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1598A - 귀마개 - Google Patents

귀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1598A
KR20020081598A KR1020027013317A KR20027013317A KR20020081598A KR 20020081598 A KR20020081598 A KR 20020081598A KR 1020027013317 A KR1020027013317 A KR 1020027013317A KR 20027013317 A KR20027013317 A KR 20027013317A KR 20020081598 A KR20020081598 A KR 20020081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conduit
earplug
film memb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외르겐 하칸손
퍼 히셀리우스
마리 페르손
Original Assignee
델로즈 세이프티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로즈 세이프티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델로즈 세이프티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2008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5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085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including an inne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8Manufacture of hous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75Sound-damping or noise-re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 도관을 구비한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귀마개내에는 박막 부재가 채용되며, 상기 박막 부재는 박막 홀더 및 상기 박막 홀더에 의해 유지되는 박막을 포함하며, 상기 귀마개는 박막 부재를 록킹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귀마개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귀마개의 감쇠 곡선의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귀마개{EARPLUG}
귀마개 기술 분야에서, 대화 청취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범위내에서 귀마개의 감쇠를 줄이기 위해 귀마개의 길이방향 관통 덕트와 관련하여 박막을 배치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SE 8102931-6 (Racal)에는 2kHz 까지 본질적으로 직선인 감쇠 특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주로 귀덮개와 관련된 상기 출원에는 박막이 도관 벽에 고정된 관통 덕트를 구비한 귀마개도 기재되어 있다. 상기 박막은 공진 주파수 이하의 범위에서 감쇠 감소 수단으로서 작용하며, 그에 따라 보다많은 소리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박막의 특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소음 감쇠용 귀마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귀의 이도(耳道)내로 삽입되며 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긴 본체를 포함하는 형태의 귀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귀마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귀마개의 감쇠 곡선의 경로(course)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귀마개"라는 용어는 청각 보호기를 의미하며, 그 청각 보호기는, 귀의 바깥쪽에 덮여지는 귀덮개(ear-muff)와는 달리, 사용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귀의 이도내로 삽입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종축방향 단면도.
도 2a 는 박막 부재를 구비한 도 1 의 귀마개의 일부의 확대도.
도 2b 내지 2d 는 도 2a 의 선 A-A 을 따라 취한 단면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및 3b 는 본 발명에 따라 귀마개에 사용되는 박막 부재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c 내지 3g 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h 내지 3i 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부재의 여러 가지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박막 부재를 기본 귀마개내에 어떻게 장착하는가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를 사용자의 귀에 착용한 상태로 도시한 개략도.
도 6 은, 도 1 과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종축방향 단면도.
도 7a 내지 7c 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부재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의 원리를 도시한 개략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용 등가 전기 회로의 회로도.
도 9a 내지 9d 는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용 감쇠 곡선의 그래프.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종축방향 단면도.
도 11 은, 도 3c 내지 3g 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박막을 구비한 전술한 일반적인 형태의 개선된 귀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이한 귀마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양호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박막의 음향 특성을 이용하고 또 음향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특징들을 가지는 귀마개 및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라, 귀마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덕트를 가지는 기본적인 귀마개로부터 출발하여, 귀마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안정화 고정 부분 즉, 박막 홀더상에 박막이 배열되어 그 박막이 도관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박막의 이용과 박막 고유의 특성 및 음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 그리고 감쇠 영향 특성이 상당히 용이해진다는 것을 기초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 박막은 박막 홀더와 함께 박막 부재로 칭한다.
상기 구성의 박막 부재는 단순하면서도 정확하게 박막을 덕트상에 위치시키는 것과 관련한 큰 이점 및 가능성을 제공한다. 박막 홀더는 박막의 취급을 매우 간편하게 한다. 편리하게도 박막 홀더가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그 박막 홀더가 박막을 팽팽하게 하거나 예비응력(prestress) 상태가 되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박막이 원하는 강도를 가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는 비-일회용 귀마개가 아니고, 그 경우에 귀마개는 일회 이상 사용된다. 그에 따라, 박막이 도관내에 견고하게 배치될 필요가 있으며, 사용자가 귀마개를 반복적으로 삽탈할 때에 덕트내의 박막에 가해지는 외부 작용 또는 내부 변위가 없어야 한다. 박막 홀더는 이러한 안정성을 제공하며 박막을 정위치에 고정하는데 기여한다. 바람직하게 연장형 튜브 형태를 가지는 박막 홀더는 도관 벽과 결합된 장착 상태에서 적절한 둘레 표면을 가진다.
유리하게도, 박막 부재는 기본 귀마개가 제조된 후에 기본 귀마개의 관통 도관내에 배치되고 그 도관을 밀봉할 수 있다. 박막의 복잡하지 않은 장착은, 박막 부재 부착을 위해, 박막 부재가 귀마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위치까지 관통 도관내로 삽입되는 것 또는 도관상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박막 부재를 관통 도관내에 장착할 때, 상기 도관은 하나의 내측 도관 부분 및 하나의 외측 도관 부분이 형성되도록 한정 또는 분할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부재의 디자인으로 인해, 도관 벽내에 또는 도관 벽에 박막 홀더를 몰딩함으로써, 귀마개를 박막 부재 둘레에 몰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박막 홀더는 본질적으로 튜브형, 바람직하게는 원형 실린더 형상을 가진다. 박막은 실린더의 일단부를 필수적으로 덮도록 적절히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박막 및 박막 홀더는 일체로 형성된다. 박막 부재의 그러한 변형예는, 형상과 관련하여 손잡이가 없는 컵(mug) 또는 탄피(cartridge case)와 비교하면, 박막은 컵의 바닥에 대응하고 그리고 박막 홀더는 컵의 원통형 벽에 대응한다.
박막은 통상적으로 두께가 0.1 mm 인 얇은 필름으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박막 홀더는 벽 두께가 약 0.5 mm 이다.
