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587A -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587A
KR20020065587A KR1020027007864A KR20027007864A KR20020065587A KR 20020065587 A KR20020065587 A KR 20020065587A KR 1020027007864 A KR1020027007864 A KR 1020027007864A KR 20027007864 A KR20027007864 A KR 20027007864A KR 20020065587 A KR20020065587 A KR 20020065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weight
elevator
machine room
guide rai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야코시가즈아키
분야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6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58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통상 운전 시에는, 상측 평형추(3a)와 하측 평형추(3b)를 착탈 장치(4)에 의해 연결하여 운전하고, 구출 운전 시에는, 착탈 장치(4)에 의해 상측 평형추(3a)와 하측 평형추(3b)를 분리시키며, 고정 장치(5)에 의해 하측 평형추(3b)를 평형추 가이드 레일에 고정시켜, 상측 평형추(3a)만으로 운전을 행함으로써, 승강로 내의 최상층 부근에 설치된 제어 장치가 고장났을 때에, 보수원은 그 제어 장치에 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최근에는, 엘리베이터의 설치 장소를 축소하기 위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적용되게 되었다.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함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로서 박형(thin) 모터를 채용하고, 이 전동기는 승강로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승강함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의 최상부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함의 운전을 제어하고 있는 제어 장치는 최상층 엘리베이터 홀의 삼각형 프레임 내의 일부로서 부착되어 있다. 한편, 건물 기둥의 제약이나 엘리베이터 홀의 의장상의 제약 때문에, 삼각형 프레임 내에 제어 장치를 수납하는 대신에, 승강로 하부의 피트에 제어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피트 설치에 관해서는 침수 등의 문제가 있어, 그 대책에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삼각형 프레임 또는 피트 이외의 승강로 내의 설치 장소로서, 승강로 벽면에 직접 부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로 내의 설치 장소로서는 피트보다 높은 장소라면 어디라도 상관없으며, 최상층 부근이 가장 좋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승강로의 최상층 부근에 제어 장치를 설치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제어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여 최상층 부근에서 승강함이 정지했을 경우에, 승강함에 의해 제어 장치의 설치 개소까지 도달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즉, 제어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여 최상층 부근에서 승강함이 정지했을 경우에는, 브레이크 개방 장치에 의해 승객의 구출을 행하게 되나, 이 때의 운전 방향은 승강함 측이 평형추보다 가벼울 경우는, 승강함은 최상층으로 이동하고, 승강함 측이 무거울 경우는 1층 아래의 위치에서 구출이 실행된다.
일반적으로, 두레박식 엘리베이터에서는, 평형추의 중량은 승강함에 소정의 승객이 탑승한 상태의 중량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고, 승강함에 승객이 탑승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평형추 측이 더 무거운 반면, 승강함이 만원 상태일 때는 승강함 측이 더 무겁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승객을 구출한 후에, 제어 장치의 고장을 조사하기 위해 승강함 위에 타려고 했을 때는, 이미 승객은 내려 무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를 개방하면 평형추 측이 더 무겁기 때문에 승강함은 상승한다. 구출 운전의 결과, 승강함이 최상층으로부터 1층 아래로 이동하고 있을 경우는, 보수원은 최상층에서 승강함의 천장부에 오를 수 있으나, 최상층으로 이동하고 있을 경우는 승강함의 천장부에 오르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제어 장치에 도달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를 승강로 내의 최상층 부근에 설치한 기계실이 없는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함 측이 가벼운 상태일 때에, 최상층 부근에서 제어 장치가 고장나면 평형추 측이 무거운 불균형 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개방 장치의 조작에 의해 승강함을 제어 장치의 아래까지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의 평형추 부분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어 장치 복구 후에 일단 분리시킨 하측 평형추를 상측 평형추에 부착할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의 평형추 부분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평형추 부분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평형추 부분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평형추 부분의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평형추 부분의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다른 일례의 구성도.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 장치의 고장 시에 보수원이 그 제어 장치에 도달할 수 있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다음과 같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로프의 한쪽에 승강함을 지지하고 상기 로프의 다른쪽에 평형추를 지지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는 제 1 평형추와 제 2 평형추로 이루어지며, 통상 운전 시에는 제 1 평형추의 중량이 상기 로프에 작용하고, 구출 운전 시에는 제 1 평형추 및 제 2 평형추의 중량이 상기 로프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통상 운전 시에는, 제 1 및 제 2 평형추의 양쪽 중량을 로프에 작용시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고, 구출 운전 시에는, 제 1 평형추만의 중량을 로프에 작용시켜 엘리베이터를 운전한다.
