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591A - 안테나와 이를 이용한 무선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와 이를 이용한 무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591A
KR20020040591A KR1020010072668A KR20010072668A KR20020040591A KR 20020040591 A KR20020040591 A KR 20020040591A KR 1020010072668 A KR1020010072668 A KR 1020010072668A KR 20010072668 A KR20010072668 A KR 20010072668A KR 20020040591 A KR20020040591 A KR 20020040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nductor
resonant frequency
plate
coupling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7440B1 (ko
Inventor
이와이히로시
야마모토아츠시
오가와고이치
가마에구치신지
다카하시츠카사
야마다겐이치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20040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와 이를 이용한 무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체판(12)은 금속선(14)을 통해 도체 지판(11)과 접속되고, 금속선(13)을 통해 급전점(15)에서 급전되며, 도체벽(16)은 한단이 도체판(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자계 결합 조정판(17)은 도체벽(16)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자계 결합 조정판(17)은 도체 지판(11)과 소정 틈을 두고 배치되어 도체 지판(11) 사이에서 컨덴서를 형성한다. 이 때, 금속선(14)이 도체판(12)에 접속되는 단락부에서 전자계 결합 조정판(17)의 개방 단부까지의 경로 길이가 길어지도록 도체벽(16) 및 전자계 결합 조정판(17)이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금속선(13)이 도체판(12)에 접속되는 급전부에서 단락부까지의 전류 경로가 원하는 공진주파수의 1/2파장이 되도록 배치되어, 안테나 공진 주파수의 저주파화와 주파수 특성의 광대역화를 양립시키고, 또 임피던스 특성의 안정화 및 설계의 자유도를 높인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테나와 이를 이용한 무선장치{ANTENNA AND WIRELESS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테나와 이를 이용한 무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특정적으로는 주로 휴대전화단말 등의 무선장치에 사용되는 이동 무선용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 등의 이동체 통신에 관한 기술이 급속히 발달되고 있다. 휴대전화 단말에 있어서 안테나는 특히 중요한 디바이스의 하나이며, 단말의 소형화에 따라서 안테나도 소형화 및 내장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휴대 전화 단말에 사용되는 종래의 이동 무선용 안테나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에 종래의 이동 무선용 안테나의 구조를 추상적으로 나타낸다. 도 16에 있어서 종래의 이동 무선용 안테나는 도체 지판(101)과 평면형상의 도체판(102) 및 2개의 금속선(103, 104)으로 구성된다. 도체판(102)에는 금속선(103)을 통해 급전점(105)에서 소정의 전압이 공급된다(이하, 급전이라고 함). 또, 도체판(102)은 금속선(104)를 통해 접지(GND) 레벨인 도체 지판(101)과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한 안테나는 판형상 역F안테나(PIFA:Planar Inverted F Antenna)라고 불리우며, 통상, 키가 작고 소형인 안테나로서 휴대전화 단말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PIFA는 λ/2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안테나 중앙부를 단락하여 체적을 절반으로 한 구조이며, λ/4 공진기이다.
도 17의 (a) 및 (b)에 도 16에 도시한 종래의 이동 무선용 안테나에 있어서 급전점(105)으로부터 급전한 경우의 전류 경로를 나타낸다.
도 17의 (a)는 역상 모드의 전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상 모드의 전류 경로는 급전점(105)에서 금속선(103)을 통과하고, 도체판(102)의 하측 표면을 통과하며, 금속선(104)을 통과해 도체 지판(101)에서 단락된다. 이 역상 모드의 경우, 금속선(103)을 흐르는 전류와 금속선(104)을 흐르는 전류가 역상으로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안테나의 공진에는 기여하지 않는다.
도 17의 (b)는 동상 모드의 전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상 모드의 전류 경로는 급전점(105)에서 금속선(103)을 통과하고, 도체판(102)의 하측 표면을 통과하여 개방 단부(端部)에서 돌아나와 상측 표면을 통과하고, 금속선(104)을 통과해 도체 지판(101)에서 단락된다. 이 동상(同相) 모드의 경우, 전류 경로의 길이가 1/2 파장이 되는 주파수에서는 금속선(103)을 흐르는 전류와 금속선(104)을 흐르는 전류가 동상(同相)이 되기 때문에 그 주파수에서 안테나가 공진하게 된다.
도 18에 도 16에 도시한 종래의 이동 무선용 안테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8에 있어서, 도체 지판(101)은 폭 40mm 및 길이 125mm의 장방형이다. 도체판(102)은 폭 40mm 및 길이 30mm의 장방형이다. 금속선(103, 104)은 각각 길이 7mm이다. 또 안테나의 점유 체적을 도체판(102)을 도체 지판(101)에 대해 정사영했을 때 둘러싸인 영역이라고 정의하면 이 예의 경우는 도체판(102)의 면적과 금속선(103, 104)의 길이의 체적으로서, 8.4cc(=3×4×0.7)가 된다.
여기서, 급전핀으로서 기능하는 금속선(103)과 단락핀으로서 기능하는 금속선(104)의 간격을 “d”로 정의한다. 간격(d)을 3mm로 하면 도 18에 도시한 안테나는 50Ω계에서 중심 주파수가 1266MHz가 되고, 이 때의 대역폭(전압 정재파비(VSWR))이 2이하가 되는 주파수 대역폭)이 93MHz가 되므로 비대역은 7.3%(≒93/1266)이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이동 무선용 안테나(PIFA)의 경우 공진주파수와 안테나엘리먼트의 길이는 거의 역비례의 관계에 있다. 이때문에, 안테나의 소형화를 위해 안테나엘리먼트인 도체판(102)의 길이(바꿔말하면 안테나의 점유체적)를 작게 하면 공진 주파수가 높아져버리는 과제가 있었다.
