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496B1 -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496B1
KR102287496B1 KR1020210050239A KR20210050239A KR102287496B1 KR 102287496 B1 KR102287496 B1 KR 102287496B1 KR 1020210050239 A KR1020210050239 A KR 1020210050239A KR 20210050239 A KR20210050239 A KR 20210050239A KR 102287496 B1 KR102287496 B1 KR 102287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door
hinge
rotation
door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현
Original Assignee
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윔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0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05D2011/0072Covers, e.g. for protection for the gap between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는, 문틀에 메인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면 방향으로 회동시 폐쇄되고 타면 방향으로 회동시 개방되는 문짝; 일단이 상기 문짝의 일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문짝의 개방시 상기 문짝과 상기 문틀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제1실드와, 일단이 상기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문짝의 개방시 상기 문짝과 상기 문틀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제2실드와, 상기 제1실드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며 하단에 제1결합홈이 형성된 제1회동부재와, 상기 제2실드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며 하단에 제2결합홈이 형성된 제2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동부재와 상기 제2회동부재가 상하 방향을 따라 교번 설치되어 상기 제1실드와 상기 제2실드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틈새보호유닛; 상기 문짝의 타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힌지를 중심으로 하는 곡면 형상의 제3실드를 포함하는 제1힌지보호유닛; 및 상기 문틀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힌지를 중심으로 하는 곡면 형상의 제4실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4실드의 곡률이 상기 제3실드와 다르게 형성된 제2힌지보호유닛;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PREVENTING DEVICE FOR HAND PINCHING IN DOOR GAP}
본 발명은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새에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건축물의 입구 등에 사람 또는 물건 등이 드나들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구조물 중 하나로서, 문틀과 문짝 그리고 손잡이로 구성되며, 창문과 함께 창호(窓戶)로 분류된다.
이러한 도어는 개폐방식에 따라 폴딩 도어, 회전 도어, 슬라이딩 도어와 여닫이 도어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 여닫이 도어는 아파트의 방문 등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개폐방식의 하나로 문짝의 일측이 문틀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문짝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 작동된다.
이때, 문짝의 개방 각도에 따라 문짝과 문틀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는 바, 이 틈새에 손가락이 인입된 상태에서 문짝이 폐쇄될 경우, 손가락에 타박상, 골절상, 심지어는 절단과 같은 심각한 부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그 위험성은 더욱 증가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손 끼임 방지장치가 개발되었지만, 장치가 지나치게 복잡하여 부피 및 제조비용이 지나치게 커지거나, 문짝의 내외부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문짝을 가공하는 등의 복잡한 공정이 필요한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통상적인 문짝 및 문틀을 사용하더라도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손 끼임 방지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을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939131 B1 (2019.01.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문짝과 문틀을 활용하면서 추가적인 가공 없이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손 끼임에 의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는, 문틀에 메인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면 방향으로 회동시 폐쇄되고 타면 방향으로 회동시 개방되는 문짝; 일단이 상기 문짝의 일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 내측에 부분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제1수용부가 형성된 제1실드와, 일단이 상기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 내측에 부분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제2수용부가 형성된 제2실드와,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1회동축 및 상기 제1회동축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복수개의 제1후크부재를 포함하는 제1회동부재와, 상기 제2수용부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2회동축 및 상기 제2회동축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설치되고 상기 제1후크부재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1걸림부재를 포함하는 제2회동부재를 포함하는 틈새보호유닛; 및 일단이 상기 문짝의 타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실드와, 일단이 상기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제3실드의 타단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실드를 포함하는 힌지보호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실드의 일단부 내측에는 부분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제3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틈새보호유닛은, 일면이 상기 문짝의 일면측에 결합되고 타면에 부분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제4수용부가 형성된 문짝고정부재와, 상기 제3수용부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3회동축 및 상기 제3회동축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복수개의 제2후크부재를 포함하는 제3회동부재와, 상기 제4수용부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4회동축 및 상기 제4회동축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설치되고 상기 제2후크부재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2걸림부재를 포함하는 제4회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틈새보호유닛은, 상기 문틀에 고정 설치되고 부분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수용부재와, 상기 제2실드의 일단부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재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원통 형상의 삽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드는,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곡면부와, 상기 제1곡면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내측면에 상기 제2수용부가 형성되는 제2곡면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1곡면부는 상기 수용부재와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문짝이 개방되었을 때 상기 수용부재의 절개부를 가릴 수 있다.
