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278A -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 Google Patents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278A
KR20010086278A KR1020000079874A KR20000079874A KR20010086278A KR 20010086278 A KR20010086278 A KR 20010086278A KR 1020000079874 A KR1020000079874 A KR 1020000079874A KR 20000079874 A KR20000079874 A KR 20000079874A KR 20010086278 A KR20010086278 A KR 20010086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upper holder
case
st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8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05376B1 (en
Inventor
다나카츠토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1008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2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37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To provide a safety cup holder for a vehicle that is unlikely to carelessly pinch a user's finger. CONSTITUTION: A lower holder 4 is slidably and pivotally incorporated into an upper holder 3 through the engagement of a shaft part 6 of a supporting part 41 with a long groove 7 of the upper holder. The cup holder comprises a shaft position changing means (arm 8 or the like) for moving the shaft part backward in the long groove in an initial process of switching the upper holder from a use mode to a housing mode. By the shaft position changing means, a rotation locus S2 of the lower holder pivoting on the shaft part is shifted backward relative to that in the use mode in the initial process of switching the upper holder to the housing mode, so that a clearance between the tip of a mounting part 42 and a front side partitioning a holding opening 32 is expandable.

Description

차량용 컵 홀더{Cup holder for an automobile}Cup Holder for Cars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음료수가 담긴 캔, 컵, 종이 팩 등의 음료용기(이하, 이것을 총칭하여 "컵류"라 한다)가 쓰러지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한 차량용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 vehicle for holding a beverage container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ups") such as cans, cups, and cartons containing beverages so as not to fall.

이러한 종류의 차량용 컵 홀더로서는 각종의 구조의 것이 제안되어 있으며, 고급차량등에는 외관이나 스페이스 등을 중시한 절첩식이나 인출식의 것이 채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절첩식과 인출식 중, 일본국 공개특허 평9-48273호, 공개특허 평8-192669호 등에 예시되어 있는 인출식의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Various types of structures are proposed as this kind of cup holder for a vehicle, and a folding type or a draw-out type that emphasizes the appearance and the space is adopted as a high-grad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be a pull-out type illustrat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9-48273, 8-192669 and the like among the folding and pulling-out types.

도 10의 (a),(b)는 상기 공개특허 평8-192669호에 예시된 컵 홀더를 수납상태와 사용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이 컵 홀더는, 전면에 개구부(50a)를 형성한 케이스(50)와, 케이스(50)내에 압입된 수납상태{도 10의 (a)}와 케이스(50)내에서 인출된 사용상태{도 10의 (b)}로 전환되는 상부홀더(51)와, 컵류(k)의 하면을 받치는 하부홀더(5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50)는 상기 개구부(50a)를 통해서 상부홀더 (51)가 내부로 압입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차실내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측에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상부홀더(51)에는 그 전면에 조작부(51a)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 삽입되는 컵류(k)의 주위를 구속하는 유지구멍(51b)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홀더 (52)는 그 후단측이 상부홀더(51)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부홀더(51)와 함께 케이스(50)내에 수납됨과 아울러, 사용상태에서 후단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부홀더(51)에서 하측으로 수하(垂下)되어 유지구멍(51b)에 삽입된 컵류(k)의 하면을 받치는 것이다. 즉, 이 구조에서는, 대소의 컵류(k2,k1)가 상부홀더(51)의 유지구멍 (51b)에 상측에서 삽입되면, 상부홀더(51)의 하측으로 수하된 하부홀더(52)의 재치부(載置部)(52a)에 의해서 컵류(k)의 하면이 받쳐짐과 동시에 그 상부가 유지구멍 (51b)의 내주면에 의해서 구속된다. 따라서, 컵류(k)로서는 유지구멍(51b)의 내경치수 이하의 것, 또한 하부홀더(52)의 재치부(52a)에 받쳐지는 크기의 것이라면 일단 유지되는 것이다.(A) and (b) of FIG. 10 show the cup holder illustrat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 No. Hei 8-192669 in a stored state and a used state. The cup holder has a case 50 having an opening 50a formed on its front surface, a storage state (Fig. 10 (a)) press-fitted into the case 50, and a use state drawn out of the case 50 (Fig. 10 (b)}, and the lower holder 52 which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cups k is provided. The case 50 is the upper holder 51 is press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opening 50a, for example,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side of the instrument panel in the vehicle interior. The upper holder 51 i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part 51a in the front surface, and the holding hole 51b which restrains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cups k inserted i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he lower holder 52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upper end 51 to be pivotally supported by the upper holder 51 and is accommodated in the case 50 together with the upper holder 51. The lower surface of the cups k inserted into the holding hole 51b by falling downward from 51 is supported. That is, in this structure, when the large and small cups k2 and k1 are inserted into the holding holes 51b of the upper holder 51 from above, the placing portion of the lower holder 52 carried down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holder 51 is placed. The lower surface of the cups k is supported by the 52a,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restrained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ding hole 51b. Therefore, the cups k are retained once as long as they ar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retaining hole 51b and that are supported by the mounting portion 52a of the lower holder 52.

이와 같은 컵 홀더는 컵류(k)를 하부홀더(52)의 재치부(52a)로 받치기 위해서 하부홀더(52)를 판재로 구성하고, 지지부(52b)에 절결부(52c)를 재치부(52a)와 근접하게 형성하여 재치부(52a) 위에 놓여지는 컵(k)류에 대한 랩(wrap)대를 확보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이것은, 재치부(51a)의 판폭치수를 단순히 크게 하면, 케이스(50)의 개구부(50a)의 높이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컵 홀더 전체가 두껍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피부착부로서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조립되는 것은 오디오등과 같은 다른 기기류와 함께 설치되어야 하는 설치공간의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특히 두께적으로 얇게 하여야 한다는 사정이 있다.Such a cup holder comprises a lower holder 52 made of a sheet material to support the cups k with the placing portion 52a of the lower holder 52, and the cutout 52c is placed on the supporting portion 52b. 52a) is designed to ensure a wrap zone for cups k placed on the mounting portion 52a. This is for avoiding the thickening of the whole cup holder, since the height of the opening part 50a of the case 50 must also be secured if the plate width dimension of the mounting part 51a is simply enlarged. In addition, there is a situation that the assembly to the instrument panel as the skin portion is particularly thin because it is restricted in the installation space to be installed together with other devices such as audio.

이상과 같이 종래의 컵 홀더는 사용의 편리함이 개선되고 두께적으로 소형화되어 왔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아직도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cup holder has been improved in convenience and downsized in thickness, but still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로, 종래의 구조에서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재치부(52a)와 조작부(51a)와의 사이, 즉 재치부(52a)의 선단과 유지구멍(51b)의 전방측 내주면과의 사이로 손가락(F)을 잘못 끼워넣은 상태에서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홀더(51)를 부주의하게 눌러서 약간 슬라이드시켰을 때에도 손가락 (F)이 끼이게 된다는 안전성에 대한 배려가 결여되어 있다.First,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as shown in Fig. 11A, the user is placed between the placing portion 52a and the operation portion 51a,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placing portion 52a and the front side of the holding hole 51b.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 safety that the finger F is pinched even when the upper holder 51 is inadvertently pressed and slightly slided as shown in FIG. 11 (b) while the finger F is incorrectly insert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lacking.