따라서, 안테나의 점유 체적이 같은 상태에서 공진 주파수를 저하시키는 이동 무선용 안테나의 일례로서 도 19에 도시한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9에 있어서 종래의 이동 무선용 안테나는 도체 지판(111)과 평면형상의 도체판(112), 도체벽(116) 및 2개의 금속선(113, 114)으로 구성된다. 도체판(112)에는 금속선(113)을 통해 급전점(115)에서 급전된다. 또, 도체판(112)은 금속선(114)을 통해 도체 지판(111)과 접속되어 있다. 도체벽(116)은 그 한단이 도체판(1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도체판(112) 및 도체벽(116)의 형상은 도 16에 있어서 도체판(102)의 개방 단부를 접어 구부린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도체벽(116)의 타단과 도체지판(111)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존재하고 있다. 이 안테나의 경우, 금속선(114)에서 가장 떨어진 도체판(112)의 한단에 도체벽(116)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 도체벽(116)을 이용한 안테나 소형화에서는 다음 2가지가 포인트이다.
첫번째는 전류 경로 길이의 증가에 따른 공진주파수의 저하이다. 역상모드의 전류 경로길이의 최대값이 커지도록 도체벽(116)을 배치함으로써(도 20), 공진주파수가 저하된다. 안테나의 공진주파수를 일정하게 하여 소형화하는 것과 안테나의 점유 체적을 일정하게 하여 공진 주파수를 저하시키는 것은 등가이므로 상기 도 19의 구성에 의해 안테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두번째는 용량 장하(裝荷)에 의한 공진주파수의 저하이다. 도체벽(116)과 도체지판(111)의 틈은 션트의 용량으로서 동작하는데 도체벽(116)의 개방단부는 전계가 가장 강해지므로 공진주파수의 저주파화에 기여하고 있다.
도 21에 도 19에 도시한 종래의 이동 무선용 안테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21에 있어서 도체지판(111)의 칫수와 안테나의 점유 체적을 도 18의 구성과 같게 했다. 즉, 도체판(112)은 폭 40mm 및 길이 30mm의 장방형이다. 도체벽(116)은 폭 6mm 및 길이 30mm의 장방형이다. 금속선(113, 114)은 각각 길이 7mm이다.
이 때, 간격(d)을 4mm로 하면 도 21에 도시한 안테나는 50Ω계에 있어서 중심 주파수가 1209MHz가 되고, 이 때의 대역폭이 121MHz가 되어 대역폭은 10.0%(≒121/1209)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이동 무선용 안테나의 구성에서는 안테나엘리먼트(도체판)의 단부를 접어 구부려 공진 주파수의 저주파수를 도모할 수 있는데, 저주파화에 따라서 주파수대역이 좁아지는 과제가 있었다. 또, 도체벽과 도체지판의 틈을 좁게 할 수록 안테나 공진 주파수의 저주파화가 가능해지는데, 이 경우에는 틈의 변화에 대한 임피던스 특성의 변화가 커져 특성의 안정성이 열화해버리는 과제가 있다. 또 설계의 자유도가 낮기 때문에 안테나의 키를 낮게 하면 안테나엘리먼트와 도체 지판과의 용량성 결합이 증가하여 정합이 취해지지 않는 과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 공진 주파수의 저주파화와 주파수 특성의 광대역화를 양립시키고, 또 임피던스 특성의 안정화 및 설계의 자유도를 높인 안테나와 이를 이용한 무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를 추상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를 응용한 다른 구조를 추상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를 추상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의 (a) 및 (b)는 도 4에 도시한 안테나에 있어서 급전점에서 급전된 경우의 전류 경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의 (a)∼(c)는 도 4에 도시한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의 리턴 로스를 도시한 주파수 특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를 응용한 다른 구조를 추상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를 추상적으로 도시한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안테나의 S11를 나타내는 스미스차트,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안테나에 있어서 도체 지판(地板)의 길이를 변경한 경우의 S11을 나타내는 스미스차트,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를 응용한 다른 구조를 추상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안테나의 S11를 나타내는 스미스차트,
도 14의 (a)∼(c)는 본 발명의 제 1∼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를 응용한 다른 구조예를 추상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의 (a)∼(c)는 본 발명의 제 1∼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를 응용한 1개의 안테나로 2개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커버시키는 구조예를 추상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6은 종래의 안테나의 구조를 추상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7의 (a) 및 (b)는 도 16에 도시한 종래의 안테나에 있어서 급전점으로 급전한 경우의 전류 경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도 16에 도시한 종래의 안테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다른 종래의 안테나의 구조를 추상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다른 종래의 안테나에 있어서 급전점에서 급전된 경우의 전류 경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및
도 21은 도 19에 도시한 다른 종래의 안테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31, 101 : 도체지판 12, 22, 32, 102 : 도체판
13, 14, 23, 24, 103 : 금속선 16 : 도체벽
27 : 전자계 결합 조정벽 52 : 지지대
53 : 슬릿 105 : 급전점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장치에 사용되는 안테나로 향해져 있고, 접지 레벨인 도체지판과 도체지판상에 배치되는 안테나소자와, 안테나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도체지판에 대해 소정의 틈을 갖게 하여 배치되는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와, 안테나소자에 급전을 실시하는 급전 접속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또 안테나소자를 도체 지판에 단락 접속하는 단락 접속부를 적어도 1개 구비한다.