이것에 의해, 승강함이 최상층 부근에서 고장났을 때에 브레이크 장치 조작에 의해 승강함을 아래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승강함의 천장부에 보수원이 오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가 승강로 내의 최상층 부근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는, 그 제어 장치에 보수원이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어, 제어 장치의 고장을 복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승강로(1)의 내부에는 승강함(2)과 평형추(3)가 승강한다. 평형추는 상측 평형추(제 1 평형추)(3a)와 하측 평형추(제 2 평형추)(3b)로 분할되어 있고, 착탈 장치(4)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평형추(3b)에는 고정 장치(5)가 설치되어, 하측 평형추(3b)가 상측 평형추(3a)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 평형추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평형추(3)는, 통상, 상측 평형추(3a) 및 하측 평형추(3b)가 연결된 상태에서, 평형추(3) 측이 불균형으로 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평형추(3)를 분할하여, 하측 평형추(3b)를 분리시킴으로써 불균형 방향을 역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승강함(2)은 통상 승객을 태우고 승강로(1)를 승강하나, 제어 장치(6)의 고장 시 또는 조정 보수 시에, 그 천장부는 보수원의 발판으로서 이용된다. 제어 장치(6)는 박형 형상으로서, 승강함(2) 또는 평형추(3)의 승강을 방해하지 않으며, 승강함(2)은 평형추(3)에 가장 접근했을 때에도 안전 거리를 유지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개방 장치(7)는,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브레이크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제어 장치(6)의 고장 시의 구출 운전 시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6)가 고장나서 승강함(2)이 최상층 부근에 정지한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개방 장치(7)를 서서히 개방 조작함으로써, 승강함(2)을 상승시키고, 최상층 엘리베이터 홀에 도달한 시점에서 브레이크를 걸어, 최상층 엘리베이터 홀의 문(8)을 열어 승강함(2)의 승객을 구출한다. 다음으로, 평형추(3)를 분할하여, 승강함(2)이 하강 방향으로 이동하는 불균형 상태를 만들어내고, 브레이크 개방 장치(7)를 서서히 개방 조작함으로써 승강함(2)의 천장부가 최상층 엘리베이터 홀과 일치할 때까지 내린다. 그리고, 최상층 엘리베이터 홀의 문(8)을 열어 승강함(2)의 천장부에 보수원이 오르고, 고장난 제어 장치(6)에 보수원은 도달하여 복구 작업을 행한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평형추(3) 부분의 설명도이다. 착탈 장치(4)는 상측 평형추(3a)의 저부에 설치된 연결기(9) 및 하측 평형추(3b)에 형성된 연결 구멍(10)으로 구성되고, 연결기(9)의 연결 구멍과 하측 평형추(3b)의 연결 구멍(10)에 연결 막대가 삽입되어 연결된다. 연결기(9)의 연결 구멍과 하측 평형추(3b)의 연결 구멍(10)이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은 연결 검출 장치(11)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상측 평형추(3a)와 하측 평형추(3b)를 분리시킬 경우에는, 하측 평형추(3b)를 평형추 가이드 레일(12)에 고정 장치(5)에 의해 고정시키고 나서 실행된다. 고정 장치(5)는, 평형추 가이드 레일(12) 측에 설치된 고정용 브래킷(13)과, 하측 평형추(3b)에 설치된 고정용 브래킷(13)과 함께 하측 평형추(3b)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막대(14)와, 이 고정 막대(14)를 고정용 브래킷(13)에 집어넣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조작 핸들(15)로 구성된다.
도 3은 제어 장치(6)의 복구 후에 일단 분리시킨 하측 평형추(3b)를 상측 평형추(3a)에 부착할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상태에서는, 하측평형추(3b)는 평형추 가이드 레일(11)에 고정 장치(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먼저, 보수원은 제어 장치(6)가 복구됨에 따라 자동 복귀 개시 조작을 행하고(S1), 서서히 승강함(2)의 상승 처리를 실시한다(S2). 이것에 의해, 승강함(2)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분할된 상측 평형추(3a)를 하측 평형추(3b) 위에 내린다. 다음으로, 연결 검출 장치(11)에 의해 연결기(9)가 연결 구멍(10)에 도달했는지의 여부의 검출 판정을 행하고(S3), 상측 평형추(3a)와 하측 평형추(3b)가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연결되지 않았으면, 스텝 S2로 되돌아간다.