기본 귀마개내에 장착된 후에 박막 부재는 도관을 내측 부분과 외측 부분의 두 부분으로 밀봉 분할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박막 부재는 순수한 박막 기능을 하며, 즉 박막 부재는 소리-흡수 수단과 같은 추가적인 수단이 없다. 그러나, 박막 부재는 박막 홀더에 의해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귀마개의 내측 및 외측 도관 부분은 바람직하게 추가적인 소리-흡수 수단과 같은 추가적인 수단이 전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몇 개의 박막 부재를 귀마개의 하나의 관통 도관내에 장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박막의 소리 영향 특성 및 귀마개의 소리-감쇠 특성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그 특성들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이 제공된다. 귀마개내에서 소리가 박막에 의해 실질적으로 "감쇠"되지 않는다. 입사되는 소리는 다시 반사되어 나올 뿐이며 고막에 도달하지 않는다. 박막의 기능은 "진동(oscillate)"하는 것이며, 이는 일부 소리가 통과한다는 것 즉, 반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능은 박막이 진동하는 주파수에서 즉, 박막의 공진 주파수에서 귀마개의 소리 감쇠가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박막이 감쇠에 미치는 영향은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의 감쇠 곡선으로부터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박막의 공진 주파수는 특히, 박막의 매스, 면적, 강성도(stiffness) 및 예비응력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낮은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박막이 바람직한 경우에, 비교적 두꺼운 박막이 사용된다는 것을 본 출원인이 인식하였다. 그러나, 두꺼운 박막의 사용은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박막이 너무 큰 강성도를 가질 위험이 있고, 이는 반대의 효과 즉, 높은 공명 주파수를 유발할 위험이 있다. 그러나, 주파수와 관련하여 위쪽으로 향하는 것은 감쇠 곡선 뿐만 아니라, 감쇠 역시 해당 공진 주파수에서 증가한다. 이상적인 박막이 두껍게 제조된다면, 증가된 진동 매스(mass)가 얻어질 것이고, 이는 낮은 공진 주파수를 초래할 것이다. 그러나, 만약 비-이상적인 박막이 두껍게 제조된다면, 증가된 강성도 및 증가된 매스를 제공할 것이고, 따라서 이는 이상적인 박막의 경우 보다 공진 주파수의 작은 변화를 초래할 것이다. 증가된 강성도 및 증가된 매스는 적은 소리 전달을 제공할 것이며, 다시 말해 공진의 효과는 동일한 정도로 분명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박막 부재가 관통 도관내에 장착되고 그리고 도관을 두개의 부분으로 밀봉 분할하였을 때, 박막의 양쪽에 형성된 공기 기둥들을 이용함으로써 박막의 소리 특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양쪽의 공기 기둥들은 박막을 누를(weigh down) 수 있으며, 주파수와 관련하여 공진을 하향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관 또는 공기 기둥의 길이 및 면적(특히, 입구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얇은 박막에 의해 비교적 낮은 공진 주파수가 얻어질 수 있다. 길고 얇은 공기 기둥은 음향의 관점에서 볼 때 짧고 넓은 공기 기둥 보다 무겁다. 예를 들어, 외측 공기 기둥 즉, 외부와 박막 사이의 공기 기둥은 "보다 무거운" 기둥을 제공하는 보다 좁은 유입 개구부를 형성할 것이다. 내부 공기 기둥 즉, 고막과 박막사이의 공기 기둥은 도관의 여러 가지 상이한 디자인에 의해 공진 주파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고막을 향해 경사진 도관과 관련하여, 내측 공기 기둥은 외측 공기 기둥 보다 음향학적으로 보다 무거워질 것이다. 물론, 관통 도관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형성될 것이며, 음향 중량(weight)은 도관의 가장 좁은 면적에 의해 그리고 도관의 길이에 의해 지배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고막을 향한 관통 도관내에서의 박막의 위치 및/또는 입구 면적의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박막의 공진을 적절한 주파수로 변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부재는 박막과 관련하여 도관내의 정확한 위치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는 관통 도관을 가지는 기본적인 귀마개를 형성하고 그 후에 박막 부재를 상기 도관내로 삽입함으로써 간편하게 제조된다. 이러한 진보적인 사상은 커다란 선택 자유도 및 여러 가지 상이한 변수와 함께 운영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박막 부재가 추후에 장착되기 때문에, 제조 프로세스의 후반 단계에서 귀마개가 가지는 특성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관의 크기와 무관하게, 여러 가지 고유 특성을 가지는 박막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박막 부재가 어떤 방향으로 도관내에 삽입되는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즉 박막이 도관내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위치되는지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원통형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부재는 적절하게 2-6 mm, 바람직하게는 3-4 mm, 예를 들어 3.4 mm 의 직경을 가진다. 박막 부재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1-8 mm, 예를 들어 2 mm 이다. 박막의 두께는 0.1 mm 와 같이 0.005-0.5 mm 이며, 박막 홀더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0.3-2 mm, 예를 들어 0.6 mm 이다.박막 부재는 귀마개에 장착될 수 있고 쇼어 지수(Shore number)가 5°- 80°A, 예를 들어 60°A 인 일반적인 가요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박막 부재는 예를 들어 LR 3003 등과 같은 LSR(액체 실리콘 고무)의 실리콘 사출에 의해 단일 편(piece)으로 형성된다. 실리콘 사출은 "역전된(reversed)" 사출 성형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출 성형에서는, 성형되고, 냉각 및 응고되는 고온의 열가소성 물질이 사용된다. 그러나, 실리콘 사출에서는, 가열되었을 때 물질이 경화될 수 있게 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저온의 액체 실리콘 유체에 의해 역전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저온의 액체 실리콘 유체가 고압하에서 압축 및 가열되어 몰드내로 사출되고, 실리콘 유체가 경화된다. 이러한 기술에 의해, 약 0.1 mm 의 얇은 필름인 박막을 몰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박막 홀더는 약 0.5 mm 의 벽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내에 포함되는 기본적인 귀마개는, 예를 들어, EP 0 847 736 에 개시된 귀마개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차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내의 도관은 관통 도관이고, 그에 따라, 둘레에 귀마개가 몰딩되는 코어 부재가 보다 길게 제조되어 그 코어가 몰드 절반부내에서 전체 공동(空洞)을 통해 연장한다는 것이다. 기본 귀마개는 하나의 물질로 몰딩될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여러 가지 플러그 부분에 대해) 몇가지 물질로 몰딩될 수도 있다.