또,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가 단락 접속부와의 사이에서 전자계 결합 효과가 생기도록 배치되거나 도체지판 사이에서 전자계 결합 효과가 생기도록 그 일부가 도체 지판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 전자계 결합 조정 소자가 안테나소자와 접속되지 않은 개방 단부(端部)를 돌아나와 급전 접속부에서 단락 접속부까지의 최대 경로가 원하는 공진주파수의 1/2파장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 엘리먼트를 안테나소자에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를 접속한 특징적인 형상으로 하여 도체 지판의 전자계 결합을 이용한다. 따라서,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의 크기를 매개변수로 하여 안테나와 도체 지판 사이의 전자계 결합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안테나의 공진주파수와 도체 지판의 공진주파수를 약간 어긋나게 하여 광대역인 주파수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공진주파수의 저하에 의한 안테나의 소형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임피던스 특성을 광대역화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설계 매개변수의 증가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안테나소자, 전자계 결합 조정 소자 및 도체 지판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일부 또는 전체에 유전체 재료를 충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충전된 유전체 재료에 의해 전자계 결합 조정 소자와 도체 지판 사이의 용량성 결합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어 안테나의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바람직하게는 전자계 결합 조정 소자를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 지지대에 의해 도체 지판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전체 재료로 이루어진 지지대에 의해 전자계 결합 조정 소자와 도체 지판 사이의 용량성 결합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어 도체 지판상에 배치되는 안테나 엘리먼트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자계 결합 조정 소자와 도체 지판의 거리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 양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안테나 소자 또는 전자계 결합 조정 소자의 적어도 한쪽에 도전 접속부로부터 단락 접속부까지의 경로를 신장하기 위해 슬릿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슬릿을 설치하여 공진 주파수의 저하가 가능해지고, 안테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전류가 강하게 분포되는 장소에 슬릿을 설치하면 공진주파수의 저하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자계 결합 조정 소자에 슬릿을 설치하면 도체 지판 사이의 용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는 접어 구부림 가공에 의해 안테나소자와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안테나소자와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를 일체 성형하면 안테나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 제조시의 양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안테나는 적어도 2개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안테나에 각각 다른 공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복수의 단락 접속부(또는 급전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락 접속부(또는 급전접속부)의 도통(道通)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어느 하나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1개의 안테나로 다른 2개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커버시키는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본 발명의 안테나에 제 1 공진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락 접속부와 제 2 공진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슬롯을 구비하고, 안테나소자부와 슬롯부의 작용에 의해 2개의 공진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래의 안테나엘리먼트(안테나소자 및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로 제 1 공진주파수 대역을 커버하고, 슬롯 부분에 의해 제 2 공진주파수 대역을 커버할 수 있어 한개의 안테나로 동시에 2개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커버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공통 도체 지판상에 2개 나열하여 구성하고, 서로의 위상차가 180도가 되도록 급전을 실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술한 각 발명의 효과뿐만 아니라 도체 지판상의 전류를 안테나 엘리먼트 근방에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손으로 유지한 경우의 특성 열화를 억제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 2개의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약간 어긋나도록 전자계 결합 조정 소자를 조정하여 광대역 특성을 더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측면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를 추상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는 도체지판(11)과 안테나소자인 평면형상의 도체판(12)과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인 도체벽(16) 및 전자계 결합 조정판(17) 및 2개의 금속선(13, 14)으로 구성된다. 도체판(12)에는 금속선(13)을 통해 급전점(15)으로부터 급전된다. 또, 도체판(12)은 금속선(14)을 통해 도체 지판(11)과 접속되어 있다. 도체벽(16)은 그 한 단(端)이 도체판(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자계 결합 조정판(17)은 도체벽(16)의 상기 한단과 대향하는 타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전자계 결합 조정판(17)은 도체 지판(11)과 소정의 틈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도체 지판(11) 사이에서 컨덴서를 형성한다. 이 때, 금속선(14)이 도체판(12)에 접속되는 부분(이하, 단락부라고 함)에서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의 개방단부까지의 경로 길이가 길어지도록 도체벽(16) 및 전자계 결합 조정판(17)이 배치(접속)된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선(13)이 도체판(12)에 접속되는 부분(이하, 급전부라고 함)에서 단락부까지의 전류 경로가 원하는 공진주파수의 1/2파장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 구조에 의해 종래에 비해 동일한 안테나 엘리먼트 사이즈(안테나의 점유 체적)로 공진 주파수를 더 저하시키는 것, 또는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안테나엘리먼트 사이즈를 작게 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구조에 의해 전자계 결합 조정판(17)의 면적 및 도체지판(11)의 거리(틈)를 조정하여 전자계 결합 조정판(17)과 도체 지판(11)으로 구성되는 컨덴서의 용량을 제어할 수 있어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도체지판(11)의 크기와 안테나의 점유체적은 도 18의 종래예와 동일하게 했다. 즉, 도체판(12)은 폭 40mm 및 길이 30mm의 장방형이다. 도체벽(16)은 폭 6mm 및 길이 30mm의 장방형이다. 금속선(13, 14)은 길이 7mm이다.
이 때, 전자계 결합 조정판(17)이 폭 7mm 및 길이 30mm의 장방형이라고 하면 급전핀으로서 기능하는 금속선(13)과 단락핀으로서 기능하는 금속선(14)의 간격(d)이 7.5mm인 경우에 50Ω계에서 임피던스 정합이 취해진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한 안테나는 중심 주파수가 924MHz가 되고, 이 때의 대역폭은 145MHz가 되기 때문에 비대역(比帶域)은 15.7%(≒145/924)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 18 및 도 21에 도시한 종래예와 비교하여 공진주파수의 저주파화와 주파수 특성의 광대역화를실현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상기 칫수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16에 도시한 종래의 안테나구성의 경우, 안테나의 용적을 일정하게 하면 간격(d)만이 가변이고, 설계의 자유도를 결정하는 요소가 그것 하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50Ω계에서 VSWR가 가장 좋아지도록 조정하면 간격(d)이 3mm로 작아졌다. 급전핀을 단락핀에 가깝게 하면 급전점과 안테나 개방단부의 최대 거리가 커지므로 공진주파수가 저하되어 유도성이 증가하지만 비대역이 좁아지는 트레이드오프의 관계가 있다.
