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862Y1 -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862Y1
KR200195862Y1 KR2019980001521U KR19980001521U KR200195862Y1 KR 200195862 Y1 KR200195862 Y1 KR 200195862Y1 KR 2019980001521 U KR2019980001521 U KR 2019980001521U KR 19980001521 U KR19980001521 U KR 19980001521U KR 200195862 Y1 KR200195862 Y1 KR 200195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recess
vehicle
release lever
support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835U (ko
Inventor
민준기
Original Assignee
민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준기 filed Critical 민준기
Priority to KR2019980001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862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8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8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8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대시 보드에 설치되는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대시 보드에 형성되고 전방 개구부와 상면, 저면, 좌측면, 우측면 및 후면을 가지는 리세스와, 상기 리세스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고 상면을 형성하는 받침판과 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가지는 받침대와, 양단부를 가지는 랙과 상기 랙과 치합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 온/오프 스위치를 갖는 받침대 구동 수단과, 상기 받침대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리세스의 측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갖는 제동 해제 레버와 상기 제동 해제 레버의 돌기와 대응 결합되도록 상기 리세스의 측면에 형성된 요입부를 갖는 받침대 이동 제동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차량의 승차자는 필요에 따라 물건 받침 기구의 받침대를 인출한 후, 그 상에서 음식물 및 휴대용 물품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A SLIDING ELEMENT FOR SUPPORTING THINGS IN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의 대시 보드에 설치되는 물건 받침 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앞좌석의 승차자가 음식물 또는 휴대용 물품을 놓을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앞좌석의 승차자는 음식물을 먹거나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물품을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의 무릎 위에 음식물 또는 휴대용 물품이 불안정하게 놓여진 상태로 음식물을 먹거나 휴대용 물품을 다루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승차자가 운전 중에도 안정된 상태로 음식물 또는 휴대용 물품을 위치시킬 수 있는 차량용 물건 받침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대시 보드에 물건 받침대를 수납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인출할 수 있는 물건 받침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물건 받침 기구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 상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미닫이 받침대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미닫이 받침대의 구동 수단 및 제동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해 받침대의 받침판을 제거한 상태에서 리세스 및 주변 장치와 함께 도시한 평면도.
도4는 차량용 미닫이 받침대가 인출된 상태인 것을 제외하고는 제3도와 동일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시 보드
5 : 리세스
10 : 미닫이 받침대
110 : 받침판
112, 114 : 덮개
212 : 제동 해제 부재
216 : 안내홈
242 : 자동 구동 장치 스위치
244 : 모터
246 : 기어
248 : 가요성 랙
312, 314 : 걸쇠 구멍
316a : 제1 블록
316b : 제2 블록
318 : 걸쇠
본 고안의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는 차량의 대시 보드에 형성되고 상면, 저면, 좌측면, 우측면 및 후면을 가지고 전면은 개방되어 있는 리세스와, 상기 리세스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면을 형성하는 받침판과 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가지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받침대의 이동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기재에 있어서는 편의상 받침대가 인출되어 나오는 방향을 전방으로, 받침판의 물건이 놓이는 쪽을 상방으로 하여 각각의 면이나 방향을 나타내었다.
상기 받침대의 후방 단부와 상기 리세스의 후방 단부는 탄성 복귀 수단, 예컨대 스프링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대가 인출되면 스프링이 탄성 신장되어 받침대를 수납 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을 작용하게 된다.
받침대 이동 제동 수단은 제동 해제 레버를 포함한다. 제동 해제 레버는 그 일단부가 받침대의 하면에 고정되고 받침대의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타단부는 받침대의 전면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제동 해제 레버의 중간부에는 리세스의 측면을 향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의 측면에는 상기 받침대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해제 레버의 돌기와 결합되는 요입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받침대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제동 해제 레버의 돌기가 리세스의 요입부와 결합하여 받침대를 고정시키고, 제동 해제 레버를 움직여 요입부와의 결합을 해제시키면 받침대의 고정이 해제되어 제동 해제 레버를 잡아당기면 받침대가 인출된다.