기본적인 귀마개의 몰딩과 관련하여, 박막 부재를 장착할 때 박막 홀더가 도관 벽과 결합하는 것에 의해 박막 부재가 도관 벽과 협력하도록 도관 벽이 형성된다. 이는 박막 부재가 도관내로 삽입되었을 때 박막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당연히, 그러한 고정은 예를 들어 쇼울더(shoulder) 수단의 이용 또는 형성될 때 도관 벽내에 절개부를 제공하는 몰드 공동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스냅식 록킹(snap lock)이 제공된다. 박막 부재는 그 박막 부재가 절개부를 통과하여 록킹될 때까지 도관내로 삽입된다. 물론, 마찰식 접합부, 접착(gluing) 등과 같이 박막 부재를 정위치에 유지하는 여러 가지 다른 방법들이 있을 것이며, 그러한 방법들 모두 본 발명 사상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또한, 도관 벽과 일체로 형성되지 않은 특별한 유지 수단을 도관 벽에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박막이 여러 가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도관 벽을 따라 여러 가지 위치에 있는 쇼울더, 유지 수단 등의 다수의 정지부를 구비한 도관 벽을 만들수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마개(2)의 종축방향 단면도이다. 상기 귀마개(2)는 원뿔대 형상의 코어 또는 본체 부분(4)을 포함한다. 코어 또는 본체 부분(4)의 전방부는 둘레 슬리브 또는 밀봉부(6)를 구비한다. 밀봉부(6)의 둘레 표면으로부터, 4개의 일체형 환형 플랜지(8, 10, 12, 14)가 코어 또는 본체 부분(4)의 종방향에 수직인 반경방향으로 돌출한다. 제 1 플랜지(8)는 귀마개(2)의 전방 엣지(edge)로부터 직접 돌출하고 가장 작은 직경을 갖는다. 다른 플랜지(10, 12, 14)는 귀마개 부분상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귀마개(2)를 따라 후방으로 갈수록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갖는다. 플랜지(8, 10, 12, 14)의 전방 표면은 후방으로 경사지며, 상기 플랜지의 후방 표면은 귀마개(2)의 축방향 또는 종방향에 수직이다.
슬리브형(sleeve-shaped) 밀봉부(6)는 귀의 이도(耳道)내로 삽입되는 코어 또는 본체 부분(4)의 일부 즉, 전체 실제 귀마개를 덮는다. 이는, 귀마개(2)의 전방부(슬리브형 밀봉부(6))가 귀의 이도(H)내로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도 5 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환형 플랜지(8, 10, 12, 14)는 이도(H)의 벽에 밀봉 상태로 접하고 있다. 코어 또는 본체 부분(4)의 후방 부분은 손잡이 부분(5)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코어 또는 본체 부분(4)은 원형 단면의 축방향 관통 도관(16)을 가지며, 상기 도관의 지름은 대략적으로 손잡이 부분(5)으로부터 상단부까지 감소한다. 도 1 에는 코어 또는 본체 부분(4)의 도관 벽이 손잡이 부분(5)의 길이의 중간 정도에 위치하는 환형 볼록부(bulge)(18)와 그 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하는 환형 돌출 쇼울더(shoulder)(20)를 포함하며, 상기 쇼울더는 도관 직경의 감소에 의해 형성된다. 벽내의 쇼울더(20) 및 볼록부(18)는 코어 또는 본체 부분(4)의 몰딩 중에 만들어지고 그리고 코어 또는 본체 부분(4)과 일체로 형성된다.
관통 도관(16)내에서, 박막 부재(22)는 볼록부(18)와 쇼울더(20) 사이에서 밀봉 및 구획(defining) 방식으로 장착된다. 박막 부재(22) 둘레 부분을 도 2a 에확대 도시하였다. 박막 부재(22) 자체는 도 3a 에 사시도로서 도시되었으며, 도 3b 에는 도 3a 의 선 A-A 를 따라 취한 축방향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박막 부재(22)가 벽 두께가 약 0.5 mm 인 원통형 튜브 모양의 박막 홀더(24)를 포함한다는 것을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두께가 약 0.1 mm 인 원형 박막(26)이 박막 홀더(24)의 최전방에서 뚜껑으로서 가로질러 배치된다. 박막 부재(22)는 약 2 mm 의 길이와 약 3.4 mm 의 지름을 갖는다. 박막의 지름은 약 2.4 mm 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박막 홀더(24) 및 박막(26)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 및 2a 는 볼록부(18) 및 쇼울더(20) 사이에 배치된 박막 부재(22)를 도시하고 있다. 박막 홀더(24)의 전방 단부는 도관 벽으로부터 돌출한 환형 쇼울더(20)에 접하며, 박막 홀더(24)의 후방 단부는 볼록부(18)에 접하고, 또한, 박막 홀더의 원통형 표면은 도관 벽과 맞닿는다. 그에 따라, 박막 부재(22)가 고정된다. 볼록부는 예를 들어 환형과 같은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몇 개의 돌출부나 리브(rib)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은 도 2a 의 선 A-A 를 따라 취한 몇 가지 예의 단면으로서 도 2b 내지 2d 에 도시되어 있다.
도 2b 에서, 볼록부(18b)는 환형이다. 도 2c 에는 4 개의 돌출부(18c)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그 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으며, 형성도 반드시 둥글 필요가 없다. 도 2d 에는 4 개의 리브가 도시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그 개수는 그 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고 또 그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a 에 도시된 길이(L)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의 볼록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보다긴 볼록부의 장점은 박막 부재(22)가 매우 양호하게 록킹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그러한 긴 볼록부는 박막 부재(22)를 삽입할 때 보다 큰 저항을 유발시킨다.
도 3c 내지 3g 는 본 발명에 따라 귀마개내에 사용하기 위한 박막 부재(22b-22f)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그 박막 부재들은 도관의 연장 방향에서 본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미 도시한 원형 외에도, 대칭형 및 비대칭형을 포함한 실질적으로 모든 형상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N-각형(角形)이 3 개의 모서리로부터 무한 개수의 모서리까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타원형상도 가능하다. 도면들에는 단지 몇 개의 형상들만을 예시하였다. 도 3c 는 원형을, 도 3d 에는 삼각형을, 도 3e 에는 사각형을, 도 3f 에는 타원형을 그리고 도 3g 에는 팔각형을 도시하였다. 모든 경우에서, 박막(26b-26f)은 내측 부분을 구성하고, 박막 홀더(24b-24f)는 둘레의 외측 부분을 구성한다. 도 3h 및 3i 는 전술한 박막 부재(22b-22f)의 축방향을 따른 두개의 가능한 길이방향 부분을 도시한다. 당연히, 기타 단면형상도 가능하다. 도시된 모든 박막은, 예를 들어, 도 3h 에 도시된 U-자형 단면, 또는 도 3i 에 도시된 H-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H-형 단면의 경우에, 박막 홀더(24h)는 두개의 평행한 레그(leg)를 포함하고, 박막(26h)은 상기 레그들 사이에서 가로지르는 레그이다. 도 3i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26h)은 박막 홀더(24h)의 중심의 좌측으로 약간 변위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H-형 구성은 도관내의 박막(26h)의 두개의 서로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며, 그에 따라 박막 공진에 상이하게 영향을 미치는 공기 기둥(column)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귀마개의 관통 도관내로 박막 부재의 어떤 단부가 먼저 삽입되는지에 따라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의 박막 공진을 간단히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형상의 박막 부재가 그 박막 부재의 단부들 중 하나가 도관을 향한 상태로 삽입될 수 있으며, 관통 도관내의 박막의 최종 위치는 감쇠 곡선의 형상을 결정한다.