스텝 S3의 판정에서, 연결되었으면 승강함(2)의 상승 처리를 중지한다. 여기까지 종료된 상태에서 보수원은 승강로(1) 저부의 피트 내에 들어가고, 상측 평형추(3a)와 하측 평형추(3b)를 연결할 수 있었는지를 확인하는 동시에, 연결 막대를 연결 구멍(10)에 집어넣어, 평형추(3)의 연결을 행한다(S4). 이것에 의해, 통상 운전 중에 부주의하게 평형추(3)가 분할되지 않도록 한다.
분할된 평형추(3)를 확실하게 연결한 상태에서, 고정 장치(5)의 조작 핸들(15)을 조작하여 고정 막대(14)를 고정용 브래킷(13)으로부터 빼내고, 평형추(3)의 고정 해제를 행한다(S5). 마지막으로 보수원은 피트로부터 나가, 통상 운전의 복귀 처리를 행하여 복구가 완료된다(S6).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연결 시에는 평형추(3) 측이 무거운 불균형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이 평형추(3)를 분할함으로써 승강함(2) 측이 무거워지는 불균형 측으로 되어, 불균형 방향을 역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개방 장치(7)의 조작에 의해 승강함(2)을 끌어내릴 수 있고, 승강함(2)의천장부에 보수원이 올라가 제어 장치(6)에 도달하여, 고장난 제어 장치(6)의 복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분할할 때에는, 하측 평형추(3b)를 평형추 가이드 레일(11)에 고정 장치(5)에 의해 고정시키기 때문에, 하측 평형추(3b)가 승강로(1) 하부의 평형추 버퍼에 돌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이 제 2 실시형태는, 도 1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측 평형추(3a)와 하측 평형추(3b)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장치(16)를 추가하여 설치한 것이다. 그 이외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첨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4에서는 착탈 장치(4)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간격 조정 장치(16)는 상측 평형추(3a)와 하측 평형추(3b) 사이에 설치된다. 하측 평형추(3b)가 분리되어 고정 장치(5)에 의해 평형추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에 고정된 상태에서, 간격 조정 장치(16)는 조작되고, 상측 평형추(3a)와 하측 평형추(3b)의 간격을 조정한다.
즉, 분할된 하측 평형추(3b)를 고정 장치(5)에 의해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측 평형추(3a)와 하측 평형추(3b)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상측 평형추(3a)를 밀어 올린다. 따라서, 평형추(3)에 로프로 연결된 승강함(2)을 끌어내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함(2)이 최상층 부근에서 고장났을 때에 승객을 구출하는 이동을시킨 후에 승강함(2)을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평형추(3) 부분의 설명도이다. 착탈 장치(4)는 하측 평형추(3b)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기(9) 및 상측 평형추(3a)에 형성된 연결 구멍(10)으로 구성되고, 연결기(9)의 연결 구멍과 상측 평형추(3a)의 연결 구멍(10)에 연결 막대(도시 생략)가 삽입되어 연결된다.
또한, 상측 평형추(3a)와 하측 평형추(3b)를 분리시킬 경우에는, 하측 평형추(3b)를 평형추 가이드 레일(12)에 고정 장치(5)에 의해 고정시키고 나서 실행된다. 고정 장치(5)는 하측 평형추(3b)에 설치된 평형추 가이드 레일(12)에 하측 평형추(3b)를 고정시키는 압착 고정부(17)와, 압착 고정부(17)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18)로 구성된다.