이에 대해,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안테나 구조의 경우에는 간격(d)의 조정뿐만 아니라 도체벽(16)과 전자계 결합 조정판(17)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종래와 비교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안테나 구조는 종래에 비해 공진주파수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비대역을 증가시키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진주파수를 더 저하시키기 위해 전자계 결합 조정판(17)의 폭을 단순히 길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하면 전자계 결합 조정판(17)의 면적이 커져 도체지판(11)과의 용량성 결합이 강해져 임피던스 정합을 취하기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전자계 결합 조정판(17)의 길이를 짧게 하여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도체지판(11)의 전자계 결합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3). 이와 같이 도체벽(16)의 길이와 전자계 결합 조정판(17)의 길이가 반드시 같지 않아도 관계없다.
(제 2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를 추상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본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는 도체지판(21)과 안테나소자인 평면형상의 도체판(22)과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인 전자계 결합 조정벽(27)과 2개의 금속선(23, 24)으로 구성된다. 도체판(22)에는 금속선(23)을 통해 급전점(25)으로부터 급전된다. 또, 도체판(22)은 금속선(24)을 통해 도체지판(21)과 접속되어 있다. 전자계 결합 조정벽(27)은 그 한단이 도체판(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제 2 실시형태에서 전자계 결합 조정벽(27)은 도체판(22)과 전기적으로 접소되어 있는 한단에 대향하는 타단과 도체지판(21) 사이에 틈이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전자계 결합 조정벽(27)과 도체판(22)의 접속점은 금속선(24)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의해, 전자계 결합 조정벽(27)과 금속선(24) 사이에 전자계 결합 효과를 생기게 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전류 경로 길이의 최대값이 커지도록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도체벽(16) 및 전자계 결합 조정판(17))를 배치하는 구조예를 도시했는데, 이 경우에는 도체지판(11)의 용량성 결합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안테나의 공진주파수가 저하하기 때문에 공진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한채 용량성 결합을 증가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류 경로길이의 최대값이 증가하지 않도록 전자계 결합 조정벽(27)을 삽입한다. 이에 의해 안테나의 공진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도체지판(21)과의 용량성 결합을 증가하는 것이 가능해져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 단락부 근방은 전류 밀도가 높고 임피던스 정합이 취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전류밀도가 높은 단락부 근방에 전자계 결합 조정벽(27)을 배치한다. 이에 의해, 단락부 근방의 전류 밀도를 낮게 할 수 있어 임피던스가 저감된다. 이 결과,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의 (a) 및 (b)는 도 4에 도시한 안테나에 있어서 급전점(25)에서 급전된 경우의 전류 경로를 나타낸다. 또, 도 6의 (a) 및 (b)는 도 5의 (a) 및 (b)에 대응한 급전점(25)에서 안테나를 볼 때 입력 임피던스와 관련된 리턴로스의 주파수 특성을 각각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급전점(25)에서 급전했을 때의 전류 경로는 동상 모드 및 역상 모드의 2개로 나눠 생각할 수 있는데, 이 중 역상 모드는 서로 전류를 상쇄하여 안테나의 공진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동상모드만을 고려하면 된다. 우선, 도 5의 (a)에 도시한 동상 모드의 전류 경로는 도면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점(25)에서 금속선(23)을 통과하고, 도체판(22)의 하측 표면을 통과하여 개방 단부에서 되돌려져 상측 표면을 통과하고, 금속선(24)을 통과하여 도체지판(21)에 도달한다. 이 때, 전류 경로의 길이가 1/2파장이 되는 주파수에서는 금속선(23) 및 금속선(24)에 흐르는 전류의 향상이 서로 동상이 되기 때문에 그 주파수에서 안테나가 공진된다. 이 때의 공진주파수를 “f1”으로 하여 도 6의 (a)에 리턴 로스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계속해서, 도 5의 (b)에 도시한 동상 모드의 전류 경로는 도면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점(25)에서 금속선(23)을 통과하고, 도체판(22)의 하측 표면을 통과하여 도체판(22)과 전자계 결합 조정벽(27)의 접속점을 통해 전자계 결합 조정벽(27)의 하측 표면을 통과하고, 전자계 결합 조정벽(27)의 개방 단부에서 되돌려져 상측 표면을 통과하고, 접속점을 통해 도체판(22)의 상측 표면을 통과하고, 금속선(24)을 통과해 도체지판(21)에 도달한다. 이 때, 마찬가지로 전류 경로의 길이가 1/2 파장이 되는 주파수에서는 금속선(23) 및 금속선(24)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동상이 되므로 그 주파수에서 안테나가 공진한다. 이 때의 공진주파수를 “f2”로 하여 도 6의 (b)에 리턴로스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또, 도 5의 (b)의 전류 경로가 도 5의 (a)의 전류 경로에 비해 짧은 경우에는 f1≤f2가 되는 것은 당연하다.
도 6의 (c)에 도 4에 도시한 안테나의 리턴로스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이는 도 6의 (a) 및 도 6의 (b)에서 개별적으로 구해진 리턴로스의 주파수 특성을 서로 겹쳐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5의 (a) 및 (b)와 같이 전류 경로 길이를 다르게 하여 안테나를 복공진시켜 광대역인 특성을 얻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다른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복합기에 사용하는 안테나로서 유효하다.
