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2656A - 전지를 내장한 휴대전기기기 - Google Patents

전지를 내장한 휴대전기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2656A
KR20010092656A KR1020000075397A KR20000075397A KR20010092656A KR 20010092656 A KR20010092656 A KR 20010092656A KR 1020000075397 A KR1020000075397 A KR 1020000075397A KR 20000075397 A KR20000075397 A KR 20000075397A KR 20010092656 A KR20010092656 A KR 20010092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pack
connector
cas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2178B1 (ko
Inventor
아마즈쯔미도루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9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와 전지팩의 양방에 발생할 수 있는 데드 스페이스를 줄여 소형, 경량, 저비용으로 하는 것이다.
그 해결수단으로서, 전지를 내장하는 휴대전기기기는, 케이스 (1) 와, 케이스 (1) 에 내장되는 전지팩 (2) 과, 케이스 (1) 의 외부로 표출되어 충전단자 (7) 를 갖는 I/O 커넥터 (3) 를 구비한다. I/O 커넥터 (3) 는 케이스 (1) 의 내부로 표출되어 케이스 (1) 에 내장되는 전지팩 (2) 의 전지단자 (5) 에 접촉되는 접속단자 (6) 를 갖는다. 휴대전기기기는 케이스 (1) 에 내장되는 전지팩 (2) 의 전지단자 (5) 를 I/O 커넥터 (3) 의 접속단자 (6) 에 직접 접속하여 내장하고 있다.

Description

전지를 내장한 휴대전기기기{PORTABLE ELECTRIC APPARATUS INCLUDING BATTERY THEREIN}
본 발명은 휴대전화 등의 휴대전기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스에 I/O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휴대전기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등의 휴대전기기기는 외부 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I/O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지를 내장하는 휴대전기기기는 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를 I/O 커넥터에 형성하여 접속부분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충전단자를 가지는 I/O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도 1 ~ 도 3 에 나타낸다. 종래의 휴대전기기기는,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기판 (4) 에 I/O 커넥터 (13) 를 고정시키고 있다. I/O 커넥터 (13) 는 충전용의 단자 (14) 와 신호용의 단자 (15) 를 배면에 형성하고 있다. 배면의 단자는 리드배선 (16) 을 통하여 프린트기판 (4) 에 접속된다. 그리고 프린트기판 (4) 에는 전지팩 (2) 의 전지단자 (5) 를 접속하기 위한 전지팩 접속단자 (12) 를 고정시키고 있다. 이 전지팩 접속단자 (12) 는 프린트기판 (4) 의 도전박 (17) 과 리드배선 (16) 을 통하여 I/O커넥터 (13) 의 단자에 접속된다.
이상의 구조에서, 팩전지를 I/O 커넥터에 접속하고 있는 종래의 휴대전기기기는 전지팩을 프린트기판에 대하여 수직 자세로 접속단자에 눌려서 접속되는 구조에서 케이스의 내부와 전지팩의 양방에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되는 결점이 있다. 데드 스페이스는 케이스를 작게 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그리고 이상의 구조의 휴대전기기기는, I/O 커넥터와 전지팩 접속단자를 프린트기판의 도전박과 리드배선을 통하여 접속되기 때문에 접속상태가 나빠지면 접속불량 등 폐해가 발생되기 쉬운 결점이 있다. 그것은 전지팩 접속단자가 적어도 3 지점의 납땜부를 통하여 I/O 커넥터에 접속되기 때문이다. 전지팩에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배선은, I/O 커넥터의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에 비교하여 큰 전류가 흐르므로, 접촉불량에 의하여 접촉저하가 커지면 전지팩을 정상적으로 충전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이상의 구조의 휴대전기기기는 프린트기판에 전지팩 접속단자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I/O 커넥터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충전용의 단자를 프린트기판에 리드배선으로 접속할 필요가 있어 제조하기가 번거로운 결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점을 일거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케이스와 전지팩의 양방에 발생되는 데드 스페이스를 줄여 소형, 경량,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전지를 내장하는 휴대전기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휴대전기기기의 I/O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I/O 커넥터의 정면도.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전지팩의 접속단자에 전지팩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전기기기의 평면도.
도 5 는 도 4 에 나타낸 휴대전기기기의 일부 단면 확대사시도.