간격 조정 장치(16)는 간격 조정 조작 핸들(19)을 조작함으로써 볼 나사를 돌려 평형추의 간격을 조정한다. 즉, 하측 평형추(3b)를 조작 레버(18)에 의해 압착 고정부(17)를 조작하고, 하측 평형추(3)를 평형추 가이드 레일(11)에 고정시킨 후, 간격 조정 장치(15)와 간격 조정 조작 핸들(19)을 이용하여 하측 평형추(3b)에 대하여 상측 평형추(3a)를 밀어 올린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브레이크 개방 장치(7)를 조작한 상태에서, 상측 평형추(3a)를 밀어 올림으로써 승강함(2)을 끌어내릴 수 있다. 따라서, 승강로(1) 내의 최상층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 장치(6)에 도달할 수 있어, 제어 장치(6)의 고장 복구를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평형추(3) 부분의 설명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 제 3 실시형태는, 상측 평형추(3a)와 하측 평형추(3b) 사이에, 하측 평형추(3b)가 분리되어 고정 장치(5)에 의해 평형추 가이드 레일(11)에 고정된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개방되어 상측 평형추(3a)와 하측 평형추(3b) 사이의 변위 가속도가 소정 값을 초과했을 때는, 신장(伸張)을 구속하는 접속 수단(20)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도 6에서는 착탈 장치(4) 및 평형추 가이드 레일(11)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시한 가이드 장치(21)는, 평형추(3)를 평형추 가이드 레일(11)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접속 수단(20)은 상측 평형추(3a)의 이동에 따라 벨트를 차례로 빼내고, 상측 평형추(3a)의 변위 가속도가 소정 값을 초과하면, 그 벨트의 빼냄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즉, 평형추(3)를 분할하여 하측 평형추(3b)를 평형추 가이드 레일(11)에 고정시킨 후, 브레이크 개방 장치(7)에 의해 승강함(2)을 하강시키는 작업 중, 상측 평형추(3a)의 변위 가속도가 소정 값을 초과했을 때는, 접속 수단(20)은 상측 평형추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어떠한 원인에 의해 브레이크가 개방된 상태로 되었을 경우에는, 접속 수단(20)에 의해 상측 평형추(3a)가 고정되어, 승강함(2)의 하강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평형추(3)를 상하로 분할하고, 하측 평형추(3b)를 평형추 가이드 레일(11)에 고정시킨 후, 브레이크 개방 장치(7)를 이용하여 최상층에 있는 승강함(2)을 하강시키고자 했을 때에, 어떠한 원인에 의해 브레이크가개방된 상태로 되었을 경우일지라도, 접속 수단(20)에 의해 승강함(2)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평형추(3) 부분의 설명도이다. 이 제 4 실시형태는, 상측 평형추(3a)의 상부 및 하부의 양쪽에 평형추 가이드 레일(11)에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장치(21)를 구비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평형추(3)를 분할한 후의 상측 평형추(3a)는, 상부 및 하부의 양쪽 가이드 장치(21)에 의해 안내되어 평형추 가이드 레일(11)을 승강하기 때문에, 평형추(3)의 탈(脫)레일을 방지할 수 있고, 승강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평형추(3) 부분의 설명도이다. 이 제 5 실시형태는, 고정 장치(5) 대신에, 평형추(3)와 승강로의 피트 플로어 사이에 평형추 하강 방지 장치(22)를 설치하여, 승강함(2)이 최상층 위치에 있을 때의 하측 평형추(3b)의 위치가 그 위치보다 아래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평형추(3)를 분할할 때에, 하측 평형추(3b)가 하강하지 않도록 일단 버퍼(23)에 평형추(3)를 내리밀지 않고, 승강함(2)이 최상층 레벨 부근의 위치에서, 하측 평형추(3b)의 하부와 피트(28) 사이에 상기 평형추 하강 방지 장치(22)를 설치한다. 이 때의 하측 평형추(3b)와 피트(28) 사이의 거리 A는, 구출 조건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따라서, 평형추(3)를 버퍼(23)에 내리밀어 평형추(3)가 하강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없어지고, 상기 위치에서 평형추(3)의 분할 작업 및 평형추(3)의 하강 방지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평형추(3) 부분의 설명도이다. 이 제 6 실시형태는, 평형추(3)를 상층 평형추부(제 1 평형추)(24) 및 하층 평형추부(제 2 평형추)(25)의 상하 2층으로 형성하고, 상층 평형추부(24) 및 하층 평형추부(25)에는 복수개의 웨이트(26)를 바꾸어 쌓을 수 있도록 적층시켜 탑재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평형추(3)를 분할하는 등의 복잡한 구조로 하지 않고, 승강함(2)과 평형추(3)의 불균형 분을 상층 평형추부(24) 또는 하층 평형추부(25)의 웨이트의 가감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함(2) 측에 웨이트 프레임(27)을 설치하고, 상층 평형추(24) 또는 하층 평형추(25)로부터 빼낸 웨이트(26)를 매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하층 평형추(25)로부터 빼낸 웨이트(26)를 차례로 상기 웨이트 프레임(27)에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승강함(2) 측의 중량을 증가시킨다.