상기 문짝고정부재는, 중앙부에 나사가 관통하여 상기 문짝에 결합되고 일단부에 제1체결돌기가 형성되며 타단부 타면측에 상기 제4수용부가 형성된 제1판재와, 상기 제4수용부의 외측면에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일측면에 상기 제1체결돌기와 체결되는 제2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접힘 상태일 때 상기 나사의 헤드가 노출되고 펼쳐짐 상태일 때 상기 나사의 헤드를 가리는 제2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보호유닛은, 상기 문짝의 타면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부착판과, 상기 제1부착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통형의 제1축부재와, 상기 문틀에 고정 설치되는 제2부착판과, 상기 제2부착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통형의 제2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실드는 상기 제1축부재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4실드는 상기 제2축부재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실드는, 일단부에 상기 제1축부재가 삽입되는 일부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제1힌지측수용부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일부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힌지중앙수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4실드는, 일단부에 상기 제2축부재가 삽입되는 일부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제2힌지측수용부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힌지중앙수용부재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힌지중압삽입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의 양면 힌지부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여 손가락이 틈새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종류의 부품을 여러 부품으로 활용하여 설치에 필요한 부품의 종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종래의 문짝과 문틀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며, 시공 시간 및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폐쇄 상태일 때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개방 상태일 때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3)회동부재와 제2(4)회동부재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문짝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문짝의 회동에 따라 틈새보호유닛 및 힌지보호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폐쇄 상태일 때의 평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개방 상태일 때의 평면 단면도이고, 도 3은 제1(3)회동부재와 제2(4)회동부재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문짝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문짝의 회동에 따라 틈새보호유닛 및 힌지보호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는, 문틀(20)에 메인힌지(3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면 방향으로 회동시 폐쇄되고 타면 방향으로 회동시 개방되는 문짝(10)과, 문짝(10)의 일면측에 설치되어 문짝(10)과 문틀(20) 사이의 틈새를 가로막는 틈새보호유닛(100)과, 문짝(10)의 타면측에 설치되어 문짝(10)과 문틀(20) 사이의 틈새를 가로막는 힌지보호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틈새보호유닛(100), 힌지보호유닛(200)은 문짝(10)의 회동 동작에 따라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문짝(10) 힌지부의 틈새를 가로막으면서, 문짝(10)의 회동 동작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동작하여 손가락 등 신체 부위가 문짝(10)의 힌지부 틈새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틈새보호유닛(100)은 일단이 문짝(10)의 일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문짝(10)의 개방시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제1실드(110)와, 일단이 문틀(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문짝(10)의 개방시 문짝(10)과 문틀(2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제2실드(120)를 통해 문짝(10)의 일면측 틈새를 차단하게 된다.
