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609Y1 - 박형시트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박형시트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609Y1
KR200189609Y1 KR2020000006141U KR20000006141U KR200189609Y1 KR 200189609 Y1 KR200189609 Y1 KR 200189609Y1 KR 2020000006141 U KR2020000006141 U KR 2020000006141U KR 20000006141 U KR20000006141 U KR 20000006141U KR 200189609 Y1 KR200189609 Y1 KR 200189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sheet
sensor
transfer
thin
conve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석
Original Assignee
조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석 filed Critical 조현석
Priority to KR2020000006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6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6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얇은 띠형의 박형시트를 이송시키기 위한 박형시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박형시트 이송장치는, 박형시트의 이송속도의 변화에 따라 상하방향의 위치가 변화되는 승강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 승강부재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통해, 박형시트의 이송속도가 원하는 범위 내에 있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어, 박형시트의 이송속도가 원하는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형시트 이송장치{Thin sheet feeding apparatus}
본 고안은 얇은 띠형의 박형시트를 이송시키기 위한 박형시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박형시트의 이송속도가 원하는 범위 내에 있는지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박형시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들을 소정각도 간격을 두고 일렬로 지지하는 부품테이프나 또는 반도체소자 제조에 사용되는 리드프레임의 소재가 되는 금속박판 등과 같은 얇은 띠형의 박형시트는 일반적으로 롤에 감긴 상태로 유통된다. 이처럼 롤에 감겨 있는 박형시트로부터 부품을 순차적으로 취출해내거나 또는 그 박형시트에 대해 소정의 가공을 행하기 위해서는, 롤로부터 박형시트를 풀어내면서 이송시키는 박형시트 이송장치가 필요하다. 도 1에는 상술한 박형시트 이송장치의 일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요성을 가지는 띠형의 얇은 박형시트(2)가 롤(1)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 있으며, 박형시트(2)에는 그 박형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멍(2a)들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롤(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는 이송모터(3)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이송모터(3)의 출력축에는 회전체(4)가 결합되어 있다. 회전체(4)의 외주면에는 상기 박형시트(2)의 구멍(2a)들에 순차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각도 간격으로 다수의 돌기(4a)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모터(3)에 의해 회전체(4)가 회전되면, 그 회전체(4)의 각 돌기(4a)가 순차적으로 박형시트(2)의 구멍(2a)들에 끼워지면서 회전체(4)의 회전력에 의해 박형시트(2)가 롤(1)로부터 풀려나와 화살표(A)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박형시트(2)가 이송되는 도중에, 프레스장치 등의 가공장치(미도시)에 의해 박형시트(2) 자체에 소정의 작업이 행해지거나, 또는 그 박형시트(2)에 전자부품(미도시)들이 일렬로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전자부품들이 부품취출장치(미도시)에 의해 순차적으로 취출되거나 하는 작업이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박형시트(2)가 이송되는 도중에 그 박형시트(2)에 대한 상술한 작업이 정확하고 균일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박형시트 이송장치에 의한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는 설정된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박형시트 이송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이송모터의 회전수가 설정된 범위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져서 박형시트의 이송속도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박형시트의 이송속도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쉽게 확인하기가 곤란하며 그에 따라 박형시트의 이송속도를 원하는 범위내에 있도록 제어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두 대의 이송장치가 서로 인접되게 설치되어 그 두대의 이송장치가 각각 상기 박형시트를 이송시키면서 각각 그 박형시트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공정에서는, 그 각각의 이송장치에 의한 박판시트의 이송속도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술한 두 대의 이송장치에서의 박판시트의 속도차가 발생되면 박판시트에 큰 장력이 걸리거나 또는 박판시트가 심하게 처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그 각각의 이송장치에 의한 박판시트의 이송속도 차이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박형시트의 이송속도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 있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박형시트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박형시트 이송장치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형시트 이송장치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박형시트 이송장치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박형시트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레임 20...하면 가이드롤러
30...가이드레일 40...승강부재
50...상면 가이드롤러 60...제1센서
70...제2센서 80...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박형시트 이송장치는, 얇은 띠형의 박형시트의 이송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박형시트의 이송방향상 상기 이송모터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박형시트의 하면에 접촉되어 그 박형시트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하면 가이드롤러와, 상기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그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박형시트의 상면에 접촉되어 그 박형시트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상면 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박형시트의 이송속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형시트 이송장치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박형시트 이송장치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박형시트 이송장치가, 롤(1)에 감긴 얇은 띠형의 박형시트(2)를 그 롤(1)로부터 풀어내면서 이송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점이나 박형시트(2)의 이송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3)를 포함하는 점은 종래의 박형시트 이송장치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송모터(3)의 동력을 박형시트에 전달할 수 있도록 이송모터(3)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그 이송모터(3)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4)를 구비하는 점, 그 회전체(4)의 외주면에 소정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박형시트(2)에 일렬로 형성된 구멍(2a)들에 순차적으로 걸리는 다수의 돌기(4a)가 마련된 점도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박형시트 이송장치와 다를 바 없다.