제동 해제 레버 및 리세스 측면 요입부는 물건 받침 기구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세스의 저면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한 쌍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동 해제 레버의 후방 단부 부근에는 하향 연장된 안내 돌기가 형성된다. 안내 돌기는 안내홈에 결합되어 받침대의 이동시에 안내홈을 따라서 이동한다. 따라서, 받침대가 인출되면서 제동 해제 레버 사이의 간격도 안내홈의 간격에 비례하여 좁아진다.
받침대 이동 제동 수단은 또한 받침대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받침대의 제1 걸쇠 구멍에 삽입될 수 있고 받침대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받침대의 제2 걸쇠 구멍에 삽입될 수 있고 횡방향 이동에 의해 삽입 상태를 해제시킬 수도 있는 걸쇠를 포함한다. 제1 걸쇠 구멍과 제2 걸쇠 구멍은 각각 받침대 측면의 전방 단부 부근과 그 보다 후방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제동 수단은 받침대의 양측에 하나씩, 한 쌍을 둘 수도 있다.
받침대 이동 제동 수단은 또한, 받침대의 양측면 각각의 후방에 형성된 횡방향 요홈과, 그 요홈에 삽입된 스프링과 그 스프링과 결합하여 상기 요홈의 외측으로 그 일부가 돌출된 구체와 리세스의 측면에 받침대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구체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요홈을 포함한다. 받침대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구체와 요홈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는 힘을 작용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물건 받침 기구에는 또한 받침대의 인출 또는 복귀시에 받침대의이동을 안내하기 위해서 받침대 이동 안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 이동 안내 수단은 받침대의 양측면에 형성된 날개판과 리세스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날개판을 수용하며 지지하는 길이방향 홈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받침대 구동 수단은 일단부가 받침대와 결합된 랙과, 상기 랙과 치합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는 자동 구동 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물건 받침 기구는 차량의 탑승자가 필요시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대시 보드에서 받침대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물건 받침 기구는 사용 후에는 대시 보드의 리세스에 수납시키므로, 차량의 실내 공간을 유지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는 차량의 대시 보드(1)에 본 고안의 물건 받침 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물건 받침 기구는 차량의 대시 보드(1)에 형성된 리세스(5)와, 리세스(5)에 수납되는 받침대(10)를 포함한다. 리세스(5)는 대시 보드(1)에 형성된, 소정의 폭과 높이와 깊이를 갖는 홈의 형태이다. 리세스(5)에는 미닫이 받침대(10)가 인출 가능하게 수납 장착된다. 미닫이 받침대(10)는 후술하는 제동 수단의 제동 작용에 의하여 리세스(5) 내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되며, 제동 수단의 제동 작용을 해제시킴으로써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5)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 인출된 미닫이 받침대(10)는 제동 수단에 의해 후단부가 리세스(5)의 개구부에 걸쳐져 있는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유지되어 고정된다.
도2는 미닫이 받침대(10)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상면은 음식물 또는 휴대용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판(110)을 형성한다. 받침판(110)에는 복수개의 요입부(110a, 110b)를 형성할 수 있다. 요입부(110a, 110b)들은 개폐가능한 덮개(112, 114)로 덮혀 있다.