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계 결합 조정벽(27)을 일부분이 도체지판(21)에 대해 평행이 되도록 벤딩(折曲;bending) 구조(전자계 결합 조정판을 부가한 구조)로 하여 도체지판(21) 사이의 전자계 결합을 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전자계 결합 조정벽(27)의 벤딩 부분의 크기를 조정하여 도체 지판(21)과의 전자계 결합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이다.
(제 3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를 추상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본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는 도체지판(31)과 안테나소자인 평면형상의 도체판(32)과 전자계 결합 조정 소자인 L자형 도체벽(37a, 37b, 37c) 및 2개의 금속선(33, 34)으로 구성된다. 도체판(32)에는 금속선(33)을 통해 급전점(35)으로부터 급전된다. 또, 도체판(32)은 금속선(34)을 통해 도체지판(31)과 접속되어 있다. 또, 3개의 L자형 도체벽(37a∼37c)은 각각의 한단이 도체판(32)과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되어 있다.
본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전자계 결합 조정 소자를 구성하는 3개의 L자형 도체벽(37a∼37c)의 벤딩 부분이 도체지판(31)과 소정의 틈을 두고 각각 배치되어 있고, 도체지판(31) 사이에서 컨덴서를 형성한다.
이 구조에 의해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인 L자형 도체벽(37a∼37c)의 면적 및 (벤딩부분에 관함) 도체지판(31)과의 거리(틈)를 복수 조정하여 L자형 도체벽(37a∼37c)과 도체 지판(31)으로 구성되는 컨덴서의 용량을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어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도체 지판(31)의 크기와 안테나의 점유 체적은 도 18의 종래예와 동일하게 했다. 즉, 도체판(32)은 폭 40mm 및 길이 30mm의 장방형이다. 금속선(33, 34)은 길이 7mm이다. L자형 도체벽(37a, 37c)은 도체판(32)의 장변에 각각 접속되고, L자형 도체벽(37b)은 도체판(32)의 단변의 한쪽에 접속된다. 금속선(34)의 한쪽 단은 도체판(32)의 단변의 다른쪽에 접속되고, 금속선(34)의 다른쪽 단은 도체지판(31)에 접속되어 있다. 급전점(35)은 금속선(33)을 통해 도체판(32)에 접속되어 있다. 또, L자형 도체벽(37a, 37c)은 벽 부분이 폭 40mm 및 길이 6mm의 장방형으로 벤딩부의 길이가 2mm이다. L자형 도체벽(37b)은 벽 부분이 길이 30mm 및 폭 6mm인 장방형이고, 벤딩부의 폭이 3mm이다.
이 때, 금속선(33)과 금속선(34)의 간격(d)을 7.5mm로 하면 도 9에 도시한 안테나는 50Ω계에 있어서 중심 주파수가 949MHz가 되고, 이 때의 대역폭은 236MHz가 되므로 비대역은 24.9%(≒236/949)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 18 및 도 21에 도시한 종래예와 비교하여 공진주파수의 저주파화 또 주파수 특성의 광대역화를 실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에 도 9에 도시한 안테나의 S11를 스미스차트로 나타낸다. 도 10에서는 950MHz 부근에 변극점이 존재하고, 안테나가 복공진함을 알 수 있다. 이 복공진은 안테나의 공진주파수와 도체지판(31)의 공진 주파수가 약간 어긋나 있는 것을 요인으로 하여 생기는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상기 복공진에 의해 비대역이 24.9%로 실현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1에 도 9에 도시한 안테나에 있어서, 도체 지판(31)의 길이를 115mm로 한 경우의 안테나의 S11를 스미스차트로 나타낸다. 또, 도 9에 있어서의 다른 매개변수는 변경되지 않는다. 도 11에서 변극점이 1.05GHz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도체지판(31)이 짧아졌기 때문에 도체지판(31)의 공진주파수가 상승된 것이 원인이다. 이 경우, 중심주파수는 934MHz가 되고, 이 때 대역폭은 158MHz가 되므로 비대역은 16.9%(≒158/934)이다.
따라서, 도 12와 같이 안테나의 크기를 재조정했다. 도 12에 있어서 전자계 결합 조정 소자는 전자계 결합 조정벽(47a), 전자계 결합 조정벽(47c) 및 L자형 전자계 결합 조정벽(47b)으로 구성된다. 전자계 결합 조정벽(47a, 47c)은 폭 40mm 및 길이 6mm의 장방형이다. L자형 전자계 결합 조정벽(47b)은 벽부분이 길이 30mm 및 폭 6mm의 장방형이고, 벤딩부의 폭이 1mm이다.