한편, 종래 박형시트 이송장치와는 달리, 본 실시예의 박형시트 이송장치는 프레임(10)과, 하면 가이드롤러(20)와, 가이드레일(30)과, 승강부재(40)와, 상면 가이드롤러(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박형시트의 이송방향(A)상 상기 이송모터(3)의 상류측에서 상기 롤(1)과 이송모터(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면 가이드롤러(20)는 프레임(10)의 상부에 3개가 구비되어 있다. 각 하면 가이드롤러(20)는 샤프트(2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그 외주면에 박형시트(2)의 하면이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0)은 한 쌍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가이드레일(30)은 프레임(1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재(40)는 상기 가이드레일(30)들에 그 가이드레일(30)의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면 가이드롤러(50)는 승강부재(40)에 한 쌍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상면 가이드롤러(50)는 박형시트(2)의 이송방향(A)면에서 볼 때 하면 가이드롤러(20)들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상면 가이드롤러(50)는 샤프트(5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그 외주면에 박형시트(2)의 상면이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박형시트 이송장치는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서(60)와 제2센서(70)와 제어부(8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센서(60)는 승강부재(40)가 설정된 높이만큼 상승되어 있을 때 그 승강부재(40)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부재(40)의 승강경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발광부(61)와 수광부(62)를 가지는 소위 투과형 광센서가 제1센서(60)로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센서(70)는 승강부재(40)가 설정된 높이만큼 하강되어 있을 때 그 승강부재(40)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제1센서(6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센서(70)로서도, 상기 제1센서(60)와 마찬가지로, 승강부재(40)의 승강경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발광부(71)와 수광부(72)를 가지는 투과형 광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제1센서(60)와 제2센서(7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이송모터(3)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박형시트 이송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면 가이드롤러(20)들에 의해 박형시트(2)의 하면이 접촉지지되고 상면 가이드롤러(30)들에 의해 박형시트(2)의 상면이 접촉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송모터(3)를 회전시켜서 회전체(4)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체(4)의 돌기(4a)들이 박형시트(2)의 구멍(2a)들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면서 박형시트(2)를 화살표(A)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 때 하면 가이드롤러(20)들 및 상면 가이드롤러(50)들은, 박형시트(2)와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각각 샤프트(21,51)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박형시트(2)를 접촉 가이드하게 된다.
