 Y1 KR 2002490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door
slats
overlapping portion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350U (ko
Inventor
유태유
Original Assignee
유태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유 filed Critical 유태유
Priority to KR20199800200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03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3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3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0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0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광, 차연의 방화셔터 본연의 기능을 다할 수 있는 셔터 도어용 차페부재를 제공한다.
그 셔터 도어용 차폐부재는, 셔터(21)의 슬라트(21a,21a‥‥) 및 도어(22)의 슬라트(22a,22a‥‥)의 어느 하나의 각각에 부착되는 부착날개(92)와, 그 부착날개(92)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 1 중첩부(93)와, 그 제 1 중첩부(93)로부터 상하로 연장되어 상하의 차폐부재의 사이에 각 상하단부에서 중첩되고 도어(22)의 개폐회동시 및 셔터(21)의 권이시 서로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된 상단 중첩부(93′) 및 하단 중첩부(93″)은 지니는 제 1 차폐편(91); 그리고 상기 셔터(21)의 슬라트(21a,21a‥‥) 및 도어(22)의 슬라트(22a,22a‥‥)의 다른 하나의 각각에 부착되는 부착날개(96)와, 그 부착날개(96)로부터 연장하여 도어(22)의 폐쇄시 상기 제 1 중첩부(93)와 중첩되고 도어(22)의 개폐회동시 및 셔터(21)의 권히시 서로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된 제 2 중첩부(97)와, 그 제 2 중첩부(97)로부터 상하로 연장되어 상하의 차폐부재의 사이에 각 상하단부에서 중첩되고 도어(22)의 개폐회동시 및 셔터(21)의 권취시 서로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된 상단 중첩부(97′) 및 하단 중첩부(97″)을 지니는 제 2 차폐편(9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셔터 도어용 차폐부재
본 고안은 셔터 도어용 차폐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상세하게는 경첩이 설치되지 아니한 셔터와 도어의 슬라트들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고, 슬라트의 좌우 이동 내지 꼬임을 방지할 수 있어 차광, 차연의 방화셔터 본연의 기능을 다하게 하며, 도어를 셔터의 중앙부측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외관창출로 인해 경첩설치에 따르는 셔터의 외관이 해치게 되는 것은 완화시킬 수 있는 셔터 도어용 차폐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용 셔터는 다수의 수평방향 슬라트로 연결되어 그 다수의 슬라트가 모터 또는 수동으로 회전하는 권취드럼에 권취되거나, 그 권취드럼으로부터 플림으로써 승강 작동되고 건물의 출입구 내지 통로가 개폐된다. 이러한 셔터에도 비상시를 위하여, 또는 간편하게 출입하기 위하여 소형의 도어가 설치되는데, 이 도어는 셔터의 슬라트와 동일한 슬라트로 구성되고 그 도어의 슬라트가 셔터의 슬라트에 각각 힌지로 연결되어 그 셔터의 슬라트와 함께 권취드럼에 권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방화목적의 차광 및 차연을 실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방화목적으로는 셔터의 안쪽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그 화염이 셔터의 틈새 또는 도어의 틈새를 통하여 셔터 밖으로 새어나갈 경우, 셔터주위 또한 화염이 옮겨 붙게 되는 것과, 상기 틈새들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될 경우 셔터내부의 화재가 더욱 더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종래의 셔터는 안내하는 안내홈 또는 셔터의 양측부에 패킹 등을 부착시켜 셔터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틈새를 최소화시키게 하고 있으나, 경첩은 사용하는 도어의 경우 경첩이 함께 권취되게하기 위해서는 경첩설치부위의 틈새를 최소화시킬수 없는 구조적인 까다로움을 안게 된다.
종래의 이러한 경첩의 일구조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착날개(1a)에 연접되어 상, 하단에 보스(6a)(7a)가 형성된 셔터부의 힌지편(2a)과, 부착날개(1b)에 연접되며 상,하단에 보스(6b)(7b)가 형성된 도어부의 힌지편(2b)이 비틀림스프링(5)을 포함한 힌지축(3)에 조립되어 결합된 경첩(1)을 이루고 있다.