이 제 6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층 평형추(24) 또는 하층 평형추(25)로부터 빼낸 웨이트(26)를 차례로 승강함(2) 측의 중량으로서 부가할 수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승강함(2) 측과 평형추(3) 측의 불균형 양이 통상의 대략 반분으로 된다. 따라서, 상층 평형추(24) 또는 하층 평형추(25)로부터 빼내는 웨이트(26)의 대략 반분으로 충족되고, 결과적으로 작업 및 작업 시간의 단축을 초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 내의 최상층 부근에 설치된 제어 장치가 고장나서 브레이크 개방 장치만의 조작으로는 제어 장치보다도 아래쪽 위치로 승강함을 이동할 수 없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평형추를 분할함으로써 승강함과 평형추의 불균형 방향을 역전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강함을 승강로 내의 최상층 부근의 제어 장치에 적정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의 복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1)

  1. 로프의 한쪽에 승강함을 지지하고 상기 로프의 다른쪽에 평형추를 지지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는 제 1 평형추와 제 2 평형추로 이루어지며, 통상 운전 시에는 제 1 평형추의 중량이 상기 로프에 작용하고, 구출 운전 시에는 제 1 평형추 및 제 2 평형추의 중량이 상기 로프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는 2분할 구조를 갖고, 상기 2분할 구조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평형추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평형추는 상기 상측 평형추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상기 상측 평형추 또는 상기 하측 평형추에는 상기 상측 평형추와 상기 하측 평형추의 착탈을 행하는 착탈 장치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승강로에는 평형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평형추 가이드 레일에 상기 착탈 장치에 의해 분리된 상기 하측 평형추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평형추와 상기 하측 평형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측 평형추와 하측 평형추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평형추의 상부 및 하부의 양쪽에 상기 평형추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평형추와 상기 하측 평형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측 평형추와 상기 하측 평형추 사이의 변위 가속이 소정 값을 초과했을 때는, 신장이 구속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평형추의 상부 및 하부의 양쪽에 상기 평형추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평형추의 상부 및 하부의 양쪽에 상기 평형추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평형추는 상기 상측 평형추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상기 상측 평형추 또는 상기 하측 평형추에는 상기 상측 평형추와 상기 하측 평형추의 착탈을 행하는 착탈 장치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승강로에는 평형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평형추와 승강로의 피트 플로어 사이에 평형추 하강 방지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의 상기 제 1 및 제 2 평형추는, 상하 2층 구조의 상층 평형추부 및 하층 평형추부를 구성하고, 각 평형추부에 복수개의 웨이트가 바꾸어 쌓을 수 있도록 적층시켜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의 일부를 상기 승강함의 하부에 부착하기 위한 웨이트 프레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KR1020027007864A 2000-10-20 2001-10-19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KR200200655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20658A JP4683703B2 (ja) 2000-10-20 2000-10-20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JPJP-P-2000-00320658 2000-10-20
PCT/JP2001/009147 WO2002034658A1 (fr) 2000-10-20 2001-10-19 Ascenseur sans local de machiner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587A true KR20020065587A (ko) 2002-08-13

Family

ID=1879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864A KR20020065587A (ko) 2000-10-20 2001-10-19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168290A1 (ko)
EP (1) EP1332999A1 (ko)
JP (1) JP4683703B2 (ko)
KR (1) KR20020065587A (ko)
CN (1) CN1394187A (ko)
WO (1) WO20020346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6321A1 (ja) * 2002-06-13 2003-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釣合錘
SG134994A1 (en) 2002-10-29 2007-09-28 Inventio Ag Lift counterweight
WO2005066059A1 (en) * 2003-12-03 2005-07-21 Otis Elevator Company Extendable counterweight for elevator system
JP2006264872A (ja) 2005-03-23 2006-10-05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
JP5354898B2 (ja) * 2007-12-26 2013-1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つり合いおもり
WO2011032582A1 (de) * 2009-09-16 2011-03-24 Manuela Widmann Notbefreiungssystem, insbesondere für aufzüge
EP2671837A1 (de) 2012-06-08 2013-12-11 Inventio AG Evakuationsverfahren für einen Aufzug
CA2865607C (en) * 2012-07-19 2021-07-27 Serbex Tecnologia Y Valores, S.L. Nuclear power plant and safety system with fuse element and gravity elevator