이것은, 컵류(k)를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재치부(52a)를 유지구멍(51a)의 후방측 하측보다도 중앙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야 하고, 또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홀더(52)가 축부(53)를 지지점으로 하여 하측으로 수하되었을 때에 재치부(52a)와 유지구멍(51a)과의 사이에 소정의 수직거리(MO)를 확보해야만 하는 점, 하부홀더(52)가 상부홀더(51)내에 수납어야 한다는 길이적인 제약을 받는 점 등에 의해서 회전궤적(SO)이 유지구멍(51b)의 전방측 내주면에 근접하게위치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도 11의 (a)에 있어서의 축부(53)를 단순히 후방측으로 설정하여 회전궤적(SO)을 조작부(51a)에서 떨어지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때에는 재치부(52a)도 유지구멍(51a)내의 후방측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컵류(k)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또, 도 11의 (a)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과 같이 하부홀더(52A)의 전체 길이 및 축부(53a)의 위치를 변경하여 재치부(52a)의 위치를 확보하면서 회전궤적(S1)을 얻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때에는 상부홀더(51)에 대한 하부홀더(52A)의 수납성이 손상되게 된다.In order to stably hold the cups k, the placing portion 52a must be disposed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center of the holding hole 51a rather than the lower side of the holding hole 51a, and as shown in FIG. The lower holder 52 must secure a predetermined vertical distance MO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52a and the retaining hole 51a when the 52 is received downward by using the shaft portion 53 as a supporting point. This is because the rotational track SO is located close to the fron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hole 51b due to the length restriction that the product should be stored in the upper holder 51. Here, it is conceivable to simply set the shaft portion 53 in FIG. 11A to the rear side so that the rotational track SO is separated from the operation portion 51a. In this case, the placement portion 52a also holds the retaining hole. By being located in the back side in 51a, it becomes impossible to keep cup k stably. In addition, as shown by an imaginary line in Fig. 11A, the entire length of the lower holder 52A and the position of the shaft portion 53a are changed to secure the position of the placing portion 52a to obtain the rotational track S1. It is conceivable, however, that the storage of the lower holder 52A relative to the upper holder 51 is impaired.

둘째로, 종래의 구조에서는, 도 10의 (a)에 나타낸 수납상태와 같이 케이스 (50)의 전후 길이를 상부홀더(52)의 전후 길이보다도 길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차량의 사양에 따라서는{예를 들면, 피부착부로서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측에 형성되는 설치공간의 깊이가 작은 경우 등} 이것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상부홀더(50)를 짧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때에는 유지구멍(51b)의 내경치수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Second,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case 50 must be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upper holder 52 as in the storage state shown in Fig. 10A. For example, the case where the depth of the installation space formed in the instrument panel side as a skin attachment part is small etc. may not be provided. Here, it is conceivable to shorten the upper holder 50, but at this time, it is impossible to secure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ding hole 51b.

셋째로, 종래의 구조에서는, 하부홀더(52)가 항시 상부홀더(51)에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케이스(50)내에서 인출되는 과정에서 축부(53)를 지지점으로 하여 하측으로 수하되게 된다. 이 하부홀더(52)가 하측으로 수하되는 작동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탄지력 및 자체중량에 비례한 속도로 행해지는데, 조작부 (51a)에 근접한 회전궤도(SO)을 따라서 하측으로 수하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위화감이나 위압감을 주기 쉽다.Third,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e lower holder 52 is always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upper holder 51, so that the lower holder 52 can be lowered to the lower side with the shaft portion 53 as a supporting point in the process of being drawn out in the case 50. do. The operation of lowering the lower holder 52 to the lower side is performed at a speed proportional to the gripping force of the spring (not shown) and its own weight. Since the lower holder 52 is lowered along the rotational track SO close to the operation unit 51a, the user It is easy to give feeling of incongruity and the sense of pressur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사용자의 손가락등이 끼일 우려가 없도록 안전성을 확실하게 하고, 피부착부측의 설치공간에 대한 자유도를 확대하고, 하부홀더가 하측으로 수하되는 작동도 개선가능한 차량용 컵 홀더를 얻는 것에 있다. 또다른 목적은 이하의 설명중에서 명확하게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ensure safety so that the user's fingers, etc. do not get caught, to expand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installation space on the skin attachment side, and to improve the operation that the lower holder is lowered It is in obtaining a vehicle cup holder which is possible. Another object is made clea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요부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peration of the cup holder concerning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는 상기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도면2 is a top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up holder;

도 3은 상기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up holder;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6은 상기 컵 홀더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6 is a top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of the cup holder;

도 7은 상기 컵 홀더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of the cup holder.

도 8은 상기 컵 홀더의 개략 외관도8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the cup holder;

도 9는 케이스측과 축위치변경수단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9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ase side and an axis position changing means;

도 10은 종래의 컵 홀더의 수납상태와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10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and a use state of a conventional cup holder;

도 11은 종래의 컵 홀더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blem of a conventional cup holder.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외측 케이스 2 - 내측 케이스1-outer case 2-inner case

24 - 오목부 3 - 상부홀더24-recess 3-upper holder

31 - 조작부 32 - 유지구멍31-control panel 32-retaining hole

34 - 관통구멍 4 - 하부홀더34-through hole 4-lower holder

41 - 지지부 42 - 재치부41-Support 42-Placement

45 - 오목부(제 1 오목부) 5 - 스프링(제 1 스프링)45-recess (first recess) 5-spring (first spring)

6 - 축부 7 - 슬릿6-shaft 7-slit

8 - 암부 47 - 축부8-female part 47-shaft part

48 - 돌기부 49 - 오목부(제 2 오목부)48-protrusion 49-recess (second recess)