도 6 은 도 4 에 나타낸 휴대전기기기의 단면도.
도 7 은 도 6 에 나타낸 휴대전기기기의 I/O 커넥터와 프린트기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8 은 도 7 에 나타낸 I/O 커넥터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전지팩
3 : I/O 커넥터 4 : 프린트기판
5 : 전지단자 6 : 접속단자
7 : 충전단자 8 : 신호단자
9 : 리드단자 10 : 격벽
11 : 충전회로 12 : 전지팩 접속단자
13 : I/O 커넥터 14 : 충전용의 단자
15 : 신호용의 단자 16 : 리드배선
17 : 도전박
본 발명의 전지를 내장하는 휴대전기기기는 케이스 (1) 와, 케이스 (1) 에 내장되는 전지팩 (2) 과, 케이스 (1) 의 외부로 표출되어 충전단자 (7) 를 갖는 I/O 커넥터 (3) 를 구비한다. I/O 커넥터 (3) 는 케이스 (1) 의 내부로 표출되어 케이스 (1) 에 내장되는 전지팩 (2) 의 전지단자 (5) 에 접촉되는 접속단자 (6) 를 갖는다. 휴대전기기기는 케이스 (1) 에 내장되는 전지팩 (2) 의 전지단자 (5) 를 I/O 커넥터 (3) 의 접속단자 (6) 에 직접 접촉되어 내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휴대전기기기는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1) 에 내장되는 프린트기판 (4) 에 I/O 커넥터 (3) 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I/O 커넥터 (3) 의 배면에 돌출되는 접속단자 (6) 를 형성하여 프린트기판 (4) 과 평행이 되는 자세로 케이스 (1) 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팩 (2) 의 바닥면에 배치 형성된 전지단자 (5) 를 I/O 커넥터 (3) 의 접속단자 (6) 에 접촉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나타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화시키기 위한 휴대전기기기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전기기기를 이하의 것에 특정시키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는 특허청구범위를 이해하기 쉽도록 실시예에 기재된 부재에 대응하는 번호를 「특허청구범위의 란」 및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란」에 기재된 부재에 부기하고 있다. 단,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부재를 실시예의 부재에 특정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도 4 의 평면도와, 도 5 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의 휴대전기기기는 케이스(1) 와, 케이스 (1) 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팩 (2) 과, 케이스 (1) 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I/O 커넥터 (3) 와, I/O 커넥터 (3) 를 고정시키고 있는 프린트기판 (4) 을 구비한다.
케이스 (1) 는 I/O 커넥터 (3) 를 외부로 표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바닥부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 (1) 는 전지팩 (2) 을 정 (定) 위치에 장착한다. 전지팩 (2) 은 탈착시킬 수 있도록 또는 탈착시킬 수 없는 상태에서 케이스 (1) 에 내장된다. 전지팩이 탈착 가능한 케이스는 배면에 개구하여 전지팩의 수납실을 형성하고, 전지팩을 수납한 상태에서 수납실의 개구부를 전지수납 뚜껑으로 폐쇄한다. 전지수납 뚜껑은 전지팩에 고정되어 일체 구조로 하고, 또는 전지팩과는 별도의 부분으로서 수납실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전지팩 (2) 은 충전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케이싱에 내장하고 있다. 이차전지는 니켈-수소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리튬이온 이차전지 등이다. 전지팩 (2) 은 케이싱의 바닥면에 표출되어 전지단자 (5) 를 형성하고 있다. 전지단자 (5) 는 케이싱의 바닥면과 평행하는 자세로 고정된 금속판이다. 도 5 의 전지팩 (2) 은 +- 의 전원단자와, 1 개의 신호단자 (8) 로 구성되는 3 개의 전지단자 (5) 를 형성하고 있다. 전지단자 (5) 는 도 6 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I/O 커넥터 (3) 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단자 (6) 에 직접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지팩 (2) 은 얇은 각형으로서, 절연판인 격벽 (10) 을 통하여 프린트기판 (4) 에 적층된 상태에서 케이스 (1) 의 수납실에 장착된다. 케이스 (1) 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지팩을 정위치에 장착시킬 수 있는 구조, 예를 들어 수납실의 내형 (內形) 을 전지팩의 외형과 거의 동일하게 하여 전지팩을 수납실에 끼워 정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I/O 커넥터 (3) 는, 도 7 의 평면도와 도 8 의 정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측에 전지팩 (2) 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 (7) 와, 휴대전기기기의 외부에 접속되는 기기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단자 (8) 를 형성하고 있다. 배면측에는 전지팩 (2) 에 접속되는 접속단자 (6) 와, 프린트기판 (4) 에 접속되는 리드단자 (9) 를 형성하고 있다.