이와같은 경첩(1)은 셔터를 이루는 슬라트(8a)(8b) 각각에 연설시키게 되는 까닭에 결합되어 돌출된 힌지편(2a)(2b)부가 삽입되도록 셔터상에는 도어높이만큼의 장방형 절개공을 형성시켜야 하며, 슬라트의 폭과 경첩의 크기가 동일하여야 한다.
즉, 셔터상에 장방형의 절개공을 형성시키게하므로서 작업의 까다로움과 함께 부착날개부를 제외한 힌지편(2a)(2b)의 외주에는 절개공의 틈새가 그만큼 늘어나게되며, 슬라트폭의 크기가 다른 셔터에는 별도의 크기를 갖는 또다른 경첩을 구비하여야하며, 슬라트폭과 경첩의 크기가 일정치 않을 경우에는 경첩끼리의 접촉이 이루어지지않아 그만큼 틈새가 또다시 발생하게 되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경첩의 상하단형상은 접촉시에 각각의 경첩이 미끄럼접촉을 보장하기 위하여 유선형을 이루고 있는 까닭에 경첩과 경첩의 접촉은 면접촉대신에 선접촉부(4a)(4b)를 이루게되어 상기 선접촉부(4a)(4b)에서의 틈새발생을 더욱더 최소화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안게 된다.
또,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2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첩을 고안하여 199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150호로 출원, 제118483호로 등록받았다.
제2도 내지 제6도에서 그 경첩(10)은, 부착날개(11a)에 연장되며 외주에 덮개살(12a) 및 중앙에 축공(15)이 형성되어 돌출된 상하부 보스(12a)(13a)와, 중앙에 축공(15)이 형성되며 상하단에 스프링홈(16a)이 형성된 중앙보스(14)와 전면에 외벽(17a)을 이룬 도어부의 힌지편(17a); 부착날개(11b) 에 연장되며 후면에 외벽(17b)을 이루며, 중앙에 축공(15)과 상하단에 스프링홈(16b)이 형성되어 돌출된 상하부보스(12b)(13b)와 상기 상하보스사이에 삽입공간(18)을 확보한 셔터부의 힌지편(10b); 상기 도어부의 힌지편(10a)과 셔터부의 힌지편(10b)의 보스(12a)(12b)(13a)(13b)(14)에 형성된 축공(15)에 삽입되어 힌지편(10a)과 힌지편(10b)을 회동결합시키는 회동축(19) 및 상기 회동축(19)에 설치되어 힌지편(10a)과 힌지편(10b)을 탄력지지시키는 한쌍의 스프링(20)을 구비한 구성을 이룬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셔터(21)와 도어(22)가 구획되는 어느 일방의 슬라트(본 고안에서는 도어(22)쪽의 슬라트)상에 절개공(23)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공(23)에 결합조립되어 돌출된 경첩의 힌지편(10a)(10b)부를 삽입한 뒤 양방, 즉 셔터(21)와 도어(22)의 슬라트 안쪽방향에서 경철의 부착날개(11a)(11b)를 용접등의 방법으로 부착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어(22)를 이루는 슬라트(22a)의 수대로 경첩(10)을 설치하게 되면, 삽입되어진 경첩의 힌지편에 의하여 슬라트에 형성된 절개공(23)의 틈새와, 힌지편(10a)(10b)의 결합조립에 의하여 경첩자체에서 발생하는 틈새는 차광 및 차연상태에 있게 되는데, 특히 본 고안이 주장하는 경첩자체에서 발생하는 틈새가 최소화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프링(20)의 비틀림작용으로 자동폐쇄된 상태에서의 도어(22)를 열게 되면, 제5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셔터부의 힌지편(10b)은 고정된 채 도어부의 힌지편(10a)만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을 이루되, 상하부보스(12a)(13a)의 표면을 이루는 덮개살(12a′)(13a′)은 그 외주에 형성된 수축홈(12a″)에 의하여 힌지편(10b)의 부착날개(11b)에 방해받지 않고 회전을 이루며(제5(a)도에 도시), 상하부 보스(12a)(13a)는 힌지편(10b)의 외벽(17b)에 밀착안내되면서 회전을 이루게 되며(제5(b)도에 도시), 힌지편(10b)의 상하부보스(12b)(13b)가 삽입된 상태을 이루는 힌지편(10a)의 상하부 보스(12a)(13a)의 