9 - 스프링(제 2 스프링) k,k1,k2 - 컵류9-Spring (2nd spring) k, k1, k2-Cups

S0∼S3 - 하부홀더의 회전궤적S0 to S3-Rotational trajectory of the lower hold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케이스(1,2)와; 상기 케이스(1,2)내에 압입되는 수납상태와 케이스(1,2)내에서 인출되는 사용상태로 전환가능함과 아울러 삽입되는 컵류(k)의 주위를 구속하는 유지구멍(32)을 가지는 상부홀더(3)와; 재치부(42) 및 지지부(41)를 가지며, 상기 상부홀더(3)에 지지부(41)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부홀더(3)와 함께 케이스(1,2)내에 수납되고, 또한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부홀더(3)에서 하측으로 수하되어 상기 유지구멍(32)에 삽입되는 컵류(k)의 하면을 받치는 하부홀더(4);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4)가 상기 상부홀더(3)에 대하여, 상기 상부홀더(3)측의 슬릿(7)과 상기 지지부(41)측의 축부(6)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또한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홀더(3)가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 전환되는 초기과정에서 상기 축부(6)를 슬릿(7)을 따라서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축위치변경수단{암부(8) 등}을 가지며, 상기 축위치변경수단에 의해서 상기 축부(6)를 지지점으로 하는 상기 하부홀더(4)의 회전궤적(S2)을 상기 상부홀더(3)를 수납상태로 전환하는 초기과정에서 상기 사용상태일 때보다도 상대적으로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상기 재치부(42)의 선단과유지구멍(32)의 전방측 내주면간의 간격을 확대가능하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a case (1,2) having an opening formed on the front; An upper holder having a retaining hole 32 that can be switched to a storage state press-fitted into the case 1 and 2 and a use state drawn out from the case 1 and 2, and restrains the periphery of the inserted cups k. (3); It has a mounting part 42 and the support part 41, It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aid upper holder 3 through the support part 41, It is accommodated in the case 1 and 2 with the upper holder 3, Moreover, A lower holder (4) which is received downward from the upper holder (3) in the use state and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cups (k) inserted into the holding hole (32). (4) is slidably and rotatably assembled by engaging the upper holder 3 with the slit 7 on the upper holder 3 side and the shaft portion 6 on the support 41 side. In addition, the shaft position changing means for automatically moving the shaft portion 6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along the slit 7 in the initial process of the upper holder (3) is switched from the use state to the storage state (arm portion 8 And the like, and support the shaft portion 6 by the shaft position changing means. In the initial process of converting the rotational track S2 of the lower holder 4 into the housed state, the front end of the placement unit 42 is biased toward the rear side more than in the use state.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ding hole 32 can be enlarged.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하부홀더(4)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홀더(3)에 대하여 슬릿(7)과 축부(6)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또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부홀더(3)가 압입되어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 전환되는 초기과정에서 암부(8) 등으로 구성되는 축위치변경수단에 의해서 하부홀더(4)측의 축부(6)를 상기 슬릿(7)을 따라서 후방측으로, 즉 상부홀더(3)가 압입되는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축부(6)를 지지점으로 하는 하부홀더(4)의 회전궤적(S2)을 사용상태일 때보다도 상대적으로 후방측이 되는 회전궤적(S3)으로 변경하여 재치부(42)의 선단과 유지구멍(32)의 전방측 내주면간의 간격을 확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치부(42)의 선단과 조작부(31){유지구멍(32)의 전방측 내주면} 사이로 손가락(F)을 잘못 끼워넣은 상태에서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홀더(3)를 부주의하게 누른다 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손가락(F)이 끼인다고 하는 우려가 해소된다. 이러한 이점은, 사용상태에 있어서, 하부홀더(4)의 재치부(42)와 상부홀더(3)의 유지구멍(32)과의 사이에 소정의 수직거리를 확보하고 또한 재치부(42)가 유지구멍(32)의 중앙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더라도 기능하는 것이므로, 컵류(k)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회전궤적의 변경은 도 1의 (b)의 상태에서 도 1의 (a)의 사용상태로 할 때에도 작용하므로, 하부홀더(4)가 하측으로 수하되는 작동시에 위화감이나 위압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ower holder 4 is slidably and rotatably supported by engaging the slit 7 and the shaft portion 6 with respect to the upper holder 3 as shown in FIG. Then, in the initial process of the upper holder 3 is pressed in and switched from the used state to the stored state, the slit (6) on the side of the lower holder 4 by the shaft position changing means constituted by the arm 8 or the like. By automatically moving along 7) to the rear side, i.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holder 3 is press-fitted, the rotational track S2 of the lower holder 4 supporting the shaft portion 6 as a supporting point is more relative than when it is in use. By changing to the rotational track S3 which becomes the rear side, th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art 42 and the front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ding hole 32 is expanded. Therefore, as shown in Fig. 1A, the user incorrectly inserts the finger F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mounting portion 42 and the operation portion 31 (the front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ding hole 32). Even if the upper holder 3 is inadvertently pressed as shown in (b) of FIG. 5, the concern that the finger F is pinched as in the prior art is eliminated. This advantage ensures a predetermined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42 of the lower holder 4 and the retaining hole 32 of the upper holder 3 while the placing portion 42 is The cups k can be stably held because they function even if they are arranged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center of the holding hole 32. In addition, such a change in the rotational trajectory also works when the use state of FIG. 1A is changed from the state of FIG. 1B to the use state of FIG. Can be mitigated.

이상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embodied as follows.

첫째로, 상기 케이스는 전후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외측 케이스(1)와, 상기 외측 케이스(1)의 전면 개구부에서 돌출되는 사용상태 및 상기 외측 케이스(1)의 후면 개구부에서 돌출되는 수납상태로 슬라이드 전환 가능한 내측 케이스(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홀더(3)를 상기 내측 케이스(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조립한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부홀더(51)가 케이스 (50)에 대하여 직접 인출되고 수용되는 종래예에 비해, 상부홀더(3)의 전방측으로의 돌출량을 외측 케이스(1)에 대한 내측 케이스(2)의 슬라이드량 만큼 증가시켜 확보할 수 있으며, 또 내측 케이스(2)가 상부홀더(3)를 거의 수용한 상태에서 외측 케이스(1)에 수용되기 때문에, 수납상태에서의 컵 홀더의 전체 길이(도 7에 있어서의 L+L1)를 대폭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사양에 따라서 피부착부의 설치공간의 깊이가 작은 경우에도 채용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착부측의 설치공간의 깊이에 제약을 받지 않는 경우에는 내측 케이스(2)를 생략하고, 외측 케이스(1)와 상부홀더(3)와 하부홀더(4)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irst, the case is in the outer case (1) having an opening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 use state protruding from the front opening of the outer case (1) and the receiving state protruding from the rear opening of the outer case (1) It consists of a slide switchable inner case 2, and the said upper holder 3 is slidably assembled to the said inner case 2.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xample in which the upper holder 51 as shown in FIG. 10 is directly drawn out and accommodated with respect to the case 50,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upper holder 3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upper case 3 is determined by the outer case 1. It can be secured by increasing the slide amount of the inner case 2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2, and since the inner case 2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case 1 with the upper holder 3 being almost accommodated, The entire length (L + L1 in FIG. 7) of the cup hold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opt even when the depth of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skin attachment part is small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pth of the installation space on the skin attachment side is not restricted, the inner case 2 may be omitted, and the outer case 1, the upper holder 3, and the lower holder 4 may also be configured. It is possible.

둘째로, 상기 축위치변경수단은, 상기 상부홀더(3)에 대응부를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함과 동시에 지지부(41)에 하측을 요동가능하게 연결한 암부(8)와, 상기 암부(8)의 상단부에 돌출형성된 돌기부(48)와, 상기 내측 케이스(2)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돌기부(48)와 걸어맞춰지고 또한 상기 수납상태로 전환되는 초기과정에서 이탈되는 오목부(24)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부홀더(3)가 하부홀더(4)와 함께 내측 케이스(2)에서 인출되어 사용상태로 되기 직전에 돌기부(48)가 오목부(24)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내측 케이스(2)에 대한 상부홀더(3)의 전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반대로, 상부홀더(3)가 내측 케이스(2)내로 압입되는 초기과정에서 오목부(24)에 대한 돌기부(48)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동시에 암부(8)가 축부(47)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돔됨으로써, 하부홀더(4)의 축부 (6)를 슬릿(7)을 따라서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하부홀더(4)는 회동중심이 되는 축부(6)가 슬릿(7)을 따라서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도 1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상태시의 회전궤적(S2)에서 회전궤적 (S3)으로 변경된다. 또한, 이 축위치변경수단은 상기한 암부(8) 대신에, 예를 들면 기어기구등에 의해서 하부홀더(4)를 이동시켜 회전궤적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Secondly, the shaft position changing means comprises: an arm portion 8 pivotally support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to the upper holder 3 and pivotally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to the support portion 41; Protruding portion 48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portion, and recessed portion 24 formed in the inner case 2 and engag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 48 in the use state and disengaged in an initial process of being converted into the receiving state. It is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otrusion 48 is engaged with the recess 24 just before the upper holder 3 is pulled out of the inner case 2 together with the lower holder 4 and put into use. The movement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upper holder 3 relative to (2) is regulated. On the contrary, in the initial process of the upper holder 3 being pushed into the inner case 2, the engagement of the protrusion 48 with respect to the recess 24 is released and the arm 8 supports the shaft 47 as a support point. By rotating, the shaft portion 6 of the lower holder 4 is mov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along the slit 7. That is, since the lower holder 4 is mov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along the slit 7, the shaft portion 6, which is the center of rotation, is in a state of use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rotation trajectory S2 is changed from the rotation trajectory S3. In addition, the shaft position changing means may change the rotational trajectory by moving the lower holder 4 by, for example, a gear mechanism instead of the arm portion 8 described above.