이 때, 금속선(33)과 금속선(34)의 간격(d)을 12.5mm로 하면 도 12에 도시한 안테나는 50Ω계에 있어서 중심 주파수가 1084MHz가 되고, 이 때의 대역폭은 306MHz가 되므로 비대역은 28.2%(≒306/1084)이다. 도 13에서 도 12에 도시한 안테나의 S11을 스미스차트로 도시한다. 도 13에서 1.05GHz 근방에 있는 변극점이 스미스차트의 중심 부근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 구조에 의하면 안테나엘리먼트를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를 갖는 특징적인 형상으로 하여 도체 지판의 전자계 결합을 이용한다. 따라서,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의 크기를 매개변수로 하여 안테나와 도체지판 사이의 전자계 결합을 조정함으로써 안테나의 공진주파수와 도체 지판의 공진 주파수를 약간 어긋나게 하여 광대역인 주파수 특성을 실현할수 있다. 또, 공진주파수의 저하에 의한 안테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임피던스 특성을 광대역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설계 매개변수의 증가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체판,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 및 도체지판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일부 또는 전체에 유전체 재료(51)를 충전하면(예를 들면, 도 14의 (a)), 안테나의 소형화를 더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를 유전체재료로 구성한 지지대(52)에 의해 도체지판상에 고정하면(예를 들면, 도 14의 (b)),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와 도체지판 사이의 용량성 결합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어 도체지판상에 배치되는 안테나 엘리먼트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와 도체지판의 거리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 양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적어도 도체판 또는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중 어느 하나에 슬릿(53)을 설치하는 것으로(예를 들면, 도 14의 (c)) 공진주파수의 저하가 가능해져 안테나의 소형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류가 강하게 분포하는 장소에 슬릿을 설치하여 공진주파수의 저하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에 슬릿을 설치하여 도체 지판과의 사이의 용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휴대전화 단말 등의 무선장치의 경우, 도체 지판의 칫수는 파장에 비해 작은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도체지판도 안테나로서 전파의 방사에 기여한다고 생각되며, 안테나의 설계에는 도체 지판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해진다.각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도체 지판의 길이와 폭은 일례이며, 도체지판의 크기가 변화된 경우에도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의 면적과 도체 지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으로 도체지판과의 전자계 결합을 제어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단락핀과 급전핀을 도체지판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폭방향)로 나열한 경우에 대해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락핀과 급전핀을 가로로 나열한 경우에는 전류 경로를 가로 방향으로 할 수 있어 수평 편파 성분이 커진다. 휴대전화 단말은 통화 상태에서는 약 30도의 저앙각으로 사용되므로 수평 편파 성분이 수직 편파로 변환된다. 현행의 디지털 휴대전화(PDC:Personal Digital Cellular)의 경우, 시가지에서는 교차 편파 식별도가 약 6dB이 되어 수직편파쪽이 유리하다. 즉, 상기 구성과 같이 단락핀과 급전핀을 가로로 나열하여 배치하는 것으로 통화상태에서의 수직편파성분이 강하게 방사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단락핀과 급전핀을 도체 지판의 길이 방향에 대해 도체판의 상단(길이 방향의 어느 한쪽의 단)에 배치하여 전류 경로의 최대값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안테나의 소형화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 도체 지판상의 전류 경로의 최대값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도체 지판이 작은 경우에 유효하다. 또, 전류 분포의 최대점인 단락 핀과 급전 핀을 도체 지판의 상단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휴대전화 단말을 손으로 유지한 경우에 손과 단락핀 및 급전핀의 거리를 멀어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손에 의한특성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단락핀을 한개 구비한 구조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개 이상의 단락핀을 구비한 구조나 단락핀을 전혀 구비하지 않은 구조도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러나, 단락핀을 구비하지 않은 구조의 경우에는 λ/2 공진계가 되므로 안테나의 소형화에는 부적합하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엘리먼트를 구성하는 도체판과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가 개별 부품이도록 기재했지만 이 구성은 1개의 도체 재료를 판금 가공에 의해 벤딩하여 일체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체 성형하면 안테나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 제조시의 양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안테나를 도체지판상에 2개 나열하여 역상 급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효과뿐만 아니라 도체지판상의 전류를 안테나엘리먼트 근방에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손으로 유지한 경우의 특성 열화를 억제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 2개의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약간 어긋나도록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를 조정하여 광대역 특성을 더 기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는 공진 주파수 대역이 1개인 안테나 구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하와 같이 공진주파수 대역이 2개인 안테나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1. 어느 하나의 공진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커버시키는 경우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공진주파수 대역용 단락부(금속선(61))와 제 2 공진주파수 대역용 단락부(금속선(62)) 2개를 안테나엘리먼트상에 설치하면 좋다. 이에 의해 단락부의 도통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제 1 또는 제 2 중 어느 하나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안테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안테나엘리먼트상에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급전부를 2개 설치하는 구조로 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2. 2개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커버시키는 경우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5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엘리먼트에 슬롯(63)을 설치한다. 이에 의해 본래의 안테나엘리먼트로 제 1 공진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고, 슬롯 부분에 의해 제 2 공진 주파수 대역을 커버할 수 있고, 동시에 2개의 공진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안테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예에서는 1개의 안테나로 2개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안테나 구조를 설명했지만, 3개 이상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안테나 구조도 동일하게 하여 실현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복수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구조의 안테나를 도체지판상에 2개 나열하여 역상 급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도해적인 것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다른 수정 및 변경이 고안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과 같이, 안테나 공진 주파수의 저주파화와 주파수 특성의 광대역화를 양립시키고, 임피던스 특성의 안정화 및 설계의 자유도를 높인 안테나와 이를 이용한 무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1)

  1. 무선장치에 사용되는 안테나에 있어서,
    접지레벨인 도체지판;
    상기 도체지판상에 배치되는 안테나소자;
    상기 안테나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도체지판에 대해 소정의 틈을 두고 배치되는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 및