덮개(112)의 일단부는 요입부(110a)의 일측면에 설치된 힌지핀(도시되지 않음)에 탄성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다. 탄성 수단은 덮개(112)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덮개(112)에 탄력을 작용시킨다. 덮개(112)는 공지의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된다. 즉, 닫혀있는 덮개(112)를 누르면 덮개(112)는 도2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받침판(110) 위로 돌출된다. 따라서, 받침판(110)이 대시 보드(1)에 형성된 리세스(5)로부터 인출된 후에 덮개(112)를 돌출시키면, 받침판(110)의 표면 위로 돌출된 덮개(112)는 리세스의 개구부에 걸쳐지며 그 결과 받침판(110)이 리세스로 복귀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받침판(110)의 양측면에 인접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장방형 요입부(110b)들은 필기구 등의 수납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요입부(110b)들은 받침판(110)의 표면과 동일 높이로 유지되는 덮개(114)에 의해 밀폐된다. 요입부(110b)의 일측면에는 힌지 핀(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설치되고 상기 힌지 핀에는 탄성 수단이 배치된다. 덮개(114)의 일측면은 상기 탄성 수단에 탄성 지지된 상태로 상기 힌지 핀에 결합된다. 요입부(110b)를 밀폐시키는 덮개(114)는 원터치 방식으로 되어 있어 누르면 도2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열린다. 덮개(114)는 개방 상태에서 받침판(110) 위에 놓여진 휴대용 물품 등이 받침대(10)의 측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도 작용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물건 받침 기구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의 탄성 복귀 수단, 받침대의 구동 수단 및 제동 수단을 포함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3 및 도4에는 미닫이 받침대(10)의 받침판(110)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받침대(10)의 측면에는 미닫이 받침대(1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날개판(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리세스(5)에는 상기 날개판이 활주할 수 있는 길이방향 홈(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리세스(5)의 개구부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측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1 블록(316a) 및 제2 블록(316b)이 제공된다. 또한, 리세스 개구부의 양측면에는 미닫이 받침대(10)를 고정시키기 위한 "ㄱ" 자형 걸쇠(318)가 제공된다. 걸쇠(318)는 리세스 개구부의 양측면에 노출된 조작부(318a)와, 조작부(318a)와 일체로 형성되어 받침대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걸쇠 구멍(312, 314)에 삽탈가능한 돌기(318b)로 이루어진다.
리세스(5)의 저면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받침대의 제동 해제 레버(212)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홈(216)이 제공된다. 안내홈(216)들 사이의 간격은 리세스(5)의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진다. 리세스(5)의 저면에는 제동 해제 레버(212)의 횡방향 이동을 수용할 수 있는 한 쌍의 삼각형 수용 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 공간(S)의 내측면은 안내홈(216)과 거의 평행하게 경사진다.
제동 해제 레버(212)는 받침대(1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안내 돌기(212a), 받침대(10)의 양측면을 따라 전방 연장되어 받침대(10)의 전면 밖으로 돌출한 전방 단부(A)와 후방 단부(E)를 갖는 레버 부재(212b), 및 안내 돌기(212a)와 레버 부재(212b)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12c)로 구성된다. 레버 부재(212b)의 후방 단부(E)는 레버(212)의 힌지부로 작용한다. 안내 돌기(212a)는 리세스 저부의 안내홈(216)에 그 일단부가 삽입되어 받침대(10)의 이동시에 안내홈(216)을 따라 이동한다. 제동 해제 레버(212)의 중간에는 리세스의 측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212d)가 형성되며 돌기(212d)는 받침대(10)가 리세스(5)에 수납될 때 제1 블록(316a)과 제2 블록(316b) 사이의 공간, 즉 요입부에 체결된다. 돌기(212d)와 제1 블록(316a) 및 제2 블록(316b)은 받침대의 이동 제동 수단을 구성한다.
받침대(10)의 후방 모서리 부근의 양측면에는 스프링(234)이 내장되는 벽감부(230)가 각각 형성되고 벽감부(23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스프링(234)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구체(232)가 설치된다.
받침대(10)의 후방 모서리에는 돌기 부재(328)가 고정되어 있으며, 돌기 부재(328)의 후방에는 리세스(5)의 후면에 일단부가 고정된 스프링(326)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326)은 받침대(1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받침대(10)를 복귀시키는 힘을 작용하는 받침대 탄성 복귀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돌기 부재(328)는 받침대(10)가 인출될 때 제1 블록(316a)에 의해 전방 이동이 제한되어 받침대(10)의 인출 한계를 이룬다. 한편, 제1 블록(316a)에는 제2 이동 제동 수단을 구성하는 구체(232)가 통과할 수 있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받침대(10)의 인출에 따라서 구체(232)는 제1 블록(316a)에 의해 저지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미닫이 받침대(10)를 자동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받침대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가요성 랙(248)과, 랙(248)에 치합되는 기어(246)와, 기어(246)를 구동시키는 모터(244)와, 모터(244)를 온 오프시키는 스위치(242)를 포함한다. 스위치(242)는 차량 탑승자가 스위치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대시 보드 상에 설치된다.