셋째로, 상기 하부홀더(4)는 상기 암부(8)와의 사이에 설치된 제 1 스프링 (5)을 가지며, 상기 제 1 스프링(5)에 의해서 상기 상부홀더(3)의 하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지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스프링(5)은 사용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하부홀더(4)를 그 탄지력에 대응한 속도로 상부홀더(3)에서 하측으로 수하시키는 작용과 하부홀더(4)의 유동이나 덜걱거림을 흡수하는 작용을 겸한다.Third, the lower holder (4) has a first spring (5) provided between the arm portion 8, the tungsten so as to rotate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upper holder (3) by the first spring (5) It is a configuration. The first spring 5 acts to lower the lower holder 4 downward from the upper holder 3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holding force in the process of switching to the use state, and the flow or rattle of the lower holder 4. It also acts as an absorber.

넷째로, 상기 암부(8)는 상기 상부홀더(3)측과의 사이에 설치된 제 2 스프링 (9)을 가지며, 상기 돌기부(48)가 상기 제 2 스프링(9)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오목부(24)에서 이탈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 2 스프링(9)은 돌기부(48)와 오목부(24)의 걸어맞춤상태를 유지시키는 작용과, 돌기부(48)가 오목부(24)에서 이탈되는 걸어맞춤해제상태에 있어서의 암부(8)의 유동이나 덜걱거림을 흡수하는 작용을 겸한다.Fourth, the arm portion 8 has a second spring 9 provided between the upper holder 3 side, and the projection portion 48 is concave against the holding force of the second spring 9. The configuration is separated from the unit 24. The second spring 9 serves to keep the protrusion 48 and the recess 24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arm part in the disengaged state where the protrusion 48 is separated from the recess 24. It also serves to absorb the flow or rattle of 8).

다섯째로, 상기 제 1 스프링(5)이 상기 하부홀더(4)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오목부(45)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프링(9)이 상기 암부(8)의 상단부에 형성된제 2 오목부(49)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구조는 상하방향의 스페이스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암부(8)의 회동과 양 스프링(5,9)의 배치부를 확보하는 것이다.Fifth, the first spring 5 is disposed in the first recess 45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lder 4, the second spring 9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arm 8 It is the structu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2 recessed part 49. FIG. This structure secures the rotation of the arm part 8 and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part of both springs 5 and 9, suppressing the space of the up-down direction to the minimum.

여섯째로, 상기 하부홀더(4)가, 상기 지지부(41)의 하측에 재치부(42)를 반원형상으로 돌출형성하고 또한 상기 재치부(42)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41)의 일부를 잘라낸 절결부(43)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재치부(42)가 상기 유지구멍(32)의 대략 중앙 하측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이 구조는 컵류(k)를 안정하게 또한 확실하게 유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Sixthly, the lower holder 4 protrudes the placing portion 42 in a semicircular shape below the supporting portion 41 and cuts a part of the supporting portion 41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acing portion 42. The notch part 43 is formed, and the said mounting part 42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lower side of the said holding hole 32 in the said use state. This structure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by keeping the cups k stably and reliably.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최적한 예로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각종의 제한이 부가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This embodiment has various technically preferred limitations as an optimum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does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컵 홀더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a),(b)는 도 2의 A-A선 요부 단면도로서, (a)는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b)는 수납상태로 전환된 초기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컵 홀더의 수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은 컵 홀더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A-A선에 대응시킨 단면도이다. 도 8은 컵 홀더의 개략적인 외관도이고, 도 9는 케이스측과 축위치변경수단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1 to 9 show an embodiment of a vehicl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 is sectional drawing of the principal line A-A of FIG. 2, (a) shows the use state of a cup holder, (b) shows the initial state switched to the storage state. 2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up holder from above, FIG. 3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up holder from the side,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 6 and 7 illustrate a receiving state of the cup holder, FIG. 6 is a view of the cup holder viewed from above,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line A-A of FIG. 2. Fig. 8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the cup holder, and Fig. 9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se side and the shaft position changing means.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컵 홀더는, 케이스를 구성하는 외측 케이스(1) 및 내측 케이스(2)와, 상부홀더(3)와, 하부홀더(4)와, 하부홀더(4)를 탄지하는 스프링 (5)과, 하부홀더(4)를 상부홀더(3)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또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하는 축부(6) 및 슬릿(7)과, 축부(6)의 축위치변경수단을 구성하는 암부(8) 및 스프링(9)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부재는 스프링(5,9)을 제외하고 모두 수지성형품으로 되어 있으나, 재질적으로는 수지 이외이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컵 홀더는 피부착부로서 자동차의 센터콘솔이나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조립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개발되었으나, 예를 들면 차실내에 설치된 각종 콘솔이나 좌석 등에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up holde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pring for supporting the outer case 1 and the inner case 2, the upper holder 3, the lower holder 4, and the lower holder 4 constituting the case ( 5), a shaft portion 6 and a slit 7 for axially and slidably supporting the lower holder 4 to the upper holder 3, and arm portions constituting the shaft position changing means of the shaft portion 6; 8, the spring 9, etc. are provided. These members are all made of a resin molded article except for the springs 5 and 9, but may be other than resins in terms of materials. In addition, although the cup holder of this embodiment was developed on the premise that it is assembled to the center console or instrument panel of a motor vehicle as a skin attachment part, it can also be assembled to the various consoles, a seat, etc. which are installed in a vehicle cabin, for example.

(부재구성)(Member composition)

외측 케이스(1)와 내측 케이스(2) 및 상부홀더(3)는, 외측 케이스(1)가 피부착부측에 형성된 장착부에 장착되고, 내측 케이스(2)가 외측 케이스(1)에 대하여 도 1의 (a)의 인출된 사용상태와 도 7의 압입된 수납상태로 슬라이드전환 가능하게 조립되고, 또한 상부홀더(3)가 내측 케이스(2)에 대하여 인출된 사용상태와 압입된 수납상태로 슬라이드전환 가능하게 조립되는 관계로 되어 있으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기 외측 케이스(1) 및 내측 케이스(2)는 그 전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홀더(3)는 그 전면에 형성된 조작부(31)를 제외하고 상기 내측 케이스(2)에 수납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The outer case 1, the inner case 2 and the upper holder 3 are mounted to a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outer case 1 is formed on the skin attachment side, and the inner case 2 is shown in FIG. 1 with respect to the outer case 1. Assembled so as to be slidable into the drawn out use state of (a) and the press-fit storage state of Figure 7, and also slides to the use state and the press-in storage state that the upper holder 3 is drawn out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2)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be the relationship which is assembled so that switching is possible.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outer case 1 and the inner case 2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opened, and the upper holder 3 is attached to the inner case 2 except for the operation portion 31 formed on its front surface. It is size to be stored.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측 케이스(1)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11), 하면(12), 양 측면(13)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으며, 그 전후면은 개방된 개구부로 되어 있다. 상면(11)에는 부착돌기(14)가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1싸의 단붙임 규제부(15)가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하면(12)은 그 후방측이 크게 결여되어 있으며, 전방측에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위치결정용 돌기부(16)를 가지고 있다. 양 측면(13)의 내측에는 안내편(17)이 서로 대향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편(17)과 상면(11) 사이에 가이드홈(18)이 형성된다. 또, 도 2의 파단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케이스(2)의 전방측으로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오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9)는 측면(13)에 있어서의 전측부분을 후측부분보다도 일단(一段) 두껍게 형성한 전측벽부의 경계선에 위치하고 있다.In more detail, the outer case 1 is partitioned by the upper surface 11, the lower surface 12, and both side surfaces 13, as shown in FIGS. 2 to 4 and 8,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reof are open. It is a closed opening. The attachment protrusion 14 is formed in the center at the upper surface 11, and the single step attachment control part 15 is formed in the front side. The lower surface 12 is largely lacking in its rear side, and has a positioning projection 16 for protruding downward on the front side. Inside the both sides 13, the guide piece 17 is formed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 state facing each other, the guide groove 18 is formed between the guide piece 17 and the upper surface (11). 2, the recessed part 19 which regulates the movement range to the front side of the inner case 2 is formed. This recessed part 19 is located in the boundary line of the front side wall part in which the front side part in the side surface 13 was formed one end thicker than the rear side part.