접속단자 (6) 는, 전지팩 (2) 의 전지단자 (5) 에 직접 접속되어 전지팩 (2) 을 충전한다. 따라서, 이 접속단자 (6) 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I/O 커넥터 (3) 의 내부에서 표면측의 충전단자 (7)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단자 (6) 는 I/O 커넥터 (3) 의 본체에서 배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접속단자 (6) 는 전지팩 (2) 의 케이싱보다도 내측에 배치 형성되는 전지단자 (5) 에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단자 (6) 는 I/O 커넥터 (3) 의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탄성체 (비도시) 를 통하여 탄성적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I/O 커넥터 (3) 의 본체에 내장된다. 이 접속단자 (6) 는 전지팩 (2) 의 전지단자 (5) 에 확실하게 전기접속되어 접촉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 접속단자 (6) 는 I/O 커넥터 (3) 의 본체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I/O 커넥터 (3) 는 3 개의 접속단자 (6) 를 본체에서 배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3 개의 접속단자 (6) 는 전지팩 (2) 에 형성되어 있는 +- 의 전원단자와 1 개의 신호단자로 이루어지는 3 개의 전지단자 (5) 에 접속된다.
접속단자 (6) 는 프린트기판 (4) 의 표면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라고 접속단자 (6) 는 프린트기판 (4) 의 표면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I/O 커넥터 (3) 의 본체에 형성되어 있다. 전지팩 (2) 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지단자 (5) 를 향하여 돌출시켜 확실하게 전기접속시키기 위해서이다.
도면의 I/O 커넥터 (3) 는 본체의 횡단면형상을 사각형으로 하여 표면측을 케이스 (1) 의 외부로 돌출시켜 배면측을 케이스 (1) 의 내측에 위치시키고, 그리고 표면측과 배면측을 연결하고 있는 바닥면을 프린트기판 (4) 을 따라서 고정시키고 있다. I/O 커넥터 (3) 는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리드단자 (9) 를 프린트기판 (4) 에 납땜하여 프린트기판 (4) 에 고정시키고 있다. I/O 커넥터는 본체를 프린트기판에 접착시켜 더욱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I/O 커넥터 (3) 는 표면의 신호단자 (8) 와 배면의 리드단자 (9) 를 본체의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도면의 I/O 커넥터 (3) 는 동축케이블에 접속하기 위한 고주파용의 신호단자 (8) 를 양측에 형성하고, 그 사이에 디지털신호 또는 아날로그신호를 전송하는 신호단자 (8) 를 형성하고 있다.
프린트기판 (4) 은 케이스 (1) 의 내면을 따라서 고정되고, 도 6 에 있어서 상면에 격벽 (10) 을 형성하여 격벽 (10) 상에 전지팩 (2) 을 배치 형성하고 있다. 프린트기판 (4) 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나사 멈춤, 접착, 케이스에 끼우는 등의 구조로 케이스 (1) 의 정위치에 고정된다. 도 5 와 도 6 에 나타낸 휴대전기기기는 프린트기판 (4) 에 격벽 (10) 을 통하여 전지팩 (2) 을 배치 형성하고, 전지팩 (2) 과 I/O 커넥터 (3) 의 표면을 케이스 (1) 또는 전지수납 뚜껑으로 커버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를 갖는 휴대전기기기는 이하의 공정으로 조립된다.
(1) I/O 커넥터 (3) 를 고정시키고 있는 프린트기판 (4) 을 케이스 (1) 의 정위치에 세트시켜 고정시킨다.