내벽(17a′)은 사이 힌지편(10b)의 상하부보스(12b)(13b)의 외주에 밀착을 이루면서 회전을 이루게되며(제5(c)도에 도시), 힌지편(10a)의 외벽(17a)의 선단은 힌지편(10b)의 외벽(17b)의 내면(17b′)에서 이루는 삽입공간(18)내로 삽입되면서 회전은 이루되 90도 정도의 회전을 이루게되면 삽입공간(18)이 협소해지는 까닭으로 외벽(17a)의 선단이 차단되는 회전을 이루게 되며(제5(d)도에 도시), 스프링(20)을 지지한 힌지편(10a)의 중앙보스(14)의 돌출살(14a)역시 힌지편(10b) 내주벽의 삽입공간(18)내로 삽입을 이루면서 회전을 이루게 되는 것으로(제5(e)도에 도시), 결국 힌지편(10a)과 힌지편(10b)의 결합상태에서의 틈새는 힌지편 결합부의 어느지점에서도 발생되어지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까닭은 힌지편(10a)과 힌지편(10b)이 겹침결합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결합보스의 외주에는 일체화된 외벽(17a)(17b)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외벽내에서의 결합구조는 힌지편외주를 이루는 돌출살의 기능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6도에서는 슬라트에 형성되는 절개공(23)의 양측부는 경첩의 부착날개(11a)(11b)에 의하여 완전히 카바되어 틈새발생은 이루지 않게 되지만, 절개공의 상하단은 경첩힌지편(10a)의 상하단이 삽입되어지는 까닭에 완전한 틈새차단을 이룰수 없게 되는 문제점은 감안하여 힌지편(10a)의 상하단에 일정한 높이를 지닌 돌출턱(24a)을 슬라트(21a)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하므로서, 절개공(23)의 상하단에 발생하게 되는 틈새 또한, 차단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슬라트에 형성되는 절개공의 양측부는 경첩의 부착날개(11a)(11b)에 의하여 완전히 카바되어 틈새발생은 이루지 않게 되지만, 돌출턱(24a)과 그 절개공의 상하단사이가 중첩되게 하여 차패시키기 위해서는 양측이 보다 정밀하게 가공되어야 하고 나아가 경첩힌지편(10a)을 원활하게 삽입, 설치시키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슬라트가 약간만 틀어지거나, 좌우로 이동하면 틈새가 다시 벌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첩이 설치되지 아니한 셔터와 도어의 슬라트들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고, 슬라트의 좌우 이동 내지 꼬임을 방지할 수 있어 차광, 차연의 방화셔터 본연의 기능을 다하게 하며, 도어를 셔터의 중앙부측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외관창출로 인해 경첩설치에 따르는 셔터의 외관이 해치게 되는 것은 완화시킬 수 있는 셔터 도어용 경첩 및 차폐부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제1(a)도는 종래 도어용 경첩의 설치상태 정면도이고,
제1(b)도는 제1(a)도의 선A-A 단면도.
제2도는 제1(a)도와 다른 종래의 도어용 경첩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셔터의 전체적인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확대도.
제4도는 제2도의 선G-G 단면도.
제5(a)도 내지 제5(e)도는 제3도의 선B-B 내지 선F-F 단면도.
제6도는 제2도 내지 제5(e)도의 변형예를 나타낸 제3도의 Z방향에서 본 저면도.
제7도는 본 고안과 관련된 차폐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셔터의 전체적인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경첩 부분의 부분확대도.
제9도는 제7도의 배면도.
제10(a)도는 제9도의 선 10-10 단면도이고,
제10(b)도는 본 고안과 관련된 경첩의 분해사시도.
제11도 내지 제16도는 제9도의 선 11-11 내지 선 16-16의 단면도.
제17도는 제7도의 차폐부재의 부분확대도.
제18도는 제17도의 선 18-18의 단면도.