내측 케이스(2)는 그 전후면이 개방되고 저면이 결여된 대략 'ㄷ'자형상을 이루며, 상면(21)과 양 측면(22)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길이적인 면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케이스(1)의 최대 칫수(L)보다도 약간 길게 되어있다. 상면(21)은 도 2,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단부측이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8)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걸림단부(23)와, 전방측 중간부에 관통된 상태로 형성된 대략 장방형상의 오목부(24)와, 오목부(24)와 대향하는 전단부를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원호부(25)를 가지고 있다. 양 측면(22)의 내측에는 안내편(26)이 서로 대향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편(26)과 상면(21) 사이에 가이드홈(27)이 형성된다. 양 측면(22)의 외측에는 도 2의 파단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후단부측에 부착부(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착부(28)에 탄성걸림부재(29)가 끼워맞춰져 있다. 이 탄성걸림부재(29)는 그 중간부가 볼록형상으로 형성된 수지제의 판스프링으로서, 이 볼록형상부가 측면(2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부착부(28)의 슬릿에 끼워맞춰진다.The inner case 2 has an approximate 'c' shape in which its front and rear surfaces are open and its bottom is absent, and is partitioned by the upper surface 21 and both side surfaces 22. In the longitudinal aspect, it is slightly longer than the maximum dimension L of the outer side case 1, as shown in FIG. 2, 4 and 8, the upper end portion 21 is formed with both end portions projecting slightly outwardly so that the locking end portion 23 slidably fits into the guide groove 18, and the front side. It has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recessed part 24 formed in the state penetrated by the intermediate part, and the circular arc part 25 which formed the front end part which opposes the recessed part 24 in circular arc shape. Inside the both sides 22, the guide piece 26 is formed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 state facing each other, and the guide groove 27 is formed between the guide piece 26 and the upper surface 21. As shown in the fracture | rupture part of FIG. 2, the outer side of the both sides 22 is provided with the attachment part 28 in the rear end side, The elastic locking member 29 is fitted in this attachment part 28. As shown in FIG. This elastic locking member 29 is a resin leaf spring whose intermediate part is formed in convex shape, and is fitted to the slit of the attachment part 28 which is not shown so that this convex part may protrude outward of the side surface 22. As shown in FIG.

상기한 내측 케이스(2)는 외측 케이스(1)에 대하여 걸림단부(23)를 가이드홈 (18)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압입하면, 도 7에 나타낸 수납상태와 같이 외측 케이스 (1)내에 수납됨과 동시에 그 후단부측이 외측 케이스(1)의 후면 개구부에서 칫수 L1 만큼 약간 돌출된다. 상기 탄성걸림부재(29)는 상기한 수납상태에서 부착부(28)에 끼워맞춰진다. 이와 같이 하면, 내측 케이스(2)는 탄성걸림부재(29)의 볼록형상부에 의해서 진동등에 의한 영향을 받더라도 외측 케이스(1)에서 불필요하게 인출되는 것이 규제되며, 동시에 상기 탄성걸림부재(29)의 볼록형상부를 탄성적으로 퇴피시키면서 걸림단부(23)와 가이드홈(18)의 안내작용에 따라서 외측 케이스(1)내에서 인출될 때에는 상기 볼록형상부가 상기 오목부(19)에 걸어맞춰지는 최전방위치에서 규제된다. 이 탄성걸림부재(29)는 외측 케이스(1)에 대한 내측 케이스(2)의 유동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탄성걸림부재(29)는 내측 케이스(2)를 수납상태 및 인출상태의 두 위치에서 규제가능한 것이라면 다른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When the inner case 2 is press-fitted with the locking end 23 fitted to the guide groove 18 with respect to the outer case 1, the inner case 2 is housed in the outer case 1 as shown in FIG. At the same time, the rear end side slightly projects from the rear opening of the outer case 1 by the dimension L1. The elastic locking member 29 is fitted to the attachment portion 28 in the above-mentioned storage state. In this way, the inner case 2 is regulated to be unnecessarily drawn out of the outer case 1 even if it is affected by the vibration or the like by the convex portion of the elastic locking member 29,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convex portion is pulled out in the outer case 1 according to the guide action of the locking end 23 and the guide groove 18 while elastically retracting the convex portion, the foremost position where the convex portion is engaged with the concave portion 19. Regulated in This elastic locking member 29 is also able to absorb the flow of the inner case 2 with respect to the outer case 1. In addition, the elastic fastening member 29 may have a different configuration as long as the inner case 2 can be regulated at two positions in a stored state and a pulled out state.

상부홀더(3)는 그 전면에 조작부(31)를, 그 상면에 도시하지 않은 컵류(k)가 상측에서 삽입되는 유지구멍(32)을 가지고 있으며, 내측 케이스(2)에 수납된 상태에서 조작부(31)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가 횡단면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31)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케이스(1) 및 내측 케이스(2)의 각 전면 개구부를 외측에서 덮는 크기로 되어 있다. 유지구멍(32)은 본체의 상면(33)에 직경 R로 된 관통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면(33)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34)이 오목부(24)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27)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걸림단부(33a)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관통구멍(34)은 유지구멍(32)의 후측 근방에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면(33)의 하측에는 도 4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돌편부(36)가 관통구멍(34)의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양 돌편부(36)는 후술하는 지지부 (41)의 판폭에 대응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며, 그 후단부에는 축구멍(37)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본체의 측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7)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7)은 측면의 후방측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홀더(4)의 축부(6)를 소정량만큼 이동시킬 수 있는 길이(H)로 설정되어 있다.The upper holder 3 has an operation portion 31 on its front surface, and a holding hole 32 into which the cups k, not shown on its upper surface, are inserted from above, and the operation portion is stored in the inner case 2. 31 is in the state which protrudes outward.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is formed in substantially "'" shape in cross section. The operation part 31 is integrally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said main body, and is sized which covers each front opening part of the outer case 1 and the inner case 2 from an outer side. The holding hole 32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33 of the main body as a through hole having a diameter R. As shown in FIG. 4, the upper surface 33 has a through hole 34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ecess 24, and as shown in FIG. 5, the latch is slidably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27. It has the end part 33a integrally. The through hole 34 is formed in the state penetrated near the rear side of the holding hole 32.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33, as shown in Figs. 4 and 9, a pair of protrusion pieces 3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34, respectively. Both projection pieces 36 are form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plate widths of the support portions 4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shaft ends 37 are formed through the rear ends thereof. As shown in FIG. 4, a slit 7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The slit 7 is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side surface, and is set to the length H which can move the axial part 6 of the lower holder 4 by a predetermined amount as mentioned later.

또한, 도면부호 35는 유지구멍(32)의 내측에 형성된 출몰가능한 서브 홀더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서브홀더(3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으나, 이것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출원 평11-233847호나 특허출원 평11-297871호 등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며, 유지구멍(32)내로 삽입되는 컵류(k1)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라 하더라도 서브 홀더(35)의 돌출량에 의해서 이 작은 컵류(k1)의 주위를 규제함으로써 흔들림등의 요동을 억제한다.Further, reference numeral 35 denotes a sunkable sub holder formed inside the holding hole 32.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about this subholder 35 is abbreviate | omitted in this embodiment, this is similar to what was described, for example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1-233847, a patent application 11-297871, etc., and the holding hole 32 is shown. Even if the cups k1 inserted into the cups are relatively small, fluctuations such as shaking are suppressed by regulating the periphery of the small cups k1 by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sub holder 35.