(2) 프린트기판 (4) 상에 전지팩 (2) 을 장착하여, 전지팩 (2) 의 전지단자 (5) 를 I/O 커넥터 (3) 의 접속단자 (6) 에 직접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전지팩 (2) 의 전지단자 (5) 는 접속단자 (6)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충전단자 (7) 를 충전기에 접속하면 전지팩 (2) 이 충전된다. 휴대전기기기는 전지팩 (2) 을 충전시키기 위하여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회로 (11) 를 내장하고 있다. 충전회로 (11) 는 프린트기판 (4) 에 전자부품을 실장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전지를 내장하는 휴대전기기기는 케이스와 전지팩의 양방에서 발생되는 데드 스페이스를 줄여 소형, 경량, 저비용으로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것은 본 발명의 휴대전기기기가 케이스의 내부로 표출되어 케이스에 내장되는 전지팩의 전지단자에 접촉되는 접속단자를 I/O 커넥터에 형성하고, 케이스에 내장되는 전지팩의 전지단자를 I/O 커넥터의 접속단자에 직접 접촉시키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I/O 커넥터의 접속단자를 전지팩의 전지단자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휴대전기기기는 케이스 내 및 전지팩에 발생되는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소형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휴대전기기기는 전지팩의 접속단자를 종래와 같이 프린트 기판의 도전박과 리드배선을 통하지 않고 I/O 커넥터에 직접 접속하므로, 제조에 드는 수고를 저감시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촉불량 등의 폐해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전지팩에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배선은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접촉불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은 전지팩을 정상적으로 충ㆍ방전시켜 장기간에 걸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Claims (2)

  1. 케이스 (1) 와, 케이스 (1) 에 내장되는 전지팩 (2) 과, 케이스 (1) 의 외부로 표출되어, 충전단자 (7) 를 갖는 I/O 커넥터 (3) 를 구비하는 휴대전기기기로서,
    I/O 커넥터 (3) 가 케이스 (1) 의 내부로 표출되어, 케이스 (1) 에 내장되는 전지팩 (2) 의 전지단자 (5) 에 접촉되는 접속단자 (6) 를 갖고, 케이스 (1) 에 내장되는 전지팩 (2) 의 전지단자 (5) 가 I/O 커넥터 (3) 의 접속단자 (6) 에 직접 접촉되어 내장되어 이루어지는 전지를 내장하는 휴대전기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 (1) 에 내장되는 프린트기판 (4) 에 I/O 커넥터 (3) 를 고정시키고, 이 I/O 커넥터 (3) 는 배면에 돌출된 접속단자 (6) 를 갖고, 프린트기판 (4) 과 평행하는 자세로 케이스 (1) 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팩 (2) 의 바닥면에 배치 형성된 전지단자 (5) 를 I/O 커넥터 (3) 의 접속단자 (6) 에 접촉하여 이루어지는 전지를 내장하는 휴대전기기기.
KR1020000075397A 2000-03-23 2000-12-12 전지를 내장한 휴대전기기기 KR100572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81514 2000-03-23
JP2000081514A JP2001268812A (ja) 2000-03-23 2000-03-23 電池を内蔵する携帯電気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656A true KR20010092656A (ko) 2001-10-26
KR100572178B1 KR100572178B1 (ko) 2006-04-18

Family

ID=1859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397A KR100572178B1 (ko) 2000-03-23 2000-12-12 전지를 내장한 휴대전기기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64696B1 (ko)
JP (1) JP2001268812A (ko)
KR (1) KR100572178B1 (ko)
CN (1) CN1147980C (ko)
DE (1) DE10113172B4 (ko)
FR (1) FR2806863B1 (ko)
GB (1) GB2360641B (ko)
HK (1) HK1038849A1 (ko)
TW (1) TWI2228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3956B1 (en) 1998-11-30 2001-09-04 David H. McDaniels Reduction, elimination, or stimulation of hair growth
US6887260B1 (en) 1998-11-30 2005-05-03 Light Bioscienc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cne treatment
US20060212025A1 (en) 1998-11-30 2006-09-21 Light Bioscienc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cne treatment
US9192780B2 (en) 1998-11-30 2015-11-24 L'oreal Low intensity light therapy for treatment of retinal, macular, and visual pathway disorders
DE10121381C1 (de) * 2001-05-02 2002-10-24 Henkel Kgaa Spendervorrichtung für eine cremeförmige oder durch Bestreichen einer Oberfläche sich abtragenden Masse
JP2003229938A (ja) * 2002-02-04 2003-08-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携帯電話装置