대시 보드의 리세스(5)로부터 받침대(10)를 수동으로 인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3을 다시 참조하면, 리세스(5) 내에 미닫이 받침대(10)가 수납된 상태에서, 제동 해제 레버(212)의 돌기(212d)는 제1 블록(316a)과 제2 블록(316b) 사이의 공간에 체결되어 있다. 걸쇠(318)는 미닫이 받침대(10)의 제1 걸쇠 구멍(312)에 삽입되어 있다. 걸쇠(318)를 외측으로 활주시켜 제1 걸쇠 구멍(312)으로부터 해제시키고, 제동 해제 레버의 전방 단부(A)들을 내측을 향해 누르면 돌기(212d)는 블록(316a, 316b)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그 결과 받침대에 대한 제동 상태가 해제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 받침대(10)를 전방으로 당기면, 받침대(10)는 리세스(5) 측벽에 형성된 안내 홈을 따라 활주하여 리세스 밖으로 인출된다. 이때, 제동 해제 레버의 안내 돌기(212a)는 리세스의 안내홈(216)을 따라서 이동하며 연결 부재(212c)를 통해 안내 돌기(212a)에 연결된 레버 부재(212b)들 사이의 간격은 점점 좁혀진다. 받침대(10)의 후방에 설치된 구체(232)와 돌기 부재(328)는 리세스(5) 측벽의 안내홈을 따라 활주하여, 구체(232)는 블록(316a, 316b)들 사이의 요입부에 체결되고 돌기 부재(328)는 블록(316a)의 후방에 접촉함으로써 받침대의 인출 과정이 종료된다. 이때, 돌기 부재(328)의 후방에 연결되어 신장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받침대(10)는 수납 위치로 후퇴하려 하지만, 걸쇠(318)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받침대(5)의 측면에 형성된 제2 걸쇠 구멍(314)에 활주식 제동 수단(318)의 돌기(318b)를 삽입시키거나 또는 받침판(110) 상에 형성된 덮개(112)를 원터치 방식으로 개방시켜 리세스(5)의 개구부에 걸쳐놓음으로써 받침대(10)의 후퇴가 억제된다. 따라서, 받침대는 인출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그 위에 음식물 또는 기타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다.
한편, 리세스(5)로부터 받침대(10)를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받침대(10)가 리세스(5)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위치(242)를 눌러 모터(244)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기어(24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기어(246)와 치합된 랙(248)은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며 받침대(10)를 리세스 밖으로 밀어낸다. 이때, 연결 부재(212c)에 의해 상기 레버 부재(212b)에 연결된 안내 돌기(212a)는 리세스(5)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홈(216)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와 연동하여 레버 부재(212b)는 횡방향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레버 부재(212b)의 돌기(212d)는 블록(316a, 316b)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부터 체결이 해제된다. 레버 부재(212b)의 횡방향 내측 이동이 원활하도록 레버 부재의 내측에 스프링이 부착될 수 있다. 안내 돌기(212a)가 안내홈(216)의 전방 단부에 도달함에 따라 받침대(10)의 인출 동작은 완료되고 이때, 구체(232)는 블록(316a, 316b)들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돌기 부재(328)는 제1 블록(316a)의 후방에 위치된다.