한편, 박형시트(2)가 이송되는 도중에 승강부재(40)에는 그 승강부재(40)의 자중 및 상면 가이드롤러(50)들의 자중 등에 의한 하강력과 이송모터(3)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박형시트(2)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의 상승력이 작용하게 된다. 승강부재(40)와 상면 가이드롤러(50)들의 자중은 변하지 않으므로 즉, 상기 하강력은 항상 일정하므로,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가 빨라지게 되면 상기 상승력이 증대되어 승강부재(40)가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가 늦어지게 되면 상기 상승력의 크기가 감소되어 승강부재(40)가 하강하게 된다. 즉,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가 변화하게 되면, 승강부재(40)의 높이 즉 상하방향으로의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상기 제1센서(60)는, 박형시트(2)가 원하는 속도범위내에서 최고속으로 이송되고 있을 때의 승강부재(40)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센서(70)는, 박형시트(2)가 원하는 속도범위내에서 최저속으로 이송되고 있을 때의 승강부재(4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모터(3)가 적정한 회전수 즉, 박형시트(2)를 원하는 범위 내의 이송속도로 이송시킬 수 있는 회전수로 회전되고 있을 때에는 승강부재(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서(60)와 제2센서(70) 사이의 소정위치에 위치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가 증대되는 경우에는 승강부재(40)에 작용하는 상술한 상승력이 증대되게 되어 승강부재(40)가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상승하게 되는데 만일,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가 원하는 이송속도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승강부재(40)는 도 4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센서(6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높이까지 상승하게 된다. 승강부재(40)가 이러한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면 제1센서(60)의 발광부(61)에서 조사되는 빛이 그 승강부재(40)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부(62)에 수광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센서(60)로부터 승강부재(40)를 감지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발생된다. 그리고, 그 신호에 의해 제어부(80)는 이송모터(3)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를 감소시켜서 그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가 원하는 범위내에 있도록 한다.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가 감소되어 다시 원하는 범위 내에 들게 되면 승강부재(40)도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서(60)와 제2센서(70) 사이의 위치로 하강되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가 감소되는 경우에는 승강부재(40)에 작용하는 상술한 상승력이 감소되게 되어 승강부재(40)가 가이드레일(30)을 따라 하강하게 되는데 만일,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가 원하는 이송속도범위에 못미치게 되면 승강부재(40)는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높이까지 상승하게 된다. 승강부재(40)가 이러한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면 제2센서(70)의 발광부(71)에서 조사되는 빛이 그 승강부재(40)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부(72)에 수광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센서(70)로부터 승강부재(40)를 감지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발생된다. 그리고, 그 신호에 의해 제어부(80)는 이송모터(3)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를 증대시켜서 그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가 원하는 범위 내에 있도록 한다.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가 증대되어 다시 원하는 범위 내에 들게 되면 승강부재(40)도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서(60)와 제2센서(70) 사이의 적정한 위치로 상승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가 원하는 범위보다 커지게 되면 제1센서(60)가 설치된 위치까지 승강부재(40)가 상승하여 제1센서(60)에 의해 신호가 발생되고,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가 원하는 범위보다 작아지게 되면 제2센서(70)가 설치된 위치까지 승강부재(40)가 하강하여 제2센서(70)에 의해 신호가 발생되며, 제1센서(60) 또는 제2센서(7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80)는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가 원하는 범위 내에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박형시트(2)는 원하는 범위내의 속도로 이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는 또한, 상기 박판시트를 이송시키면서 그 박판시트에 대해 소정의 작업이나 가공을 행할 수 있는 두 대의 별도의 이송장치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두 대의 별도의 이송장치 각각에서의 박판시트의 이송속도가 서로 달라지더라도 본 실시예의 박판시트 이송장치에 의해 그 박판시트의 이송속도변화가 쉽게 감지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두 대의 별도의 이송장치에서의 박판시트의 속도차에 의해 박판시트에 큰 장력이 걸리거나 또는 박판시트가 처지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박형시트 이송장치는 제1센서(60)와 제2센서(70) 및 그 센서들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이송모터(3)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구비하고 있으나, 상기 제1센서(60)와 제2센서(7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허용 가능한 박판시트 이송속도범위 내에서의 승강부재(40)의 최대높이와 최소높이를 프레임(10)에 눈금표시하여 두고, 박형시트(2)의 이송작업 중에 작업자는 승강부재(40)의 높이를 확인함으로써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가 원하는 범위 내에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가 원하는 범위를 벗어나려고 할 때 즉, 승강부재(40)의 높이가 상기 표시된 범위내로부터 벗어나려고 할 때 작업자가 수동조작에 의해 이송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1센서(60)와 제2센서(7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이송모터(3)를 제어하는 제어부(80)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센서(60)나 제2센서(70)가 승강부재를 감지하였을 때 그 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음기 또는 경광등과 같은 경고수단을 마련하여, 그 경고수단에 의한 경고를 확인하여 작업자가 수동조작에 의해 이송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센서와 제2센서가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은 투과형 광센서일 필요는 없으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어 감지하고자 하는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된 소위 반사형 광센서나 또는, 기타 다른 형태의 센서가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로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박형시트(2)에 일렬로 다수의 구멍(2a)이 형성되고 그 구멍(2a)들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돌기(4a)들을 가지는 회전체(4)를 이용하여 박형시트(2)의 이송을 행하는 장치에 대해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그러한 회전체 대신에 예를 들어 이송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권취롤에 박형시트를 감아들임으로써 박형시트를 이송시키는 형태의 박형시트 이송장치에도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박형시트 이송장치는, 이송되는 박형시트의 이송속도가 원하는 범위 내에 있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를 승강부재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통해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박형시트의 이송속도가 원하는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얇은 띠형의 박형시트(2)의 이송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3)를 포함하는 박형시트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형시트(2)의 이송방향상 상기 이송모터(3)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박형시트(2)의 하면에 접촉되어 그 박형시트(2)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하면 가이드롤러(20)와,
    상기 프레임(1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설치된 가이드레일(30)과,
    상기 가이드레일(30)에 그 가이드레일(3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부재(40)와,
    상기 승강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박형시트(2)의 상면에 접촉되어 그 박형시트(2)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상면 가이드롤러(50)를 구비하여,
    상기 박형시트(2)의 이송속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40)가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시트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40)가 설정된 높이만큼 상승되어 있을 때 그 승강부재(40)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센서(60)와,
    상기 승강부재(40)가 설정된 높이만큼 하강되어 있을 때 그 승강부재(40)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센서(7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시트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60)와 제2센서(7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모터(3)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시트 이송장치.