자세한 구조는 후술하겠지만, 제1실드(110)의 타단과 제2실드(120)의 타단은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문짝(10)이 폐쇄 상태일 때는 서로 인접하도록 접혀진 상태로 변형되고, 문짝(10)이 개방되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려지면서 문짝(10)과 문틀(20) 사이의 틈새를 가로막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실드(11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판재 형상의 제1차단판(111)과, 제1차단판(111)의 타단부 배면에 부분 절개된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1수용부(112)와, 제1차단판(111)의 일단부 배면에 부분 절개된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3수용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실드(110)와 마찬가지로 제2실드(120) 역시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판재 형상의 제2차단판(121)과, 제2차단판(121)의 타단부 배면에 부분 절개된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2수용부(122)와, 제2차단판(121)의 일단부 배면에 돌출 형성된 연장부재(123) 및 연장부재(123)의 단부에 설치된 원기둥 형상의 삽입부재(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실드(110)의 제1차단판(111)은 대체적으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면, 제2실드(120)의 제2차단판(121)은 곡면부와 평면부가 혼재된 복잡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실드(120)의 구체적인 형상 및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1실드(110)와 제2실드(120)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서 제1회동부재(130)를 제1실드(110)의 타단에 결합시키고, 제2회동부재(140)를 제2실드의 타단에 결합시키며, 제1회동부재(130) 및 제2회동부재(140)를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회동부재(130)는 제1수용부(112)에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제1회동축(131) 및 이로부터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후크부재(1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회동부재(140)는 제2수용부(122)에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제2회동축(141) 및 이로부터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후크부재(132)에 삽입되는 제1걸림부재(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실드(110)와 제2실드(120) 사이의 결합부를 위와 같이 제1회동부재(130)와 제2회동부재(140)를 이용하여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제1실드(110)와 제2실드(120)는 다관절 형태로 회동되며, 문짝(10)의 회동시 보다 부드러운 회동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제1수용부(112)의 내주와 제1회동축(131)의 외주, 제2수용부(122)의 내주와 제2회동축(141)의 외주, 제1후크부재(132)의 내주와 제1걸림부재(142)의 외주는 각각 거의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어, 남는 공간에서의 덜그럭거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실드(110), 제2실드(120), 제1회동부재(130) 및 제2회동부재(140)의 재질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제1수용부(112)에 제1회동축(131)이 삽입될 때,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킨 이후에는 강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1회동축(131)이 제1수용부(112)로부터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을 위한 작업이나 구성이 추가로 요구되지 않는다.
이러한 억지끼움 결합은 제2수용부(122)와 제2회동축(141), 제1후크부재(132)와 제1수용부재(180) 사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회동부재(130) 및 제2회동부재(140)의 형상 및 결합 구조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동부재(130)의 제1회동축(131)은 축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제1회동축(131)의 측면으로 복수개의 제1후크부재(132)가 형성된다.
제1후크부재(132)는 일부분이 절개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높이가 제1회동축(131)에 비해 낮은 높이의 구성이 상하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마련되며, 그 이격 간격은 서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회동부재(140) 역시 제2회동축(141)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제2회동축(141)의 측면으로 복수개의 제1걸림부재(142)가 형성된다.
이때, 제1걸림부재(142)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원기둥 형상으로 분할하여 제조할 수도 있지만, 제1후크부재(132)와 제1걸림부재(142)의 상호 결합 위치를 일치시키고, 회동시 상하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제1걸림부재(142)의 사이에는 제1지지부재(14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걸림부재(142) 및 제1지지부재(143)는 동일한 축을 공유하면서 상하로 교번 배치되어 외주가 불연속적인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걸림부재(142)의 외주는 제1후크부재(132)의 내주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지지부재(143)는 제1후크부재(132)의 외주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제1걸림부재(142)가 제1후크부재(13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1후크부재(132) 및 제1지지부재(143)가 동일한 외주를 갖는 하나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개의 제1후크부재(132)에 복수개의 제1걸림부재(142)가 삽입되어 제1회동부재(130)와 제2회동부재(140)가 완전히 결합된 이후에는, 동시에 모든 제1걸림부재(142)를 제1후크부재(132)로부터 이탈시키지 않는 한 두 구성이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틈새보호유닛(100)는 일면이 문짝(10)의 일면측에 결합되고 타면에 부분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제4수용부(152)가 형성된 문짝고정부재(150)와, 제1실드(110)의 제3수용부(113)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3회동축(161) 및 제3회동축(161)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복수개의 제2후크부재(162)를 포함하는 제3회동부재(160)와, 제4수용부(152)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4회동축(171) 및 제4회동축(171)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설치되고 제2후크부재(162)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2걸림부재(172)를 포함하는 제4회동부재(170)를 더 포함하여, 제1실드(110)를 문짝(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제3수용부(1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회동부재(160) 및 제4수용부(15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회동부재(170)는, 각각 제1회동부재(130) 및 제2회동부재(140)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그 구체적인 형상 및 작동관계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문짝고정부재(150)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S)를 이용하여 문짝(10)에 고정되는 제1판재(151)와, 제1판재(151)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제4수용부(152)와, 제4수용부와 접힘 동작이 가능하게 연결된 제2판재(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판재(151)의 일측에는 제1체결돌기(151a)가 형성되고, 제2판재(153)에는 이와 맞물리는 제2체결돌기(153a)가 형성되는 바, 제1,2체결돌기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면 제1판재(151)와 제2판재(153)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문짝고정부재(150)의 제2판재(153)를 이와 같이 접힘 동작이 가능하도록 형성시키는 이유는, 제1판재(151)를 나사(S)를 통해 문짝(10)에 고정시킨 이후, 나사(S)의 헤드 부분을 가림으로써 조립 부위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이다.