EP1617777A4 (en) 2003-04-10 2010-11-03 Gentlewaves Llc PHOTOMODUL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REGULATING CELL PROLIFERATION AND GENE EXPRESSION
WO2005011606A2 (en) 2003-07-31 2005-02-10 Light Bioscience, Llc System and method for the photodynamic treatment of burns, wounds, and related skin disorders
KR100664114B1 (ko) 2004-03-03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io 리셉터클 조립체
US20090051318A1 (en) * 2007-08-22 2009-02-26 Paul Christopher R Pass Around Electrical Contacts
EP2194618B1 (en) * 2007-09-28 2013-10-23 Kabushiki Kaisha Toshiba Power connector
US7825615B2 (en) 2007-10-16 2010-11-02 Glj, Llc Intelligent motorized appliances with multiple power sources
FR3019695A1 (fr) * 2014-04-04 2015-10-09 Servitronique Dispositif d'integration d'une electronique de charge et de gestion de courant sur une batterie alimentee par un panneau solai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9429A (en) * 1975-12-31 1977-02-22 General Electric Company Charger with multiple attachable cellholder modules
US5019767A (en) * 1989-02-16 1991-05-28 Nintendo Co., Ltd. Portable power supply
US5052943A (en) * 1989-03-23 1991-10-01 Norand Corporation Recharging and data retrieval apparatus
DE4104885C2 (de) * 1991-02-18 1993-11-04 Braun Ag Elektrogeraet
US5535274A (en) * 1991-10-19 1996-07-09 Cellport Labs, Inc. Universal connection for cellular telephone interface
NL9302115A (nl) * 1993-12-06 1995-07-03 Connector Systems Tech Nv Coax-connector met impedantiesturing.
US5538435A (en) * 1994-09-14 1996-07-23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input/output connector with switchable contacts
JPH0963716A (ja) * 1995-08-25 1997-03-07 Hirose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用複合コネクタ
EP0840396B1 (en) * 1996-11-04 2003-02-19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telephone handset
KR19990024411A (ko) * 1997-09-02 1999-04-06 조영선 일반 가정용 전원으로 직접 충전하는 이동통신기기용 배터리 장치
KR19980065461U (ko) * 1998-08-28 1998-11-25 박창국 휴대폰충전기가 내장된 액세서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980C (zh) 2004-04-28
GB0106936D0 (en) 2001-05-09
FR2806863B1 (fr) 2005-08-26
GB2360641A (en) 2001-09-26
JP2001268812A (ja) 2001-09-28
HK1038849A1 (en) 2002-03-28
FR2806863A1 (fr) 2001-09-28
KR100572178B1 (ko) 2006-04-18
GB2360641B (en) 2004-01-07
DE10113172A1 (de) 2001-10-25
DE10113172B4 (de) 2005-06-02
US6364696B1 (en) 2002-04-02
CN1315800A (zh) 2001-10-03
TWI222823B (en) 200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3144B2 (en) Battery pack for electronic device
US20030062873A1 (en) Fast combinational charger
KR100572178B1 (ko) 전지를 내장한 휴대전기기기
KR960702203A (ko) 일체식 배터리 접점 및 유지성 돌출부(Integrated battery contact and retentive protrusion)
KR20100062166A (ko) 이차 전지
US5192904A (en) Rechargeable battery conversion kit
US20080048612A1 (en) Wireless battery charger
US6696816B2 (en) Battery charger
JP3940255B2 (ja) 電池および携帯機器
EP0601711B1 (en) A battery pack
JP2001250520A (ja) 電池パックおよび電子機器
CN213485139U (zh) 一种通过磁铁吸附实现主机可分离式结构的独立智能耳机
CN109994660B (zh) 一种具有改进的电路单元的可充电电池
JPH11339741A (ja) ポータブル機器
JP3609683B2 (ja) パック電池
KR100422474B1 (ko) 단일슬롯 방식의 휴대폰용 배터리 충전장치
CN219456740U (zh) 电路板组件及电子设备
CN220796994U (zh) 摄影器材用电池接口结构及电池
JP5102545B2 (ja) 電子機器
JP2877749B2 (ja) プリント基板を内蔵する小型電気機器
JPH07273849A (ja) 充電端子構造
US20040018426A1 (en) Terminal and battery containing said terminal
JP2002247775A (ja) 充電用置き台
CN109921143B (zh) 一种具有改进的散热结构的可充电电池
JPH0613069A (ja) バッテリパ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