하부홀더(4)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의 지지부(41)와, 지지부(41)의 하측에 대략 반원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재치부(42)를 일체로 가지고 있으며, 이 재치부(42)에 대응하여 지지부(41)의 일부를 잘라낸 절결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재치부(42)가 지지부 (41)를 통해서 유지구멍(32)의 대략 중앙 하측에 배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지부(41)는 양 측면에 돌출형성된 축부(6)와, 상단부 중간에 형성된 제 1 오목부(45) 및 이 제 1 오목부(45)의 양측에 형성된 받이홈(44)을 가지고 있다. 양 축부(6)는 상기 상부홀더(3)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7)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또한 회동가능하게 걸어맞춰진다. 하부홀더(4)는 상기한 걸어맞춤에 의해서 상부홀더(4)에 대하여 슬릿(7)의 길이만큼 이동가능하게 된다. 제 1 오목부(45)는 그 대향면에 부착축(45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 1 스프링(5)은 이 부착축(45a)에 의해서 위치가 규제된 상태로 제 1 오목부(45)내에 수용되며, 그 일단측을 지지부(41)측에 걸고 타단측을 후술하는 암부(8)에 걸음으로써 상부홀더(3)에 슬릿(7)과 축부(6)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는 하부홀더(4)가 하측(도 1 및 도 4의 상태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탄지되게 된다. 또한, 받이홈(44)은 이 홈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요동축 (44a)을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9, the lower holder 4 has an integrally rectangular plate-shaped support portion 41 and a mounting portion 42 protruding i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below the support portion 41. Corresponding to 42, a cutout portion 43 from which a part of the support portion 41 is cut out is formed. In this structure, the placing portion 42 is designed to be disposed substantially below the center of the holding hole 32 through the supporting portion 41 in the use state. The support part 41 has the axial part 6 which protruded on both sides, the 1st recessed part 45 form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end part, and the receiving groove 44 formed in the both sides of this 1st recessed part 45. As shown in FIG. Both shaft portions 6 are slidably and rotatably engaged with the slit 7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holder 3. The lower holder 4 is movable by the length of the slit 7 with respect to the upper holder 4 by the above engagement. The first recess 45 has an attachment shaft 45a on its opposite surface. And the 1st spring 5 is accommodated in the 1st recessed part 45 in the state restrict | limited by this attachment shaft 45a, The one end side is hooked up to the support part 41 side, and the other end side is mentioned later. The lower holder 4 which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slit 7 and the shaft part 6 to the upper holder 3 by walking on the arm 8 is lower (clockwise in the state of FIGS. 1 and 4). Will be burnt. The receiving groove 44 also has a swing shaft 44a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groove.

암부(8)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단부측에 형성된 걸림부(46)와, 각 걸림부(46)의 상측 외면에서 돌출된 축부(47)와, 상단부의 중간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부(48)와, 돌기부(48)의 편측에 형성된 제 2 오목부(49)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각 걸림부(46)는 하측으로 돌출되며, 그 하단측에 대략 V자형상의 걸어맞춤부(46a)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오목부(49)에는 상기한 제 1 오목부(45)의 부착축(45a)과 마찬가지로 부착축을 가지고 있으며, 제 2 스프링(9)이 이 부착축에 의해서 위치가 규제된 상태로 수용된다. 그리고, 이 암부(8)는 상부홀더(3)에 대하여 양 축부(47)를 각 돌편부(36)의 축구멍(37)에 끼워맞춤으로써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이 때, 제 2 스프링(9)은 이미 제 2 오목부(49)에 수용되어 있다. 이 제 2 스프링(9)은 그 일단측을 암부(8)측에 걸고 타단측을 상부홀더(3)의 돌편부(36)측에 걸음으로써, 상부홀더(3)에 축부(47)와 축구멍(37)을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암부(8)가 상측방향(도 1 및 도 4의 상태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탄지되게 된다.As shown in Fig. 9, the arm portion 8 includes a locking portion 46 formed at both end sides, a shaft portion 47 protruding from an upper outer surface of each locking portion 46, and a protrusion portion projecting upward from the middle of the upper end portion. 48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49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48 are integrally formed. Each locking portion 46 protrudes downward, and an approximately V-shaped engaging portion 46a is formed at the lower end side thereof. The second concave portion 49 has an attachment shaft similar to the attachment shaft 45a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45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spring 9 is accommodated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is restricted by the attachment shaft. . The arm portion 8 is pivotally supported by rotation by fitting both shaft portions 47 to the shaft holes 37 of the protrusion pieces 36 with respect to the upper holder 3. At this time, the second spring 9 is already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ss 49. The second spring 9 has its one end side hooked to the arm 8 side and the other end side hooked to the protrusion piece 36 side of the upper holder 3, whereby the shaft portion 47 and the football are held on the upper holder 3. The arm portion 8 rotatably axially supported through the yoke 37 is supported in the upward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the states of FIGS. 1 and 4).

상기한 암부(8)와 하부홀더(4)를 상부홀더(3)에 대하여 각각 상기한 요령에 따라서 조립함에 의해서 암부(8)가 하부홀더(4)의 상단부에 밀접하게 배치되면, 끼워맞춤부(46a)의 내측에 요동축(44a)이 끼워맞춰지도록 양 걸림부(46)를 대응하는 받이홈(44)에 유동가능하게 끼운다. 제 1 스프링(5)은 상기한 요령에 따라서 일단측을 지지부(41)에 걸고 타단측을 암부(8)의 대응부에 건다. 이와 같이 하면, 하부홀더(4)는 도 1의 (a)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홀더(3)에 대하여 슬릿(7)과 축부(6)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상태에서 수하되는 시계방향으로 탄지되고, 동시에 암부(8)는 제 2 스프링(9)의 탄지력에 의해서 축부(47)를 지지점으로 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탄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스프링(9)의 탄지력이 제 1 스프링(5)보다도 약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암부(8)의 돌기부(48)가 관통구멍 (34)을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부홀더(3)는 하부홀더 (4) 및 암부(8)를 조립한 상태에서 내측 케이스(2)에 조립된다. 이 경우는, 하부홀더(4)를 제 1 스프링(5)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부홀더(3)의 내측으로 회전조작하면, 암부(8)가 제 2 스프링(9)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48)가 관통구멍(34)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홀더(3)를 내측 케이스(2)에 대하여 걸림단부(33a)를 가이드홈(27)에 끼워맞추면서 압입하면, 도 1의 (a)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48)가 오목부(24)에 도달하였을 때, 관통구멍(34)에서 오목부(24)내로 돌출됨으로써 사용상태로 조립된다.When the arm part 8 and the lower holder 4 are assembled to the upper holder 3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instructions, the arm part 8 is closely arrang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lder 4, Both locking portions 46 are slidably fitted into the corresponding receiving grooves 44 so that the swing shaft 44a is fitted inside the 46a.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first spring 5 hangs one end side to the support portion 41 and the other end side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arm portion 8. In this way, the lower holder 4 is load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holder 4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slit 7 and the shaft portion 6 with respect to the upper holder 3 as shown in FIGS. 1A and 4. The arm portion 8 is touch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the shaft portion 47 as a supporting point by the holding force of the second spring 9. In this state, since the holding force of the 2nd spring 9 is set weaker than the 1st spring 5, the protrusion part 48 of the arm part 8 will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through-hole 34. . In this way, the upper holder 3 is assembled to the inner case 2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holder 4 and the arm portion 8 are assembled. In this case, when the lower holder 4 is rotat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holder 3 against the holding force of the first spring 5, the arm 8 resists the holding force of the second spring 9. As a result, the projection 48 is positioned inside the through hole 34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when the upper holder 3 is press-fitted while fitting the locking end 33a to the guide groove 27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2, the projection 48 as shown in Figs. ) Reaches the recessed part 24, it protrudes into the recessed part 24 from the through-hole 34, and is assembled in a use state.