즉, 외부에 노출되는 부위에 나사 헤드가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심미적으로 우수한 손 끼임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제2판재(153)의 끝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바, 제4수용부(152) 및 제2판재(153)의 표면이 연속적인 곡면 형상을 나타내게 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외형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문틀(20)에는 제2실드(12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수용부재(18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수용부재(180)는 부분 절개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수용부재(180)에 제2실드(120)의 일단부 배면에 형성된 원통형의 삽입부재(124)가 삽입됨으로써, 제2실드(120)가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삽입부재(124)는 제2실드(120)의 배면에 직접 형성되지 않고, 연장부재(123)를 통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문짝(10)의 회동시 제2실드(120)가 회동하는 중에 삽입부재(124)와 수용부재(180)의 결합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하여, 제2실드(120)의 일단부는 수용부재(180)의 외주면을 감싸는 곡면 형태의 제1곡면부(121a)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곡면부(121a)는 그 내주가 수용부재(180)의 외주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미세하게 크게 형성되어, 제2실드(120)가 회동할 때 제1곡면부(121a)가 수용부재(180) 상을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된다.
이때, 제1곡면부(121a)의 길이 및 형상은 문짝(10)이 최대한 개방되었을 때 삽입부재(124)와 수용부재(180)의 결합 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문짝(10)이 회동하면서 발생하는 틈새를 가로막기 위한 제2실드(120)와 문틀(20) 사이의 틈새가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고, 삽입부재(124)와 수용부재(180)의 결합 부위를 노출시키지 않고 제1곡면부(121a)의 곡면 형상만 노출되기 때문에, 우수한 외형 품질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제2실드(120)는 일단부인 제1곡면부(121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평면부(121b) 및 평면부(121b)로부터 다시 연장 형성되는 제2곡면부(121c)로 구분된다.
제2곡면부(121c)는 제1회동부재(130) 및 제2회동부재(140)의 결합 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문짝(10)이 폐쇄된 상태일 때에는 문짝(10)과 이에 인접한 제2곡면부(121c)가 함께 제1회동부재(130) 및 제2회동부재(140)의 결합 부위를 가리고, 문짝(10)이 개방된 상태일 때에는 제2곡면부(121c)와 제1실드(110)의 타단부가 제1회동부재(130) 및 제2회동부재(140)의 결합 부위를 가리게 된다.
한편, 힌지보호유닛(200)은 문짝(10)의 타면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부착판(231)과, 제1부착판(23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통형의 제1축부재(232)와, 문틀(20)에 고정 설치되는 제2부착판(241)과, 제2부착판(24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통형의 제2축부재(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3실드(210)는 제1축부재(23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4실드(220)는 제2축부재(24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실드(210)와 제4실드(220)도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들 각각의 형상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3실드(210)는 메인힌지(30)을 중심으로 하는 곡면 형상의 판재로 구성되며, 그 일단부에 제1축부재(232)에 삽입되는 일부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제1힌지측수용부재(2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일부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힌지중앙수용부재(212)가 형성된다.
제4실드(220) 역시 제3실드(210)와 유사하게 메인힌지(30)을 중심으로 하는 곡면 형상의 판재로 구성되며, 그 일단부에 제2축부재(242)에 삽입되는 일부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제2힌지측수용부재(22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힌지중앙수용부재(212)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힌지중앙삽입부재(22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축부재(232)와 제3실드(210), 제2축부재(242)와 제4실드(220), 제3실드(210)와 제4실드(220)가 각각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문짝(10)의 회동 각도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문짝(10)과 문틀(2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축부재(232)를 문짝(10)에 결합시키는 제1부착판(231)은 제3실드(210)로부터 메인힌지(3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부착판(241) 역시 제4실드(220)로부터 메인힌지(3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렇게 제1부착판(231) 및 제2부착판(241)이 모두 메인힌지(30)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제1부착판(231)과 문짝(10)의 결합면과, 제2부착판(241)과 문틀(20)의 결합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제1부착판(231) 및 제2부착판(241)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 등 고정부재를 가리기 위한 별도의 커버부재가 불필요해지게 된다.