제19도는 제17도의 선 19-19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경첩 1a, 1b, 11a, 11b : 부착날개
3,19 : 힌지축 4a,4b : 선접촉부
5,20 : 스프링 6a,7a,12a,12b,13a,13b,14 : 보스
8,21a,22a : 슬라트 15 : 축공
16a, 16b : 스프링홈 17a,17b,17c : 외벽
18 : 삽입공간 21 : 셔터
22 : 도어 23 : 절개공
24a,24b : 돌축턱 2a,2b,10a,10b : 힌지편
50 : 경첩 60,70 : 제 1 및 제 2 힌지편
61,71′,72′ : 힌지축공 62,71,72 : 보스
63,74 : 하부돌출부 64,75 : 상부돌출부
66,76 : 암나사공 67,77 : 부착날개
73 : 중앙차폐부 73′ : 보스수용부
74′ : 측벽부 74″ : 결합부
81,82 : 하부 및 상부 힌지축 81′,82′ : 고정홈
81″,82″ : 스프링 고정 및 가이드 82a : 스프링력 조정홈
83 : 토션코일스프링 84,85 : 고정 나사
91,95 : 제 1 및 제 2 차폐편 92,96 : 부착날개
93,97 : 제 1 및 제 2 중첩부 93′,97′ : 상단 중첩부
93″,97″ : 하단 중첩부 94,97a : 제 1 및 제 2 측벽부
98 : 보강절곡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셔터 도어용 차폐부재는, 경첩에 의해 셔터의 다수의 수평방향 슬라트의 일부분에 서로 상응하는 슬라트로 연결된 셔터의 도어에 있어서 상기 셔터 및 도어의 슬라트 및 슬라트의 어느 하나의 각각에 부착되는 부착날개와, 그 부착날개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 1 중첩부와, 그 제 1 중첩부로부터 상하로 연장되어 상하의 차폐부재의 사이에 각 상하단부에서 중첩되고 도어의 개폐회동시 및 셔터의 권취시 서로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된 상단 중첩부 및 하단 중첩부를 지니는 제 1 차폐편; 그리고, 상기 셔터 및 도어의 슬라트 및 슬라트의 다른 하나의 각각에 부착되는 부착날개와, 그 부착날개로부터 연장하여 도어의 폐쇄시 상기 제 1 중첩부와 중첩되고 도어의 개폐회동시 및 셔터의 권취시 서로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된 제 2 중첩부와, 그 제 2 중첩부로부터 상하로 연장되어 상하의 차폐부재의 사이에 각 상하단부에서 중첩되고 도어의 개폐회동시 및 셔터의 권취시 서로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된 상단 중첩부 및 하단 중첩부를 지니는 제 2 차폐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은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7도에는 본 고안과 관련된 셔터 도어용 경첩 및 차폐부재가 설치된 상태로 도시되며, 제8도에는 제7도의 경첩 부분의 부분확대도가 도시되고, 제9도에는 제7도의 배면도가 도시된다.
또, 제10(a)도에는 제9도의 선 10-10단면도가 도시되고 제10(b)도에는 본 고안과 관련된 경첩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제11도 내지 제16도는 제9도의 선 11-11 내지 선 16-16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제8도 내지 제16도에서 경첩(50)은, 제 1 힌지편(60), 제 2 힌지편(70), 하부 및 상부 힌지축(81,82) 및 토션코일스프링(83)은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제 1 힌지편(60)은, 셔터(21)의 슬라트(21a,21a‥‥)의 각각에 부착되는 부착날개(67)와, 그 부착날개(67)의 중앙부분으로 돌출하고, 관통 힌지축공(61)이 형성된 보스(62)와, 상하의 경첩(50)이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상기 보스(62)의 부착날개(67)측으로부터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는 상부돌출부(64) 및 하부돌출부(63)와로 구성된다.