    상기 안테나소자에 급전을 실시하는 급전 접속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소자를 상기 도체지판에 단락 접속하는 단락접속부를 적어도 1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는 상기 단락접속부와의 사이에서 전자계 결합 효과가 생기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는 상기 도체지판과의 사이에서 전자계 결합 효과가 생기도록 그 일부가 상기 도체지판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는 상기 안테나소자와 접속되지 않은 개방단부를 돌아나오는 상기 급전접속부로부터 상기 단락접속부까지의 최대 경로가 원하는 공진주파수의 1/2 파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소자, 상기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 및 상기 도체 지판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일부 또는 전체에 유전체재료를 충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소자, 상기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 및 상기 도체지판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일부 또는 전체에 유전체재료를 충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는 유전체재료로 구성된 지지대(52)에 의해 상기 도체 지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는 유전체재료로 구성된 지지대에 의해 상기 도체 지판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소자 또는 상기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급전접속부에서 상기 단락접속부까지의 경로를 신장하기 위해 슬릿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소자 또는 상기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급전접속부에서 상기 단락접속부까지의 경로를 신장하기 위해 슬릿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소자 또는 상기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급전접속부에서 상기 단락 접속부까지의 경로를 신장하기 위해 슬릿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는 벤딩(bending) 가공에 의해 상기 안테나소자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는 벤딩 가공에 의해 상기 안테나소자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는 벤딩 가공에 의해 상기 안테나소자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는 벤딩 가공에 의해 상기 안테나소자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계 결합 조정소자는 벤딩 가공에 의해 상기 안테나소자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18.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19. 제 4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0.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1. 제 18 항에 있어서,
    각각 다른 공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복수의 상기 단락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락접속부의 도통을 제어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공진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2. 제 19 항에 있어서,
    각각 다른 공진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복수의 상기 단락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락접속부의 도통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어느 하나의 공진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3. 제 20 항에 있어서,
    각각 다른 공진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복수의 상기 단락접속부를 구비하고,상기 단락접속부의 도통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어느 하나의 공진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4. 제 18 항에 있어서,
    각각 다른 공진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복수의 상기 급전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전접속부의 도통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어느 하나의 공진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5. 제 19 항에 있어서,
    각각 다른 공진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복수의 상기 급전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전접속부의 도통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어느 하나의 공진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6. 제 20 항에 있어서,
    각각 다른 공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복수의 상기 급전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전접속부의 도통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어느 하나의 공진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7. 제 18 항에 있어서,
    제 1 공진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락접속부와 제 2 공진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슬롯을 구비하며, 안테나소자부와 슬롯부의 작용에 의해 2개의 공진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8. 제 19 항에 있어서,
    제 1 공진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락접속부와 제 2 공진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슬롯을 구비하며, 안테나소자부와 슬롯부의 작용에 의해 2개의 공진주파수대역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9. 제 20 항에 있어서,
    제 1 공진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락접속부와 제 2 공진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슬롯을 구비하며, 안테나소자부와 슬롯부의 작용에 의해 2개의 공진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30. 제 1 항 내지 제 29 항에 기재된 안테나 중 2개를 공통 도체 지판상에 나열하여 구성하고, 서로의 위상차가 180도가 되도록 급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에 기재된 안테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장치.
KR10-2001-0072668A 2000-11-22 2001-11-21 안테나와 이를 이용한 무선장치 KR100477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55428 2000-11-22
JP2000355428 2000-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591A true KR20020040591A (ko) 2002-05-30
KR100477440B1 KR100477440B1 (ko) 2005-03-23

Family

ID=1882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668A KR100477440B1 (ko) 2000-11-22 2001-11-21 안테나와 이를 이용한 무선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33261B2 (ko)
EP (1) EP1209759B1 (ko)
KR (1) KR100477440B1 (ko)
CN (1) CN1357940A (ko)
DE (1) DE60120089T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865B1 (ko) * 2006-04-28 2007-08-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이용한 위성 디엠비 단말기용안테나
KR20200121153A (ko) * 2019-04-15 2020-10-2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락 패치 안테나를 사용한 평면 배열 안테나 장치
KR102626156B1 (ko) * 2023-03-09 2024-01-16 박영권 전자기적 결합 급전과 u형 슬롯을 이용한 저자세 평면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08582B1 (en) * 2000-11-22 2007-07-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radio
US6670925B2 (en) * 2001-06-01 2003-12-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verted F-type antenna apparatus and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the inverted F-type antenna apparatus
FI118404B (fi) * 2001-11-27 2007-10-31 Pulse Finland Oy Kaksoisantenni ja radiolaite
DE10209961A1 (de) * 2002-03-06 2003-09-25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Mikrowellenantenne
US7050004B2 (en) * 2002-03-28 2006-05-23 University Of Manitoba Multiple frequency antenna
TW547785U (en) * 2002-11-13 2003-08-11 Hon Hai Prec Ind Co Ltd Wide-band antenna
CN1751415B (zh) 2003-02-18 2010-05-05 大见忠弘 移动终端用天线和利用此天线的移动终端
JP2004312166A (ja) * 2003-04-03 2004-11-04 Alps Electric Co Ltd 逆f型板金アンテナ
JP4358084B2 (ja) * 2004-07-12 2009-11-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畳式携帯無線機
WO2006042562A1 (en) * 2004-10-23 2006-04-27 Electronics Research Institute Compact single feed quad band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FI118782B (fi) * 2005-10-14 2008-03-14 Pulse Finland Oy Säädettävä antenni
JPWO2009022385A1 (ja) * 2007-08-10 2010-1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ンテナ素子及び携帯無線機
WO2009022389A1 (ja) * 2007-08-10 2009-02-19 Panasonic Corporation アンテナ素子及び携帯無線機
JP5078090B2 (ja) * 2007-08-10 2012-1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ンテナ素子及び携帯無線機
JP4655095B2 (ja) * 2008-02-18 2011-03-2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5057580B2 (ja) * 2008-03-11 2012-10-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ンテナ素子
TWI392137B (zh) * 2009-03-26 2013-04-01 Htc Corp 行動裝置
WO2011096021A1 (ja) * 2010-02-05 2011-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ショートパッチアンテナ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IT1400110B1 (it) * 2010-05-21 2013-05-17 S Di G Moiraghi & C Soc Sa Antenna planare compatta.