힌지보호유닛(200)을 설치하기 위해서, 먼저 제1부착판(231)을 문짝(10)에 결합시키고 제2부착판(241)을 문틀(20)에 결합시킨 이후, 제3실드(210)를 제1축부재(232)에 삽입 결합하고, 제4실드(220)를 제2축부재(242)에 삽입 결합하며, 마지막으로 제4실드(220)의 힌지중앙삽입부재(222)를 제3실드(210)의 힌지중앙수용부재(212)에 삽입 결합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1부착판(231) 및 제2부착판(241)을 정확히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제3실드(210) 및 제4실드(220)를 각각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 결합시켜 간단히 조립함으로써, 힌지보호유닛(200)의 설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고, 회동 동작시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최적화된 간격 및 각도로 설치가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 장치의 작동 도면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10)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제1실드(110)와 제2실드(120)가 서로 인접하여 평행해지도록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문짝(1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1실드(110)와 제2실드(120)가 펼쳐져 연속적인 형상의 표면을 이루게 되는 바, 문짝(10)의 회동 각도와 무관하게 문짝(10)과 문틀(20) 사이의 틈새가 항상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 드러나 표면이 곡면 및 이로부터 자연스럽게 연장된 평면으로 구성되어, 심미적으로 우수한 손 끼임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문짝 20: 문틀
30: 메인힌지 100: 틈새보호유닛
110: 제1실드 111: 제1차단판
112: 제1수용부 113: 제3수용부
120: 제2실드 121: 제2차단판
121a: 제1곡면부 121b: 평면부
121c: 제2곡면부 122: 제2수용부
123: 연장부재 124: 삽입부재
130: 제1회동부재 131: 제1회동축
132: 제1후크부재 140: 제2회동부재
141: 제2회동축 142: 제1걸림부재
143: 제1지지부재 150: 문짝고정부재
151: 제1판재 151a: 제1체결돌기
152: 제4수용부 153: 제2판재
153a: 제2체결돌기 160: 제3회동부재
161: 제3회동축 162: 제2후크부재
170: 제4회동부재 171: 제4회동축
172: 제2걸림부재 173: 제2지지부재
180: 수용부재 200: 힌지보호유닛
210: 제3실드 211: 제1힌지측수용부재
212: 힌지중앙수용부재 220: 제4실드
221: 제2힌지측수용부재 222: 힌지중압삽입부재
231: 제1부착판 232: 제1축부재
241: 제2부착판 242: 제2축부재
S: 나사

Claims (7)

  1. 문틀에 메인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면 방향으로 회동시 폐쇄되고 타면 방향으로 회동시 개방되는 문짝;
    일단이 상기 문짝의 일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 내측에 부분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제1수용부가 형성된 제1실드와, 일단이 상기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 내측에 부분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제2수용부가 형성된 제2실드와,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1회동축 및 상기 제1회동축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복수개의 제1후크부재를 포함하는 제1회동부재와, 상기 제2수용부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2회동축 및 상기 제2회동축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설치되고 상기 제1후크부재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1걸림부재를 포함하는 제2회동부재를 포함하는 틈새보호유닛; 및
    일단이 상기 문짝의 타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실드와, 일단이 상기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제3실드의 타단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실드를 포함하는 힌지보호유닛;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실드의 일단부 내측에는 부분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제3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틈새보호유닛은, 일면이 상기 문짝의 일면측에 결합되고 타면에 부분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제4수용부가 형성된 문짝고정부재와, 상기 제3수용부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3회동축 및 상기 제3회동축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복수개의 제2후크부재를 포함하는 제3회동부재와, 상기 제4수용부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4회동축 및 상기 제4회동축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설치되고 상기 제2후크부재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2걸림부재를 포함하는 제4회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틈새보호유닛은,
    상기 문틀에 고정 설치되고 부분 절개된 파이프 파이프 형상의 수용부재와, 상기 제2실드의 일단부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재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원통 형상의 삽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실드는,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곡면부와, 상기 제1곡면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내측면에 상기 제2수용부가 형성되는 제2곡면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1곡면부는 상기 수용부재와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문짝이 개방되었을 때 상기 수용부재의 절개부를 가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문짝고정부재는,