편리하게도, 귀마개내의 관통 도관은, 적어도 귀마개를 이용할 때 박막 부재가 위치하는 지점에서, 박막 부재와 동일한 횡방향 크기를 가진다. 예를 들어, 박막 부재가 접하는 쇼울더는 박막 부재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관의 양호한 밀봉 분할이 제공되며, 이는 박막 부재의 장착 이후에 하나의 내측 공기 기둥 및 하나의 외측 공기 기둥을 초래하며, 상기 박막 부재는 확실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도면으로부터 박막 부재(22)가 도관(16)을 두개의 부분으로 분할한다는 것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박막(26) 및 고막(T)(도 5 참조)사이에서, 내측 공기 기둥(28)이 박막(26) 앞쪽의 도관 부분내에 그리고 귀마개(2)의 전방 단부로부터 고막(T)까지의 이도(H)의 공기 체적내에 형성된다. 박막의 다른 쪽에서, 외측 공기 기둥(30)이 박막(26) 뒤쪽의 도관 부분내에 그리고 외부 세계(O)의 체적 즉, 무한한 체적내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기둥(28, 30)의 길이 및 면적은 박막(26)의 공진 주파수에 영향을 미친다.
도 1 과 같이,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축방향을 따른 종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그러나, 도 6 에 도시된 볼록부(18) 및 쇼울더(20) 그리고 그에 따른 박막 부재(22)의 축방향 위치는 도 1 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박막 부재(22)는 좀 더 도관내에 위치하며, 그에 따라 내부의 공기 체적 또는 박막과 고막 사이의 공기 기둥(28)은 보다 짧다. 이에 따른 효과는 도 6 내의 공기 기둥이 도 1 내의 공기 기둥 만큼 박막을 누루지(weigh down) 않는다는 것이며, 그에 따라 공진 주파수는 동일한 정도로 변위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관내의 박막의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예를 들어 알려진 주파수의 경고 신호가 보다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하고 또는 작동중인 기계로부터의 소리가 보다 많이 통과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공진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 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박막 부재는 단일 편(piece)으로 형성되나,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두개의 편(박막 및 박막 홀더)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코어 또는 본체 부분 및 밀봉 부분은 두개의 서로 상이한 물질로 제조될 수도 있고 또는 동일한 물질로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체형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부품들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EP 0 847 736 에 기재되어 있다.
도 4 는 박막 부재(22)를 귀마개(2)의 관통 도관(16)내에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방법에 따라, 박막 부재(22)는 별도로 제조되며, 코어 또는 본체 부분 및 밀봉 부분과 함께 귀마개(2)도 별도로 제조된다. 피스톤(40)에 의해, 도면내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최전방에 박막(26)을 가지는 카트릿지(cartridge)-형상 박막 부재(22)가 귀마개(2)의 관통 도관(16)내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귀마개(2)는 박막 부재(22)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가요성(flexible)을 가지는 물질로 제조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40)은 박막 부재(22)의 외곽선에 대해 상보적(相補的)인 외곽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피스톤(40)의 전방 단부로부터 돌출한 중앙 부분(42)은 박막 홀더(24)내에 끼워지며, 삽입 중에 둘레 부분(44)이 박막 부재(22)의 후방 엣지에 접한다. 따라서, 박막 부재(22)는 도관(16)내로 전진하며 결국 전방 부분(즉, 박막(26) 및 박막 홀더(24)의 전방 부분)이 볼록부(18)에 도달하게 된다. 박막 부재(22)는 그 박막 부재의 전방 부분이 볼록부(18)를 통과할 수 있게 하는 힘에 의해 계속적으로 전진 이동한다. 박막 부재(22) 또는 박막 홀더(24)의 전방 부분이 쇼울더(20)에 도달하였을 때 박막 홀더(24)의 후방 부분은 볼록부(18)를 통과하며 스냅-인(snap-in) 작용에 의해 고정된다. 그에 따라, 이러한 위치에서, 박막 부재(22)는 단부가 볼록부(18) 및 쇼울더(20)에 접하는 박막 홀더(24)에 의해서 록킹된다. 도면들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홀더(24)의 횡방향 크기가 관통 도관(16)의 크기와 대응하여 귀마개의 관통 도관내에 장착되었을 때 도관을 밀봉하는 동시에 박막 부재(22)가 유지되도록, 박막 홀더(24)의 크기가 정해진다.
도 7a 내지 7c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박막 부재(22)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상기 도면들은 실척(實尺)이 아니며, 제조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a 는 몰드(50) 및 상기 몰드에 연결된 주입구(52)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7b 는 몰드의 분할 선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7c 는 도 7a 내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박막 부재(22)는 LSR("액체 실리콘 고무; Liquid Silicone Rubber")의 실리콘 사출에 의해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Silopren®LSR 계열 20xx 또는 유사물로부터의 실리콘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액체 실리콘 고무의 정확한 조성이 얻어진 후에, 그 고무는 튜브로부터 스크류식 공급기나, 그 대신에 피스톤식 공급기(도시 안 함)로 이송된다. 스크류식 공급기에 의해, 액체상태의 저온 실리콘 고무가 주입구(52)(도 7a 참조)를 통해 몰드내로 사출된다. 일반적으로, LSR 의 경우에 50 내지 150 바아의 사출 성형 압력이면 충분하다. 압력은 공급 도관의 단면에 따라 달라진다.