(작동)(work)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컵 홀더의 사용방법등에 대해서는 종래와 같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유한 작동에 대해서만 설명한다.Since the method of use of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only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이 차량용 컵 홀더의 사용상태에서는 각 부재가 다음과 같은 관계로 되어 있다. 내측 케이스(2)는 외측 케이스(1)에 대하여 상기 탄성걸림부재(29)와 오목부 (19)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최전방위치에서 규제된다. 상부홀더(3)는 내측 케이스 (2)에 대하여 암부(8)의 돌기부(48)와 오목부(24)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최전방위치에서 규제된다. 하부홀더(4)는 제 1 스프링(5)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부홀더(3)에서 하측으로 수하됨과 동시에, 암부(8){걸림부(46)의 끼워맞춤부(46a)와 요동축(44a)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축부(6)가 슬릿(7)내의 전방측 내주연에 맞닿은 상태에서 소정의 경사각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하부홀더(4)의 재치부(42)가 유지구멍(32)의 대략 중앙 하측{도 1의 (a)에 나타낸 부호 '0'의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유지구멍 (32)에 삽입된 컵류(k)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the use state of this vehicle cup holder, each member has the following relationship. The inner case 2 is regulated at the foremost position by engaging the elastic locking member 29 with the recess 19 with respect to the outer case 1. The upper holder 3 is regulated at the foremost position by engaging the protrusion 48 of the arm 8 with the recess 24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2. The lower holder 4 is lowered from the upper holder 3 by the holding force of the first spring 5 and at the same time, the arm portion 8 (the fitting portion 46a of the catching portion 46 and the swing shaft ( The shaft portion 6 is hel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in a state where the shaft portion 6 abuts against the front inner circumference of the slit 7 by the fitting of 44a). And the mounting part 42 of the lower holder 4 is inserted in the holding hole 32 by arrange | positioning at the substantially center lower side (position of the symbol "0" shown to Fig.1 (a)) of the holding hole 32. As shown in FIG. The prepared cups k can be kept stable.

그리고, 이 컵 홀더는 슬라이드조작에 의해서 상기한 사용상태에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수납상태로 전환되는 점에 대해서는 종래와 같으나, 그 전환동작이 종래의 컵 홀더와는 크게 다르다. 상세하게는, 상부홀더(3)를 후방측으로 눌러서 수납상태로 전환하는 초기과정, 즉 도 1의 (a),(b)에 나타낸 슬라이드과정에서는 우선 암부(8)가 오목부(24)에 걸어맞춰져 있는 돌기부(48)로부터의 반력(反力)을 받아 제 2 스프링(9)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돌기부 (48)가 오목부(24)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암부(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끼워맞춤부(46a)와 요동축(44a)이 끼워맞춰져 있기 때문에, 하부홀더(4)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제 1 스프링(5)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회전하려고 한다. 이 회전력은 하부홀더(4)의 축부(6)를 슬릿(7)을 따라서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이와 같은 축부(6)의 이동은, 내측 케이스(2)가 외측 케이스(1)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탄성걸림부재(29)와 오목부(19)의 걸어맞춤력이 상기한 회전력보다도 크게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케이스(2)는 도 1의 (b)에 나타낸 상태에서 상부홀더(3)를 내부에 수납함과 동시에 외측 케이스(1)에 대하여 압입되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수납상태로 된다. 또한, 하부홀더(4)는 도 1의 (b)에 나타낸 상태에서 상부홀더(3)와 함께 후방측으로 이동될 때에, 외측 케이스(1)의 하면(12)의 전단부에 맞닿아 슬라이드하면서 도 7에 나타낸 수납상태로 전환된다.The cup holder is similar to the conventional one in that the cup holder is switched to the storage state shown in Figs. 6 and 7 by the slide operation, but the switching operat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ventional cup holder. Specifically, in the initial process of pressing the upper holder 3 to the rear side to switch to the housed state, that is, the slide proces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arm 8 first hangs on the recess 24. Receiving a reaction force from the projected portion 48, which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while resisting the holding force of the second spring 9, the projection portion 48 exits from the recess portion 24. When the arm portion 8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fitting portion 46a and the swing shaft 44a are fitted, so that the lower holder 4 is plac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the first spring 5. Try to rotate while resisting the force. This rotational force acts as a force for moving the shaft portion 6 of the lower holder 4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along the slit 7. In addition, since the movement of the shaft part 6 assumes that the inner case 2 does not move with respect to the outer case 1, the engagement force of the elastic locking member 29 and the recessed part 19 is carried out. It is designed larger than this rotational force. Then, the inner case 2 is accommodated inside the upper holder 3 in the state shown in FIG. 1 (b) and press-fitted against the outer case 1 to be in the storage state shown in FIGS. 6 and 7. In addition, when the lower holder 4 is moved to the rear side together with the upper holder 3 in the state shown in FIG. 1B, the lower holder 4 slides against the front end of the lower surface 12 of the outer case 1. The storage state shown in 7 is switched.

이와 같이, 하부홀더(4)는 상부홀더(3)를 후방측으로 눌러서 수납상태로 전환하는 초기과정에서 축부(6)가 슬릿(7)을 따라서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이동함에의해서 도 1의 (a)에 나타낸 사용상태의 회전궤적(S2)이 도 1의 (b)에 나타낸 회전궤적(S3)으로 변경됨으로써, 재치부(42)의 선단과 유지구멍(32)의 전방측 내주면{즉, 조작부(31)의 내측}간의 간격이 확대된다. 이 회전궤적의 변경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재치부(42)의 선단과 조작부(31) 사이로 손가락(F)을 잘못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부홀더(3)를부주의하게 누른다 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손가락(F)이 끼인다고 하는 우려를 구조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 구조는, 예를 들면 하부홀더(4)의 축부(6)를 단순히 후방에 설치하여 상기한 회전궤적(S3)을 얻도록 하는 경우에는 재치부(42)의 위치도 후측으로 되어 컵류(k)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된다는 점, 도 1의 (a)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홀더(52B)의 전체 길이 및 지지부(53b)에 의해서 재치부의 위치를 확보함으로써 회전궤적(S3)을 얻도록 하는 경우에는 하부홀더(52B)가 길어지게 되어 수납성이 훼손된다는 점 등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이다. 또, 이와 같은 회전궤적의 변경은 도 1의 (b)의 상태에서 도 1의 (a)의 사용상태로 할 때에도 작용하므로, 하부홀더(4)가 하측으로 수하되는 작동시에 위화감이나 위압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wer holder 4 is moved by the shaft portion 6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along the slit 7 in the initial process of pressing the upper holder 3 to the rear side to switch to the stowed state. The rotational track S2 of the use state shown in Fig. 1) is changed to the rotational track S3 shown in Fig. 1B, whereby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ortion 42 and the front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ding hole 32 (i.e., the operation portio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ide of 31 is enlarged. This rotational trajectory is inadvertently inserted into the upper holder 3 in a state where the user incorrectly inserts the finger F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placement unit 42 and the operation unit 31 as shown in Fig. 1A. Even if it is pressed, the concern that the finger F is pinched can be structurally eliminated as in the prior art. That is, in this structure, for example, when the shaft part 6 of the lower holder 4 is simply installed at the rear to obtain the above-described rotation trajectory S3, the position of the placing part 42 is also rearward, and the cups Rotational trajectory S3 is obtained by securing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ortion by the entire length of the lower holder 52B and the supporting portion 53b as indicated by the virtual line in FIG. )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lower holder (52B) is long and the storage capacity is impaired. In addition, such a change in the rotational trajectory also works when the use state of FIG. 1A is changed from the state of FIG. 1B to the use state of FIG. Can be mitiga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컵 홀더에 의하면, 하부홀더는 상부홀더를 후방측으로 눌러서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 전환하는 초기과정에서 축부가 축위치변경수단에 의해서 케이스측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서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축부를 지지점으로 하는 회전궤적을 상대적으로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재치부의 선단과 유지구멍의 전방측 내주면간의 간격을 확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간격내로 손가락을 잘못 끼워넣은 상태에서 컵 홀더를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 부주의하게 전환하였다 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손가락이 끼인다고 하는 우려가 없으므로, 품질 및 신뢰성을 안전성도 포함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holder is moved forward along the slit formed on the case side by the shaft position changing means in the initial process of pressing the upper holder to the rear side and switching from the use state to the stored state. By moving from the side to the rear side, the rotational track having the shaft as the supporting point can be shifted relatively to the rear side, thereb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fron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aining hole. Therefore, even if the user inadvertently switches the cup holder from the used state to the stored state while the user incorrectly inserts the finger within the gap, there is no fear that the finger is pinched as in the prior art, thereby improving quality and reliability as well as safety. You can.