한편, 제2 걸쇠 구멍(314)에 대한 걸쇠(318)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구체(232)가 상기 체결 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정도의 외력으로 받침대(10)를 리세스(5)에 밀어 넣으면, 받침대(10)는 신장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후방으로 후퇴하며 원래의 수납된 상태로 복귀된다. 또는, 상기 스위치(242)를 조작하여 상기 모터(244)를 역회전시킴으로써, 기어(246)를 역회전시켜 랙(248)을 후퇴시킴으로써 받침대(10)를 원래의 수납 상태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물품 받침대를 차량의 대시 보드에 형성된 리세스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함으로써 차량의 승차자가 편리하고 안정되게 음식물을 먹거나 휴대용 물품을 용이하게 다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차량의 대시 보드에 형성되고 전방 개구부와 상면, 저면, 좌측면, 우측면 및 후면을 가지는 리세스와,
    상기 리세스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고 상면을 형성하는 받침판과 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가지는 받침대와,
    양단부를 가지는 랙과, 상기 랙과 치합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 온/오프 스위치를 갖는 받침대 구동 수단과,
    상기 받침대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리세스의 측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갖는 제동 해제 레버와, 상기 제동 해제 레버의 돌기와 대응 결합되도록 상기 리세스의 측면에 형성된 요입부를 갖는 받침대 이동 제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양단부를 가지고 상기 받침대가 리세스로부터 인출됨에 따라서 탄성 지지되어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그 한 단부는 상기 받침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리세스의 후방부에 연결된 탄성 복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해제 레버는 상기 받침대의 하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받침대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해제 레버 및 상기 리세스 측면 요입부가 상기 물건 받침 기구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의 저면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한 쌍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제동 해제 레버의 후방 단부 부근에는 상기 안내홈 중의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의 이동시에 그 안내홈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하향 연장된 안내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의 일단부는 상기 받침대의 후방부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측면에는 전면에 인접한 위치의 제1 걸쇠 구멍과, 상기 제1 걸쇠 구멍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제2 걸쇠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 이동 제동 수단은 상기 받침대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걸쇠 구멍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받침대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제2 걸쇠 구멍에 삽입될 수 있고 횡방향 이동에 의해 삽입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걸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의 양측면에 형성된 날개판과, 상기 받침대 날개판과 결합하여 날개판이 활주될 수 있도록 상기 리세스의 양측면에 형성된 길이방향 홈으로 구성된 받침대 이동 안내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
KR2019980001521U 1998-02-10 1998-02-10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 KR200195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521U KR200195862Y1 (ko) 1998-02-10 1998-02-10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521U KR200195862Y1 (ko) 1998-02-10 1998-02-10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835U KR19990035835U (ko) 1999-09-15
KR200195862Y1 true KR200195862Y1 (ko) 2000-10-02

Family

ID=1953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521U KR200195862Y1 (ko) 1998-02-10 1998-02-10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8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445B1 (ko) * 2013-10-23 2015-04-2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탑승자 보조장치 및 그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835U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3400B2 (ja) 自動車に取り付けられる引出し可能なスライディングユニット
US4417764A (en) Automotive armrest assembly
JP3287081B2 (ja) 引き出しユニット
US7258381B2 (en) Modular vehicle interior component system and release latch mechanism for use with the system
US6669258B1 (en) Guide mechanism, open-close mechanism of covering member using the guide mechanism, interior equipment for automobile using the open-close mechanism
US5226569A (en) Retractable garment rod
US6702241B2 (en) Cup holder
JP3611751B2 (ja) スライド式コンソールボックス
US5004306A (en) Drawer device
KR200195862Y1 (ko)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
KR101776513B1 (ko) 차량용 캐리어 장치
JPH0376254B2 (ko)
JP3524800B2 (ja) 車両用物入れ装置
JP3227652B2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JPH0976811A (ja) カップホルダーユニット
JP2006015881A (ja) 移動式灰皿係止部構造
KR20000006725U (ko) 자동차용 트레이 장치
JPH08198016A (ja) 車両用内装品装置
JPH068769A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KR20020055337A (ko) 자동차의 듀얼오픈 콘솔
KR0133546Y1 (ko) 컵 홀더가 구비된 자동차용 콘솔박스
JPH08198017A (ja) カード収納装置
JPH0719896Y2 (ja) 車輌のコップ支持装置
KR100294752B1 (ko) 자동차용컵홀더
KR0136353Y1 (ko) 헤드레스트의 테이프 보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