몰드(50)의 목적은 몰드 공동(空洞)내로 실리콘 고무를 수용하고, 분산시키며, 성형 및 경화함으로써, 실리콘 고무를 고체 상태가 되게 하며, 그 후에 준비 재료가 몰드(50)로부터 취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7a 에는 도 7b 의 선 A-A 을 따라 취한 몰드(5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몰드(50)는 두개의 몰드 부분; 즉 하나의 상부 부분(54)과 하나의 하부 부분(56)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들은 원형 몰드 공동을 형성한다. 도 7b 는 몰드(50)의 분할 선을 따라 취한 단면 즉, 두 부분들 사이의 경계를 도시한다. 주입구(52)는 원형 몰드(50)의 중심에 연결되고, 몰드(50)의 둘레에서 몰드 공동은 안내 핀(60)과 함께 링을 형성하는 박막 공동(58)을 포함한다. 도 7a 에 도시된 안내 핀(60)은 이어지는 몰드 제품의 핸들링(handling)과 관련하여 정위치시키기 위한 보조부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액체 실리콘 고무가 주입구(52)를 통해 몰드 공동내로 공급될 때, 실리콘 고무는 전체 원형 영역으로 유동하며 또한 박막 공동(58)내로 하향 유동한다. 원형 몰드 공동의 둘레에 박막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액체 실리콘 고무의 고른 분포가 얻어진다. 몰딩 프로세스가 완료되었을 때,디스크가 얻어지며, 그 디스크는 둘레에 박막 부재를 나타낸다. 박막 부재는 동시에 프레스 가공될 수 있으며, 또한 한번에 하나씩 프레스 가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박막 부재가 프레스 가공될 때, 다른 중간 단계 없이 박막 부재가 귀마개내로 직접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 도관을 구비한 귀마개가 박막 부재의 상단에 위치될 수도 있다.
박막 부재의 프레스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박막 부재 둘레에서 몰드 디스크가 얇은 상태가 되도록 몰드(50)를 형성한다. 도 7a 의 우측의 박막 공동(58) 주변 부분을 확대한 도 7c 에는 플래시 릿지(flash ridge)(62)가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박막 부재의 용이한 프레스 가공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플래시 릿지에 인접한 영역은 나머지 주변 영역 보다 두껍다. 도 7c 에서는 또한 몰드의 두 부분 사이의 분할 선을 점선 B-B 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전체 박막 부재가 몰드의 하부 부분에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몰드(50)는 예를 들어 내장식(immersion) 히터 또는 필라멘트를 이용함으로써 (LSR 종류에 따라 대체적으로 150 내지 230 ℃ 까지) 전기적으로 가열된다. 액체 실리콘 고무는 가열된 몰드내로 사출된다. 실리콘 고무는 170 내지 230 ℃ 의 몰딩 온도에서 경화된다.
사출된 액체 실리콘 고무가 고온까지 가열되었을 때, 상기 실리콘 고무는 팽창되고 사출 노즐로 복귀하려 한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 액체가 경화되기 시작할 때까지 노즐은 50 바아의 압력에서 유지된다.
몰드내의 실리콘 고무의 가열 및 그에 따른 체적 증가는 몰드 공동내의 압력을 증가시키며, 그에 따라 약 300 바아의 압력에 도달할 것이다.
여러 가지 종류의 실리콘 고무가 있으며, 그들 중 일부(예를 들어, Silopren®LSR 26xx)는 반응성이 보다 크며, 그에 따라 보다 빨리 경화된다. 또한, 경화 프로세스를 촉진하기 위해, 예를 들어 스크류식 공급기내에서 미리 실리콘 고무를 가열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도입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기술에 의해 박막 부재를 몰딩할 수 있으며, 이 때 박막 자체는 0.1 mm 의 얇은 필름이며, 박막 홀더는 약 0.5 mm 의 두께를 갖는다.
보통 상태의 개방된 귀, 즉 귀마개가 삽입되지 않은 귀는 약 3 kHz 즉, 인간의 음성 주파수 범위의 자연적인 음파 증폭 기능을 갖는다. 귀마개가 삽입되었을 때, 귀내부의 공기 체적이 변화되고, 그리고, 그에 따라, 자연적인 공진 증폭이 제거되거나 또는 변화되며, 이것은 음성 인식이 잘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에 대한 등가 전기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전압 공급원(P)은 수신되는 음파 압력에 대응하고, 코일(LP)은 귀마개의 음향 매스(acoustic mass)에 대응하고, 커패시터(CP)는 귀마개의 음향 강성도(acoustic stiffness)에 대응하고, 저항(RP)은 귀마개의 음향 감쇠에 대응하며 그리고 커패시터(C1)는 포함된 공기 체적의 음향 강성도에 대응한다. 또한, 코일(Lm)은 박막의 음향 매스에 대응하고, 커패시터(Cm)는 박막의 음향 강성도에 대응하며, 그리고 음향 감쇠는 저항(Rm)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내장된 공기 기둥의 음향 매스는 코일(Lm)과 직렬 연결된 코일(L1)에 대응한다. 당연히, 외측 공기 기둥에 대한 코일도 다른 코일과 직렬로 연결될 것이며, 본 경우에 귀마개에 대한 등가 전기 회로는 내측으로 경사진(tapering) 관통 도관(공기 기둥들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에 대해 도시되었으며, 그에 따라 보다 얇은 공기 기둥의 음향 매스가 우세하다.
공지된 바와 같이, 코일의 임피던스는 jωL 로서의 주파수 및 1/jωL 로서의 커패시터 임피던스에 따라 변한다. 저항은 주파수와 무관하다. 저주파와 관련하여 임피던스 1/jωCm이 임피던스 1/jωCp보다 크도록, 그리고, 그에 따라, 그러한 저주파에서 박막이 귀마개의 감쇠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박막의 음향 강성도 즉, 대응하는 등가 커패시터(Cm)의 값이 정해진다. 고주파에서 코일(Lm및 L1)(박막 및 내장된 공기 기둥의 음향 매스)의 임피던스(jω(Lm+ L1)가 우세하며, 이경우 특정 주파수의 소리는 상당히 감쇠된다. 상기 저주파 및 고주파 사이에는 커패시터들과 코일들이 협력하여 전체 임피던스가 낮아지고 그에 따라 소리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공진 범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는 소정 범위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리만이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바이패스 필터로서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범위내에서 공진이 일어난다. 도관내에서 박막의 적절한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음향 매스를 갖는 의도하는 공기 기둥을 얻을 수 있으며, 그에따라 박막의 공진 주파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시 말해, 박막의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코일(L1)의 임피던스를 변경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귀마개의 감쇠 곡선을 변경할 수 있다. 임피던스는 공기 기둥의 입구 영역의 단면적을 선택함으로써 변경될 수도 있다.
도 9a 내지 도 9d 는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의 감쇠 곡선을 도시한다.