제 2 힌지편(70)은, 도어(22)의 슬라트(22a,22a‥‥)의 각각에 부착되는 부착날개(77)와, 그 부착날개(77)의 중앙부분에 상기 제 1 힌지편(60)의 보스(62)를 수용하는 보스수용부(73′)를 형성한 채, 그 보스(62)를 둘러싸는 중앙차폐부(73)와, 상기 부착날개(77)와 중앙차폐부(73)의 상하로 연장되게 돌출하고, 상기 힌지축공(61)과 일치하는 관통 힌지축공(71′,72′)이 각각 형성된 보스(71,72)와, 상하의 경첩(50)이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상기 보스(71,72)로부터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돌출부(64) 및 하부돌출부(63)와 차폐되게 접촉하는 상부돌출부(75) 및 하부돌출부(74)와로 구성된 다.
특히 제10(b)도, 제11도 및 제16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돌출부(63,74)의 접촉부분이 도어(22)의 회동시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턱이 형성되어 더욱 차폐시키는 결합부(63″,7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돌출부(64,75)의 접촉하는 면도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경사지거나,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돌출부(64,75)의 두께를 어느 정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힌지축(81)을 단부에서 노출시키고 그 수용홈(75′)을 그 상부돌출부(75)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돈출부(63,74)의 외측방향으로 슬라트(22a,22a‥‥) 와 슬라트(21a,21a‥‥)와 접촉하여 그 슬라트(22a,22a‥‥) 와 슬라트(21a,21a‥‥)의 이동 내지 꼬임을 방지하도록 측벽부(63′,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및 상부 힌지축(81,82)은, 상기 힌지축공(71′,72′)을 각각 관통하여 힌지축공(61)측으로 삽입되며, 어느 하나의 제 1 힌지편(60) 및 제 2 힌지편(70)과 함께 회동하도록 각각 어느 하나의 제 1 힌지편(60) 및 제 2 힌지편(77)에 고정된다. 그 토션코일스프링(83)은, 그 토션코일스프링(83)의 각 단부를 삽입시켜 각각 고정시키고 안정적인 토션작용을 보장하도록 스프링단부 삽입홈(도면에서는 중앙이 분리된 구조)과 함께 스프링 고정 및 가이드(81″,82″)가 상기 하부 및 상부 힌지축(81,82)의 마주하는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단지 토션코일스프링(83)의 각각의 단부가 힌지축공(61,71′,72′)에 고정되어 토션력을 발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및 상부 힌지축(81,82)에 암나사공(66,76)이 형성되고, 하부 및 상부 힌지축(81,82)이 제 1 힌지편(60) 및 제 2 힌지편(70)과 각각 함께 회동하도록 그 암나사공(66,76)에 나사체결되는 고정나사(84,85)의 전방단부가 그 하부 및 상부 힌지축(81,82)에 형성된 고정홈(81′,82′)에 삽입됨으로써 하부 및 상부 힌지축(81,82)이 각각 제 1 힌지편(60) 및 제 2 힌지편(7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달리 후방에서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위의 경우, 그 고정홈(82′)이 창부 힌지축(82)의 원주에 다수 형성되고, 그 상부 힌지축(82)의 후방단부에 스프링력 조정홈(82a)을 형성시킴으로써 그 상부 힌지축(82)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어 상기 토션코일스프링(83)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제8도 내지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의 경첩(50)사이도 완전하게 밀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셔터 도어의 차폐부재는, 제17도 내지 제19도에 도시된다. 제17도는, 제7도의 차페부재의 부분확대도이고, 제18도는 제17도의 선 18-18의 단면도이며, 제19도는 제17도의 선 19-19의 단면도이다.
제17도 내지 제19도에서 셔터 도어의 차폐부재는, 제 1 차폐편(91)과 제 2 차폐편(97)으로 구성된다.
그 제 1 차폐편(91)은, 도어(22)의 슬라트(22a,22a‥‥)의 각각에 부착되는 부착날개(92)와, 그 부착날개(92)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 1 중첩부(93)와, 그 제 1 중첩부(93)로부터 상하로 연장되고 상하의 차폐부재사이에서 중첩되는 상단 중첩부(93′) 및 하단 중첩부(93″)를 지닌다.