KR2020000006141U 2000-03-06 2000-03-06 박형시트 이송장치 KR200189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141U KR200189609Y1 (ko) 2000-03-06 2000-03-06 박형시트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141U KR200189609Y1 (ko) 2000-03-06 2000-03-06 박형시트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609Y1 true KR200189609Y1 (ko) 2000-07-15

Family

ID=19645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141U KR200189609Y1 (ko) 2000-03-06 2000-03-06 박형시트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60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087B1 (ko) 2010-04-21 2011-08-31 (주)화인프라텍 엠보싱 경면 시트 제조장치
KR101357623B1 (ko) 2013-08-26 2014-02-05 덕산건설 주식회사 관로 보수용 펠트의 텐션 조절 장치를 갖춘 반전기
KR20140015994A (ko) * 2012-07-27 2014-0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권취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483436Y1 (ko) * 2015-12-31 2017-05-16 세방전지(주) 격리판 연속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087B1 (ko) 2010-04-21 2011-08-31 (주)화인프라텍 엠보싱 경면 시트 제조장치
KR20140015994A (ko) * 2012-07-27 2014-0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권취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357623B1 (ko) 2013-08-26 2014-02-05 덕산건설 주식회사 관로 보수용 펠트의 텐션 조절 장치를 갖춘 반전기
KR200483436Y1 (ko) * 2015-12-31 2017-05-16 세방전지(주) 격리판 연속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7943B1 (en) Overhead travelling carriage system
KR102186952B1 (ko)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
US10427905B2 (en) Accumulation device
KR100785285B1 (ko) 코일 선단부 위치 조정장치
JPH1148046A (ja) 継続した加工物を生産ラインに沿つて連続的に処理する方法
JP2009249139A (ja) 巻取シート状物受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215190B1 (ko) 고속 롤투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189609Y1 (ko) 박형시트 이송장치
JP2000288664A (ja) 押圧成形機のシート搬送装置
JP2007307871A (ja) ゴムシートの搬送方法、及びその搬送装置
KR20130057766A (ko) 박판 이송장치
JP3808787B2 (ja) ベルトコンベヤー装置
KR101713093B1 (ko) 코어의 적층 높이 제어장치
JP2007039182A (ja) ローラコンベアポート及び搬送材の位置決め方法
KR102266952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강화필름롤 자동 지지장치
KR20190133872A (ko)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JP2603435B2 (ja) 基板搬送装置
CN210236097U (zh) 一种下板机的收料辅助装置
KR20050075127A (ko) 리프트와 대차 사이의 단차에 의한 팔레트 이송 불능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차장치 및 팔레트 이송 제어방법
JP3844553B2 (ja) 切断機に対するワーク給材方法および装置
JP2005298104A (ja) 搬送設備
JP4618242B2 (ja) シート材圧延装置
KR930004640Y1 (ko) 반도체 패키지 마킹장치
KR100605519B1 (ko) 시트 파일러의 자동 센터링 장치
JP2010087043A (ja) 部品実装装置の基板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