도 9a 에는 4개의 곡선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는 관통 도관 및 박막이 없는 통상의 귀마개에 대한 것이고, 나머지 3 개는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에 대한 것으로서 동일한 하나의 박막 부재(박막 면적은 3.8 mm2이고 박막 두께는 1 mm 임)가 귀마개의 상단부로부터 서로 상이한 거리(각각 상단부로부터 17, 19 및 21 mm 인)에 장착된 귀마개에 대한 것이다. 도면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의 귀마개에 대해서는 1000 Hz 이상에서 감쇠가 커진다. 귀마개의 관통 도관내에 박막 부재가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에 의해, 음성 인식 주파수 근방에서 보다 양호하게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의 경우에 약 3 kHz 에서의 감쇠는 작아진다. 도면의 곡선은 박막이 상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될수록 보다 큰 공기 기둥에 의해 박막이 눌려지며(weighed down), 이는 공진 주파수 감소를 초래한다. 또한, 도면의 곡선들은 박막이 상단부에 접근하여 위치될수록 관심 주파수 범위에서 보다 양호한 소리 전달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9b 는 서로 상이한 면적(각각의 직경이 0.8 mm, 1.0 mm, 1.4 mm 및 2.0mm)의 상단 개구부를 갖는 4 개의 귀마개에 대한 곡선을 도시한다. 상기 도면은 상단부 개구부가 보다 작게 제조될수록 공기 기둥의 음향 매스가 증가하고, 공진 주파수가 감소하며 그리고 감쇠가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박막 부재는 도 9a 의 박막 부재와 유사하다.
도 9c 는 두께가 상이한 박막(각각 0.1 mm 및 0.3 mm)이 두개의 유사한 귀마개의 관통 도관내에 동일한 위치(상단부로부터 17 mm)에서 장착되는 귀마개들에 대한 두개의 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보다 두꺼운 박막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큰 매스 및 보다 큰 강성도의 비-이상적인(non-ideal) 박막이 얻어진다. 도면으로부터, 박막의 두께가 주파수에는 영향을 미지치 않으나, 보다 얇은 박막에서 감쇠는 보다 작아지고 그에 따라 소리 전달은 보다 잘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d 는 장착된 박막이 상이한 면적(각각 3.8 mm2및 1.5mm2)을 가지는 귀마개들에 대한 두개의 곡선을 도시하고 있다. 관통 도관의 크기는 양 귀마개에서 동일하며, 양 박막들은 상단부로부터 17 mm 거리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주파수는 상당한 정도로 영향을 받지 않으며, 면적이 보다 큰 박막에 의해 소리의 전달이 개선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길이방향 축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은 귀마개내로 하나 이상의 박막 부재가 삽입된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예에서, 두개의 박막 부재(70, 72)가 삽입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의 박막(70)은 다른 박막(72) 보다 관통 도관내의 보다 더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박막들은 각각 하나의 볼록부(74, 76) 및 하나의 쇼울더(78, 80) 사이에 고정된다.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두개의 박막에 의해, 매스 및 강성도 모두가 증가함으로 인해 공진이 최초 공진 주파수 근방에서 유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 구성에 대한 공진중의 감쇠는 하나의 박막 부재를 가지는 귀마개에 비해 높다.
당연히, 두개의 박막 부재를 이용하는 대신에, 서로 앞뒤에 배치된 두개의 박막을 가지는 박막 홀더를 포함하는 박막 부재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10 은 단일 박막 부재가 두개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만약 하나의 단일 박막 부재가 도 10 의 귀마개내에 사용된다면, 어떤 볼록부와 쇼울더 사이에 박막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공기 기둥이 제공될 것이다(그에 따라, 여러 가지 공진 주파수가 제공될 것이다).
도 3c 내지 3g 에서와 같이,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도면들에서와 같이, 박막 부재(82)는 도관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도시되었다. 이러한 도면은 박막 홀더(84)상에서 서로의 옆에 배치된 몇 개의 박막(86, 88)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박막 홀더(84)는 실린더의 지름을 따라 연장하는 횡단-링크(85)를 갖는 원형 실린더(도 3c 와 비교)이다. 결과적으로, 횡단-링크(85)에 의해 분리되는 두개의 박막(86, 88)이 제공된다. 박막들(86, 88)이 서로 상이한 공진 주파수를 가진다면, 두개의 공진 피크(peak)가 얻어지며, 이에 따라 보다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감쇠가 감소되게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예로서 도시된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첨부하는 청구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도 수 많은 변형 및 개량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9)

  1. 귀마개의 종방향으로 관통 도관을 구비한 기본적인 귀마개를 포함하는 소리-감쇠 귀마개로서, 상기 도관내에는 상기 도관을 밀봉 방식으로 횡방향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된 박막이 배치되는, 귀마개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박막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박막 부재는 상기 박막을 유지하는 박막 홀더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박막 홀더는 상기 박막 부재를 상기 도관내에 록킹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및 박막 홀더는 단일 편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몰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가요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홀더는 본질적으로 튜브형 실린더 형상이며, 상기 박막 홀더의 둘레는 도관 벽과 결합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박막은 실린더의 일단부를 덮는 뚜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부재를 소정 위치에 록킹하기 위해, 상기 도관 벽은 국부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박막 홀더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홀더의 전방 단부가 접하게 되는 쇼울더가 형성되도록 상기 도관 벽은 직경이 국부적으로 감소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박막 홀더의 후방 단부가 접하게 되는 볼록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도관 벽은 직경이 국부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벽은 박막 부재를 록킹하기 위해 박막 홀더와 결합되는 부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부재는 박막 홀더에 의해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박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박막 부재는 도관내에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음성 인식을 위한 주파수 범위, 바람직하게는 1 kHz - 4 kHz 범위내에서 공진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예를 들어 경고 신호 또는 기계 소음과 같은 미리 정해진 주파수 범위내에서 공진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부재는 상기 도관의 단부들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예를 들어 도관의 양 단부들의 실질적인 중간에서 상기 도관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12. 귀마개 제조 방법으로서,
    관통 도관을 가지는 기본 귀마개를 제조하는 단계;
    박막 홀더 및 상기 박막 홀더상에 배치된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박막 부재가 상기 박막 홀더에 의해 상기 도관내에 유지되도록, 그리고 상기 박막이 상기 도관을 횡방향으로 밀봉 분할하도록, 상기 박막 부재를 상기 기본 귀마개의 도관내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귀마개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홀더 및 박막은 바람직하게 실리콘 사출과 같은 몰딩에 의해 단일 편으로 제조되는 귀마개 제조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부재는 상기 기본 귀마개가 관통 도관을 구비한 후에 상기 기본 귀마개내로 삽입됨으로써 장착되는 귀마개 제조 방법.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상기 박막 부재가 접하게되는 미리 정해진 위치를 제공하는 쇼울더가 구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박막 부재는 바람직하게 피스톤에 의해 상기 쇼울더를 향해 도관내로 삽입되는 귀마개 제조 방법.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볼록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박막 부재가 상기 도관내로 삽입되고 상기 볼록부를 통과하였을 때 박막 부재를 록킹하며, 상기 박막 부재의 후방 단부는 바람직하게 상기 볼록부에 접하는 귀마개 제조 방법.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부재의 크기는 상기 박막 부재의 횡방향 크기가 상기 박막 부재가 장착되는 도관 부분에서의 도관의 횡방향 크기와 대응하도록 정해지는 귀마개 제조 방법.