US8412276B2 (en) * 2010-05-24 2013-04-02 Tdk Corporation Proximity type antenna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CN102484313B (zh) * 2010-07-05 2015-07-01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天线装置以及无线通信装置
JP5714507B2 (ja) * 2010-07-05 2015-05-0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imo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JP5737559B2 (ja) 2010-12-21 2015-06-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多周波用モノポールアンテナ
US9472846B2 (en) * 2011-02-18 2016-10-18 Laird Technologies, Inc. Multi-band planar inverted-F (PIFA) antennas and systems with improved isolation
JP6167745B2 (ja) * 2013-08-13 2017-07-26 富士通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6348396B2 (ja) * 2014-10-07 2018-06-27 株式会社Soken アンテナ装置
JP6610245B2 (ja) * 2015-12-25 2019-1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7209726A2 (en) * 2016-05-31 2017-12-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olded slot antennas
FR3069962B1 (fr) * 2017-08-01 2020-09-25 Primo1D Antenne a plaque pour coupler un terminal d’emission-reception a un dispositif rfid
US10797392B2 (en) * 2017-10-02 2020-10-06 Sensus Spectrum, Llc Folded, three dimensional (3D) antennas and related devices
CN108493591A (zh) * 2018-03-15 2018-09-04 上海微小卫星工程中心 星载vhf天线装置
CN109149082B (zh) * 2018-07-18 2023-11-10 上海东洲罗顿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紧凑型mimo天线及包含其的通讯设备
WO2020037601A1 (zh) * 2018-08-23 2020-02-27 华为技术有限公司 射频传输组件及电子设备
JP7028212B2 (ja) * 2019-03-26 2022-03-02 株式会社Soken アンテナ装置
US11283161B2 (en) * 2019-07-18 2022-03-22 Medtronic, Inc. Antenna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JP7104089B2 (ja) * 2020-03-13 2022-07-20 矢崎総業株式会社 折り返しアンテナ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009B2 (ja) * 1988-03-10 1994-08-0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移動体用アンテナ
JPH03228407A (ja) 1989-12-11 1991-10-09 Nec Corp アンテナおよび該アンテナを用いた携帯用無線機
CA2181887C (en) 1995-04-24 2000-05-16 Seiji Hagiwara Microstrip antenna device
SE507077C2 (sv) * 1996-05-17 1998-03-23 Allgon Ab Antennanordning för en portabel radiokommunikationsanordning
US5764190A (en) 1996-07-15 1998-06-09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Capacitively loaded PIFA
JP3482089B2 (ja) * 1996-12-25 2003-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周波数切替式逆fアンテナ
JPH10209739A (ja) * 1997-01-21 1998-08-07 Nec Corp 逆f形アンテナ
US6008762A (en) * 1997-03-31 1999-12-28 Qualcomm Incorporated Folded quarter-wave patch antenna
US5926139A (en) * 1997-07-02 1999-07-20 Lucent Technologies Inc. Planar dual frequency band antenna
JP2000059131A (ja) * 1998-08-07 2000-02-25 Mitsumi Electric Co Ltd アンテナ装置
JP4075154B2 (ja) * 1998-09-21 2008-04-16 ソニー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装置
JP2000114856A (ja) 1998-09-30 2000-04-21 Nec Saitama Ltd 逆f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装置
JP3351363B2 (ja) * 1998-11-17 2002-11-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FI113588B (fi) * 1999-05-10 2004-05-14 Nokia Corp Antennirakenne
FI112982B (fi) * 1999-08-25 2004-02-13 Filtronic Lk Oy Tasoantennirakenne
US6218991B1 (en) * 1999-08-27 2001-04-17 Mohamed Sanad Compact planar inverted F antenn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865B1 (ko) * 2006-04-28 2007-08-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이용한 위성 디엠비 단말기용안테나
KR20200121153A (ko) * 2019-04-15 2020-10-2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락 패치 안테나를 사용한 평면 배열 안테나 장치
KR102626156B1 (ko) * 2023-03-09 2024-01-16 박영권 전자기적 결합 급전과 u형 슬롯을 이용한 저자세 평면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09759A1 (en) 2002-05-29
US6633261B2 (en) 2003-10-14
DE60120089D1 (de) 2006-07-06
US20020075192A1 (en) 2002-06-20
EP1209759B1 (en) 2006-05-31
CN1357940A (zh) 2002-07-10
KR100477440B1 (ko) 2005-03-23
DE60120089T2 (de)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7440B1 (ko) 안테나와 이를 이용한 무선장치
KR100533624B1 (ko) 듀얼 피딩 포트를 갖는 멀티밴드 칩 안테나 및 이를사용하는 이동 통신 장치
US9793597B2 (en) Antenna with active elements
JP3562512B2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のアンテナを備えた通信装置
KR100741398B1 (ko) 개방-종단 슬롯 평면 역f 안테나 및 튜닝 방법
US7705791B2 (en) Antenna having a plurality of resonant frequencies
EP1524723B1 (en) Antenna device and portable radio communnication terminal
US8212731B2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993439B1 (ko) 안테나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
JP3468201B2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の複共振の周波数調整設定方法および表面実装型アンテナを備えた通信装置
EP2628209B1 (en) A loop antenna for mobile handset and other applications
JP2002223114A (ja) アンテナ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装置
US6992633B2 (en) Multi-band multi-layered chip antenna using double coupling feeding
KR100483044B1 (ko) 신호간섭 배제특성을 개선한 표면실장형 칩 안테나 및이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장치
JP5105208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機
KR20190117758A (ko) 안테나 장치 및 이러한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JP4645603B2 (ja) アンテナ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
US20130021211A1 (en) Antenna an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6287986A (ja) アンテナ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装置
JPH09232854A (ja) 移動無線機用小型平面アンテナ装置
KR100708064B1 (ko) 임피던스 가변형 내장 안테나
JP4232626B2 (ja) アンテナ装置
KR20220071386A (ko) 안테나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10026856A (ko) 안테나와 무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