그 상단 중첩부(93′)는 제18도에서 평면으로 연장되고 하단 중첩부(93″)는 단이 지게 연장됨으로써 도어(22)의 개폐회동시 및 셔터(21)의 권취시 상부의 차폐부재의 하단 중첩부(93″)와 하부의 차폐부재의 상단 중첩부(93′)가 서로 간섭되지 아니한 채, 도어(22)의 폐쇄시 중첩될 수 있게 되어 도어(22)은 차폐시킬 수 있게 된다.
제 2 차페편(97)은, 셔터(21)의 슬라트(21a,21a‥‥)의 각각에 부착되는 부착날개(96)와, 그 부착날개(96)로부터 연장하여 도어(22)의 폐쇄시 상기 제 1 중첩부(93)와 중첩되고 도어(22)의 개폐회동시 및 셔터(21)의 권취시 서로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된 제 2 중첩부(97)와, 그 제 2 중첩부(97)로부터 상하로 연장되어 상하의 차폐부재의 사이에 각 상하단부에서 중첩되고 도어(22)의 개패회동시 및 셔터(21)의 권취시 서로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된 상단 중첩부(97′) 및 하단 중첩부(97″)를 지닌다.
그 상단 중첩부(97′)는 원로형상으로 연장되고, 하단 중첩부(97″)는 그 원호내로 삽입되는 경사부로 형성됨으로써 도어(22)의 개폐회동시 및 셔터(21)의 권취시 서로 간섭되지 아니하게 도어(22)의 폐쇄시에 중첩되어 도어(22)를 차폐시키게 된다.
제19도에 더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 중첩부(93′,97′) 내지 하단 중첩부(93″,93″)의 외측 단부에서 슬라트(22a,22a‥‥) 및 슬라트(21a,21a‥‥)와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측벽부(94,97a)가 상기 상단 중첩부(93′,97′) 내지 하단 중첩부(93″,93″)의 외측 단부에 형성됨으로써 그 슬라트(22a,22a‥‥) 및 슬라트(21a,21a‥‥)의 이동 내지 꼬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22)의 폐쇄시에 경첩(50)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아니하고 후방으로 열림이 없이 폐쇄되게 하기 위해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중첩부(93) 내지 제 2 중첩부(97)의 외측 단부에는 보강절곡부(98)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보강절곡부(98)를 설치함으로써 셔터(21)가 권취되는 때에 경첩(50)과 발란스 역할은 하게 되어 권취불량을 제거할 수 있게 되고, 권취시 경첩(50)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아니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셔터 도어용 차폐부재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상단 중첩부 및 하단 중첩부 등을 설치함으로써 더욱 상하 경첩사이의 틈새가 제거되고 부품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경첩이 설치되지 아니한 셔터와 도어의 슬라트들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고, 슬라트의 좌우 이동 내지 꼬임을 방지할 수 있어 차광, 차연의 방화셔터 본연의 기능을 다하게 하며, 도어를 셔터의 중앙부측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미려한 외관창출로 인해 경첩설치에 따르는 셔터의 외관이 해치게 되는 것은 완화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경첩(50)에 의해 셔터(21)의 다수의 수평방향 슬라트(21a,21a‥‥)의 일부분에 서로 상응하는 슬라트(22a,22a‥‥)로 연결된 셔터(21)의 도어(22)에 있어서, 상기 셔터(21)의 슬라트(21a,21a‥‥) 및 도어(22)의 슬라트(22a,22a‥‥)의 어느 하나의 각각에 부착되는 부착날개(92)와, 그 부착날개(92)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 1 중첩부(93)와, 그 제 1 중첩부(93)로부터 상하로 연장되어 상하의 차폐부재의 사이에 각 상하단부에서 중첩되고 도어(22)의 개폐회동시 및 셔터(21)의 권취시 서로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된 상단 중첩부(93′) 및 하단 중첩부(93″)를 지니는 제 1 차폐편(91′); 그리고 상기 셔터(21)의 슬라트(21a,21a‥‥) 및 도어(22)의 슬라트(22a,22a‥‥)의 다른 하나의 각각에 부착되는 부착날개(96)와, 그 부착날개(96)로부터 연장하여 도어(22)의 폐쇄시 상기 제 1 중첩부(93)와 중첩되고 도어(22)의 개폐회동시 및 셔터(21)의 권취시 서로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된 제 2 중첩부(97)와, 그 제 2 중첩부(97)로부터 상하로 연장되어 상하의 차폐부재의 사이에 각 상하단부에서 중첩되고 도어(22)의 개폐회동시 및 셔터(21)의 권취시 서로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된 상단 중첩부(97′) 및 하단 중첩부(97″)를 지니는 제 2 차폐편(9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도어용 차폐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중첩부(93′,97′) 내지 하단 중첩부(93″,93″)의 외측 단부에서 슬라트(22a,22a‥‥) 및 슬라트(21a,21a‥‥)와 접촉하여 그 슬라트(22a,22a‥‥) 및 슬라트(21a,21a‥‥)의 이동 내지 꼬임을 방지하도록 제 1 및 제 2 측벽부(94,97a)가 상기 상단 중첩부(93′,97′) 내지 하단 중첩부(93″,93″)의 외측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도어용 차폐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첩부(93) 내지 제 2 중첩부(97)의 외측 단부에는 보강절곡부(9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도어용 차폐부재.