  18.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홀더에 의해 상기 박막 부재가 정위치에 유지되도록 상기 기본 귀마개를 상기 박막 부재 둘레에 몰딩함으로써, 상기 박막 부재가 상기 기본 귀마개에 장착되는 귀마개 제조 방법.
  19. 제 12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부재는 상기 도관의 단부들 사이의 중간과 같이 상기 도관의 단부들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관내에 배치되는 귀마개 제조 방법.
  20. 귀마개의 감쇠 곡선의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으로서,
    관통 도관을 구비한 기본 귀마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도관내에서의 박막의 축방향 위치를 상기 기본 귀마개에 대해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박막이 상기 도관을 횡방향으로 밀봉 분할하도록, 고유의 제 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 부재를 상기 도관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형성된 공기 기둥이 상기 박막의 공진 주파수를 미리 정해진 정도 만큼 변위시키는 감쇠 곡선의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부재는 상기 박막을 유지하기 위한 박막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박막 홀더는 상기 관통 도관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놓여지며, 상기 박막 부재는 상기 박막 홀더와 도관 벽의 협력 또는 관련 부착 수단에 의해 정위치에 유지되는 감쇠 곡선의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부재의 위치는 상기 도관의 가장 작은 횡방향 크기와 관련하여 선택되며, 상기 횡방향 크기는 바람직하게 상기 도관의 입구 면적과 같은 감쇠 곡선의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
  23. 귀마개의 관통 도관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박막 부재로서, 상기 박막 부재는 박막과 상기 박막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박막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도관내에 장착되는 것과 관련하여 상기 박막 부재가 도관 밀봉 방식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박막 홀더의 크기가 상기 관통 도관의 횡방향 크기와 대응하도록 정해지는 박막 부재.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및 상기 박막 홀더는 바람직하게 실리콘 고무와 같은 가요성 물질로서 단일 편으로 형성되는 박막 부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홀더의 형상은 본질적으로 중공형 실린더이며, 상기 박막은 바람직하게 상기 실린더의 일단부를 덮는 뚜껑을 형성하는 박막 부재.
  26.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부재는 기존 귀마개의 관통 도관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추후에 삽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크기가정해지는 박막 부재.
  27. 제 23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홀더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박막을 유지하는 박막 부재.
  28. 귀마개 제조 방법으로서,
    관통 도관을 구비하는 기본 귀마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도관내에서 박막 부재의 축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귀마개가 제조된 후에, 상기 박막 부재를 상기 도관내로 상기 축방향 위치까지 삽입하고 록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귀마개 제조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위치는 상기 도관 직경의 국부적인 감소에 의해 제공되는 쇼울더에 의해 정해지며, 상기 박막 부재는 상기 쇼울더에 접하도록 구성된 귀마개 제조 방법.
KR1020027013317A 2000-04-06 2001-04-04 귀마개 KR200200815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001275-7 2000-04-06
SE0001275A SE527853C2 (sv) 2000-04-06 2000-04-06 Ljuddämpande öronpropp, membranelement placerad i öronproppens genomgående kanal, sätt att tillverka nämnda öronpropp samt sätt att påverka förloppet av öronproppens dämpningskurva
PCT/SE2001/000734 WO2001076520A1 (en) 2000-04-06 2001-04-04 Earpl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598A true KR20020081598A (ko) 2002-10-28

Family

ID=2027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317A KR20020081598A (ko) 2000-04-06 2001-04-04 귀마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276443B1 (ko)
KR (1) KR20020081598A (ko)
CN (1) CN1261086C (ko)
AT (1) ATE320780T1 (ko)
AU (2) AU4698401A (ko)
DE (1) DE60118166T2 (ko)
SE (1) SE527853C2 (ko)
WO (1) WO200107652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399B1 (ko) * 2010-12-04 2013-04-05 임성복 수중 귀마개
KR101330661B1 (ko) * 2012-07-16 2013-11-15 이상현 소음 차단용 귀마개
KR101864043B1 (ko) * 2016-11-30 2018-06-01 장호현 애완견용 귀마개
KR101885853B1 (ko) * 2018-02-07 2018-08-06 김태형 산업용 개인맞춤형 귀마개용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0272655B9 (en) * 2000-09-25 2006-05-11 Phonak Ag Ear Device Shells
US8054985B2 (en) * 2003-11-03 2011-11-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sound attenuating hearing protection device with filter arrangement
EP1629805A1 (en) * 2004-08-25 2006-03-01 Phonak Ag Custom-made hearing protection earplug with an acoustic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240765B2 (en) 2004-08-25 2007-07-10 Phonak Ag Customized hearing protection earplug with an acoustic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220372B2 (en) * 2004-12-01 2007-05-22 Howard Leight Industries, Llc Dual density earplug
KR100749817B1 (ko) * 2005-05-24 2007-08-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음 차폐용 음향 필터 및 이를 적용한 귀속형 청각 보호구
EP1795160B1 (en) 2005-12-07 2009-05-06 Phonak AG Use of a hearing protection device with acoustic filter element
US10271993B2 (en) 2006-01-10 2019-04-30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Nano-otologic protective equipment for impact noise toxicity and/or blast overpressure exposure
US7779844B2 (en) 2006-12-15 2010-08-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f-fitting device for location in an ear canal
US7984716B2 (en) 2007-06-22 2011-07-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f-conforming sound attenuation earplug
DE102007042740A1 (de) 2007-09-07 2009-03-12 Uvex Arbeitsschutz Gmbh Gehörschutzstöpsel
US20090173353A1 (en) * 2007-12-14 2009-07-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f-fitting device for location in an ear canal
US7913696B2 (en) 2008-06-30 2011-03-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f-fitting device for location in an ear canal
US7886745B2 (en) 2008-06-30 2011-02-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f-fitting device for location in an ear canal
US8113207B2 (en) 2008-08-22 2012-0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f-conforming sound attenuation earplug
US8705787B2 (en) * 2009-12-09 2014-04-22 Nextlink Ipr Ab Custom in-ear headset
NL2004004C2 (en) 2009-12-22 2011-06-23 Dynamic Ear Company B V Ear protector with a sound damping filter, sound damping filter for such an ear protector as well as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und damping filter for such an ear protector.