EP2918312B1 (en) * 2012-07-19 2016-09-21 Serbex Tecnología y Valores, S.L. Gravity elevator
CN102862892B (zh) * 2012-09-17 2015-03-11 赵克顺 一种具有火灾断电自运行救生功能的电梯
JP5567095B2 (ja) * 2012-10-12 2014-08-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2848568B1 (en) 2013-09-17 2022-07-20 KONE Corporation A method and an elevator for stopping an elevator car using elevator drive
JP5744162B2 (ja) * 2013-11-29 2015-07-0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JP5777742B2 (ja) * 2014-01-14 2015-09-09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装置
JP6326677B2 (ja) * 2014-09-08 2018-05-23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
CN105084138A (zh) * 2015-06-12 2015-11-25 郭今戈 一种提高升降机运行效率、节能的方法、***与装置
WO2020065774A1 (ja) * 2018-09-26 2020-04-0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釣合いおもりの揚重装置および揚重方法
CN109775533B (zh) * 2019-03-11 2020-10-16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智能式双层电梯
CN109809284A (zh) * 2019-03-11 2019-05-28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基于双层电梯的配重块分离挂接装置
CN109879146B (zh) * 2019-03-11 2020-10-16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基于双层电梯的配重块分离挂接***
ES2914319T3 (es) * 2019-07-05 2022-06-09 Otis Elevator Co Ensamblaje de elevador con parada de bloqueo de contrapeso
JP7372507B2 (ja) * 2020-02-17 2023-11-01 大阪瓦斯株式会社 食器洗浄機およびその動作方法
CN112125087B (zh) * 2020-09-27 2022-04-08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破坏平衡救援装置及电梯
CN117902437A (zh) * 2024-03-15 2024-04-19 浙江飞亚电梯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电梯对重平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268A (en) * 1901-11-02 1902-03-25 Harley A Pool Dumb-waiter.
US763976A (en) * 1903-06-29 1904-07-05 Howard F Gurney Safety-catch for elevator cars and counterweights.
JPS5637146B2 (ko) * 1973-06-21 1981-08-28
US4417646A (en) * 1977-08-19 1983-11-29 Charles Lindbergh Counterweight system
US4236605A (en) * 1978-08-15 1980-12-02 Charles Lindbergh Variable counterweight system
JPS61221072A (ja) * 1985-03-28 1986-10-01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装置
JPH06263368A (ja) * 1993-03-12 1994-09-20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釣り合い重り装置
JP3152001B2 (ja) * 1993-03-26 2001-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JP2559010B2 (ja) * 1993-07-09 1996-11-27 鹿島建設株式会社 昇降機のカウンターウェイトチェンジシステム
JP2000238980A (ja) * 1999-02-22 2000-09-05 Toshiba Elevator Co Ltd ロープ式エレベータ用乗りかご
JP2000255941A (ja) * 1999-03-11 2000-09-1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釣合おも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83703B2 (ja) 2011-05-18
EP1332999A1 (en) 2003-08-06
CN1394187A (zh) 2003-01-29
WO2002034658A1 (fr) 2002-05-02
US20030168290A1 (en) 2003-09-11
JP2002128411A (ja)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5587A (ko)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US10221042B2 (en) Elevator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arrangement
KR100326109B1 (ko)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KR20150095918A (ko) 리프트의 설치 방법
CN109476462B (zh) 电梯装置
CN109476458B (zh) 用以打开电梯轿厢的轿厢顶的电梯装置
WO2017051066A1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in the construction phase of a building
US11834298B2 (en) Method for modernizing elevator system
KR100569799B1 (ko) 균형추
KR20030059308A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10446676B (zh) 电梯装置
JP7147900B1 (ja) エレベータ
JPH09272671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据付工法
JPS63288885A (ja) エレベ−タの安全装置
JP6673612B2 (ja) コンペンシーブ下クリアランスの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2707942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張力平衡装置
JP201016818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315200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130061758A (ko)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JP202404129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113925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2308782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トラブル解消方法
WO2023160818A1 (en) An elevator construction arrangement and a method
JPH08324921A (ja) エレベータ据付工事の安全装置
WO2023202758A1 (en) An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