KR2019980020026U 1998-10-20 1998-10-20 셔터도어용차폐부재 KR2002490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26U KR200249036Y1 (ko) 1998-10-20 1998-10-20 셔터도어용차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26U KR200249036Y1 (ko) 1998-10-20 1998-10-20 셔터도어용차폐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568U Division KR20010002215U (ko) 2001-04-23 2001-04-23 셔터 도어용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50U KR20000008350U (ko) 2000-05-15
KR200249036Y1 true KR200249036Y1 (ko) 2001-12-17

Family

ID=6952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026U KR200249036Y1 (ko) 1998-10-20 1998-10-20 셔터도어용차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0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937B1 (ko) * 2005-01-28 2007-04-03 장종복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차단구조
KR100755001B1 (ko) * 2005-08-11 2007-09-04 주식회사 창성인더스트리 방화셔터용 역경첩
KR100748276B1 (ko) * 2005-08-11 2007-08-10 주식회사 창성인더스트리 방화셔터용 경첩
KR100764029B1 (ko) * 2005-09-02 2007-10-05 강연구 힌지장치 및 회전비상문를 갖는 방화셔터
KR100702964B1 (ko) * 2006-08-25 2007-04-03 장종복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50U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6523B2 (en) Pinch-preventing safety hinge for hinged door
US3422575A (en) Closure operator
KR200249036Y1 (ko) 셔터도어용차폐부재
KR101861845B1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RU2213192C2 (ru) Петля для дверей, окон и т.п.
KR20010002215U (ko) 셔터 도어용 경첩
KR102005842B1 (ko) 도어용 손낌 방지장치
KR102287496B1 (ko)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102062059B1 (ko) U자형 경첩을 구비한 안전도어
KR102152797B1 (ko)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KR0118483Y1 (ko) 셔터 도어용 경첩
KR102375404B1 (ko) 공장조립에 의한 현장시공이 용이한 손끼임방지 및 폐쇄시 도어충격방지 안전도어
KR20200139860A (ko) 환기창의 잠금장치
KR200310198Y1 (ko) 방화셔터 도어설치용 힌지와 슬라트의 부착구조
KR101966667B1 (ko) 외력에 의해 급작스럽게 닫히는 것을 방지토록 한 안전도어
KR20190002676U (ko) 스윙 도어
KR101971774B1 (ko) 개방각도를 확보토록 한 안전도어
JP6522315B2 (ja) サッシ
KR101971776B1 (ko) 문폭을 확보토록 한 안전도어
JP7233973B2 (ja) ブラインド用フレーム及びブラインド
KR102315507B1 (ko) 설치 편의성이 개선된 힌지 및 이를 이용한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395422B1 (ko)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KR100595425B1 (ko) 여닫이식 창문 조립체
KR20200004088A (ko) 안전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906

Effective date: 2005011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22O Acceptance of document from other than kipo (remand - intellect property tribun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214

Effective date: 20051021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109

Effective date: 2006010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110

Effective date: 20060328

EXTG Ip right invalidated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214

Effective date: 2005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