Claims (7)

전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압입되는 수납상태와 케이스내에서 인출되는 사용상태로 전환가능함과 아울러 삽입되는 컵류의 주위를 구속하는 유지구멍을 가지는 상부홀더와; 재치부 및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홀더에 지지부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부홀더와 함께 케이스내에 수납되고 또한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부홀더에서 하측으로 수하되어 상기 유지구멍에 삽입되는 컵류의 하면을 받치는 하부홀더;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컵 홀더에 있어서,A case having an open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 upper holder having a retaining hole for switching between a storage state pressed into the case and a use state drawn out in the case and for restraini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serted cups; The lower surface of the cup having a mounting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which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upper holder through the support portion, is received in the case together with the upper holder and is received downward from the upper holder in the use state and inserted into the holding hole. A cup holder for a vehicle having a lower holder; 상기 하부홀더가 상기 상부홀더에 대하여, 상기 상부홀더측의 슬릿과 상기 지지부측의 축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또한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홀더가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 전환되는 초기과정에서 상기 축부를 상기 슬릿을 따라서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축위치변경수단을 가지며,The lower holder is slidably and rotatably assembled by engaging the upper holder side with the slit on the upper holder side and the shaft portion on the support side, and the upper holder is switched from the used state to the stored state. In the initial process of having a shaft position changing means for automatically moving the shaft portion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along the slit, 상기 축위치변경수단에 의해서 상기 축부를 지지점으로 하는 상기 하부홀더의 회전궤적을 상기 상부홀더를 수납상태로 전환하는 초기과정에서 상기 사용상태일 때보다도 상대적으로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상기 재치부의 선단과 유지구멍의 전방측 내주면간의 간격을 확대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In the initial process of switching the upper holder to the retracted state by the shaft position changing means, the rotational track of the lower holder supporting the shaft portion is shifted to the rear side relatively than in the use state, so that the front end and the holding portion of the placing portion are maintained. A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hole can be enlarg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케이스는, 전후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외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의 전면 개구부에서 돌출되는 사용상태 및 상기 외측 케이스의 후면 개구부에서 돌출되는 수납상태로 슬라이드전환 가능한 내측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홀더를 상기 내측 케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The case includes an outer case having an opening formed in front and rear surfaces, an inner case which is slidable into a used state protruding from the front opening of the outer case, and a storage state protruding from the rear opening of the outer case. A cup holder for a vehicle, comprising: a holder slidably assembled to the inner case. 창구항 1에 있어서,In the claim 1, 상기 축위치변경수단은, 상기 상부홀더에 대응부를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에 하측을 요동가능하게 연결한 암부와, 상기 암부의 상단부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내측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돌기부와 걸어맞춰지고 또한 상기 수납상태로 전환되는 초기과정에서 이탈되는 오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는 차량용 컵 홀더.The shaft position changing means may include: an arm portion pivotally support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to the upper holder while being pivot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 protrusion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end portion of the arm portion, and formed on the inner case;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concave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 in use and is released in the initial process of being converted into the receiving state.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하부홀더는 상기 암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제 1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제 1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상부홀더의 하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The lower holder has a first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arm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holder is carried by the first spring to be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upper holder.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암부는 상기 상부홀더측과의 사이에 설치된 제 2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 2 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오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And the arm portion has a second spring provided between the upper holder side and the projection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recess in response to the holding force of the second spring.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제 1 스프링이 상기 하부홀더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오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프링이 상기 암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2 오목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And the first spring is disposed in a first recess formed in an upper end of the lower holder, and the second spring is disposed in a second recess formed in an upper end of the arm.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하부홀더가,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재치부를 반원형상으로 돌출형성하고 또한 상기 재치부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의 일부를 잘라낸 절결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재치부가 상기 유지구멍의 대략 중앙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The lower holder protrudes the mounting portion in a semicircular shape at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nd forms a cutout por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is cut out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Vehicle cup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lower side.
KR10-2000-0079874A 2000-01-18 2000-12-21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KR10040537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8588A JP2001199272A (en) 2000-01-18 2000-01-18 Vehicular cup holder
JP2000-008588 2000-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278A true KR20010086278A (en) 2001-09-10
KR100405376B1 KR100405376B1 (en) 2003-11-12

Family

ID=1853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874A KR100405376B1 (en) 2000-01-18 2000-12-21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1199272A (en)
KR (1) KR100405376B1 (en)
TW (1) TW550200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0516A1 (en) * 2009-12-08 2011-06-16 Air New Zealand Limited A cup hold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8358B4 (en) * 2002-10-17 2011-08-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80809 cup holders
JP2004175168A (en) * 2002-11-26 2004-06-24 Nifco Inc Drawer device
DE102010022442A1 (en) * 2010-06-01 2011-12-01 Volkswagen Ag Attachment device e.g. armrest, for inner space of motor car, to receive drink container i.e. bottle, has rotary bearing moved away in axial direction of shaft during event of overload when attachment is pivoted around pivotal axis
CN110182118B (en) * 2019-04-25 2020-11-17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Connecting structure of push type cup holder box and auxiliary instrument panel of automobile
CN110356305A (en) * 2019-05-05 2019-10-22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The saucer structure of AO grades of electric cars
KR20210058477A (en) * 2019-11-14 2021-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up holder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0516A1 (en) * 2009-12-08 2011-06-16 Air New Zealand Limited A cup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50200B (en) 2003-09-01
KR100405376B1 (en) 2003-11-12
JP2001199272A (en) 2001-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6226B2 (en) Container holding assembly
US5775761A (en) Holder for small articles provided in a ceiling of an automobile
US7121517B2 (en) Cup holder assembly with sliding partial ring
KR100405376B1 (en)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JP5096724B2 (en) Car interior storage case
JP5016350B2 (en) Vehicle storage device
JP4020424B2 (en) Vehicle storage device
KR100422718B1 (en) Damping unit for a glove box
KR100352186B1 (en)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JPH10297338A (en) Armrest with cup holder
JP2000272401A (en) Holder
JP3650833B2 (en) Container holding device for vehicles
KR100402772B1 (en) Cup Holder of Rotation Type for Vehicles
JP4329568B2 (en) Vehicle accessory storage device
KR100336692B1 (en) Cup holder for automobile
CN111559297B (en)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JP3049378B2 (en) Vehicle storage device
JP2554589Y2 (en) Cup holder
KR100756952B1 (en) Cup holder for car
KR19990031908U (en) Car Cup Holder
KR20040048024A (en) Assembly of a cup holder in vehicles
KR200265084Y1 (en) Floor console with drink holder of automobile
KR200197211Y1 (en) Rear seat structure for vehicle
KR200197574Y1 (en) Structure of Cup Holder for Automotive
JPH061179A (en) Cup holder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