NL2004836C2 (en) * 2010-06-07 2011-12-08 Right Angle B V Ear silencer.
SE536034C2 (sv) * 2010-08-26 2013-04-09 Swedsafe Ab Anordning för hörselskydd
US8616214B2 (en) 2011-04-06 2013-12-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arplug having a resilient core structure
DE102011115099B3 (de) * 2011-10-07 2013-01-03 F + W Frey + Winkler GmbH Ohradapter, insbesondere für ein Hörgerät
CN104068965A (zh) * 2013-09-04 2014-10-01 洪鸿文 一种不会耳鸣的减少噪音耳塞
CN204616023U (zh) * 2015-04-21 2015-09-02 珠海卓力声科技有限公司 耳套及耳塞
CA3000672C (en) 2015-10-02 2024-05-28 EAROS, Inc. Device for protecting the human sensory hearing system while retaining quality sound
NL2015947B1 (en) * 2015-12-11 2017-07-03 Dynamic Ear Company B V Acoustic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106878878B (zh) * 2016-01-08 2018-05-22 陈淑君 一种新型声音衰减装置及其制造方法
FR3058634B1 (fr) * 2016-11-16 2019-05-10 Arta Group Filtre pour une protection auditive
NL2018029B1 (en) * 2016-12-20 2018-06-28 Dynamic Ear Company B V Earplug and method for attenuating sound
WO2018166951A1 (en) 2017-03-14 2018-09-20 Sanofi Injection device with an acoustic feedback arrangement
CN107536672A (zh) * 2017-08-09 2018-01-05 重庆邮电大学 闹钟式震动耳塞
SE542109C2 (en) 2018-04-04 2020-02-25 Ear Labs Ab An earplug for selective attenuation of sound and an insert with an acoustic filter for use in an earplug
NL2021475B1 (en) * 2018-08-16 2020-02-24 Elacin Int B V A sound damping filter for a hearing protector placeable in the auditory duct of a person, as well as a corresponding hearing protector.
CN115243650A (zh) * 2019-12-23 2022-10-25 米努恩德公司 听力保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54055A (en) * 1972-07-04 1974-06-05 Sigma Sales Corp Diaphragm ear valve
GB2075849B (en) * 1980-05-14 1984-03-28 Racal Acoustic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earing protectors
JPS6031748A (ja) * 1983-08-03 1985-02-18 アサオカ株式会社 耳栓
US5113967A (en) * 1990-05-07 1992-05-19 Etymotic Research, Inc. Audibility earplug
US5488961A (en) * 1994-11-30 1996-02-06 Adams; Daniel O. Hydrophobic ear plugs
US5881729A (en) * 1997-10-24 1999-03-16 Castillo; Michael S. Water sports ear plug
US6148821A (en) * 1998-04-29 2000-11-21 Cabot Safety Intermediate Corporation Selective nonlinear attenuating earplug
NL1011877C2 (nl) * 1999-04-23 2000-10-24 Groeneveld Elcea B V Geluiddempingsfilter, gehoorbeschermer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membraan voor een geluiddempingsfil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399B1 (ko) * 2010-12-04 2013-04-05 임성복 수중 귀마개
KR101330661B1 (ko) * 2012-07-16 2013-11-15 이상현 소음 차단용 귀마개
KR101864043B1 (ko) * 2016-11-30 2018-06-01 장호현 애완견용 귀마개
KR101885853B1 (ko) * 2018-02-07 2018-08-06 김태형 산업용 개인맞춤형 귀마개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527853C2 (sv) 2006-06-20
WO2001076520A8 (en) 2002-01-03
DE60118166T2 (de) 2006-10-19
EP1276443B1 (en) 2006-03-22
CN1422140A (zh) 2003-06-04
DE60118166D1 (de) 2006-05-11
WO2001076520A1 (en) 2001-10-18
SE0001275L (sv) 2001-10-07
SE0001275D0 (sv) 2000-04-06
ATE320780T1 (de) 2006-04-15
AU2001246984B2 (en) 2004-10-28
CN1261086C (zh) 2006-06-28
AU4698401A (en) 2001-10-23
EP1276443A1 (en) 200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1598A (ko) 귀마개
US20030159878A1 (en) Earplug
AU2001246984A1 (en) Earplug
US5113967A (en) Audibility earplug
EP0440572B1 (fr) Dispositif de transmission du son à filtrage sélectif, destiné à être mis en place dans le conduit auditif extern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US8270648B2 (en) Earpiece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5142587A (en) Intra-concha type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use with audio devices etc.
EP2187654B1 (en) Earphone
EP1811932A1 (en) Earmuff
EP3058761B1 (en) Suspension for a hearing device receiver
CN110290769A (zh) 用于衰减声音的耳塞和方法
JP5587657B2 (ja) 吸気サウンド発生器
US9813807B2 (en) Ear-canal earpiece
EP2257252A2 (en) Semi-insert hearing protector having a helmholtz-type resonator
US4252077A (en) Pneumatic sound generator
JP2000282981A (ja) 車両用吸気ダクト
JP6400157B1 (ja) 密閉型イヤホン
KR19990044918A (ko) 방사상으로 활모양인 고주파 중심 스피커 원뿔체
US20230022343A1 (en) An earphone with an acoustic rear chamber vent
US10827248B2 (en) Earphone
JPH0313567B2 (ko)
BR112018000230B1 (pt) Método para fabricar um anel de vedação, anel de vedação para um dispositivo acústico, dispositivo de proteção auditiva e conjunto de auscultadores de áudio
JP6497357B2 (ja) 耳用音響フィルター
JP2010130034A (ja) イヤホン装置
JP2023010630A (ja) ヘッド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