    중앙부에 나사가 관통하여 상기 문짝에 결합되고 일단부에 제1체결돌기가 형성되며 타단부 타면측에 상기 제4수용부가 형성된 제1판재와,
    상기 제4수용부의 외측면에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일측면에 상기 제1체결돌기와 체결되는 제2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접힘 상태일 때 상기 나사의 헤드가 노출되고 펼쳐짐 상태일 때 상기 나사의 헤드를 가리는 제2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보호유닛은, 상기 문짝의 타면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부착판과, 상기 제1부착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통형의 제1축부재와, 상기 문틀에 고정 설치되는 제2부착판과, 상기 제2부착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통형의 제2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실드는 상기 제1축부재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4실드는 상기 제2축부재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실드는, 일단부에 상기 제1축부재가 삽입되는 일부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제1힌지측수용부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일부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힌지중앙수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4실드는, 일단부에 상기 제2축부재가 삽입되는 일부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제2힌지측수용부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힌지중앙수용부재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힌지중압삽입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0210050239A 2021-04-19 2021-04-19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287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239A KR102287496B1 (ko) 2021-04-19 2021-04-19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239A KR102287496B1 (ko) 2021-04-19 2021-04-19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496B1 true KR102287496B1 (ko) 2021-08-09

Family

ID=7731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239A KR102287496B1 (ko) 2021-04-19 2021-04-19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224B1 (ko) * 2022-11-29 2023-10-26 김서연 자원재활용과 환경을 보호하는 손끼임방지문 및 문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2576U (ko) * 1986-10-14 1988-04-25
KR101939131B1 (ko) 2018-09-14 2019-01-16 동화케이팀 주식회사 손 끼임 방지 문
KR101981743B1 (ko) * 2018-10-02 2019-05-27 윔코리아 주식회사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KR102015284B1 (ko) * 2019-03-20 2019-08-28 구본춘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038399B1 (ko) * 2019-10-07 2019-10-31 구본춘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2576U (ko) * 1986-10-14 1988-04-25
KR101939131B1 (ko) 2018-09-14 2019-01-16 동화케이팀 주식회사 손 끼임 방지 문
KR101981743B1 (ko) * 2018-10-02 2019-05-27 윔코리아 주식회사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KR102015284B1 (ko) * 2019-03-20 2019-08-28 구본춘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038399B1 (ko) * 2019-10-07 2019-10-31 구본춘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224B1 (ko) * 2022-11-29 2023-10-26 김서연 자원재활용과 환경을 보호하는 손끼임방지문 및 문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156B1 (ko) 여닫이문용 끼임방지 안전경첩
KR102287496B1 (ko)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861845B1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102451572B1 (ko) 손끼임 방지 도어
KR20190086869A (ko) 방충망의 힌지 결합구조
US20050056386A1 (en) Folding closure with equally sized panels
JP2003154051A5 (ko)
KR102113880B1 (ko) 손가락 끼임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KR102152797B1 (ko)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102062059B1 (ko) U자형 경첩을 구비한 안전도어
KR102431936B1 (ko) 여닫이 도어용 후면 손끼임 방지장치
US4340992A (en) Hinge catch
KR102315507B1 (ko) 설치 편의성이 개선된 힌지 및 이를 이용한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KR20210021748A (ko) 끼임 방지도어
AU2005101027B4 (en) Folding Closure with Equally Sized Panels
KR102458496B1 (ko) 설치 편의성이 개선된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576000B1 (ko) 여닫이 도어용 후면 손끼임 방지장치
KR200249036Y1 (ko) 셔터도어용차폐부재
KR102426836B1 (ko) 여닫이 도어용 후면 손끼임 방지장치
KR102260129B1 (ko)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971776B1 (ko) 문폭을 확보토록 한 안전도어
KR102170543B1 (ko)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KR102141494B1 (ko) 손 끼임 방지 장치 및 손 끼임 방지 문
JP3461718B2 (ja) 浴室折戸のストッパ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